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88354A -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354A
KR20140088354A KR1020130000155A KR20130000155A KR20140088354A KR 20140088354 A KR20140088354 A KR 20140088354A KR 1020130000155 A KR1020130000155 A KR 1020130000155A KR 20130000155 A KR20130000155 A KR 20130000155A KR 20140088354 A KR20140088354 A KR 2014008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access
access point
connection
designated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광민
오훈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354A/ko
Priority to PCT/KR2013/012291 priority patent/WO2014107009A1/en
Priority to EP13199696.9A priority patent/EP2753128A3/en
Priority to BR112015016025A priority patent/BR112015016025A2/pt
Priority to AU2014200001A priority patent/AU2014200001A1/en
Priority to US14/146,635 priority patent/US20140185604A1/en
Priority to CN201410001135.XA priority patent/CN103916934A/zh
Publication of KR2014008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35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파이 모듈을 기반으로 사전 정의된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경우, 해당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Connection Control Method For Access Poin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가 사전 정의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만 접속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시 설정에 따라 추가로 다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중지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 전원 절약 및 검색과 접속 시도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가지며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아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 크기가 확대됨과 아울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지원에 힘입어 극적인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탑재된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종래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능 지원을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해당 이동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서비스의 경우 호당 또는 일정 데이터 용량 당 과금이 책정되기 때문에 특정 과금 서비스 가입을 제외하고 무한정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는 없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의 특징인 이동 상태에서도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 등에 제약이 존재한다. 최근 들어, LTE 망 설치 및 지원에 따라 전송 속도를 개선해 나가고 있지만 여전히 LTE 망이 전국적으로 완벽하게 설치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모든 구역에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지원하고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등을 지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아직까지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모든 지역에 완벽하게 배치된 것은 아니어서 이동성에는 제약이 있지만 고정된 위치에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데이터 속도를 보장받을 수 있으며,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제공자가 대부분 무료로 서비스 이용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 과금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모든 지역에 배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반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항상 턴-온 상태로 유지하더라도 항상 접속 상태를 유지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을 턴-온 상태로 유지한다 하더라도 다양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경우 각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등록 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시도나 접속 시도가 이루어져 배터리 소모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경우 보안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검색에 성공하였지만 정상적인 통신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상황에서 단말기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적절한 형태로 제한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접속을 위해 소요되는 접속 시도 및 검색 시도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제한을 통하여 필요한 통신 서비스는 이용하면서도 배터리 소모 및 무선 자원 이용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파이 모듈을 기반으로 사전 정의된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경우, 해당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모듈,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등록된 접속 지정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와이파이 모듈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하되 상기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거나 설정에 따라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만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접속 후 다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시도 등을 억제함으로써 무선 액세스 포인트 이용에 따른 배터리 소모 및 무선 자원 이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정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추가 검색 중지를 통하여 불필요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선택 창의 팝업이나 무선 액세스 포인 검색을 위한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중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의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접속 지정 리스트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접속 지정 리스트의 설정 지원을 위한 설정 화면의 일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이용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이용 환경(10)은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 및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와 단말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3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이용 환경(10)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추가로 언급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이용 환경(10)은 단말기(100)가 접속하도록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3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201, 202, 203)이 주변 환경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는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차량은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차량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단말기(100) 사용자에 의하여 접속 지정된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를 포함한 차량이 될 수 있다. 즉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는 단말기(100)의 접속 지정 리스트에 포함된 AP(Access Point)가 될 수 있다.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는 집이나 사무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는 사용자가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AP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는 단말기(100)의 접속 지정 리스트에 포함된 AP(Access Point)가 될 수 있다.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는 사용자에 의하여 보안키가 설정된 AP가 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 접속을 위한 보안키를 사전 저장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수신하고, 해당 보안키를 통하여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에 접속할 수 있다.