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52529A - Indirect sparing system - Google Patents

Indirect spa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529A
KR20140052529A KR1020120118681A KR20120118681A KR20140052529A KR 20140052529 A KR20140052529 A KR 20140052529A KR 1020120118681 A KR1020120118681 A KR 1020120118681A KR 20120118681 A KR20120118681 A KR 20120118681A KR 20140052529 A KR20140052529 A KR 2014005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unch bag
sensor
punch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5185B1 (en
Inventor
조성근
이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미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미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미타
Priority to KR102012011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185B1/en
Publication of KR2014005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5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18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1펀치백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2펀치백과,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1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2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한 타격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는 누적적으로 제1출력 값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타격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는 누적적으로 제2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irect dental system comprising: a base; a first punch bag coupled to the base and having a cushioning material; A first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punch bag and sensing a hit applied to the first punch bag; a second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punch bag and detecting a hit applied to the second punch bag; 2 sensor, a cumulatively first output value that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hit sensed by the first sensor, and a cumulative second output value that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hit sensed by the second sensor And an arithmetic unit which can be calculated.

Description

간접 대련 시스템 {Indirect sparing system}Indirect sparing system

본 발명은 격투기용 간접 대련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irect dueling system for combat sports.

태권도, 합기도, 복싱, 킥복싱 입식의 입식 격투기의 경우에는 훈련 또는 경기의 일환으로서 두 사람이 서로 타격을 주고 받는 형태의 대련이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Taekwondo, Hapkido, boxing, kickboxing In the case of stand-up martial arts combat, there is often a case where a pair of dancers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as part of a training or competition.

이러한 대련의 과정 속에서 양 대련자는 서로 타격을 주고 받기 때문에 항상 부상의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부상의 위험 및 그로 인한 심리적 저항감은 대련의 형식의 훈련 방식의 도입 및 참여 유도에 어려움을 가져 오는 경우가 많다. In the process of this Dalian, both Dalian are exposed to each other and are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injury. The risk of such injuries and the resulting psychological resistance often make it difficult to introduce and participate in the Dalian type of train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격투기를 수련하는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공방을 주고 받지 않더라도 대련 형식의 훈련 또는 경기를 가능하게 해주는 간접 대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indirect Dalian system that enables Dalian-style training or competition, even if the people who practice martial arts do not directly exchange workshop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1펀치백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2펀치백과,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1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2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1출력 값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2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irect dental system comprising: a base; a first punch bag coupled to the base and having a cushioning material; A first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punch bag and sensing a hit applied to the first punch bag; a second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punch bag and detecting a hit applied to the second punch bag; And a second output value that is cumulatively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hit sensed by the second sensor, and a second output value that is increased or decreased cumulatively according to the hit sensed by the second sensor, And an arithmetic unit which can be calculat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은 선수들의 직접적으로 공방을 주고 받지 않더라도 대련 형식의 훈련 또는 경기를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대련 과정에서 상대방의 타격에 따른 부상의 위험 및 이로 인한 심리적 저항감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수련 방법으로서 참여와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The indirect Dalian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Dalian type of training or competition even if the athlete does not directly exchange the worksho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liminate the risk of injury caused by the strike of the opponent in the process of Dalian and the psychological resistance caused by the injury.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attracting interest and participation as a new form of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ndirect dyk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3A and 3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indirect dental system of Fig. 1. Fig.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indirect diving system of FIG. 1. FIG.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direct dental system of Fig. 1.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direct dyk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ndirect Dali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3A, and 3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n indirect Dalian system of FIG.

도 1, 도 2 및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1)은, 베이스부(100), 제1펀치백(200A), 제2펀치백(200B), 제1센서(400A, 401A), 제2센서(400B, 401B),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제2신호 발생부(500B,501B), 제1타격 표시부(600A,110A), 제2타격 표시부(600B,110B), 센서 신호 수신부(40), 제어부(30), 디스플레이(50)를 구비한다. 1, 2 and 3A and 3B, an indirect dental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unit 100, a first punch bag 200A, a second punch bag 200B, The first signal generating units 500A and 501A, the second signal generating units 500B and 501B, the first hitting display units 600A and 110A, the first sensors 400A and 401A, the second sensors 400B and 401B, A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40, a control unit 30, and a display 50. The display unit 50 includes a display unit 50,

베이스부(100)는, 제1펀치백(200A), 제2펀치백(200B)을 지지한다. 베이스부(100)부는 상측에 캡(130)을 구비하는데 그 캡(130)을 열면,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된다.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에는 물 또는 모래를 채워w짐으로써 베이스부(100)에 무게를 무겁게 하며, 제1펀치백(200A) 또는 제2펀치백(200B)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베이스부(100)가 쉽게 움직이거나 제1펀치백(200A), 제2펀치백(200B)과 함께 베이스부(100)가 넘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외부는 사람이 베이스부(100)를 가격하더라도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쿠션을 가지는 소재로 덮여 있을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00 supports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second punch bag 200B. The base portion 100 has a cap 130 on the upper side. When the cap 130 is opened,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10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100 is filled with water or sand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base portion 100.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punch bag 200A or the second punch bag 200B,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irst punching bag 100 from moving easily or the base punchback 200B from being stuck with the first punching bag 200A and the second punching bag 200B. The ou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0 may be covered with a material having a cushion so that a person is not injured even if the base portion 100 is priced.

제1펀치백(200A)은 사용자로부터 타격을 받는 부분으로, 베이스부(100)의 상측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며,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를 구비한다. The first punching bag 200A is a portion to be hit by a user and is vertically dispos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100 and has a body portion 210A and a head portion 220A.

