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738A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8738A KR20140128738A KR20130047551A KR20130047551A KR20140128738A KR 20140128738 A KR20140128738 A KR 20140128738A KR 20130047551 A KR20130047551 A KR 20130047551A KR 20130047551 A KR20130047551 A KR 20130047551A KR 20140128738 A KR20140128738 A KR 201401287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home button
- function
- boundary
- touch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기준선의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작 드로잉의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30 : 디스플레이 내부 40 : 디스플레이 외부
50 : 가상 기준선
Claims (7)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외부와 디스플레이 내부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터치패널과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경계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외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로의 진입,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에서의 움직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외부로의 이탈을 포함하는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로잉에 대응하여 홈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버튼 기능을 위한 상기 드로잉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경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외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로 우상(右上) 방향으로 진입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경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외부로 우하(右下) 방향으로 이탈하는 모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버튼 기능을 위한 상기 드로잉은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1회 절곡된 움직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버튼 기능을 위한 상기 드로잉은 역(reversed) V-자 또는 역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버튼 기능을 위한 상기 드로잉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경계 또는 측부 경계에서의 모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버튼 기능을 위한 상기 드로잉의 반복 모션에 대응하여 상기 홈버튼의 다중 입력 또는 장시간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에서의 움직임이 M-자 형상인 것에 대응하여 상기 홈버튼의 다중 입력 또는 장시간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47551A KR20140128738A (ko) | 2013-04-29 | 2013-04-29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47551A KR20140128738A (ko) | 2013-04-29 | 2013-04-29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28738A true KR20140128738A (ko) | 2014-11-06 |
Family
ID=5245454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30047551A Withdrawn KR20140128738A (ko) | 2013-04-29 | 2013-04-29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128738A (ko)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835293A (zh) * | 2017-09-28 | 2018-03-23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终端壳体、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US10620828B2 (en) | 2016-12-01 | 2020-04-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having combined button |
-
2013
- 2013-04-29 KR KR20130047551A patent/KR2014012873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620828B2 (en) | 2016-12-01 | 2020-04-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having combined button |
| CN107835293A (zh) * | 2017-09-28 | 2018-03-23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终端壳体、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29699B1 (ko) |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 KR20190100339A (ko) | 애플리케이션 스위칭 방법, 디바이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
| US20120313869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 US9298364B2 (en) |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 |
| JP6109788B2 (ja)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作動方法 | |
| KR20110085189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 KR20140106801A (ko) |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 |
| US20160147313A1 (en) | Mobile Terminal and Display Orientation Control Method | |
| US9092198B2 (en) |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 |
| JP5653062B2 (ja) | 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 |
| CN111124584A (zh) | 快捷面板显示方法、终端及可读存储介质 | |
| KR20140128738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
| CN108124064B (zh) | 一种移动终端的按键响应方法及移动终端 | |
| KR101229629B1 (ko) |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전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 EP3528103B1 (en) | Screen locking method, terminal and screen locking device | |
| KR20140048756A (ko) |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 KR20120094728A (ko) |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
| KR101625187B1 (ko) |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 |
| KR20140114145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 KR20140013610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 KR20120095155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 KR20140020570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 KR20140024762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 JP5978104B2 (ja) |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 |
| KR20140036539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N-1-6-B10-B12-nap-PC1203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