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771A - Scissors and harvest the fruits - Google Patents
Scissors and harvest the frui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5771A KR20140095771A KR1020130008569A KR20130008569A KR20140095771A KR 20140095771 A KR20140095771 A KR 20140095771A KR 1020130008569 A KR1020130008569 A KR 1020130008569A KR 20130008569 A KR20130008569 A KR 20130008569A KR 20140095771 A KR20140095771 A KR 201400957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fixed blade
- fixed
- rod
- ope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1—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f piv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5—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elongated or extended handles
- A01G3/0255—Tree pruners, i.e. pruning shears carried at the end of a p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나무 가지에 달려 있는 과일을 수확하거나 과일 나뭇가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나뭇가지의 일부를 자를 때 사용하는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정날(1)과 가동날(2)이 축나사(102a)로 힌지 연결되고 고정날(1)의 고정부(103)가 장대(5)의 일단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장대(5)의 타단에 손잡이(6)가 형성되고 가동날(2)의 작동부(203)에 장대(5) 속으로 관통되는 작동봉(3)의 일단이 연결되고 작동봉(3)의 타단은 손잡이(6)의 작동레버(601)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는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에 있어서,
고정날(1)은 선단부에서 후측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고정칼날(101)을 형성하고 고정칼날(101)의 외측에는 칼날높이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상단에 칼날모양에 대응하는 오목곡면으로 받침면이 형성되어 톱니형 돌기(104a)를 구비하는 가지받침대(104)가 부착되며 고정날(1)의 후단부에는 고정부(103)를 형성하고 고정부(103)의 끝단에는 걸림홈(103a)을 형성하며 고정부(103)의 하단은 경사면(103b)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가동날(2)은 고정날(1)의 고정칼날(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동칼날(201)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고정날(1)의 가지받침대(104)의 위에 포개어지고 하단에 가지받침대(104)의 오목곡면에 대응하는 볼록곡면으로 압착면이 형성되어 톱니형 돌기(204a)를 구비하는 가지압착구(204)가 부착되며 힌지축공(202)의 하부에는 하단부에 회전반경 조절공(203a)이 형성되어 회전반경(R)(R')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작동부(203)를 형성하고, 작동봉(3)은 일정두께와 폭을 가지는 길이방향으로 긴 평철(3)로 제작하고 가동날(2)의 회전반경 조절공(203a)에 일측 연결축공(301)이 연결되고 타측 연결축공(301')은 작동레버(601)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날(1)에 작동하는 가동날(2)의 작동부(203)에 형성한 회전반경 조절공(203a)에 의해 회전반경(R)(R')을 작거나 크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반경(R)(R')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고정날(1)의 고정칼날(101)을 선단부에서 후측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칼날(101)을 형성함으로써 나뭇가지가 가위날 사이 내측으로 접근했을 때 자르게 되어 나뭇가지를 보다 쉽게 자를 수 있는 이점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issors for harvesting fruits and vest for use in harvesting fruits on a fruit tree branch or cutting a part of branches to improve fruit branches, The blade 2 is hinged by the shaft screw 102a and the fixed portion 103 of the fixed blade 1 is fastened and fastened to one end of the rod 5 with a fastener and the knob 6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5,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3 passing through the rod 5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art 203 of the movable blade 2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rod 3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601 ) For scissors for fruit harvesting and vestibular purposes which manually open and close the scissors blades,
The stationary blade 1 has a fixed blade 101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fixed blade 1 and has a concav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lade shape on the outer side of the fixed blade 101, Shaped support 104 having a serrated protrusion 104a is attached and a fixing part 10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xed blade 1. An engagement groove 103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part 103,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art 103 constitutes an inclined face 103b and the movable blade 2 forms the movable blade 20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blade 101 of the fixed blade 1 A squeezing surfac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xed blade 1 on the branch support 104 and a convex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branch support 