몸통부(210A)는 사람의 몸통에 대응되는 높이 및 길이로 형성되며, 머리부(220A)까지 연장되는 중심축과 그 중심축을 감싸며 쿠션을 제공하는 완충재를 구비한다. The body 210A is formed to have a height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and has a central axis extending to the head 220A and a cushioning material that surrounds the central axis and provides a cushion.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는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코일 스프링(15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결합된다. 도 2는 제1펀치백(200A)의 하측에 스프링이 배치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 참조하면 제1펀치백(200A)과 베이스부(100)의 플레이트(101)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스프링(150)은 몸통부(210A)의 중심축(205)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로 배치된다. 따라서 몸통부(210A)의 중심축(205)의 전후 좌우 방향의 기울어짐은 코일 스프링(150)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몸통부(210A)의 중심축의 단부는 베이스부(100)의 플레이트(101)에 형성된 구멍(103)에 끼워져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하여 몸통부(210A)는 어느 정도 상하 이동이나 전후 좌우의 기울어짐이 가능하면서도, 전후 좌우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21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i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00 by a plurality of coil springs 150 so as to b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00. [ 2 schematically shows a portion where a spring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unch bag 200A.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plate 101 of the base portion 1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prings 150 are disposed symmetrically about the central axis 205 of the body 210A. Therefore, the tilting of the central axis 205 of the trunk portion 210A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150. The end of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210A is fitted in the hole 103 formed in the plate 101 of the base 100. This allows the body 210A to move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tilt leftward and rightward, bu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whole movement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머리부(220A)는 사람의 머리에 대응되도록 몸통부(2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몸통부(210A)로부터 연장되는 중심축(205)의 둘레를 결합되는 완충재를 구비한다. 머리부(220A)는 타격 위치(P1)에 위치한 사람이 좀더 용이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몸통부(210A)보다 타격 위치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head portion 220A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210A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ad of a person and has a cushioning member which is engaged around the center axis 205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210A. The head part 220A may b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body part 210A toward the striking position so that a person located in the striking position P1 can be more easily struck.

제2펀치백(200B)은 베이스부(100)의 중심으로 제1펀치백(200A)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제2펀치백(200B)의 구체적인 형태는 제1펀치백(200A)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2펀치백(200B)도 중심축에 결합된 완충재를 구비하는 몸통부(210B) 및 머리부(220B)를 구비하며, 코일 스프링(15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와 결합된다. 그외 제2펀치백(200B)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펀치백(20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The second punch bag 200B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unch bag 200A to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100. [ The specific form of the second punch bag 200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first punch bag 200A. That is, the second punchback 200B also has a body portion 210B and a head portion 220B having a cushioning member coupled to the central axis, and i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00 by a coil spring 15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punch bag 200B is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punch bag 200A.

제1센서(400A)는 제1펀치백(200A)에 배치되며, 제1펀치백(200A)에 가해지는 타격의 유무 또는 타격에 세기를 감지한다. 제1센서(400A)로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 센서, 충격에 의한 제1펀치백(200A)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서(400A)로는 자기장 혹은 RFID 리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가 활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1펀치백(200A)을 가격하는 사람이 자석 혹은 RFID 태그를 구비한 전자 발 보호대 또는 전자 글러브를 착용한 것에 대비한 것이다. 즉 제1센서(400A)는 전자 발 보호대 또는 전자 글러브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타격을 감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제1센서(400A)로는 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여러 종류의 센서를 조합적으로 채용하여 타격의 감지의 오류를 제거하고 충격에 의해서 변화되는 다양한 물리량 정보를 동시에 취득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400A is disposed in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detects the presence or the impact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first punch bag 200A. The first sensor 400A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capable of sensing a pressure, and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n acceleration of the first punch bag 200A due to an impact. Also, a magnetic field 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er may be used as the first sensor 400A. In this case, if the person who pays the first punch bag 200A is a magnet or an electronic foot protector having an RFID tag This is in contrast to wearing an electronic glove. That is, the first sensor 400A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hit by sensing the approach of the electronic footrest or the electronic glove. As the first sensor 400A, one kind of sensor may be used. However, various kinds of senso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o eliminate the error of detecting the impact, and to acquire various physical quantity information simultaneously changed by the impact .

본 실시예에서 제1센서(400A)는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에 각각 배치되어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에 전달되는 타격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210A)에 배치되는 제1센서(400A)는 몸통부의 여러 지점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몸통부(210A)의 전면, 측면 등 여러 지점에 위치되고, 머리부(220A)에 배치되는 제1센서(400A) 역시 머리부(220A)의 여러 지점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머리부(220A)의 전면, 측면 등 여러 지점에 배치된다.The first sensor 400A is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210A and the head portion 22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so that the body portion 21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measure the blow delivered to the first blower 220A. The first sensor 400A disposed at the body 210A is positioned at various points such as the front and the side of the body 210A so as to measure impact applied to various points of the body, The first sensor 400A dispos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20A is also disposed at various points such as the front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220A so as to measure an impact applied to various points of the head portion 220A.

제1센서(400A)는 제1펀치백(200A)에 내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400A)는 제1펀치백(200A)의 외측에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는 전자 보호대(300A,301A)에 배치되는 접촉 또는 압력 감지 센서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제1센서(400A)를 제1펀치백(200A)의 외측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전자 보호대(300A,301A)에 배치할 경우, 제1센서(400A)의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자 보호대(300A,301A)만을 교체해 주면 되므로 센서 고장에 대한 대처가 매우 용이하다. The first sensor 400A may be embedded in the first punch bag 200A.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first sensor 400A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punch bag 200A Or may be a contact or pressure sensing sensor disposed on the electronic guards 300A, 301A, which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electronic guards 300A, 301A. When the first sensor 400A is disposed on the electronic protector 300A or 301A which can be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punch bag 200A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first sensor 400A is damaged or broken, (300A, 301A), it is very easy to cope with sensor failure.

