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47511A - vegetable garden container - Google Patents

vegetable garden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511A
KR20140147511A KR20130070898A KR20130070898A KR20140147511A KR 20140147511 A KR20140147511 A KR 20140147511A KR 20130070898 A KR20130070898 A KR 20130070898A KR 20130070898 A KR20130070898 A KR 20130070898A KR 20140147511 A KR20140147511 A KR 20140147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rinkle
container
wrinkles
kitchen utens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4421B1 (en
Inventor
한백충
한백현
Original Assignee
한백충
한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백충, 한백현 filed Critical 한백충
Priority to KR102013007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421B1/en
Publication of KR2014014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5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42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의 벽면, 옥상, 난간에 설치 가능하게 제작된 도시용 텃밭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텃밭용기는 전면 및 후면이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양 측면을 당겨 올리는 주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전면에 주름의 주름결합부가 후면에 주름결합부, 후면에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에 결합부재로 결합 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주머니를 형성한다 . 상기 구성을 갖는 텃밭용기는 금형의 제작 없이 유연한 시트의 재단으로 제작되어 초기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상부는 항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머지 면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과 후면을 박음질 또는 접착제 접착으로 제작한 것보다 견고한 장점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utensil for urban use, which can be installed on a wall, a roof, and a railing of a c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a gardening container,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wrinkle for pulling up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sides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sheet, and at least one of a wrinkle- And is joined to the above with a joining member to form a bag in which plants can be planted.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manufactured by cutting a flexible sheet without the production of a metal mold, so that the initial production cost is low, and the upper surface is always kept open while the other surface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re stitched or adhesively bonded There is a stronger advantage than on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Description

텃밭 용기{vegetable garden container}Vegetable garden container}

본 발명은 텃밭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의 벽면, 옥상, 난간에 설치 가능하게 제작된 도시 농업용 텃밭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dening contain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dening container for urban agriculture, which can be installed on a wall, a roof, and a railing of a city.

도시농업은 믿고 먹을 수 있는 저공해 채소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도시민의 삶을 개선하고, 농사일을 통해 도시민의 몸을 건강하게 하고, 식물과의 교감을 통해 도시민의 정서순화를 하고, 실/내외의 대기환경, 온도 및 습도를 개선하여 쾌적한 삶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해 도시 속의 농사, 도시민의 농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있으나, 도시의 거의 모든 토지가 건물이 들어서 있어서 농지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 속에서 농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옥상, 난간, 벽면 등을 활용하는 것이 농지 확보를 위한 대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건물의 옥상, 난간, 벽면을 활용할 수 있는 텃밭용기가 여러 가지 제시되어 있다.
Urban agriculture not only produces low - pollution vegetables that can be believed and eaten. It improves the life of the citizens, makes the body of the citizens healthier through farming, emotional refinement of the citizens through communicating with the plants, and improves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and outside the room to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space. . Due to the various advantages mentioned above, interest in agriculture and urban farming in the city is increasing,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farmland because almost all land in the city is occupied by buildings. In this situation, it i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securing the farmland to utilize the rooftop, railings and walls of the buildings to secure farmland in the city. So, there are many garden pot containers that can utilize roofs, balustrades and walls of buildings.

예를 들면 옥상을 활용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1032호(2011.01.20)의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가 있고, 발코니 난간을 활용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6170호(2011.01.19)의 걸이형 화분이 있고, 벽면을 활용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4615호(2012.02.03)의 벽면 조경용 플랜터가 있는데 상기 발명들은 초기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For example, there is a crop growing box for rooftop garden of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21032 (2011.01.20) utilizing a rooftop, and in the case of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6170 (2011.01.19) utilizing a balcony rail There is a planter for wall surface planing of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34615 (2012.03.03), which has a hook-shaped flowerpot and uses a wall surface.

다른 예로 벽면을 활용한 미국특허 공개번호 US 2011-0219688 A1 (2011.09.15)( vertical hanging fabric plant container) 위 발명은 전면 하부,전면 상부 및 마주하는 양 측면을 가지는 첫 번째 전면 판넬; 후면 하부, 후면 상부 및 마주하는 양 측면을 가지는 후면 판넬; 첫 번째 후면 판넬은 전면과 후면 하부와 및 마주하는 양 측면부를 따라서 첫번째 전면 판넬에 결합되어 있고 최소한 하나의 주머니가 그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첫 번째 전면과 첫 번째 후면 판넬들의 마주하는 전면,후면의 양측면 끝단들은 접착제 접착 및/또는 박음질로 접착되어 있는 플랜트 컨테이너를 제공하고 있다.Another example is a vertical hanging fabric plant container using a wall.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 2011-0219688 A1 (Sep. 15, 2011) (Vertical hanging fabric plant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front panel having a front bottom portion, A rear panel having a rear lower portion, a rear upper portion and opposite opposite sides; The first back panel is coupled to the first front panel along the front and back bottom and opposite sides, and at least one pocket is formed therebetween. The opposit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and the first back panels are bonded together by adhesive bonding and / or stitching.

또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418호(2011.04.06)의 조경용 화분이 있는데 위 발명은 배수구가 천공된 직물재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부에 적층되는 망체,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 하단이 봉제되어 내부에 식물이 심겨지는 흙이 채워지는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직물재 측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253418 (Apr. 04, 2011) discloses a flowerpot for landscape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having a perforated fabric backing, a netting layer laminated on top of the bottoming plate, And a fabric material side plate which is sewn to form a space in which an upper portion filled with soil to be planted is formed.

상기 발명들은 전면 판넬과 후면 판넬이 접찹제 접착이나 박음질로 되거나, 바닥판의 둘레에 측면판의 하단이 봉제되어 형성되는데,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일체로 형성된 것에 비해 그 견고성이 떨어진다.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are formed by bonding or stucking together a bonding agent, or by sewing a bottom end of a side plate around a bottom plate. However, the robustness is poor compared with a case where a space for planting plants is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그 목적하는 바는 초기 제작비용이 저렴한 텃밭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garden container which is low in initial production cost.

또 다른 목적은 유연한 시트로 제작되고, 전면 판넬, 후면 판넬이 따로 구비되어 전면 판넬의 바닥부분, 양 측면 부분과 후면 판넬의 바닥부분, 양 측면 부분이 접착제 접착이나 박음질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전면, 후면 ,마주하는 양측면 및 저면이 일체로 형성된 텃밭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ont panel and a rear panel which are separately made of a flexible sheet and are provided with a bottom part of the front panel and a bottom part and both side parts of the back panel, , A rear surface, opposite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bottom surface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유연한 시트로 제작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각각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시트의 양 측면을 당겨 올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을 1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전면에 주름의 주름결합부가 후면에 주름의 주름결합부, 후면의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의 것에 결합부재로 결합 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주머니를 2개 이상 포함하는 구성이다.The front and back surfaces each include at least one inwardly concave wrink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ull up both sides of the sheet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sheet, And two or more pockets capable of planting the plants by being joined to at least one of the wrinkle-joining portions and the rear-side joining portions of the join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텃밭용기는, 유연한 시트로 제작되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금형의 제작이 없어 초기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일체의 시트에 주름을 형성하여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양 측면을 당겨 올려 상부는 개방되고 전면, 후면, 마주하는 양측면 및 저면이 박음질이나 접착제 접착이 필요 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견고한 효과가 있다. 또 주름이 텃밭용기를 항상 개방상태로 유지시켜 토양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기 편한 효과가 있다. 또 물 투입부를 따로 형성해서 두상관수로 물 넘침이 발생해 텃밭용기가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 벽이나 난간에 설치할 때는 바닥면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활용에 효율적이다. 또 쉽게 많은 수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를 만들 수 있어 비용이 절약된다.The kitchen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lexible sheet and is not costly and time-consuming to manufacture a mold. Thus, the initial production cost is inexpensive, and the wrinkle is formed on one sheet, The side is pulled up to open the upper part, and the front, rear, opposite sides and the bottom facing each other are integrally formed without need of stitching or adhesive bonding, and the effect is robust. Also, wrinkles keep gardening containers open at all times, filling the soil and planting plant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inlet portion is separately formed and water overflow is generated by two correlated water,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garden container. In addition, it does not occupy the floor when installing on walls or railings, so it is efficient for space utilization. It also saves money by making it easier to build a garden container with a large number of pockets.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제1 실시 예인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텃밭용기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트에 주름을 형성한 것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전면 주름, 후면 주름의 주름결합부가 결합부재로 결합 된 것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인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8의 텃밭용기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시트에 주름을 형성한 것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전면 주름, 후면 주름의 주름결합부가 결합부재로 결합 된 것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8의 도시된 것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8의 텃밭용기에 식물을 식재하고, 식물지지대를 설치하고, 물뿌리개로 물을 주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도 16은 도 8의 텃밭용기의 설치 예로, 난간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따른 제4 실시 예인 텃밭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 예의 텃밭용기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 예인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텃밭용기가 끈으로 매달아서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의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도 23은 도 22의 텃밭용기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시트에 주름을 형성한 것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시트에 전면 주름, 후면 주름의 주름결합부가 결합부재로 결합 된 것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 예인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도 29는 도 28의 텃밭용기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시트에 주름을 형성한 것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시트에 전면 주름, 후면 주름의 주름결합부가 결합부재로 결합 된 것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도 28의 도시된 것의 배면도이다.
도 35는 도 28의 텃밭용기에 식물을 식재하고, 식물지지대를 설치하고, 물뿌리개로 물을 주는 것을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 예인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도 37은 도 36의 텃밭용기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텃밭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6의 텃밭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의 텃밭용기에 식물을 식재하고, 식물지지대를 설치하고, 물뿌리개로 물을 주는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 예의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저면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도 42는 도 41의 텃밭용기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텃밭용기에 식물을 식재하고 난간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텃밭용기가 더 많은 수의 주머니 수를 갖기 위해서 연장되는 것을 비교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트를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45는 천공된 시트에 아일렛을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6은 도 9의 43A-43A 선에 따른 배수구의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13의 선 43B-43B에 따른 텃밭용기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general view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viewed to show a communication part.
Fig. 2 is a plan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of Fig. 1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Fig. 3 is a plan view of the sheet of Fig. 2 with corrugations. Fig.
FIG. 4 is a plan view of the wrinkle-coupling portion of the front wrinkle and the rear wrinkle in FIG.
Figure 5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ure 2;
Figure 6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ure 3;
7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
FIG. 8 is a general view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seen to show a communication part.
Fig. 9 is a plan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of Fig. 8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Figure 10 is a plan view of the sheet of Figure 9 with corrugations.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wrinkle coupling portion of the front wrinkle and the back wrinkle combined with the coupling member in Fig.
12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
13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
14 is a rear view of the one shown in Fig.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planting of plants in the gardening pot of Fig. 8, the installation of a plant support, the application of water by a sprinkler, and a part of the gardening pot is seen to show the communicating part.
Fig. 16 is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n Fig. 8, which is provided in a railing.
17 is a plan view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lan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of the fourth embodiment being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FIG. 19 is a general view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viewed to show a communication part.
Fig. 20 is a plan view of Fig. 19. Fig.
Fig. 21 is a view showing that 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of Fig. 19 is hung with a string.
FIG. 22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viewed to show a communication part.
Fig. 23 is a plan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of Fig. 22 being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Fig. 24 is a plan view of the sheet of Fig. 23 in which corrugations are formed. Fig.
Fig. 25 is a plan view of the sheet of Fig. 24 in which the corrugated portions of the front corrugation and the rear corrugation are joined by the engaging member.
26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
27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
FIG. 28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viewed to show the communication portion.
Fig. 29 is a plan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shown in Fig. 28 sprea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Fig. 30 is a plan view of the sheet of Fig. 29 with pleats formed thereon.
Fig. 31 is a plan view of the sheet of Fig. 30 in which the corrugated portion of the front corrugation and the rear corrugation are joined by the engaging member.
32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
33 is a front view of the one shown in Fig.
34 is a rear view of the one shown in Fig.
Fig. 35 shows an exampl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a gardening pot of Fig. 28, a plant support is installed, and water is supplied with a sprinkler.
FIG. 36 is a general view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viewed to show the communication part.
Fig. 37 is a plan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shown in Fig. 36 sprea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38 is a plan view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of Fig. 36;
Fig. 39 is a rear view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of Fig. 36;
Fig. 40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planting the plants in the gardening pot of Fig. 36, installing plant supports, and supplying water with a sprinkler.
Fig. 41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kitchen utensil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is viewed to show the communication part.
Fig. 42 is a plan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of Fig. 41 being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Fig. 43 shows that the vegetable is planted in the gardening container of Fig. 41 and is installed in a railing.
44 is a view showing that each of the sheets is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in order to compare the fact that the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to have a larger number of bags.
Figure 45 is shown to illustrate the installation of an eyelet in a perforated sheet.
FIG. 46 is a sectional view of a drain hole taken along line 43A-43A in FIG. 9; FIG.
Fig. 47 is a sectional view of a garden pot container taken along the line 43B-43B in Fig. 13;