104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 rotary radius adjusting hole 203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inge shaft hole 202 And the operating rod 203 is formed as a long flat plate 3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The connecting shaft hole 301 is connected to the turning radius adjusting hole 203a of the fixed blade 1 and the other connecting shaft hole 301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601, (R) (R ') can be adjusted to be small or large by a turning radius adjusting hole (203a) formed in an operating portion (203) of the main body (2) The fixed blade 101 of the fixed blade 1 is formed with the blade 10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ip end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branches can be scissors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cut when approaching inward from the blade to cut branches more easily.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일 나무 가지에 달려 있는 과일을 수확하거나 과일 나뭇가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나뭇가지의 일부를 자를 때 사용하는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정날에 작동하는 가동날의 작동부에 형성한 회전반경 조절공에 의해 회전반경을 작거나 크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반경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하고, 고정날의 고정칼날을 선단부에서 후측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칼날을 형성하여 나뭇가지를 보다 쉽게 자를 수 있도록 한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ruit harvesting and pruning scissors used for harvesting fruit on a fruit tree branch or cutting a part of a tree branch to improve fruit tree branches, and more particularly, The turning radius can be adjusted to be small or large by the turning radius adjusting ball formed in the operating part of the operating rod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turning radius to cut the twigs with less fo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issors for fruit harvesting and vestibularisation, in which a blade is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ip end to the rear side to cut branches more easily.
종래의 과일 수확용 가위나 전정가위는 고정날에 가동날을 작동시켜 가지를 자르게 되는데 가동날을 움직이는 작동부의 회전반경이 25 ~ 26 mm 정도로 짧아서 가위날을 작동시켜 가지를 자르는데 많은 힘이 들고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무리하게 힘을 주어 가위를 작동시키게 되어 가위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fruit harvesting scissors or pruning scissors cut the branches by operating the movable blade on the fixed blade. The rotation radius of the operating part that moves the movable blade is as short as 25 to 26 mm, Therefore, the user is forced to apply excessive force to the scissors to operate the scissors.
또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가위의 두 날 사이로 나뭇가지를 접근시켜 가지가 가위날 사이 내측으로 최대한 들어왔을 때 자르는 것이 힘이 적게 들고 보다 쉽게 가지를 자를 수 있게 되는데 종래에는 가위의 고정날의 칼날을 형성할 때 선단부에서부터 칼날을 형성시킴으로써 가위날 사이로 가지를 접근시킬 때 고정날의 칼날 선단부에서부터 가지가 잘리게 되어 가지를 자르는데 많은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principle of leverage,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branches near the two edges of the scissors and cut the branches when they reach the inner side of the scissors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force is less and the branches can be cut more easily. The blade is formed from the tip end when the blade is formed so that the branch is cut from the tip of the blade of the blade when approaching the branch between the scissors blades,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날에 작동하는 가동날의 작동부에 형성한 회전반경 조절공에 의해 회전반경을 작거나 크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반경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하고, 고정날의 고정칼날을 선단부에서 후측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칼날을 형성함으로써 나뭇가지가 가위날 사이 내측으로 접근했을 때 자르게 되어 나뭇가지를 보다 쉽게 자를 수 있도록 한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blade which is operated in a fixed blade by making a turning radius small or large, So that the cutting blade can be cut with a smaller force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radius of rotation, and the fixed blade of the fixed blade is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ip portion to the rear side to form a blade so that when the branch approaches the inner side between the scissors blades And to provide fruit harvesting and vestibular scissors for easier cutting of branches.