전자 보호대(300A,301A)는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300A)와,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의 외측을 감싸도록 머리부(220A)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301A)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nic protector 300A or 301A includes an electronic protector 300A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ody 21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an outer protector 300A outside the head 22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an electronic protector 301A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head portion 220A to enclose the head portion 220A.

제1펀치백(200A)에는 그 외측에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300A,301A)가 타격에 의해서 제1펀치백(200A)에 대하여 위치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제1펀치백(200A)에 강제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는 결속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 수단으로는 제1펀치백(200A)과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서로 묶어주는 끈, 제1펀치백(200A)과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서로 부착시켜두는 벨크로, 제1펀치백(200A)과 전자 보호대(300A,301A)를 결합시켜주는 단추 혹은 스냅 단추, 제1펀치백(200A)에 고정 결합되는 벨크로 패스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pads 300A and 301A are provided on the first punch bag 200A so that the electronic pads 300A and 301A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punch bag 200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relative to the first punch bag 200A by impact. A binding means for forcibly binding the first punch bag 200A can be provided. This binding means includes a strap for binding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electronic protector 300A or 301A to each other, a velcro for attaching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electronic protector 300A or 301A to each other, A button or a snap button for coupling the punch bag 200A with the electronic protector 300A or 301A, a velcro fastener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punch bag 200A, or the like can be used.

도 3A 및 도 3B는 제1펀치백(200A)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결속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 수단으로서 벨크로 패스너(211)가 마련된다. 벨크로 패스너(211)는 제1펀치백(200A)에 고정되는 고정부(213)와, 고정부(213)에 연장되게 배치되며 고정부(213)에 대해서 접힘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부(214)를 구비한다. 벨크로 패스너(211)의 고정부(213)와 가동부(214)의 마주 보는 면에는 각각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가 배치되어 있어서 고정부(213)와 가동부(214)가 접촉되면 상호 부착된다. 3A and 3B schematically show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punchback 200A and schematically show the binding means employed 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3A and 3B, in this embodiment, a velcro fastener 211 is provided as a binding means. The velcro fastener 211 includes a fixed part 213 fixed to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a movable part 214 extended from the fixed part 213 and arranged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part 213. [ Respectively. An arm velcro and a male velcro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fixed portion 213 and the movable portion 214 of the velcro fastener 211. When the fixed portion 213 and the movable portion 21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벨크로 패스너(211)는 전자 보호대(300A,301A)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며, 벨크로 패스너(211)의 가동부(214)는 전자 보호대(300A,301A)의 일부에 끼워진 다음, 고정부(213)에 부착됨으로써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제1펀치백(200A)에 결속시켜 줄 수 있다. 벨크로 패스너(211)의 가동부(214)는 전자 보호대(300A,301A)에 구멍이나 고리가 마련되어 있으면 거기에 끼워질 수도 있고, 도 3a 및 도 3b에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보호대(300A,301A)는 그 양측을 연결하는 띠(303)를 붙잡아 주는 형태로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제1펀치백(200A)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the velcro fasteners 211 are provided so as to fix the electronic protector 300A and 301A and the movable portion 214 of the velcro fastener 211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electronic protector 300A or 301A, 213 so that the electronic protector 300A, 301A can be bound to the first punch bag 200A. The movable part 214 of the velcro fastener 211 may be fitted into the electronic protection strips 300A and 301A provided they have holes or rings and the electronic protection strips 300A and 301A The electronic pads 300A and 301A may be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bind to the first punch bag 200A in the form of catching the band 303 connecting the both sides thereof.

한편, 제1펀치백(200A)에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300A,301A)는 제1펀치백(200A)에 맞도록 별도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으나,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전자 보호대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특히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는 사람의 몸통부와 크기가 유사하므로, 사람의 몸통에 착용되는 전자 몸통 보호대를 결합시키기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이 착용하는 기존의 전자 보호대를 그대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특수한 전자 보호대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자 보호대를 제작에 따른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사람이 착용하는 전자 몸통 보호대를 제1펀치백(200A)에 배치하는 경우에 전자 몸통 보호대의 어깨 끈이 벗겨지지 않도록 어깨 끈(305)은 상측으로 돌출된 제1신호 발생부(500A)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펀치백(200A)은 전자 몸통 보호대의 어깨 끈(305)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돌출부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제1신호 발생부(500A)가 그러한 돌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electronic pads 300A and 301A disposed on the first punch bag 200A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to fit the first punch bag 200A. However, the electronic pads 300A and 301A, which are disposed on the first punch bag 200A, It is possible. Particularly, since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punch bag 200A is similar in size to the body portion of a person, it can be said to be advantageous in joining the electronic body protector to be worn on the body of a person.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electronic protector worn by a person as such, a separate special electronic protector may not be separately manufactur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cost due to the manufacture of a separate electronic protector. In order to prevent the shoulder strap of the electronic trunk protector from being peeled off when the electronic trunk protector to be worn by a person is disposed in the first punch bag 200A, the shoulder strap 305 is formed inside the first signal generating portion 500A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irst punch bag 200A may have protrusions on both sides thereof to prevent the shoulder strap 305 of the electronic body protector from being peeled off. The first signal generator 500A may function as such a protrusion It is possible.

제2센서(400B)는 제2펀치백(200B)의 몸통부 및 머리부에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센서(4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센서(400B)도 전자 보호대(300B,301B)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센서(400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센서(40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The second sensor 400B is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first sensor 400A except that it is disposed at the body and head of the second punch bag 200B. Accordingly, the second sensor 400B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onic guards 300B and 301B.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sensor 400A is replaced with a description of the first sensor 400A.

