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90827A - apparatus for contain liquid with medicine admistration tim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ain liquid with medicine admistration ti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827A
KR20140090827A KR1020130002915A KR20130002915A KR20140090827A KR 20140090827 A KR20140090827 A KR 20140090827A KR 1020130002915 A KR1020130002915 A KR 1020130002915A KR 20130002915 A KR20130002915 A KR 20130002915A KR 20140090827 A KR20140090827 A KR 20140090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beverage
dosing
medication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해구
권근희
박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라이프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라이프센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라이프센터
Priority to KR102013000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827A/en
Publication of KR2014009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827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storing device provided with a timer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which is provided to improve portability and convenience in use and which comprises a body having a size enough to allow a user to grip, a beverage contained therein and an outlet formed on the upper end thereof, wherein the outlet discharges the beverage; a timer setting up time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combined with the lower end of the body, wherein the administration time is indicated by sound and operated by turning; and an auxiliary container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partitioned to accommodate medications according to the time for taking the medications and combined with the timer.

Description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apparatus for contain liquid with medicine admistration timer}Apparatus for storing liquids with a medication timer

본 발명은 음료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보관성과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a dosing timer having improved portable storage and usability.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음료의 수용 용량과 보관 기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음료용기는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휴대가능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이다.Generally, a beverage container refers to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drink consumed by a user, and is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beverage and the storage period. In addition, it is common that such a beverage container is manufactured in a portable siz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rink the beverage from the outside.

도 1은 종래의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용기(100)는 내측이 음료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사용되고 외측은 사용자가 그립하는 손잡이로 사용되도록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 음료수가 배출되는 배출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뚜껑(1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100 includes a body 110, which is used as a space for receiving beverage inside, and a handle 110 which is used for gripping a user, And a lid 13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unit 120. The discharge unit 120 includes a discharge port 120,

하지만, 외출이나 등산시에 휴대하는 종래의 음료용기(100)는 그 용도상 물을 휴대하는 것이나, 실제 그냥 물을 마시기도 하지만 야외에서 자연수를 떠서 소독약을 투입해서 마시거나 티백을 넣어 마시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병증을 앓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외출시에 내복약을 제시간에 투약하기 위해 물을 휴대하기도 한다.However,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100) carried by the user when going out or climbing is not only carrying the water for its use but actually drinking the water, but when drinking natural water in the outdoor and drinking the disinfectant, have. In addition, users suffering from pathologies may carry water in order to take their medication on time when going out.

따라서, 통상적으로 음료용기 이외에 부수적인 보조용기를 함께 휴대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상기 보조용기는 분리해서 휴대해야 하므로, 상기 보조용기가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분실되지 않더라도 상기 보조용기를 찾아서 내용물을 꺼내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인해 사용상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many cases, an auxiliary container other than a beverage container is usually carried togeth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uxiliary container must be separated and carried, so that the auxiliary container is lost, and even if it is not los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due to the time required to retrieve the contents and retrieve the contents.

한편, 상기 보조용기는 처방된 약을 물과 함께 휴대하여 복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약국에서 환자의 병증에 대해 처방하는 약은 환자의 상태와 약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투약 시간과 투약 주기가 결정되는데, 이러한 약을 일정 기간동안 투약할 경우에는 정해진 투약 시간과 투약 주기에 맞추어 투약을 해야만 병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container can be used for taking a prescribed medicine with water along with it. In general, drugs prescribed for a patient's illness in a hospital or pharmacy are determined by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and the type and nature of the drug. The time of administration and the dosage period are determined. When the drug is administe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Medication should be administered in accordance with the dosing schedule to help in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그러나, 시간관념이 부족한 어린이나 기억력이 감퇴된 노인의 경우 투약 시간이나 투약 주기를 빈번하게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노인이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면역력 떨어지거나 신체의 노쇠로 인해 투약 시간을 어기는 경우에 약으로 인한 치료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고, 병증이 악화되어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who are lacking in time or lack of memory, they frequently forget dosing time or medication frequency. In the case of elderly or children, when immunity drops or physical aging causes violation of medication time The effect of the medicinal treatment is markedly deteriorated, and the severity of the pathological condition may be exacerbated.

이에, 종래에는 사용자가 투약 시간을 지킬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장치가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설정된 시간에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투약을 유도하는 투약 보조용기는 내부에 약을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설정된 시간에 알람음 발생시킬 수 있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형성된다.Conventionally, a device has been devised to help the user to maintain the dosing time. For example, a medication-assisted container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to induce medication is formed with a timer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sound at a predetermined time,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medicine therein is formed.

