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61943A -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943A
KR20140061943A KR1020130002907A KR20130002907A KR20140061943A KR 20140061943 A KR20140061943 A KR 20140061943A KR 1020130002907 A KR1020130002907 A KR 1020130002907A KR 20130002907 A KR20130002907 A KR 20130002907A KR 20140061943 A KR20140061943 A KR 2014006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ontent
receiving terminal
application
mob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크리스토퍼케이
진 이
Original Assignee
민크리스토퍼케이
진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크리스토퍼케이, 진 이 filed Critical 민크리스토퍼케이
Publication of KR2014006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94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가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여,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모바일 메시지 형식 또는 푸쉬메시지 형식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선택하여 콘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은 콘텐츠를 제공하여 메시지 전송을 의뢰하는 복수의 콘텐츠제공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제공단말기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푸쉬메시지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콘텐츠를 모바일 메시지로 전송하는 메시지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by selecting one of a mobile message format and a push message format according to a state of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by checking whether a server has installed an application of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terminals for providing content and requesting a message transmission, receiving content from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terminals, confirming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s installed using the pre- And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as a push message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as a mobile message when th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Description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0001]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0002]

본 발명은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으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의뢰받은 서버가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여,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모바일 메시지 형식 또는 푸쉬메시지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essage managem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mat, and a method thereof.

최근 들어, 휴대 단말(예컨대,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PDA, PMP, 휴대폰 등)은 복/융합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진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 단말에서는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mobile terminals (e.g., notebooks, netbooks, smart phones, PDAs, PMPs, mobile phones, etc.) have evolved into multimedia devices that implement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hybrid / convergence technology. A plurality of applications may be loaded and executed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services.

이와 같이,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휴대 단말들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장터(예컨대, 애플의 앱 스토어 등)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방식 등으로 구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purchased by downloading from an app marketplace (e.g., Apple's App Store, etc.) providing web services to mobile terminals.

한편, 기업과 고객간의 커뮤니케이션 기법이 무선 온라인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것은 무선 통신망의 인프라 및 휴대 단말(또는 이동 단말)의 보급 확대에 기인하는 것인데, 이를 위한 종래의 전형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법에서 SMS, LMS, MMS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불특정 다수의 휴대 단말로 발송(다운로드)하거나 혹은 특정 사이트에서 자사 사이트에 회원으로 등록된 휴대 단말에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콘텐츠를 발송하는 방법 등이 있다.Meanwhile, a communication technique between a company and a customer is being gradually expanded in a wireless on-line environment, which is caused by expansion of the infrastructur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pread of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I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chnique, A method of sending (downloading) content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ortable terminals by using an LMS or an MMS, or a method of regularly or irregularly sending contents to a mobile terminal registered as a member of a site at a specific sit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메시지통합관리 서버가 메시지관리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경우 푸쉬메시지 형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ssage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in the case of a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by checking whether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is a terminal equipped with a message management dedicated applica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은 콘텐츠를 제공하여 메시지 전송을 의뢰하는 복수의 콘텐츠제공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제공단말기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푸쉬메시지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콘텐츠를 모바일 메시지로 전송하는 메시지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terminals for providing a content and requesting a message transmission; A message integrating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the contents to a mobile message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f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f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 서버는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API 호출 신호를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과값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어플관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메시지 형태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모바일메시지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API call signal to a message reception terminal using previously stored terminal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an application is installed or not according to a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message reception terminal An application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a content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 the form of a mobile message.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 방법은 메시지통합관리서버가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통합관리서버가 등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받을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통합관리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푸쉬메시지 또는 모바일메시지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messages integ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registering contents by receiving a content from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of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is installed;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 a push message or a mobile messag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ther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or not by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

본 발명에 따르면, 의뢰기업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콘텐츠를 푸쉬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 전송료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업은 푸쉬메시지 전송을 통해 글자수, 이미지, HTML을 용량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하여 메시지를 구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questing company can transmit the mobile contents in a push message format through the application, the message transfer fee can be reduced. In addition, enterprises can freely use letters, images, and HTML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through push message transmission.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수신 단말기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여 콘텐츠를 푸쉬메시지 또는 모바일메시지 중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와 그렇지 않은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is installing the application, the content can be selected and transmitted from a push message or a mobile mess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manage a database There is no effect.