본 발명에 따른 텃밭용기는 유연한 시트로 제작되고, The kitchen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lexible sheet,

상부는 개방된 텃밭용기로, 전면 및 후면이 각각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시트의 양 측면을 당겨 올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전면의 주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상기 전면의 주름에 주름결합부와 대응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후면의 주름에 주름결합부 및 후면의 결합부 중 하나 이상에 결합부재로 결합 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주머니를 형성하는 텃밭용기이다.The upper portion is an open kitchen utensil container, the front and rear portions each include at least one longitudinally extending, inwardly concave wrinkle that pulls up both sides of the sheet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sheet, And a pouch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rinkle engagement portion on the front surface wrinkle and joined to the rear surface wrinkle by a joining member to at least one of the wrinkle engagement portion and the rear surface engagement portion, It is a garden pot.

텃밭용기는 전면 및 후면이 각각 2개 이상의 주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Containers of the kitchen utensils may include two or more pleat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respectively.

상기 주름결합부는 주름의 측면부위 및 주름의 속끝부위 중 하나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eated portio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a side portion of the pleats and an early portion of the pleats.

또 상기 주름은 주름의 겉끝부위에 주름형성결합부를 형성하고 결합부재로 결합될 수도 있다.Further, the wrinkles may be formed by forming a wrinkle-forming engagement portion at the rim of the wrinkles and being joined to the wrinkles.

또 상기 주름이 주름결합부까지 연장될 수도 있고, 저면에 있는 연통부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The corrugation may extend to the corrugated portion or may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결합부재는 너트와 볼트, 나사, 박음질 및 접착제 중 선택된 하나이다.The coupling member is a selected one of a nut, a bolt, a screw, a staple and an adhesive.

텃밭용기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저면에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may include at least one hook portion on the rear surface, and may include a drain port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상기 유연한 시트는 사각형의 형상을 할 수도 있지만, 반타원형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exible shee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but preferably includes a semi-elliptical shape.

또 네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사각형의 종방향 중심선에 수직인 2개의 변을 각각 반타원형의 밑변으로 하는 형상을 가진 시트로 제작되어 더 많은 수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made into a garden pot container having a larger number of pockets, which is made of a sheet having two sid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same square of the same cabinet, each of which has a semi-elliptical base.

또 시트가 네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사각형의 종방향 중심선에 수직인 2개의 변을 각각 2개의 반타원형의 밑변으로 하는 형상을 가진 시트로 제작하여 양쪽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텃밭용기로도 제작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 sheet of food that can be planted on both sides of a sheet with two sheets of semi-elliptical bases each having two sid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same square of the same cabinet. .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의 예시 구조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nd the exemplary structure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인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도 2부터 도 7까지는 상기 텃밭용기(15)의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general view of a gardening pot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of the gardening pot container is viewed to show a communication part. FIGS. 2 to 7 illustrate the process of making the kitchen utensil 15.

도 2는 텃밭용기(15)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시트(150)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the seat 150 in which the kitchen utensil 15 is exten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도 2와 도 7에 나타나 있듯이,As shown in FIGS. 2 and 7,

텃밭용기는 2개의 중심선, 종방향 중심선(41) 및 횡방향 중심선(42)을 갖는다.The receptacle has two center lines, a longitudinal centerline 41 and a transverse centerline 42.

용어 "종방향"은 수평 한 지면에 수직으로 서있는 벽면에 텃밭용기를 설치시 벽면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장되는 선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선,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용어 "횡방향"은 종방향 중심선에 수직이고 벽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선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선,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The term "longitudinal direction " means a line, axis or direction generally parallel to a line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wall when the gardening container is installed on a wall standing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plane. The term "transverse direction " means a line, axis o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and generally parallel to a line extending from left to right of the wall surface.

용어 "펼쳐서"란 용어는 시트의 일부분이 같은 시트의 다른 일부분에 접혀져 있는 형태에서 접혀진 부분을 널찍하게 펴는 행위, 시트의 일부분을 같은 시트의 다른 일부분에 접은 다음 이를 결합 부재로 결합한 형태에서 결합부재를 분리하고 접은 부분을 널찍하게 펴는 행위를 포함한다.
The term "spread" means that the folded portion of a sheet is folded over another portion of the same sheet in a form in which a portion of the sheet is folded over another portion of the same sheet, And spreading the folded portion wide.

용어 "대응"은 두 개의 주름 중 첫 번째 주름의 위치와 형태가 정해지면 두 번째 주름이 첫 번째 주름과 짝이 되어 결합 될 수 있게 위치와 형태를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The term "correspondence" means that, whe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irst wrinkle of two wrinkles is determined, the second wrinkle is positioned and shaped so as to be paired with the first wrinkle.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Fig.

텃밭용기(15)를 도 1부터 도 7까지의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kitchen utensil 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Figs. 1 to 7 as follows.

전면(51)은 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3)을 1개 포함하고, 후면(52)도 전면(51)의 주름에 대응이 되는 위치에 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4)을 1개 포함하고, 상기 전면 주름(63)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가 후면 주름(64)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에 결합부재(77)로 결합 되어 토양을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고,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2개의 주머니(61)를 형성한 텃밭용기(15)이다. The front surface 51 includes one inwardly concave corrugation 6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in the bottom surface 55. The rear surface 52 includes the front surface 51, And one inwardly concave corrugation 64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top of the back surface to the top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in the bottom surface 5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ugation of the front corrugation 63,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71 of the rear wrinkle 64 is joined to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71 of the rear wrinkle 64 by the engaging member 77 to stably contain the soil , And two pockets (61) in which plants can be planted.

상기 주름은 텃밭용기의 가운데 부분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 1에 나타나 있다.Fig. 1 shows that the wrinkl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kitchen utensil.

제 1 실시 예에서는 주름결합부(74)는 시트의 천공으로 형성하고, 결합부재(77)는 볼트와 너트로 하였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wrinkle-engaging portion 74 is formed by perforation of the sheet, and the engaging member 77 is formed by a bolt and a nut.

도 2의 시트(150)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heet 150 of FIG. 2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시트(150)는 횡방향 중심선(42)에 의해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으로 구분이 된다. 두 부분(510,520)에 각각 1개의 접철선(6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접철선(66)은 종방향 중심선(41)에 가깝게 위치하고, 종방향 중심선(41)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접철선(66)은 시트의 외곽선(50)에서 횡방향 중심선(42)까지 연장되어 있고, 접철선(66)을 축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2개씩의 주름결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150)의 두 부분(510, 520)은 각각 시트의 외곽선(50)에서 일정한 간격이 떨어진 위치에 각각 4개의 주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예에서 외곽선(50)에서 일정한 간격은 바이어스 천(78)의 폭의 길이(780)이다. The sheet 150 is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510 to be a front surface and a rear portion 520 to be a front surface by the lateral center line 42. One connecting wire 66 is formed on each of the two portions 510 and 520. The connecting wire 66 is located clos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1 and is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1. [ The wringing wire 66 extends from the outline 50 of the sheet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and two wrinkle fitting portions 74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wringing wire 66 have. The two portions 510 and 520 of the sheet 150 are each formed with four corrugated portions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line 50 of the shee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stant distance in the outline 50 is the length 780 of the width of the bias cloth 78.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은 시트의 양 측면에 가장 가까이 있는 주름결합부의 측면 방향에 걸이부(76)를 형성하고 있다.The portion 520 to be a rear surface in the forward direction forms a hook portion 76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rease engagement portion closest to both sides of the sheet.

