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583A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envelop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envelo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2583A KR20140052583A KR1020120118810A KR20120118810A KR20140052583A KR 20140052583 A KR20140052583 A KR 20140052583A KR 1020120118810 A KR1020120118810 A KR 1020120118810A KR 20120118810 A KR20120118810 A KR 20120118810A KR 20140052583 A KR20140052583 A KR 201400525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velope
- slider
- cassette
- shutter
- guide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the articles resting on rollers or ball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봉투 입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투 입출 장치는 빈 봉투를 봉투 입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금 봉투를 받는 봉투 입출부를 갖되, 상기 봉투 입출부 및 상기 봉투 공급부를 지지하고, 가이드핀을 갖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고, 상기 입금 봉투를 보관하는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가 상기 가이드핀과 연동하는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카세트의 셔터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의 봉투 진입구를 상기 셔터부로 개폐시킬 수 있다.The envelope input / output apparatus is started.
The envelope input /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rame having a bag inlet / outlet section for providing a user with an empty envelope through an envelope inlet / outlet section or receiving a deposit envelope from a user, supporting the envelope inlet / outlet section and the envelope supplying section, And a cassette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frame in a sliding manner and which stores the deposit bag, the cassette moves the shutter portion of the cassette by a slider interlocking with the guide pin, Can be opened and cl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봉투 입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세트를 본체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시킬 수 있는 봉투 입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ATM(automated teller machine)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중에는 실내공간 또는 부스의 내부가 아닌 건물 외벽에 설치 및 운영되는 월타입(Wall Type) 금융자동화기기가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there is a wall-typ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installed and operat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not inside an interior space or a booth, among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such as an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월타입 금융자동화기기는 봉투 입금 장치로서, 조작부 및 현금, 수표 등의 지폐류를 받은 봉투수취부가 점포 밖 벽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길가에서 자판기처럼 누구나 편리하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The monthly typ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is an envelope deposit device, and the envelope receiving part receiving the cash handling parts such as the control part and the cash and check is exposed on the wall outside the store, so that anyone can conveniently conduct a financial transaction like a vending machine on the roadside.
특히, 봉투 입금 장치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게 되면 내부에 설치된 히터가 작동하여 기온을 올려주거나, 비나 눈이 올 경우엔 방수기능이 있고, 24시간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이 항상 편리하게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Especial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nvelope deposit device falls below freezing, the built-in heater activates to raise the temperature. In case of rain or snow, it has a waterproof function. Since it can operate 24 hours, can do.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는 특허문헌 1의 금융자동화기기의 봉투입금장치 및 그 처리방법은 입금 처리에 사용할 빈 봉투를 직접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금융자동화기기 주변에 마련된 봉투의 재고가 없는 경우,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technology of the background art of the invention, since the envelope depositing device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f the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서 특허문헌 2의 봉투입금장치는 역시 봉투 투입구만 있고, 단방향으로 봉투가 보관 위치까지 이동할 뿐, 고객이 사용할 빈 봉투를 봉투입금장치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공급 수단이 부재되어 있으므로, 오직 지폐류를 담은 입금 봉투의 투입 및 보관이 가능할 뿐이다.The envelope dispensing apparatus of
특히, 특허문헌2는 봉투 투입구인 입금봉투보관고의 상면개구부를 다단의 도어판으로 개폐하되, 다단의 도어판 중 제4도어판의 돌출브라켓과, 메인프레임의 걸림브라켓과의 접촉에 의해 도어판들이 밀려 중첩되면서 입금봉투보관고의 상면개구부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입금봉투보관고의 운반을 담당하는 운반자가 제4도어판의 돌출블라켓을 운반자의 손가락으로 밀어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을 정도로 허술한 보안상의 문제가 있다.Particularly, in
또한, 특허문헌2는 입금봉투보관고의 도어폐쇄유지용 자석만을 구비함으로써, 입금봉투보관고의 슬라이딩 장착 또는 탈착에 따라 신뢰성 있게 입금봉투보관고의 상면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어렵고, 안전하게 셔터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없다.