하지만, 종래의 투약 보조용기는 설정된 시간에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투약 시간을 알리는 효과는 있으나, 단순히 투약시간을 알리는 알람신호만 발생시킬 뿐이므로, 알림신호가 울릴 때 어떤 약을 투약해야 하는지 구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dication-assisted container has an effect of generating an alarm signal at a set time so as to inform the dosing time. However, since it only generates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e medication time,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medication There was no problem.

또한, 약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은 형성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알약을 복용하기 위한 음료는 따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고 주변에 음료를 구할 장소가 없는 경우에는 투약 시간이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medicines is formed, since a drink for taking a common pellet needs to be carried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for administration is delayed when the portability is low and there is no place to save drinks around .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투약 보조용기는 휴대 사용시 노인이나 어린이의 취급 부주의로 인해 바닥에 떨어뜨리게 될 경우 낙하 충격으로 인해 쉽게 파손이 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이 쉽게 개방됨에 따라 내부에 수납된 약이 외부로 쏟아져 나오게 되므로 약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medication-assisted container is dropped on the floor due to careless handling by an elderly person or a child when using the portable device, the conventional medication-assisted container easily breaks due to a falling impact or the storage space is easily op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dicine can be stored safely.

한국 공개실용 제20-2000-0002709호Korean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0-0002709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보관성과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a dosing timer with improved portable storage and usabilit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지되,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며 상단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몸체; 회전조작에 의해 음성 출력되는 투약 타이밍을 설정하되,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타이머; 및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수용되도록 저장공간이 구획되어 구비되며, 상기 타이머에 결합되는 보조용기를 포함하는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machine comprising: a body having a size capable of gripping a drinker, A timer for setting a dosing timing to be audibly output by a rotation operation, the timer being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And a dosing timer including an auxiliary container coupled to the timer and having a storage space divided to accommodate the medicines according to the dosing timings.

여기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보조용기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써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배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투약 타이밍에 대응되는 상기 구획공간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torage sp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partment spaces partitioned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connect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timer, And the auxiliary frame is disposed in the part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dosing timing.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구획공간의 하단을 커버하되,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원주방향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auxiliary frame covers the lower end of the compartment space,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outer side, and the opening is formed at on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auxiliary frame so as to discharge medicines at the dosing timing.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되,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만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unit is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to be curved roundly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part.

한편, 상기 몸체는 외측 테두리면부가 그립감을 부여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몸체의 내부를 투시하도록 관측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되, 내부에 음료를 저수할 공간이 형성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뚜껑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body is rounded so as to give a grip feeling to the outer edge surface portion, and an observa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for viewing the inside of the body. The body is selectively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so as to surround the discharge portion, And a lid provided in a container shape in which a space for storing drinks is formed.

본 발명의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는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beverag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the dosing tim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첫째, 상기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는 음료가 보관되는 몸체와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보관되는 상기 보조용기가 일체로 제공되므로, 상기 약품을 휴대하고 다니며 원하는 시간에 상기 음료와 함께 복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과 휴대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since the beverage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the medication timer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body for storing beverages and the auxiliary container for storing medicines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ing, it is possible to carry the medicines and take them with the beverage at a desired time So that the usability and the storage stability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는 회전조작으로 투약 타이밍을 설정하여 음성 출력되도록 형성되어 기설정된 투약 타이밍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투약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이머에 의해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부가 상기 투약 타이밍에 대응되는 상기 구획공간에 위치하므로 상기 투약 타이밍에 적합한 약품이 인출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Second, the beverage sto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dosing timer is configured to set the dosing timing by turning operation and to be output sound, thereby notifying the user of the predetermined dosing timing, thereby inducing the user's dosage, Since the openings are located in the compartment space corresponding to the dosing timings so that the medicines are discharged, medicines suitable for the dosing timings can be drawn out, and the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셋째, 상기 배출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인해 배출되는 음료량이 조절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부가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만곡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 내측에 언덕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음료의 흐름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음료가 상기 배출부를 막아 공기유입을 방해하는 것 방지하여 음료가 부드럽게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가 음용자의 기관지로 흘러들어가 기침이나 사레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Thirdly,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sectional area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discharge amount to be discharged is controlled by the shape in which the 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ortion is narrowed,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curved roundly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portion, And the flow of the beverage is restrict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hill portion on the inner side, thereby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blocking the inflow of air by interfering with the discharge portion, so that the beverage is smoothly discharg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flowing into the bronchus of the user and causing a cough or a sore, and the ease of use can be improved.