고정날(1)과 가동날(2)이 축나사(102a)로 힌지 연결되고 고정날(1)의 고정부(103)가 장대(5)의 일단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장대(5)의 타단에 손잡이(6)가 형성되고 가동날(2)의 작동부(203)에 장대(5) 속으로 관통되는 작동봉(3)의 일단이 연결되고 작동봉(3)의 타단은 손잡이(6)의 작동레버(601)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는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에 있어서,The
고정날(1)은 선단부에서 후측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고정칼날(101)을 형성하고 고정칼날(101)의 외측에는 칼날높이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상단에 칼날모양에 대응하는 오목곡면으로 받침면이 형성되어 톱니형 돌기(104a)를 구비하는 가지받침대(104)가 부착되며 고정날(1)의 후단부에는 고정부(103)를 형성하고 고정부(103)의 끝단에는 걸림홈(103a)을 형성하며 고정부(103)의 하단은 경사면(103b)을 이루도록 구성하고,The
가동날(2)은 고정날(1)의 고정칼날(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동칼날(201)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고정날(1)의 가지받침대(104)의 위에 포개어지고 하단에 가지받침대(104)의 오목곡면에 대응하는 볼록곡면으로 압착면이 형성되어 톱니형 돌기(204a)를 구비하는 가지압착구(204)가 부착되며 힌지축공(202)의 하부에는 하단부에 회전반경 조절공(203a)이 형성되어 회전반경(R)(R')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작동부(203)를 형성하고,The
작동봉(3)은 일정두께와 폭을 가지는 길이방향으로 긴 평철(3)로 제작하고 가동날(2)의 회전반경 조절공(203a)에 일측 연결축공(301)이 연결되고 타측 연결축공(301')은 작동레버(601)에 연결되는 구성이다.The working
한편, 중심부는 통공(401a)이 형성된 연결관(401)의 후단부는 장대(5)의 일단에 결합되고 연결관(401)의 선단부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부(402)를 형성하고 결합부(402)의 상단 중간에는 고정날(1)의 고정부(103)가 삽입되어 나사(402C)결합되도록 삽입홈(402a)을 형성하며 삽입홈(402a)의 내부에는 고정날(1)의 고정부(103)의 걸림홈(103a)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림돌기(402b)를 형성한 고정날 연결구(4)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rear end of the
또한, 손잡이(6)의 작동레버(601)는 작동레버(601)의 체결공(602a)에 작동봉(3) 일단부의 연결축공(301')을 일치시켜 체결핀(602)으로 체결공(602a)과 연결축공(301')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하고 체결공(602a) 일측에는 체결핀(602)을 절반가량 커버하도록 안전핀(603)을 설치하여 안전핀(603)에 의해 체결핀(602)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또한, 작동봉(3)은 양단부에 연결축공(301a)(301a')을 형성한 철사봉(3a)으로 제작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작동봉은 양단부에 연결축공(301b)(301b')이 있는 와이어(3b)로 제작되고 가동날(2)의 상단과 고정날(1)의 고정부(103)의 상단을 연결하는 코일스프링(S)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operating rod is formed of a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날에 작동하는 가동날의 작동부에 형성한 회전반경 조절공에 의해 회전반경을 작거나 크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반경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고정날의 고정칼날을 선단부에서 후측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칼날을 형성함으로써 나뭇가지가 가위날 사이 내측으로 접근했을 때 자르게 되어 나뭇가지를 보다 쉽게 자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turning radius of a movable blad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ut the turning radius by the user to cut the branches with less force, and by forming the blade with the fixed blade of the fixed blade being spaced from the front end part to the rear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ut branches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예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작동레버와 작동봉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고정날의 경사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가동날의 회전반경을 도시한 정면 단면예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작동봉을 철사봉으로 제작한 예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작동봉을 와이어로 제작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봉을 와이어로 제작하고 코일스프링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4
FIGS. 6A and 6B ar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operating lever and the opera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fixed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front-sid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movabl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work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wire rod