또 시트(150)는 횡방향 중심선(42)를 따라 측정되는 저면의 길이(550), 측면의 길이(535)를 갖는다. 도 5는 도 2의 시트(150)의 정면도이다.The sheet 150 also has a length 550 of the bottom surface,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and a length 535 of the side surface. 5 is a front view of the seat 150 of FIG.

도 3은 도 2의 주름 접철선(66)을 따라 접철하여 주름을 2개 생성한 것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2개의 주름이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시트의 양 측면을 당겨 올리는 것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확실히 당겨 올려 진 시트의 양 측면을 볼 수 있다.FIG. 3 is a plan view of folding along two pleat fold lines 66 of FIG. 2 to create two pleats. Fig. 6 shows a front view of the two wrinkles of Fig. 3 pulling up both sides of the sheet toward the center of the sheet. In Fig. 6, both sides of the sheet pulled up reliably can be seen.

도 2와 도 4를 보면, 접철선(66)을 축으로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주름결합부는 접철선을 따라 접철해서 주름결합부(74A)는 주름결합부(74D)와 일렬로 겹쳐지고, 주름결합부(74B)는 주름결합부(74C)와 일렬로 겹쳐진다. 주름결합부(74AA)는 주름결합부(74DD)와 일렬로 겹쳐지고, 주름결합부(74BB)는 주름결합부(74CC)와 겹쳐진다. 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wringing line 66 is folded along the wringing line so that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74A overlaps with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74D in a line , And the crimp fitting portion 74B is in line with the crimp fitting portion 74C. The crimp fitting portion 74AA overlaps with the crimp fitting portion 74DD in a line, and the crimp fitting portion 74BB overlaps with the crimp fitting portion 74CC.

주름결합부가 주름 측면부위에 형성될 때는 주름결합부를 다음과 같이 기술하겠다.주름결합부는 도 2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시트상태일 때는 하나의 주름 접철선에 4개의 주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기술하고,도 4를 예를 들면, 도 4의 주름이 결합 된 부분의 확대도(740)를 보면 주름 우측면(700)과 주름 좌측면(701)에 각각 주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2개의 주름결합부가 일렬로 겹쳐져서 하나의 주름결합부를 형성함으로, 하나의 주름에 우측면(700)과 주름의 좌측면(710)에 형성된 주름결합부는 하나의 주름결합부로 기술하겠다.
When the wrinkle-joi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wrinkle side portion, the wrinkle-join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wrinkle-joining portion has four wrinkle-joining portions formed on one wrinkle- For example, in FIG. 4, a wrinkle-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each of the right-side corrugated surface 700 and the left-side corrugated surface 701 in the enlarged view 740 of the corrugated portion of FIG. 4. However, The joining portions are superimposed in a line to form one wrinkl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wrinkl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right side face 700 and the left side face 710 of the wrinkle in one wrinkle will be described as one wrinkle coupling portion.

시트의 천공으로 주름결합부를 생성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인 도 4는 전면 주름(63), 후면 주름(64)의 주름결합부인 천공구가 주름 결합부재(77)인 볼트와 너트로 결합 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주머니를 2개 형성한 텃밭용기(1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텃밭용기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4, which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heet is punched to form a corrugated portion, a cloth tool, which is a corrugated portion of the front corrugation 63 and the rear corrugated portion 64, is combined with a bolt and a nut as the corrugated member 77 1 is a plan view of a gardening container (15) in which two pockets capable of planting plants are formed.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in Fig. 4. Fig.

도 7을 보면 텃밭용기(15)의 상부가 횡방향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7,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part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15 is formed parallel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시트(150)에 주름(63, 64)을 생성하고, 주름결합부(74)를 결합부재(77)로 결합하여 상부는 항상 개방상태가 유지되고,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은 일체로 형성되어 견고하고, 텃밭용기 상부가 횡방향 중심선(4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토양을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는 텃밭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rrugations 63 and 64 are formed on the sheet 150 and the corrugation engaging portion 74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member 77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always kept in the open state and the other surfaces except for the upper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to provide a garden container capable of stably holding the soil.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Fig.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텃밭용기(14)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80)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FIG. 22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gardening pot container 14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of the gardening container is viewed to show the communication section 80

도 23부터 도 27까지는 상기 텃밭용기(14)의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23 to 27 illustrate the process of making the gardening container 14.

텃밭용기(14)를 도 22부터 도 27까지의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7.

전면(51)은 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3)을 2개 포함하고, 후면(52)도 전면의 주름(63)과 대응이 되는 위치에 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4)을 2개 포함하고, 상기 전면 주름(63)의 속끝부위(72)에 형성된 1개의 주름결합부(74)는 후면의 결합부(75)에 결합부재(77)로 결합되고, 상기 전면 주름(63)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2개의 주름결합부(74)는 전면 주름(63)과 대응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후면 주름(64)의 주름결합부(74)와 결합부재(77)로 결합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주머니(61, 62)를 형성한 텃밭용기(14)이다.The front surface 51 includes two inwardly concave corrugations 63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top of the front to the top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in the bottom surface 55, And two concave corrugations 64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in the bottom surface 55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corrugations 63, One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72 of the front wrinkle 63 is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75 of the rear surface by the engaging member 77, The water supply port 74 is connected to the wrinkle fitting portion 74 of the rear wrinkle 64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wrinkle 63 and the joining member 77 to plant the plant, (14) in which pockets (61, 62) are formed.

제 2 실시 예에서는 주름결합부는 시트의 천공으로 형성하고, 결합부재는 나사와 너트로 하였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wrinkle-engaging portion is formed by perforation of the sheet, and the engaging member is formed by a screw and a nut.

도 23은 텃밭용기(14)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시트(140)의 평면도이다. 도 23의 시트(14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3 is a plan view of the seat 140 in which the kitchen utensil 14 is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The sheet 140 of FIG. 23 will now be described.

접철선(66)은 시트의(140)의 외곽선(50)에서 횡방향 중심선(42)까지 연장되어 있다. 접철선(66)은 종방향 중심선(41)과 평행에 가깝지만 시트의 측면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접철선(66)은 횡방향 중심선(42)에 의해 구분이 되는 앞으로 전면이 될부분(510),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The tangent line 66 extends from the outline 50 of the sheet 140 to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The connecting wire 66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1 but slightly til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heet. Two connecting wires 66 are formed in each of the forward portion 510 and the rear portion 520, which are separated by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은 접철선을 축으로 양쪽에 각각 2개의 주름결합부(74)를 형성하고, 주름이 형성되면 주름 속끝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되게 접철선 위에 1개의 주름결합부를 형성한다.The front portion 510 to be a front surface is formed with two wrinkle-fitting portions 74 on both sides thereof with a wired wire as an axis. When the wrinkle is formed, the wrinkle-forming portion formed on the wrinkle- To form a wrinkle-engaging portion.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도 접철선(66)을 축으로 대칭이 되게 각각 2개의 주름결합부를 형성하고,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의 주름결합부 중 중간에 있는 주름결합부와 결합부재로 결합 될 후면의 결합부는 종방향 중심선에 가장 가까이 있는 주름결합부의 종방향 중심선 방향에 형성한다.The rear portion 520 is formed with two wrinkle-fitting portions symmetrically about the wringing wire 66, and a wrinkle-fitting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wrinkle-fitting portions of the fron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to be engaged with the member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crease engaging portion neares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또 시트(140)는 횡방향 중심선(42)을 따라 측정이 되는 저면의 길이(550) 및 측면의 길이(535)를 가진다.The seat 140 also has a length 550 of the bottom surface and a length 535 of the side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도 24는 도 23의 시트(140)에 있는 접철선(66)을 따라 접철하여 주름을 생성해서 시트의 양 측면이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당겨 올려 진 것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당겨 올려 진 시트의 정면도이다. Fig. 24 is a plan view of folded sheets along the folding wire lines 66 in the sheet 140 shown in Fig. 23 to generate wrinkles so that both sides of the sheet are pulled up toward the center of the sheet. 26 is a front view of the pulled-up sheet of Fig.

도 25는 도 24의 전면 주름(63)의 속끝부위(72)에 형성된 주름결합부는 후면의 결합부(75)에 결합 되고, 전면 주름(63)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는 후면 주름의 측면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에 결합 되어 주머니(61), 물 투입부(62)를 형성한 것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텃밭용기(14)의 정면도이다.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fastener portion 72 of the front wrinkle 63 of Fig. 24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75 of the rear surface and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portion 71 of the front wrinkle 63, (61) and a water inlet (62), which are connected to a pleated fitting portion formed on a side portion of the pleats. Fig. 27 is a front view of the kitchen garden container 14 of Fig. 25;

도 22를 보면 전면과 후면의 주름이 결합 되어 있는 부분에 돌출부(141)가 나타나 있다.22, protrusions 141 are shown at the portions where the corrugations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are coupled.

사각형 형상의 시트(140)로 제작된 텃밭용기(14)가 돌출부(141)가 있어 설치하거나 식물을 재배할 때 반타원형 형상을 포함하는 시트로 제작된 것에 비해 심미적으로 부족하다. 그리하여 반타원형 형상을 포함하는 시트로 제작하는 것이 사각형 형상을 한 시트로 제작하는 것에 비해 바람직하다.
A garden pot 14 made of a rectangular shaped sheet 140 has a protruding portion 141 which is aesthetically insufficient as compared with a case made of a sheet including a semi-elliptical shape when installed or planted. Thus, it is preferable to fabricate a sheet including a semi-elliptical shape, compared with a case where the sheet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제3 실시 예.Third Embodiment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 예인 텃밭용기(11)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FIG. 8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11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viewed to show the communication part

도 9부터 도 13까지는 텃밭용기(11)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것이다.9 to 13 show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kitchen utensil 11.