또한 본 발명에 의뢰기업은 서버에서 API호출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여부를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리액션에 대하여 서버에서의 대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lient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a content using an API call in the server transmits an activity of the user to the application to the server, thereby enabling the server to easily respond to the user's reaction have.

또한 본 발명에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관리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관리하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manage a message using a UI provided by a message management dedicated application in a terminal receiving the cont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통합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한 메시지의 전송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최초 인증 절차를 거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통합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통합관리서버가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푸쉬메시지 형식의 콘텐츠의 수신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ssion through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rough which an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dergoes an initial authentication procedure.
5 (a) to 5 (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I of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base structure of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has installed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push message format content to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case where it is judg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to a known configuratio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메시지수신 단말기는 각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와 같은 오픈 플랫폼으로 구축되어 있고, 오픈 플랫폼 상에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embedded)되어 있거나, 온라인 마켓, 메시지통합관리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수신 단말기(50)는 스마트 폰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which is referred t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possessed by each user, and is constructed as an open platform such as an Android operating system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software An application may be embedded, or an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any one of an online marketplace and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Such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is preferably a smart 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수신 단말기(50) 상에서 플랫폼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메시지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메시지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The application, which is referred t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the platform on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and means a message management dedicated application capable of providing a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메시지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복수의 업체(기업)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통합 관리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서 또는 그 역순으로 리스트를 정렬해주거나, 업체별로 정렬해주는 기능을 가지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를 통해 편리하게 특정기업의 메시지 수신을 차단하거나, 특정 기업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An application capable of providing a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may, for example, integrally manage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ompanies (companies), and the application may arrange the lists in the order in which messages are received or in reverse order, An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block the reception of a specific company message or delete a message received from a specific company through the UI provided by the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통합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콘텐츠제공단말기(10)와, 메시지통합관리서버(20), 메시지서비스서버(30), 메시지수신 단말기(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terminals 10,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20, a message service server 30, and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복수의 콘텐츠제공단말기(10)들 중 각 콘텐츠제공단말기는, 예컨대 기업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또는 서버 등인 것으로, 콘텐츠제공단말기 사용자들(기업들)은 메시지통합관리서버(2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메시지통합관리서버(20)에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는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신이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이다. Each content providing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terminals 10 is, for example, a computer or a server used in an enterprise, and the content providing terminal users (enterprises) access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20, And can register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20. At this time, the content is a content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s or information that the user wants to advertise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이를 위하여, 각 콘텐츠제공단말기는 콘텐츠 정보와 함께 메시지수신 단말기(50)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통합관리서버(20)로 전송하여 광고 DB에 등록시킨다. To this end, each content providing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together with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20, and registers it in the advertisement DB.

또는 콘텐츠제공단말기(10)는 콘텐츠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체 서버에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등록하면, 콘텐츠제공 어플리케이션이 메시지통합관리서버(20)를 호출하여 해당 메시지수신단말기(50)에 상기 메시지를 푸시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한다.When the content providing terminal 10 registers a message including content in its own server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calls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20 to transmit the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Push message format.

메시지통합관리서버(20)는 상기 콘텐츠제공단말기(10)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거나, 콘텐츠제공단말기(10)에 설치된 콘텐츠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메시지 등록 호출을 받으면,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푸쉬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를 통해 푸쉬메시지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시지서비스서버(30)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SMS 메시지, LMS 메시지, MMS 메시지와 같은 모바일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한다. 콘텐츠를 푸쉬 서비스제공서버를 통해 푸쉬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할 경우, 글자수, 이미지, HTML을 용량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하여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20 receives a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terminal 10 or receives a message registration call from a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ontent providing terminal 10, If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content is transmitted as a push message through a push service providing server (not shown). If th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the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message service server 30 SMS message, LMS message, or MMS message. When a content is transmitted in a push message format through a push service providing server,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essage by freely using the number of characters, images, and HTML without restriction.

