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649A -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4649A KR20140084649A KR1020120154321A KR20120154321A KR20140084649A KR 20140084649 A KR20140084649 A KR 20140084649A KR 1020120154321 A KR1020120154321 A KR 1020120154321A KR 20120154321 A KR20120154321 A KR 20120154321A KR 20140084649 A KR20140084649 A KR 201400846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printing paper
- paper
- stopper
- roller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7—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deskewing or align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는, 인쇄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카세트;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형성부를 통과한 인쇄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부;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인쇄 용지를 이송하는 제 1 롤러부; 상기 제 1 롤러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롤러부로부터 이송되는 인쇄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부로 안내하는 제 2 롤러부; 상기 제 1 롤러부와 제 2 롤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롤러부를 통과하는 인쇄 용지의 스큐 상태를 해소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A document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per feed cassette for supplying printing paper; An image form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on a printing paper supplied from the paper feed cassette; A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the printing paper having passed through the image forming unit to the outside; A first roller portion for feeding the printing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 cassette; A second roller portion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guid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from the first roller portion to the image forming portion; A stopp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the second roller portion to eliminate a skew state of the printing paper passing through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a dr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opper to allow the stopper to move up and down.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린터를 포함하는 문서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ument output apparatus including a printer.
문서 출력 장치는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에 결합되어 호스트 장치에서 인가되는 인쇄 신호에 따라 호스트 장치에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종이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에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문서 출력 장치는, 인쇄 매체를 공급하는 인쇄 매체 공급 유닛과, 인쇄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화상이 형성된 인쇄 매체를 배출하는 배출 유닛을 포함한다. The document output device is a device coupled to a host device including a computer and outputs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device to a print medium including paper in accordance with a print signal applied from the host device. Such a document output apparatus includes a print medium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int medium, an image form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on the print medium,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rint medium on which the image is formed.
상세히, 상기 인쇄 매체 공급 유닛은, 인쇄 매체, 즉 인쇄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 카세트와, 상기 급지 카세트의 전단부 상면에 제공되는 마찰 패드 및 상기 마찰 패드와 접하는 픽업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 패드와 픽업 롤러 사이에 인쇄 용지의 전단부가 개입되고, 상기 픽업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인쇄 용지가 물려 들어가는 구조를 이룬다. In detail, the print medium supply unit includes a paper feed cassette on which a print medium, that is, print paper, is loaded, a friction pa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feed cassette, and a pickup roller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pad. A front end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riction pad and the pick-up roller, and the printing paper is transferred by the rotation of the pick-up roller.
최근에는 다양한 용지에 대한 인쇄 요구가 커지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용지 외에 얇은 용지나 카드 스톡 용지 등과 같이 매우 두꺼운 용지 뿐 아니라 코팅 용지, 라벨 용지 및 기름 종이에 이르기까지 요구 폭이 매우 넓다고 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printing on various types of paper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in addition to ordinary paper, there is a very wide demand ranging from very thin paper such as thin paper or card stock paper to coated paper, label paper and oil paper .
이러한 종래의 문서 출력 장치는 인쇄 용지가 화상 형성부로 이송될 때 이동선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져서 인입되는 스큐(skew) 문제를 안고 있다. 스큐 현상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데, 픽업 롤러에서 인쇄 용지를 픽업할 때 발생하거나, 이송 롤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좌측과 우측의 이송 롤러 중 어느 한 쪽에서 용지가 미끄러지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인쇄 내용이 인쇄 용지에 정확하게 인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Such a conventional document output apparatus has a skew problem in which the paper is turned to the left or right on the moving line when the printing paper is conveyed to the image forming unit. The skew phenomenon occurs due to various causes, which may occur when picking up a print sheet from a pick-up roller, or occurring when the sheet slips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conveying rollers in the process of being conveyed by the conveying roller. In this cas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print contents can not be accurately printed on the printing paper.