FIG. 9B is an exemplary view of the work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wire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work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wire and a coil spring is install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It is to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ny of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Come on.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는 고정날(1)과 가동날(2)이 축나사로 힌지 연결되고 고정날(1)의 고정부(103)가 장대(5)의 일단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장대(5)의 타단에 손잡이(6)가 형성되고 가동날(2)의 작동부(203)에 장대(5) 속으로 관통되는 작동봉(3)의 일단이 연결되고 작동봉(3)의 타단은 손잡이(6)의 작동레버(601)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 요소의 구조적 특징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5, the scissors for fruit harvesting and pru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ch that the
고정날(1)은 선단부에서 후측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고정칼날(101)을 형성함으로써 나뭇가지가 가위날 사이 내측으로 접근했을 때 자르게 되어 나뭇가지를 보다 쉽게 자를 수 있게 된다.The
또한, 고정날(1)의 고정칼날(101)의 외측에는 칼날높이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상단에 칼날모양에 대응하는 오목곡면으로 받침면이 형성되어 톱니형 돌기(104a)를 구비하는 가지받침대(104)가 부착됨으로써 후술할 가지압착구(204)와 함께 잘린 나뭇가지를 잡아주게 된다.The
아울러, 고정날(1)의 후단부에는 고정부(103)를 형성하고 고정부(1)의 끝단에는 걸림홈(103a)을 형성하며 고정부(1)의 하단은 도 7에서 고정부(103)의 수직폭이 점차 좁아지게 경사면(103b)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고정날 연결구(4)에 고정부(103)가 결합되고 고정부(103)의 하단 경사면에 의해 고정날(1)의 선단부가 위로 들리게 되어 힌지 결합된 가동날(2)의 작동부(203)의 회전반경 조절공(203a)에 작동봉의 일단을 상하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A
가동날(2)은 고정날(1)의 고정칼날(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동칼날(201)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고정날(1)의 가지받침대(104)의 위에 포개어지고 하단에 가지받침대(104)의 오목곡면에 대응하는 볼록곡면으로 압착면이 형성되어 톱니형 돌기(204a)를 구비하는 가지압착구(204)가 부착됨으로써 고정날(1)의 가지받침대(104)와 함께 잘린 나뭇가지를 잡아주게 된다.The
또한, 도 8a와 도 8b에서 가동날(2)은 힌지축공(202)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작동부(203)를 형성하고 작동부(203)의 하단부에 작동봉(3)이 연결될 때 작동봉(3)의 축공(301)과 가동날의 힌지축공(202)까지의 회전반경(R)(R')을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부분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한 회전반경 조절공(203a)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반경(R)(R')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8A and 8B, the
이때, 회전반경 조절공(203a)에 의해 조절되는 회전반경(R)(R')은 32 ~ 45 mm 정도일 때 최적임을 밝혀 둔다.At this time, it is found that the turning radius R 'controlled by the turning
작동봉(3)은 일정두께와 폭을 가지는 길이방향으로 긴 평철(3)로 제작하고 작동봉의 양단에는 연결축공(301)(301')을 형성하며 작동봉의 일측 연결축공(301)은 가동날(2)의 회전반경 조절공(203a)에 연결하고 타측 연결축공(301')은 작동레버(601)에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고 구조도 간단하여 고장발생률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게 된다.The working
이때, 도 9a와 도 9b에서 작동봉(3)은 평철(3) 외에도 양단부에 연결축공(301a)(301a')을 형성한 철사봉(3a)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작동봉(3)은 양단부에 연결축공(301b)(301b')을 형성한 와이어(3b)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이때, 작동봉(3)을 와이어(3b)로 제작할 경우에는 도 10에서 가동날(2)의 상단과 고정날(1)의 고정부(103)의 상단을 연결하는 코일스프링(S)을 설치하여 가위날이 서로 겹쳐진 후 다시 원래 위치로의 복원력을 발생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9A and 9B, the working
한편, 고정날 연결구(4)는 중심부에 작동봉(3)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통공(401a)이 형성된 연결관(401)을 구성하고 연결관(401)의 후단부는 장대(5)의 일단에 결합되고 연결관의 선단부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부(402)를 형성하고 결합부(402)의 상단 중간에는 고정날(1)의 고정부(103)가 삽입되어 나사(402c)결합되도록 삽입홈(402a)을 형성하며 삽입홈(402a)의 내부에는 고정날(1)의 고정부(103)의 걸림홈(103a)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림돌기(402b)를 형성함으로써 고정날(1)의 고정부(103)의 걸림홈(103a)이 삽입홈(402a) 내부의 걸림돌기(402b)에 끼워져 고정시킨 후 결합부(402) 일측면에 고정날(1)의 고정부(103)의 일측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나사(402c)결합시켜 고정날(1)을 고정날 연결구(4)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The
*아울러, 도 6a와 도 6b에서 손잡이(6)의 작동레버(601)는 작동레버(601)의 체결공(602a)에 작동봉(3) 일단부의 연결축공(301')을 일치시켜 체결핀(602)으로 체결공(602a)과 연결축공(301')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하고 체결공(602a) 일측에는 체결핀(602)을 절반가량 커버하도록 안전핀(603)을 설치하여 안전핀(603)에 의해 체결핀(602)이 이탈하지 않게 된다.6A and 6B,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고정날 101: 고정칼날
