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200A - Valve assembly of dual frequency sensitive type - Google Patents
Valve assembly of dual frequency sensitive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8200A KR20140028200A KR1020120093598A KR20120093598A KR20140028200A KR 20140028200 A KR20140028200 A KR 20140028200A KR 1020120093598 A KR1020120093598 A KR 1020120093598A KR 20120093598 A KR20120093598 A KR 20120093598A KR 20140028200 A KR20140028200 A KR 201400282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e piston
- frequency sensitive
- sensitive valve
- valve assembly
- valve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쇽 업소버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의 주파수 영역 또는 작동 유체의 유량에 따라 감쇠력이 변하는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오리피스 홀과 연통되는 제1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제1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부를 상하 구획하는 제1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주파수감응 밸브유닛; 상기 제1 프리 피스톤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유로가 관통 형성되는 내측튜브; 및 상기 내측튜브 내 제2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공간부를 상하 구획하는 제2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assembly in which the damping for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range of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to the shock absorber or the flow rate of the working fluid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in which the orifice hole is formed. A valve housing having a first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rifice hole; A first frequency sensitive valve unit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part and including a first free piston configured to vertically partition the first space part; An inner tu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first free pist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low paths formed therethrough; And a second frequency sensitive valve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part of the inner tube and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free piston configured to vertically partition the second space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시 쇽 업소버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의 주파수 영역 또는 작동 유체의 유량에 따라 감쇠력이 변하도록, 하나의 밸브 하우징 내에 2개의 주파수감응 밸브유닛이 구성되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wo frequency-sensitive valve units are provided in one valve housing so that the damping force varies depending on the frequency range of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to the shock absorber or the flow rate of the working fluid. A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configured.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중에는 차륜을 통해 노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끊임없이 받기 때문에, 차체와 차축 사이에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충격이나 진동이 직접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또한 차체의 불규칙한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In general, since the vehicle constantly receives vibrations or shocks from the road surfac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 shock absorber is install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axle to prevent shock or vibration from being transmitted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thereby improving ride comfort. By suppressing irregular vibrations, driving stability is improved.
이때, 현가장치는 이러한 완충장치를 포함한 차체와 차축 사이의 연결장치를 통칭하며, 이 장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샤시 스프링, 샤시 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 롤링(rolling)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저(stabilizer), 고무 부싱(bushing), 및 컨트롤 암 등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suspension device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axle including such a shock absorber, the device is a shock absorber for controlling the free vibration of the chassis spring, the shock absorber to control the free vibration of the chassis spring, And a stabilizer, rubber bushing, control arm, etc., to prevent rolling.
현가장치 중에서도 특히 쇽 업소버는,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억제, 감쇠하는 역할을 하고, 차체 혹은 프레임과 휠 사이에 장착되며, 특히 차체의 상하 방향 진동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진동을 억제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적재 화물을 보호하고 차체 각부의 동적 응력을 저감시켜 내구 수명을 증가시며, 동시에 스프링 아래 질량의 운동을 억제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확보하고, 또한 관성력에 의한 자세 변화를 억제하여 차량의 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Among the suspension systems, shock absorbers, in particular, serve to suppress and attenuate vibrations from the road surface, and are mounted between the vehicle body or the frame and the wheels, and in particular, by absorbing the up and down vibration energy of the vehicle body, the vibration is suppressed and the riding comfort is improved. It also increases the service life by protecting the load and reducing the dynamic stress of each part of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mass under the spring to secure the tire's foldability and also suppresses the change of posture by the inertia force. Improve.
따라서, 쇽 업소버의 감쇠력 특성에 따라 승차감과 조정 안정성을 알맞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 중에는 승차감 향상을 위해 감쇠력이 작을 필요가 있으며, 차량의 급선회시나 고속 주행 중에는 조정 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감쇠력이 클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riding comfort and the adjustment stability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of the shock absorber. That is, the damping force needs to be small in order to improve the riding comfort during normal driving of the vehicle, and the damping force needs to be large in order to improve the adjustment stability during rapid turning of the vehicle or during high speed driving.
