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831A -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3831A KR20140033831A KR1020120100219A KR20120100219A KR20140033831A KR 20140033831 A KR20140033831 A KR 20140033831A KR 1020120100219 A KR1020120100219 A KR 1020120100219A KR 20120100219 A KR20120100219 A KR 20120100219A KR 20140033831 A KR20140033831 A KR 201400338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rylic
- meth
- weight
- impact modifier
- acry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 구분 | 실시 예1 |
실시 예2 |
실시 예3 |
실시 예4 |
실시 예5 |
비교 예1 |
비교 예2 |
비교 예3 |
비교 예4 |
비교 예5 |
비교 예6 |
비교예 7 | |
| 고무성 코어 | BA | 63 | 63 | 63 | 73 | 63 | 43.6 | 61 | 63 | 63 | 83 | ||
| 2-EHA | 10 | ||||||||||||
| LA | 20 | 20 | 20 | 10 | 10 | 10 | 20 | 20 | 20 | ||||
| (PEG)6DMA | 1 | 2 | 1 | 1 | 0.7 | 3 | 1 | 1 | 1 | ||||
| AMA | 1 | 2 | 1 | 1 | 0.7 | 2 | 1 | 1 | 1 | ||||
| 부타디엔 코어 |
80 | ||||||||||||
| 쉘 | MMA | 10 | 10 | 10 | 10 | 10 | 35 | 10 | 10 | 10 | 15 | 15 | |
| 2-EHMA | 5 | ||||||||||||
| LMA | 5 | 5 | 5 | 5 | 10 | 5 | 5 | 5 | 5 | ||||
| 고무함량(wt%) (기준 60-90) |
85 | 85 | 85 | 85 | 85 | 55 | 85 | 85 | 85 | 85 | 80 | ||
| 팽윤 지수 (기준 3-8) |
4.5 | 7.0 | 3.5 | 5.5 | 4.0 | 6.1 | 2.0 | 5.1 | 5.9 | 6.0 | 5.3 | ||
| 평균 입경(nm) (기준70-250nm) |
130 | 140 | 120 | 135 | 132 | 130 | 150 | 300 | 50 | 132 | 200 | ||
| 헤이즈 (기준 5 이하) |
2.9 | 3.8 | 2.5 | 3.0 | 2.8 | 3.0 | 3.2 | 6.0 | 2.3 | 5.5 | 12 | 80 | |
| 몰드 이형성 (기준 4 이상) |
5 | 4 | 5 | 4 | 5 | 2 | 4 | 5 | 2 | 3 | 4 | 4 | |
| Izod 충격강도 (kg.f.cm/cm2) (기준 7 이상) |
16 | 18 | 12 | 14 | 15 | 3.7 | 4.8 | 10 | 4.9 | 6.5 | 20 | 9 | |
| Fall dart 충격강도(J) (기준 30 이상) |
48 | 43 | 38 | 44 | 47 | 15 | 19 | 38 | 16 | 22 | 52 | 28 | |
Claims (18)
- 아크릴계 코어 및 상기 아크릴계 코어를 감싸는 아크릴계 쉘로 구성된 충격보강제로서,
상기 아크릴계 코어와 아크릴계 쉘은 각각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평균 입경은 70 내지 250 nm이고, 팽윤 지수가 3 내지 10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코어는 코어를 이루는 전체 단량체 총 중량 기준으로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를 5 내지 60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쉘은 쉘을 이루는 전체 단량체 총 중량 기준으로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를 5 내지 60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는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코어는 (메트)아크릴산 알릴 에스테르계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공단량체를 코어를 이루는 전체 단량체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은 화학식 A-(CH2-CH2-O)n-A로 나타내며, 상기에서 A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이고, n은 3 내지 14의 정수이며, 중량평균분자량(Mn)은 200 내지 10,000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코어는 탄소수가 7 이하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단량체 37 내지 94.9 중량%,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 5 내지 60 중량%, 및 (메트)아크릴산 알릴 에스테르계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공단량체 0.1 내지 3 중량%; 를 중합시킨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쉘은 상기 아크릴계 코어에 탄소수가 7이하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단량체 40 내지 95 중량%, 및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 5 내지 60 중량%; 를 중합시킨 아크릴계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7 이하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라텍스는 산, 염 혹은 고분자 응집에 의해 평균 입경 70 내지 250 nm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아크릴계 코어 60 내지 90 중량% 및 아크릴계 쉘 10 내지 40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수분 제거된 폴리유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 (a) 탄소수 7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 37 내지 94.9 중량%;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 5 내지 60 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알릴 에스테르계 화합물과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공단량체 0.1 내지 3 중량%;를 첨가하고 중합을 수행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코어 60 내지 90중량부의 존재하에, 탄소수 7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 40 내지 95중량%; 및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 5 내지 60 중량%; 를 첨가하고 그라프트 중합을 수행하여 코어-쉘 구조를 갖는 라텍스를 수득하는 단계, 및
(c)상기 라텍스를 산, 염 혹은 고분자 응집하여 평균 입경 70 내지 250 nm이고 팽윤 지수가 3 내지 10 범위 내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폴리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은 탈수 상태로 적용하며, 여기에 활제 0.01 내지 2 중량부와 열 안정제 0.01 내지 2 중량부를 폴리유산 100 중량부 기준으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00219A KR101537843B1 (ko) | 2012-09-11 | 2012-09-11 |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00219A KR101537843B1 (ko) | 2012-09-11 | 2012-09-11 |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33831A true KR20140033831A (ko) | 2014-03-19 |
| KR101537843B1 KR101537843B1 (ko) | 2015-07-22 |
Family
ID=506445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00219A Active KR101537843B1 (ko) | 2012-09-11 | 2012-09-11 |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37843B1 (ko)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133827A (ko) * | 2015-05-13 | 2016-1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충격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수지 |
| KR20180028661A (ko) * | 2016-09-09 | 2018-03-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WO2018106486A1 (en) | 2016-12-05 | 2018-06-1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omposition and film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olymer and copolymer comprising long chain alkyl moiety |
