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054A - 자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패키지 - Google Patents
자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패키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4054A KR20140054054A KR1020147003722A KR20147003722A KR20140054054A KR 20140054054 A KR20140054054 A KR 20140054054A KR 1020147003722 A KR1020147003722 A KR 1020147003722A KR 20147003722 A KR20147003722 A KR 20147003722A KR 20140054054 A KR20140054054 A KR 201400540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element
- support structure
- deformable wall
- magnetic
- access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48 laminate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2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894 snou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41 Myl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g Fram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위한 수납 패키지가 제공되는바, 상기 수납 패키지는:
액체 및 증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침투성인 몸체로서, 증발성 용액으로 미리 적셔진 복수의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수용 및 보관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가지며, 습식 와이퍼 시트들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한 출입 개구(access opening)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1 지지 구조물 상에 지지되는 자석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 요소; 및
상기 제1 밀봉 요소에 대한 상보적인 자석 이끌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밀봉 요소로서,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2 지지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구조물은 상기 출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지지 구조물에 대해 선택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제1 지지 구조물이 제2 지지 구조물에 대해 대향된 관계로 접촉하면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밀봉 요소와 제2 밀봉 요소는 제1 지지 구조물과 제2 지지 구조물을 통해서 작용함으로써 상기 출입 개구를 폐쇄된 상태로 가역적으로 밀봉하는 자성 밀봉부를 협력하여 형성한다.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패키징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액체 및 증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침투성인 몸체로서, 증발성 용액으로 미리 적셔진 복수의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수용 및 보관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가지며, 습식 와이퍼 시트들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한 출입 개구(access opening)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1 지지 구조물 상에 지지되는 자석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 요소; 및
상기 제1 밀봉 요소에 대한 상보적인 자석 이끌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밀봉 요소로서,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2 지지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구조물은 상기 출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지지 구조물에 대해 선택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제1 지지 구조물이 제2 지지 구조물에 대해 대향된 관계로 접촉하면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밀봉 요소와 제2 밀봉 요소는 제1 지지 구조물과 제2 지지 구조물을 통해서 작용함으로써 상기 출입 개구를 폐쇄된 상태로 가역적으로 밀봉하는 자성 밀봉부를 협력하여 형성한다.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패키징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Description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1년 8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14,58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그 출원의 내용은 여기에 모두 기재된 것처럼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세정용 습식 와이퍼를 위한 패키지 구성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불침투성 수납 구조를 갖는 세정용 습식 와이퍼 패키지에 관한 것인데, 상기 패키지는 개구의 주변에 인접한 위치에 개구를 선택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 스트립을 포함하는 재밀봉가능한(resealable) 개구를 구비하며, 이로써 상기 세정용 습식 와이퍼를 미리 적시기 위해 이용되는 용제나 약제의 증발을 막는다.
직물 구성의 세정용 습식 와이퍼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습식 와이퍼는 용제 또는 다른 세정용 약제로 미리 적셔진 다음에 적절한 패키지 안에 보관된다. 그러한 패키지는 담겨 있는 습식 와이퍼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는 유연성 인벨롭 용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습식 와이퍼 패키지는 분리가능한 표면 덮개 또는 뚜껑을 갖는, 상대적으로 얕은 쟁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개별의 습식 와이퍼들을 인출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주둥이 개구를 통해 습식 와이퍼 패키지의 내부에 여러번 접근할 수 있다. 사용 중간에 용기를 닫으면, 용제 또는 다른 세정용 약제의 증발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978,889호에는 그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에 해당되는 재밀봉가능한 패키지가 개시되어 있는바, 해당 문헌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그러한 시스템은 그럭저럭 사용될 수 있긴 하지만, 여러 번의 사용 후에는 분리가능한 접착제의 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유연한 보관 컨테이너를 위한 개선된 밀봉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
본 발명은 증발하는 용제로 미리 적셔진 습식 와이퍼들을 위한 수납 패키지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습식 와이퍼 시트 패키지 시스템에 비해 장점과 대안을 제공한다. 상기 수납 패키지는 출입 개구와 함께, 상기 출입 개구를 선택적으로 밀봉하도록 구성되고 반대 극성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이끌림 스트립(attracted strip)들을 포함하여, 밀봉 상태에서 용제의 증발을 방지 또는 감소시킨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
[0002] In accordance with one exemplary practice,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수납 패키지 for 습식 와이퍼 시트들 including a liquid and vapor impermeable 몸체 having an 내부 adapted to receive and store a plurality of 습식 와이퍼 시트들 presaturated with a solution subject to evaporation. The 몸체 includes an 출입 개구 adapted for 삽입 and 인출 of the 습식 와이퍼 시트들 through the 출입 개구. At least a 제1 밀봉 요소 defining a magnet is supported on a 제1 지지 구조물 at a position outside of the 내부. At least a 제2 밀봉 요소 of magnetized or non-magnetized character having a complementary magnetic attraction to the 제1 밀봉 요소 is disposed on a 제2 지지 구조물 at a position outside of the 내부. The 제2 지지 구조물 is selectively moveable relative to the 제1 지지 구조물 to open and close the 출입 개구 such that when the 제1 지지 구조물 disposed in contacting, opposing relation to the 제2 지지 구조물, the 제1 밀봉 요소 and the 제2 밀봉 요소 will act through the 제1 지지 구조물 and the 제2 지지 구조물 to cooperatively form a 자성 밀봉부 so as to reversibly seal the 출입 개구 in a closed condition. A method of 패키지 습식 와이퍼 시트들 is also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하기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들을 참조함에 