도 1은 일반적인 쇽 업소버를 도시한 도면이다.1 shows a typical shock absorb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 업소버(1)는 작동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2)와, 일단은 이 실린더(2)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실린더(2)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3)와, 피스톤 로드(3)의 일단에 장착되어 실린더(2)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밸브(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hock absorber 1 has a
이때, 실린더(2)는 내부관(2a)과 외부관(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관(2a)은 피스톤 밸브(4)에 의해 인장 챔버(C1)와 압축 챔버(C2)로 구획되는데, 피스톤 밸브(4)가 실린더(2) 내에서 상하 왕복 운동할 때, 피스톤 밸브(4)에 형성되어 있는 오리피스(미도시)를 통해 작동 유체가 인장 챔버(C1)로부터 압축 챔버(C2)로, 또는 압축 챔버(C2)로부터 인장 챔버(C1)로 유동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cylinder (2) may comprise an inner tube (2a) and the outer tube (2b), the inner tube (2a) by the piston valve (4) to the tension chamber (C1) and the compression chamber (C2) When the piston valve 4 reciprocates up and down within the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쇽 업소버(1)는, 차체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3)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발생되는 인장 챔버(C1)와 압축 챔버(C2)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로드(3)의 이동 스트로크(stroke)가 크거나 저주파 충격 영역에서는 적절한 감쇠력이 발생하여 진동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지만, 피스톤 로드(3)의 이동 스트로크가 작거나 고주파 충격 영역에서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 1 comprised in this way generate | occur | produces a damping force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tension chamber C1 and the compression chamber C2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according to the linear reciprocation motion of the
즉, 예를 들어 진폭이 작고 진동이 잦은 고주파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인장 챔버(C1)와 압축 챔버(C2)에서 발생되는 압력차가 작기 때문에, 피스톤 밸브(4)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적절한 감쇠력을 얻을 수 없고, 이에 따라 이러한 진동이 완전히 흡수되지 못하고 탑승자에게 전달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된다.That is, for example, when a high amplitude vibration or shock with small amplitude and frequent vibration is applied, since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in the tension chamber C1 and the compression chamber C2 is small, the operation of the piston valve 4 is not smooth. Appropriate damping forces cannot be obtained, and thus these vibrations are not absorbed completely and are transmitted to the occupant, which reduces the ride comfort.
따라서, 충격의 입력 속도뿐만 아니라 주파수 차이에 따라 감쇠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실린더를 상하 구획하는 메인 밸브유닛의 하부에 주파수 감응 밸브장치가 추가 장착된 쇽 업소버가 한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5-0011204호(특허문헌 1) 등에서 공개된 바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amping for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difference as well as the input speed of the shock. For this purpose, a shock absorber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frequency sensitive valve device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valve unit for dividing the cylinder up and down is provided. It has been published in -1995-0011204 (patent document 1) etc.
그런데, 주파수 감응 밸브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쇽 업소버의 경우, 메인 밸브유닛 이외에, 속도 변화에 따라 추가되어 발생하는 압력을 제어하는 수단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 equipped with the frequency sensitive valve devi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no mean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speed change in addition to the main valve unit.
또한, 종래의 주파수 감응 밸브장치는, 프리 피스톤의 상하 양측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프리 피스톤의 승강에 의해 가변유로가 개폐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고주파 영역에서 큰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강성이 낮아야 하는 반면에, 프리 피스톤의 작동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강성이 높아야 할 필요가 있으나, 이들 요구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requency sensitive valve device, springs are provid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ee piston, and the variable flow path is opened and closed by lifting the free piston. However, in order to see a large effect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the rigidity of the spring must be low.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operability of the free piston to be made smoothly, the rigidity of the spring needs to be high,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se requirement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쇽 업소버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의 주파수 영역대별로 다른 감쇠력 특성을 제공하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와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that provides different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for each frequency range of vibration or shock delivered to shock absorber; Rela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쇽 업소버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하여, 고주파, 중주파, 저주파 영역대별로 작동하는 3개의 가변유로를 가진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와 관련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having three variable flow paths that operate in high, medium, and low frequency ranges for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to a shock absorb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압력 감응식 메인 밸브유닛 이외에 서브 밸브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속도 변화에 따라 추가 발생되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와 관련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capable of controlling the additional pressure generated by the speed change by providing a sub valve unit in addition to the pressure sensitive main valve unit.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파수 감응식 밸브에서의 스프링 마찰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와 관련된다.
