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540A - Mobile phone holder pocket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holder poc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2540A KR20140022540A KR1020120088699A KR20120088699A KR20140022540A KR 20140022540 A KR20140022540 A KR 20140022540A KR 1020120088699 A KR1020120088699 A KR 1020120088699A KR 20120088699 A KR20120088699 A KR 20120088699A KR 20140022540 A KR20140022540 A KR 201400225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phone holder
- holder pocket
- door trim
- car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6322 Feeling abnormal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4—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을 자동차 도어트림의 수납부에 결합시키고, 휴대폰 홀더 포켓의 수납공간에 휴대폰을 끼워 넣으면, 탄성력을 가진 볼이 휴대폰을 양측에서 밀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is installed on the car door trim, 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housing of the car door trim,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ball having elasticity Since the cell phone is pushed from both sides, the cell phone can be stably suppor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 홀더 포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수납부에 결합되고, 탄성력을 가진 볼 사이에 휴대폰을 끼워 넣음으로써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more specifically, a mobile phone which is coupled to the housing of the car door trim and is installed on the car door trim that can stably support the mobile phone by sandwiching the mobile phone between balls having elastic force. Relates to a holder pocket.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자동차 탑승 후 휴대폰을 조수석에 올려 놓거나, 운전석 우측의 컵홀더에 넣어 놓는다. 하지만 아무렇게나 휴대폰을 내려 놓으면, 주행 중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휴대폰이 떨어지거나, 컵홀더 내에서 진동에 의해 흔들리면서 소음을 발생시킨다.Generally, the driver places the cell phone in the passenger seat after the vehicle is put in the cup holder on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However, if the mobile phone is put down anyway, the mobile phone may drop in a special environment while driving, or may be shaken by vibration in the cup holder to generate noise.
한편 도7에 도시된 것처럼 자동차 도어트림에 마련된 손잡이 겸용 수납부(31)에 휴대폰(1)을 넣어두는 운전자들도 많다. 즉, 도어트림 내측에는 팔을 걸쳐 놓을 수 있는 팔걸이부(3)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팔걸이부(3)에는 윈도우와 사이드미러를 조작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들도 위치하고 있다. 팔걸이부(3) 상부는 팔걸이덮개(30)로 덮여 있으며, 팔걸이덮개(30)의 일정 영역은 도어를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손잡이 겸용 수납부(31)가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수납부(31)에 휴대폰(1)을 넣어두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re are many drivers who put the
하지만 도7에서와 같이 도어트림의 팔걸이부(3)에 마련된 수납부(31)에 휴대폰(1)을 넣어두는 경우에도,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휴대폰(1)이 덜컹거리다보면 수납부(31)에서 빠져나와 운전석 바닥으로 떨어짐으로써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는 경우도 많다.However, even when the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0060191호, 제10-2004-0089269호, 제10-2002-0089209호와 같이 차량내에서 휴대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별도의 휴대폰 거치대는 상당히 고가이며, 특히 휴대폰을 거치시킨 후 이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킬 때 반드시 두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In addition, various technologies for mounting a mobile phone in a vehicle have been proposed,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10-2007-0060191, 10-2004-0089269, and 10-2002-0089209. However, the separate mobile phone holder is quite expensive, and in particular, i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hands must be used when fixing or releasing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트림의 손잡이 겸용 수납부에 안착 결합되고, 탄성을 가진 볼 사이에 휴대폰을 끼움으로써 휴대폰을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seated coupled to the combined handle portion of the door trim, can be fixed simply and stably the mobile phone by sandwiching the mobile phone between the ball with elasticity. The object is to provide a cell phone holder pocket that is installed in a car door tri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은, 상부는 개방되고 내측에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측의 양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 중심을 향하여 복수의 탄성볼이 돌출되어 있고, 자동차 도어트림의 팔걸이덮개에 마련된 수납부에 안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에 마련된 탄성볼 사이에서 휴대폰이 고정될 수 있다.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is installed in the car door tri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on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toward the center of the storage space from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elastic ball of the protruding, by being seated coupled to the housing provided in the armrest cover of the car door trim, the mobile phone can be fixed between the elastic ball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여기서, 상기 팔걸이덮개의 수납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움되는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upling portion which is fitted in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armrest cover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본체부와 탄성볼과 결합부는 서로간에 이음매가 없이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the elastic ball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molded integrally without a joint between each other.