따라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 은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연성 수납 인벨롭 구조(pliable containment envelope construction)의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상기 인벨롭의 개방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전체적으로 도 1 의 2-2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여기에서는 상기 인벨롭의 폐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패키지 인벨롭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블랭크 재료(blank material)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 는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패키지 트레이(packaging tray)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여기에는 패키지 용기(packaging container)의 폐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는 전체적으로 도 4 의 5-5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소정의 예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 및 과정과 연계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렇게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 및 과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보다는, 본 출원인은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넓게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변형예들과 대안예들을 포괄함을 의도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에는 전체적으로 도 1 의 2-2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여기에서는 상기 인벨롭의 폐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패키지 인벨롭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블랭크 재료(blank material)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 는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패키지 트레이(packaging tray)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여기에는 패키지 용기(packaging container)의 폐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는 전체적으로 도 4 의 5-5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소정의 예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 및 과정과 연계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렇게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 및 과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보다는, 본 출원인은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넓게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변형예들과 대안예들을 포괄함을 의도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다양한 도면들에 걸쳐서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가급적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도록 하였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단일 겹 또는 복수 겹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습식 와이퍼 시트(10)들의 다수를 위한 예시적인 패키지가 도시되어 있다. 일 예일 뿐이지만, 습식 와이퍼 시트(10)들은 용제 또는 다른 세정용 약제로 미리 적셔진 비직조 흡수성 직물 재료(non-woven absorbent textile material) 또는 직조 니트(woven knit)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는 점이 고찰된다. 상기 습식 와이퍼 시트들은 접힘을 허용하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다.
도 1 및 도 2 의 실시예에서, 습식 와이퍼 시트들(10)은 포일 라미네이트(foil laminate)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재료로 된 유연성 수납 인벨롭(12) 안에 보관되는바, 상기 포일 라미네이트 또는 상기 다른 재료는 액체 및 가스의 투과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침투성인 인벨롭 몸체를 형성한다. 수납 인벨롭(12)은 재밀봉가능한 주둥이 개구(mouth opening; 14)(파우치 개구(pouch opening) 또는 출입 개구(access opening)라고 호칭되기도 함)를 포함하는바, 변형가능한 벽들의 상부에 있는 제1 주변 에지(16)와 제2 주변 에지(18)는 실질적으로 주둥이 개구(14)의 길이를 따라서 서로 대향된 방위를 갖는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변 에지(16)와 제2 주변 에지(18) 각각은 변형가능 벽을 형성하는 수납 인벨롭 재료를 자신에 대해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써 주둥이 개구로부터 외향으로 층들 사이에 주머니가 있는 이중 층 커프 구조(double layer cuff construction)가 수립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도시된 예시적인 구성에서는, 자성 스트립의 형태인 제1 밀봉 요소(20)가 제1 주변 에지(16) 아래의 주머니 안에 실질적으로 덮여 수납되는 관계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성 스트립의 형태이거나, 또는 제1 밀봉 요소(20)에 대해 자성에 의해 이끌릴 수 있는 자른 재료로 된 제2 밀봉 요소(22)는 제2 주변 에지(18) 아래의 주머니 안에 실질적으로 덮여 수납되는 관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요소들(20, 22)은 서로 협력하여, 작동하는 자성 밀봉부를 형성하는바, 상기 자성 밀봉부는 바람직하게는 주둥이 개구(14)의 길이 전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상보적인 밀봉 요소들(20, 22)은 실질적으로 주변 에지들(16, 18)의 내부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에서는 상기 자성 스트립들이 주변 에지들 아래의 주머니 안에서 요망되는 임의의 대향된 높이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밀봉 요소(20) 및 제2 밀봉 요소(22)를 수납하는 주머니들은 필요하다면 폐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인벨롭 재료의 접혀진 부분은, 표면 밀봉부(24)를 형성하기 위하여, 밀봉 요소들(20, 22) 아래의 높이에서 인벨롭 몸체의 일부분에 접착 접합 또는 가열 접합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그러한 표면 밀봉부(24)는 수납 인벨롭(12)의 주변 주위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표면 밀봉부가 형성되는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들(20, 22)이 인벨롭 재료의 접혀진 부분들에 의해서 외부가 실질적으로 덮일 것인바, 이로써 밀봉 요소들(20, 22)은 보이지 않게 되고 수납 인벨롭(12)을 위한 외측 접촉 표면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밀봉 요소들(20, 22)은 사용 환경에서 다른 표면들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될 것이다. 밀봉 요소들의 이와 같은 격리는, 밀봉 요소들의 온전함(integrity)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밀봉 요소들을 형성하는 재료로부터의 외측 표면에 대한 잠재적인 오염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구조에서, 상기 밀봉 요소들(20, 22) 각각은 수납 인벨롭(12)의 내부로부터 격리되기도 한다. 따라서, 실제에서, 습식 와이퍼 시트(10)들은 밀봉 요소들(20, 22)을 형성하는 재료와 절대로 물리적인 접촉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밀봉 요소들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방지된다.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일 예로서, 적어도 제1 밀봉 요소(20)는, 유연한 특성을 가지며 결정된 극성의 자성을 가진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폴리머 산화철(polymeric ferrous oxide)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2 밀봉 요소(22)는 제1 밀봉 요소(20)에 대해 반대 극성의 자성을 가진, 폴리머 산화철과 같은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밀봉 요소(22)가 제1 밀봉 요소(22)에 대한 자기적인 이끌림을 갖는, 자성이 없는 금속 스트립 또는 다른 재료로 될 수 있다. 상보적인 밀봉 요소들(20, 22) 각각은,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술 수단에 의하여, 수납 인벨롭(12)의 변형가능 벽의 표면 상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인벨롭의 대향된 변형가능 벽들은 밀봉 요소들(20, 22)을 위한 지지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해되겠지만, 수납 인벨롭의 대향된 변형가능 벽들이 밀봉 요소들과 습식 와이퍼 시트(10)들 사이에 장벽을 형성하는 채로 수납 인벨롭(12)의 외부에 상기 상보적인 밀봉 요소들(20, 22)을 배치함으로써, 습식 와이퍼 시트(10)들이 수납 인벨롭을 형성하는 재료와만 접촉하게 됨이 보장된다.