한국공개특허 제2011-0064076호 또는 제2011-0040471호의 경우, 스큐를 감지하면 용지의 경사를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쇄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2008-0035899호의 경우 스큐가 발생하면 용지의 피딩력을 조절하여 스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4076 or No. 2011-0040471 discloses a method of correcting a print image instead of correcting the inclination of a sheet upon detecting a skew. In the case of the 2008-0035899, when skew occurs, And adjusting the feeding force to solve the skew problem.
그리고, 종래의 일반적인 문서 출력 장치의 경우 스큐가 발생하면 프린팅 동작을 정지하거나 단일 축에 연결된 롤러들 중 일부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도록 하여 스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안들은 스큐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인쇄 품질 저하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In a conventional general document output apparatus, when the skew occurs, the printing operation is stopped or the rotational speed of some of the rollers connected to a single axis is changed to solve the skew problem. However, these solutions do not fundamentally block the skew problem and still do not solve the print quality degradation probl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쇄 용지가 픽업 롤러 또는 이송 롤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틀어지더라도, 화상 형성부 전방에서 스큐 보정을 수행한 다음 화상 형성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document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paper is fed in the process of being fed by the pick-up roller or the feed roller, skew correction is performed in front of the image forming section And then transferred to the image forming s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는, 인쇄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카세트;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형성부를 통과한 인쇄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부;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인쇄 용지를 이송하는 제 1 롤러부; 상기 제 1 롤러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롤러부로부터 이송되는 인쇄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부로 안내하는 제 2 롤러부; 상기 제 1 롤러부와 제 2 롤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롤러부를 통과하는 인쇄 용지의 스큐 상태를 해소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cument output apparatus including: a paper feed cassette for supplying printing paper; An image form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on a printing paper supplied from the paper feed cassette; A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the printing paper having passed through the image forming unit to the outside; A first roller portion for feeding the printing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 cassette; A second roller portion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guid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from the first roller portion to the image forming portion; A stopp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the second roller portion to eliminate a skew state of the printing paper passing through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a dr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opper to allow the stopper to move up and down.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에 따르면, 용지 이송 과정에서 스큐가 발생하더라도 화상 형성부 진입 전에 용지가 정상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함(deskew)으로써, 인쇄 내용이 정상적으로 용지에 인쇄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ocument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skew occurs in the sheet conveying process, the sheet is deskewed to the normal position before entering the image forming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inted on.
또한, 데스큐(deskew) 과정을 통해서 스큐로 인한 잼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l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jam prevention effect due to skew can be expected through a deskew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정렬부가 구비된 문서 출력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인쇄 용지 이송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큐 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스큐 방지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스큐 방지 기능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ocument output apparatus provided with a paper alig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rint paper feed path of a document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ke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kew prevention function is performed;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after the skew prevention function is comple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document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ocument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10)는, 인쇄 매체, 즉 인쇄 용지가 수납되는 급지 카세트(11)와, 상기 급지 카세트(11)에 수납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8)와,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잉크를 포함하는 인쇄 물질을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21)와, 상기 급지 카세트(11)에 수납된 인쇄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통과하면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배지 롤러부를 포함한다. 1, a