메시지수신 단말기(50)는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말기이다. 메시지수신 단말기(50)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에 가입되어 있거나, 메시지 수신에 미리 동의한 경우 일 수 있다.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is a terminal receiving the contents.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may be subscribed to the company providing the content, or may have previously agreed to receive the message.

통신망(40)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REW(Bib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또는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통신이나 와이브로(WiBRO) 등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includes a communication via an application such as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a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BREW) or a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PI),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iBR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재된 모바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MS), 장문 메시지(L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을 포함하고 메시지서비스서버(30)를 통해 모바일 상으로 전송되는 모든 형태의 메시지를 포함한다.The mobile message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ypes of messages (e.g., SMS, Long Message Service (LMS), and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

메시지서비스서버(30)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서버로 표현하였으나, BTS(Base STation Transceiver), BSC(Base Station Controller), MSC(Mobile Switching Cen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BSC는 BTS를 제어함과 아울러 기지국 호 처리를 담당하고, BTS는 무선 송수신 장비를 구비하여 BSC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을 이행한다. MSC는 교환 기능 및 다른 MSC와 연동되어 다른 망과의 연결을 담당한다. 특히 메시지서비스서버(30)는 메시지통합관리서버(2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메시지수신 단말기(50) 송신한다.The message service server 30 may include a BTS (Base Station Transceiver), a BSC (Base Station Controller), and a MSC (Mobile Switching Center). The BSC controls the BTS In addition, the BTS handles the base station call processing, and the BTS includes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equipment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BSC. The MSC is interworking with the exchange function and other MSCs and is responsible for connection to other networks. In particular, the message service server 30 transmits a message from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20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통합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시지통합관리서버(20)는 콘텐츠 등록부(200), 제어부(220), 어플관리부(240), 모바일메시지관리부(260), 데이터베이스부(280)를 포함한다.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20 includes a content registration unit 200, a control unit 220, an application management unit 240, a mobile message management unit 260, and a database unit 280.

콘텐츠 등록부(200)는 콘텐츠제공단말기(도 1의 1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등록하고, 메시지수신 단말기 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를 저장한다.The content registration unit 200 registers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terminal (10 of FIG. 1) and stores the received content when receiving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콘텐츠 등록부(200)는 등록된 콘텐츠제공단말기(10)로부터 콘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콘텐츠에 메시지 식별자를 부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하고 제어부(220)에 알린다. When the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registered content providing terminal 10, the content registering unit 200 assigns a message identifier to the received content, stores it in the database unit 280, and informs the control unit 220 of the stored content.

제어부(220)는 수신되는 콘텐츠를 메시지수신 단말기(50)에 전송하기 위해서 해당 메시지수신 단말기(50)에 어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The control unit 220 checks whether the application 100 is installed in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in order to transmit the received content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

제어부(220)는 어플리케이션 설치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메시지수신 단말기(50)에 API 호출 신호를 보내 메시지수신 단말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결과값을 수신한다. 이때 설치여부 결과값은 '성공' 또는 '실패' 형태로 받는다. 제어부(220)는 '성공' 결과값을 전송하는 단말기에 대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푸시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상태라고 판정한다. '실패' 값을 전송하는 단말기에 대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메시지를 받을 수 없는 상태라고 판정한다. The control unit 220 sends an API call signal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or not, and receives the result of the feedback from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At this time, the result of the installation is received in the form of 'success' or 'failure'. 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for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success' result value and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the push message. It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or can not receive a message for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failure' value.