넷째, 상기 몸체의 외측 테두리면부가 그립감을 부여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몸체의 내부를 투시하도록 관측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음용자가 상기 몸체를 그립할 때 미끌어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의 아름다움을 위해서나 직사광선으로 내부 음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면부를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더라도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저장량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과 휴대보관성이 개선될 수 있다.Fourthly,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body is rounded so as to give a grip feeling, and an observa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body, thereby preventing slippage when the user grips the body, Even if the rim surface portion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so as to prevent the inner drink from being damaged for the sake of beauty or direct sunlight, the stored amount of the beverage contained therein can be easily grasped, and the us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기와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기와 보조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a dosing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a medication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xiliary container and an auxiliary fr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auxiliary fr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200)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everage storage apparatus 200 having a dosing tim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기와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음료보관장치(200)는 일반적인 물이나 차 혹은 탄산음료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식물을 위한 액체형태의 영양제나 방충제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sto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osing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sto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osing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container and an auxiliary fr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beverage storage device 200 may be used not only for storing general water, tea or carbonated beverages, but also for storing liquid nutrients and insect repellents for plants.

또한, 상기 투약 타이머는 정해진 투약 주기에 따라 복용되는 병증을 치료하는 목적의 내복약의 투약 시간을 알리는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각종 건강보조식품의 복용시간을 알리는 용도나 등산이나 산책 중에 자연수를 음용하기 위해 소독약을 투입하여 정수가 완료되는 시간을 알리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ministration timer may be used not only for informing the medication time of medicines for the purpose of treating the pathology taken according to the prescribed medication cycle, but also for informing the time of taking the various health supplement foods, drinking natural water during mountain climbing or walking It can be used to inform the time when the water purification is completed by injecting the disinfectant.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200)는 몸체(210), 배출부(220), 뚜껑(230), 타이머(260), 보조용기(240), 그리고 보조프레임(250)을 포함한다. 2 to 3, the beverage storing apparatus 200 including the dosing timer includes a body 210, a discharge unit 220, a lid 230, a timer 260, an auxiliary container 240, And an auxiliary frame 250.

여기서, 상기 몸체(210)는 상단에 음료가 배출되는 상기 배출부(220)가 구비되며, 내부에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타이머(260)가 구비된 보조용기(2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조용기(240)에는 투약을 위한 약품이 보관되어, 상기 타이머(260)의 알림에 따라 상기 보조용기(240)에서 약품을 인출하여 상기 몸체(210)에 수용된 음료와 함께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용기(240)는 상기 타이머(260)의 회전제어에 따라 인출되는 약품이 변경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the body 210 includes an outlet 220 through which the beverage is discharged at an upper end thereof, a space for receiving a beverage therein, and an auxiliary container (not shown) 240 are coupled. At this time, medicines for medication are stor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240, and the medicine is taken out from the auxiliary container 240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the timer 260 and taken together with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ody 210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medicine taken out in the auxiliary container 24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control of the timer 260.

이처럼, 상기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200)는 음료가 보관되는 몸체와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보관되는 상기 보조용기(240)가 일체로 제공되므로, 상기 약품을 휴대하고 다니며 원하는 시간에 상기 음료와 함께 복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과 휴대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storage device 200 provided with the dosing timer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body for storing the beverage and the auxiliary container 240 for storing medicines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ing, so that the user can carry the medicines, It can be taken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beverage,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retention of carrying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몸체(210)는 테두리면부(211), 배출부 결합부(212), 타이머 결합부(215), 그리고 보조용기 결합부(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210)는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지되,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The body 210 includes a rim surface portion 211, a discharge portion coupling portion 212, a timer coupling portion 215, and an auxiliary container coupling portion 214. Here, the body 210 has a size allowing the user to grip the drink,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o receive the beverage.

이때, 상기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는 것은 음용자의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는 것을 말하며, 상기 몸체(210)는 상기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200)의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having a size capable of gripping the drink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 be held by one hand or two hands of the user, and the body 210 has a handle (not shown) .

그리고, 상기 몸체(21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제한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종이, 합성수지, 합금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의 형상 및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상기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200)는 상기 음용자가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body 210 may be formed as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such as metal, paper, synthetic resin, alloy,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everage storage device 200 equipped with the dosing timer is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held by one hand or two hands, the port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수용공간은 음료를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몸체(210)와 일체로 성형되어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as a space that can receive and store the beverage. Here, the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210 and formed of the same material.

