KR20140019541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9541A KR20140019541A KR1020120085692A KR20120085692A KR20140019541A KR 20140019541 A KR20140019541 A KR 20140019541A KR 1020120085692 A KR1020120085692 A KR 1020120085692A KR 20120085692 A KR20120085692 A KR 20120085692A KR 20140019541 A KR20140019541 A KR 201400195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mobile terminal
- display lamp
- case
- light transm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전면에 관통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관통창을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하는 글래스 윈도우; 상기 글래스 윈도우의 배면 둘레에 형성되어 빛의 투과를 차단는 베젤; 상기 베젤에 형성되고 상기 베젤과 동일한 색상이고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 상기 투광부의 배면에 형성된 화이트 레이어; 및 상기 화이트 레이어을 향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표시램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표시램프의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사출되도록 빛을 산란시켜 표시램프의 빛이 너무 튀지 않고 부드럽게 사출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therein, a case formed with a through window on the front; A glass window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to cover the through window; A bezel formed around a rear surface of the glass window to block light transmission;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med on the bezel and transmitting the same color as that of the bezel; A white layer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a display lamp disposed inside the case toward the white layer, so that the light is scattered so that the point light source of the display lamp is emitted to the surface light source and the light of the display lamp does not bounce too much.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표시램프에 사용되는 조명이 점광원으로 보이는 핫 스팟(hot spot) 현상을 방지하고 부드럽고 균일한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eventing a hot spot phenomenon in which illumination used for a display lamp of a mobile terminal is seen as a point light source and supplying soft and uniform light.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he terminal can m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에 부수적으로 각 기능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표시램프가 이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복수개의 표시램프가 이용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re diversified, display lamps are used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function, and a plurality of display lamps are used to deliver information on various functions. .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표시램프의 빛이 점광원으로 보이지않고 면광원으로 보이도록 사출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meet the above-mentioned necessity,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for scattering light emitted so that the light of the display lamp does not appear as a point light source but as a surface light sourc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전면에 관통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관통창을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하는 글래스 윈도우; 상기 글래스 윈도우의 배면 둘레에 형성되어 빛의 투과를 차단는 베젤; 상기 베젤에 형성되고 상기 베젤과 동일한 색상이고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 상기 투광부를 향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표시램프; 및 상기 투광부와 상기 표시램프 사이에 배치된 화이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therein, a case formed with a through window on the front; A glass window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to cover the through window; A bezel formed around a rear surface of the glass window to block light transmission;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med on the bezel and transmitting the same color as that of the bezel; A display lamp disposed inside the case towar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a whi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light projector and the display lamp.
상기 표시램프는, 서로 상이한 색을 사출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가 상기 투광부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display lamp,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emitting different colors may b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상기 화이트 레이어는, 상기 표시램프와 상기 투광부 사이에 위치하며, 투명 필름에 화이트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white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lamp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may be formed by white printing on a transparent film.
이때, 상기 화이트 인쇄는 약 1μm이상 10μm이하의 두께로 인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hite printing may be printed with a thickness of about 1μm or more and 10μm or less.
상기 투광부는 상기 글래스 윈도우의 상기 케이스와 결합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투광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램프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홀 단부에 상기 표시램프가 결합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with the case of the glass window. 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lamp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the display lamp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lamp hole. have.
이때, 상기 램프홀은 홀 내부의 단면 크기가 변화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이트 레이어의 둘레는 상기 단차부와 결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amp hole may include a step portion in which a cross-sectional size inside the hole is changed,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white layer may be coupled to the step portion.