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spring friction noise in a frequency sensitive val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오리피스 홀과 연통되는 제1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제1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부를 상하 구획하는 제1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주파수감응 밸브유닛; 상기 제1 프리 피스톤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유로가 관통 형성되는 내측튜브; 및 상기 내측튜브 내 제2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공간부를 상하 구획하는 제2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housing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rifice hole formed piston rod, the first space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orifice hole formed therein; A first frequency sensitive valve unit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part and including a first free piston configured to vertically partition the first space part; An inner tu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first free pist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low paths formed therethrough; And a second frequency sensitive valve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part in the inner tube and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free piston configured to vertically partition the second space part.
여기서, 상기 제1공간부 하단에 결합되며, 압축 오리피스와 인장 오리피스가 관통 형성되는 서브 밸브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ub-valve un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pace portion, the compression orifice and the tension orifice is further formed.
이때,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상기 제2 프리 피스톤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는 제1가변유로와 제2가변유로가 상하 서로 이격하여 관통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variable flow path and the second variable flow path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econd free pisto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또한, 상기 제1 프리 피스톤은 상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2 프리 피스톤은 상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In addition, the first free pist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pair of first spring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second free pist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pair of second spring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이때,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계수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coefficients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에 의하면, 밸브 하우징 내에 제1 주파수감응 밸브유닛과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이 함께 구비됨으로써, 고주파, 중주파, 저주파 영역대별로 각기 다른 가변유로가 작동하여, 감쇠력 특성 극대화와 함께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equency sensitive valve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sensitive valve unit are provided together in the valve housing, thereby varying each of the high frequency, mid frequency, and low frequency ranges. By operating the flow path,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are maximized and the riding comfort is improved.
또한, 속도 변화에 따라 추가 발생되는 압력을 서브 밸브유닛을 통해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승차감이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generated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speed chang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sub-valve unit, the riding comfort is improved.
아울러, 원뿔대형 코일스프링의 적용에 의해, 주파수 감응식 밸브에서의 스프링 마찰음이 방지되므로, 감성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the application of the truncated coil spring, the spring friction noise in the frequency-sensitive valve is preven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nsitivity quality is improved.
도 1은 일반적인 쇽 업소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고주파 입력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중주파 입력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저주파 입력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ypical shock absorbe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high frequency inpu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dium frequency inpu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low frequency input.