또한 상기 본체부 내측의 일면에는 복수의 탄성볼이 형성되고,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양호한 그립감을 형성하기 위한 그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astic ball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grip portion for forming a good grip feeling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기존의 일반적인 자동차 도어트림의 팔걸이부에 마련된 손잡이 겸용 수납부에 휴대폰을 넣어 놓으면, 휴대폰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주행중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수납부 밖으로 빠져나와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었으나, 본원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을 팔걸이부의 수납부에 설치하면, 탄성을 가진 볼이 휴대폰을 양측에서 밀어 고정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소음 발생이나 떨어질 우려가 없다.First, if you put your cell phone in the handle-and-closing compartment provided in the armrest of the existing car door trim, the cell phone is not fixed, so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vibration while driving or it may come out of the compartment to create a dangerous situation. However, when the cell phone holder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in the storage portion of the armrest portion, since the ball having elasticity can be fixed by pushing the cell phone from both sides, there is no fear of noise or fall.
또한,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거치시키고 고정 또는 해제시킬 때 반드시 두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였지만, 별도의 휴대폰 거치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본원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을 사용하면 한손으로 간편하게 휴대폰을 끼워 넣어 고정시킬 수 있고, 빼낼 때도 한손으로 간편하게 뽑을 수가 있다. 더불어 휴대폰 거치대의 경우 공간상의 제약과 미관을 고려하여 한대만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원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각각의 도어마다 휴대폰 홀더 포켓을 설치하더라도 미관을 해치지 않아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older was inconvenient because the two hands must be used when mounting and fixing or releasing the mobile phone, but even if a separate mobile phone holder is used, 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asily inserted and fixed with one hand. It can be pulled out with one han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holder, it is common to install only one in consideration of space constraints and aesthetics, but 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ccupy a separate space, so even if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is installed in each door, a plurality of mobile phone holders do not harm the aesthetics. Can be used by the user.
또, 본원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에 마련된 탄성볼은 별도의 구성을 본체부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 아니라, 본체부와 탄성볼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이음매가 없다. 따라서 음료수나 물기가 이음매 틈으로 들어가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elastic ball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configured by connecting a separate configuration to the main body, there is no separate seam because the main body and the elastic ball is integrally formed. As a result, there is no contamination of the drink or water into the seam.
그리고 탄성볼이 휴대폰을 눌러 지지할 시 최소한의 접점으로 휴대폰을 눌러주고 있기 때문에 탄성볼에 의한 얼룩이 발생하더라도 최소한의 면적으로 줄여줄 수가 있다.