밀봉 요소들(20, 22)의 배치와는 무관하게, 밀봉 요소들은 서로 자성에 의한 이끌림이라는 특징을 가지므로, 제2 주변 에지(18)와 함께 제1 주변 에지(16)를 누름으로써 수납 인벨롭(12)을 폐쇄된 채로 유지시키는 효과적인 자성 밀봉부가 얻어진다 (도 2). 밀봉된 상태에서는,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적시고 있는 유체의 증발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밀봉 요소들(20, 22) 사이의 인벨롭 재료의 합쳐진 유효 두께(combined effective thickness)는, 인벨롭 재료의 대향된 표면들이 접촉하는 관계에 있는 때에도 자성 밀봉력이 수립 및 유지되도록 정해진다. 물론, 상기 유효 두께는 대향된 밀봉 요소들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의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시, 사용자가 제1 주변 에지(16)와 제2 주변 에지(18)를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수작업으로 당겨서 전단력을 가하면 밀봉 상태가 해제되어 수납 인벨롭(12)이 개방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밀봉 시스템이 종래에 알려진 유연성 수납 인벨롭에서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필름 라미네이트(film laminate)을 이용한다면, 밀봉 상태에서의 증발이 실질적으로 방지되어서, 사용시 주기적인 개방 및 폐쇄에도 불구하고 증발 손실이 통상적으로 최초 중량의 대략 10% 미만이라는 점이 밝혀졌는데, 증발 손실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5% 미만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2%미만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구조에서, 수납 인벨롭(12)의 몸체는 양 단부에 단부 거싯(end gusset; 30)(하나만 도시되어 있음)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각 거싯으로부터 주둥이 개구(14)를 향하여는 비-거싯 단부 솔기(non-gusseted end seam; 32)가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주둥이 개구에 과잉의 재료가 있게 됨을 방지하면서도, 거싯(30)들의 팽창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큰 체적의 습식 와이퍼 시트(10)들을 패키징함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그러한 구조는 도 3 에 도시된 포일 라미네이트 재료(foil laminate material)의 대칭적인 패널(40)을 이분할 접음선(42)을 따라서 접은 다음에 가열 밀봉 또는 다른 방법으로 겹쳐지는 주변 에지들을 연결하여 3차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거싯을 갖는 인벨롭이 제공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개수의 다른 구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수납 인벨롭(12)을 위한 자성 밀봉부를 형성하는 상보적인 밀봉 요소들을 이용하면 다수의 유리한 장점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밀봉부가 자성을 갖기 때문에, 수차례의 사용 후에 밀봉 강도의 열화(약해짐)가 없게 된다. 이것은, 접착 밀봉부 또는 물리적 밀봉부의 경우와 대조적인데, 이들은 수차례의 사용 후에 열화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있더라도 밀봉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장점은, 상이한 표면들 사이에 슬라이딩 접촉(sliding contact)이 없기 때문에 입자가 발생되는 경향이 적다는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 입자 발생의 감소는, 밀봉 요소들(20, 22)이 수납 인벨롭의 외부에 있는 때에 특히 현저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용제 또는 다른 적심을 위한 액체와의 화학적 양립성(chemical compatibility)을 유지하는 능력이다. 이 점에 있어서, 화학적 양립성을 유지하는 장점은 밀봉 요소들(20, 22)이 수납 인벨롭(12)의 외부에 있는 때에 특히 현저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수납 인벨롭(12)의 포일 또는 다른 기초 재료만이 용제 또는 다른 적심을 위한 액체와 접촉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수납 인벨롭(12)을 형성하는 포일 또는 다른 기초 재료의 면-대-면 접촉(face to face contact)에 의해서 밀봉이 형성된다. 그러한 재료는 용제에 대해 불침투성일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휘발성 배출의 갇힘이 증가된다.