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0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zero compon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titute the claims. Embodiments that include a substitutable component as an equivalent in the element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이하, '밸브 조립체')(100)는 피스톤 로드(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주파수감응 밸브유닛(300,500)과 서브 밸브유닛(600)이 상하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hereinafter,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100)는, 피스톤 로드(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200), 밸브 하우징(200) 내 제1공간부(210)에 설치되는 제1 주파수감응 밸브유닛(300)과 내측튜브(400), 내측튜브(400) 내 제2공간부(410)에 설치되는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500)을 포함하며, 밸브 하우징(200)의 제1공간부(210) 하단에 결합되는 서브 밸브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밸브 조립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피스톤 로드(10)의 외주면에 메인 밸브유닛(700)이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피스톤 로드(10)는 오일 등 작동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20) 내에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왕복 운동하며, 내부에는 밸브 하우징(200)의 제1공간부(210)와 연통하도록 오리피스 홀(11)이 형성된다.Here, the
그리고, 메인 밸브유닛(700)은, 그 외주면이 실린더(2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실린더(20) 내부를 인장 챔버(21)와 압축 챔버(22)로 상하 구획하는 밸브 몸체(710)와, 밸브 몸체(7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압축 유로(711)와 인장 유로(712), 및 밸브 몸체(7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리프 밸브(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또한, 밸브 하우징(200)은 내부에 제1공간부(210)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서, 상단에는 압입 또는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피스톤 로드(10)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결합홀(221)을 가진 결합부(220)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은 개방된다.In addition, the
이때, 밸브 하우징(200)의 내주면에는 외측튜브(230)가 압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외측튜브(230)의 외주면과 밸브 하우징(200)의 내주면이 서로 밀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밸브 하우징(200)의 제1공간부(210)에 제1 주파수감응 밸브유닛(300)과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500)이 설치되는데, 제1 주파수감응 밸브유닛(300)은 제1공간부(210)를 상하 구획하는 제1 프리 피스톤(310)과, 제1 프리 피스톤(310)의 상하 양측에 각각 개재되어 제1 프리 피스톤(310)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스프링(320)을 포함한다.The first frequency
이때, 제1 프리 피스톤(310)은 관통공(311a)이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중앙부(311)와, 중앙부(31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312)와, 경사부(312)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여기서, 접촉부(313)는 밸브 하우징(200)의 내주면, 또는 외측튜브(230)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승강하게 되므로, 마모 방지와 실링(sealing)을 위해 접촉부(313)의 외주면에 링 형상의 고체 윤활재(314)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테프론(teflon) 등의 고체 윤활재(314)가 접촉부(313)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313a)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제1스프링(320)은 신장·압축시 권선 간 충격 또는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자유장 추가 확보를 위해,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넓은 원뿔대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 경우, 제1 프리 피스톤(310) 상측의 제1스프링(320)은 폭이 넓은 상단이 제1공간부(210)의 천장에 지지되고 폭이 좁은 하단이 중앙부(311) 상측면에 지지되며, 제1 프리 피스톤(310) 하측의 제1스프링(320)은 폭이 넓은 상단이 접촉부(313) 저면에 지지되고, 폭이 좁은 하단이 후술하는 결합핀(660)의 상측에 지지되어, 제1 프리 피스톤(310)을 상하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제1 프리 피스톤(310)은 그 외주면이 외측튜브(230)의 내주면과 밀착함으로써, 제1공간부(210)를 상실(211)과 하실(212)로 상하 구획하게 되는데, 제1 프리 피스톤(310)의 승강에 의해 제1공간부(210)의 상실(211)과 하실(212)을 연통하는 저주파 가변유로(240)가 개폐된다.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이를 위해, 외측튜브(230)의 내주면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31)가 형성되고, 돌출부(231)의 상측과 하측은 외측으로 경사져서 폭이 넓어지며, 제1 프리 피스톤(310)은 초기에 접촉부(313)의 외주면이 외측튜브(230)의 돌출부(231)에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별도로 외측튜브(230)를 결합하지 않고, 밸브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돌출부(231)를 형성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o this end,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때, 차량 주행중 진폭이 큰 저주파의 충격이 쇽 업소버로 전달되어 제1 프리 피스톤(310)의 접촉부(313)가 돌출부(231)를 벗어나게 되면, 제1 프리 피스톤(310)의 외주면과 외측튜브(230)의 내주면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인 저주파 가변유로(240)를 통해 상실(211)의 작동유체가 하실(212)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when a low-frequency shock having a large amplitude while driving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shock absorber and the
제1 프리 피스톤(310)의 관통공(311a)을 관통하도록 제1공간부(210)에 내측튜브(400)가 설치된다. 이때, 내측튜브(400)의 상단이 결합홀(22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지지됨으로써, 피스톤 로드(10)의 오리피스 홀(11)은 내측튜브(400) 내부의 제2공간부(410)로 연통하게 된다. 또한, 내측튜브(400)의 하단은 후술하는 결합핀(660)의 상측면에 지지되며, 내측튜브(400)의 외주면을 제1 프리 피스톤(310)과 제1스프링(320)이 둘러싸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The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500)은 내측튜브(400) 내부의 제2공간부(410)에 설치되며, 제2공간부(410)를 상하 구획하는 원판 형태의 제2 프리 피스톤(510)과, 제2 프리 피스톤(510)의 상하 양측에 개재되어 제2 프리 피스톤(5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스프링(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frequency