And because the elastic ball is pressing the mobile phone with the minimum contact point when supporting the mobile phone, even if the stain caused by the elastic ball can be reduced to the minimum area.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과, 휴대폰 홀더 포켓이 안착 결합되는 팔걸이덮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 포켓이 팔걸이덮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 포켓과 팔걸이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트림의 팔걸이부 수납부에 휴대폰을 넣어 놓은 모습을 나타낸 사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and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is installed seating coupled to the car door tri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shown in Figure 1 is coupled to the armrest cover.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oss-section of 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and armrest cover shown in Figure 1 coupled.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is installed in the car door tri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is installed in the car door tri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placed in the armrest storage unit of the conventional car door tri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configurations omitted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ombin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이하 '휴대폰 홀더 포켓'이라 함)과, 휴대폰 홀더 포켓이 결합되는 팔걸이덮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팔걸이덮개의 수납부에 휴대폰 홀더 포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and an armrest cover to which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is installed in an automobile door tri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is coupled to a storage unit.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휴대폰 홀더 포켓(2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납공간(21)이 마련된 본체부(24)와, 본체부(24) 내부의 양측에서 수납공간(2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탄성볼(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휴대폰 홀더 포켓(20)은 자동차 도어트림의 팔걸이부 상단을 덮고 있는 팔걸이덮개(10)의 수납부(11)에 안착 결합된다.1 and 2, the mobile
팔걸이덮개(10)는 팔걸이부에 마련된 다수의 윈도우 제어 스위치, 사이드미러 조절 스위치 등의 내부 구성을 가려주는 장식이며, 또한 팔걸이덮개(10)의 일정 영역에는 도어를 잡아당 길 수 있는 손잡이 겸용 수납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러한 손잡이 겸용 수납부(11)에 휴대폰 홀더 포켓(20)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형태와 크기는 팔걸이덮개(10)의 수납부(11) 안쪽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외측 둘레의 형태와 크기는 팔걸이덮개(10)의 수납부(11) 내주면의 형태 및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휴대폰 홀더 포켓(20)을 수납부(11)에 끼워 넣어 끼워맞춤결합에 의해 고정한다.The shape and size of the cell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20)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크기를 수납부(11)의 크기보다 미세하게 크게 제작하면 휴대폰 홀더 포켓(20)을 수납부(11)에 끼워 넣을 때에 휴대폰 홀더 포켓(20)이 압축되었다가 원상태로 팽창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수납부(11) 내에 끼워맞춤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cell
물론 휴대폰 홀더 포켓(20)과 팔걸이덮개(10)가 서로 물리적으로 걸리도록 함으로써 쉽게 빠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즉 휴대폰 홀더 포켓(20)과 팔걸이덮개(1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3을 참조하면,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저면으로 결합부(2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팔걸이덮개(10)의 수납부(11) 바닥에는 결합공(12)이 형성되어 있어서,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결합부(23)가 수납부(11) 바닥의 결합공(12) 아래로 끼워지면, 결합부(23)의 단턱 구조로 인해 휴대폰 홀더 포켓(20)이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Of course, by holding the mobile
또한 휴대폰 홀더 포켓(20)을 이루고 있는 본체부(24), 탄성볼(22) 및 결합부(23)는 일체로 제작된다. 따라서 본체부(24)와 탄성볼(22)의 사이에 이음매가 없기 때문에 음료수나 빗물 등이 이음매 사이로 투입되어 오염될 우려가 없다. 휴대폰 홀더 포켓(20)을 이루고 있는 본체부(24), 탄성볼(22) 및 결합부(23)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식은 사출, 압출, 프레스 등의 공지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도4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mobile
즉 자동차 도어트림의 팔걸이부에 마련된 수납부(1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20)을 안착 결합시키고, 휴대폰(1)을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수납공간(21)에 끼워 넣은 것이다. 이때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수납공간(21)에는 서로 마주본 상태로 돌출된 복수의 탄성볼(22)이 위치하고 있는데, 휴대폰(1)은 탄성볼(22)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볼(22)은 최외곽 접점 부분이 안쪽으로 눌리게 된다. 하지만 탄성볼(22)이 가지고 있는 복원력에 의해 탄성볼(22)이 양측에서 휴대폰(1)을 밀고 있게 된다.That is, the mobile
따라서 휴대폰 홀더 포켓(20)을 팔걸이부의 수납부(11)에 설치하고,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수납공간(21)에 휴대폰(1)을 끼워 넣으면, 탄력을 가진 탄성볼(22)이 휴대폰(1)을 양측에서 밀어 고정시킬 수가 있어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떨어질 우려가 없다. 즉 기존의 일반적인 자동차 도어트림의 팔걸이부(3)에 마련된 손잡이 겸용 수납부(31)에 휴대폰(1)을 넣어 놓았을 시에는 휴대폰(1)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주행중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수납부(31) 밖으로 빠져나와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었으나, 본원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20)을 팔걸이부의 수납부(11)에 설치하면, 탄성을 가진 볼이 휴대폰(1)을 양측에서 밀어 고정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거나 떨어질 우려가 없다.Therefore, when the cell