도 4 및 도 5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수건 용기(wipe container; 130)가 오목한 구조의 트레이 몸체(132)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몸체(132)의 상측 주변 에지 주위에 배치된 일체형 플랜지(134)를 구비한다. 상기 트레이 몸체(132)를 덮도록 안착하는, 선택적으로 변위가능한 뚜껑(136)이 제공된다. 상기 트레이 몸체(132)와 뚜껑(136) 둘 다는, 트레이 몸체(132)의 내부에 보관되는 습식 와이퍼 시트들(미도시)을 적시는 임의의 용제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침투성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마일라(Mylar),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트레이 몸체(132)는 리빙 힌지(living hinge; 140) 또는 다른 힌지 연결부를 따라서 뚜껑(136)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몸체(132)와 뚜껑(136)은 구조와 무관하게 별도의 것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구조에서는, 자성 스트립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가 뚜껑(136)의 자유 에지(free edge)들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말발굽 형상의 패턴으로 뚜겅(136)의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는, 자석을 형성하는 폴리머 산화철 등과 같은 자성을 가진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술에 의해서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뚜껑(136)의 표면 상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는 상측 캡 구조물(upper cap structure; 15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측 캡 구조물(152)은 뚜껑(136)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접착제 접찹, 용융 접합,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기술로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성의 재료와 부착 기술도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 구성으로서, 상측 캡 구조물(152)은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를 실질적으로 캡슐화(encapsulate)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는 사용 환경에서 다른 표면들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격리는 밀봉 요소의 온전함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를 형성하는 재료로부터의 잠재적인 오염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상측 탭 구조물이 제거될 수 있다는 점도 고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는, 뚜껑(136)이 폐쇄 상태에 있는 때에 플랜지(134)의 표면과 전체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는 플랜지(13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는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 대칭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예시적인 구조에서,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는 전체적으로 말발굽 형상의 패턴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패턴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는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와 반대인 극성을 갖는 폴리머 산화철 등과 같은 자성을 가진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가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에 대한 자기적인 이끌림을 갖는, 자성이 없는 금속 스트립 또는 다른 재료로 될 수 있다.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 및/또는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에 자성을 가진 재료와 자성을 갖지 않은 재료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는 점도 고찰된다.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술에 의해서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플랜지(134) 하측의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는 하측 캡 구조물(lower cap structure; 162)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하측 캡 구조물(162)은 트레이 몸체(132)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접착 접합, 용융 접합,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기술에 의해서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성 재료와 부착 기술이 이용될 수도 있다. 마지막 구성으로서, 하측 캡 구조물(162)은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를 실질적으로 캡슐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는 사용 환경에서 다른 표면들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격리는, 밀봉 요소의 온전함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를 형성하는 재료로부터의 잠재적인 오염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하측 탭 구조물(162)이 제거될 수 있다는 점도 고찰된다.
제1 밀봉 요소(150)들의 구성부와 제2 밀봉 요소(160)들의 구성부는 자성 이끌림의 특성을 갖는바, 플랜지(134)에 대해서 뚜껑(136)을 누르면 용기(130)가 폐쇄된 채로 유지되게 하는 자성 밀봉부를 수립하는 결과가 얻어진다. 이 점에 있어서, 대향된 자성 스트립들(150, 160) 사이의 플랜지(134)와 뚜껑(136)의 합쳐진 유효 두께는, 뚜껑(136)의 하측부가 플랜지(134)의 상측 표면에 접촉하는 때에 자성 밀봉력이 수립 및 유지되도록 정해진다. 물론, 상기 유효 두께는 대향된 밀봉 요소들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의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시, 사용자가 뚜껑(136)을 플랜지(134)로부터 멀리 당겨서 전단력을 가하면 밀봉 관계가 극복되어 용기(130)가 개방됨으로써, 내부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밀봉 요소들 외부의 영역들에는 개방 과정 중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가락 탭(finger ta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시적인 구성에서는, 상보적인 밀봉 요소들(150, 160)이 용기의 전방 에지와 측방 에지를 따라서 연장된 전체적으로 말발굽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뚜껑(136)은 리빙 힌지(140)를 따라서 부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136)은 출입 개구를 노출시키도록 트레이 몸체(132)로부터 멀리 들려올려질 수 있고, 그 다음에 대향된 밀봉 요소들의 정렬이 보장된 채로 원위치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자성 스트립들의 임의의 개수의 다른 패턴이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비-제한적인 비교예들을 참조로 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교예-
5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과 50%의 아세톤(acetone)의 혼합물로 적셔진 복수의 습식 와이퍼들을 파우치(pouch) 안에 넣음으로써, 세 가지 샘플의 자성 폐쇄 파우치 패키지가 준비되었다. 기본적인 통제(baseline control)와 비교를 위하여, 유사한 세트(set)의 샘플 습식 와이퍼들이 준비되었고, 이들은 자성 폐쇄 파우치(magnetic closure pouch)와 동일한 재료의 구조로 된 파우치 안에 넣어졌고, 가열 밀봉 방식으로 폐쇄되었다. 연속적인 30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각각의 자성 폐쇄 파우치는 잠깐 개방된 후에 폐쇄되어 습식 와이퍼의 인출을 시뮬레이션하였지만, 일정한 하중을 유지하고 증발로 인한 용제의 손실로 인한 하중 변화를 알기 위하여 습식 와이퍼가 인출되지는 않았다. 동일한 재료로 된 파우치 구조에 있어서의 최대 용제 수납(maximum solvent containment)을 결정하기 위하여, 밀봉 파우치 습식 와이퍼의 통제 세트(control set)는 개방되지 않았다. 그 다음에, 두 개의 샘플 세트들로부터 각 파우치의 하중이 측정 및 기록되었다. 분석은 각각의 샘플 세트에 있는 세 개의 파우치들의 하중의 평균값을 구하고, 측정이 수행된 각 날자에 있어서의 테스트 시작(0일)시의 평균하중에 대한 변화가 산출됨으로써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표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성 밀봉 파우치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완전히 밀봉되고 방해받지 않은 파우치에 비하여 초기 중량의 1.5% 미만의 손실을 기록하였다.
