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905A - Flex steering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Flex steering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2905A KR20140062905A KR1020120129183A KR20120129183A KR20140062905A KR 20140062905 A KR20140062905 A KR 20140062905A KR 1020120129183 A KR1020120129183 A KR 1020120129183A KR 20120129183 A KR20120129183 A KR 20120129183A KR 20140062905 A KR20140062905 A KR 201400629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steering
- flex
- unit
- dr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7—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adjustable by the driver, e.g. sport mo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8—Control of feed-back to the steering input member, e.g. simulating road feel in steer-by-wire appl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Nomal/Comfort/Sport 모드)가 수동 선택되는 모드 선택부; 차량 주변의 환경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센서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 주변 환경을 반영하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변경하거나 유지하는 모드 변경부; 및 모드 변경부에 의해 변경되거나 유지되는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에 대응하여 스티어링 휠에 인가되는 하중을 변화시키는 조향감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vehicle flex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in which a flex steering mode (Nomal / Comfort / Sport mode) is manually selected by an operation of a driver;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n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A mode changing unit for changing or maintaining the flex steering mode by reflect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recogniz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a steering control section for changing a load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in response to a flex steering mode which is changed or maintained by the mode changing s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우천시에도 차량의 조향감을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lex steer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flex steer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afely operate a steering feeling of a vehicle even in a rainy day.
일반적으로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는 스티어링 휠을 모터 등의 엑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전동 조작하는 전동조향장치(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전동조향장치는 종래 조향장치와는 달리 유압을 이용하지 않고, 모터동력으로 조향파워를 어시스트(assist)하는 방식이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Generally, recently, a vehicle is equipped with an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for electrically operating a steering wheel by using an actuator such as a motor. Unlike conventional steering systems, And the steering power is assisted by the motor power without use.
이를 위해, MDPS는 ECU 제어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웜축(Worm-Shaft)과 이에 치합된 웜휠(Worm Wheel)을 구비함으로써, 웜휠(Worm Wheel)의 회전력을 기어박스쪽으로 전달해 조타력을 어시스트한다.
To this end, the MDPS is equipped with a motor that generates power by ECU control, a worm-shaft rotated through the motor, and a worm wheel meshing with the worm wheel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orm wheel is directed toward the gearbox And assists the steering force.
이와 같은 전동조향장치는 차량의 운행 환경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무게감을 변동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다양한 조향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Flex-Steering Device)가 구비될 수 있다.
Such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an provide various steering feelings to the driver by changing the weight feeling of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and a Flex-Steer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perform such a function .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인가되는 하중에 따라, 일반적인 하중이 인가되는 Nomal 모드, Nomal 모드에 비해 작은 하중이 인가되어 스티어링 휠의 조향감이 가벼운 Comfort 모드 및 Nomal 모드에 비해 큰 하중이 인가되어 스티어링 휠의 조향감이 무거운 Sport 모드로 구분된다.
In the flex steering device,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in comparison with the nominal mode in which a normal load is applied and the comfort mode in which the steering feeling of the steering wheel is light compared to the nominal mode, The steering feeling of the wheel is divided into the heavy Sport mode.
Sport 모드는 고속도로나 직선 도로와 같은 환경에서 고속 주행을 구현할 시 사용되며, Comfort 모드는 도심 도로나 곡선 도로, 또는 주차시 저속 주행을 구현할 시 사용될 수 있다.
The Sport mode is used to implement high-speed driving in environments such as highways and straight roads, and the Comfort mode can be used to implement urban roads, curved roads, or low-speed driving when parking.
이와 같은 종래의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상기 세 가지의 모드를 수동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스위치가 스티어링 휠 주변에 구비될 수 있는 바, 운전자의 의지에 의해 모드 선택이 자유로울 수 있었다.
In such a conventional flex steering device, a selection switch can be provided around the steering wheel so that the driver operating the vehicle can manually select the three modes, and the mode selection can be made freely by the driver's will .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는, 모드 선택이 전적으로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존하기 때문에, 우천 시와 같은 주변 환경의 변화시 주행의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주행하는 동안 비나 눈이 내리게 될 경우 운전자에 의해 Nomal 모드나 Sport 모드와 같은 무거운 조향 모드로 수동 조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flex steering apparatus, since the mode selection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manual operation of the dri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ability of driving is low when the surroundings such as when raining are changed. That is, when rain or snow falls during driving, the driver must manually operate the vehicle in a heavy steering mode such as a normal mode or a sport mode.