제1신호 발생부(500A)는 제1펀치백(200A)의 타격 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소리, 빛 등의 신호를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제1신호 발생부(500A)는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ignal generating unit 500A intermittently generates a sound, light, or other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a person located at the hit position of the first punch bag 200A. The first signal generator 500A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body 210A and the head 22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본 실시예에서 제1신호 발생부(500A, 501A)는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 각각에 배치되는 발광부로 이루어진다. 발광부는 전구, LED 등의 발광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신호 발생부(500A,501A)는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 각각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그 각각은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의 정면, 양측면에 제1센서(400A)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신호 발생부(500A)도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의 정면, 양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ignal generators 500A and 501A are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portion disposed in each of the first punchback 200A and the second punchback 200B.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include a light bulb, light emitting means such as an LED, and the like. A plurality of first signal generators 500A and 501A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body portion 210A and the head portion 220A of the first punchback 200A and each of them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nsor . 1, when the first sensor 400A is disposed on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ody 210A of the first punchback 200A, the first signal generator 500A is also connected to the first punchback 200A, And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210A of the bag 200A.

제2신호 발생부(500B,501B)는 제2펀치백(200B)의 타격 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소리, 빛 등의 신호를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제2펀치백(200B) 측에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The second signal generators 500B and 501B generate intermittent signals such as sound and light that can be recognized by a person located at the hit position of the second punchback 200B. The first signal generator 500A is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first signal generator 500A except that the first signal generator 500A and the second signal generator 500B are disposed in the first signal generator 500A.

제1타격 표시부(600A,110A)는 제1펀치백(200A)에 유효한 타격 가해진 경우에 이를 빛 또는 소리 등의 인식 가능한 신호로 표시하여, 유효한 타격이 가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타격 표시부(600A,110A)는 발광부로 이루어지며,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600A)와,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600A)를 구비한다.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는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의 상측에 배치되고 몸통부(21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110A)는 베이스부(100)에 배치되는데, 머리부(22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110A)는 머리부(220A)에 유효한 타격이 가해지면 점등되고 몸통부(21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110A)는 몸통부(210A)에 유효한 타격이 가해지면 점등되는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triking display part 600A or 110A strikes the first punch bag 200A with a valid strike, the first striking display part 600A or 110A displays it as a recognizable signal such as light or sound so as to confirm that a valid strike has been applied. The first striking display part 600A and the first striking display part 600A corresponding to the head part 220A of the first punching bag 200A and the first striking display part 60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nching bag 200A And a first striking display portion 600A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210A. The first blow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head portion 22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ad portion 22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The display unit 110A is disposed on the base unit 100. The first hit display unit 110A corresponding to the head unit 220A is turned on when a valid hit is applied to the head unit 220A and corresponds to the body 210A The first impact indicator 110A may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lit when a valid impact is applied to the body 210A.

제2타격 표시부(600B,110B)는 제2펀치백(200B)에 유효한 타격 가해진 경우에 이를 빛 또는 소리 등의 인식 가능한 신호로 표시하여, 유효한 타격이 가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2타격 표시부(600B,110B)는 제2펀치백(200B)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타격 표시부(600A,11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1타격 표시부(600A,110A)에 대한 것으로 갈음한다.When the second striking display part 600B or 110B strikes the second punch bag 200B with a valid strike, the second striking display part 600B or 110B displays it as a recognizable signal such as light or sound so that a valid strike can be confirmed. The second impact indicator 600B or 110B is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first impact indicator 600A or 110A except that the second impact indicator 600B or 110B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unchback 200B. 600A, 110A).

센서 신호 수신부(40)는 제1센서(400A) 및 제2센서(400B)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것으로서, 제1센서(400A) 및 제2센서(400B)의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는다. 센서의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는 방식은 여러가지 표준화된 무선 통신 방법, 예컨대 와이파이 무선랜 방식이 가능하다. 센서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센서부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40 receives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400A and the second sensor 400B and receives signals of the first sensor 400A and the second sensor 400B by wire or wireless . A method of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of a sensor can be various standardiz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a Wi-Fi wireless LAN method. In order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of the sensor,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data wirelessly.

제어부(30)는 제1센서(400A), 제2센서(400B), 센서 신호 수신부(40),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제2신호 발생부(500B,501B), 제1타격 표시부(600A,110A), 제2타격 표시부(600B,110B) 및 디스플레이(5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들 각각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30)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가 이용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30 includes a first sensor 400A, a second sensor 400B, a sensor signal receiver 40, first signal generators 500A and 501A, second signal generators 500B and 501B, A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batting display units 600A and 110A, the second batting display units 600B and 110B and the display 50 to control each of them. As the control unit 30, a personal computer having a microprocessor can be used.

도 4는 제어부와 각 구성 간의 신호 전달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센서 신호 수신부(40)에 연결되며, 신호 발생 제어부(31A,31B), 유효타격 검출부(33A,33B), 출력값 연산부(35), 출력 이미지 생성부(36)를 구비한다. 제어부(30)의 각 구성은 별도의 하드웨어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달리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물리적으로는 구별이 불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4, the control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40 and includes signal generation control units 31A and 31B, an effective impact detection unit 31A, (33A, 33B), an output value calculating section (35), and an output image generating section (36).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30 may be formed of separate hardware, bu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and physically in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신호 발생 제어부(31A,31B)는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 및 몸통부(210A)의 제1신호 발생부(500A,501A)를 제어하여 무작위적으로 또는 일정한 패턴으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신호 발생 제어부(31A)는 제2펀치백(200B)의 제2신호 발생부(500B,501B)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한다. The signal generation control sections 31A and 31B control the first signal generating sections 500A and 501A of the head part 220A and the body part 210A of the first punchback 200A to generate random signals So as to generate a signal. The signal generation control unit 31A also controls the second signal generators 500B and 501B of the second punchback 200B in the same manner.