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는 공용 AP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는 특정 서비스 사업자가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단말기들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AP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는 다양한 위치 예를 들면 지하철이나, 극장, 특정 건물이나 공공 장소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술한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 내지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201, 202, 203)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위한 특정 통신 모듈 예를 들면 와이파이 모듈 활성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모듈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경우 와이파이 모듈 활성화를 위한 요청 신호 발생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접속 지정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접속 지정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이 완료되면 와이파이 모듈의 주변 검색 기능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주변 검색 기능 중지 제어는 단말기(100)의 이동이 발생하거나 현재 접속 중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이 연결 해제되는 시점까지 지속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기능에 따라 사전 정의된 접속 지정 리스트만을 검색하거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사전 정의된 접속 지정 리스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해당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의 단말기()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별로 속성을 지정하고, 지정된 속성에 따라 동작 방식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는 불필요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그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선택 창의 팝업 방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에 대한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중지 등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다양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배치되어 있는 환경에서 사전 정의된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있는 경우에만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접속 지정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없는 경우에는 사전 정의된 일정 시간 동안 또는 일정 조건 예를 들면 이동이 중지되는 조건이 만족되기 이전까지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접속 지정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이 완료되면 주변 검색 기능을 일시적으로 중지하여 불필요한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이 수행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단말기(100) 구성과 본 발명에서의 각 구성들의 역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와이파이 모듈(180), 센서부(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모듈(180)을 이용하여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되 저장부(150)에 저장된 접속 지정 리스트(151)를 확인하고,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포함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포함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면서 주변의 추가적인 다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기능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는 다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접속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불필요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접속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특정 통신 서비스 지원이 끊김 없이 수행되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배터리 절약을 달성하며, 무선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지원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와이파이 모듈(180)만을 기반으로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는 구성이다. 통신부(110)는 2G 네트워크 장치 또는 3G 네트워크 장치, 4G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와이파이 모듈(180)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와 동일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특정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과정 중에 와이파이 모듈(180)이 활성화되어 데이터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통신부(110)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채널은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또는 메시지 서비스 채널을 대기 상태로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파이 모듈(180)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 채널이 운용 중인 경우 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송수신 및 메시지 서비스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운용 및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입력 신호 생성 지원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키맵이 출력된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터치 영역이 정의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키 버튼이나 키패드, 사이드 키, 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터치용 펜 및 터치용 펜 운용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를 요청하기 위한 입력 신호, 저장부(150)에 저장된 접속 지정 리스트(151)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항목들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 신호,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새 항목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신호,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어로 동작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 운용에 따른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지원하기 위해 스피커를 포함한다. 단말기(100)가 통화 기능이나 녹음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을 위한 마이크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와이파이 모듈(180)을 활성화하고 주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30)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에 성공하였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된 이름을 안내 메시지에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와이파이 모듈(180)이 어떠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기타 오디오 처리부(130)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 해제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통신부(110)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 채널로 전환됨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등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 메시지 출력은 사용자 설정 또는 설계자의 설계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통신부(110) 또는 와이파이 모듈(180)을 통해 접속한 특정 웹 서비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표시 기능 이외에 입력 기능 지원을 위하여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다양한 가상 키 맵에 대응하여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사전 지정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지원하기 위하여 접속 지정 리스트(151)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에 따라 주변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 제공 화면, 와이파이 모듈(180) 접속에 따른 화면, 해당 와이파이 모듈(180)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통신 서비스 지원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설정 화면은 새롭게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새로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새로운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접속 지정 항목으로 등록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접속 지정 항목으로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지정 해제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제공 화면은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그 외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 지원 또는 프로그램 운용에 따른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접속 지정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 지정 리스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0)는 와이파이 모듈(180)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접속 지정 리스트(151)는 앞서 설명한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접속이 가능한 지점에서 주변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일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지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와이파이 모듈(180)을 활성화하면 단말기(100)는 차량에 설치된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를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를 확인하고 이를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모듈(180) 운용 시 주변 검색 과정에서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가 검색되면 우선적으로 접속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파이 모듈(180)은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 통신 모듈의 형태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파이 모듈(180)은 통신부(110)가 이동통신망 접속을 지원하는 것과는 독립적으로 사용자 활성화 요청에 따라 상술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과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와이파이 모듈(180)은 검색 과정에서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포함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며, 새로운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검색되는 경우,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기타 분류 항목으로 제공할 수 있다. 