또한, 도어판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잠금 장치가 필요하며, 이 경우, 작업자가 입금봉투보관고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또는 탈착하는 작업과, 별도의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판을 수동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Further, in order to keep the door plate in a locked state, a separate locking device is required. In this case, the worker is required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mounting or dismounting the deposit bag storage box by a sliding method, It is inconvenient to use i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카세트를 봉투 입출 장치의 본체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시킬 때, 본체프레임의 가이드핀이 카세트의 핀삽입부에 체결됨에 따라 셔터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셔터부가 카세트의 봉투 진입구를 개폐시킴으로써, 카세트의 셔터부의 언록킹 또는 록킹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카세트의 운반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봉투 입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ssette is slid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frame of the envelope input / output apparatus by sliding, the locking state of the shutter is released as the guide pin of the main frame is fastened to the pin insertion portion of the cassett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envelope input / output apparatus which can easily unlock or lock the shutter unit of the cassette by opening and closing the entry port, and can safely carry and manage the casset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봉투 공급부의 빈 봉투를 봉투 입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금 봉투를 받는 봉투 입출부를 갖는 봉투 입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투 입출부 및 상기 봉투 공급부를 지지하고, 가이드핀을 갖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고, 상기 입금 봉투를 보관하는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가 상기 가이드핀과 연동하는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카세트의 셔터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의 봉투 진입구를 상기 셔터부로 개폐시키는 봉투 입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velope input / output apparatus having an envelope input / output section for providing a blank envelope of an envelope supply section to a user through an envelope input / output section or receiving a deposit envelope from a user, A body frame having a guide pin; And a cassette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frame in a sliding manner and which stores the deposit bag, the cassette moves the shutter portion of the cassette by a slider interlocking with the guide pin, A bag input / output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ag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카세트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슬라이딩 입구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래치걸림홈에 착탈될 수 있는 푸시래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ssette may further include a push latch portion which is disposed around the sliding inlet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an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atch latch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또한, 상기 카세트는, 카세트 도어를 갖고 상부가 개방된 보관함부; 및 상기 보관함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보관함부의 상부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셔터부가 장착된 커버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sette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having a cassette door and an open top; And a cover assembly coupled to the upper rim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cover the open top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equipped with the slider and the shutter.
또한,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커버조립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봉투 진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셔터부; 및 상기 커버조립체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는 핀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핀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셔터부의 개폐 및 잠금해제를 유발할 수 있다.The cove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shutter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velope entran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And a pin insertion porti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to receive the guide pin, wherein the guide pin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portion to caus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portion and unlocking of the shutter portion.
또한, 상기 핀삽입부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in insertion portion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pin so that the guide pin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더 및 셔터부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가이드핀이 핀삽입부의 원형 구멍 및 상하 슬릿 구멍을 통해 상기 커버조립체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assembly maintains the slider and the shutter portion in a locked state and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guide pin enters the inside of the cover assembly through the circular hole and the upper and lower slit holes of the pin insertion portion, And a locking part for releasing the locking part.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가이드핀의 상하 돌기에 밀려 회전하거나,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핀삽입부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역회전하는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latch that is pivoted by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guide pin, or is rotated in a reverse directi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lock spring in a state where the guide pin is not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portion.
또한,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셔터부에 연결된 방향전환부; 및 상기 록킹부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상기 커버조립체의 내부로 더 진입되는 상기 가이드핀의 선단과 접촉되어 밀려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cove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shutter unit; And a slider that moves in contact with a tip end of the guide pin which further enters the inside of the cover assembly to unlock the locking portion. The slider can rotate the direction switching portion.
또한, 상기 카세트는, 상기 카세트에 대한 상기 가이드핀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의 제 1 랙기어와 상기 셔터부의 제 2 랙기어의 사이에 치합된 방향전환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방향전환부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제 2 랙기어 및 상기 셔터부를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셔터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의 봉투 진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guide pin moves the slider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guide pin with respect to the cassette. The movement of the slider causes the first rack gear of the slider and the second rack gear of the shutter portion And the second rack gear and the shutter portion are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due to the rota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portion, and the moved shutter portion opens the envelope entry opening of the cover assembly .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록킹부의 걸쇠단턱에 록킹 또는 릴리스 상태가 될 수 있는 걸림턱을 갖는 슬라이더하부; 및 상기 슬라이더하부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 랙기어가 양측에 마련된 슬라이더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r further includes a slider lower portion having a latching jaw that can be locked or released in a latching step of the locking portion; And a slider upper portion coupl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ack gear.