물론,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보존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몸체와 분리 성형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이격시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수용된 음료의 보존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때 음료와 직접 닿는 부분을 항균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ly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the body to conserve the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ed beverage, and to connect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body so as to include an air layer therebetween.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antimicrobially treat the portion directly contacting with the beverage when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to improve the preservation performance of the beverage.

이처럼, 상기 수용공간은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의 온도를 보존하고 병균 발생을 억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20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such, since the accommodating space can be formed to preserve the temperature of beverage contained therein and to inhibit germs, the reliability of the beverage storage device 200 equipped with the dosing timer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몸체의 외측 테두리면부(211)는 그립감을 부여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면부(211)는 중간측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두리면부(211)는 수용된 음료의 온도가 차갑거나 뜨거워서 음용자가 그립할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열전달 계수가 낮은 고무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outer rim surface portion 211 of the body is formed to be rounded to give a grip feeling.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im surface portion 211 is rounded in a shape in which the intermediate side is recessed. At this time, the rim surface portion 211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rubber having a low heat transfer coefficient so as not to feel inconvenience when the beverage is gripped because the beverage is cold or hot.

물론, 수용된 음료의 온도와 외부 온도차로 발생하는 김서림 등으로 인한 미끌어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면부(211)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면부(211)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form a non-slippery protrusion on the surface of the rim surface portion 211 to prevent slippage due to fogging or the like caused by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ceived beverage and external temperature difference. Further, the rim portion 211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따라서, 상기 테두리면부(211)는 상기 음용자가 상기 음료보관장치(200)를 그립할 때 미끌어짐으로 인해 제품이 파손되거나 상기 음용자의 발에 떨어져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im surface portion 211 can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due to slippage when the drinker grips the beverage storage device 200, or falling off the user's foot,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테두리면부(211)의 일측에는 관측홈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21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관상의 아름다움을 위해서나 직사광선으로 내부 음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210)의 테두리면부(211)를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때,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저장량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n observation groove 21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im 211 to allow the user to see the inside of the body 210. Therefore, when the rim surface portion 211 of the body 210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for the beauty of beauty or to prevent the inner drink from being damaged by direct sunlight,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stored amoun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ody 210 Can be provided.

물론, 상기 몸체(210)의 일측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에는 가죽이나 천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끈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끈을 손목이나 목에 걸거나, 배낭이나 벨트에 연결할 수 있어 상기 음료보관장치(200)의 휴대보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분실을 방지하여 사용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Of course, a connecting link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210. Here, a string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leather or cloth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Therefore, the strap can be hooked on a wrist or neck, or can be connected to a backpack or a belt, so that the beverage storage device 200 can be further improved in storage stability,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배출부 결합부(212)는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부(22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220)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부 결합부(212)와 조임 작용으로 결합되는 결속패킹부(2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패킹부(222)는 상기 몸체(210)의 수용공간에 보관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착력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ion coupling portion 21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210, and the discharge portion 220 is detachably coupled. The binding packing 22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ing unit 220 to be coupled with the discharging unit binding unit 212 by tighten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everag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mpressive force so as to prevent the beverage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물론, 상기 결속패킹부(222)는 상기 배출부 결합부(212)에 탄발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배출부(220)는 상기 몸체(21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binding packing 222 may be elastically inserted and fixed to the discharging portion engaging portion 212, and the discharg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210 .

또한, 상기 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타이머 결합부(215)에는 상기 타이머(2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260)에는 상기 보조용기(2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용기(240)는 상기 보조용기 결합부(214)에 결합된다.The timer 260 is coupled to the timer coupling unit 21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210. The auxiliary container 2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imer 260 and the auxiliary container 24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container coupling unit 214.

한편, 상기 배출부(220)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되,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만곡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부(220)는 하단부가 넓고 상단부가 좁은 원뿔형태로 연장되되, 연장된 상측은 상기 몸체(210)의 중심부에서 상기 테두리면부(211)의 방향으로 'ㄱ'자 형태로 라운드지게 휘어진다.Meanwhile, the discharge unit 220 is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upward, and is curved roundly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In other words, the discharge unit 220 is extend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 lower end and a narrower upper end, and the extended upper side is rounded in a direction of the rim surface portion 211 from the center of the body 210 Bend.