| 날(day) | 샘플 하중 (Kg) | 손실 하중 (%) |
| 0 | 0.8420 | 0.00% |
| 1 | 0.8416 | -0.05% |
| 2 | 0.8411 | -0.11% |
| 3 | 0.8407 | -0.16% |
| 4 | 0.8403 | -0.21% |
| 7 | 0.8396 | -0.29% |
| 8 | 0.8392 | -0.33% |
| 9 | 0.8386 | -0.40% |
| 10 | 0.8385 | -0.42% |
| 11 | 0.8380 | -0.48% |
| 14 | 0.8371 | -0.58% |
| 15 | 0.8369 | -0.61% |
| 16 | 0.8366 | -0.64% |
| 17 | 0.8361 | -0.70% |
| 18 | 0.8355 | -0.77% |
| 21 | 0.8354 | -0.78% |
| 22 | 0.8345 | -0.89% |
| 23 | 0.8341 | -0.94% |
| 24 | 0.8301 | -1.42% |
| 25 | 0.8329 | -1.08% |
| 28 | 0.8325 | -1.12% |
| 29 | 0.8323 | -1.16% |
| 30 | 0.8318 | -1.21% |
| 31 | 0.8313 | -1.27% |
| * 순서(날)에 있어서의 누락부분은 주말을 의미하며, 이 때에는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았다. | ||
물론, 전술된 내용의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도면들 및/또는 상기 설명에서 언급되었거나 또는 그로부터 자명한 개별 내용의 둘 이상의 조합을 포괄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조합들 모두는 본 발명의 다양한 대안예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최선예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청구범위는 종래 기술이 아닌 범위 내에서 대안적인 실시예들과 균등예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 습식 와이퍼 시트들(presaturated wiper sheets)을 위한 수납 패키지(containment package)로서, 상기 수납 패키지는:
액체 및 증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침투성인 몸체로서, 증발성 용액으로 미리 적셔진 복수의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수용 및 보관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가지며, 습식 와이퍼 시트들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한 출입 개구(access opening)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1 지지 구조물 상에 지지되는 자석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 요소; 및
상기 제1 밀봉 요소에 대한 상보적인 자석 이끌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밀봉 요소로서,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2 지지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구조물은 상기 출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지지 구조물에 대해 선택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제1 지지 구조물이 제2 지지 구조물에 대해 대향된 관계로 접촉하면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밀봉 요소와 제2 밀봉 요소는 제1 지지 구조물과 제2 지지 구조물을 통해서 작용함으로써 상기 출입 개구를 폐쇄된 상태로 가역적으로 밀봉하는 자성 밀봉부를 협력하여 형성하는, 수납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확장가능한 유연성 인벨롭(envelope)이고, 상기 인벨롭의 제1 변형가능 벽(first deformable wall)과 상기 인벨롭의 제2 변형가능 벽 사이에는 출입 개구가 위치하며, 상기 제1 변형가능 벽은 상기 제1 밀봉 요소를 지지하는 제1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변형가능 벽은 상기 제2 밀봉 요소를 지지하는 제2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는, 수납 패키지. - 제2항에 있어서,
유연성 인벨롭은 포일 라미네이트 재료(foil laminate material)로 형성되는, 수납 패키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요소는 상기 내부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1 변형가능 벽의 표면에 걸쳐서 출입 개구의 제1 주변 에지(first boundary edge)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된 자성 스트립(magnetized strip)이고,
상기 제2 밀봉 요소는 상기 내부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2 변형가능 벽의 표면에 걸쳐서 출입 개구의 제2 주변 에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된 자성 스트립인, 수납 패키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에지는 접혀진 에지(folded edge)로서, 상기 제1 변형가능 벽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밀봉 요소를 덮도록 접혀진 에지인, 수납 패키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요소를 덮도록 접혀진 상기 제1 변형가능 벽의 일부분은 제1 밀봉 요소 아래의 위치에서 몸체에 고정되는, 수납 패키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변 에지는 접혀진 에지로서, 상기 제2 변형가능 벽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밀봉 요소를 덮도록 접혀진 에지인, 수납 패키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요소를 덮도록 접혀진 상기 제2 변형가능 벽의 일부분은 제2 밀봉 요소 아래의 위치에서 몸체에 고정되는, 수납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유연성 인벨롭이고, 상기 인벨롭의 제1 변형가능 벽과 상기 인벨롭의 제2 변형가능 벽 사이에는 출입 개구가 위치하며, 상기 제1 변형가능 벽은 상기 제1 밀봉 요소를 지지하는 제1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변형가능 벽은 상기 제2 밀봉 요소를 지지하는 제2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밀봉 요소와 제2 밀봉 요소 각각은 자성을 가진 유연성의 강자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변 에지는 상기 제1 변형가능 벽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밀봉 요소를 덮도록 접혀진 에지이며, 상기 제1 밀봉 요소를 덮도록 접혀진 상기 제1 변형가능 벽의 일부분은 제1 밀봉 요소 아래의 위치에서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주변 에지는 상기 제2 변형가능 벽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밀봉 요소를 덮도록 접혀진 에지이며, 상기 제2 밀봉 요소를 덮도록 접혀진 상기 제2 변형가능 벽의 일부분은 제2 밀봉 요소 아래의 위치에서 몸체에 고정된, 수납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주변 벽(perimeter wall)들에 의해 둘러싸인 출입 개구를 구비한 트레이이고, 주변 벽으로부터 외향으로 멀리 연장된 플랜지는 플랜지의 하측부에 걸쳐서 배치된 제1 밀봉 요소를 지지하는 제1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출입 개구를 덮도록 구성된 분리가능한 뚜껑은 상기 뚜껑의 상측 표면에 걸쳐서 배치된 제2 밀봉 요소를 지지하는 제2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는, 수납 패키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뚜껑은 리빙 힌지(living hinge)를 따라서 상기 트레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수납 패키지.