기타 분류 항목으로 제공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사용자가 새롭게 접속 지정 리스트(151)를 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와이파이 모듈(180)은 일정 주기를 가지고 주변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주기 단위로 주변 검색을 수행한 이후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포함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모듈(180)은 설정에 따라 추가적인 검색을 중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중지는 접속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 해제 또는 사용자 조작이 발생하기 이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센서부(170)는 단말기(100)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170)는 단말기(10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나 위치 정보 기반으로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 센서, GPS 추적 센서, 위치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 확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특정한 조건 예를 들면 와이파이 모듈(180)이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정 주기로 활성화되어 단말기(1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70)는 와이파이 모듈(180)에 전원이 공급되면 활성화되어 단말기(1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70)가 감지한 단말기(100)의 이동 감지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해제 및 통신부(110) 운용으로의 전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70)가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이동 정보가 수집되면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70)가 수집한 이동 정보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 기반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해제하고 검색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종류에 관계없이 접속 시도하는 일반 접속 모드를 운용하도록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반대로 센서부(170)에 의해 이동 정지된 상태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해당 정보는 일반 접속 모드를 운용하도록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70)가 수집하는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접속과, 통신부(110)와의 운용 전환에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동작 제어와 관련된 전반적인 신호 흐름과 데이터 처리 및 전달과 저장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과 접속 및 접속 이후 절차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기(100)의 구성 중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정책 제어부(163), 환경 설정부(161) 및 기능 처리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설정부(161)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사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접속 지정 리스트(151)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환경 설정부(161)는 앞서 설명한 표시부(140)의 설정 화면 출력을 지원하며,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 및 입력부(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속성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환경 설정부(161)는 단말기(100)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색한 이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색한 이력을 확인하여 어떠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지정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환경 설정부(161)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검색 이력을 제공하면서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설정부(161)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이름이 포함된 경우 해당 이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환경 설정부(161)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과정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SSID 정보를 확인하고, SSID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이름 정보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검색 이력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설정부(161)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위치 정보를 함께 수집하거나,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설정부(161)는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위치 정보가 위도/경도 형태로 수집되면 이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도 정보에 매핑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확인함에 있어서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인지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보다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
환경 설정부(161)가 설정을 지원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설정을 지원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 지정에 따라 일정 그룹에 속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지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이 독자적으로 구축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존재하는 경우 환경 설정부(161)는 특정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만을 지정할 수 있도록 속성 지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 사용자가 단말기(100) 서비스 가입 시 특정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가입하면서 해당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구축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별도 과금 없이 또는 일정 과금을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받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그룹을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환경 설정부(161)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지정하기 위한 다양한 분류 기준에 해당하는 속성을 표시부(14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경 설정부(161)는 본 발명의 접속 지정 리스트(151) 구성을 지원할 수 있다.
정책 제어부(163)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포함된 다양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하여 검색 과정에서의 이용, 검색 후 접속 처리, 접속 후 와이파이 모듈(180) 운용 등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책 제어부(163)는 사용자가 와이파이 모듈(180)을 활성화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18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와이파이 모듈(180)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정책 제어부(16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접속 지정 리스트(151)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정책 제어부(163)는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접속을 접속 지정 리스트(151)를 기반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책 제어부(163)는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여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포함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정책 제어부(163)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정책 제어부(163)는 일정 주기 단위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하는 태스크(Task)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정책 제어부(163)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집에 있는 경우 단말기(100)는 차량에 설치된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와 집에 설치된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옆 건물에 공용으로 설치된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201, 202, 203)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차량에 설치된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가 차순위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고,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가 그 다음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책 