제어부(220)는 설치여부 결과값에 따라 해당 메시지 수신 단말기(50)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라고 판정된 경우, 메시지수신 단말기(50)의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와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50)에 전송될 메시지 식별자를 어플관리부(240)에 전달한다. 여기서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는 인터넷상에서 객체나 실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128비트 숫자로서, 공간과 시간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식별자로서, IEEE 802 주소로 망 접속 시스템에서 적용되고 있다. The controller 220 determines that the UUID (Universal Unique Identifier)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and the UUID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are identical to each other, To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240. The message management unit 240 receives the message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240. [ Here, UUID (Universal Unique Identifier) is a 128-bit number used to identify an object or entity on the Internet. It is an identifier configured through a combination of space and time, and is applied to a network access system using an IEEE 802 address.

어플관리부(240)는 전달받은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된 콘텐츠를 담은 푸쉬메시지를 상기 전달받은 UUID를 갖는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달한다.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240 transmits a push message contain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unit 280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having the received UUID using the received content identifier.

상기 푸쉬메시지를 수신한 메시지수신 단말기(도 1의 50)로부터 메시지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이를 표시해둔다. Upon receiving the message reception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message reception terminal (50 in FIG. 1) receiving the push message, the message reception confirmation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atabase unit 280.

제어부(220)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단말기라고 판정되는 메시지수신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와 상기 메시지수신단말기에 전송될 메시지 식별자를 모바일메시지관리부(260)에 전달한다. The control unit 220 transmits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determined to be the terminal not having installed the application and the message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to the mobile message managing unit 260.

또한 제어부(220)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고 판정되는 메시지 수신 단말기인 경우에도 콘텐츠제공단말기(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이후 콘텐츠는 모바일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콘텐츠제공단말기(20)가 데이터베이스부(280)로부터 자사 회원의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이력을 조회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메시지 수신 이력이 없는 메시지수신단말기(50)의 경우, 해당 메시지수신단말기(50)의 메시지 형식을 모바일메시지 형식으로 변경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기간은 기업이 기업 사정에 맞게 지정하거나 변경 할 수 있다. 모바일메시지관리부(260)는 전달받은 메시지수신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와 콘텐츠를 담은 모바일메시지를 메시지서비스서버(도 1의 30)에 전달하여 메시지서비스서버(30)에 의해 모바일 메시지 형식의 콘텐츠를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달한다. Also, the control unit 220 may transmit a content in a mobile message format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terminal 20, even in the case of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determined that an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is regard, when the content providing terminal 20 inquires the message receiving history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of the member member from the database unit 280 and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50 has no message receiving history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can request the change of the message format of the receiving terminal 50 to the mobile message format. The period may be designat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enterprise. The mobile message management unit 260 delivers the mobile message contai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and the content of the received message receiving terminal to the message service server (30 of FIG. 1) and transmits the content of the mobile message format to the message service server To the receiving terminal.

데이터베이스부(2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메시지 DB(A), 사용자 DB(b), 기업 DB(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base unit 280 may include an individual message DB (A), a user DB (b), and an enterprise DB (C), as shown in FIG.

개별 메시지 DB(A)에는 각 메시지에 할당된 메시지 식별자,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통신번호, 전송한 기업의 식별자, 전송된 메시지가 읽혔는지 여부 등이 포함되고, 사용자 DB(B)에는 사용자에 할당된 사용자 식별자, 개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독 또는 차단한 기업 식별자, 전송받은 메시지에 대하여 읽었거나 읽지 않은 수 등이 포함된다. 또한, 기업 DB(C)에는 기업을 식별하기 위해 기업별로 할당된 기업 식별자, 기업명, 메시지통합관리서버에 등록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 메시지통합관리서버에 제공하는 API 인증키 등이 포함된다. The individual message DB A includes a message identifier assigned to each message, a mobile communication number to which the message is transmitted, an identifier of the transmitting company, whether or not the transmitted message has been read, and the like. A user identifier that the individual user has subscribed to or block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number that has been read or unread by the received message. Also, in the enterprise DB (C), login information including a company ID, a company name, an ID registered in the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a password, and an API authentication key provided to the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