도 14는 텃밭용기(11)의 배면도이다.14 is a rear view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11. Fig.

도 8부터 도 14까지의 도면을 참조하여 텃밭용기(1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4.

전면(51)은 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3)을 2개 포함하고, 후면(52)도 상기 전면의 주름(63)과 대응이 되는 위치에 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이 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4)을 2개 포함하고, 상기 전면 주름(63)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가 후면주름(64)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에 결합부재(77)로 결합 되어, 토양을 담고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주머니(61)와 물 투입부(62)를 형성한 텃밭용기(11)이다. The front surface 51 includes two inwardly concave corrugations 63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top of the front to the top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in the bottom surface 55 and the rear surface 52 also includes corrugations 63, And two inwardly concave corrugations 64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top of the back surface to the top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at the bottom surface 55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corrugation 63, 63 are joined by a joining member 77 to a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71 of the rear wrinkle 64 so as to contain the soil, (61) and a water inlet (62), which are capable of planting the food container (11).

제 3 실시 예에서는 주름결합부(74)는 시트의 천공으로 형성하고, 주름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하였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wrinkle fitting portion 74 is formed by perforation of the sheet, and the wrinkle fitting member is formed by a bolt and a nut.

도 9는 텃밭용기(11)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 Fig. 9 is a plan view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11 being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도 9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시트(110)는 횡방향 중심선(42)에 의해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과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으로 구분이 된다.The sheet 110 is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510 to be a front surface and a rear portion 520 to be a front surface by the lateral center line 42.

접철선(66)은 두 부분(510, 520)에 각각 2개의 접철선(66)이 형성되어 있는데, 접철선(66)은 시트(110)의 외곽선(50)에서 횡방향 중심선(42)까지 연장되어 있고, 시트(110)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방사상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The wringing wire 66 has two wringing lines 66 respectively formed on the two portions 510 and 520. The wringing wire 66 extends from the outline 50 of the sheet 110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And is formed radially close to the outer periphery from the center of the sheet 110. [

주름 접철선(66)을 축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2개씩 주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은 양 측면에 가장 가까운 주름결합부의 측면방향에 각각 1개씩의 걸이부(76)가 형성되어 있다.And two folding portions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olding wire line 66. The portion 520 to be a back face is provided with a hooking portion (Not shown).

또 시트(110)는 횡방향 중심선(42)을 따라 측정이 되는 저면의 길이(550) 및 측면의 길이(535)를 가진다. The sheet 110 also has a length 550 of the bottom surface and a length 535 of the side which are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도 10은 도 9의 시트(110)에 주름 접철선(66)을 따라 접철하여 주름을 생성해서 시트(110)의 중앙방향으로 시트(110)의 양 측면이 당겨 올려 진 것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of a sheet 110 of Fig. 9 folded along a corrugated-wire line 66 to generate a corrugation so that both sides of the sheet 110 are pulled up toward the center of the sheet 110. Fig. 12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

도 11은 도 10의 시트(110)에 전면 주름(63)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가 후면 주름(64)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에 결합부재(77)로 서로 결합 되어 주머니(61), 물 투입부(62)를 형성한 것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engagement portion 74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71 of the front wrinkle 63 and the wrinkle engagement portion 74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71 of the rear wrinkle 64 are formed on the sheet 110 of Fig. And a bag 61 and a water inlet 62 are formed by a coupling member 77, 13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

도 14는 상기 텃밭용기(11)의 후면에 형성된 걸이부(76)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Fig. 14 is a rear view showing a hook portion 76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tensil container 11. Fig.

도 15는 텃밭용기(11)에 식물을 식재하고 물뿌리개로 물을 주는 것을 도시한 텃밭용기(11)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인데,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Fig. 15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a gardening pot container 11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a gardening pot container 11 and water is supplied by a sprinkler, and a portion of the garden pot container is seen to show the communicating portion.

제4 실시 예.Fourth Embodiment Fig.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의 실시 예인 텃밭용기(13)의 평면도이다.17 is a plan view of a gardening container 13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17의 텃밭용기(13)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Fig. 18 is a plan view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13 shown in Fig. 17 sprea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텃밭용기(13)를 도 17,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kitchen utensil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FIG.

전면(51)은 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3)을 2개 포함하고, 후면도 전면 주름(63)과 대응이 되는 위치에 후면(52)의 상부에서 저면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4)을 2개 포함하고, 상기 전면 주름(63)의 속끝부위(72)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후면에 있는 결합부(75)에 결합 되고, 후면 주름(64)의 속끝부위(72)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가 전면의 결합부(75)에 결합 되고, 주름이 펼쳐지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주름의 겉끝부위(720)에 주름형성결합부(73)형성하고 결합부재(77)로 결합해서 토양을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고,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물을 투입할 수 있는 3개의 주머니(61, 62)를 형성한 텃밭용기(13)이다.The front face 51 includes two inwardly concave corrugations 63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fa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in the bottom face 55 and the rear face includ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corrugation 63 Two concave corrugations 6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rear face 52 to the top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on the bottom face and the inside edge 72 of the front corrugation 63 The formed wrinkl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75 on the rear face and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on the inward portion 72 of the rear wrinkle 64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75 on the front face, A wrinkle-forming joint portion 73 is formed on each wrinkle-to-mouth portion 720 of each wrinkle and joined by a joining member 77 to stably contain the soil, plants can be planted, (13) in which three pockets (61, 62) are formed.

도 18을 자세히 설명하면, 시트(130)는 횡방향 중심선(42)에 의해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으로 구분이 된다. 접철선(66)은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과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에 각각 접철선(66)이 2개씩 형성된다. 상기 접철선(66)은 시트의 외곽선(50)에서 횡방향 중심선(42)까지 연장되어 있고, 타원형 시트(130)을 전체적으로 볼 때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방사상에 가깝게 형성된다. 주름결합부는 접철선(66)을 따라 접철하여 주름을 생성했을 때, 주름의 속끝부위(72)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 접철선 위에 형성하고, 견고하게 전면과 후면을 고정하기 위해 각각 2개씩 형성하고, 상기 주름 속끝부위(72)의 주름결합부(74)가 결합부재(77)로 결합 될 수 있게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부(75)를 형성한다. 또 주름이 펼쳐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접철선(66)을 축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접철선을 축으로 양쪽에 1개씩의 주름형성결합부(73)를 형성한다.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은 양 측면에 가장 가까운 주름형성결합부(73)의 측면 방향에 각각 걸이부(76)를 형성한다. 또 시트는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측정이 되는 저면의 길이(550) 및 측면의 길이(535)를 가진다.
18, the seat 130 is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510 to be a front surface and a rear portion 520 to be a front surface by a lateral center line 42. [ The connecting wire 66 is formed with two connecting wires 66 on the front portion 510 and the rear portion 520, respectively. The wicking wire 66 extends from the outline 50 of the sheet to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and is formed radially closer to the center of the elliptical sheet 130 in the outward direction as a whole. The wrinkle-join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wirings in order to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ortion 72 of the wrinkle when the wrinkle is folded along the wringing wire 66, and two wrinkle-joining portions are formed to firmly fix the front and back faces And engaging portions 75 are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wrinkle-engaging portions 74 of the wrinkle-point portion 72 so that the wrinkle-engaging portions 74 can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members 77. In order to prevent the wrinkles from spreading, a wrinkle-forming engagement portion 73 is formed at each of positions symmetrical about the wringing wire 66 with respect to the wringing wire. The rear portion 520 forms a hook portion 76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rease-forming portion 73 nearest to both sides. The sheet also has a length 550 of the bottom and a length 535 of the side which are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centerline.

제5 실시 예.Fifth Embodiment.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의 실시 예인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80)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 FIG. 19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kitchen utensi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viewed to show the communication section 80.

도 20은 도 19의 텃밭용기(12)의 평면도이다. 20 is a plan view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12 of Fig.

텃밭용기(12)를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51)은 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3)을 2개 포함하고, 후면(52)에도 전면의 주름에 대응이 되는 위치에 후면의 상부에서 저면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4)을 2개 포함하고, 상기 전면 주름(63)의 속끝부위(72)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가 후면 주름(64)의 속끝부위(72)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에 결합부재(77)로 결합 되고, 텃밭용기의 모든 주름 겉끝부위(720)에 주름형성결합부(73)를 형성하고 결합부재(77)로 결합하여, 토양을 안정적으로 담고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주머니를 형성한 텃밭용기(12)이다.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as follows. The front surface 51 includes two inwardly concave corrugations 63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top of the front to the top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in the bottom surface 55, And two inwardly concave corrugations 64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fa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re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72 of the front corrugation 63,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on the rear wrinkle 64 is joined to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on the inward portion 72 of the rear wrinkle 64 by the engaging member 77, Forming compartment 73 and is coupled with a coupling member 77 to form a pouch capable of stably containing soil and planting plants.

도 2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51)은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3)의 속끝부위(72)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결합부(74)가 후면(52)의 주름 속끝부위(72)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결합부(74)에 결합부재(77)로 서로 결합 되고, 나중에 토양을 담고 식물을 식재할 때 주름이 펼쳐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전면 주름(63), 후면 주름(64)이 모두 주름 겉끝부위(720)에 주름형성결합부(73)를 형성하고 결합부재(77)로 결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2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front surface 51 has a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in an inward portion 72 of an inwardly concave wrinkle 63 and a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in a wrinkle inward portion 72 of the rear surface 52. [ The front and rear corrugations 63 and 64 are all wrinkled in the corrugation sheath 720 in order to prevent the wrinkles from spreading when the plant is planted with the soil later on, (73) is formed and joined by a coupling member (77).

제5의 실시 예에서 주름결합부, 주름형성결합부, 걸이부는 모두 시트의 천공으로 형성하고,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하였다.
In the fifth embodiment, the wrinkle-engaging portion, the wrinkle-forming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all formed by perforation of the seat, and the engaging member is formed of a bolt and a nut.