제어부(163)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복수개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검색되는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정책 제어부(163)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후 특정 이벤트 예를 들면 접속 해제나 접속 해제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 수신 이전까지 검색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차량에 단말기(100)를 가지고 탑승하여 특정 건물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 및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차량에 설치된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의 우선순위를 공용 건물에 설치된 공용의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보다 높게 설정한 경우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와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의 우선순위가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설정된 경우, 단말기(100)는 검색된 제3 무선 액세스 포인트(203)와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정책 제어부(163)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일정 주기 단위로 검색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정책 제어부(163)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없는 경우 일반 접속 모드로 진행하여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사용자가 지정한 또는 가장 양호한 수신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정책 제어부(163)는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기타 분류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새롭게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정책 제어부(163)는 센서부(170) 활용 및 센서부(170)에서 수집되는 정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과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를 요청받는 경우 정책 제어부(163)는 센서부(170)로부터 이동에 해당하는 정보 수신에 따라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가 요청되더라도 통신부(110)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정책 제어부(163)는 이동이 중지됨에 따른 정보를 센서부(170)로부터 수신하면 와이파이 모듈(180)을 운용하여 주변 검색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정책 제어부(163)는 이동 중인 경우 와이파이 모듈(180)을 임시로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이동이 중지된 경우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 및 접속 지정 리스트(151) 기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정책 제어부(163)는 센서부(170)로부터 이동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 최초 1회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성공 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정책 제어부(163)는 추가적인 검색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정책 제어부(163)는 1회 검색 실패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이 중지될 때까지 와이파이 모듈(18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지원하거나 설정에 따라 일반 접속 모드를 수행하여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되지 않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검색 및 접속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여기서 1회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수 회로 조정될 수도 있다. 정책 제어부(163)는 빈번한 태스크 전환을 억제하기 위하여 센서부(170)로부터 전달되는 이동 중임을 나타낸 정보 또는 이동 중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해당 상태에 대한 유효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로 이동 중지 상태에 대해서도 정책 제어부(163)는 단말기(100)가 일정 반경 이내 예컨대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커버리지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이동 중지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정책 제어부(163)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황에서 이동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센서부(17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설정에 따라 현재 접속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정책 제어부(163)는 이동 중 상태에서 다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제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정책 제어부(163)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 중 상태에서는 통신부(110)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 이동이 중지된 경우 다시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 처리부(165)는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여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어 접속이 수행되면, 접속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처리부(165)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서 지정하지 않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요청된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 요청에 따른 통신 서비스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기능 처리부(165)는 통신부(110)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예를 들면 3G망이나 LET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에 기반한 통신 서비스 교환을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기능 처리부(165)는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서비스로 이동하거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서비스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전 제공된 통신 서비스가 끊김없이 수행되도록 현재 제공 중인 통신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다른 통신망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처리부(165)는 현재 제공 중인 통신 서비스 관련 데이터에 연결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은 먼저, 401 단계에서 단말기(100)의 제어부(160)가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403 단계로 이동하여 해당 입력 이벤트가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를 입력 이벤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발생한 입력 이벤트가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아닌 경우 405 단계로 이동하여 해당 입력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서비스, 선택된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 파일 편집 기능, 파일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407 단계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검색되면 409 단계로 이동하여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 결과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411 단계로 이동하여 지정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일정 주기로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검색 중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413 단계로 이동하여 접속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연결 해제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411 단계를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413 단계에서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415 단계로 이동하여 와이파이 모듈(180) 기반의 통신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통신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407 단계 이전으로 이동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통신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403 단계 이전으로 이동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409 단계에서 지정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에 실패한 경우 제어부(160)는 417 단계에서 일반 접속 모드 지원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407 단계를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반 접속 모드 지원의 경우 제어부(160)는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 사용자가 지정한 또는 신호 수신 세기가 양호하며 보안 설정이 되지 않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처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에 따라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하며, 각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501 단계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한 정보 중 SSID 정보와 기타 정보들 예컨대 주소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한 정보는 SSID 정보, 주소 정보(Address : 00:11:22:33:44:55), ESSID 정보(ESSID : "network-essid"), 모드 정보(Mode : Master), 채널 정보(Channel : 11), 주파수 정보(Frequency : 2.462 GHz), 신호 품질 정보(Quality=100/100, Signal level : -47dBm, Noise level-100dBm), 보안 정보(Encryption Key : off)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SSID 정보를 비공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6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주소 정보나 GPS 정보와 같은 위치 정보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503 단계에서 사전 정의된 속성 테이블과 상술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들 예컨대 SSID 정보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 테이블은 SSID 정보 이외에 다른 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속성들을 사전 정의한 정보를 포함한 테이블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 테이블은 예를 들어 특정 통신 서비스 사업자와의 계약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ID 속성, 접속 여부 속성, 공용(Public) 속성, 채널 속성, 주소 속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속성 테이블은 사전 지정된 위치 속성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속성 테이블은 상위 속성과 하위 속성을 구분될 수 있다. 