102: 고정축공 102a: 축나사
103: 고정부 103a: 걸림홈
103b: 경사면 104: 가지받침대
104a, 204a: 톱니형 돌기 2: 가동날
201: 가동칼날 202: 힌지축공
203: 작동부 203a: 회전반경 조절공
204: 가지압착구 3, 3a, 3b: 작동봉
301, 301', 301a, 301a', 301b, 301b': 연결축공
4: 고정날 연결구 401: 연결관
401a: 통공 402: 결합부
402a: 삽입홈 402b: 걸림돌기
402c: 나사 5: 장대
6: 손잡이 601: 작동레버
602: 체결핀 602a: 체결공
603: 안전핀 R, R': 회전반경
S: 코일스프링1: Fixing blade 101: Fixing blade
102:
103:
103b: inclined surface 104:
104a, 204a: serrated projection 2: movable blade
201: movable blade 202: hinge shaft
203: operating
204:
301, 301 ', 301a, 301a', 301b, 301b '
4: Fixing blade connector 401: Connector
401a: through hole 402:
402a:
402c: screw 5: pole
6: handle 601: operation lever
602:
603: Safety pin R, R ': Turn radius
S: coil spring
Claims (5)
상기 고정날(1)은 선단부에서 후측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고정칼날(10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칼날(101)의 외측에는 칼날높이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상단에 칼날모양에 대응하는 오목곡면으로 받침면이 형성되어 톱니형 돌기(104a)를 구비하는 가지받침대(104)가 부착되며 상기 고정날(1)의 후단부에는 고정부(103)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03)의 끝단에는 걸림홈(103a)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103)의 하단은 경사면(103b)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날(2)은 고정날(1)의 고정칼날(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동칼날(201)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상기 고정날(1)의 가지받침대(104)의 위에 포개어지고 하단에 상기 가지받침대(104)의 오목곡면에 대응하는 볼록곡면으로 압착면이 형성되어 톱니형 돌기(204a)를 구비하는 가지압착구(204)가 부착되며 힌지축공(202)의 하부에는 하단부에 회전반경 조절공(203a)이 형성되어 회전반경(R)(R')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작동부(203)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봉(3)은 일정두께와 폭을 가지는 길이방향으로 긴 평철(3)로 제작하고 상기 작동봉의 양단에는 연결축공(301)(301')을 형성하며 상기 작동봉의 일측 연결축공(301)은 상기 가동날(2)의 회전반경 조절공(203a)에 연결하고 타측 연결축공(301')은 작동레버(601)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The fixed blade 1 and the movable blade 2 are hinged by a shaft screw 102a and the fixed portion 103 of the fixed blade 1 is fasten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pole 5 with a fastener, 5 is formed with a handle 6 and one end of an operating rod 3 passing through the rod 5 is connected to an operating portion 203 of the movable blade 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601 of the handle 6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scissors blade,
The stationary blade 1 has a fixed blade 101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fixed blade 1 and has a concav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a blade 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blade 101, The support base 104 having the serration protrusion 104a is attached and the fixing blade 10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blade 1 and the end of the fixing portion 103 is fastened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103 is configur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103b,
The movable blade 2 is formed with a movable blade 20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blade 101 of the fixed blade 1 and is laid on the side of the branch support 104 of the fixed blade 1, Shaped pressing protrusion 204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curved surface of the branch pedestal 104 and having a serrated protrusion 204a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branch pedestal 104, A radius adjusting hole 203a is formed to form an actuating part 203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turning radius R '
The working rod 3 is made of a long flat steel 3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orking rod with connection shaft holes 301 and 301 ' Is connected to the turning radius adjusting hole (203a) of the movable blade (2) and the other connecting shaft hole (301 ')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601).