유효타격 검출부(33A,33B)는 센서 신호 수신부(40)와 연결되며, 제1펀치백(200A) 또는 제2펀치백(200B)에 유효한 타격이 가해졌는지를 판정하는 역할을 한다. 유효타격 검출부(33A,33B)는 신호를 발생시킨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혹은 제2신호 발생부(500B,501B)에 대응되는 센서에서 타격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이를 유효한 타격으로 판정하며, 유효타격 검출부(33A,33B)는 유효한 타격임을 판정할 수 있도록 시간차 검출부(331A,331B) 및 강도 비교부(332A,332B)를 구비할 수 있다. 시간차 검출부(331A,331B)는 신호 발생 제어부로부터 언제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또는 제2신호 발생부(500B,501B)가 신호를 발생시켰는지를 입력받고 이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내에 센서로부터 감지되면 이를 유효한 타격으로 인정하는 방식으로 유효한 타격을 판정할 수 있다. 강도 비교부(332A,332B)는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타격의 세기, 예컨대 압력이 소정의 크기를 넘어서는 경우에 이를 유효한 타격으로 판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유효타격 검출부(33A,33B)는 시간차 및 타격의 강도가 동시에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때에만 유효한 타격으로 판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유효타격 검출부(33A,33B)가 유효한 타격이 제1펀치백(200A)에 가해졌다고 판단하면, 유효타격 검출부(33A)는 제1타격 표시부(600A,110A)에서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유효한 타격이 제2펀치백(200B)에 가해졌다고 판단하면, 유효타격 검출부(33B)는 제2타격 표시부(600B,110B)에서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effective hit detectors 33A and 33B are connected to 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40 and serve to determine whether a valid hit is applied to the first punch bag 200A or the second punch bag 200B. The valid hit detectors 33A and 33B judge that the valid hit is detected only when a hit is detected in the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generators 500A and 501A or the second signal generators 500B and 501B that generate the signal And the effective hit detectors 33A and 33B may be provided with time difference detectors 331A and 331B and strength comparators 332A and 332B so as to determine that they are effective hits. The time difference detecting units 331A and 331B receive from the signal gen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first signal generating units 500A and 501A or the second signal generating units 500B and 501B generate signals, If it is detected, it can be judged as a valid hit, and a valid hit can be judged. The intensity comparing sections 332A and 332B can take a method of determining the impact strength sensed by the sensor,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as a valid impact. The effective hit detectors (33A, 33B) may also determine that the time difference and the hit strength are valid only when they satisfy the predetermined criteria at the same time. When the effective hit detectors 33A and 33B judge that a valid hit is applied to the first punch bag 200A, the effective hit detectors 33A control the first hit indicators 600A and 110A to generate a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low is applied to the second punch bag 200B, the effective blow detection unit 33B can control the signals generated in the second blow display units 600B and 110B.

출력값 연산부(35)는 유효타격 검출부(33A,33B)에서 유효한 타격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된 타격에 대해서, 그 타격의 강도 혹은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또는 제2신호 발생부(500B,501B)에서 신호가 송출된 다음 얼마의 시간이 흐른 이후에 그 타격이 행하여졌는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점수화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출력값 연산부(35)는 제1펀치백(200A)에 가해진 타격의 강도에 따라 증가하는 제1출력값(S10A)과 제2펀치백(200B)에 가해진 타격의 강도에 따라 증가하는 제2출력값(S10B)을 산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출력값 연산부(35)는 각 타격의 위치 및 시간차를 이용하여 출력값에 가산점을 추가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출력값 연산부는 유효 타격에 따라서 출력값을 누적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일 수도 있으나, 유효 타격에 따라서 기준 값으로부터 누적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출력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The output value calculating section 35 calculates the output of the first signal generating section 500A or 501A or the second signal generating section 500B , And 501B), and then scoring and outputting the score using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batting has been performed since a certain period of time since the signal was transmitted. For example, the output value calculating section 35 calculates 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punchback 200A based on the first output value S10A that increases with the strength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first punchback 200A and the second output value S10A that increases with the impact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second punchback 200B. 2 output value S10B. Further, the output value calculating section 35 may add the addition point to the output value using the position and time difference of each hit.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value calculation unit may increase the output value cumula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ive striking, but may also generate the output value in a form that cumulatively decreases from the reference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ive striking.

출력 이미지 생성부(36)는 출력값 연산부에서 산출된 제1출력값(S10A) 및 제2출력값(S10B)을 디스플레이(50)에 표시해 줄 수 있도록 이미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 이미지 생성부(36)는 제1출력값과 제2출력값을 숫자로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고, 제1출력값 및 제2출력값에 따라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막대 형상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The output image generating unit 36 forms an image so that the first output value S10A and the second output value S10B calculated by the output value calculating uni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50. [ The output image generating unit 36 may generate an image representing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by numerals, and may generate an image including a bar-shaped graph whose length increases or de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May be generated.

디스플레이(50)는 제어부에서 생성된 출력 이미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50)에는 제1펀치백(200A)의 타격에 의한 제1출력값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제2펀치백(200B)의 타격에 의한 제2출력값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므로,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을 타격하는 사람은 자신과 다른 사람이 펀치백(200A,200B)에 얼마만큼의 유효 타격을 가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펀치백을 타격하는 사람 및 주변의 사람들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The display 50 serves to display an output imag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put value due to the impact of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put value due to the impact of the second punch bag 200B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50, A person who hits the bag 200A and the second punch bag 200B can know how much he or she has hurt the punch bags 200A and 200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naturally attract interest to the person hitting the punch bag and people around him.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1)의 일부 작동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some operation modes of the indirect duel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실시예의 간접 대련 시스템(1)의 작동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5 schematically shows an operation mode of the indirect diving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간접 대련 시스템(1)의 양측의 타격 위치에 두 사람이 위치하고,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을 각각 타격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two persons are positioned at the hit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indirect diving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strike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second punch bag 200B, respectively.