즉 상위 속성으로서 HOME, SMART CAR, OFFICE, PUBLIC과 같이 사용자가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지정한 속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하위 속성으로서,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또는 접속 금지를 나타내는 접속 여부 속성, 위치 속성, SSID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SSID 속성이 비공개인 경우 주소 정보나 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505 단계에서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 속성이 사전 정의된 속성 테이블에 매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와 매칭되는 속성이 속성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507 단계로 이동하여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기타 분류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505 단계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속성에 해당하는 속성이 속성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509 단계에서 해당하는 속성 분류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511 단계에서 해당 속성이 사용 선택된 속성 즉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속성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속성이 사용 선택된 속성이 아닌 경우 접속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하며, 사용 선택된 속성에 해당하는 경우 513 단계로 이동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중 이동에 따른 접속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601 단계에서 와이파이 모듈(180)이 활성화되면, 603 단계로 이동하여 본 발명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제한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603 단계에서 접속 제한 모드 운용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605 단계로 이동하여 이동 여부 확인을 위하여 센서부(170)를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센서부(17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607 단계에서 단말기(100)의 이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가 이동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617 단계로 이동하여 일반 접속 모드 운용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607 단계에서 센서부(170) 정보를 기준으로 단말기(100)가 이동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609 단계로 이동하여 통신부(110)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망 우선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주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611 단계로 이동하여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포함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607 단계로 이동하여 센서부(170) 활성화 및 이후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611 단계에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에 성공한 경우 제어부(160)는 613 단계로 이동하여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일정 시간 동안 일정 레벨 이상의 무선 신호 세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등 일정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615 단계로 이동하여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및 서비스 연결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613 단계에서 해당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라 하더라도 접속을 수행하지 않고 605 단계 이전으로 이동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603 단계에서 접속 제한 모드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617 단계로 이동하여 일반 접속 모드 운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일반 접속 모드가 운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619 단계로 이동하여 통신부(110)를 활용한 무선망 연결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일반 접속 모드가 운용되도록 설정된 경우 621 단계로 이동하여 일반 접속 모드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신호 수신 세기가 양호하며, 보안 설정이 없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전 접속 이력을 가진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도 6의 설명에서는 접속 제한 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이동이 없는 경우 617 단계로 이동하여 일반 접속 모드를 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이동이 중지되어 있더라도 주변에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지정 리스트(151)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표시부(140)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하여 각각의 속성(141)이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속성(141)은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한 설치자 또는 설계한 설계자, 또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운용하는 운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으며, 일정 형태로 디폴트 정의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분류의 속성들 예를 들어 "HOME, SMART CAR, OFFICE, PUBLIC, SHOP" 등의 속성(141)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특정 속성에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hoi-my-ap"의 SSID 이름을 가지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HOME" 속성에 등록될 수 있으며, "my-BMW"의 SSID 이름을 가지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SMART CAR" 속성에 등록될 수 있다. 또한 공용으로 제공되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즉 "olleh-wifi, myLGNet" 등의 SSID 이름을 가진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PUBLIC"에 등록될 수 있다. 각 속성은 사용자에 의하여 새롭게 정의되거나, 특정 속성을 가진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에 따라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속성(141)들을 삭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속성에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록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속성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
기타 분류(ETC)는 특정 속성으로 분류되지 않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검색 이력이 배치되는 항목이 될 수 있다. 또한 기타 분류는 속성을 가지되 상술한 사전 정의된 속성 테이블에 포함된 속성들에 매칭되지 않는 속성을 가지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배치되는 항목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타 분류를 선택하고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상술한 특정 속성에 새롭게 등록시켜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포함시키거나 새로운 속성 정의와 함께 새롭게 정의된 속성에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지정 리스트(151) 설정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접속 지정 리스트(151) 설정을 위하여 설정 메뉴나 설정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해당 설정 메뉴 또는 설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801 화면에서와 같이 접속 지정 리스트(151) 설정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설정 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추가, 선택 항목 삭제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각 속성들이 배치되고, 각각의 속성들의 설정을 운용할 수 있도록 설정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화면은 도 7의 화면 상태에서 메뉴 선택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PUBLIC"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표시부(140)는 803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 구성을 표시할 수 있다.