또한, 상기 셔터부는, 상기 커버조립체의 커버케이싱의 봉투 진입구와 대등하거나 동일한 사이즈의 관통구멍을 갖는 셔터구멍부; 상기 셔터구멍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봉투 진입구를 막을 수 있는 평면형상을 갖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에 결합된 제 2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utter portion may include a shutter hole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having a size equal to or the same as an envelope entry opening of the cover casing of the cover assembly; A cover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utter hole portion and having a planar shape capable of blocking the envelope entry opening; And a second rack gear coupled to the cover plate.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제 1 랙기어에 치합되는 하부피니언기어; 상기 하부피니언기어 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제 2 랙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하부피니언기어의 상부에 적층된 상부피니언기어; 및 상기 하부피니언기어와 상기 상부피니언기어의 축심에 연결되고, 바닥케이싱의 축보스에 결합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may include: a lower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first rack gear; An upper pinion gear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lower pinion gear and meshing with the second rack gear, the upper pinion gear being stacked on the lower pinion gear; And a rotary shaft connected to the axial center of the lower pinion gear and the upper pinion gear and coupled to an axial boss of the bottom cas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투 입출 장치는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봉투 입출부 및 봉투 공급부가 위치하고, 본체프레임의 저부에 카세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의 콤팩트화된 구성과 신뢰성 있는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를 봉투 입출 장치의 본체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시킬 때, 본체프레임의 가이드핀이 카세트의 핀삽입부에 체결됨에 따라 셔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셔터가 카세트의 봉투 진입구를 개폐시킴으로써, 카세트의 셔터의 언록킹 또는 록킹이 용이하다.The envelop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nvelope inlet / outlet part and the envelope feeding part ar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frame and the cassette i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ttom part of the main body frame, And a reliable operation can be realized. Further, when the cassette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frame of the envelope taking-out apparatus in a sliding manner, the shutter is locked as the guide pin of the main body frame is fastened to the pin inserting portion of the cassette and the shutter opens and closes the envelope entry opening of the cassette , It is easy to unlock or lock the shutter of the cassette.
또한, 본체프레임의 가이드핀이 카세트의 셔터를 개방 또는 해제 및 잠금 또는 풀림의 역할을 담당하는 열쇠로서의 기능을 작용하므로, 카세트에 맞는 가이드핀이 없는 곳에서는 카세트의 셔터를 열 수 없으므로, 카세트 내부에 보관된 입금 봉투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guide pin of the main frame functions as a key for opening or releasing the shutter of the cassette and locking or unlocking the shutter, the shutter of the cassette can not be opened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guide pin fitting the cassette, Can safely store the deposited deposit bag.
또한, 슬라이딩 입구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구비된 래치걸림홈과, 래치걸림홈에 착탈되도록 카세트에 구비된 푸시래치부를 제공함으로써, 카세트를 본체프레임에서 흔들리거나 뒤로 밀리지 않게 안착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latch latch groove provid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and the push latch portion provided in the cassette so as to be detached from and engaged with the latch latch groove, the cassette is seated in the main frame and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back, And can be released or releas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입금부와 봉투 공급부 및 카세트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장착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평면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세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카세트의 커버조립체의 커버케이싱의 상면을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세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카세트의 셔터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nvelope deposit unit, an envelope supply unit, and a casset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casing of the cassette cover assembly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3,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1,