또한,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1)을 거치시키고 고정 또는 해제시킬 때 반드시 두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였지만, 별도의 휴대폰 거치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본원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20)을 사용하면 한손으로 간편하게 휴대폰(1)을 끼워 넣어 고정시킬 수 있고, 빼낼 때도 한손으로 간편하게 뽑을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older is inconvenient because the two hands must be used when mounting and fixing or releasing the mobile phone (1), even if you do not install a separate mobile phone holder using the mobi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은 거치할 수 있는 휴대폰(1)의 두께와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즉 휴대폰 홀더 포켓(20)의 수납공간(21) 내에서 탄성볼(22)이 서로를 향해 마주하여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삽입되는 물건의 두께에 따라 탄성볼(22)들의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으므로 두께가 얇은 휴대폰이나 두께가 두꺼운 휴대폰 모두 탄성볼(22)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ll phone holder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cell phone (1) that can be mounted. That is, since the
또한 휴대폰(1)을 완전히 세워 놓거나, 45도 정도 기울여 놓거나, 완전히 기울여 놓더라도 탄성볼(22)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마다 휴대폰을 수납 및 인출하는 사용습관이 달라서 사용자별로 가장 선호하는 휴대폰의 고정각도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기울기 또는 각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즉 휴대폰의 크기와 두께, 그리고 거치시키고자 하는 기울기에 관계 없이 탄성볼(22)들 사이에서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regardless of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mobile phone, and the inclination to be mounted can be fixed between the elastic ball (22).
이때 상대적으로 두꺼운 휴대폰(1)을 휴대폰 홀더 포켓(20)에 끼워 넣어 고정시키더라도, 같은 측면에 위치한 탄성볼(22)들 사이에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탄성볼(22)들 사이의 틈으로 손을 집어 넣으면 휴대폰(1)을 파지할 수가 있고, 이렇게 파지한 휴대폰을 손쉽게 꺼낼 수 있다. 즉, 휴대폰(1)을 고정시키기 위해 행동이나 빼내기 위한 행동 모두가 간편하다.At this time, even if the relatively thick
더불어 휴대폰 거치대의 경우 공간상의 제약과 미관을 고려하여 한대만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원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20)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각각의 도어마다 휴대폰 홀더 포켓(20)을 설치하더라도 미관을 해치지 않아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holder, it is common to install only one in consideration of space constraints and aesthetics, but the mobile
또, 본원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20)에 마련된 탄성볼(22)은 별도의 구성을 본체부(24)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 아니라, 본체부(24)와 탄성볼(22) 그리고 결합부(23)까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이음매가 없다. 따라서 음료수나 물기가 이음매 틈으로 들어가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그리고 탄성볼(22)이 휴대폰(1)을 눌러 지지할 시 탄성볼(22)의 볼구조에 의해 최소면적의 접점으로 휴대폰(1)을 지지하게 되므로 탄성볼(22)과 휴대폰(1)의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서 휴대폰(1)의 수납 및 인출시 힘이 덜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of a mobile phone holder pocket installed on a car door tri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top down; FIG.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20')은 본체부(24) 내측의 한쪽 면에는 복수의 탄성볼(22)이 형성되고 그 한쪽 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양호한 그립감을 형성하기 위한 그립부(26)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 포켓(20')은 앞서 설명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 포켓과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6, the mobile
그립부(26)는 수납공간을 향하는 면이 매끄러운 곡면 또는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미세한 엠보면(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였을 때에 부드러운 느낌(그립감)을 제공하게 된다. 그립부(26)는 탄성볼(2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물론 탄성볼(22)과 그립부(26)의 사이의 간격은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는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Of course, the distance between th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휴대폰
10 : 팔걸이덮개
11 : 수납부
12 : 결합공
20 : 휴대폰 홀더 포켓
21 : 수납공간
22 : 탄성볼
23 : 결합부
24 : 본체부1: Mobile phone
10: armrest cover
11:
12: coupling hole
20: cell phone holder pocket
21: Storage space
22: elastic ball
23: coupling part
24: main body
Claims (3)
상기 본체부 내측의 일면 또는 양측면에 상기 수납공간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복수의 탄성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동차 도어트림의 팔걸이덮개에 마련된 수납부에 안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에 마련된 탄성볼 사이에서 휴대폰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
The main body is open at the top and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on the inside: And
It comprises a plurality of elastic balls protruding toward the receiving space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mobile phone holder pocket is installed on the car door tri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fixed between the elastic ball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by being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armrest cover of the car door trim.