이때,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음료가 유입되는 상기 배출부(220)의 하단부와 상기 음료가 유출되는 상기 배출부(220)의 상단부는 서로 수직을 이루며, 상기 배출부(220)의 테두리측에서 중심측으로 돌출된 언덕부(221)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rt 220 into which the beverage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and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rt 220 through which the beverage flows ou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t the edge side of the discharge part 220 A hill portion 221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side is formed.

이처럼, 상기 배출부(220)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220)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인해 배출되는 음료량이 조절되어 한번에 많은 량의 음료가 쏟아지는 일을 방지한다. In this way, the discharge part 220 is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upward, so that the amount of beverage discharged is controlled by the shape of the discharge part 220 being narrowed, thereby preventing a large amount of beverage from being poured at once.

또한, 상기 배출부(220)가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만곡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220) 내측에 언덕부(221)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음료의 흐름이 제한되어 상기 배출부(220)를 막아 공기유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가 부드럽게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ortion 220 is curv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ral portion to form a hill portion 221 inside the discharge portion 220, the flow of the beverage is restricted, Thereby preventing the air from interfering with the inflow of the air, so that the beverage can be smoothly discharged.

따라서, 상기 음료가 상기 배출부(220)를 통해 부드럽게 배출되므로 상기 음료가 음용자의 기관지로 흘러들어가 기침이나 사레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220)가 음용자의 입쪽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음료보관장치(200)를 조금만 기울여도 내부의 음료가 흘러나올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beverage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2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flowing into the bronchus of the user and causing a cough or a sore, and the discharge part 220 is formed at the mouth side of the user Therefore, even if the beverage storage device 200 is slightly tilted, the drink inside can be flowed out.

물론, 상기 배출부(220)에는 상기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탈착가능한 마개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the discharge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a detachable cap 223 for selectively sealing the upper end.

한편,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는 상기 배출부(220)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되, 내부에 음료를 저수할 공간이 형성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뚜껑(2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뚜껑(230)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210 may further include a lid 230 selectively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so as to surround the discharge unit 220 and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beverage therein, . Of course, a handl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id 230.

여기서, 상기 뚜껑(230)은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서 상기 배출부(220)를 보호하여 이물질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240)에 수용된 약품을 물에 녹여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뚜껑(230)을 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lid 230 protects the discharge unit 220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210 to prevent contamination due to foreign substances. When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240 is dissolved in water, the lid 230 may be used as a cup.

한편, 상기 타이머(260)는 회전조작에 의해 음성 출력되는 투약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은 삑삑거리는 비프음이나 따르릉거리는 링톤 등 일반적인 알림음으로 음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은 소리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imer 260 can set the dosing timing at which sound is output by the rotation operation. Here, the voic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general beep sound such as a beeping beeping beeping sound or a ring tone, and can sound the attention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투약 타이밍은 일정한 시간 이후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사 1시간 후를 알리거나, 매일 오전 6시마다 혹은 매 4시간 마다 알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 dosing timing can be set not only after a certain time but also at a fixed period. For example, it can be set to announce one hour after meal, or to be notified every six hours or every four hours every day.

이로 인해, 상기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200)은 기설정된 투약 타이밍을 알려주어 사용자의 투약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병증을 치료하는 약품의 효과를 더욱 향상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beverage storage device 200 equipped with the dosing timer can inform the user of the prescribed dosing timing, thereby inducing the user's medication,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by further improving the effect of the medicament for treating the disorder .

이때, 상기 투약 타이밍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타이머(260)는 회전을 통해 시간을 설정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제어부, 상기 회전제어부에 의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저장하는 태엽부, 상기 태엽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톱니 기어부, 상기 회전제어부의 회전에 따라 음성 출력을 온오프하도록 형성된 릴레이부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timer 260 used for informing of the dosing timing may include a rotat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t a time through rotation, a winding unit storing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by the rotation control unit, And a relay unit configured to turn on and off the audio outpu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control unit.

즉, 상기 투약 타이밍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상기 회전제어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제어부에 연결된 상기 태엽에 회전력이 저장되며, 상기 태엽은 복원력으로 인해 타방향의 회전을 발생시키되 상기 톱니기어에 의해 회전속도를 제한받는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제한된 회전속도로 타방향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보조프레임(250)과 연동되어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251)를 각 구획공간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회전제어부의 일방향 회전으로 설정된 시간이 다하는 경우에 음성 출력을 온오프하도록 형성된다.That is, when the rotation control uni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for a time corresponding to the dosing timing, the rotational force is stored in the spring connected to the rotation control unit, and the spring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due to the restoring force, Speed is limited. At this time, the rotation control unit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at the limited rotation speed. The rotation control uni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auxiliary frame 250 to move the opening 251 to each compartment space. The relay unit is configured to turn on and off the audio output when the time set by the one-way rotation of the rotation control unit is reached.