제6 실시 예.Sixth Embodiment Fig.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 예로서 5개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의 일부가 연통부(80)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28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gardening pot container having five pocket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rtion of the gardening pot container is viewed to show the communication portion.

도 29부터 도 33까지는 텃밭용기(20)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것이다.29 to 33 illustrate the process of making the kitchen utensil 20.

도 34는 텃밭용기(20)의 배면도이다.34 is a rear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20. Fig.

텃밭용기(20)를 도 28부터 도 34까지에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FIGS. 28 to 34 as follows.

전면(51)은 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3)을 5개 포함하고, 후면(52)도 전면의 주름(63)과 대응이 되는 위치에 후면의 상부에서 저면(55)에 있는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64)을 5개 포함하고, 전면 주름((63)및 후면 주름(64)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가 결합부재(77)로 서로 결합 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주머니(61)를 형성하고, 다른 주머니와 비교해 작게 형성되어 물 투입부(62)로 사용할 수 있는 주머니를 형성한 텃밭용기(20)이다.The front surface 51 includes five inwardly concave corrugations 63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top of the front to the top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in the bottom surface 55 and the rear surface 52 also includes five (63) and rear wrinkles (63) that correspond to the front wrinkles (63) and the back wrinkles (64)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portion The folded portion 74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71 of the side wall portion 64 is coupled with the engaging member 77 to form a bag 61 capable of planting the plant, And a pouch which can be used as a part (62).

제6의 실시 예에서는 주름결합부는 시트의 천공으로 형성하고,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하였다.
In the sixth embodiment, the wrinkle-engaging portion is formed by perforation of the sheet, and the engaging member is formed by a bolt and a nut.

도 29는 텃밭용기(20)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시트(200)(이하 연장시트라 함)의 평면도이다. 연장시트(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9 is a plan view of a seat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xtended seat) in which a kitchen utensil container 20 is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The extended sheet 2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연장시트(200)는 횡방향 중심선(42)에 의해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과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으로 구분이 된다.The extension sheet 200 is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510 to be a front surface and a rear portion 520 to be a front surface by a lateral center line 42.

연장시트(200)의 양 측면의 부분에 형성된 접철선(66)은 시트의 중심에서 외곽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시트의 종방향 중심선(41)에 가까운 접철선(66)은 종방향 중심선과 평행에 가깝지만 측면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접철선(66)은 연장시트(200)의 외곽선(50)에서 횡방향 중심선(42)까지 연장되어 있다.The connecting wire 66 formed on the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elongated sheet 200 is forme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sheet and the connecting wire 66 clos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1 of the sheet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But is formed to be slightly tilt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onnecting wire 66 extends from the outline 50 of the elongate sheet 200 to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주름결합부(74)는 시트의 외곽선(50)에서 바이어스 천(78)의 폭의 길이(780)를 띄우고 형성되고, 접철선(66)을 축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The wrinkle-engaging portions 74 are formed by spreading the length 780 of the width of the bias cloth 78 in the outline 50 of the sheet, and are formed one by one at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wire 66.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은 각각의 접철선(66)을 축으로 대칭이 되는 주름결합부 중 시트의 측면에 가까운 주름결합부의, 시트의 측면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portion 520 to be the rear surface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heet of the wrinkle fitting portion which is close to the side surface of the sheet among the wrinkle fitting portions symmetrical about the respective connecting wirings 66.

도 29에서는 걸이부(76)가 상기와 같이 위치하지만 시트의 횡방향 중심선에 가장 가까운 주름결합부의 옆에 위치하여도 된다.In Fig. 29, the hook portion 76 may be positioned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located beside the crease engagement portion closest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of the sheet.

또 연장시트(200)는 횡방향 중심선(42)에서 측정이 되는 저면의 길이(550) 및 측면의 길이(535)를 가진다.The extension sheet 200 also has a length 550 of the bottom surface and a length 535 of the side surface to be measured at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도 30은 도 29의 연장시트(200)의 접철선을 따라 접철하여 주름을 생성해서, 연장시트(200)의 양 측면이 당겨 올려 진 것의 평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것의 정면도이다.Fig. 3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rinkles are generated along the contact wire of the extension sheet 200 of Fig. 29 to generate wrinkles so that both side faces of the extension sheet 200 are pulled up. 32 is a front view of what is shown in Fig.

도 31은 도 30의 전면 주름(63), 후면 주름(64)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결합부(74)가 결합부재(77)로 결합 되어 주머니(61), 물 투입부(62)를 형성한 텃밭용기(20)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것에 정면도이다.31 shows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engaging portions 74 formed on the side portions 71 of the front corrugation 63 and the rear corrugation 64 of Fig. 30 are combined by the engaging members 77 to form the bag 61, (See FIG. 1). Fig. 33 is a front view of Fig. 31; Fig.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 예인 5개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20)에 고추(93), 상추(94)를 식재하고, 강한 바람에 식물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식물지지대(91)를 설치하고, 물 투입부(62)에 물뿌리개(92)로 물을 주는 텃밭용기(20)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5를 보면 텃밭용기(20)의 측면에 주머니가 다른 주머니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물 투입부(62)의 역할을 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3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lant support 91 in order to plant the pepper 93 and the lettuce 94 in the garden pot 20 having five pocket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prevent the plant from breaking in strong winds. And a water container 62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dispenser 62 with a water sprinkler 92. 35 shows that the pouch is formed to be small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20 than the other pouches to serve as the water inlet portion 62. [

제7 실시 예Seventh Embodiment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 예인 텃밭용기(21)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텃밭용기(21)의 일부가 연통부(80)을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Fig. 36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gardening container 21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gardening container 21 is viewed to show the communication portion 80. Fig.

도 37은 상기 텃밭용기(21)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의 평면도이다.도 38의 제 7 실시 예의 텃밭용기의 평면도이다.Fig. 37 is a plan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21 being sprea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Fig. 37 is a plan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Fig.

여러 개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와 제작 방법은 제 6의 실시 예에서 자세히 설명하였기에 제7 실시 예의 텃밭용기는 간단한 설명만 하겠다. The kitchen utensils having multiple pocket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sixth embodiment, so that the kitchen utensils of the seventh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텃밭용기(2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is a description of the pottery container (21).

도 37의 연장시트(210)의 접철선(66)을 따라 접철해서 주름을 생성하고,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의 주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가 대응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의 주름결합부(74)에 결합부재(77)로 결합 되고, 또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의 결합부(75)가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의 결합부(75)에 결합부재(77)로 결합 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21)이다.The wrinkle is generated by folding along the wringing line 66 of the extended sheet 210 of Fig. 37 and the wrinkle engaging portion 74 formed in the corrugation of the portion 510 to be the front as the forward And the engaging portion 75 of the portion 510 to be a front surface is joined to the engaging portion 77 of the engaging portion 74 of the engaging portion 74 of the engaging portion 74 of the engaging portion 74 (21) having a bag that can be planted by being joined to the bag (75) by a coupling member (77).

도 40의 텃밭용기(21)는 도 32의 텃밭용기(20)보다 더 나아간 구성으로 7개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21)을 보여준다.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21 in Fig. 40 shows a gardening garden container 21 having seven pouches in a configuration further than the vegetable gardening container 20 in Fig.

제 7의 실시 예에서는 도 37의 연장시트(210)에 나타나 있듯이, 종방향 중심선(41)의 양측은 주름 접철선, 주름결합부를 형성하지 않고 전면 결합부, 후면 결합부(75)만 형성된 것에 대해서 설명하겠다.In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the extension sheet 210 of Fig. 37, the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1 are formed by only the front engaging portion and the rear engaging portion 75, I will explain it.

도 38을 보면 양 측면은 전면 주름, 후면 주름의 주름결합부가 결합 되어 주머니를 형성하는데, 종방향 중심선(41)의 양쪽은 전면 결합부(75)와 후면 결합부(75)가 결합부재로 결합 되어 주머니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38,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1 are connected to the front engagement portion 75 and the rear engagement portion 75 by engaging members. It can be seen that the pouch is formed.

주머니 수가 많은 텃밭용기의 경우엔 시트의 양 측면을 당겨 올려 토양을 안정적으로 담아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텃밭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반드시 주름의 형성과 주름결합부를 결합부재로 결합이 필요하지만, 주머니를 형성할 때마다 주름 접철선을 따라 접철해서 주름을 생성하고, 주름결합부를 결합부재로 결합하여 주머니를 형성하면, 많은 주름의 형성으로 접어 겹쳐진 시트의 부분이 많아져서, 텃밭용기의 양 측면이 너무 많이 당겨 올려져 바람직하지는 않다, 하지만 텃밭용기에 토양을 담으면 토양의 무게로 올려진 측면이 아래로 쳐져서 텃밭용기 상부를 횡방향 중심선과 평행에 가깝게 만들어지고, 또 아래에 자세하게 설명될 주름의 벽면 역할, 텃밭용기의 상부를 항상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이 필요한 설치장소의 경우엔 텃밭용기의 중앙부도 주름의 형성으로 주머니를 형성해도 된다. In case of a garden container with a large number of pockets,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wrinkle formation and the wrinkle-binding portion with the joining member in order to form a gardening container for planting the soil by stably pulling up both sides of the sheet. However, When the bag is folded along the fold lines to form folds and the folds are joined together by the engaging members to form a bag, the number of folded sheets increases due to the formation of many folds, It is not desirable because it is pulled up a lot, but when the soil is put in the garden pot, the side raised by the weight of the soil is lowered to make the top of the garden pot close to parallel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In the case of the installation place where role and the role of keeping the upper part of the food container always open, Amboise also form a pocket to the formation of wrinkles.

도 39는 텃밭용기(21)의 배면도 이다.39 is a rear view of the gardening container 21. Fig.

