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327A - Mobile terminals with touch-sensitive input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s with touch-sensitive input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5327A KR20140055327A KR1020120121983A KR20120121983A KR20140055327A KR 20140055327 A KR20140055327 A KR 20140055327A KR 1020120121983 A KR1020120121983 A KR 1020120121983A KR 20120121983 A KR20120121983 A KR 20120121983A KR 20140055327 A KR20140055327 A KR 201400553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screen
- input
- touch
- keybo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입력 방식의 이동 단말기를 큰 화면의 단말기나 모니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 mobile terminal of a user as an input device when the mobile terminal of the touch input method is connected to a terminal or monitor of a large screen.
터치 스크린을 입력장치로 갖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산 되고 있으며 이동단말기의 컴퓨팅 능력은 이미 개인 컴퓨터의 수준에 근접하게 향상되고 있다.The spread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having a touch screen as an input device is rapidly spreading and the computing ability of a mobile terminal is already improving to the level of a personal computer.
이들 이동 단말기의 운영체계도 날로 발전되어 가고 있으며 개인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주요 프로그램(파워포인트, 워드 등)으로 작성 된 문서와 호환이 되어가는 등 호환성도 날로 발전 되어 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단말기의 화면은 작을 수밖에 없고 이 작은 화면을 가상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로 나누어 사용하다 보니 화면의 가용성은 아주 작아져 개인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HDMI 케이블을 사용하여 대형화면에 이동단말기의 화면을 크게 보여주는 기술이 상용되고 있으나 여전히 입력 수단은 이동단말기의 터치스크린 화면상의 입력 수단에 의존하므로 자연스러움과 효율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단말기의 성능이 아무리 진보하더라도 여전히 남아 있는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고안 제시하였다.The operating systems of these mobile terminals are also evolving and compatible with documents written in main programs (PowerPoint, Word, etc.) used in personal computers. Nevertheless,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evitably small, and when the small screen is divided into input devices such as a virtual keyboard, the availability of the screen becomes very small, which limits the operation of a program used in a personal computer.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technique of displaying a large screen of a mobile terminal on a large screen by using an HDMI cable has been used recently. However, since the input means depends on the input means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ised a new method to overcome this problem, which is still in progress,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terminal.
터치 스크린을 입력수단으로 갖는 이동 단말기를 대형 모니터에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큰 화면으로 사용할 때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이 사용자의 작은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게 됨으로서 발생하는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고안하는 것.Whe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s an input means is connected to a large monitor via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so that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uses the touch screen of the user's small mobile terminal, Devising new ways to do so.
이동단말기와 대형모니터를 연동하는 현재까지의 기술은 이동단말기의 화면을 대형모니터에 미러링(mirroring)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고 입력수단의 개선에 관한 것은 제한적이다.Conventionally, a technology for linking a mobile terminal and a large-size monitor is mostly related to a method of mirror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to a large-size monitor, and the improvement of the input means is limited.
본 발명에서는 이동단말기를 대형모니터에 유,무선 수단에 의해 연결하게 되면 자동 또는 수동 제어에 의해서 이동단말기의 기존화면을 대형모니터에 미러링 하되 이동단말기의 화면을 가상 키보드와 마우스 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전체 화면을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방안을 고안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large monitor by the radio or the wire, the existing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mirrored on the large monitor by automatic or manual control, and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mouse pad, A new method for using a touch screen ful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has been devised.
이 방식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는 대형 모니터에 연결을 별도의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동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잭 설치하고 키보드나 마우스를 연결하는 불편 없이도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모니터에 연결만 하면 개인 컴퓨터의 기능을 대신함은 물론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키보드와 터치 패드로 사용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방식의 고안은 이동 단말기에서 개인 컴퓨터용 응용 소프트웨어의 호환성 개발을 자극하여 이동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시장의 융합을 가속화시킬 수 있고 점점 고성능화되는 이동 단말기의 효율적인 사용과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jack for connection to a large monitor, a separate keyboard or a mouse for connec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user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nitor, And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as a keyboard and a touch pad to conveniently perform the operation. This scheme will accelerate the convergence of the mobile and personal computer markets by stimulating the compatibility development of application software for personal computers in the mobile terminal, and will contribute to the efficient use of the mobile terminal with higher performance and the expansion of the market.