상기 프레임(1a)은 원 형태로 절곡하여 상기 프레임(1a) 상면에는 수직으로 돌출걸림대(105)를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돌출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장대(6a)의 일측이 나사(602)결합되는 장대결합봉(107)을 돌출형성하며, 상기 장대결합봉(107)이 형성된 내측면에는 선단부에 걸림턱(106a)을 형성한 돌출간(106)을 나란하도록 형성하여 과일의 후미를 상기 돌출걸림대(105) 사이에 끼워서 밀거나 당기거나 비틀어서 과일을 수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과일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1a is bent in a circular shape so that protrusions 105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a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1a in such a manner that one side of the pole 6a is screwed A protrusion 106 protruding from the protrusion 106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07 and the protrusion 106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rotrusion 106, 105), which can be pushed, pulled or twisted to harvest fruit.
상기 손잡이(6)의 작동레버(601)는 작동레버(601)의 체결공(602a)에 작동봉(3) 일단부의 연결축공(301')을 일치시켜 체결핀(602)으로 상기 체결공(602a)과 연결축공(301')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하고 상기 체결공(602a) 일측에는 체결핀(602)을 절반가량 커버하도록 안전핀(603)을 설치하여 상기 안전핀(603)에 의해 체결핀(602)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peration lever 601 of the handle 6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operation lever 601 by aligning the connection shaft hole 301 'at one end of the operation rod 3 with the connection hole 602a of the operation lever 601, A safety pin 60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hole 602a so as to cover half of the fastening pin 602 and the fastening pin 603 is fastened by the safety pin 603. [ 602) of the fruit harvesting and pruning shears.
상기 작동봉(3)은 양단부에 연결축공(301a)(301a')을 형성한 철사봉(3a)으로 제작되는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ing rod (3) is made of a wire rod (3a) formed with connecting shaft holes (301a) and (301a ') at both ends thereof for fruit harvesting and pruning shears.