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요소는 상기 리빙 힌지를 제외한 트레이 주변의 실질적인 둘레로 제1 패턴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자성 스트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 요소는 상기 리빙 힌지를 제외한 뚜껑 주변의 실질적인 둘레로 거울 대칭인 패턴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자성 스트립들을 포함하는, 수납 패키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요소는 폴리머 캡 구조물(polymeric cap structure)에 의해 덮이는, 수납 패키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요소는 폴리머 캡 구조물에 의해 덮이는, 수납 패키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요소와 제2 밀봉 요소 각각은 폴리머 캡 구조물에 의해 덮이는, 수납 패키지. -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위한 수납 패키지로서,
액체 및 증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침투성인 몸체로서, 증발성 용액으로 미리 적셔진 복수의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수용 및 보관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가지며, 습식 와이퍼 시트들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한 출입 개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출입 개구의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정해진 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 스트립으로서,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1 지지 구조물의 외측 표면에 지지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되게끔 덮이는, 제1 자성 스트립; 및
상기 제1 자성 스트립의 극성과 반대로 정해진 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 스트립으로서,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2 지지 구조물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되게끔 덮이는, 제2 자성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구조물은 상기 출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지지 구조물에 대해 선택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제1 지지 구조물이 제2 지지 구조물에 대해 대향된 관계로 접촉하면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자성 스트립과 제2 자성 스트립은 제1 지지 구조물과 제2 지지 구조물을 통해서 작용함으로써 상기 출입 개구를 폐쇄된 상태로 가역적으로 밀봉하는 자성 밀봉부를 협력하여 형성하는, 수납 패키지.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확장가능한 유연성 인벨롭이고, 상기 인벨롭의 제1 변형가능 벽과 상기 인벨롭의 제2 변형가능 벽 사이에는 출입 개구가 위치하며, 상기 제1 변형가능 벽은 상기 제1 자성 스트립을 지지하는 제1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변형가능 벽은 상기 제2 자성 스트립을 지지하는 제2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는, 수납 패키지.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스트립은 상기 내부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1 변형가능 벽의 표면에 걸쳐서 출입 개구의 제1 주변 에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성 스트립은 상기 내부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2 변형가능 벽의 표면에 걸쳐서 출입 개구의 제2 주변 에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납 패키지.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주변 벽들에 의해 둘러싸인 출입 개구를 구비한 트레이이고, 주변 벽으로부터 외향으로 멀리 연장된 플랜지는 플랜지의 하측부에 걸쳐서 배치된 제1 자성 스트립을 지지하는 제1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출입 개구를 덮도록 구성된 분리가능한 뚜껑은 상기 뚜껑의 상측 표면에 걸쳐서 배치된 제2 자성 스트립을 지지하는 제2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가능한 뚜껑은 리빙 힌지를 따라서 상기 트레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빙 힌지를 제외한 트레이 주변의 실질적인 둘레로 제1 패턴을 따라서 복수의 자성 스트립들이 연장되고, 상기 리빙 힌지를 제외한 뚜껑 주변의 실질적인 둘레로 거울 대칭인 패턴을 따라서 복수의 자성 스트립들이 연장되는, 수납 패키지. - 습식 와이퍼 시트들의 패키징 방법으로서,
(a) 수납 패키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납 패키지 안에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패키지는:
액체 및 증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침투성인 몸체로서, 증발성 용액으로 미리 적셔진 복수의 습식 와이퍼 시트들을 수용 및 보관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가지며, 습식 와이퍼 시트들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한 출입 개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1 지지 구조물 상에 지지되는 자석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 요소; 및