상기 투광부는 스모그 인쇄 방법으로 색상을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transmit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is implemented by the smog print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표시램프의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사출되도록 빛을 산란시켜 표시램프의 빛이 너무 튀지 않고 부드럽게 사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s scattered so that the point light source of the display lamp is emitted to the surface light source so that the light of the display lamp does not bounce too soft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나의 표시램프에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부착하여 다양한 상태를 표시할 때, 발광소자의 위치에 따라 다른 위치에서 빛이 사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attached to one display lamp to display various state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light is emitted from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hav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와 글래스 윈도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표시램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ase and the glass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lamp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The body of the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등 보조 저장매체(165)와 같이 탈착이 필요한 부품은 외측으로 부터 케이스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케이스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매체(165)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실장되도록 케이스 측면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고,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카드 슬롯(166, 167)이 형성될 수도 있다. A component such as a USIM card and a memory card, such as an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모듈(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The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 도 2의 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button 136 located o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ted by the first or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137)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amera 12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 acoustic output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152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152 (see FIG. 2)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and may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talking and the like, a broadcas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101)와 글래스 윈도우(105)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표시램프(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글래스 윈도우(105), 베젤(106), 프론트 케이스(101), 화이트 레이어(210) 및 표시램프(200)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프론트 케이스(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커버하는 케이스로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전면에 노출되도록 관통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창은 최소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영역(화면이 출력되는 영역)보다 크게 형성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보다 크게 형성하여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 등을 위치시킬 수 있다. The
글래스 윈도우(105)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에 결합하여, 상기 관통창(101a)을 커버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이 위치하는 부분은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베젤(106)은 글래스 윈도우(105)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에 위치하여 프론트 케이스(101)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영역을 제외한 내부 부품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글래스 윈도우(105)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한다. The
빛이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복수회 인쇄할 수 있다. 카메라(121)나 센서(141)와 같이 빛이 투과해야하는 부분은 베젤(106)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Printing can be performed multiple times to block light transmission. Portions through which light must pass, such as the
투광부(106a)는 상기 표시램프(200)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전면에서 볼 때에는 다른 부분과 유사하게 보이나, 표시램프(200)의 빛이 전면으로 사출되도록 다른 부분의 베젤(106)보다 얇다. The
카메라가 형성된 부분과 같이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면, 표시램프(200)가 점등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의 눈에 표시램프(200)가 보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른 부분의 베젤(106)보다 얇고 빛이 투과하면서 전면에서 쉽게 구별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스모그 인쇄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If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such as a portion where the camera is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표시램프(200)는 상기 글래스 윈도우(105)의 후면에 위치하며, 투광부(106a)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각 발광소자(201,202, 203)의 색상을 달리하여 색상에 따라이동 단말기의 상이한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The
상기 투광부(106a)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는 상기 표시램프(200)가 안착될 수 있는 램프홀(10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be coupled to the
상기 램프홀(1011)은 프론트 케이스(101)에 단순히 구멍만을 뚫어 형성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표시램프(200)가 투광부(106a)를 향하도록 램프홀(1011) 단부에 고정된다. The
표시램프(200)는 USIM카드나 메모리카드 등의 장착 여부,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등 이동 단말기의 특정상태에 대해 사용자에게 정상작동 여부를 알려준다. 기능의 다양화에 따라 복수개의 표시램프(200)가 필요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이동 단말기의 공간의 제약 문제와 충돌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이 다른 복수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를 하나의 표시램프(200)에 실장하고, 색상에 따라 다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The
표시램프(200)는 크기, 내구성, 휘도 등을 고려할 때 발광소자(201, 202, 203)(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할 수 있다. 발광소자(201, 202, 203)는 빛의 세기가 큰 편이라 표시램프(200)로부터 사출되는 빛이 상기 투광부(106a)를 통과할 때, 점광원 형태 그대로 빛이 사출된다. The
점광원 형태로 사출되면 표시램프(200) 부분만 지나치게 두드러지기 때문에 보다 부드럽게 빛을 만들 필요가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복수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를 이용하는 경우 발광소자(201, 202, 203)의 위치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전면에서 발광소자(201, 202, 203)에 따라 빛이 사출되는 위치가 차이가 나게 된다. When the light is emitted in the form of a point light source, only a portion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투광부(106a)를 통해 사출되는 빛이 점광원으로 보이지 않고 투광부(106a) 전체에 균일하게 빛이 퍼져서 사출되도록 하기 위해 화이트 레이어(210)를 이용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화이트 레이어(210)는 투광부(106a)와 표시램프(200) 사이에 위치하는 산란층으로서 산란을 위해 백색의 박형부재이다. 화이트 레이어(210)는 투광부(106a)의 배면에 흰색으로 인쇄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별도의 시트 형상으로 된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전자의 경우 좁은 면적에 인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쇄 두께에 편차가 생길 수 있어 투과율에 편차가 생긴다. 또한, 화이트 인쇄로 인해 전면에 베젤(106)영역과 시각적으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균일한 투광도를 갖는 화이트 색상의 시트를 삽입하여 균일한 투과율로 표시램프(200)의 빛을 사출할 수 있다. In the former case, since the printing is performed in a small area, there may be a variation in the printing thickness, thereby causing a variation in the transmittance. In addition, white printing may cause visual differences with the
화이트 레이어(210)는 투명 필름에 화이트 인쇄를 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화이트 인쇄는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1회만 얇게 형성한다. 빛의 투과도를 고려할때, 약 1μm이상 10μm이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The