상세히, 상기 이송 롤러부는, 상기 급지 카세트(11)의 전면 상단에 위치하여 인쇄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는 제 1 픽업 롤러(31)와,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 용지를 이어받아 인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화상 형성부(18) 쪽으로 이송하는 가속 롤러(32)와, 상기 가속 롤러(32)로부터 이어받은 인쇄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속 롤러(32)로부터 이송되는 인쇄 용지는 급지 가이드(12)에 의하여 상기 이송 롤러(34)로 안전하게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급지 가이드(12)의 단부 쪽에 연결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7)에 의하여, 인쇄 용지가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안전하게 안내된다. In detail, the conveying roller unit includes a first pick-
그리고, 상기 배지 롤러부는,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통과한 인쇄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버티컬 롤러(37)와 배지 롤러(38)를 포함한다. 상기 배지 롤러(38)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아이들 롤러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아이들 롤러는 배지 아이들 롤러(381)와 전환 아이들 롤러(382)를 포함하며, 이들에 대한 기능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롤러들 외에 인쇄 용지 이송을 위한 다수의 롤러에 대해서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ischarge roller unit includes a
또한, 상기 배지부는, 상기 버티컬 롤러(37)로 안내된 인쇄 용지가 상기 배지 롤러부로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지 가이드(19)와, 상기 배지 롤러(38)를 통과한 인쇄 용지가 출력 용지 수납 영역에 정확하게 적재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지 가이드 커버(20)를 포함한다. The delivery unit includes a
한편, 상기 화상 형성부(18)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잉크를 고속으로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된 잉크젯 헤드(inkjet head)일 수 있고, 상기 잉크젯 헤드는 용지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PSA(Page Straight Array) 헤드 또는 PWP(Page Width Printer) 헤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로 좌우로 왕복하는 셔틀 방식 헤드(Shuttle-typed head)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나아가, 상기 화상 형성부(18)는 토너를 분사하는 전사 방식 헤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또한, 상기 문서 출력 장치(10)는, 상기 이송 롤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메인 모터(13)와, 상기 메인 모터(13)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다수의 이송 롤러축들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어셈블리(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14)에 의하여 단일 구동원으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이 다수의 회전축이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The
또한, 상기 문서 출력 장치(10)는, 배지 롤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배지 모터(15)와, 양면 인쇄 모드에서 인쇄 용지를 역이송하기 위한 반전 롤러부(후술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듀플렉스 모터(Duplex motor)(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10)의 인쇄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급지 카세트(11)에 적재된 인쇄 용지는 이송 롤러부에 의하여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이송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통과하면서 일 면에 화상이 인쇄된 인쇄 용지는 상기 배지 롤러부 및 배출부를 통하여 출력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The printing process of the
이하에서는 급지 카세트(11)에 적재된 인쇄 용지의 이송 경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veyance path of the printing paper loaded i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인쇄 용지 이송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print paper feed path of the document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10)는 급지 카세트(11)에 적재된 인쇄 용지를 이용하여 인쇄할 수도 있고, 다목적 트레이(Multi-Pulpose Tray) 또는 수동 트레이(Manual Paper Tray)를 이용하여 낱장 인쇄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문서 출력 장치(10)는, 상기 급지 카세트(11)의 전면 상단에 제공되는 제 1 픽업 롤러(31)와, 상기 다목적 트레이 또는 수동 트레이의 전단에 제공되는 제 2 픽업 롤러(33)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상세히, 상기 제 1 및 제 2 픽업 롤러(31,32)의 전방에는 인쇄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롤러(34)와 제 1 픽업 롤러(31) 사이에는 가속 롤러(32)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 용지를 이어받아 인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의 선속도보다 상기 가속 롤러(32)의 선속도가 더 빠르게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의 선속도를 상기 가속 롤러(32)의 선속도에 가깝게 설정할 경우, 인쇄 용지가 픽업되지 않고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의 선속도를 가속 롤러(32)의 선속도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와 상기 이송 롤러(34) 간에는 높이 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픽업 롤러(31)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 용지의 선단이 상기 이송 롤러(34)에 안정적으로 물리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가속 롤러(32)가 제공된다. 상기 가속 롤러(32) 이후에 제공되는 롤러들의 선속도는 상기 가속 롤러(32)의 선속도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롤러(34)는 제품의 규격에 따라서 다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ick-
한편, 상기 이송 롤러(34)의 전방에는 인입 롤러(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입 롤러(35)는 피드(feed) 롤러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인입 롤러(35)는 상기 화상 형성부(18)의 직후방(용지의 인쇄 방향을 기준으로 함)에 위치하여, 인쇄 용지가 안정적으로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안내되도록 한다. 제품에 따라서, 인쇄 용지의 스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입 롤러(35)의 직후방에 스큐 방지 구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인입 롤러(3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진 상태로 인입되는 인쇄 용지를 정상 위치로 되돌리도록 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a