803 화면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 위치 지정을 수행할 수 있는 항목, 분류 기준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분류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운용하는 다수의 통신 사업자들과 관련된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위치 지정 항목의 경우, 해당 속성 항목을 지정된 위치에서만 운용될 수 있도록 지정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가 특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와이파이 모듈(180)이 활성화되면 단말기(100)는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가 제공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만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에 따라 와이파이 모듈(180) 활성화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에 따라 와이파이 모듈(180)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고, 접속 지정 리스트(151)에 포함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접속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접속이 완료되면 다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추가 검색을 억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하나의 사전 정의된 속성 항목에 하나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HOME 속성 항목에 여러 개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등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집이 여러 채를 가지고 있다면 HOME 속성에 여러 채의 집들에 배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차가 여러 대가 있다면 SMART CAR 속성 항목에 여러 개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등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상술한 복수개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 특정 속성 항목 선택을 통하여 보다 간편하게 그룹핑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개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그룹들에 대해서 동일한 동작 방식을 정의하고 해당 동작 방식에 따라 검색되거나 검색 차단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위 속성으로 설명한 항목들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분류하고 운용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위 속성 항목들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분류하고 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동일 채널을 이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하나의 속성 항목을 배정하고, "동일 채널 속성" 항목 선택을 통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에 대한 요청 수신 시, 해당 속성 항목들에 배정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만을 검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별로 사전 정의된 속성에 따라 동작 방식을 정의하고,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속성과 사전 정의된 속성 테이블에 포함된 속성이 일치할 경우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을 제한하거나, 검색되더라도 그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선택 창의 팝업을 방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사용자가 지정한 환경에서 지정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한함으로써 불필요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시 추가적인 검색을 중지하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검색 및 접속 절차 수행에 소요되는 배터리 및 무선 자원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는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무선 액세스 포인트 이용 환경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센서부
180 : 와이파이 모듈 201, 202, 203 : 무선 액세스 포인트
300 : 통신망

Claims (20)

  1. 와이파이 모듈을 기반으로 사전 정의된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만을 검색하거나,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기반으로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사전 정의된 접속 지정 리스트에 포함되는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인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경우, 해당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한 이후 추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중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행 과정은
    복수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복수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과정;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접속 지정 리스트 이외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에 실패한 경우, 일정 주기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재검색을 수행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접속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 기반으로 제공되는 무선망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망 접속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며, 이후 상기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과정;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이며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에 실패한 경우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후 상기 단말기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유지하는 과정;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후 상기 단말기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해제하고 검색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지정 리스트에 새로운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하는 과정;
    상기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 해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가 사전 정의된 위치인 경우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자동 활성화하고, 사전 정의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9. 와이파이 모듈을 기반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사전 정의된 속성 테이블에 매치되는 속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속성이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하도록 정의된 속성인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속성이 접속 수행을 위해 정의된 속성인 경우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속성이 접속 수행을 하지 않도록 정의된 속성인 경우 접속 중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이 상기 속성 테이블에 없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기타 분류로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11.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모듈;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등록된 접속 지정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와이파이 모듈 기반의 검색을 수행하되 상기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한 이후 추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복수의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접속 지정 리스트 이외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거나,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에 실패한 경우, 일정 주기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재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및 접속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 기반으로 제공되는 무선망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망 접속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며, 이후 상기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이며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에 실패한 경우 검색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후 상기 단말기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이후 상기 단말기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해제하고 검색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지정 리스트에 새로운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을 위한 화면;