여기서, 제2 프리 피스톤(510)은 그 외주면이 내측튜브(40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제2공간부(410)를 상하 구획하며 이하, 제2 프리 피스톤(510)에 의해 구획된 제2공간부(410)의 상측 공간을 '상측실(411)', 하측 공간을 '하측실(412)'이라 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이때, 내측튜브(400)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제1가변유로(420)와 제2가변유로(430)가 관통 형성된다. 이들 가변유로(420,430)가 제2공간부(410)로 입력되는 충격이나 진동의 주파수 영역에 따라 제2 프리 피스톤(510)의 승강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제2공간부(410) 상측실(411)의 작동 유체가 제1공간부(210)의 상실(211)로, 또는 제2공간부(410) 하측실(412)의 작동 유체가 제1공간부(210)의 하실(212)로 유동하면서 감쇠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그리고, 제2 프리 피스톤(510)을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520)은, 제1 프리 피스톤(310)을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320)에 비해 탄성계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격이나 진동의 주파수 영역에 따라,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500)이 작동하거나, 또는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500)과 함께 제1 주파수감응 밸브유닛(300)이 작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한편, 서브 밸브유닛(600)은 제1공간부(210)의 하단에 결합되며, 밸브 본체(610)와, 밸브 본체(6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인장 오리피스(621) 및 압축 오리피스(6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작동 유체가 이들 오리피스(621,6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쇠력이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밸브 본체(610)는 압입 또는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밸브 하우징(200)의 제1공간부(210) 하단에 결합되며, 밸브 본체(610)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압축 오리피스(622)와 인장 오리피스(621)를 개폐하는 다판 디스크(630)가 리테이너(640) 및 와셔(650)와 함께 구비된다. 이때, 다판 디스크(630)와 리테이너(640) 및 와셔(650)는 결합핀(660)에 의해 밸브 본체(610)에 고정된다.Here, the
이하, 충격이나 진동의 주파수 영역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100)의 작동 상태를 인장 행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dual frequency
도 3은 고주파 입력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high frequency input.
차량 주행중 진폭이 낮은 고주파의 잔 진동이 쇽 업소버로 전달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10)의 작동 스트로크(stroke)가 작기 때문에, 오리피스 홀(11)을 통해 제2공간부(410)의 상측실(411)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도 적다.When the high frequency residual vibration with low amplitude is transmitted to the shock absorber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the upper stroke of the
따라서, 제2 프리 피스톤(510)은 제1가변유로(420)를 폐쇄한 상태로 내측튜브(400) 내에서 습동하며, 하측실(412)의 작동 유체는 제2가변유로(430)를 통해 하실(212)로 유동한다.Accordingly, the second
이때, 작동 유체가 오리피스 홀(11)을 통과하여 상측실(411)로 유입된 후, 제2 프리 피스톤(510)을 가압하여 제2스프링(520)을 탄성 변형시키고, 하측실(412)의 작동 유체가 제2가변유로(430)를 통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감쇠력이 발생하여 잔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after the working fluid flows through the
도 4는 중주파 입력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dium frequency input.
차량 주행중 앞서 설명한 고주파보다 낮은 주파수 영역대인 중주파가 입력되는 경우, 고주파 입력보다는 진폭이 커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리 피스톤(510)에 의해 제1가변유로(420)가 개방된다.When the middle frequency, which is a frequency range lower than the high frequency described above, is input while driving the vehicle, since the amplitude is larger than that of the high frequency input, the first
다만, 제1 프리 피스톤(310)에 의한 저주파 가변유로(240, 도 5 참조)의 개방은 없으며, 제1 프리 피스톤(310)이 외측튜브(230)의 돌출부(231)와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약간씩 습동함에 따라 제1스프링(320)에 탄성 변형이 발생한다.However, there is no opening of the low frequency variable flow path 240 (refer to FIG. 5) by the first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0)의 오리피스 홀(11)을 통해 제2공간부(410)의 상측실(411)로 어느 정도 이상 유량의 작동 유체가 유입되면, 그 압력에 의해 제2 프리 피스톤(510)이 하강하여 제1가변유로(420)가 개방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a working fluid of a certain flow rate flows into the
개방된 제1가변유로(420)를 통해 작동 유체가 상측실(411)에서 상실(211)로 유입되면, 유입 압력에 의해 제1 프리 피스톤(310)이 습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1 프리 피스톤(310)은 그 외주면이 외측튜브(230)의 돌출부(231)와 밀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따라서 저주파 가변유로(240)의 개방은 이루어지지 않는다.When the working fluid flows from the
한편, 이때의 감쇠력은 주로 제1 프리 피스톤(310)의 습동에 따른 제1스프링(3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영향받게 되며, 제2스프링(520)의 탄성 변형에 의한 잔 진동 저감 효과와 함께, 제1스프링(320)의 탄성계수가 제2스프링(520)의 탄성계수보다 커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고주파 입력에 비해 더 큰 감쇠력이 발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amping force at this time is mainly affect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도 5는 저주파 입력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low frequency input.