이때 제1펀치백(200A)의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에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신호가 발생되고, 제1펀치백(200A)의 타격 위치(P1)에 서 있는 사람은 그 신호에 따라서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 혹은 몸통부(210A)를 타격하게 된다. 한편, 제2펀치백(200B)의 제2신호 발생부에서도 마찬가지로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제2펀치백(200B)의 타격 위치(P2)에 서 있는 사람은 제2펀치백(200B)의 머리부(220B) 혹은 몸통부(210B)를 타격하게 된다. At this time, a signal is regularly or irregularly generated in the first signal generators 500A and 501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a person standing at the strike position P1 of the first punch bag 200A receives a signal Therefore, the head part 220A or the body part 21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is struck. Similarly, a signal is also generated in the second signal generating unit of the second punchback 200B, and accordingly, a person standing at the striking position P2 of the second punchback 200B is driven by the signal of the second punchback 200B The head part 220B or the body part 210B.

제1펀치백(200A)이 타격되면 제1센서(400A)가 이를 감지하고, 이를 신호 수신부(40)로 전송한다. 제어부(30)의 유효타격 검출부(33A)는 신호 수신부(40)가 수신한 제1센서(400A)의 신호를 분석하여, 타격이 작동된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에 대응되는 제1센서(400A)에서 감지되었는지, 타격의 강도는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지, 타격이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의 작동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안에 이루어졌는지를 판정하고, 이로부터 유효한 타격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한다. When the first punch bag 200A is hit, the first sensor 400A sens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40. [ The effective striking detecting section 33A of the control section 30 analyzes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400A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section 40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generating section 500A, 1 sensor 400A, the intensity of the blow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blow is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signal generators 500A, 501A, .

유효한 타격으로 판정되면 제어부는 제1펀치백(200A)의 제1타격 표시부(600A,110A)를 작동시켜 타격이 유효하게 제1펀치백(200A)에 가해졌는지를 표시하여 준다. If it is determined that a valid hit is made, the controller operates the first impact indicator 600A or 110A of the first punch bag 200A to indicate whether the impact is effectively applied to the first punch bag 200A.

제2펀치백(200B)이 타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2센서(400B)가 이를 감지하고, 유효타격 감지부(33B)가 유효한 타격인지를 판정하고 유효한 타격인 경우에는 제2펀치백(200B)의 제2타격 표시부(600B,110B)를 작동시킬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second punch bag 200B is struck, the second sensor 400B senses i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ffective striking sensing portion 33B is a valid striking force. In the case of a valid striking, the second punchback 200B The first and second hit indicators 600B,

제1펀치백(200A)의 가격 위치(P1)의 사람이 제1펀치백(200A)을 계속적으로 가격하고, 제2펀치백(200B)의 가격 위치(P2)에 위치하는 사람이 제2펀치백(200B)을 계속적으로 가격하면, 제어부(30)의 출력값 연산부(35)는 제1펀치백(200A)의 타격에 대응되는 제1출력값 및 제2펀치백(200B)의 타격에 대응되는 제2출력값을 산출한다. 제1출력값과 제2출력값은 타격의 강도, 타격의 난이도에 따라서 증감폭이 가감될 수 있다. 타격의 난이도는 타격이 머리부에서 발생하였는지, 짧은 시간 안에 연속적으로 가격이 이루어졌는지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펀치백의 몸통부의 좌우측의 신호 발생부에서 동시에 신호가 발생한 다음, 짧은 시간 내에 펀치백의 몸통부의 좌우측이 타격되면 이를 나래 차기로 판단하고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일 수도 있다. The person at the price position P1 of the first punch bag 200A constantly charges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person at the price position P2 of the second punch bag 200B punches the second punch bag 200B, When the bag 200B is continuously priced, the output value calculation unit 35 of the control unit 30 calculates the first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hit of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second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hit of the second punch bag 200B 2 Output value is calculated.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strength of the impact and the difficulty of the impact. The difficulty of the strike can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strike occurred at the head or whether the strike was continuously made within a short time. For example, when signal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in the right and left signal generators of the body of the punch bag, i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body of the punch bag are struck within a short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unch bag is a kicker and added points are added.

제어부(30)에서 산출된 제1출력값 및 제2출력값에 대응되는 값이 디스플레이(50)에서 이미지(IM)의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50)에 표시되는 이미지로는 경과 시간(IM-T), 타격의 강도(IM-S-A,IM-S-B), 타격 기술의 종류(예컨대 머리 차기, 몸통 차기, 나래 차기, 연속 차기)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30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mage IM on the display 50. [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50 include the elapsed time IM-T, the strength of the batting IM-SA and IM-SB, the type of batting technique (e.g., head kick, torso kick, Etc. may be displayed.