또한, 상기 화상 형성부(18)의 전방에는 배출 롤러(36)가 제공되어,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통과하면서 화상이 형성된 인쇄 용지가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벗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 롤러(36)의 전방에는 버티컬 롤러(37)가 구비되어,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벗어난 인쇄 용지를 배지 롤러(38)로 안내한다. 상기 배지 롤러(38)의 외주면 일측에는 배지 아이들 롤러(381)가 구비된다. 따라서, 인쇄를 마친 인쇄 용지가 상기 배지 롤러(38)와 배지 아이들 롤러(381) 사이를 통과하여, 인쇄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면(101)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A
한편, 양면 복사 기능이 구비된 문서 출력 장치(10)의 경우, 상기 배지 롤러(38)의 외주면 타측에 반전 아이들 롤러(382)가 제공된다. 그리고, 인쇄를 마친 인쇄 용지가 상기 배지 롤러(38)와 반전 아이들 롤러(382) 사이로 통과하도록 한다. 즉, 상기 배지 롤러(38)는 배지 기능 및 용지 반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쇄 용지가 배지 롤러(38)와 반전 아이들 롤러(382)를 완전히 벗어나기 전에 상기 배지 롤러(38)는 일시 정지한 후 역회전하여, 인쇄 용지를 반전 경로로 역이송시킨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도면에서 A로 표시된 경로를 인쇄 경로로 정의할 수 있고, B로 표시된 경로를 반전 경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인쇄 경로(A)는 급지 경로와, 인쇄 경로 및 배지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전 경로(B)는 한쪽 면만 인쇄된 인쇄 용지를 반전시켜, 인쇄되지 않은 다른 면이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향하는 상태로 상기 인쇄 경로로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반전 경로(B) 상에는 다수의 이송 롤러(39,40,41)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A path denoted by A in the drawing can be defined as a print path, and a path denoted by B can be defined as an inversion path. The print path A may include a paper feed path, a print path, and a paper path. The reversal path B reverses the printing paper printed on only one side so that the other side that is not printed is guided to the printing path in a state of facing the
여기서, 상기 픽업 롤러들(31,33)과, 가속 롤러(32)는 급지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이송 롤러(34)와, 인입 롤러는 이송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롤러(36)와 버티컬 롤러(37) 및 배지 롤러(38)는 배지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전 경로 상에 제공되는 이송 롤러들(30,40,41)은 반전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를 이루는 롤러들 각각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맞닿는 아이들 롤러가 하나의 유닛 또는 세트로 제공된다. 상기 아이들 롤러는 인쇄 용지가 통과할 때 인쇄 용지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이다. Here, the
또한, 상기 점선 M1으로 묶인 롤러들은 상기 메인 모터(13)로부터 기어 어셈블리(14)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점선 M2로 묶인 롤러는 배지 모터(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점선 M3로 묶인 롤러들은 상기 듀플렉스 모터(16)로부터 기어 어셈블리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급지 및 이송 롤러부는 메인 모터(1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배지 롤러부는 배지 모터(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배출 롤러(36)와 버티컬 롤러(37)는 상기 메인 모터(13) 또는 배지 모터(15)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rollers bundled with the dashed line M1 can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큐 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ke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큐 방지 구조는, 인쇄 용지의 선단부가 바르게 또는 비스듬히 인입되는 이송 롤러(34)와, 상기 이송 롤러(34)의 전방에 위치하여 비스듬히 인입되는 인쇄 용지를 바르게 정렬시키는 데스큐 부재 와, 상기 데스큐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 및 상기 데스큐 부재에 의하여 바르게 정렬된 인쇄 용지를 화상 형성부로 이송하는 인입 롤러(3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ske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상세히, 상기 데스큐 부재는 반드시 상기 이송 롤러(34)와 인입 롤러(35) 사이에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픽업 롤러(31,33)와 인입 롤러(35) 사이에 있는 롤러들 중 인접하는 롤러들 사이에 해당하는 어느 지점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들 롤러들을 대표하는 롤러 부재로 한정하는 의미에서, 상기 이송 롤러(34)는 제 1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인입 롤러(35)를 제 2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송 롤러(34)와 인입 롤러(35) 사이에 상기 데스큐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한다. In detail, the desk elem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between the conveying
더욱 상세히, 상기 이송 롤러(34)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회전축(343)과, 상기 회전축(343)에 연결되는 구동 롤러(341) 및 상기 구동 롤러(341)에 접촉하는 아이들 롤러(342)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들 롤러(342)는 상기 구동 롤러(341)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거나, 인쇄 용지가 통과할 때 인쇄 용지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veying
또한, 상기 데스큐 부재는 상기 이송 롤러(34)를 통과하는 인쇄 용지의 선단부를 바르게 정렬하는 스토퍼(50)로서, 상기 이송 롤러(34)의 전방에서 상기 구동 부재(60)에 의하여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인쇄 용지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인쇄 용지의 선단부가 부딪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부재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스토퍼(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60)를 포함한다.The desqueering member is a
이하에서는 상기 스큐 방지 구조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kew prevention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스큐 방지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스큐 방지 기능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kew prevention function is performed,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after the skew prevention function is completed.