상기 작동봉은 양단부에 연결축공(301b)(301b')이 있는 와이어(3b)로 제작되고 상기 가동날(2)의 상단과 고정날(1)의 고정부(103)의 상단을 연결하는 코일스프링(S)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ng rod is made of a wire 3b having connection shafts 301b and 301b 'at both ends and is connected to a coil spring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blade 2 and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rtion 103 of the fixed blade 1. [ (S), including fruit harvesting and pruning shear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08569A KR101437265B1 (en) | 2013-01-25 | 2013-01-25 | Scissors and harvest the frui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08569A KR101437265B1 (en) | 2013-01-25 | 2013-01-25 | Scissors and harvest the fruit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95771A true KR20140095771A (en) | 2014-08-04 |
| KR101437265B1 KR101437265B1 (en) | 2014-09-02 |
Family
ID=5174402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085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7265B1 (en) | 2013-01-25 | 2013-01-25 | Scissors and harvest the frui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37265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950195A (en) * | 2017-11-24 | 2018-04-24 | 西安科技大学 | A kind of picking machine of incomplete gear mechanism transmission |
| CN108702937A (en) * | 2018-06-25 | 2018-10-26 | 湖南文理学院 | A kind of more bar metamorphic mechanisms fruit picking apparatus |
| CN108718681A (en) * | 2018-04-28 | 2018-11-02 | 河海大学常州校区 | Novel strawberry picks auxiliary tool |
| KR20220083288A (en) * | 2020-12-11 | 2022-06-20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Multi-purpose tong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18746A (en) | 2018-04-11 | 2019-10-21 | 김규석 | Scissors for agriculture |
| CN109463119B (en) * | 2018-11-01 | 2020-09-15 | 徐州盛斗士生物科技有限公司 | Backpack type roxburgh rose picking and walking high-foot vehicle |
| KR102415695B1 (en) | 2022-06-07 | 2022-07-07 | 한상준 | Pole Length Adjustment Device for High Climbing Saw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23778A (en) * | 1994-07-19 | 1996-01-30 | Arusu Corp Kk | Long high twig shear with swing mechanism |
| JP4650637B2 (en) | 2006-09-13 | 2011-03-16 | マックス株式会社 | Electric pruning scissors storage mechanism |
-
2013
- 2013-01-25 KR KR1020130008569A patent/KR1014372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950195A (en) * | 2017-11-24 | 2018-04-24 | 西安科技大学 | A kind of picking machine of incomplete gear mechanism transmission |
| CN108718681A (en) * | 2018-04-28 | 2018-11-02 | 河海大学常州校区 | Novel strawberry picks auxiliary tool |
| CN108718681B (en) * | 2018-04-28 | 2021-07-27 | 河海大学常州校区 | Strawberry Picking Aids |
| CN108702937A (en) * | 2018-06-25 | 2018-10-26 | 湖南文理学院 | A kind of more bar metamorphic mechanisms fruit picking apparatus |
| CN108702937B (en) * | 2018-06-25 | 2024-02-13 | 湖南文理学院 | Multi-rod metamorphic mechanism fruit picking device |
| KR20220083288A (en) * | 2020-12-11 | 2022-06-20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Multi-purpose tong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37265B1 (en) | 2014-09-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37265B1 (en) | Scissors and harvest the fruits | |
| KR20150097091A (en) | Fruit harvest and pruning scissors for | |
| US9596810B2 (en) | Gardening scissor | |
| US8166659B2 (en) | Garden shears | |
| US8584368B2 (en) | Position restriction structure of scissors | |
| US20120085205A1 (en) | Universal Trimmer Handle Assembly | |
| KR200460868Y1 (en) | Fruit harvest and pruning scissors for | |
| US10212891B1 (en) | Gardening shear | |
| TWM418532U (en) | Improved structure of flower shears | |
| US6634105B2 (en) | Shears, particularly hand-held garden or pruning shears or secateurs | |
| WO2016041107A1 (en) | Clippers for high branches | |
| GB2466358A (en) | Garden secateurs | |
| US7370423B1 (en) | Long-arm gardening shears having angle adjustable function | |
| KR20130022019A (en) | A equipment lay by melon and fruit | |
| KR102222257B1 (en) | Scissor's blade | |
| KR20160001276A (en) | pruning scissors | |
| KR20110005911U (en) | Fruit Harvesting Scissors | |
| KR20160111755A (en) | Fruit harvesting and pruning shears for pole length adjustment device | |
| JP3149973U (en) | Cutting machine for fruits | |
| CN201015298Y (en) | Structure of oscillating type high branch scissors | |
| TWI766414B (en) | garden shears structure | |
| CN107258331A (en) | Cut seedling device | |
| CN107667697A (en) | A kind of electric shear | |
| KR20110008301U (en) | Pruning shears | |
| CN201536505U (en) | Gardening shears with smooth shear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8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