6 is a plan view showing a shutter operation state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반입, 반출, 반송의 의미는 대상물일 봉투(예: 빈 봉투 또는 입금 봉투)를 운반 또는 공급 또는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meaning of carry-in, carry-out, and carry can be understood as conveying, supplying, or conveying one object envelope (for example, a blank envelope or a deposit bag).
또한, 입금 봉투의 의미는 봉투 입출부를 통해 방출된 빈 봉투에 현금 또는 수표 등의 지폐류를 넣어 봉합하고, 다시 봉투 입출부 쪽으로 진입된 봉투를 지칭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deposit envelope is to envelope the empty envelope discharged through the envelope inlet / outlet portion by inserting cash or a check or other bills, and then entering the envelope inlet / outlet portion agai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입금부와 봉투 공급부 및 카세트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장착된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nvelope deposit unit, an envelope supply unit, and a casset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banking automation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입출 장치는 빈 봉투(E)를 고객에게 반출 및 제공하거나 지폐류 등을 넣은 입금 봉투(F)를 반입 및 수취하는 금융거래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미 도시)와 함께, 전원공급부, 통신부, 입출력부, 전표처리부를 메인프레임(1)의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월타입(Wall Type) 금융자동화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1, the envelop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a financial transaction process for carrying out and providing a blank envelope E to a customer or for receiving and receiving a deposit bag F containing bills, (Not shown), and a wall type financial automation apparatus that can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 communication unit, an input / output unit, and a sheet processing unit i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입출 장치는 메인프레임(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본체(100)와, 메인프레임(1)의 단일의 봉투취급구멍(2)에 일치되도록 봉투출입구(201)를 위치시킨 봉투 입출부(200)와, 봉투 입출부(200)의 저부에 위치한 카세트(300), 본체(100)의 케이싱 내부에 위치한 반송부(400)와, 봉투 입출부(200)의 뒤쪽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 봉투 공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velop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메인프레임(1)은 본체(100) 및 봉투 공급부(500)를 외부로 꺼내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후방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메인 도어(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은 상측 정면쪽에 디스플레이부(3), 조작패널(4), 카드투입부(5) 등과 같이 무인금융거래용으로 사용되는 입출력 관련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본체(100)는 봉투 입출부(200), 카세트(300) 및 반송부(400)를 상호 연결시키는 본체프레임(101), 체결수단, 전원공급수단, 컨트롤러 기판, 동력전달수단, 감지수단(미 도시) 등을 총괄적으로 포함한 조립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조립체 형태로 메인프레임(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The
봉투 공급부(500)는 빈 봉투(E)를 봉투 입출부(200)를 통해 고객에게 반출 또는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본체프레임(101)은 봉투 입출 장치의 제어부에 해당하는 컨트롤러 기판 또는 전원공급 회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이때, 본체프레임(101) 상부의 일측에 봉투 입출부(200)가 위치하고, 본체프레임(101) 상부의 타측에 봉투 공급부(500)가 위치하고, 본체프레임(101)의 저부에 카세트(3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본체프레임(101)은 카세트(3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01)의 저부 타측(도 1의 우측)에 위치한 슬라이딩 입구부(102)와, 슬라이딩 입구부(102)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본체프레임(101)의 저부 일측(도 1의 좌측)에 위치한 핀지지판(103)(도 5 병행 참조)과, 핀지지판(103)에서 슬라이딩 입구부(102) 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가이드핀(104)(도 5 병행 참조)과, 핀지지판(103) 및 슬라이딩 입구부(102)의 사이로 본체프레임(101)의 내측 공간에서 쌍을 이루어 연장된 슬라이딩 레일(105)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평면을 보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ne cut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프레임(101)은 슬라이딩 입구부(102)의 주변에 배치되고, 본체프레임(101)의 내측면에 형성된 래치걸림홈(1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카세트(300)는 래치걸림홈(106)에 착탈될 수 있는 푸시래치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푸시래치부(310)는 일반적인 푸시래치 버튼 또는 스위치와 같은 상용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래치(311)는 탄성력에 의해 래치걸림홈(106)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탄성력을 이길 수 있는 힘으로 버튼(312)을 누를 경우, 푸시래치부(310)의 안쪽으로 인입될 수 있다. 즉, 래치(311)가 래치걸림홈(106)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The