도면은 듀얼 모니터 기능을 갖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다른 수신 단말기와 연결시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입력장치로 사용하기 위해 원 화면과 사용자 단말기 터치 스크린 화면을 각각 나누어 처리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The figure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original screen and a user terminal touch screen screen are separately processed to use a touch screen of a user terminal as an input device when a user terminal having a dual monitor function is connected to another receiving termina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화면을 유,무선으로 대형 모니터에 미러링하고 원래의 이동단말기 화면을 마우스패드와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 화면으로 바꾸어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통해서 보다 큰 평면상에서 이동 단말기의 입력 수단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irror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on a large monitor and switching an original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o a screen of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pad and a keyboard, .
예를 들면 이동단말기용 문서편집기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킬 경우 현재는 작은 화면의 일부에 가상 키보드를 띠우고 터치방식에 의해서 글자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이동단말기 화면의 반 정도를 키보드가 가리게 되므로 문서편집 창이 가려져 사용에 불편이 따르고 키보드의 면적도 작아 사용하는데 불편하다. 이런 불편은 이동단말기의 작은 화면을 큰 화면의 모니터에 미러링하여도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다. For example, when the text editor software for a mobile terminal is operated, a virtual keyboard is placed on a part of a small screen and a character is input by a touch method. However, this method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keyboard hides half of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which hinders the use of the document editing window and the area of the keyboard is small. This inconvenience is a problem that even if a smal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s mirrored on a large screen monitor, it is not improved.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문서편집기의 화면을 대형 모니터화면에 띄우고 이동단말기의 화면은 키보드와(나) 마우스 패드 화면을 띄워 큰 화면을 보면서 이동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입력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of the text editor is displayed on the large monitor scree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inpu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viewing the large screen by displaying the keyboard and the mouse pad screen, And to use it.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한 가지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i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이동단말기의 그래픽모듈(혹은 통합 칩)에 듀얼 모니터 기능(제1모니터 ;외부 모니터, 제2모니터 ;이동단말기 화면)을 부여하고(도 1), 이동단말기를 유,무선 방식에 의하여 대형모니터와 연결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여 제1모니터(외부 모니터)에 원래의 화면을 미러링하고(102) 제2모니터(이동단말기 화면)에는 키보드와 터치패드 화면을(103) 제공하고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마우스 및 키보드 드라이버와 연결하는 방법에 의해서 발명에서 제안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A dual monitor function (a first monitor, an external monitor, a second monitor, and a mobile terminal screen) is assigned to a graphics module (or an integrated chip) of the mobile terminal, (102) on the first monitor (external monitor) by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ling the connection, and provides a keyboard and a touch pad screen (103) on the second monitor (mobile terminal scree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functions proposed by the invention by connecting to a mouse and a keyboard driver.
이를 위해 본 기능의 제어 프로그램은 (도 1)과 같이 듀얼 모니터 기능의 그래픽 모듈과 연동하여 모드변환을 제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응용 프로그램(예; 상기 문서편집기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제안한 모드로 작동됨을 알려주어 응용 프로그램이 화면상에 가상 키보드를 띄우지 못하게 하며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을 제1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그래픽 모듈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프로그램은 제2모니터에 가상 키보드와(또는) 마우스패드 화면을 (이하 입력수단 화면)띄우고, 이동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해석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한다. 이때 이동단말기의 화면은 입력수단 화면과 원래 화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전환메뉴를 설치하거나 이동단말기의 백워드 키를 사용하여 전환이 가능하게 구현 할 수도 있다.For this, the control program of this function controls the mode conversion in conjunction with the graphic module of the dual monitor function as shown in FIG. 1, and operates in the proposed mode in conjunction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the text editor program) Thereby preventing the application program from displaying the virtual keyboard on the screen and controlling the graphics module so that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program is displayed on the first monitor. In addition, the control program displays a virtual keyboard and / or a mouse pad screen (hereinafter, input means screen) on the second monitor and interprets the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interpolated input to the application program. At this time,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a switching menu is install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input means screen and the original screen or can be switched using the back word key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동 단말기는 터치방식의 입력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 및 터치패드(예; 아이패드), 게임기 등의 이동 단말기 모두를 말하며 외부 모니터와 연결을 위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이동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칭한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type input means, such as a mobile phone, a tablet computer, a touch pad (e.g., an iPad), a game machine, And a terminal capable of moving.