도 6에 예시된 데이터베이스의 각 필드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도 6의 [A]에서, id는 각각의 메시지에 할당된 식별 ID이고, phone은 해당 메시지가 전송된 단말기 식별 ID이며, company_id는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고객사 ID이고, alert는 메시지 도착시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로서, 예컨대 "[Pushbox]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와 같다. Message는 메시지 내용 중 HTML 형식의 데이터이고, summary는 메시지 내용 중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이다. Read는 메시지가 읽혔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이고, date는 메시지 발송 일 및 시간을 의미한다. 6, id is an ID assigned to each message, phone is a terminal identification ID to which the corresponding message is transmitted, and company_id is a corresponding ID The alert is a notification message provided when the message arrives, for example, "[Pushbox] message has arrived ". The Message is HTML formatted data of the message contents, and summary is the text formatted data of the message contents. Read i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message has been read, and date is a date and time when a message is sent.

다음, 도 6의 [B]에서 id는 각각의 사용자에 할당된 식별 ID이고, phone은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 식별 ID이며, active는 전화번호 인증 여부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고, sms_code: 전화번호 인증시 부여한 인증번호이다. Subscriptions는 해당 사용자가 구독중인 고객사 목록을 의미하고, blocked는 해당 사용자가 차단한 고객사 목록이며, unread_msg_count는 해당 사용자가 받은 총 메시지 중 읽지 않은 메시지 수를 나타내고, unread_comp_count는 자동으로 추가된 고객사 중 사용자가 목록에서 확인하지 않은 고객사 수를 나타낸다. Data는 사용자 통계데이터 등을 나타내며, date는 서비스 사용 시작일을 나타낸다. 6, id is the identification ID assigned to each user, phone i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D of the user, active indic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r such as whether or not the phone number is authenticated, sms_code: phone number This is the authentication number assigned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Subscriptions refers to the list of customers that the user is subscribed to, blocked is the list of customers blocked by the user, unread_msg_count represents the number of unread messages received by the user, and unread_comp_count is the number of users Indicates the number of customers not listed in the list. Data represents user statistical data, and date represents the service use start date.

마지막으로, 도 6의 [C]에서 id는 각각의 고객사마다 할당된 고객사 식별 ID이고, username은 고객사가 로그인시 사용하는 ID이며, password는 고객사가 로그인 시 사용하는 비밀번호를 의미한다. Logo는 고객사가 등록한 대표이미지 파일이고, display_name는 고객사가 해당 서비스 내에서 보여지는 브랜드 또는 기업명이며, api_key는 각 고객사별로 발급된 API KEY이다. 또한, level은 고객사 계정의 등급이고, ignore_limits는 고객사 제한 여부이며, additional_data는 가입시 등록한 계정정보를 나타내고, current_usge는 전송한 총 메시지 수(누적)이고, uage는 일별 메시지 전송 수를 나타내며, opens은 일별 읽힌 메시지 수를 의미하고 date는 고객사 사용 시작일이다. Finally, in [C] of FIG. 6, id is a customer identification ID assigned to each customer company, username is an ID used by the customer at the time of login, and password is a password used by the customer at the time of login. The logo is the representative image file registered by the customer, display_name is the brand or company name shown in the service, and api_key is API key issued for each customer. Current_usge is the total number of messages transmitted (cumulative), uage is the number of daily message transmissions, and opens is the daily number of messages Means the number of messages read and date is the start date of the customer's us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한 메시지의 전송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ssion through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메시지통합관리서버는 콘텐츠제공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등록한다(S100). 콘텐츠의 등록을 위해 콘텐츠제공단말기는 콘텐츠 및 메시지수신 단말기 정보를 메시지통합관리서버에 제공하고, 메시지통합관리서버는 제공받은 콘텐츠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콘텐츠 및 메시지수신 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기업 식별자, 콘텐츠 식별자가 함께 저장되어, 데이터가 서로 연계될 수 있도록 저장된다. 또는 메시지통합관리서버는 콘텐츠제공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콘텐츠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등록 호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접속된 콘텐츠제공단말기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아 저장한다.First,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registers the contents provided from the contents providing terminal (S100). In order to register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terminal provides the content and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to the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e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ssigns the identifier to the provided content, and stores the content and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in the database. In the database, an enterprise identifier and a content identifier are stored together so that data can be linked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d receives content from a connected content providing terminal when receiving a content registration call request signal of a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running on the content providing terminal.