상기 제1 밀봉 요소에 대한 상보적인 자석 이끌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밀봉 요소로서, 상기 내부의 외측 위치에서 제2 지지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구조물은 상기 출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지지 구조물에 대해 선택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제1 지지 구조물이 제2 지지 구조물에 대해 대향된 관계로 접촉하면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밀봉 요소와 제2 밀봉 요소는 제1 지지 구조물과 제2 지지 구조물을 통해서 작용함으로써 상기 출입 개구를 폐쇄된 상태로 가역적으로 밀봉하는 자성 밀봉부를 협력하여 형성하는, 패키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201161514582P | 2011-08-03 | 2011-08-03 | |
| US61/514,582 | 2011-08-03 | ||
| PCT/US2012/049572 WO2013020073A2 (en) | 2011-08-03 | 2012-08-03 | Wiper packaging incorporating magnetic se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54054A true KR20140054054A (ko) | 2014-05-08 |
Family
ID=4762627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7003722A Withdrawn KR20140054054A (ko) | 2011-08-03 | 2012-08-03 | 자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패키지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30032503A1 (ko) |
| EP (1) | EP2739541A4 (ko) |
| JP (1) | JP6482870B2 (ko) |
| KR (1) | KR20140054054A (ko) |
| CN (1) | CN103717503B (ko) |
| WO (1) | WO2013020073A2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61869A (ko) * | 2018-11-26 | 2020-06-03 | 주식회사 아데나 | 마스크 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321964B2 (en) * | 2014-09-15 | 2019-06-18 | Covidien Lp | Robotically controlling surgical assemblies |
| US10954055B2 (en) | 2017-03-08 | 2021-03-23 | Yeti Coolers, Llc | Container with magnetic closure |
| EP4424206A3 (en) | 2017-03-08 | 2024-11-27 | YETI Coolers, LLC | Container with magnetic closure |
| USD869088S1 (en) | 2018-04-26 | 2019-12-03 | BBK Tobacco & Foods, LLP | Tray and cover assembly |
| USD892614S1 (en) | 2018-06-11 | 2020-08-11 | Ecolab Usa Inc. | Cap for container |
| EP3837702A1 (en) | 2018-08-14 | 2021-06-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gnetization of magnetizable material |
| CN112424077B (zh) * | 2018-08-14 | 2022-08-30 | 宝洁公司 | 具有一体化磁性阀的包装件 |
| CN112424078B (zh) | 2018-08-14 | 2022-08-12 | 宝洁公司 | 可适形的包装件 |
| WO2020036792A1 (en) * | 2018-08-14 | 2020-02-2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daptive packaging |
| US11535440B2 (en) | 2020-01-22 | 2022-12-27 | Sonoco Development, Inc. | Magnetic reseal |
| US20210300630A1 (en) * | 2020-03-24 | 2021-09-30 | Abigail R Browne | Magnetic Bag Closure System |
| US20220194666A1 (en) * | 2020-12-20 | 2022-06-23 | Magnetnotes, Ltd. | Magnetically resealable bag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CN113460483B (zh) * | 2021-05-26 | 2023-07-04 | 滕州市大晟包装制品股份有限公司 | 一种低结块率的磁气式包装盒 |
| CN114104503A (zh) * | 2021-11-03 | 2022-03-01 | 明平凡 | 一种片式磁包覆型可二次密封的包装袋 |
| US11992104B2 (en) | 2022-02-16 | 2024-05-28 | Yeti Coolers, Llc | Container with resealable closure |
| CN115416990B (zh) * | 2022-09-05 | 2023-12-29 | 临武县华诚贸易有限公司 | 一种免对位式塑料包装袋 |
| WO2024091130A1 (en) * | 2022-10-27 | 2024-05-02 | De France Michael Wayne | A magnetically sealable bag |
Family Cites Families (2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3110335A (en) * | 1960-06-20 | 1963-11-12 | Lafayette L Pierpont | Self closing container |
| US3272248A (en) * | 1965-05-04 | 1966-09-13 | Frank J O'farrell | Closure for flexible receptacles |
| GB1128995A (en) * | 1966-06-17 | 1968-10-02 | Flexigrip Ltd | Improvement relating to bags |
| US3629905A (en) * | 1970-06-17 | 1971-12-28 | Delmer J Cote | Bread bag resealer |
| JPS49123217U (ko) * | 1973-02-20 | 1974-10-22 | ||
| US4033013A (en) * | 1975-11-18 | 1977-07-05 | John Elwood Peterson | Flexible magnetic plastic strip closure |
| JPS63131948U (ko) * | 1987-02-18 | 1988-08-29 | ||
| FR2623166A1 (fr) * | 1987-11-17 | 1989-05-19 | Tolila Pierre | Dispositif de fermeture de recipients par attraction magnetique |
| JPH0645385B2 (ja) * | 1988-03-02 | 1994-06-15 | 憲司 中村 | ウエツトテイツシュ包装体 |
| US4913561A (en) * | 1988-11-15 | 1990-04-03 | Fres-Co System Usa, Inc. | Gussetted flexible package with presealed por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US5505305A (en) * | 1992-10-21 | 1996-04-09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Moisture-proof resealable pouch and container |