차량 주행중 앞서 설명한 중주파보다 진폭이 큰 저주파의 진동이나 순간적으로 큰 충격이 쇽 업소버로 전달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10)의 작동 스트로크가 상승하며, 제2 프리 피스톤(510)의 습동량도 증가하게 된다.If the low frequency vibration or instantaneous large shock transmitted to the shock absorber while driving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shock absorber, the operating stroke of the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0)의 오리피스 홀(11)을 통해 제2공간부(410)의 상측실(411)로 작동 유체가 유입되면, 그 압력에 의해 제2 프리 피스톤(510)이 하강하여 제1가변유로(420)가 개방되며, 제2가변유로(430)는 제2 프리 피스톤(510)에 의해 폐쇄된다.At this time, when the working fluid flows into the
개방된 제1가변유로(420)를 통해 상측실(411)에서 상실(211)로 빠져나온 작동 유체는 제1 프리 피스톤(310)을 가압하여 하강시키며, 제1 프리 피스톤(310)의 외주면과 외측튜브(230)의 내주면 사이 간극으로 형성되는 저주파 가변유로(240)를 통해 하실(212)로 유동한다.The working fluid exiting the
하실(212)로 유동한 작동 유체는 서브 밸브유닛(600)의 인장 오리피스(621)를 통해 다판 디스크(630)를 밀어서 밸브 하우징(200) 외부의 압축 챔버(22)로 빠져나가며, 이 과정에서 쇽 업소버의 감쇠력이 상승하고, 차체 거동시 안정감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working fluid flowing to the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100)에 의하면, 쇽 업소버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의 주파수(고주파, 중주파, 저주파) 영역에 따라 각기 다른 감쇠 특성을 나타내게 되며, 이러한 쇽 업소버의 성능 향상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That is, according to the dual frequency
100 : 밸브 조립체 200 : 밸브 하우징
210 : 제1공간부 230 : 외측튜브
240 : 저주파 가변유로 300 : 제1 주파수감응 밸브유닛
310 : 제1 프리 피스톤 320 : 제1스프링
400 : 내측튜브 410 : 제2공간부
420 : 제1가변유로 430 : 제2가변유로
500 :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 510 : 제2 프리 피스톤
520 : 제2스프링 600 : 서브 밸브유닛
700 : 메인 밸브유닛100
210: first space portion 230: outer tube
240: low frequency variable flow path 300: the first frequency response valve unit
310: first free piston 320: first spring
400: inner tube 410: second space part
420: first variable flow path 430: second variable flow path
500: second frequency sensitive valve unit 510: second free piston
520: second spring 600: sub-valve unit
700: main valve unit
Claims (5)
상기 제1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부를 상하 구획하는 제1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주파수감응 밸브유닛;
상기 제1 프리 피스톤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유로가 관통 형성되는 내측튜브; 및
상기 내측튜브 내 제2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공간부를 상하 구획하는 제2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주파수감응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
A valve housing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iston rod having an orifice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first space portion communicating therewith;
A first frequency sensitive valve unit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part and including a first free piston configured to vertically partition the first space part;
An inner tu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first free pist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low paths formed therethrough; And
And a second frequency sensitive valve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part of the inner tube and including a second free piston configured to vertically partition the second space part.