다시 말하면, 푸시래치부(310)의 래치(311)가 래치걸림홈(106)에 걸려 있을 때, 카세트(300)는 본체프레임(101)에 고정 상태가 될 수 있고, 래치(311)가 래치걸림홈(106)으로부터 빠져 나와 있을 때, 카세트(300)는 본체프레임(101)으로부터 릴리스 상태가 되어 슬라이딩 입구부(102)를 통해 외부로 탈거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이에 따라, 카세트(300)는 푸시래치부(310)에 의해 본체프레임(101)에서 흔들리거나 뒤로 밀리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푸시래치부(310)의 버튼(312)을 누르고, 카세트(300)를 잡아당겨 본체프레임(101)의 외부로 카세트(300)를 탈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세트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카세트(300)는 카세트 도어(321)를 갖고 상부가 개방된 보관함부(320)와, 보관함부(3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보관함부(320)의 상부테두리에 결합되고 슬라이더 및 셔터부(340)가 장착된 커버조립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푸시래치부(310)는 커버조립체(33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커버조립체(330)는 커버조립체(330)의 상면에 형성된 봉투 진입구(331)를 개폐시키기 위한 셔터부(340)와, 커버조립체(330)의 측면에 마련되어 가이드핀(104)을 수용하는 핀삽입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104)은 핀삽입부(350)에 삽입되어 셔터부(340)의 개폐 및 잠금해제를 유발할 수 있다.The
핀삽입부(350)는 가이드핀(104)(도 5 참조)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핀(10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핀(104)은 원형 솔리드 샤프트와 같은 핀부와, 핀부의 선단쪽 부위에서 핀부의 직경방향으로 결합된 상하 돌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하 돌기는 핀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이러한 형상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핀삽입부(350)의 구멍 형상은 가이드핀(104)의 직경과 유격을 고려한 사이즈의 원형 구멍과, 가이드핀(104)의 상하 돌기의 돌출 높이를 고려한 상하 슬릿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le shape of th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카세트의 커버조립체의 커버케이싱의 상면을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세트의 분리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rface of a cover casing of a cover assembly of a cassette according to line B-B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조립체(330)는 커버케이싱(389), 셔터부(340), 핀삽입부(350), 록킹부(360), 슬라이더(370), 바닥케이싱(380), 방향전환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바닥케이싱(380)과 커버케이싱(389)의 내측 공간에는 셔터부(340), 핀삽입부(350), 록킹부(360), 슬라이더(370) 및 방향전환부(390)가 설치되어 있다.A
커버조립체(330)는 슬라이더(370) 및 셔터부(34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가이드핀(104)이 핀삽입부(350)의 원형 구멍 및 상하 슬릿 구멍을 통해 카세트(300)의 커버조립체(33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에 대응하여, 슬라이더(37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록킹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서, 록킹부(360)는 가이드핀(104)의 상하 돌기(104a)에 밀려 회전하거나, 가이드핀(104)이 핀삽입부(350)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스프링(362)의 탄성복원력으로 역회전하는 걸쇠(361)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록킹부(360)는 가이드핀(104)의 개수에 대응하게 걸쇠(361) 및 잠금스프링(362)을 구비할 수 있되, 예컨대 걸쇠(361) 및 잠금스프링(362)을 쌍으로 구비할 수 있다.The locking
각 걸쇠(361)는 테이퍼 형상의 걸쇠단턱(363)을 가지고 있다. 걸쇠단턱(363)은 가이드핀(104)이 핀삽입부(350)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후술할 걸림턱(375)를 걸 수 있다.Each
슬라이더(370)는, 록킹부(36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커버조립체(330)의 내부로 더 진입되는 가이드핀(104)의 선단(104b)과 접촉되어 밀려 이동함으로써, 셔터부(340)에 연결된 방향전환부(39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The
가이드핀(104)을 이용한 셔터부(340)의 개폐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하면, 카세트(300)의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가이드핀(104)은 카세트(300)에 대해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다. 상대 운동을 하는 가이드핀(104)은 제 1 랙기어(376)가 구비된 슬라이더(370)를 이동(후진)시킬 수 있다. 이런 슬라이더(370)의 이동은 슬라이더(370)의 제 1 랙기어(376)와 셔터부(340)의 제 2 랙기어(343)의 사이에 치합된 방향전환부(39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방향전환부(390)의 회전은 제 2 랙기어(343)를 통해 셔터부(370)를 상기 슬라이더(370)의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전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전진된 셔터부(370)는 커버조립체(330)의 봉투 진입구(331)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슬라이더(370)는 록킹부(360)의 걸쇠단턱(363)에 록킹 또는 릴리스 상태가 될 수 있는 걸림턱(375)을 갖는 슬라이더하부(373)와, 슬라이더하부(373)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고 제 1 랙기어(376)가 양측에 마련된 슬라이더상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슬라이더(370)는 바닥케이싱(380)의 한 쌍의 바닥가이드레일(381)에 의해 가이드되어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The
바닥가이드레일(381)의 사이에는 메인스프링 지지턱(382)이 형성되어 있다.A main
메인스프링(382)은 메인스프링 지지턱(382)과 슬라이더상부(373)의 핀접촉부(371)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어, 메인스프링 지지턱(382)을 기반으로 슬라이더(370)에게 탄성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다.The
한편, 셔터부(340)는 바닥케이싱(380)의 바닥면을 슬라이딩면으로 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런 셔터부(340)는 커버조립체(330)의 커버케이싱(389)의 봉투 진입구(331)와 대등하거나 동일한 사이즈의 관통구멍을 갖는 셔터구멍부(341)와, 셔터구멍부(34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봉투 진입구(331)를 막을 수 있는 평면형상을 갖는 덮개판(342)과, 덮개판(34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덮개판(342)에 결합된 한 쌍의 제 2 랙기어(3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바닥케이싱(380)에는 봉투 진입구(331) 또는 셔터구멍부(341)의 관통구멍보다 상대적으로 큰 구멍의 개구부(383)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The
