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149A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0149A KR20140110149A KR1020130022916A KR20130022916A KR20140110149A KR 20140110149 A KR20140110149 A KR 20140110149A KR 1020130022916 A KR1020130022916 A KR 1020130022916A KR 20130022916 A KR20130022916 A KR 20130022916A KR 20140110149 A KR20140110149 A KR 201401101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adhesive layer
- substrate
- electrode layer
- rear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20—Electrodes
- H10F77/206—Electrode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77/211—Electrode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for photovoltaic cel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0/0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 H10F10/1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10/16—Photovoltaic cells having only PN heterojunction potential barriers
- H10F10/167—Photovoltaic cells having only PN heterojunction potential barriers comprising Group I-III-VI materials, e.g. CdS/CuInSe2 [CIS] heterojunction photovoltaic cel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10—Semiconductor bodies
- H10F77/12—Active materials
- H10F77/126—Active materials comprising only Group I-III-VI chalcopyrite materials, e.g. CuInSe2, CuGaSe2 or CuInGaSe2 [CIG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10—Semiconductor bodies
- H10F77/16—Material structures, e.g. crystalline structures, film structures or crystal plane orientations
- H10F77/169—Thin semiconductor films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H10F77/1694—Thin semiconductor films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the films including Group I-III-VI materials, e.g. CIS or CI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1—CuInSe2 material PV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후면 전극층; 상기 후면 전극층 상에 형성된 광 흡수층; 및 상기 기판과 상기 후면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적어도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hin film solar cel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thin film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 rear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A light absorbing layer formed on the rear electrod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rear electrode layer, wherein a ratio (ρ p / ρ t ) of an actual density (ρ p ) to a theoretical density (ρ t ) of the adhesive layer is at least 0.5.
Description
본 발명은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막형 태양전지에 적용되는 기판과 후면 전극층 사이에 밀착력 향상을 위한 접착층을 삽입하여 박리 강도 특성이 향상된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in film solar cel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in film solar cell having improved peel strength characteristics by inserting an adhesive layer for improving adhesion between a substrate and a back electrode layer applied to a thin film solar cell, .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없어 특히 주목되고 있다. 태양전지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열 발전과,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빛(Photons)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전지가 있으며, 태양전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태양광 전지(이하, '태양전지'라 한다)를 일컫는다.With the recent depletion of existing energy resources such as oil and coal, interest in alternative energy to replace them is increasing. Among them, solar cells are attracting particular attention because they have abundant energy resources and there is no problem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Solar cells include solar power generation that generates the steam needed to rotate the turbine using solar heat and solar cells that convert sunlight (photons)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hotovoltaic cell").
이러한 태양전지는 원료 물질에 따라 크게 다결정(poly crystal) 및 단결정(single crystal) 실리콘 태양전지 또는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와 같은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등으로 분류된다. Such solar cells are classified into silicon-based solar cells and 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s, such as poly-crystal and single-crystal silicon solar cells or amorphous silicon solar cells, depending on raw materials.
이 중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의 하나로서 CIGS계 태양전지는 구리(Cu), 인듐(In), 갈륨(Ga), 셀레늄(Se) 등의 원소로 이루어지는 광흡수 계수가 높은 광흡수층을 유리(glass) 등의 기판상에 증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는 태양전지로서, 두께가 얇은 박막으로도 고효율의 태양전지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전기, 광학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매우 이상적인 광흡수층을 형성할 수 있어 저가, 고효율의 태양전지 재료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As one of the 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s, the CIGS solar cell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ght absorption layer having a high light absorption coefficient, which is made of an element such as copper (Cu), indium (In), gallium (Ga), selenium (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capable of producing a high efficiency solar cell even with a thin film and capable of forming an ideal optical absorption layer with excellent electrical and optical stability, , And many studies have been made with high efficiency solar cell materials.
이러한 박막형 태양전지의 후면 전극층에는 높은 융점과 낮은 오옴접촉(ohmic contact) 및 셀레늄(Se) 분위기에서의 고온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몰리브덴(Mo)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Molybdenum (Mo), which has high melting point, low ohmic contact, and high stability against high temperature in a selenium (Se) atmosphere, is mainly used for the back electrode layer of such a thin film solar cell.