도 4를 참조하면, 픽업 롤러(31,33)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 용지는 안내판(70)을 따라서 화상 형성부(18) 쪽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 용지의 픽업 동작과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60)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솔레노이드(60)의 동작에 의하여 스토퍼(50)가 상승하게 된다. 물론, 상기 안내판(70)에는 상기 스토퍼(50)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0)가 상승하는 것에 의하여, 인쇄 용지의 이송 경로가 차단된다. 4, the printing paper picked up by the pick-up
상세히, 픽업 롤러(31,33)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 용지는 제 1 롤러부, 즉 이송 롤러(34) 까지 안내되는 동안 어떤 원인에 의하여 이송 경로를 따라 바르게 이송되지 못하고 비스듬히 틀어져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부 일측이 타측보다 먼저 상기 이송 롤러(34)에 인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송 롤러(34)를 구성하는 구동 롤러(341)와 아이들 롤러(342) 사이의 선압(nip pressure)에 의하여, 비스듬한 상태로 전방으로 안내된다. In detail, the printing paper picked up by the pick-up
그리고,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부 일측이 먼저 상기 스토퍼(50)에 부딪히게 되고, 타측이 그 후에 부딪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0)는 일정 시간 동안 상승한 상태에 있다가, 상기 솔레노이드(60)의 작동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인쇄 용지가 제 2 롤러부, 즉 인입 롤러(35) 쪽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0)의 상승 유지 시간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en, one end of the leading end of the printing paper first strikes the
첫째, 상기 이송 롤러(34)를 구성하는 구동 롤러(341)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스토퍼(50)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정상적으로 인쇄 용지가 상기 이송 롤러(34)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이송 롤러(34)와 상기 스토퍼(50)의 간격이 결정되면, 상기 인쇄 용지 상기 이송 롤러(34)로부터 인출되는 데 필요한 상기 구동 롤러(341)의 회전수가 산출될 것이다. 그리고, 인쇄 용지의 이송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거리만큼 인쇄 용지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계산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와 이동 시간을 변수로 하여 인쇄 용지의 선단부 전체가 상기 스토퍼(50)에 부딪히는데 걸리는 시간이 산출될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용지가 상기 이송 롤러(34)에 인입되는 시점으로부터 산출된 시간이 경과되는 순간 상기 스토퍼(50)가 신속히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인쇄 용지가 이송 중에 멈추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인쇄 용지가 신속하게 화상 형성부(18)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인쇄 용지가 멈추어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상기 스토퍼(50)에 먼저 부딪힌 쪽의 인쇄 용지 선단부 쪽이 이송 롤러(34)의 선압에 의하여 밀려서 구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용지가 구겨지면 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0)의 상승 상태 유지 시간을 정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First, when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iving
둘째, 상기 스토퍼(50)의 일면, 즉 인쇄 용지의 선단부가 부딪히는 면에 센서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Second,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sensor to one surface of the
상세히, 상기 스토퍼(5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인쇄 용지의 부딪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고, 상기 센서는 인쇄 용지의 폭과 동일하거나 인쇄 용지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인쇄 용지의 폭보다 센서들 간의 간격이 넓을 경우 인쇄 용지의 좌우 측단을 감지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detail,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collision of the printing paper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센서 모두가 인쇄 용지의 부딪힘을 감지하는 순간 상기 스토퍼(50)가 신속하게 하강하도록 하여, 인쇄 용지가 바르게 정렬되자 마자 인입 롤러(35) 쪽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As soon as the pair of sensors sense the collision of the printing paper, the
한편, 상기 스토퍼(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는 제시된 솔레노이드(60)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컨대, 상기 스토퍼(50)의 측단에 기어 어셈블리와 구동 모터가 장착되어,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스토퍼(50)의 승하강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모든 구동 수단이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It is to be noted that the driving member for moving the
Claims (6)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형성부를 통과한 인쇄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부;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인쇄 용지를 이송하는 제 1 롤러부;
상기 제 1 롤러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롤러부로부터 이송되는 인쇄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부로 안내하는 제 2 롤러부;
상기 제 1 롤러부와 제 2 롤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롤러부를 통과하는 인쇄 용지의 스큐 상태를 해소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문서 출력 장치. A paper feed cassette for supplying print paper;
An image form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on a printing paper supplied from the paper feed cassette;