상기한 본 발명의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에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
(도 2)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문서작업을 하는 것을 예를들어 그림으로 표현한 것. 화면이 작아서 키보드 입력도 불편하고 작성된 문서를 한 눈에 보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로 하던 문서작업을 대형TV와 같은 큰 수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큰 화면을 통해 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입력장치로 모드를 전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것에 따라 키보드나 터치 패드,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같이 사용할 수 있어서 입력 작업이나 컨트롤이 편해지게 된다.
(도 4)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큰 수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입력 장치로 모드 전환 되는 예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와 비슷한 방법과 모양으로 여러가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내부에 그래픽 모듈이나 그래픽 통합칩이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하고 그 하나에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고 또 하나에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처리된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102)는 문서작성을 예를들어 (101)에서 처리된 영상을 출력한 모습.
(103)은 (101)에서 화면을 크게 볼 목적으로 (102)에 연결하여 터치 키보드 입력 모드로 전환된 모습.
(201)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 문서작성을 하는 것을 예로 그림으로 표현한것.
(203)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화면을 크게 볼 목적으로 큰 수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 중에 터치 키보드의 모습.
(204)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화면을 크게 볼 목적으로 큰 수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 중에 터치 패드의 모습.
(205)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화면을 크게 볼 목적으로 큰 수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 중에 터치 키보드와 키보드 상단에 터치 패드를 같이 사용하도록 한 것을 표현한 모습.
(206)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화면을 크게 볼 목적으로 큰 수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 중에 터치 키보드와 키보드 측면에 터치 패드를 같이 사용하도록 한 것을 표현한 모습.
(501)은 외부 단말기 연결시 외부 단말기 인터페이스. 응용프로그램의 처리된 화면 만을 표현하고 입력을 위한 키보드, 터치 패드등의 화면은 표현하지 않는다.
(502)는 외부 단말기 연결시 사용자의 단말기 인터페이스. (501)의 화면을 보면서 사용자의 단말기로 각종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입력 장치로서의 화면을 표현한다.
(503)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
(504)사용자 단말기의 그래픽 프로세서 혹은 그래픽 통합 프로세서.(Fig. 1) is a drawing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llustration, for example, of a document oper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Because the screen is small, keyboard input is inconvenient and it is difficult to see the written document at a glance.
(FIG. 3) connects a document work to a large receiving terminal such as a large-sized TV and performs work on a large screen, while the user's mobile terminal connects to the input device By switching the mode, you can use the keyboard, touch pad, keyboard and touch pa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so that input work and control becomes easy.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s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large receiving terminal and the user's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an input device when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in a similar manner .
A graphic module or a graphics integrated chip supports two or more displays in the interior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screen for a user's touch inpu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processed scree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102) outputs a processed image, for example, in (101).
(103) is connected to (102) for the purpose of enlarging the screen in (101) and switched to the touch keyboard input mode.
(201) is an illustration of the creation of a document using a user's mobile terminal.
(203) is a touch keyboard in which a mobile terminal of a user is connected to a large receiving terminal for the purpose of enlarging the screen, and the input method can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t the time of use.
The
The
The
(501) is an external terminal interface when an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Only the processed screen of the application program is represented, and the keyboard, touch pad, etc. for input are not displayed.
(502) is a terminal interface of a user when an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A screen as an input device is displayed so that various inputs can be performed to the user's terminal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503) Memory of the user terminal.
(504) a graphics processor or graphics integrated processor of a user terminal.
Claims (3)
작은 화면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입력방식에 편리함을 제공할 목적으로 이동단말기를 외부 모니터에 유,무선 수단에 의해서 연결 시,
원래 화면을 외부 모니터에 미러링하고 터치방식의 이동단말기 화면을 키보드나(와) 터치패드 등의 입력수단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과;
이동단말기 터치 입력으로 응용프로그램을 작동하게 하는 것과;
외부 연결된 모니터에는 키보드 화면을 출력하지 않는 것과;
터치 패드 입력시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입력 방식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type input means,
When a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monitor by a radio or wireless means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a small screen and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input method,
Mirroring the original screen to an external monitor and switching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touch system to a screen of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or a touchpad;
Operating an application program with a mobile terminal touch input;
The externally attached monitor does not display the keyboard screen;
When the touchpad is input, the pointer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mobile terminal input method characterized by
이동단말기에 멀티 모니터 그래픽 모듈을 구비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에는 원래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나타나게 하고 이동 단말기 디스플레이에는 입력수단의 화면을 나타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입력장치
단,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외부 모니터, 외부 TV, 외부 프로젝터 및 내부 구비된 프로젝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 small screen i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type input means and to provide convenience to an input metho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monitor by means of an electronic or wireless means, The method comprising: switch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of the type to a screen of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or a touch pad and operating an application program by touch input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multi-monitor graphic module so that the screen of the original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and the screen of the input means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display.