그런데,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후면 전극층과 기판은 상호간에 열팽창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격자 부정합(mismatch)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후면 전극층과 기판의 접촉 계면에서의 결합력 감소로 이어지고, 결국에는 후면 전극층이 기판의 표면에서 벗겨지는(peeling) 현상이 발생하여 이들이 박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효율 및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mismatching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ar electrode layer made of molybdenum and the substrate. This leads to a reduction in the bonding force at the contact interface between the back electrode layer and the substrate, and eventually the back electrode layer peels of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resulting in peeling. As a result,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may deteriorate .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박막형 태양전지에 적용되는 기판과 후면 전극층 사이에 밀착력 향상을 위한 접착층을 삽입하고, 접착층의 물성을 최적화함으로써, 박리 강도 특성을 향상시켜 태양전지의 효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cell module in which an adhesive layer for improving adhesion is inserted between a substrate and a back electrode layer,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a solar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후면 전극층; 상기 후면 전극층 상에 형성된 광 흡수층; 및 상기 기판과 상기 후면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적어도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in film solar cell comprising: a substrate; A rear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A light absorbing layer formed on the rear electrod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rear electrode layer, wherein a ratio (ρ p / ρ t ) of an actual density (ρ p ) to a theoretical density (ρ t ) of the adhesive layer is at least 0.5.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층은 니켈(Ni), 크롬(Cr), 코발트(Co), 몰리브덴(Mo)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이다.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Ni), chromium (Cr), cobalt (Co), and molybdenum (Mo)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층은 두께가 5 ~ 100㎚이다.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100 nm.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층은 스퍼터링(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using a sputtering method.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은 플라즈마 표면 처리에 의한 요철층이 더 형성된다.Preferably, the substr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uneven layer by plasma surface treatment.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의 요철층은 평균 조도(Rz)가 5 ~ 20㎚이다.Preferably, the roughness layer of the substrate has an average roughness Rz of 5 to 20 nm.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 전극층은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rear electrode layer is made of molybdenum (Mo).
바람직하게, 상기 광 흡수층은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함유하는 CIGS계 화합물층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light absorbing layer includes a CIGS-based compound layer containing copper (Cu), indium (In), gallium (Ga), and selenium (Se).
바람직하게, 상기 광 흡수층 상에 형성된 버퍼층, 윈도우층 및 전면 전극층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light emit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buffer layer, a window layer, and a fron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light absorbing lay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a) 기판의 상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접착층 상에 후면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후면 전극층 상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적어도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solar cell, including: (a)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a substrate; (b) forming a rear electrode layer on the adhesive layer; And (c) forming a light absorption layer on the rear electrode layer, wherein the ratio ( p / rt ) of the actual density (rho p ) of the adhesive layer to the theoretical density (rho t ) .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접착층은 니켈(Ni), 크롬(Cr), 코발트(Co), 몰리브덴(Mo)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이다.Preferably, in the step (a), the adhesive lay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Ni), chromium (Cr), cobalt (Co), and molybdenum (Mo).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접착층은 두께가 5 ~ 100㎚이다.Preferably, in the step (a),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100 nm.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스퍼터링(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층을 형성한다.Preferably, in the step (a),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 sputtering method.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 이전, 상기 기판의 상부에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step (a) further comprises forming an uneven layer using a plasma surface treatment on the substrate before the step (a).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의 요철층은 평균 조도(Rz)가 5 ~ 20㎚이다.Preferably, the roughness layer of the substrate has an average roughness Rz of 5 to 20 nm.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후면 전극층은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in the step (b), the rear electrode layer is made of molybdenum (Mo).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광 흡수층은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함유하는 CIGS계 화합물층을 포함한다.Preferably, in the step (c), the light absorbing layer includes a CIGS compound layer containing copper (Cu), indium (In), gallium (Ga), and selenium (Se).