방향전환부(390)는 하부피니언기어(391), 상부피니언기어(392) 및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향전환부(390)는 제 1 랙기어(376) 에 치합되는 하부피니언기어(391)와, 하부피니언기어(391) 보다 직경이 크고 제 2 랙기어(343)에 치합되며 하부피니언기어(391)의 상부에 적층된 상부피니언기어(392)와, 하부피니언기어(391) 및 상부피니언기어(392)의 축심에 연결되고 바닥케이싱(380)의 축보스(383)에 결합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피니언기어(391)와 상부피니언기어(392)는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질 수 있다.The turning
슬라이더(370)는 제 1 랙기어(376)가 방향전환부(390)의 하부피니언기어(391)와 연동됨으로써 이동되고, 셔터부(340)는 제 2 랙기어(343)가 방향전환부(390)의 상부피니언기어(392)와 연동됨으로써 이동된다. The
여기서, 제 1 랙기어(376)와 제 2 랙기어(343)는 방향전환부(390)를 중심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방향전환부(390)는 서로 기어치를 서로 마주보게 향하는 제 1 랙기어(376)와 제 2 랙기어(343)의 사이에 개재 및 치합되어 있으므로, 제 1 랙기어(376)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을 제 2 랙기어(343)의 후진 또는 전진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랙기어(376)와 제 2 랙기어(343) 및 방향전환부(390)에 의해 셔터부(340)와 슬라이더(37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이하, 본 실시예의 카세트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assette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카세트의 셔터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shutter operation state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카세트(300)가 가이드핀(104)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상대 운동에 따라 가이드핀(104)이 핀삽입부(350)의 원형 구멍 및 상하 슬릿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6, when the
이런 경우, 가이드핀(104)의 상하 돌기(104a)는 록킹부의 걸쇠(361)의 경사면(361a)와 미끄럼접촉면(361b)을 따라 접촉하면서 걸쇠(361)를 회전시키고, 그 결과, 걸쇠(361)의 걸쇠단턱(363)과 슬라이더(370)의 걸림턱(375)이 릴리스 상태가 될 수 있다.The upper and
이후, 가이드핀(104)의 선단(104b)은 커버조립체(330)의 내부로 더 진입하여 핀접촉부(371)와 접촉하면서 밀고 들어가 슬라이더(370)를 후진(예: 도 6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메인스프링(372)은 슬라이더(370)의 핀접촉부(371)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The
이렇게 가이드핀(104)에 의해 슬라이더(370)가 후진하는 동안 제 1 랙기어(376)도 후진하면서 방향전환부(390)를 제 1 방향(A)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us, while the
제 1 방향(A)으로 회전하는 방향전환부(390)는 제 2 랙기어(343)가 마련된 셔터부(340)를 전진(예: 도 6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그 결과, 셔터부(340)의 셔터구멍부(341)의 관통구멍과, 커버조립체(330)의 상면의 봉투 진입구(331) 및, 커버조립체(330)의 바닥케이싱(380)의 개구부(383)가 모두 관통하게 되어서, 앞서 도 1에서 언급한 입금 봉투가 카세트(30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through hole of the
반대로, 사용자가 카세트(300)를 가이드핀(104)의 바깥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경우, 가이드핀(104)이 핀삽입부(350)의 원형 구멍 및 상하 슬릿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user slides the
이런 경우, 압축된 메인스프링(37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370)가 전진(도 6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이렇게 슬라이더(370)가 전진하는 동안 제 1 랙기어(376)도 전진하면서 방향전환부(390)를 제 2 방향(B)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us, while the
제 2 방향(B)으로 회전하는 방향전환부(390)는 제 2 랙기어(343) 및 셔터부(340)를 후진(예: 도 6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The
그 결과, 셔터부(340)의 덮개판(342)이 커버조립체(330)의 상면의 봉투 진입구(331) 및 커버조립체(330)의 바닥케이싱(380)의 개구부(383)를 막아서 입금 봉투의 입출이 제한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이와 함께, 록킹부의 걸쇠(361)의 걸쇠단턱(363)과 슬라이더(370)의 걸림턱(375)이 록킹 상태가 되고, 그 결과, 셔터부(340)도 역시 록킹 상태가 되어서 상기 봉투 진입구(331) 및 개구부(383)가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latching
위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투 입출 장치는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봉투 입출부 및 봉투 공급부가 위치하고, 본체프레임의 저부에 카세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의 콤팩트화된 구성과 신뢰성 있는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를 봉투 입출 장치의 본체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시킬 때, 본체프레임의 가이드핀이 카세트의 핀삽입부에 체결됨에 따라 셔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셔터가 카세트의 봉투 진입구를 개폐시킴으로써, 카세트의 셔터의 언록킹 또는 록킹이 용이하다.The envelop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nvelope inlet / outlet portion and the envelope feeding portion a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and the cassette i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And can realize a reliabl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Further, when the cassette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frame of the envelope taking-out apparatus in a sliding manner, the shutter is locked as the guide pin of the main body frame is fastened to the pin inserting portion of the cassette and the shutter opens and closes the envelope entry opening of the cassette , It is easy to unlock or lock the shutter of the cassette.