메시지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수신할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0).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확인하거나, 필요에 따라 API 호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S110,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to receive the content is installing the application using the message reception terminal information.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can be verified through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or can be confirmed by API call as needed.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의 메시지수신 단말 DB에 이동통신번호를 조회하여(S700, S710) UUID가 조회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라고 판정하고(S720), UUID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단말기(S730)라고 판정한다. 7,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is inquired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DB of the database (S700, S710). When the UUID is inquired, it is judged that the terminal is installed with the application (S720), and the UUID The terminal S730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API 호출을 이용하는 방법은, 메시지통합관리서버가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API를 호출하여 해당 메시지수신 단말기로부터 성공 결과값이 돌아오는 경우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했다고 판정하고, 실패 값이 돌아오는 경우,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In the method using the API call, when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calls the API to check whether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he success result value returns from the message reception terminal, the message reception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When returning,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메시지통합관리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였다고 판정되는 메시지수신 단말기에는 콘텐츠를 푸쉬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한다(S120). 이 때, 푸쉬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기 위해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UUID 를 이용한다. 이는 콘텐츠제공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메시지수신 단말기 정보 내에 포함되어있다.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determined to have installed the application in a push message format (S120). At this time, the UUID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s used to transmit in the push message format. This is included in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s providing terminal.

메시지통합관리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메시지수신 단말기에는 콘텐츠 모바일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한다(S130). 이 때, 모바일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기 위해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를 이용한다. 이는 콘텐츠제공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메시지수신 단말기 정보 내에 포함되어있다.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determined not to install the application in the content mobile message format (S130).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s used for transmission in the mobile message format. This is included in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s providing terminal.

상기 콘텐츠를 포함한 푸쉬메시지를 수신받은 수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읽었다고 판정하여, 자동으로 읽음 확인 메시지를 메시지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메시지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읽음 확인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횟수 또는 미리 정해진 기간이 지나도록 읽음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정상 작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이후 콘텐츠는 모바일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push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displays the content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read the content, and automatically transmits a read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read confirmation message in the database, and if the read confirmation message is not recei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corresponding message reception terminal is not operating normally,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in a mobile message format.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메시지수신 단말기가 콘텐츠 푸쉬메시지를 수신시 동작을 설명한다. 4, an operation of receiving a content push message by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최초 1회에 한에 서버와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수신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인증번호 받기를 선택하여 서버로부터 인증번호를 받고 메시지수신 단말기는 자신의 UUID를 전송한다. 메시지수신 단말기로부터 UUID와 이동통신번호를 전송받은 서버는 UUID와 이동통신번호를 연계시켜 저장해 둔다. Once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t can go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erver at the first tim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selects the receiving of the authentication number after executing the application, receives the authentication number from the server, and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transmits its UUID. The server receiving the UUI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from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stores the UUI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메시지수신 단말기가 콘텐츠 푸쉬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 알람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수신되는 콘텐츠 푸쉬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having the application receives the content push message and displays the received alarm on the screen. Alternatively, an application is driven by a user's operation to display a received content push message on the screen.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푸쉬메시지 형식의 콘텐츠가 수신되면(S800),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기업으로터의 최초 수신인지 확인하여(S810), 최초 수신인 경우 자동 구독되어 사용자의 구독리스트에 추가하고(S820),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신규 구독임을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최초 수신이 아닌 경우, 단계 S820은 생략된다. 8, when the content of the push message format is received in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S800), the application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checks whether it is the first reception of the company to the enterprise (S810) It is added to the subscription list of the user (S820), and it can be indicated that it is a new subscrip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If it is not the initial reception, step S820 is skipped.

이후 어플리케이션은 최근 수신된 순서대로 리스트를 정렬시킬 수 있다(S830). Thereafter, the application can sort the list in order of the latest received (S830).