상기 제1공간부 하단에 결합되며, 압축 오리피스와 인장 오리피스가 관통 형성되는 서브 밸브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b-valve uni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space and having a compression orifice and a tension orifice penetrating therethrough.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상기 제2 프리 피스톤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는 제1가변유로와 제2가변유로가 상하 서로 이격하여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tube, the first variable flow path and the second variable flow path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lifting of the second free piston is formed through th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상기 제1 프리 피스톤은 상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2 프리 피스톤은 상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ree pist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pair of first spring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second free pist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pair of second spring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계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감응식 밸브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4,
Dual frequency sensitive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93598A KR101539490B1 (en) | 2012-08-27 | 2012-08-27 | Valve assembly of dual frequency sensitive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93598A KR101539490B1 (en) | 2012-08-27 | 2012-08-27 | Valve assembly of dual frequency sensitive typ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28200A true KR20140028200A (en) | 2014-03-10 |
| KR101539490B1 KR101539490B1 (en) | 2015-07-24 |
Family
ID=5064166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935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9490B1 (en) | 2012-08-27 | 2012-08-27 | Valve assembly of dual frequency sensitive typ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39490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82720A (en) * | 2014-12-26 | 2016-07-11 | 주식회사 만도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and pressure unit |
| CN112360912A (en) * | 2019-11-27 | 2021-02-12 | 浙江万向马瑞利减震器有限公司 | Shock absorber with FRD valve |
| KR20220164850A (en) * | 2021-06-04 | 2022-12-14 | 이즈텍(주) | Variable damp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918258B2 (en) * | 1989-12-12 | 1999-07-12 |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 Variable damping force type shock absorber |
| JP2572022Y2 (en) * | 1991-01-09 | 1998-05-20 |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 Variable damping force type shock absorber |
| KR0127882B1 (en) * | 1994-06-30 | 1998-04-10 | 정몽원 | Hydraulic Shock Absorber |
| JP2009079710A (en) * | 2007-09-26 | 2009-04-16 | Showa Corp | Damping force adjustment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
-
2012
- 2012-08-27 KR KR1020120093598A patent/KR1015394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82720A (en) * | 2014-12-26 | 2016-07-11 | 주식회사 만도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and pressure unit |
| CN112360912A (en) * | 2019-11-27 | 2021-02-12 | 浙江万向马瑞利减震器有限公司 | Shock absorber with FRD valve |
| KR20220164850A (en) * | 2021-06-04 | 2022-12-14 | 이즈텍(주) | Variable damp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39490B1 (en) | 2015-07-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50078B1 (en) | Piston valve of shock absorber | |
| KR20140022583A (en) |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 |
| KR101375804B1 (en)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and pressure unit | |
| KR101771682B1 (en)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 |
| US9541153B2 (en) |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 |
| KR101254233B1 (en) | Valve structure of a shock absorber | |
| US9291231B2 (en) |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 |
| KR101254287B1 (en) | Valve structure having variable flow valve of a shock absorber | |
| US9611915B2 (en) |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 |
| JP2012517925A (en) | Active suspension system and fluid pressure driven ram for use in the active suspension system | |
| KR20140028200A (en) | Valve assembly of dual frequency sensitive type | |
| KR101756425B1 (en)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 |
| KR20120030747A (en) | Piston valve assembly for shock absorber | |
| KR102838972B1 (en) |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 |
| KR101756424B1 (en)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 |
| KR101350093B1 (en) | Piston valve of shock absorber | |
| KR20120134783A (en) |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 |
| KR101744308B1 (en)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 |
| KR101662223B1 (en)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 |
| KR20150018107A (en)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 |
| KR960004424Y1 (en) | Damping valve of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 |
| KR20120030278A (en) | Piston valve assembly for shock absorber | |
| KR101337856B1 (en) |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 |
| KR20210140940A (en) |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 |
| KR20150137619A (en) |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9-X000 |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9-oth-X000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7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72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