본 발명은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된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ular flex steer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detect a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utomatically switch a flex steering mode, thereby improving stabilit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Nomal/Comfort/Sport 모드)가 수동 선택되는 모드 선택부; 차량 주변의 환경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 주변 환경을 반영하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변경하거나 유지하는 모드 변경부; 및 상기 모드 변경부에 의해 변경되거나 유지되는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에 대응하여 스티어링 휠에 인가되는 하중을 변화시키는 조향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vehicle flex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in which a flex steering mode (Nomal / Comfort / Sport mode) is manually selected by an operation of a driver;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n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A mode changing unit for changing or maintaining the flex steering mode by reflect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recogniz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for changing a load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corresponding to the flex steering mode which is changed or maintained by the mode changing unit.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우천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강우량을 인식하는 우적 센서부; 및 와이퍼의 작동 상태 및 작동 속도를 제어하는 와이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propulsion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 rainfall amount to recognize a rainy situation; And a wip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and an operating speed of the wiper.
또한, 상기 모드 변경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우천 상황인 것으로 인식될 경우, Normal 모드를 Sport 모드로, Comfort 모드를 Normal 모드나 Sport 모드로 강제 변경시킬 수 있다.
The mode change unit may forcibly change the normal mode to the Sport mode and the Comfort mode to the normal mode or the Sport mode when recognized as a rainy situation through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은, 모드 선택부를 통해 운전자의 모드 선택이 이루어지는지 여부 및 Nomal 모드, Comfort 모드 또는 Sport 모드 중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인식하는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 우적 센서부와 와이퍼 제어부를 통해 우천 상황인지 여부를 인식하는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 및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의 인식 결과에 따라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모드 선택부의 동작 상태 및 우천 상황 여부를 비교하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강제 제어하는 모드 판단 단계(S130); 및 상기 모드 판단 단계(S130)에서 결정된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로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lex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election recognizing step (S110) of recognizing whether a mode of a driver is selected through a mode selection unit and a mode selected by a driver from among Nomal mode, Comfort mode or Sport mode; A surrounding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of recognizing whether or not it is a rainfall situation through a rain sensor unit and a wiper control unit; A mod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flex steering mode based on a recognition result of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compar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e selection unit and whether it is rainy or not and forcibly controls the flex steering mode Step S130; And a mode changing step (S140) for changing the mode to the flex steering mode determined in the mode determining step (S130).
이때, 상기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는, 상기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운전자에 의해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선택되고 비 우천 상황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선택된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recognition step S120, if the driver selects the flex steering mode in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d recognizes the non-rain situation, the user can change the selected mode to the selected flex steering mode.
또한, 상기 모드 판단 단계(S130)는, 상기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운전자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에서 우천 상황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모드는 무시되고 Sport 모드나 Normal 모드로 강제 변경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is selected by the driver in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d the rain condition is recognized in the perimeter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130) Is ignored and can be forcibly changed to Sport mode or Normal mode.
또한, 상기 모드 판단 단계(S130)는, 현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Normal 모드인 경우는 Sport 모드로 강제 변경되고, 현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Sport 모드나 Comfort 모드인 경우 Normal 모드로 강제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130 may be forcibly changed to the Sport mode when the current flex-steering mode is the Normal mode and forced to the Normal mode when the current Flex-Steering mode is the Sport mode or the Comfort mode.
또한, 상기 모드 판단 단계(S130)는, 상기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운전자에 의해 모드가 비 선택되고 상기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에서 우천 상황인 것으로 판별되면, Sport 모드로 강제 변경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is not selected by the driver in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d that the environment is recogniz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130) .
본 발명의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우천에 의한 주변 환경 악화시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강제 변경함으로써 보다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flex steer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f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ex steer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stability by forcibly changing the flex steering mode when the ambient environment deteriorates due to ra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3은 도 2의 개략도를 구체화한 제어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vehicle flex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flex-steering apparatus of Fig. 1; Fig. And
Figure 3 is a control flow diagram embodying the schematic diagram of Figure 2;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hicle flex steer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100)는 모드 선택부(110), 센서부(120), 모드 변경부(130) 및 조향감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1, a vehicle
모드 선택부(11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Nomal 모드, Comfort 모드 및 Sport 모드가 수동 선택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 주변에 설치되는 조작버튼일 수 있다.
The
운전자의 버튼 선택에 의해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선택될 수 있으며,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의 Nomal 모드는 일반적인 주행 환경에 적합한 하중이 스티어링 휠에 인가되는 모드이고, Comfort 모드는 Nomal 모드에 비해 작은 하중이 인가되어 스티어링 휠의 조향감이 가벼운 모드이며, Sport 모드는 Nomal 모드에 비해 큰 하중이 인가되어 스티어링 휠의 조향감이 무거운 모드일 수 있다.
The flex steering mode can be selected by the button selection of the driver, the Nomal mode of the flex steering mode is a mode in which a load suitable for a general driving environment is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e Comfort mode is a steering mode The steering feeling of the wheel is a light mode, and the Spor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teering wheel is heavily loaded with a load greater than that in the Nomal mode.
모드 선택부(110)에 의한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의 변경은, 차량의 주행 전 및 주행 동안에도 자유롭게 가능할 수 있다.