    상기 접속 지정 리스트에 등록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 해제를 위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8. 제11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사전 정의된 위치인 경우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자동 활성화하고, 사전 정의된 지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기반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수행하되,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사전 정의된 속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속성이 사용자 선택된 속성인지 확인하고, 상기 속성이 사용자 선택된 속성인 경우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속성이 사용자 선택된 속성이 아닌 경우 접속 중지하고 접속 지정 리스트에 새로운 속성으로 등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성이 없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기타 분류로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130000155A 2013-01-02 2013-01-02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Withdrawn KR20140088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155A KR20140088354A (ko) 2013-01-02 2013-01-02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CT/KR2013/012291 WO2014107009A1 (en) 2013-01-02 2013-12-27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to wireless access point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EP13199696.9A EP2753128A3 (en) 2013-01-02 2013-12-27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to wireless access point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BR112015016025A BR112015016025A2 (pt) 2013-01-02 2013-12-27 método para o controle da conexão a um ponto de acesso sem fio e a um terminal móvel que dá suporte ao mesmo
AU2014200001A AU2014200001A1 (en) 2013-01-02 2014-01-02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to wireless access point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4/146,635 US20140185604A1 (en) 2013-01-02 2014-01-02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to wireless access point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201410001135.XA CN103916934A (zh) 2013-01-02 2014-01-02 控制到无线接入点的连接的方法和支持该方法的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155A KR20140088354A (ko) 2013-01-02 2013-01-02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354A true KR20140088354A (ko) 2014-07-10

Family

ID=4991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155A Withdrawn KR20140088354A (ko) 2013-01-02 2013-01-02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185604A1 (ko)
EP (1) EP2753128A3 (ko)
KR (1) KR20140088354A (ko)
CN (1) CN103916934A (ko)
AU (1) AU2014200001A1 (ko)
BR (1) BR112015016025A2 (ko)
WO (1) WO201410700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121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에이치앤디 영상 송신용 와이파이 단말기의 접속 방법
WO2017095048A1 (en) * 2015-12-04 2017-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lect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ata traffic rate
US10051003B2 (en) 2015-07-30 2018-08-14 Apple Inc. Privacy enhancements for wireless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930B1 (ko) * 2009-11-26 2016-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단말의 지역 기반 접속 허용 리스트 생성 방법 및 장치
US10905943B2 (en) * 2013-06-07 2021-02-0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hops associated with a head mounted system
KR101720777B1 (ko) * 2014-08-28 2017-03-2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단말
JP6405162B2 (ja) * 2014-09-03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85582A1 (en) * 2014-11-24 2016-06-0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lan device pairing
CN106211273A (zh) * 2015-04-30 2016-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wifi热点的连接方法及装置
US9668217B1 (en) 2015-05-14 2017-05-30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earable initiated handshaking
US9742997B1 (en) * 2015-05-14 2017-08-22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ommunication handshaking
CN105101351A (zh) * 2015-05-29 2015-11-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热点的搜索方法及搜索装置
CN104955170A (zh) * 2015-06-19 2015-09-30 重庆市音乐一号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Wi-Fi智能音响体验的方法
KR102366744B1 (ko) * 2015-06-24 2022-02-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9538461B1 (en) * 2015-06-30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ircumventing wireless device spatial tracking based on wireless device identifiers
CN106455004A (zh) * 2015-08-05 2017-02-22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提供无线接入点的方法与设备
US9641391B2 (en) * 2015-09-22 2017-05-02 Veniam, Inc. Communication network of moving things
US9591676B1 (en) 2015-09-22 2017-03-07 Venia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obility in a network of moving things
KR102381369B1 (ko) * 2015-09-23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장치 네트워크 설정 방법
CN105228202B (zh) * 2015-10-12 2020-03-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网络连接方法及装置
CN105282828A (zh) * 2015-10-28 2016-01-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提升wifi灵敏度稳定性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12040515B (zh) 2015-11-11 2022-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的方法及装置
US20170176192A1 (en) * 2015-12-22 2017-06-22 Veniam, Inc. Systems and methods to extrapolate high-value data from a network of moving things, for example including a network of autonomous vehicles
US10382215B2 (en) 2015-12-22 2019-08-13 Forescout Technologies, Inc. Device identification and policy enforcement using power over ethernet (POE)
CN108476466B (zh) * 2015-12-23 2021-04-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经由Wi-Fi接入来执行数据会话的方案
CN105517192A (zh) * 2016-01-27 2016-04-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及装置
US11696216B2 (en) 2016-02-18 2023-07-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SID broadcast management to support priority of broadcast
CN106162827A (zh) * 2016-08-16 2016-11-23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网络接入点存储处理方法及系统