물론, 상기 타이머(260)는 전자식 타이머로 구성되어 버튼으로 설정시간을 입력하도록 형성되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설정시간 동안 상기 보조프레임(250)을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timer 260 may be formed of an electronic timer to input a set time with a button, and may include a driving motor to rotate the auxiliary frame 250 for a set time.

한편, 상기 보조용기(240)는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수용되도록 저장공간이 구획되어 구비되되 상기 타이머(26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조용기(240)의 상단 테두리는 상기 몸체(210)의 하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용기(240)와 상기 타이머(260)의 결합은 상기 타이머(260)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분리되어 연결될 수 있는 상기 보조프레임(250)이 상기 보조용기(240)를 커버하여 약품이 수납될 수 있는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함을 말한다.Meanwhile, the auxiliary container 240 is divided into a storage space for storing medicines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ing, and is coupled to the timer 260. At this time, the upper edge of the auxiliary container 24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lower edge of the body 210. The auxiliary frame 240 and the timer 26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d from the timer 260 so that the auxiliary frame 250 covers the auxiliary container 240, Thereby forming the storage space which can be accommodated.

또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보조용기(240)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써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공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획공간은 보조용기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형성된 칸막이(241)에 의해 구획되며, 각 구획공간에는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수용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includes a plurality of compartment spaces partitioned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240. At this time, the compartment space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241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each medication is accommodated in each compartment space.

물론, 상기 보조용기(240)의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용기외벽(242)에는 각 구획공간의 시간을 표시하도록 이미지나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낮을 표시하는 해와 밤을 표시하는 달로 각 구획공간에 수용된 약품의 투약 시간을 알려줄 수 있으며, 각 구획공간에 순서를 나타낼 수 있는 숫자를 표시하여 상기 구획공간에 수용된 약품의 투약 순서를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an image or characters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ll 242 of the container forming the edge surf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240 to display the time of each of the compartment spac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e medication time of medicines accommodated in each section space with the sun indicating the day and the month indicating the night, and the number indicating the order can be displayed in each section space, It is also possible to tell.

또한, 상기 보조용기(240)의 상단에는 상기 구획공간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층의 테두리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조용기(240)와 상기 몸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되 외부로 습기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의 습기가 상기 보조용기로 유입되어 수용된 약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약품의 보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plate layer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compartment space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container 240, and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plate layer. Therefore, moistur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container 240 and the body, so that the moisture of the body flows into the auxiliary contain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contained medicine,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프레임(250)은 상기 타이머(26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배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51)가 상기 투약 타이밍에 대응되는 상기 구획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4, the auxiliary frame 250 is connected to the timer 260 so as to rotate integrally therewith, and an opening 251 formed at one side for discharging medicines according to the dosing timing corresponds to the dosing timing And is located in the partition space.

즉, 상기 보조용기(240)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프레임(250)은 상기 타이머(260)를 통해 회전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프레임(2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구부(251)의 위치는 변화하게 되되, 상기 구획공간은 고정되므로 상기 개구부(251)는 상기 투약 타이밍에 맞는 약품이 수용된 구획공간을 외부와 연통되도록 작동된다.That is, the auxiliary container 240 is fixed to the body, and the auxiliary frame 250 is rotated through the timer 260. Therefore, as the auxiliary frame 250 rotates, the position of the opening 251 is changed, and the compartment space is fixed, so that the opening 251 can communicate with the compartment space in which the medicament corresponding to the dosing timing is accommodated, .

이때, 상기 개구부(251)는 상기 구획공간보다 좁은 회전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투약 타이밍에 반응하여 약을 꺼내는 동안 상기 개구부(251)가 타 구획공간을 침입 개방하여 동시에 두 구획공간에서 약이 나오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pening 251 is formed at a rotation angle that is narrower than the division space, and the opening 251 penetrates into and opens the other division space while taking out the medicine in response to the dosing timing, .