| KR20180069421A (ko) * | 2016-12-15 | 2018-06-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에폭시 수지용 충격 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
| WO2021039628A1 (ja) * | 2019-08-23 | 2021-03-04 | 株式会社クラレ | コアシェル架橋ゴム粒子および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
| KR20210028367A (ko) * | 2019-09-04 | 2021-03-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US11286405B2 (en) | 2016-12-05 | 2022-03-2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dhesive article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olymer film and method of making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28637B1 (ko) * | 2000-12-13 | 2004-04-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의 제조방법 |
| KR100870199B1 (ko) * | 2005-07-12 | 2008-11-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층구조의 충격보강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FR2964970B1 (fr) * | 2010-09-22 | 2013-11-01 | Arkema France | Nouveaux modifiants chocs et compositions thermoplastiques renforcees choc |
| KR101408559B1 (ko) * | 2010-11-19 | 2014-06-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충격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2012
- 2012-09-11 KR KR1020120100219A patent/KR101537843B1/ko active Active
Cited B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133827A (ko) * | 2015-05-13 | 2016-1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충격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수지 |
| KR20180028661A (ko) * | 2016-09-09 | 2018-03-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WO2018106486A1 (en) | 2016-12-05 | 2018-06-1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omposition and film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olymer and copolymer comprising long chain alkyl moiety |
| CN110062791A (zh) * | 2016-12-05 | 2019-07-26 | 3M创新有限公司 | 包含聚乳酸聚合物和包含长链烷基部分的共聚物的组合物和膜 |
| EP3548559A4 (en) * | 2016-12-05 | 2020-07-2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OMPOSITION AND FILMS INCLUDING A POLYMER OF POLY (LACTIC ACID) AND A COPOLYMER INCLUDING A LONG CHAIN ALKYL FRACTION |
| CN110062791B (zh) * | 2016-12-05 | 2022-02-11 | 3M创新有限公司 | 包含聚乳酸聚合物和包含长链烷基部分的共聚物的组合物和膜 |
| US11286405B2 (en) | 2016-12-05 | 2022-03-2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dhesive article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olymer film and method of making |
| US12091517B2 (en) | 2016-12-05 | 2024-09-17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omposition and film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olymer and copolymer comprising long chain alkyl moiety |
| KR20180069421A (ko) * | 2016-12-15 | 2018-06-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에폭시 수지용 충격 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
| WO2021039628A1 (ja) * | 2019-08-23 | 2021-03-04 | 株式会社クラレ | コアシェル架橋ゴム粒子および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
| JPWO2021039628A1 (ko) * | 2019-08-23 | 2021-03-04 | ||
| KR20210028367A (ko) * | 2019-09-04 | 2021-03-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37843B1 (ko) | 2015-07-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37843B1 (ko) |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 JP2002363372A (ja) | 重合体組成物 | |
| KR101429801B1 (ko) | 충격강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 |
| KR101339384B1 (ko) | 무광 및 내후성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 KR101219276B1 (ko) | 아크릴계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 CN105008454B (zh) | 制备耐候性增强的丙烯酸酯类树脂的方法 | |
| KR100956392B1 (ko) | 내충격성이 우수한 투명 아크릴계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 KR102024138B1 (ko) | 충격보강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 KR20140108101A (ko) | Pvc 발포 가공조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
| KR101061874B1 (ko) | 내충격성이 우수한 투명 아크릴계수지의 제조방법 | |
| KR20130057035A (ko) | 내후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
| KR101827613B1 (ko) |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 KR20160133830A (ko) |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 KR101351735B1 (ko) | 충격보강제용 mbs계 수지, 이를 포함하여 내습열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 KR101053833B1 (ko) |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 |
| KR101620665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 KR101540542B1 (ko) |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 KR101662370B1 (ko) | 아크릴레이트-공액디엔-방향족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 KR20130082222A (ko) |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 JP2022528145A (ja) | Asa系樹脂組成物、それを含む成形品及びその成形品の製造方法 | |
| KR101717442B1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가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비드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 KR101480588B1 (ko) |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 |
| KR100996822B1 (ko) | 내충격성이 우수한 균일한 크기의 아크릴계수지 입자 제조방법 | |
| KR102726516B1 (ko) |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 KR101123400B1 (ko) | 유동성이 향상된 내충격 폴리메틸메타크릴이트 수지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