A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the printing paper having passed through the image forming unit to the outside;
A first roller portion for feeding the printing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 cassette;
A second roller portion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guid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from the first roller portion to the image forming portion;
A stopp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the second roller portion to eliminate a skew state of the printing paper passing through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And a dr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opper to allow the stopper to move up and down.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수직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출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has a vertical surface on which the leading end of the printing paper contacts.
상기 구동 부재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문서 출력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iving member includes a solenoid.
급지가 시작되면 상기 스토퍼는 상승한 상태가 되고,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부 양 측단이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토퍼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출력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paper feed is started, the stopper is in an elevated state,
Wherein the stopper is lowered when both ends of the leading end of the printing paper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상기 수직면에 장착되어, 인쇄 용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문서 출력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nsor mounted on the vertical surface to detect contact of the printing paper.
상기 센서는, 상기 수직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센서들 간의 간격은 상기 인쇄 용지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출력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or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plane, respectively,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sensors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width of the printing pap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54321A KR20140084649A (en) | 2012-12-27 | 2012-12-27 |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54321A KR20140084649A (en) | 2012-12-27 | 2012-12-27 |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84649A true KR20140084649A (en) | 2014-07-07 |
Family
ID=517344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54321A Withdrawn KR20140084649A (en) | 2012-12-27 | 2012-12-27 |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084649A (en) |
-
2012
- 2012-12-27 KR KR1020120154321A patent/KR20140084649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784126B2 (en) | Sheet transfer device and image recording device | |
| US12091278B2 (en) |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4905576B2 (en) | Image recording device | |
| JP4618315B2 (en) |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 |
| JP4692661B2 (en) | Recording device | |
| US20130320616A1 (en) | Printing medium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 US9931871B2 (en) | Discharge apparatus and detachable tray | |
| JP2008012815A (en) | Conveyance control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apparatus, and conveyance control method | |
| JP5935717B2 (en) | Recording device | |
| KR20060063202A (en) | Registr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
| JP6176033B2 (en) | Recording device | |
| KR20140084649A (en) |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 |
| US10526153B2 (en) | Printing apparatus | |
| JP4985616B2 (en) | Inkjet recording device | |
| US8801173B2 (en) | Sheet-discharge device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heet-discharge device | |
| JP2013209181A (en) |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program | |
| JP2018203461A (en) |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 KR20140084985A (en) |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 |
| KR2014008498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 |
| KR2014009267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 |
| JP2025138347A (en) | Image forming device | |
| JP6107517B2 (en) | Convey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KR2014008498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 |
| KR20140084647A (en) |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on a paper | |
| KR100761105B1 (en) | Paper buffer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