도 40은 텃밭용기(21)에 식물을 식재하고, 식물지지대를 설치해서 태풍이나 강한 바람으로 식물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식물지지대를 설치하고, 다른 주머니보다 작게 형성된 물 투입부(62)에 물을 투입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FIG. 40 is a view showing a plant support frame for planting plants in a gardening pot container 21, installing a plant support frame to prevent a plant from being broken by a typhoon or strong wind, As shown in FIG.

제8 실시 예.Eighth Embodiment Fig.

도 41의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 예로서, 상기 텃밭용기(20, 21)보다 더 나아간 구성으로 양쪽에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텃밭용기(이하 양쪽형 텃밭용기라 함)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저면의 일부가 연통부를 보여주기 위해 투시되어 있다.As an eigh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1, the overall shape of a gardening pot contai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both-side gardening pot containers ") which can plant plants from both sides with a configuration further than the gardening pots And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is viewed to show the communication part.

도 42는 텃밭용기(22)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것(이하 양쪽형시트라 함)의 평면도이다.Fig. 42 is a plan view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22 which is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uble-sided toilet).

양쪽형 텃밭용기(22)를 도 41과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쪽형 텃밭용기(22)는 난간에 설치해 한쪽은 키가 크게 자라는 고추와 같은 과채류를 식재하고, 다른 한쪽은 상추와 같은 엽채류를 식재해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식물을 키울수 있는 텃밭용기(22)이다. The two-way garden container 2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1 and 42. FIG. Both types of garden pot containers (22) are placed on railing, one is a potted plant such as red pepper, and the other is a garden pot container (22) in which a plant such as lettuce is planted to grow many plants in a narrow space.

도 42의 양쪽형시트(220)의 접철선(69)에 의해 제1시트(230)와 제2시트(240)로 구분이 되고, 제1시트(230), 제2시트(240)는 각각의 횡방향 중심선(42)에 의해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과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으로 구분이 된다.The first sheet 230 and the second sheet 240 are divided into a first sheet 230 and a second sheet 240 by the connecting wire 69 of the double sheet 220 of FIG. The front portion 510 is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520 and the rear portion 520 is a front portion.

양쪽형시트(220)은 연장시트(210)와 연장시트(210)가 일면을 서로 접해 있는 형태이다.The double-sided sheet 220 has a shape in which the extended sheet 210 and the extended sheet 210 are in contact with one another.

그러므로 연장시트(200)와 연장시트(210)의 접철선, 주름결합부, 결합부의 형성과 위치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양쪽형시트(220)의 접철선, 주름결합부, 결합부의 형성과 위치는 생략하겠다.Therefore, the formation and position of the connecting wire, folding portion, and engaging portion of the double sheet 220 are overlapp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ormation and position of the connecting wire, the fold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extending sheet 200 and the extending sheet 210 I will not.

양쪽형시트(220)의 모든 주름 접철선(66)을 따라 접철해서 주름을 생성하고, 제1시트의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의 주름 측면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와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의 주름 측면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74)를 결합부재로 서로 결합하고,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510)의 결합부(75)와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520)의 결합부(75)를 결합부재(77)로 서로 결합해서 제1 텃밭용기(23)를 형성한다. 제2 텃밭용기(24)도 제1 텃밭용기(23)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한다. Folds along the entire corrugated iron lines 66 of the both-side sheet 220 to form corrugation, and the corrugated portion 74 formed on the corrugated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510 to be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heet, The engaging portion 75 of the front portion 510 and the portion 520 of the front portion 520 which will be the front face are joined to each other by the engaging member, And the engaging portions 75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engaging member 77 to form the first gardening container 23. The second garden pot 24 is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garden pot 23.

양쪽형시트(220)의 연장결합부(39)를 축으로 대칭이 되는 같은 크기를 갖는 시트를 배치하는 것보다 다른 크기를 갖는 제1시트(230)와 제2시트(24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dispose the first sheet 230 and the second sheet 240 having different sizes than the sheet having the same size symmetrical about the extending portion 39 of the double-sided sheet 220 desirable.

도 43은 제8 실시 예의 텃밭용기의 사용 예를 표현한 것이다.Fig. 43 shows an example of use of the earthenware container of the eighth embodiment.

텃밭용기(22)가 난간에 설치되고, 제1시트(230)로 형성되는 제1 텃밭용기(23)에는 고추와 같은 과채류를 심고 제2시트(240)로 형성되는 제2 텃밭용기(24)에는 상추와 같은 엽채류를 심은 것을 도시한 것이다.The second garden container 24 is formed by planting the same vegetables as pepper and forming the second sheet 240 in the first garden container 23 formed by the first sheet 230, Shows planted leafy vegetables such as lettuce.

상추와 같은 엽채류는 토양의 깊이가 10㎝이상만 형성되면 되기 때문에 제1시트와 제2시트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이 시트 재료와 토양의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Since leaf vegetables such as lettuce are formed only by a depth of 10 cm or m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 of the sheet material and the soil by changing the size of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제1시트(230)와 제2시트(240)가 분리되어 박음질, 접착제 접착, 끈, 철사 등으로 제1시트(230)와 제2시트(240)를 결합해도 되지만 도 4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분리된 것을 결합한 것에 비해 견고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heet 230 and the second sheet 24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heet 230 and the second sheet 24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with a piece of tape,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form it integrally and solidly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parated one is combi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참조로 텃밭용기의 구성요소와 작용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operation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시트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More specifically,

시트는 유연성을 가진 시트로 토목용 부직포(31)에 방근시트(32), 방수시트(33), 외장시트(34) 중 선택되어 지는 하나 이상의 것을 다중적층 할 수 있다.The sheet is a flexible sheet,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ng the antiperspirant sheet 32, the waterproof sheet 33, and the external sheet 34 can be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on the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31.

도 4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텃밭용기(11)의 정면도인 도 13의 선 43B-43B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4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43B-43B in Fig. 13, which is a front view of the kitchen utensil 1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텃밭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방근시트(32)에 방수시트(33)를 적층하고 다음으로 토목용 부직포(31)를 적층하고 다음으로 외장시트(34)를 적층 한 것이 나타나 있다.A waterproof sheet 33 is laminated on the navigation sheet 32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gardening container and then the nonwoven fabric 31 for civil works is laminated and the exterior sheet 34 is laminated next.

텃밭용기를 실외에 설치하여 방수시트가 필요 없을 때는 방수시트를 빼고 제작해도 된다. 방근시트(32), 방수시트(33), 외장시트(34)는 설치장소와 텃밭용기 구매자의 수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If you do not need a waterproof sheet, you can remove the waterproof sheet. The antiperspirant sheet 32, the waterproof sheet 33, and the external sheet 34 can be added or subtract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buyer of the gardening container.

토목용 부직포(31)는 적당한 유연성과 일체성이 우수하고, 중량이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고, 땅속 조건하에서도 안전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토목용 부직포(31)의 특성으로 본 발명의 시트로 바람직하다.
The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31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integrity, is light in weight and easy in construction, and is excellent in safety and durability even in a ground condition. It is preferable as th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31.

방근시트(32)는 식물의 뿌리가 내려가지 않으면서도 공기와 물은 통과하여 뿌리의 성장을 억제하고, 물과 함께 미세립토가 빠져나와 배수공을 막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 재배 후 식물의 뿌리와 텃밭용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방근시트(32)는 농업용 방근부직포가 가격과 작업성을 볼 때 바람직하다.
The antimicrobial sheet (32) prevents the growth of roots through the air and water through the roots of the plant without falling down, prevents the micro-sediments from escaping with the water to prevent drainage, Thereby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container. The antiperspirant sheet 32 is preferable when the agricultural nonwoven fabric is viewed in terms of price and workability.

방수시트(33)는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 배수구가 아닌 곳으로 물이 흘러 나와 벽면이나 실내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는 비닐, 합성고무 중 선택되어 진 물질로 된 것이다.
Waterproof sheet (33) to grow plants indoors? Water can flow into the non-draining area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walls or the indoor floor. The waterproof sheet is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vinyl and synthetic rubber.

텃밭용기를 관찰자가 봤을 때 심미적 미감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외장시트(34)를 적층할 수 있다. 외장시트(34)는 자외선 차단 처리가 된 다양한 색과 무늬를 가진 직물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sheet 34 can be laminated so as to have an aesthetic aesthetic when an observer views the gardening container. The outer sheet 34 is preferably a fabric having various colors and patterns that have been treated with ultraviolet rays.

도 8을 보면 텃밭용기 테두리가 바이어스 천(78)으로 바이어스 처리되고 박음질 되어 있는 부분이 시트의 다중적층 구조를 보여주기 절취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텃밭용기를 폐기처리 할 때 박음질 선(79)을 따라 박음질 되어 있는 실을 칼이나 가위로 잘라내어 바이어스 천(78)를 뜯어내면 쉽게 토목용 부직포, 방근시트, 방수시트 및 외장시트를 쉽게 분리배출하기 위해 바이어스 처리하는 것이 시트를 접착제 접착이나 열접착으로 마무리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8, it can be seen that the edge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biased and biased by the bias cloth 78, and the multiple laminated structure of the sheet is cut off. In this case, when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discarded, And the bias cloth 78 is peeled off by a knife or scissors to easily separate and discharge the nonwoven fabric for civil engineering, the ventilation sheet, the waterproof sheet and the outer sheet, Is preferable to finishing with

바이어스 처리란 시트의 테두리인 끝단을 바이어스 천으로 박음질하여 마무리하는 것을 말한다. 바이어스 처리할 때 바이어스 천으로 마무리하면 심미성이 좋고, 웨빙(webbing) 끈으로 마무리하면 견고함이 좋다.The bias process refers to finishing the end of the sheet by a bias cloth. When finished with a bias cloth, the aesthetics are good when finished with a bias cloth, and the robustness is good when finished with a webbing strap.

바이어스 천(78)은 천의 가로와 세로 사이의 올의 방향을 대각선이 되게 잘나 낸 테이프 형태의 천을 말한다. 천의 올의 방향이 대각선으로 하는 것이 신축성이 가장 좋다.
The bias cloth 78 refers to a cloth in the form of a tape having a diagonal line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cloth. Stretchability is best when the direction of the cloth is diagonal.