그리고, 상기 타이머(260)가 기설정된 상기 투약 타이밍을 알리는 음성을 출력할 때, 상기 개구부(251)는 상기 투약 타이밍에 해당하는 약품이 수용된 상기 구획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개구부(251)를 하측으로 개방하여 수용된 약품을 배출할 수 있다.When the timer 260 outputs a sound indicating the predetermined dosing timing, the opening 251 is set to be located in the compartment space in which the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dosing timing is received, and the opening 251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contained medicine by opening it to the lower side.

이로 인해, 음용자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투약 타이밍을 인지하여 투약 시간을 지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을 찾을 필요없이 상기 개구부(251)를 열기만 하면 상기 투약 타이밍에 맞는 약품이 배출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e dosing timing by the timer and can keep the dosing time. Also, if the user opens the opening 251 without searching for medicines according to the dosing timing, the medicines corresponding to the dosing timing are discharged , The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250)은 상기 구획공간의 하단을 커버하되,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원주방향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부(251)가 형성된다.The auxiliary frame 250 covers the lower end of the compartment space.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25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side. An opening 251 is formed at on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auxiliary frame 250 to discharge medicines at the dosing timing.

즉, 상기 구획공간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는 상태지만, 상기 보조프레임(250)이 상기 구획공간의 하단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저장공간에 약품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250)의 상면을 형성하는 바닥부(254)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구획공간에 수용된 약품이 테두리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250)의 원주방향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개구부(251)를 개방하면 수용된 약품이 손쉽게 배출될 수 있다.That is, although the lower end of the compartment space is open, the auxiliary frame 250 covers the lower end of the compartment space, so that the medicin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254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250 is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outward, so that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compartment space is located on the edge side due to gravity. At this time, when the opening 251 formed at on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auxiliary frame 250 is opened, the contained medicine can be easily discharged.

또한, 상기 바닥부(254)의 외곽 테두리에는 결합홈부(252)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외벽(242)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50)은 상기 보조용기(240)와 결합하되 별도로 회전될 수 있다.A coupling groove 252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part 254 so as to surround the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242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auxiliary frame 250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ainer 240 But can be rotated separately.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250)은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외벽(242)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부(252)로 탄발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frame 25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242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252 with elasticity.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기와 보조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auxiliary fr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보조용기와 보조프레임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5,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auxiliary frame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상기 보조프레임(350)의 프레임외벽(352)은 상기 보조용기(340)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보조용기(340)의 칸막이로 구획되되, 상기 프레임외벽(352)이 상기 보조용기(340)의 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보조프레임(350)의 바닥부(355)가 상기 보조용기(340)의 하단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약품이 수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Here, the frame outer wall 352 of the auxiliary frame 35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340. At this time, the storage space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340, the frame outer wall 352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340, and the bottom portion 355 of the auxiliary frame 350 By covering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container 340,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medicine is formed.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350)은 상기 타이머(36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보조용기(350)는 상기 몸체의 결합부(315)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외벽(352)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351)는 상기 보조용기(340)의 각 구획공간을 회전하다가 상기 투약 타이밍에 해당하는 구획공간에서 정지하여 외부로 약품이 인출되도록 개방된다.The auxiliary frame 350 is rot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timer 360 and the auxiliary container 35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315 of the body. Accordingly, the opening 35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352 of the frame rotates the respective compartment spaces of the auxiliary container 340, and is stopped in the compartment space corresponding to the dosing timing, and is opened to take out the medicine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200)은 상기 투약 타이밍을 알려주되, 약품과 음료를 보관하여 투약 타이밍에 있는 약품을 인출하여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용도 외에도 영유아의 이유식이나 분유를 먹이는 시간을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가능하다.Meanwhile, the beverage storing device 200 equipped with the dosing t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nforms the timing of dosing, but also stores medicines and beverages and informs them to take medicines at dosing timing and conveniently take them It can be used to inform baby food and feeding time of infant formula.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종래의 음료용기 200,300: 음료보관장치
110,210: 몸체 120,220: 배출부
130,230: 뚜껑 211: 테두리면부
212: 배출부 결합부 213: 관측홈부
214: 보조용기 결합부 215,315: 타이머 결합부
221: 언덕부 222: 결속패킹부
223: 마개부 240,340: 보조용기
241,341: 칸막이 242: 용기외벽
244,345: 보조용기 결속부 250,350: 보조프레임
251,351: 개구부 252: 결합홈부
254,355: 바닥부 260,360: 타이머
265,365: 타이머 결속부 315: 결합부
352: 프레임외벽
100: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200, 300: Beverage storage device
110, 210: Body 120, 220:
130, 230: lid 211:
212: discharge portion coupling portion 213: observation groove portion
214: auxiliary container coupling unit 215, 315: timer coupling unit
221: hill part 222: binding packing part
223: stopper part 240, 340: auxiliary container
241, 341: partition 242:
244,345: auxiliary container binding portion 250, 350: auxiliary frame
251, 351: opening 252:
254,355: bottom 260,360: timer
265, 365: Timer binding section 315:
352: frame outer wall