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광 흡수층 상에 버퍼층, 윈도우층 및 전면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step (c) further comprises forming a buffer layer, a window layer and a front electrode layer on the light absorption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박막형 태양전지에 적용되는 기판과 후면 전극층 사이에 밀착력 향상을 위한 접착층을 삽입하고, 접착층의 물성을 최적화함으로써, 기판과 후면 전극층의 초기 밀착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셀레늄(Se) 분위기에서의 고온 처리와 같은 후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박리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박막형 태양전지의 효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itial adhesion between a substrate and a rear electrode layer is improved by inserting an adhesive layer for improving adhesion between a substrate and a rear electrode layer applied to a thin film solar cell and optimiz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lay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peeling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a subsequent process such as a high temperature treatment in an atmospher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thin film solar cell.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들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thin film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process 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thin film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는, 기판(100), 접착층(200), 후면 전극층(300) 및 광 흡수층(4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는 광 흡수층(400) 상에 버퍼층(500), 윈도우층(600) 및 전면 전극층(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a thin film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기판(100)은 플랙시블한 특성을 갖도록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이용한 폴리머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머 기판 이외에도 태양전지의 적층 구조의 기초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컨대, 절연성을 갖는 유리 기판으로 소다라임(sodalime) 유리를 이용한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A polymer substrate using polyimide may be used as the
한편, 상기 기판(100)은 전처리 공정으로 플라즈마 표면 처리에 의해 표면의 오염 물질의 제거와 함께 표면의 일부가 제거되어 소정의 조도를 갖는 요철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기판(100)의 평균 조도(Rz)는 5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기판(100)과 후면 전극층(3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 도체층으로서, 니켈(Ni), 크롬(Cr), 코발트(Co), 몰리브덴(Mo)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접착층(200)은 스퍼터링(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200)은 두께(T)가 5 ~ 1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층(200)의 형성 공정에서 스퍼터링 전류 밀도를 제어하여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적어도 0.5 이상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는 상기 접착층(200)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할 경우, 접착층(200)을 구성하는 금속 고유의 이론 밀도(ρt)가 스퍼터링 과정에서 격자 결함이나 보이드와 같은 공정상의 변형에 의해 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는 접착층(200)이 기여하는 밀착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uttering current density is controll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즉, 상기 접착층(200)의 형성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경우는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1인 경우로 접착층(200)이 간극이 없이 치밀하게 형성되는 것이나, 스퍼터링의 공정상 이를 실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That is, in the formation of th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를 적어도 0.5 이상이 되도록 형성한다는데 발명이 특징이 있다. 이는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적어도 0.5 이상일 때 밀착력이 저하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0.5 미만일 경우, 밀착력에 영향을 주는 레벨의 공극이 접착층(200)과 상기 기판(100)의 계면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ρ p / ρ t ) between the actual density (ρ p ) and the theoretical density (ρ t ) of the adhesive layer (200) is at least 0.5 or more. This is because the adhesive force of at least 0.5 when the ratio is more than (ρ p / ρ t) of the measured density (ρ p) and the theoretical density (ρ t)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를 적어도 0.5 이상이 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기판(100)과 후면 전극층(300) 사이의 밀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기판(100)과 후면 전극층(200)의 초기 밀착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셀레늄(Se) 분위기에서의 고온 처리와 같은 후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박리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박막형 태양전지의 효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후면 전극층(300)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층으로서 높은 전기전도성과 광 흡수층(400)과의 오믹 접촉(ohmic contact) 및 셀레늄(Se) 분위기 하에서의 고온 안정성을 갖는 몰리브덴(Mo)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전극층(300)은 스퍼터링(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광 흡수층(400)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CIGS계의 재질로 형성된다. CIGS는 구리(Cu), 인듐(In), 셀레늄(Se)으로 이루어진 CuInSe2(CIS)의 3원소 반도체에 갈륨(Ga) 원소를 도핑하여 효율을 증가시킨 것이다.The
상기 버퍼층(500)은 p형 반도체 층인 상기 광 흡수층(400)과 pn접합되는 n형의 반도체 층으로서, 황화 카드뮴(Cds)로 형성된다.The
상기 윈도우층(600)은 투명한 전극층으로서, ITO, ZnO 또는 i-ZnO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윈도우층(600)의 상면에는 전하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해서 알루미늄(Al)이나 니켈(Ni)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층인 전면 전극층(700)이 형성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는 기판(100)과 후면 전극층(300) 사이에 접착층(200)을 삽입하고, 이 접착층(200)의 물성 즉,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를 적어도 0.5 이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판(100)과 후면 전극층(200)의 초기 밀착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셀레늄(Se) 분위기에서의 고온 처리와 같은 후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박리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박막형 태양전지의 효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hin film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들이다.FIGS. 2 to 4 are process 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2 to 4,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상기 기판(100) 상에 접착층(20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층(200) 상에 후면 전극층(30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후면 전극층(300) 상에 광 흡수층(4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광 흡수층(400) 상에 버퍼층(500), 윈도우층(600) 및 전면 전극층(70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tep of forming an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을 준비하고, 상기 기판(100) 상에 접착층(200)을 형성한다.