도 2의 시트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진 시트(이하 타원형시트라 함)이다.2 is a sheet having an elliptical sha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liptical sheet).

타원형시트를 도 4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elliptical she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타원형시트는 종방향 중심선(41)과 일렬인 단축선(46)과 횡방향 중심선(42)과 일렬인 장축선(47)을 갖는다.The elliptical sheet has a minor axis line (46) in line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1) and a major axis line (47) in line with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작물을 재배할 때 토양의 깊이가 엽채류는 10㎝ 이상, 과채류는 20㎝ 이상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엽채류의 재배용 텃밭용기 높이는 10㎝에서 20㎝가 적당하고, 과채류의 재배용 텃밭용기 높이는 20㎝에서 40㎝가 적당하므로 중간인 30㎝로 높이를 정한다. 그래서 단축선(46)의 길이를 60㎝으로 해서, 장축선을 기준으로 접어져서 얻어지는 텃밭용기의 높이가 30㎝를 갖는 텃밭용기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cultivating crops, the depth of the soil should be more than 10㎝ for leafy vegetables, and more than 20㎝ for fruit and vegetables. Therefore, the height of the pots for the cultivation of leafy vegetables is suitably from 10 to 20 cm, and the height of the pots for the cultivation of the vegetables is 20 cm to 40 cm. Thus, it is preferable to produce a gardening container having a length of 60 cm and a height of 30 cm in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line 46, which is obtained by folding the long axis line as a reference.

4인 가족이 풋고추를 자급자족하기 위해서는 4포기에서 5포기를 키우면 된다.For a family of four to have self-sufficiency in the green pepper, you can raise up to 5 in a 4-donut.

고추가 도시농업에서 재배하는 여러 가지 작물 중 본 발명인이 보기에 적당하다. 고추 식재를 전제로 텃밭용기의 주머니의 폭의 길이(도 11의 610)를 정하면 다음과 같다. Of the various crops that peppers grow in urban agricul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this view. Assuming the pepper plant material,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pouch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610 in Fig. 11) is defined as follows.

고추 재배자들이 고추 모종의 식재 간격은 대체로 30㎝에서 50㎝까지를 권장하고 있다. 그래서, 도 11의 주머니 폭의 길이(610)는 40㎝가 적당하다.Pepper growers recommend pepper seedlings ranging from 30 cm to 50 cm. Therefore, the length 610 of the bag width in Fig. 11 is suitably 40 cm.

또 본 발명인이 텃밭용기 상부를 횡방향 중심선(42)과 평행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서 여러 가지로 제작해본 결과로 장축선(47):단축선(46)의 비율은 100:75가 적당하므로 장축선(47)의 길이는 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ak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oser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the ratio of the major axis line 47 to the minor axis line 46 is preferably 100: 75, 47 is preferably 80 cm.

타원형시트는 다르게 표현하면 2개의 반타원형 형상을 한 시트가 서로의 밑변을 접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n elliptical sheet can be said to have two semi-elliptical shapes with one sheet contacting the base of each other.

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텃밭용기(14)는 도 23에 보이듯이 직사각형의 시트(140)로 제작된 것인데, 시트(140)를 종방향 중심선(41)을 축으로 나누어 구분해서, 한쪽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하고, 다른 한쪽은 반타원형의 형상으로 해서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가 아니더라도 알 수 있을 것이기에 당업자는 더더욱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23, the sheet 140 is divided into a longitudinal center line 41 and a longitudinal center line 41.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it can be made in the shape of a rectangle and the other in a semi-elliptical shape.

그러므로 시트는 반타원형을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heet may contain only one semi-ellipse.

타원형의 작도방법을 도 44의 시트(110)에 도시된 것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drawing the ellip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heet 110 shown in FIG.

타원이란 평면 위의 두 정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의 집합으로 만들어진 곡선을 이르는 말인데, 타원을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두 정점을 타원의 초점이라 한다.An ellipse is a curve that consists of a set of points with a fixed distance from two vertices on a plane. The two vertices that define the ellipse are called the focus of the ellipse.

먼저 단축선의 길이와 장축선의 길이를 정하고, 다음으로 타원을 그리기 위해서는 필요한 초점의 위치를 구해야 한다. 초점의 위치는 공식

Figure pat00001
을 이용해서 구하는데, 여기서 c는 두 초점거리의 절반을 뜻하고, a는 장반경의 길이를 뜻하고, b는 단반경의 길이를 뜻한다.초점의 거리(c)가 구해지면, 중심점(P)에서 양측방향으로 그 거리(c)만큼 띄운 뒤, 초점(F, F')의 위치에 못을 박고, 단축선의 가장 외곽에 있는 양 끝점(48)중 하나에 못(100)을 박고, 일 측 초점(F)에서 실을 고정하고 실이 단축선의 가장 외곽에 있는 양 끝점(48)중 하나에 박힌 못을 걸쳐지나 타 측 초점(F')에 고정한다. 그 다음 단축선의 가장 외곽에 있는 양 끝점(48)중 하나에 박힌 못(100)을 빼내고 필기구(101)를 실에 걸쳐서 팽팽하게 유지하면서 이동하면 타원형을 작도할 수 있다.
First, determine the length of the minor axis and the length of the major axis, and then find the position of the focus needed to draw the ellipse. The location of the focus is the formula
Figure pat00001
Where c is the half length of the two focal lengths, a is the length of the major radius, and b is the length of the minor radius. When the distance c of the focus is obtained, The nail 100 is stuck to one of the end points 48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short axis line, Fix the yarn at the focal point F and fix the yarn to the other focal point F 'over a nail inserted into one of the end points 48 at the outermost of the short axis. Then, the nail 100 is pulled out from one of the end points 48 at the outermost end of the short axis line and moved while keeping the writing implement 101 tightly stretched over the thread.

아파트 베란다와 같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적은 수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가 필요하지만, 더 많은 식물의 재배가 필요할 때는 적은 수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를 여러 개 사용하는 것보다 많은 수의 주머니를 갖는 하나의 텃밭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비용과 노동력 절감에서 더 이익이 된다.
In narrow places such as apartment verandas, a garden container with a small number of pockets is needed, but when more plant cultivation is needed, one with a larger number of pockets than using multiple garden containers with fewer pockets It is more economical to use the pots of the garden, and it is more profitable in cost and labor saving.

본 발명은 간단히 더 많은 수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vide a gardening container having a larger number of pockets.

도 44의 시트(110)의 단축선(46)의 가장 외곽에 있는 양 끝점(48)을 일 측 방향으로 장축선(47)과 평행하게 원하는 주머니 수의 길이만큼 일체로 연장해서 얻을 수 있다.It is possible to obtain the both end points 48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short axis line 46 of the sheet 110 in Fig. 44 integrally extended in the one direction by the length of the desired pocket number in parallel with the long axis line 47.

도 44에 연장 시트(200) 및 직사각형의 정의를 참조하여 다른 방법으로 설명하면,Referring to Figure 44 in a different way with reference to the definition of the elongate sheet 200 and the rectangle,

직사각형의 정의는 네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사각형이다.The definition of a rectangle is a rectangle with the same size of the four cabinets.

네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사각형(38)의 종방향 중심선(41)에 수직인 두 변(AB, CD)을 반타원형(35)의 밑변(37)으로 하는 형상을 한 시트이다.And the two sides AB and CD which ar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1 of the quadrangle 38 having the same size of the four cabinets are the base 37 of the semi-elliptical shape 35.

상기 시트는 제6 실시 예에서 보인 연장시트(200)이다 The sheet is an extended sheet 200 shown in the sixth embodiment

상기 연장시트(200)를 원하는 수의 주머니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시트의 사각형 부분(38)의 횡방향 중심선(42)을 따라 측정되는 두 변 사이의 거리(45)를 일 측 방향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일체로 연장해서 얻을 수 있다. The distance 45 between the two sides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of the rectangular portion 38 of the sheet is set so that the elongated sheet 200 has a desired number of pockets, . ≪ / RTI >

도 44에 연장시트(210)은 연장시트(200)보다 더 많은 수의 주머니를 갖기 위해 일체로 연장된 시트로 7개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의 연장시트(210)이다.44 is an extended sheet 210 of a kitchen utensil container having seven pouches as an integrally extended sheet for having a larger number of pouches than the extension sheet 200. [

상기 연장시트(210)보다 더 나아간 구성으로 양쪽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양쪽형 텃밭용기(22)의 양쪽형시트(220)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forming the double-sided sheet 220 of the both-side gardening receptacle 22, which is more advanced than the extended sheet 210 and in which plants can be grown from both side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4의 양쪽형시트(220)을 보면, 양쪽형시트(220)는 반타원형 부분(36)과 사각형 부분(38)을 갖고, 상기 양쪽형시트(220)의 사각형 부분(38)의 횡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변(BC)을 종방향으로 연장결합부(39)의 종방향 길이(44)만큼 일체로 연장하고, 그 연장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타원형 부분과 사각형 부분을 갖는 시트의 사각형 부분(38)에 횡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변(AD)을 인접하게 위치시킨 양쪽형시트(220)을 도시한 것이다.44, semi-elliptical portion 36 and quadrangular portion 38 are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rectangular portion 38 of the both sheets 220, A rectangular portion of the sheet having the elliptical portion and the rectangular portion at the edge of the extended portion integrally extended by the longitudinal length 44 of the extending portion 3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C 38 adjacent to the side AD parallel to the transverse centerline.

상기 연장결합부(39)의 종방향 길이(44)는 도 43의 난간의 수평 난간대(95)에 폭부분의 길이(960)가 바람직하다.The longitudinal length 44 of the extended engagement portion 39 is preferably the length 960 of the width portion of the horizontal railing 95 of the railing of Fig.