Claims (5)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지되,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며 상단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몸체;
회전조작에 의해 음성 출력되는 투약 타이밍을 설정하되,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타이머; 및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수용되도록 저장공간이 구획되어 구비되며, 상기 타이머에 결합되는 보조용기를 포함하는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
A body having a size such that the user can grip the drink, a body accommodating the beverage therein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timer for setting a dosing timing to be audibly output by a rotation operation, the timer being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And
And a dosing timer including an auxiliary container coupled to the timer and having a storage space divided to accommodate medicines according to the dosing tim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보조용기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써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배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투약 타이밍에 대응되는 상기 구획공간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space includes a plurality of compartment spaces def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rame connect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timer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for discharging medicines for each medication timing, the medication timer being positioned in the compartment space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timing, A beverage storage device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구획공간의 하단을 커버하되,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원주방향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투약 타이밍별 약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frame covers the lower end of the compartment space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the upper surface goes outward and an opening is formed at on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ompartment to discharge medicines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되,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만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art is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upper side, and is curved roundly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측 테두리면부가 그립감을 부여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몸체의 내부를 투시하도록 관측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되, 내부에 음료를 저수할 공간이 형성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뚜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rounded so as to give a grip feeling to the outer rim surface. An observa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so as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body,
Further comprising a lid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so as to surround the discharge part, the lid being provided in a container shape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beverage therein.
KR1020130002915A 2013-01-10 2013-01-10 apparatus for contain liquid with medicine admistration timer Abandoned KR201400908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15A KR20140090827A (en) 2013-01-10 2013-01-10 apparatus for contain liquid with medicine admistration ti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15A KR20140090827A (en) 2013-01-10 2013-01-10 apparatus for contain liquid with medicine admistration ti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27A true KR20140090827A (en) 2014-07-18

Family

ID=5173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915A Abandoned KR20140090827A (en) 2013-01-10 2013-01-10 apparatus for contain liquid with medicine admistration ti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082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18A (en) * 2014-11-28 2016-06-08 오재혁 A water vessel for accommodating of medicine
KR20180061623A (en)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디앤티 Multiple portable water bottle
KR102073099B1 (en) * 2018-12-11 2020-02-06 (주)디자인엑스투 Pill bottle with alarm function of tale ti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18A (en) * 2014-11-28 2016-06-08 오재혁 A water vessel for accommodating of medicine
KR20180061623A (en)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디앤티 Multiple portable water bottle
KR102073099B1 (en) * 2018-12-11 2020-02-06 (주)디자인엑스투 Pill bottle with alarm function of tale 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3094B2 (en) Anti-tipping container for liquids and semi-solid foods
EP2913043B1 (en) Feeding apparatus
US5320231A (en) Adult personal care bottle with integral handles
US6588593B2 (en) Fluid container with timepiece
US8777044B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US72967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tering liquid nutritional supplements
US8113364B1 (en) Nursing bottle ensemble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US20140163463A1 (en) Medicup a Medicine dispenser with soft Handles interchangeable with Strawcup
CN101155535A (en) Beverage container or container lid with straw
WO2013138490A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US20080308521A1 (en) Bottle/stick pack combination
US20130319965A1 (en) Pacifiers and bottle nipples
KR20140090827A (en) apparatus for contain liquid with medicine admistration timer
ES2325231T3 (en) DISPOSABLE PACKAGING FOR DRINKS.
US20050023237A1 (en) Detachable plastic bottle and bottle holder for consumers and healthcare
WO2014111489A2 (en) Sports bottle
US20100178393A1 (en) Disposable bottle for supply of beverage of special use for babies
US20150210462A1 (en) Combined medicament and beverage container
WO2013128166A1 (en) Wrist container for drinks
KR101607151B1 (en) Milk Powder Dispenser
US20040006303A1 (en) Oral medicine delivery apparatus
KR102617011B1 (en) Functional straw water bottle
KR200446651Y1 (en) Detachable Heating Container
CA2197892A1 (en) Dosing dum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