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기판(100)과 후면 전극층(3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 도체층으로서, 니켈(Ni), 크롬(Cr), 코발트(Co), 몰리브덴(Mo)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접착층(200)은 스퍼터링(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200)은 두께(T)가 5 ~ 1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FIG. 2, a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층(200)의 형성 공정에서 스퍼터링 전류 밀도를 제어하여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적어도 0.5 이상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는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적어도 0.5 이상일 때 밀착력이 저하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0.5 미만일 경우, 밀착력에 영향을 주는 레벨의 공극이 접착층(200)과 상기 기판(100)의 계면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uttering current density is controll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그런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층(200) 상에 후면 전극층(300)을 형성한다. 이는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200)의 형성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되, 스퍼터링의 타겟 물질을 접착층(200)의 형성 물질에서 후면 전극층(300)의 형성 물질인 몰리브덴(Mo)으로 변경하여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3, a
그리고 나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전극층(300) 상에 광 흡수층(400)을 형성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 흡수층(400) 상에 버퍼층(500), 윈도우층(600) 및 전면 전극층(70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박막형 태양전지를 완성하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4, a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를 적어도 0.5 이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판(100)과 후면 전극층(200)의 초기 밀착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셀레늄(Se) 분위기에서의 고온 처리와 같은 후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박리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박막형 태양전지의 효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rho p / rho t ) of the actual density (rho p ) and the theoretical density (rho t ) of the adhesive layer (2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itial adhesion between the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험예를 들어 접착층(200)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와 밀착력의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험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concre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 P /? T ) between the actual density (? P ) of the adhesive layer (200) and the theoretical density (? T ) . However, the experimental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periment examples described below.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먼저, 폴리이미드 기판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준비된 폴리이미드 기판을 스퍼터링 챔버에 위치시키고, 타겟 물질로 니켈-크롬(N-Cr) 합금으로 하고, 3mTorr의 공정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접착층을 20㎚의 두께로 형성시켰다. 이때, 접착층은 스퍼터링 전류 밀도를 조절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를 가질 수 있는 시료를 4개 제작하였다. 여기서, 접착층의 실측 밀도(ρp)의 측정은 RBS(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metry)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rst, a polyimide substrate was prepared. Subsequently, the prepared polyimide substrate was placed in a sputtering chamber, and a nickel-chromium (N-Cr) alloy was used as a target material, and an adhesive layer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20 nm while maintaining a process pressure of 3 mTorr. At this time, four specimens having the ratio (ρ p / ρ t ) between the actual density (ρ p ) and the theoretical density (ρ t ) as shown in Table 1 below were prepared by controlling the sputtering current density. Here, the actual density ( p ) of the adhesive layer was measured using a RBS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metry) analyzer.
실험예에In the experimental example 따른 시료의 밀착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adhesion of the sample and
상기 실험예에 따라 제작된 4개의 시료에 대하여, 4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활용하여 폭 1㎚를 기준으로 밀착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four samples prepar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 were heated at 400 DEG C for 30 minutes and then adhered with a width of 1 nm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Respectively.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험예에 따라 제작된 시료의 밀착력은 접착층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접착층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0.5 이하인 실험예 1보다 0.5 이상인 실험예2 내지 실험예4에서 밀착력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on of the sample prepar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 is closely related to the ratio (ρ p / ρ t ) between the actual density (ρ p )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theoretical density (ρ t ) in particular, the measured density (ρ p) and the theoretical density (ρ t) of the adhesive ratio (ρ p / ρ t) is 0.5 or less experiment 1 than 0.5 or more test example 2 to example 4 seen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good in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기판 200 : 접착층
300 : 후면 전극층 400 : 광 흡수층
500 : 버퍼층 600 : 윈도우층
700 : 전면 전극층100: substrate 200: adhesive layer
300: rear electrode layer 400: light absorbing layer
500: buffer layer 600: window layer
700: front electrode layer
Claims (18)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후면 전극층;
상기 후면 전극층 상에 형성된 광 흡수층; 및
상기 기판과 상기 후면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적어도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Board;
A rear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A light absorbing layer formed on the rear electrode layer; And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rear electrode layer,
Wherein a ratio ( p / t ) of an actual density (rho p ) of the adhesive layer to a theoretical density (rho t ) is at least 0.5 or more.