화이트 레이어(210)를 통과한 빛은 세기는 약해지나, 산란되어 투광부(106a) 전체에 균일하게 빛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발광소자(201, 202, 203)의 위치 차가 있더라도 사용자는 그 차이를 인식할 수 없고,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화이트 레이어(2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램프홀(1011)은 단차부(1012)를 구비할 수 있다. 단차부(10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06a) 쪽이 더 좁게 형성될 수도 있고, 표시램프(200) 쪽이 더 좁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화이트 레이어(210)를 단차부(1012)의 단턱에 안착시켜 작은 사이즈의 화이트 레이어(210)가 안정적으로 램프홀(101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표시램프의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사출되도록 빛을 산란시켜 표시램프의 빛이 너무 튀지 않고 부드럽게 사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light is scattered so that the point light source of the display lamp is emitted to the surface light source, and thus the light of the display lamp may be emitted without being too splash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나의 표시램프에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부착하여 다양한 상태를 표시할 때, 발광소자의 위치에 따라 다른 위치에서 빛이 사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attached to one display lamp to display various state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light is emitted from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hav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101, 102, 103: 케이스
105: 글래스 윈도우 106: 베젤
1011: 램프홀 1012: 단차부
121: 카메라 122: 마이크
131, 132, 133: 사용자 입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52: 음향 출력부 116: 안테나
170: 인터페이스 200: 표시램프
210: 화이트 레이어 201, 202, 203: 발광소자100:
105: glass window 106: bezel
1011: lamp hole 1012: stepped portion
121: camera 122: microphone
131, 132, and 133: user input unit 151: display unit
152: sound output unit 116: antenna
170: interface 200: display lamp
210:
Claims (7)
상기 관통창을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하는 글래스 윈도우;
상기 글래스 윈도우의 배면 둘레에 형성되어 빛의 투과를 차단는 베젤;
상기 베젤에 형성되고 상기 베젤과 동일한 색상이고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
상기 투광부를 향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표시램프; 및
상기 투광부와 상기 표시램프 사이에 배치된 화이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case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therein and a through-window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 glass window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to cover the through window;
A bezel formed around a rear surface of the glass window to block light transmission;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med on the bezel and transmitting the same color as that of the bezel;
A display lamp disposed inside the case towar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And a whi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light projector and the display lamp.
상기 표시램프는,
서로 상이한 색을 사출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가 상기 투광부를 향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lamp,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emitting different colors to the light transmitting part.
상기 화이트 레이어는,
상기 표시램프와 상기 투광부 사이에 위치하며, 투명 필름에 화이트 인쇄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white layer is,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between the display lamp and the light-transmitting unit and is white printed on a transparent film.
상기 화이트 인쇄는
약 1μm이상 10μm이하의 두께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3,
The white printing is
A mobile terminal, which is printed with a thickness of about 1 μm or more and 10 μm or less.
상기 투광부는 상기 글래스 윈도우의 상기 케이스와 결합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투광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램프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홀 단부에 상기 표시램프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as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glass window,
The case further includes a lamp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display lamp is coupled to an end of the lamp hole.
상기 램프홀은 홀 내부의 단면 크기가 변화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이트 레이어의 둘레는 상기 단차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lamp hole includes a step por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ize inside the hole is changed,
The circumference of the white layer is coupled to the stepped mobile terminal.
상기 투광부는
스모그 인쇄 방법으로 색상을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is implemented by the smog printing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5692A KR101978208B1 (en) | 2012-08-06 | 2012-08-06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5692A KR101978208B1 (en) | 2012-08-06 | 2012-08-06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19541A true KR20140019541A (en) | 2014-02-17 |
| KR101978208B1 KR101978208B1 (en) | 2019-08-28 |
Family
ID=502669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856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8208B1 (en) | 2012-08-06 | 2012-08-06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78208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134724A (en) | 2017-06-09 | 2018-12-19 | 권문찬 | Cover for mobile terminal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33278A (en) * | 2008-09-19 | 2010-03-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
| KR20100086669A (en) * | 2009-01-23 | 2010-08-02 |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 Luminous patter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1134301B1 (en) * | 2005-02-28 | 2012-04-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s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using thereof |
-
2012
- 2012-08-06 KR KR1020120085692A patent/KR10197820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34301B1 (en) * | 2005-02-28 | 2012-04-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s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using thereof |
| KR20100033278A (en) * | 2008-09-19 | 2010-03-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
| KR20100086669A (en) * | 2009-01-23 | 2010-08-02 |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 Luminous patter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134724A (en) | 2017-06-09 | 2018-12-19 | 권문찬 | Cover for mobi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78208B1 (en) | 2019-08-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85392B1 (en) | Mobile terminal | |
| US9064643B2 (en) | Mobile terminal | |
| US9362639B2 (en) | Audio jack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 KR102468709B1 (en) |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key module | |
| US10915155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ate of terminal | |
| KR101474459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978211B1 (en) | Mobile terminal | |
| KR20130105166A (en) | Mobile terminal | |
| KR20160041300A (en) | Mobile terminal | |
| KR101561906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939293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586307B1 (en) | Touch pad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 KR101978208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951415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622653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2029240B1 (en) | Mobile terminal | |
| KR20140045117A (en) | Mobile terminal | |
| KR101608781B1 (en) | Mobile terminal | |
| KR20140021929A (en) | Mobile terminal | |
| KR101529926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622684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931942B1 (en) | Mobile terminal | |
| CN209928185U (en) | Backlight and Display Device | |
| KR101938663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502008B1 (en) |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5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