또한, 본체프레임의 가이드핀이 카세트의 셔터를 개방 또는 해제 및 잠금 또는 풀림의 역할을 담당하는 열쇠로서의 기능을 작용하므로, 카세트에 맞는 가이드핀이 없는 곳에서는 카세트의 셔터를 열 수 없으므로, 카세트 내부에 보관된 입금 봉투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guide pin of the main frame functions as a key for opening or releasing the shutter of the cassette and locking or unlocking the shutter, the shutter of the cassette can not be opened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guide pin fitting the cassette, Can safely store the deposited deposit bag.
또한, 슬라이딩 입구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구비된 래치걸림홈과, 래치걸림홈에 착탈되도록 카세트에 구비된 푸시래치부를 제공함으로써, 카세트를 본체프레임에서 흔들리거나 뒤로 밀리지 않게 안착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latch latch groove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and the push latch portion provided in the cassette so as to be detached from and engaged with the latch latch groove, the cassette is seated in the main frame without being pushed or pushed back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leased or releas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봉투 입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nvelop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refore,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 200 : 봉투 입출부
300 : 카세트 400 : 반송부
500 : 봉투 공급부 510 : 링크부
520 : 누름판 530 : 정렬판
540 : 감지부 550 : 급지부
560, 561 : 바퀴부100: main body 200: envelope inlet /
300: cassette 400:
500: envelope supply part 510: link part
520: press plate 530: alignment plate
540: sensing unit 550: paper feed unit
560, 561:
Claims (12)
상기 봉투 입출부 및 상기 봉투 공급부를 지지하고, 가이드핀을 갖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고, 상기 입금 봉투를 보관하는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가 상기 가이드핀과 연동하는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카세트의 셔터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의 봉투 진입구를 상기 셔터부로 개폐시키는 봉투 입출 장치.
An envelope input / output apparatus having an envelope input / output section for providing a user with an empty envelope of an envelope supply section through a envelope input / output section or receiving a deposit envelope from a user,
A main body frame supporting the envelope inlet / outlet part and the envelope feeding part and having guide pins;
And a cassette which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main body frame in a sliding manner and which stores the deposit bag,
Wherein the cassette moves the shutter portion of the cassette by a slider interlocking with the guide pin and opens and closes the envelope entry opening of the cassette by the shutter portion.
상기 카세트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슬라이딩 입구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래치걸림홈에 착탈될 수 있는 푸시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봉투 입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sette
And a push latch portion which is disposed around the sliding inlet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an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atch latch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Envelope input / output device.
상기 카세트는,
카세트 도어를 갖고 상부가 개방된 보관함부; 및
상기 보관함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보관함부의 상부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셔터부가 장착된 커버조립체를 포함하는 봉투 입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sette
A storage unit having a cassette door and an open top; And
And a cover assembly coupled to an upper edg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cover the open top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o which the slider and the shutter compartment are mounted.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커버조립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봉투 진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셔터부; 및
상기 커버조립체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는 핀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핀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셔터부의 개폐 및 잠금해제를 유발하는 봉투 입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assembly includes:
A shutter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velope entran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And
And a pin insertion porti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to receive the guide pin,
Wherein the guide pin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portion to caus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portion and unlocking of the shutter portion.
상기 핀삽입부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봉투 입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in-
Wherein the guide pi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pin so that the guide pin can be inserted.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더 및 셔터부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가이드핀이 핀삽입부의 원형 구멍 및 상하 슬릿 구멍을 통해 상기 커버조립체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봉투 입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assembly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slider in response to entry of the guide pin into the cover assembly through the circular hole and the upper and lower slit holes of the pin insertion portion while keeping the slider and the shutter portion in a locked state Envelope input / output device.