도 5의 (a)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때 푸쉬메시지가 최근 수신된 순서대로 리스트를 정렬시켜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와 같이 읽지않은 메시지수(501)와, 구독리스트 정렬 UI(502)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편집을 위한 UI(503)와 사용자 설정을 위한 UI(504)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이 정렬된 리스트(505)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하나의 푸쉬메시지가 선택되면 도 5의 (b)와 같이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5A is a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a list is arranged and displayed in the order in which push messages are recently received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The unread message number 501 and the subscription list sorting UI 502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5A and the UI 503 for editing and the UI 504 for user setting are displayed can do. When one push message is selected by a user operation among the list 505 arranged as shown in FIG. 5 (a),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as shown in FIG. 5 (b).

도 5의 (b)와 같이, 메시지통합관리서버는 기업의 오픈 API를 사용하여 콘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가 푸쉬메시지의 읽기를 선택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화면은 기업의 서버로부터 직접 전송될 때와 메시지통합관리서버를 통해 수신될 때가 서로 동일하다. 5B, since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displays the content screen using the open API of the enterprise, th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to read the push message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server of the enterprise And when the messages are received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re the same.

한편, 도 5의 (c)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편집기능을 예시하는 화면으로서,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삭제(506), 사용자 설정(504) 등이 표시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알림 기능 사용자 설정(504)을 선택하여, 메시지수신 알람시 진동, 소리 또는 무음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FIG. 5C is a screen illustrating the user editing func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 which a received push message is deleted (506), a user setting (504), and the like are displayed. The application may select the alert function user settings 504 to allow selection of vibration, sound, or silence during message reception alarms.

한편,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메시지 통합관리 방법을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by implementing the integrated message management method in the user terminal described above as a software program and recording it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예컨대, 기록 매체는 각 재생 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 등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hard disk, a flash memory, a RAM, a ROM, or the like embedded in each reproduction apparatus, or an external optical disk such as a CD-R or a CD-RW, a compact flash card, a smart media, a memory stick, hav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콘텐츠제공단말기
20 : 메시지통합관리서버
30 : 메시지서비스서버
50 : 메시지수신 단말기
10: Content providing terminal
20: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30: Message service server
50: message receiving terminal

Claims (11)

콘텐츠를 제공하여 메시지 전송을 의뢰하는 복수의 콘텐츠제공단말기;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받은 메시지를 관리하는 메시지수신 단말기;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제공단말기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푸쉬메시지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콘텐츠를 모바일 메시지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메시지통합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ing terminals for providing contents and requesting message transmission;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for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and managing a received message; And
Receiving a content from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terminals, confirming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s installed using the pre-stored database,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 a push message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 the form of a mobile message,
The messag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API 호출 신호를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과값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어플관리부;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메시지 형태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모바일메시지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서버.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 API call signal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using the stored terminal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an applica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a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An application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a content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ler;
A mobile message manager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 the form of a mobile message,
And a message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mess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미리 저장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와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될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어플관리부에 전달하여 푸쉬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서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transmits to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a UUID (Universal Unique Identifier)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and a content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Message management ser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미리 저장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와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될 콘텐츠에 부여된 식별자를 상기 모바일메시지관리부에 전달하여 모바일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서버.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application is determined not to be installed, transmits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and an identifier assigned to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to the mobile message managing unit, The message management serv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도, 메시지수신 단말의 메시지 수신 이력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메시지로 전송하도록 미리 저장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와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될 콘텐츠에 부여된 식별자를 상기 모바일메시지관리부에 전달하여 모바일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서버.
3. The method of claim 2,
Even if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which is stored in advance so as to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a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based on the message reception history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Wherein the controller instructs the mobile message manager to transmit an identifier assigned to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essage receiver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메시지를 수신한 메시지수신 단말기가 상기 푸쉬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수신 이력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서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for confirming that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push message has received the push message, and creates the message receiving history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메시지통합관리서버가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통합관리서버가 등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받을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통합관리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푸쉬메시지 또는 모바일메시지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통합 관리 방법.
The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content and registering the content;
Determining whether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has installed an application of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to receive a message including a registered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or a mobile messag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method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는 판정하기 위해, API 호출 신호를 상기 메시지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I 호출 신호를 수신받은 메시지수신 단말기로부터 결과값을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결과값이 성공이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결과값이 실패이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통합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ransmitting an API call signal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a result value from a messag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API call signal; And
Determining that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f the result is a success, and determining that th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f the result is a failure
Wherein the message integra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푸쉬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를 추출하여, 추출된 UUID로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이동통신번호로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모바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통합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In order to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as a push message, a database is searched to extract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UUID)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and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extracted UUID,
In order to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as a mobile message, a database is searched to extract a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and a mobile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extracted mobile communication number
The message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API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로부터 성공 결과값을 수신받은 경우,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이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수신 이력의 결과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통합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When the API call signal is transmitted and a success result value is received from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Confirming a message reception history of the message reception terminal;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as a mobile message according to a predefined criterion as a result of the message reception history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메시지수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이동통신번호로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모바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통합 관리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of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as a mobile message,
Searching the database, extracting a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message receiv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mobile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to the extracted mobile communication number.
KR1020130002907A 2012-11-13 2013-01-10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Ceased KR2014006194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8086 2012-11-13
KR1020120128086 2012-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943A true KR20140061943A (en) 2014-05-22