한편, 디스플레이(50)에 표시되는 각종의 정보는 타격을 수행하는 사람 또는 이를 지켜보고 있는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격투 대전 게임에서 채용되고 있는 화면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간접 대련의 남은 시간이 디스플레이(50)의 화면 상단에 표시되고 이를 중심으로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의 타격에 따라서 길이가 감소되는 형태의 막대형 그래프(IM-G)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경우에 타격에 따라서 상대방의 막대형 그래프(IM-G)가 줄어드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대방의 막대형 그래프(IM-G)를 먼저 없애는 쪽이 간접 대련에서 승리한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50 may employ a screen configuration employed in a fighting match game so as to cause interest of a person performing a batting or a person watching it. For example, when the remaining time of the indirect duel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50 and the length i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impact of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second punch bag 200B The graph IM-G may be displayed. Also, in the case of the indirect div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r graph IM-G of the other party may be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strike. In this case, it may be judged that winning the bar graph (IM-G) of the opponent first wins in the indirect due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1)에 따르면 서로 대련하는 사람들이 상대방을 직접적으로 가격하지 않고, 대신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으로써 대련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방을 가격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서 가격에 의한 부상의 우려가 없음은 물론, 대련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 없이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direct Dalland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ople who are dueling do not directly price the other party, but instead perform the dueling with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the second punch bag 200B can do.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injury due to the price because the opponent is not charged, and it can be effectively solved without psychological burden on Dalian.

또한, 타격의 세기, 타격 기술의 종류에 따른 차별적인 점수를 도입함으로써 효과적인 실제 대련과 같이 복잡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어서, 간접 대련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흥미와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introducing differential score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batting technique and the type of batting techniqu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mplex situation such as an effective real Dalian, effectively inducing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people participating in the indirect Dalian.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간접 대련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는 달리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Although the indirect Dalian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의 간접 대련 시스템(1)에서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제2신호 발생부(500B,501B), 제1 및 제2타격 표시부(600A,110A,600B,110B)는 제외될 수도 있다. The first signal generating units 500A and 501A, the second signal generating units 500B and 501B, the first and second hitting display units 600A, 110A, 600B, and 600B in the indirect diving system 1 of the above- 110B may be omitted.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150)에 의해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는 탄성 지지되지 않고 베이스부(1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1펀치백과 제2펀치백은 충분한 쿠션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first punchback 200A and the second punchback 200B are described as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coil springs 15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punchback 200A and the second punchback 200B The bag 200B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100 without being elastically supported. In this case, the first punch bag and the second punch bag will need to have sufficient cushioning.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펀치백(200A)의 중심축(205)은 그 단부의 일부가 베이스부(100)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제1펀치백(200A)의 중심축은 볼 조인트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결합되어 전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펀치백(200A)는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center shaft 205 of the first punch bag 200A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artially inserted into the base 10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unch bag 200A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00 by a ball joint so as to be tilted in all direction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unchback 200A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1 ... 간접 대련 시스템 100 ... 베이스부
200A,200B ... 제1펀치백, 제2펀치백 300A,300B ... 전자 보호대
400A, 400B ... 제1센서, 제2센서
500A,501A ... 제1신호 발생부 500B,501B ... 제2신호 발생부
600A,110A ... 제1타격 표시부 600B,110B ... 제2타격 표시부
30 ... 제어부 40 ... 신호 수신부
50 ... 디스플레이
1 ... indirectly Dalian system 100 ... base part
200A, 200B ... first punch bag, second punch bag 300A, 300B ... electronic guard
400A, 400B ... a first sensor, a second sensor
500A, 501A ... First signal generators 500B, 501B ... Second signal generators
600A, 110A ... first hit display portion 600B, 110B ... second hit display portion
30 ... control unit 40 ... signal receiving unit
50 ... display

Claims (10)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1펀치백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2펀치백과,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1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2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1출력 값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2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부를 구비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A base portion,
A first punch bag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buffer material,
A second punch bag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buffer material,
A first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punch bag and sensing a hit applied to the first punch bag;
A second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punch bag and sens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second punch bag;
A first output value that is cumulatively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hit sensed by the first sensor and a second output value that is cumulatively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hit sensed by the second sensor And an operation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백 및 상기 제2펀치백 각각은,
수직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펀치백 사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펀치백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펀치백 또는 상기 제2펀치백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punching bag and the second punching bag comprises:
Vertically upright,
A coil spring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first punch bag and between the base and the second punch bag an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ase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first punch bag or the second punch bag; Indirect Dalian system equipped fur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백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제1펀치백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와,
상기 제2펀치백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제2펀치백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는 각각 전자 보호대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보호대는 사람이 착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onic protector which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first punch bag and is arranged to enclose the first punch bag,
And an electronic protector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punch bag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second punch bag,
Wherei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an electronic guard,
Wherein the electronic guard can be worn by a pers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백은,
타격에 의해서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된 전자 보호대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펀치백과 상기 전자 보호대를 결속시키주는 결속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펀치백은,
타격에 의해서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된 전자 보호대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펀치백과 상기 전자 보호대를 결속시키주는 결속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속 수단은,
상기 각 제1펀치백 및 제2펀치백과 전자 보호구를 서로 묶어주는 끈, 상기 각 제1펀치백 및 제2펀치백과 전자 보호구를 서로 부착시켜두는 벨크로, 상기 각 제1펀치백 및 제2펀치백과 전자 보호구를 결합시켜주는 단추 혹은 스냅 단추, 또는 상기 각 제1펀치백 및 제2펀치백에 배치되는 벨크로 패스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unching bag comprises:
And binding means for binding the first punch bag and the electronic protector so as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rotector disposed in the first punch bag from being changed by the blow,
The second punching bag,
And binding means for binding the first punch bag and the electronic protector so as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rotector disposed in the second punch bag from being changed by the blow,
The binding means
A string that binds the first punch bag, the second punch bag, and the electronic protector to each other; a Velcro that attaches the first punch bag, the second punch bag, and the electronic protector to each other; a first punch bag and a second punch bag; A button or snap button for engaging the electronic guard, or a velcro fastener disposed in each of said first punch bag and said second punch b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타격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된 타격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서 상기 제1출력 값 및 상기 제2출력 값의 증가 또는 감소의 폭을 크게 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may sense the intensity of the impact,
The operation unit,
Wherein an increase or a decrease of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is increased as the striking intensity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 값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2출력 값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put value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pu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백 및 상기 제2펀치백 각각은,
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 각각,
몸체부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몸체부 센서와,
머리부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머리부 센서를 구비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punching bag and the second punching bag comprises:
A body portion,
And a head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Each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 body part sensor for detecting a blow applied to the body part,
An indirect dental system comprising a head sensor for sensing a blow applied to the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백의 타격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간헐적으로 생성하는 제1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2펀치백의 타격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간헐적으로 생성하는 제2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신호 발생부에서 신호가 생성된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제1펀치백에 타격이 가해지면 제1출력 값을 증감시키고,
상기 제1신호 발생부에서 신호가 생성된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제1펀치백에 타격이 가해지면 제1출력 값을 증감시키는 간접 대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ignal generator for intermittently generating a signal recognizable by a person located at a hit position of the first punch bag;
And a second signal generator for intermittently generating a signal recognizable by a person located at a hit position of the second punch bag,
The operation unit,
When the first punchback is struck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ignal is generated by the first signal generator, the first output value is increased or decreased,
Wherein the first output value is increased or decreased when a blow is applied to the first punch ba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ignal is generated in the first signal gene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2신호 발생부 각각은,
서로 구별되는 복수 개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each of the first signal generator and the second signal generator includes:
An indirectly coupled system for selectively generating a plurality of signals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백이 타격되면 상기 제1펀치백의 타격 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1타격 신호부와,
상기 제2펀치백이 타격되면 상기 제2펀치백의 타격 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2타격 신호부를 더 구비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first striking signal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recognizable by a person located at a striking position of the first punching bag when the first punching bag is struck,
And a second hitting signal part for generating a signal recognizable by a person located at a hitting position of the second punching bag when the second punching bag is struck.
KR1020120118681A 2012-10-24 2012-10-24 Indirect sparing system Active KR101465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681A KR101465185B1 (en) 2012-10-24 2012-10-24 Indirect spa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681A KR101465185B1 (en) 2012-10-24 2012-10-24 Indirect spa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29A true KR20140052529A (en) 2014-05-07
KR101465185B1 KR101465185B1 (en) 2014-11-25