The change of the flex steering mode by the
센서부(120)는 차량 주변의 환경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주행 동안에 주행장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우천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강우량을 인식하여 우천 상황을 인식하는 우적 센서부(121;Rain Sensor)와 와이퍼의 작동 상태 및 작동 속도를 제어하는 와이퍼(Windshield Wiper) 제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즉, 센서부(120)는 우적 센서부(121)에 의해 인식되는 강우량의 정도 또는 와이퍼 제어부(122)를 통해 제어되는 와이퍼의 작동 상태 및 속도를 통해 현재 차량 주변의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That is, the
모드 변경부(130)는 차량의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모드 선택부(110)를 통한 운전자의 모드 선택, 센서부(120)를 통한 차량 주변 환경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Nomal 모드, Comfort 모드 및 Sport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The
모드 변경부(130)에 의해 제어되는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은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flex-steering apparatus controlled by the
조향감 제어부(140)는 모드 변경부(130)에 의해 변경되거나 유지되는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에 대응하여 스티어링 휠에 인가되는 하중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조향감 제어부(140)는 전동조향장치(MDPS)에 구비된 엑추에이터를 통해 하중을 변화시킬 수 있다.
The steering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 모드 판단 단계(S130) 및 모드 변경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flex stee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ludes a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 ambient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a mode determination step S130, And a mode change step S140.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는 모드 선택부(110)를 통해 운전자의 모드 선택이 이루어지는지 여부 및 Nomal 모드, Comfort 모드 또는 Sport 모드 중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인식할 수 있다.
In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the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는 센서부(120)에 의해 인식되는 차량 주변 환경을 인식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우적 센서부(121)와 와이퍼 제어부(122)를 통해 우천 상황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The ambient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recognizes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recognized by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운전자에 의해 모드 선택부(110)가 동작하였으나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에서 현재 주변 환경이 양호한 상태, 즉 우천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모드 판단 단계(S130)는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 및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의 인식 결과에 따라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모드 선택부의 동작 상태 및 우천 상황 여부를 비교하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강제 제어할 수 있다.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130 is for determining a flex steering mod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130 compar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e selection part with the rainy situation, Mode can be forcibly controll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운전자에 의해 모드 선택부(110)가 동작하였으나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에서 현재 주변 환경이 불량한 상태, 즉 우천 상황인 것으로 판별되면,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는 무시되고, Sport 모드나 Normal 모드로 강제 변경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즉, 현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Normal 모드인 경우는 Sport 모드로 강제 변경되고, 현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Normal 모드가 아닌 경우, 즉 Sport 모드나 Comfort 모드인 경우 Normal 모드로 강제 변경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urrent flex-steering mode is the normal mode, it is forcibly changed to the Sport mode, and when the current flex-steering mode is not the normal mode, that is, when it is the Sport mode or the Comfort mode, it can be forcibly changed to the normal mode.
이와 달리, 본 실시예의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100)는 운전자에 의해 모드 선택부(110)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에서 현재 주변 환경이 우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우천 상황에 적합한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로 강제 변경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운전자에 의해 모드 선택부(110)가 동작하지 않았으나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에서 현재 주변 환경이 불량한 상태, 즉 우천 상황인 것으로 판별될 경우, 현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Normal 모드인 경우는 Sport 모드로 강제 변경되고, 현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Sport 모드인 경우는 현재 Sport 모드를 유지하고, 현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Comfort 모드인 경우 Sport 모드로 강제 변경될 수 있다.
3, it is determined that th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110: 모드 선택부
120: 센서부
121: 우적 센서부
122: 와이퍼 제어부
130: 모드 변경부
140: 조향감 제어부100: Flex steering device
110: Mode selection unit
120:
121:
122: wiper control unit
130: Mode changing section
140:
Claims (8)
차량 주변의 환경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 주변 환경을 반영하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변경하거나 유지하는 모드 변경부; 및
상기 모드 변경부에 의해 변경되거나 유지되는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에 대응하여 스티어링 휠에 인가되는 하중을 변화시키는 조향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A mode selection unit in which the flex steering mode (Nomal / Comfort / Sport mode) is manually selected by the driver's operation;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n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A mode changing unit for changing or maintaining the flex steering mode by reflect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recogniz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And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for changing a load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in response to the flex steering mode changed or maintained by the mode changing unit.
상기 센서부는,
우천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강우량을 인식하는 우적 센서부; 및
와이퍼의 작동 상태 및 작동 속도를 제어하는 와이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n object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 rainfall amount to recognize a rainy situation; And
And a wip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and an operating speed of the wiper.