CN106332143A (zh) * 2016-09-28 2017-01-1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对智能设备快速配置网络的方法
JP6561965B2 (ja) * 2016-10-28 2019-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機器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10575342B2 (en) * 2016-12-06 2020-02-25 VTV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media content in a multi-room environmen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9009020A1 (ja) * 2017-07-04 2019-01-10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
CA3050676A1 (en) * 2018-07-27 2020-01-2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sid broadcast management to support priority of broadcast
JP7339735B2 (ja) * 2019-01-11 2023-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88037B2 (ja) * 2019-01-31 2021-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6698B1 (en) * 2000-11-03 2015-03-31 Truphone Limited Cooperative network for mobile internet access
US7215973B2 (en) * 2003-02-24 2007-05-08 Autocell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adjusting channel interference between access points in a wireless network
US7620027B2 (en) * 2003-03-14 2009-11-17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nection device, and connection device designation method for designating connec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device to connect to
US7706337B2 (en) * 2004-10-22 2010-04-27 Motorola, Inc. Method for performing neighbor discovery in a multi-tier WLAN
JP4502778B2 (ja) * 2004-10-27 2010-07-1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60251254A1 (en) * 2005-04-06 2006-11-09 Yang-Hung Pe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setting security mechanism of WLAN
JP4894550B2 (ja) * 2007-02-19 2012-03-14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EP2229792B1 (en) * 2008-01-17 2017-11-01 Nokia Technologies Oy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one wireless medium for communication in another wireless medium
KR101510714B1 (ko) * 2008-10-27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AP(Access Point) 접속 방법 및 이를이용한 장치
KR101071527B1 (ko) * 2009-05-21 2011-10-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 방법
US9713074B2 (en) * 2009-06-05 2017-07-18 Apple Inc. Network association in an environment with hidden networks
US8411588B2 (en) * 2009-11-09 2013-04-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manage wireless device power consumption
US8570993B2 (en) * 2010-05-20 2013-10-29 At&T Mobility Ii Llc Wi-Fi intelligent selection engine
JP5348072B2 (ja) * 2010-05-31 2013-11-2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21071B1 (en) * 2010-06-23 2013-12-31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n access point
KR101587003B1 (ko) * 2010-09-07 201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와이 파이 연결 확인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20113971A1 (en) * 2010-11-08 2012-05-10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wlan discovery and association
KR101328779B1 (ko) * 2010-12-24 2013-11-13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US20120170471A1 (en) * 2010-12-31 2012-07-05 Openpeak Inc. Automated access point selection to provide communication network presence to a communication device
KR101217388B1 (ko) * 2011-04-14 2012-12-31 웹싱크 주식회사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EP2727261A4 (en) * 2011-06-28 2015-02-1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ETHOD FOR ASSIGNING A CLIENT TO AN ACCESS POINT IN A WLAN
WO2013024553A1 (ja) * 2011-08-18 2013-02-2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US8665847B2 (en) * 2011-11-08 2014-03-04 Microsoft Corporation Service-assisted network access point selection
US9307484B2 (en) * 2011-12-22 2016-04-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of scann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9622163B2 (en) * 2012-09-06 2017-04-11 Apple Inc. Quickly joining Wi-Fi networks using neighboring access points
US20140073288A1 (en) * 2012-09-11 2014-03-13 Wavemax Corp. Mobile device authorization, authentication and data usage accounting for mobile data offload in a network of shared protected/locked wifi access points
US9191874B2 (en) * 2012-12-31 2015-11-17 Ipass Inc. Advanced network characterization and migr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121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에이치앤디 영상 송신용 와이파이 단말기의 접속 방법
US10051003B2 (en) 2015-07-30 2018-08-14 Apple Inc. Privacy enhancements for wireless devices
US10587654B2 (en) 2015-07-30 2020-03-10 Apple Inc. Privacy enhancements for wireless devices
WO2017095048A1 (en) * 2015-12-04 2017-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lect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ata traffic 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5604A1 (en) 2014-07-03
CN103916934A (zh) 2014-07-09
EP2753128A3 (en) 2015-03-11
BR112015016025A2 (pt) 2017-07-11
EP2753128A2 (en) 2014-07-09
AU2014200001A1 (en) 2014-07-17
WO2014107009A1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8354A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EP3293936B1 (en)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264848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KR101440080B1 (ko)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 정보에 기반하여 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851654B (zh) 伪基站识别方法、装置及终端
KR101698094B1 (ko)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036340A (zh) 移动终端及利用该移动终端来管理并执行数据通信的方法
KR20120019520A (ko) 모바일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지원하는 무선랜 단말에서 테더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071779A (zh) 伪基站识别方法、装置及终端
KR20140112331A (ko) 통신 연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6022106A (zh) 一种应用安装方法及装置、终端
KR10219136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WO2021018273A1 (zh) 一种切换运营商网络的方法及电子设备
WO2020088320A1 (zh) 快速搜索高制式网络的方法和终端设备
KR101440086B1 (ko)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207115A (zh) 一种移动终端和搜网控制方法
CN113891391B (zh) 搜网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8798588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outside of service zone
JP7662480B2 (ja) 携帯端末
WO2014166382A1 (zh) 管理移动终端通信的方法与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