Family

ID=5088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681A Active KR101465185B1 (en) 2012-10-24 2012-10-24 Indirect spa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18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5185A (en) * 2017-05-17 2017-07-21 许昌学院 A kind of anti-lost control method of wushu challenge tournament robot
KR102044902B1 (en) 2018-12-13 2019-11-14 주식회사 엠앤엠 Frame of striking implement for sparring with improved reconstitutibility
US20220040551A1 (en) * 2020-08-05 2022-02-10 Chen Tien Yu Synchronous control method for boxing punching bag
CN115193004A (en) * 2022-07-29 2022-10-18 北京拳适能体育科技有限公司 Fighting counterattack training method and device
KR102533468B1 (en) * 2022-08-12 2023-05-17 구민관 Combat sport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utumatic sco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1369A (en) * 2019-07-03 2019-09-06 山东职业学院 The psychology of one kind of multiple safeguard functions gives vent to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611B2 (en) * 1988-04-27 1995-03-15 大平技研工業株式会社 Boxing game machine
KR101018038B1 (en) * 2010-04-20 2011-03-02 이병호 Taekwondo electronic protector
KR101093669B1 (en) * 2010-11-26 2011-12-15 유성규 Electronic protector system for competition
KR101136700B1 (en) * 2011-09-19 2012-04-19 김성환 Treadmill with punching par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5185A (en) * 2017-05-17 2017-07-21 许昌学院 A kind of anti-lost control method of wushu challenge tournament robot
CN106965185B (en) * 2017-05-17 2020-03-10 许昌学院 Anti-falling control method for martial art arena competition robot
KR102044902B1 (en) 2018-12-13 2019-11-14 주식회사 엠앤엠 Frame of striking implement for sparring with improved reconstitutibility
US20220040551A1 (en) * 2020-08-05 2022-02-10 Chen Tien Yu Synchronous control method for boxing punching bag
CN115193004A (en) * 2022-07-29 2022-10-18 北京拳适能体育科技有限公司 Fighting counterattack training method and device
CN115193004B (en) * 2022-07-29 2023-09-26 北京拳适能体育科技有限公司 Combat counterattack training method and device
KR102533468B1 (en) * 2022-08-12 2023-05-17 구민관 Combat sport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utumatic sc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185B1 (en)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185B1 (en) Indirect sparing system
US7891231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impacts in sports
EP2236177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impacts in sports
US8485879B2 (en) Fight analysis system
US10039967B2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JP60388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in a team competition environment
CN105705090B (en) Sensors and Applications
CN101151074A (en) Sports Equipment
CN105229664A (en)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in a team sports environment
US20120214647A1 (en) Martial arts training device
US9320954B1 (en) Reflex strike technology
KR101314644B1 (en) a method for electronic protector whick match with blow
KR101093669B1 (en) Electronic protector system for competition
KR101446604B1 (en) Electronic Impact Detection Device For Taekwondo
KR101263699B1 (en) Trainning apparatus for boxing
KR20180068597A (en) Telling blow decision sensor of protective equipment for martial arts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KR20150140111A (en) Apparatus and method of hitting training
US10518152B2 (en) Wearable shield for evaluating accuracy of a fighter's performance
US11110334B2 (en) Golf training aid apparatus and method
US4634116A (en) Speed and striking bag frequency device
KR101719729B1 (en) Electronic body protect
KR20130013403A (en) Golf club,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golf impact position by using the same
KR101282048B1 (en) Golf putting traine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029918B1 (en) Home golf simulator
KR200345147Y1 (en) Golf swing practi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