| DE69322521T2 (de) * | 1992-10-21 | 1999-05-06 | Minnesota Mining and Mfg. Co., St. Paul, Minn. | Feuchtigkeitsdichte, wiederverschliessbare tasche und behälter |
| JPH09328149A (ja) * | 1996-02-14 | 1997-12-22 | Wakaba Hara | 袋状容器用の封緘体 |
| JP2001097396A (ja) * | 1999-09-28 | 2001-04-10 | Hisamitsu Pharmaceut Co Inc | 再封可能な包装体 |
| US7014363B2 (en) * | 2002-12-19 | 2006-03-21 | Violet Hanson | Plastic gusset bag with closure and cut-out handle |
| KR200344351Y1 (ko) * | 2003-12-26 | 2004-03-10 | 신형도 | 비닐봉투 |
| US20050230465A1 (en) * | 2004-04-17 | 2005-10-20 | Metzler Steven P | Resealable container with magnetic closure system |
| JP2005335769A (ja) * | 2004-05-27 | 2005-12-08 | Tokyo Ferrite Seizo Kk | 挟み具 |
| KR100597955B1 (ko) * | 2004-09-21 | 2006-07-07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플라스틱용기 |
| US20060283750A1 (en) * | 2005-06-21 | 2006-12-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sealable package with separable fastening element |
| EP1864916A1 (en) * | 2006-06-09 | 2007-12-12 | British American Tobacco France SAS | Container with magnetic sealing means |
| CN200978066Y (zh) * | 2006-12-01 | 2007-11-21 | 芦广彬 | 带磁性封条的包装袋 |
| CN201049791Y (zh) * | 2007-05-08 | 2008-04-23 | 向军 | 磁力密封容器 |
| CN101765548B (zh) * | 2007-08-02 | 2012-06-27 | 爱默思公司 | 耐破裂侧面角撑袋 |
| KR20110008812A (ko) * | 2009-07-21 | 2011-01-27 | 김소은 | 물티슈 케이스 |
| JP4892603B2 (ja) * | 2009-11-27 | 2012-03-07 | 英里 清水 |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の取出口カバー |
| CN201737260U (zh) * | 2010-07-06 | 2011-02-09 | 谭耀康 | 反复开封真空保鲜袋 |
-
2012
- 2012-08-03 CN CN201280038527.2A patent/CN103717503B/zh active Active
- 2012-08-03 US US13/566,558 patent/US2013003250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8-03 KR KR1020147003722A patent/KR20140054054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08-03 EP EP12819927.0A patent/EP273954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2-08-03 WO PCT/US2012/049572 patent/WO2013020073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8-03 JP JP2014524117A patent/JP6482870B2/ja active Active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61869A (ko) * | 2018-11-26 | 2020-06-03 | 주식회사 아데나 | 마스크 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3020073A3 (en) | 2013-07-11 |
| EP2739541A2 (en) | 2014-06-11 |
| JP2014525879A (ja) | 2014-10-02 |
| CN103717503A (zh) | 2014-04-09 |
| CN103717503B (zh) | 2016-01-20 |
| US20130032503A1 (en) | 2013-02-07 |
| JP6482870B2 (ja) | 2019-03-13 |
| WO2013020073A2 (en) | 2013-02-07 |
| EP2739541A4 (en) | 2015-03-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40054054A (ko) | 자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패키지 | |
| JP2534815Y2 (ja) | 運送容器 | |
| JP4818446B2 (ja) | 密閉表示器を有する柔軟性貯蔵袋 | |
| JP2604524B2 (ja) | バリヤーシートを内蔵した、再封可能な開閉蓋を有するウエット吸液シート用パッケージ | |
| US5765341A (en) | Flexible pressure vessels for and method of transporting hazardous materials | |
| EP3041759B1 (en) | Bags for transport of specimens and a method of forming such bags | |
| AU2009354691B2 (en) | Packing bag for transportation of a specimen | |
| CN109642772A (zh) | 干燥容器 | |
| US5080225A (en) | Universal diagnostic sample packaging tray and pouch | |
| KR20080055889A (ko) | 이중 벽으로 된 컵 | |
| US20130089280A1 (en) | Sealable Bag | |
| US5833058A (en) | Safety bags for fluid sample containers | |
| JP7537586B2 (ja) | 内容物入りパウチ | |
| NZ237016A (en) | Pouch for storing blood: transfusion port tab | |
| WO2011065919A4 (en) | A body bag | |
| US10913590B2 (en) | Mixing package and method | |
| EP1090852A1 (en) | Packaging, for example for hygiene-health products | |
| EP0420301A1 (en) | A re-sealable dispenser-container | |
| JPH01263557A (ja) | 尿検査容器 | |
| JP5339595B2 (ja) | 包装袋 | |
| CN221915599U (zh) | 一种可撕拉八边封吸湿袋 | |
| JP5544624B2 (ja) | だし素材入り調味液用ダブルパック包装構造体 | |
| KR20190040771A (ko) | 저장팩 | |
| JP2008230640A (ja) | 液体容器用袋 | |
| JPS5914401Y2 (ja) | 廃油処理袋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2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