상기 록킹부는,
상기 가이드핀의 상하 돌기에 밀려 회전하거나,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핀삽입부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역회전하는 걸쇠를 포함하는 봉투 입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d a latch which is pivoted by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guide pin or is rotated in a reverse directi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lock spring in a state where the guide pin is not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portion.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셔터부에 연결된 방향전환부; 및
상기 록킹부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상기 커버조립체의 내부로 더 진입되는 상기 가이드핀의 선단과 접촉되어 밀려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부를 회전시키는 봉투 입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ver assembly includes:
A direction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shutter unit; And
The slider being pushed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guide pin further enter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over assembly to unlock the locking portion,
And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is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상기 카세트는,
상기 카세트에 대한 상기 가이드핀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의 제 1 랙기어와 상기 셔터부의 제 2 랙기어의 사이에 치합된 방향전환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방향전환부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제 2 랙기어 및 상기 셔터부를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셔터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의 봉투 진입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입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assette
The guide pin moves the slider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guide pin with respect to the cassette, and the movement of the slider causes switching between the first rack gear of the slider and the second rack gear of the shutter portion The second rack gear and the shutter portion are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due to the rota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portion, and the moved shutter portion opens the envelope entry opening of the cover assembly. I / O devices.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록킹부의 걸쇠단턱에 록킹 또는 릴리스 상태가 될 수 있는 걸림턱을 갖는 슬라이더하부; 및
상기 슬라이더하부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 랙기어가 양측에 마련된 슬라이더상부를 포함하는 봉투 입출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lider
A slider lower portion having a latching jaw that can be locked or released in a latching step of the locking portion; And
And a slider upper portion coupl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ack gear.
상기 셔터부는,
상기 커버조립체의 커버케이싱의 봉투 진입구와 대등하거나 동일한 사이즈의 관통구멍을 갖는 셔터구멍부;
상기 셔터구멍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봉투 진입구를 막을 수 있는 평면형상을 갖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에 결합된 제 2 랙기어를 포함하는 봉투 입출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shutter hole having a through hole having a size equal to or the same as an envelope entry opening of the cover casing of the cover assembly;
A cover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utter hole portion and having a planar shape capable of blocking the envelope entry opening; And
And a second rack gear coupled to the cover plate.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제 1 랙기어에 치합되는 하부피니언기어;
상기 하부피니언기어 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제 2 랙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하부피니언기어의 상부에 적층된 상부피니언기어; 및
상기 하부피니언기어와 상기 상부피니언기어의 축심에 연결되고, 바닥케이싱의 축보스에 결합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봉투 입출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lower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first rack gear;
An upper pinion gear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lower pinion gear and meshing with the second rack gear, the upper pinion gear being stacked on the lower pinion gear; And
And a rotary shaft connected to an axial center of the lower pinion gear and the upper pinion gear and coupled to an axial boss of the bottom cas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18810A KR20140052583A (en) | 2012-10-25 | 2012-10-25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envelo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18810A KR20140052583A (en) | 2012-10-25 | 2012-10-25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envelop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52583A true KR20140052583A (en) | 2014-05-07 |
Family
ID=508857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18810A Withdrawn KR20140052583A (en) | 2012-10-25 | 2012-10-25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envelop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052583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37474B1 (en) * | 2015-01-26 | 2016-07-08 |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 An apparatus for treating bank notes and a method for treating bank notes |
| KR20200082065A (en) * | 2018-12-28 | 2020-07-08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Bill stacking apparatu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
2012
- 2012-10-25 KR KR1020120118810A patent/KR20140052583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37474B1 (en) * | 2015-01-26 | 2016-07-08 |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 An apparatus for treating bank notes and a method for treating bank notes |
| KR20200082065A (en) * | 2018-12-28 | 2020-07-08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Bill stacking apparatu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 US10783756B2 (en) | 2018-12-28 | 2020-09-22 | Hyosung TNS Inc. | Medium storage apparatu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TW505902B (en) | Bill handling machine | |
| EP0168591B1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ash container | |
| US6050448A (en) | Card dispensing cassette | |
| US20030116623A1 (en) | Media container module | |
| US4509631A (en) | Coin door assembly | |
| US8181766B2 (en) | Roller storage system | |
| CN105321268B (en) | Media processing device and finance device | |
| CN110570606A (en) | cash receiving box with better anti-theft performance | |
| US20090272621A1 (en) | Cash box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 |
| KR100926856B1 (en) | Recovery box structur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 |
| KR20140052583A (en)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envelope | |
| KR101615088B1 (en) | 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 |
| CN212454089U (en) | Safe deposit box | |
| CN212337029U (en) | Noble metal storage device | |
| EP2482258A1 (en) | Storage drawer for banknotes and valuables | |
| WO2004111955A1 (en) | Article retrieval equipment | |
| JP4597029B2 (en) | Locker locking device | |
| KR101628204B1 (en) | Teller cash recycler | |
| CN210377699U (en) | Cash receiving box with better anti-theft performance | |
| CN110880215B (en) | Recovery box, bill issuing machine and financial equipment | |
| JPH11339102A (en) | Coin processor | |
| KR100597102B1 (en) | Collection of paper money dispenser | |
| KR100597101B1 (en) | Collection of paper money dispenser | |
| CN218630926U (en) | Cash processing equipment | |
| CN213276703U (en) | Card issu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