Family

ID=5089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907A Ceased KR20140061943A (en) 2012-11-13 2013-01-10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1943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492A3 (en) * 2015-01-16 2017-05-18 (주)온더웨이 Content mediation service method using optimum application for each customer
CN108509541A (en) * 2018-03-19 2018-09-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ssage read method, message read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WO2019066185A1 (en) * 2017-09-27 2019-04-04 이니그마(주) Internet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whether message has been checked,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200000035A (en) *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청세 A laundry management system with improved laundry reception and convenience
KR20200094561A (en) * 2019-01-30 2020-08-07 문재호 Group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492A3 (en) * 2015-01-16 2017-05-18 (주)온더웨이 Content mediation service method using optimum application for each customer
WO2019066185A1 (en) * 2017-09-27 2019-04-04 이니그마(주) Internet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whether message has been checked,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1933551B1 (en) * 2017-09-27 2019-04-05 이니그마(주) Internet alert message sending service apparatus capable of checking whether a message has been confirme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8509541A (en) * 2018-03-19 2018-09-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ssage read method, message read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08509541B (en) * 2018-03-19 2021-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A message reading method, message read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200000035A (en) *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청세 A laundry management system with improved laundry reception and convenience
KR20200094561A (en) * 2019-01-30 2020-08-07 문재호 Group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6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triggering actions on a mobile device
US8019818B2 (en)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767508B (en) File transmission method in instant messaging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ame
CN101164045B (en) Web serve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20020178241A1 (en) Framework for a dynamic management system
US20060180664A1 (en) Wirelessly deliverable and redeemable secure couponing system and method
US93258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dle mode service
AU2007255094A1 (en) Message push with pull of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s computing device
EP19959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network paramet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27677A1 (en) Downloadable profiles for mobile terminals
CN102075539A (en) Data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1207132B1 (en) Method, System, Server and Terminal for Displaying Contents Differentially in Standby Screen
US2006013520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assive data effectively on multi-mode terminal
KR20140061943A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message integrated management
CN109314846B (en) Subscriber self-activation device, procedure and method
WO2012012427A1 (en) Vendor and service request system and method
JP5632315B2 (en) Terminal remote operation system and remote operation method
WO200401920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ust-in-time provisioning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at a communication device
US20160044028A1 (en) Message authentication
CN103002125A (en) Communication event building
US8086193B2 (en) Method of configuring a multi-network terminal and an associated multi-network terminal
JP2010183268A (en)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message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program
WO2021065550A1 (en) Program,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20120322472A1 (en) Multimedia message delivery platform
JP2007515084A (en)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