상기 모드 변경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우천 상황인 것으로 인식될 경우,
Normal 모드를 Sport 모드로, Comfort 모드를 Normal 모드나 Sport 모드로 강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mode changing unit may include:
When it is recognized through the sensor unit that it is in a rainy condition,
Wherein the forcible mode is forcibly changed to the Sport mode and the Comfort mode is forcibly changed to the normal mode or the Sport mode.
우적 센서부와 와이퍼 제어부를 통해 우천 상황인지 여부를 인식하는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 및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의 인식 결과에 따라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모드 선택부의 동작 상태 및 우천 상황 여부를 비교하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를 강제 제어하는 모드 판단 단계(S130); 및
상기 모드 판단 단계(S130)에서 결정된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로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A mode selection recognizing step (S110) of recognizing whether the mode of the driver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and the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n the Nomal mode, the Comfort mode or the Sport mode;
A surrounding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of recognizing whether or not it is a rainfall situation through a rain sensor unit and a wiper control unit;
A mod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flex steering mode based on a recognition result of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compar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e selection unit and whether it is rainy or not and forcibly controls the flex steering mode Step S130; And
And a mode changing step (S140) of changing the mode to the flex steering mode determined in the mode determining step (S130).
상기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는,
상기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운전자에 의해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선택되고 비 우천 상황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선택된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peripheral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Wherein when the flex steering mode is selected by the driver in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d it is recognized that the vehicle is in a non-rain situation, the control mode is changed to the selected flex steering mode.
상기 모드 판단 단계(S130)는,
상기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운전자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에서 우천 상황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모드는 무시되고 Sport 모드나 Normal 모드로 강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1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is selected by the driver in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environment is the rainy stat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the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ignored and forced to the Sport mode or the Normal mo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상기 모드 판단 단계(S130)는,
현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Normal 모드인 경우는 Sport 모드로 강제 변경되고, 현재 플렉스 스티어링 모드가 Sport 모드나 Comfort 모드인 경우 Normal 모드로 강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130)
Wherein when the current flex steering mode is the normal mode, the mode is forcibly changed to the Sport mode, and when the current flex steering mode is the Sport mode or the comfort mode, the mode is forcibly changed to the normal mode.
상기 모드 판단 단계(S130)는,
상기 모드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운전자에 의해 모드가 비 선택되고 상기 주변 환경 인식 단계(S120)에서 우천 상황인 것으로 판별되면, Sport 모드로 강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스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130)
Wherein if the mode is not selected by the driver in the mode selection recognition step (S110)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environment is the rainy condition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cognition step (S120), the control mode is forcibly changed to the Sport mode .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9183A KR20140062905A (en) | 2012-11-15 | 2012-11-15 | Flex steering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9183A KR20140062905A (en) | 2012-11-15 | 2012-11-15 | Flex steering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62905A true KR20140062905A (en) | 2014-05-27 |
Family
ID=508910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29183A Ceased KR20140062905A (en) | 2012-11-15 | 2012-11-15 | Flex steering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062905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8024354A (en) * | 2016-08-10 | 2018-02-15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control method |
| KR20210145389A (en) * | 2020-05-25 | 2021-12-0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Motor driven power steer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2
- 2012-11-15 KR KR1020120129183A patent/KR2014006290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8024354A (en) * | 2016-08-10 | 2018-02-15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control method |
| KR20210145389A (en) * | 2020-05-25 | 2021-12-0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Motor driven power steer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650101A3 (en) | Steering control apparatus | |
| US8843270B2 (en) | Wiper motor control system for vehicle | |
| ATE327130T1 (en) | PARKING AID FOR A MOTOR VEHICLE | |
| JP3809911B2 (en) | Raindrop sensitive windshield wiper system | |
| CN104842943A (en) | Controller for automobile rear window wiper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 |
| US20170225654A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or otherwise manipulating vehicle component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 |
| KR20140062905A (en) | Flex steering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 JP2011168090A (en) | Wiper control device | |
| US8222849B2 (en) | Motor control method for MDPS system | |
| US7476011B2 (en) | Lamp assembly with variable illuminating direction | |
| KR2016011114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ing turn signal light of vehicle | |
| KR10258644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or driven power steering | |
| JP4394424B2 (en) |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 |
| CN201784527U (en) | Automobile steering lamp system | |
| EP3191351B1 (en) | A wiper operation speed adjustment system | |
| JP2014104957A (en) | Rear wiper control device and automobile mounted with the same | |
| KR100633399B1 (en) |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steering stroke variable system | |
| JP4835479B2 (en) | Wiper control device | |
| KR20150128241A (en) | Power steering system | |
| KR102598640B1 (en) | Wiper c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 |
| JP3187678U (en) | Automotive wiper control device | |
| JP4214906B2 (en) | Power steering device | |
| JP4788067B2 (en) | Wiper device | |
| KR100431970B1 (en) | Rear Wiper Operation Method of Vehicle | |
| KR200405585Y1 (en) | Vehicle rear glass wiper automatic oper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5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