상기 본체부와 탄성볼은 이음매 없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
The method of claim 1,
Cell phone holder pocket is installed on the car door trim,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and the elastic ball is integrally molded without a seam.
상기 본체부 내측의 일면에는 복수의 탄성볼이 형성되고,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양호한 그립감을 형성하기 위한 그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더 포켓.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elastic balls are formed on one surface inside the main body, and a grip part for forming a good grip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8699A KR20140022540A (en) | 2012-08-14 | 2012-08-14 | Mobile phone holder poc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8699A KR20140022540A (en) | 2012-08-14 | 2012-08-14 | Mobile phone holder pocke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22540A true KR20140022540A (en) | 2014-02-25 |
Family
ID=5026842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88699A Ceased KR20140022540A (en) | 2012-08-14 | 2012-08-14 | Mobile phone holder pock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022540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455595B2 (en) | 2014-07-11 | 2016-09-27 | Hyundai Motor Company | Wireless charge system in door pocket of vehicle |
| KR20220036693A (en) * | 2020-09-16 | 2022-03-23 | 주식회사 서연이화 | storage device for armrest of vehicle |
-
2012
- 2012-08-14 KR KR1020120088699A patent/KR2014002254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455595B2 (en) | 2014-07-11 | 2016-09-27 | Hyundai Motor Company | Wireless charge system in door pocket of vehicle |
| KR20220036693A (en) * | 2020-09-16 | 2022-03-23 | 주식회사 서연이화 | storage device for armrest of vehic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D517673S1 (en) | Chemical receptacle for a chemical diffusing apparatus | |
| USD572069S1 (en) | Automotive center console arm rest cover | |
| USD510618S1 (en) | Body for a portable home comfort appliance | |
| CN105246738A (en) | Pivotable reclining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 |
| JP2005112332A (en) | Drink container holder for vehicle | |
| USD563868S1 (en) | Housing for a charging device | |
| US20080143677A1 (en) | Input Device with Integrated Key Plate and Integrated Side Grips | |
| USD500623S1 (en) | Car seat cover | |
| USD519046S1 (en) | Vehicle diagnostic device | |
| KR20140022540A (en) | Mobile phone holder pocket | |
| USD510045S1 (en) | Vehicle diagnostic device | |
| CN108944603B (en) | Press type car cup holder | |
| USD539037S1 (en) | Storage device adapted for insertion between two vehicle seats | |
| KR200445111Y1 (en) | Car Console Armrest | |
| USD519441S1 (en) | Cup holder | |
| CN104290570B (en) | The structure of sunshading board | |
| USD523609S1 (en) | Roll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 |
| CN215803814U (en) | Automobile electronic key protective sleeve | |
| KR200475220Y1 (en) | Holder for vehicle | |
| JP3184663U (en) | Mobile device | |
| JP4498763B2 (en) | Cosmetic container | |
| JP5617516B2 (en) | Cup holder | |
| FR3014781A1 (en) | SEAT SHELF FORMING TOUCH SCREEN SUPPORT | |
| KR101559256B1 (en) | swing cupholder in back of a seat for car | |
| JP6555146B2 (en) | Holder device and vehicle sea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7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