However, the external display includes an external monitor, an external TV, an external projector, and a projector provided internally.
1. 제어프로그램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외부 및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를 모드변환 하는 단계
2. 본래의 이동단말기 화면을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3.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키보드나 마우스패드 등의 입력수단 화면을 띄우는 단계
4. 이동단말기 터치 스크린 입력을 마우스와 키보드 입력정보로 받아들이는 단계
5. 응용프로그램을 PC모드로 전환 시켜 화면에 가상 키보드를 나타내지 않게 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입력장치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 small screen i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type input means and to provide convenience to an input metho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monitor by means of an electronic or wireless means, A method of switch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of the type to a screen of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pad and operating an application program by touch input of a mobile terminal,
1. The control program automatically or manually performs mode conversion of the external and mobile terminal displays
2. Displaying the original mobile terminal screen on the external display
3. Step of displaying an input means screen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pad on the mobile terminal display
4. Accepting the mobile terminal touch screen input as mouse and keyboard input information
5. Switching the application to PC mode so that the virtual keyboard does not appear on the screen
A mobile terminal input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1983A KR20140055327A (en) | 2012-10-31 | 2012-10-31 | Mobile terminals with touch-sensitive input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1983A KR20140055327A (en) | 2012-10-31 | 2012-10-31 | Mobile terminals with touch-sensitive input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meth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55327A true KR20140055327A (en) | 2014-05-09 |
Family
ID=508870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21983A Withdrawn KR20140055327A (en) | 2012-10-31 | 2012-10-31 | Mobile terminals with touch-sensitive input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055327A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248022A (en) * | 2019-06-06 | 2019-09-17 | 武汉卡比特信息有限公司 | A kind of throwing screen method of tripartite's application based on mobile phone interconnection |
| WO2020027417A1 (en) * | 2018-08-02 | 2020-0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input tool |
| WO2024019190A1 (en) * | 2022-07-20 | 2024-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2012
- 2012-10-31 KR KR1020120121983A patent/KR20140055327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027417A1 (en) * | 2018-08-02 | 2020-0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input tool |
| US11340776B2 (en) | 2018-08-02 | 2022-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input tool |
| CN110248022A (en) * | 2019-06-06 | 2019-09-17 | 武汉卡比特信息有限公司 | A kind of throwing screen method of tripartite's application based on mobile phone interconnection |
| WO2024019190A1 (en) * | 2022-07-20 | 2024-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452333B2 (en) |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 |
| CN103324435B (en) | Multi-screen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 KR101522399B1 (en) |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rom handheld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handheld terminal thereof | |
| US20180095809A1 (en) | Multi-window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 CN103593116A (en) |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d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toolbar | |
| KR20140028384A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 |
| TW201324317A (en) |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page zooming method thereof | |
| US2009028804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computers | |
| JP2013109421A (en) |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program | |
| KR20150134674A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 |
| US2013012772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in touch device | |
| TW201421339A (en) | Electronic device and page zooming method thereof | |
| JP2014527673A (en) | Widge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 |
| JP2015087911A (en) |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program | |
| CN104035678A (en) | Sc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 |
| CN101650635A (en) |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display by terminal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 |
| US20140035816A1 (en) | Portable apparatus | |
| CN101556532A (en) | Cursor positio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 |
| KR2013008319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layout using touch | |
| US20190163337A1 (en) | System for Augmenting a Computer Display via a Mobile Device Display | |
| KR20140055327A (en) | Mobile terminals with touch-sensitive input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method | |
| CN112416199B (en) | Control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 KR20140028383A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 |
| JP2019185114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US10645144B2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controlling a remote device with a local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