상기 접착층은 니켈(Ni), 크롬(Cr), 코발트(Co), 몰리브덴(Mo)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Ni), chromium (Cr), cobalt (Co), and molybdenum (Mo).
상기 접착층은 두께가 5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100 nm.
상기 접착층은 스퍼터링(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 sputtering method.
상기 기판은 플라즈마 표면 처리에 의한 요철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strate is further formed with an uneven layer by plasma surface treatment.
상기 기판의 요철층은 평균 조도(Rz)가 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uneven layer of the substrate has an average roughness (Rz) of 5 to 20 nm.
상기 후면 전극층은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k electrode layer is made of molybdenum (Mo).
상기 광 흡수층은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함유하는 CIGS계 화합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absorption layer comprises a CIGS compound layer containing copper (Cu), indium (In), gallium (Ga) and selenium (Se).
상기 광 흡수층 상에 형성된 버퍼층, 윈도우층 및 전면 전극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uffer layer, a window layer, and a fron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light absorption layer.
(b) 상기 접착층 상에 후면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후면 전극층 상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의 실측 밀도(ρp)와 이론 밀도(ρt)의 비(ρp/ρt)가 적어도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a)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op of a substrate;
(b) forming a rear electrode layer on the adhesive layer; And
(c) forming a light absorption layer on the rear electrode layer,
Wherein the ratio (? P / ? T ) of the actual density (? P ) of the adhesive layer to the theoretical density (? T ) is at least 0.5 or more.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접착층은 니켈(Ni), 크롬(Cr), 코발트(Co), 몰리브덴(Mo)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Ni), chrome (Cr), cobalt (Co), and molybdenum (Mo) in the step (a).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접착층은 두께가 5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a),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100 nm.
상기 (a) 단계는, 스퍼터링(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a) comprises forming the adhesive layer using a sputtering method.
상기 (a) 단계 이전, 상기 기판의 상부에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forming an uneven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using the plasma surface treatment before the step (a).
상기 기판의 요철층은 평균 조도(Rz)가 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uneven layer of the substrate has an average roughness (Rz) of 5 to 20 nm.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후면 전극층은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b), the rear electrode layer is made of molybdenum (Mo).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광 흡수층은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함유하는 CIGS계 화합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ight absorption layer comprises a CIGS compound layer containing copper (Cu), indium (In), gallium (Ga), and selenium (Se) in the step (c).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광 흡수층 상에 버퍼층, 윈도우층 및 전면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Forming a buffer layer, a window layer, and a front electrode layer on the light absorption layer after the step (c).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22916A KR101450798B1 (en) | 2013-03-04 | 2013-03-04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22916A KR101450798B1 (en) | 2013-03-04 | 2013-03-04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10149A true KR20140110149A (en) | 2014-09-17 |
| KR101450798B1 KR101450798B1 (en) | 2014-10-15 |
Family
ID=5175625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229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0798B1 (en) | 2013-03-04 | 2013-03-04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50798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91027A (en) * | 2015-01-23 | 2016-08-0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Polyimide substrate structure and thin film solar cell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123645A (en) * | 2008-05-28 | 2009-12-02 | (주)텔리오솔라코리아 | High efficiency CIS solar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100030188A (en) * | 2008-09-09 | 2010-03-1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1283183B1 (en) * | 2011-04-04 | 2013-07-0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2013
- 2013-03-04 KR KR1020130022916A patent/KR10145079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91027A (en) * | 2015-01-23 | 2016-08-0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Polyimide substrate structure and thin film solar cell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50798B1 (en) | 2014-10-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74487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450798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459041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US9966485B2 (en) |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436538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180998B1 (en) |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519094B1 (en) | A compound thin film solar cell | |
| KR101459039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459040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436539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474488B1 (en) | Back substrate of compound thin film solar cell and Compound thin film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 |
| KR101436541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US9349901B2 (en) |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450799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517122B1 (en) | A compound thin film solar cell | |
| KR101521273B1 (en) | A compound thin film solar cell | |
| KR101517123B1 (en) | A compound thin film solar cell | |
| KR101493926B1 (en) | A thin film solar cell | |
| KR101474489B1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549077B1 (en) | Back contact of compound thin film solar cell and Compound thin film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 |
| KR101273093B1 (en) |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US20140366940A1 (en) |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20140112583A (en) |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US20150179841A1 (en) |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20120090395A (en) |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0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00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