양쪽형 텃밭용기(22)의 양쪽형시트(220)을 직사각형의 정의를 참조하여 다르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사각형의 종방향 중심선(41)에 수직인 2개의 변을 각각 2개의 반타원형의 밑변으로 하는 형상을 가진 양쪽형시트(220)이다.
The two-sided sheet 220 of the two-side garden container 22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efinition of the rectangle. Shaped sheet 220 having a shape in which two sid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1 of the quadrilateral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our corners are respectively formed as two semi-elliptical base lines.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재료인 토목용 부직포나 비닐, 직물, 부직포, 방근시트등이 절단 없이 일체로 롤 형태로 말아져서 판매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주머니 수를 늘리기가 더욱 쉽다.
Since the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vinyl, woven fabric, nonwoven fabric, antistatic sheet, etc., which are the material of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rolled and rolled without being cut off, it is easier to increase the number of pocket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주름의 역할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ole of wrinkles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보면, 정면에서 관찰자가 볼 때 텃밭용기의 상부가 횡방향 중심선(42)과 평행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도 13을 보면 텃밭용기의 중앙에 있는 주머니의 상부가 횡방향 중심선(42)과 평행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의 주머니는 물을 투입할 때 쉽게 투입할 수 있게 약간의 기울기를 가진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텃밭용기의 상부가 횡방향 중심선에 평행에 가깝게 형성되어 토양을 안정적으로 담고 식물을 심을 수 있는 텃밭용기를 형성하는데 주름의 역할이 크다.7, when the observer looks at the front sur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s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center line 42. As shown in Fig. 13, the upper part of the pouch at the center of the garden pot container is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and the pouch at both sides has a slight inclina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when water is introduced. .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garden pot container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and the wrinkle plays a large role in forming a garden pot container which can contain the soil stably and plant the plant.

주름의 역할은 유연한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시트의 양 측면을 당겨 올려 관찰자가 정면에서 볼 때 식물재배기 상부를 횡방향 중심선(42)과 평행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다.The role of the corrugation is to pull up both sides of the shee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lexible sheet and to form the top of the plant grower closer to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when viewed from the front.

도 9부터 도 13까지의 텃밭용기(11)의 제작과정을 보면 타원형시트(110)의 주름 접철선(66)을 따라 접철하여 생성된 주름이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양 측면을 당겨 올리고, 전면주름(63), 후면주름(64)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를 결합부재로 결합해서 주머니를 형성할 때, 횡방향 중심선(42)의 중앙부분은 횡방향 중심선(42)을 따라 측정되는 길이를 가지는 저면의 가장자리가 되고, 횡방향 중심선(42)에서 저면의 가장자리가 되는 부분을 제외한 양측 부분은 횡방향 중심선(42)을 따라 측정되는 길이를 가지는 텃밭용기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9 to 13, the wrinkles generated by folding along the corrugated wire 66 of the elliptical sheet 110 pull up both sides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sheet, The center portion of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is formed along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when the pouch is formed by engaging the engaging member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71 of the rear surface wrinkle 63 and the rear surface wrinkle 64 with the engaging member. And both side portions except the portion which becomes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in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become the edge of the side surface of the kitchen utensil having the length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

도 9의 주름 접철선(66)이 저면의 가장자리가 될 횡방향 중심선(42)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주름 접철선(66)을 따라 접철하여 생성된 주름은 텃밭용기 상부에서부터 연통부(80)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텃밭용기의 주머니를 구획하는 벽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름은 식물을 재배할 때 뿌리의 생장력이 좋은 식물이 다른 식물이 자라는 주머니까지 침투하는 것을 막는 벽면의 역할을 한다. 도 47에 나타나 있는 것을 보면, 후면 주름 속끝부위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선(68)과 투시되어 보여지는 전면 주름 속끝부위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선(67)을 보면 주름이 벽면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corrugated hoop lines 66 of Fig. 9 are formed up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to be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The wrinkles generated by folding along the corrugated wire 66 extend longitudinal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kitchen utensi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and serve as walls for partitioning the pockets of the kitchen utensils. Wrinkles play a role as a wall to prevent plants with good growth potential of roots from penetrating into the pockets of other plants when growing plants. 47, the wrinkle serves as a wall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ly extended line 68 of the rear wrinkle portion and the longitudinally extended line 67 of the front wrinkle portion viewed through the eye .

또 주름이 저면의 근처까지만 연장되어 텃밭용기 저면을 서로 연통하게 하는 연통부(80)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름을 저면에 접해 있지 않고 저면의 근처까지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제작과정과 재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Further, it can be seen that the wrinkles extend only to the vicinity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for communic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tensil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terials are not required to form the wrinkle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without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인이 볼 때, 전면과 후면으로 나누어져 형성된 주름이 횡방향 중심선(42)을 축으로 접혀질 때 저면 부분의 주름이 펴져서 연통부(80)가 형성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corrugations formed by dividing the front and rear faces are formed by forming the wrinkles of the bottom face portion when the lateral center line 42 is folded on the axis.

상기 연통부(80)는 다음에 설명할 물 투입부의 형성에 중요한 부분이다.The communicating portion 80 is an important part for forming the water introduction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5는 물뿌리개로 물 투입부(62)에 물을 투입하는 것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roduction of water into the water inlet portion 62 with a water sprinkler.

텃밭용기 일 측의 주머니를 다른 주머니에 비해 작게 형성하여 물을 투입할 수 있게 물 투입부(62)를 따로 형성한 것이 나타나 있다. 텃밭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연통부(80)가 주머니를 서로 연통하게 하여 물이 빠르게 텃밭용기 저면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물 투입부를 따로 형성하여 저면관수를 하면 두상관수를 반복해서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두상관수를 자주 반복하면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고, 토양이 단단해져서 식물의 생육을 저해하고, 물이나 토양의 넘침이 발생하여 텃밭용기 외부나 텃밭용기 설치 공간이 오염될 수 있다. It is shown that the pockets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of the kitchen utensil are formed smaller than the pockets on the other pockets and the water inlet portion 62 is separately formed so that water can be introduced. The communicating portion 8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communicates the pouches so that the water is quickly stored in the bottom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water inlet portion separately and performing the bottom water irrigation, it is possible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repeatedly generating two correlated water numbers. Frequent repetition of these correlations can cause plant stress, soil hardening, inhibition of plant growth, and overflow of water or soil, resulting in contamination of the outside of the garden or container space.

또 저면관수는 두상관수와 비교하여 물과 양분의 소모가 적고 균일한 양분과 수분의 공급이 가능하다(ahmed,A.K., G.C. Cresswell, and A.M. Haigh. 2000. Comparison of sub-irrigation and overhead irrigation of tomato and lettuce seedlings. J. of Hort. Sci. and Biotech. 75(3): 350-354).In addition, bottom irrigation has less consumption of water and nutrients and is able to supply uniform nutrients and water compared to the two correlations (Ahmed, AK, GC Cresswell, and AM Haigh 2000. Comparison of sub-irrigation and overhead irrigation tomato and lettuce seedlings, J. of Hort. Sci., and Biotech 75 (3): 350-354).

본 발명의 텃밭용기에 저면관수를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applying bottom watering to the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텃밭용기에 토양을 채워 넣을 때 먼저 입자의 크기가 크고 고른 형태이어서 공극률이 큰 세라믹 볼이나 수분 흡수력이 좋은 코코피트를 채워 넣어 물 저장공간을 확보 한 후, 미세립토가 세라믹 볼이나 코코피트의 사이를 메우지 못하도록 투수성 부직포를 깔고, 상기 부직포 위에 토양을 채워 넣고 식물을 식재한 후 물 투입부에 물을 투입하면 된다.When the soil is filled into the pots of the garden paddy, the size of the particles is large and the pores are filled with ceramic balls having a large porosity or water-absorbing cocopitites to secure water storage space, and then micro- A water permeable nonwoven fabric is laid on the nonwoven fabric so that the nonwoven fabric can not be buried, the soil is filled on the nonwoven fabric, plants are planted, and water is injected into the water input portion.

상기와 같이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식물 재배기에 물 투입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Another role of wrinkles as described above is to form a water inlet in a plant grower

도 11을 보면 전면의 주름(63)과 후면의 주름(64)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결합부재로 결합 되어 전면(51)과 후면(52)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전면과 후면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11, the corrugations 63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portions 71 of the corrugation 64 on the rear surface are joined by the engaging member to firmly fix the front surface 51 and the rear surface 52, have. Another role of wrinkles is to firmly secure the front and back.

도 11에 나타나 있듯이 고정을 더욱 견고하기 위해 1개의 주름에 주름결합부를 2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1, two or more wrinkle-engaging portions may be formed on one wrinkle to further secure the fixing.

도 8과 도 11을 보면 전면주름(63)과 후면주름(64)이 벽면의 역할로 주머니를 구획하기도 하지만 이 벽면의 역할이 전면(51)과 후면(52)을 이격시키는 역할도 해 텃밭용기 상부를 항상 개방시킴으로써 쉽게 토양을 담고 식물을 심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8 and 11, the front corrugation 63 and the rear corrugation 64 partition the pouch by the role of the wall surface, but the role of the wall separates the front surface 51 and the rear surface 52, By opening the upper part at all times, it can easily contain the soil and plant the plant.

도 16은 베란다 난간에 텃밭용기(11)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1은 텃밭용기(12)가 끈으로 매달아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6 shows that a gardening pot container 11 is installed on a porch railing, and Fig. 21 shows that a gardening pot container 12 is hung with a rope.

도 16을 보면 난간(95)의 난간동자(97)가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에 삽입 관통해 있다. 이와 같이 텃밭용기(11)의 주름(63)이 난간동자(97)를 감싸고 있어 폭우나 강한 바람에도 난간(95)에서 이탈하지 않게 견고하게 텃밭용기(11)를 고정할 수 있다. 16, the balancer 97 of the handrail 95 is inserted through the wrink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rrugation 63 of the kitchen utensil 11 surrounds the balancer 97 so that the kitchen utensil 11 can be securely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handrail 95 even in heavy rain or strong wind.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끈(98)으로 매달아서 사용할 때도 끈이 텃밭용기(13)의 주름에 삽입되어 텃밭용기를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있어, 텃밭용기(13)를 더욱 안정적으로 매달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난간(95)의 난간동자(97)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된다. 끈(98)으로 매달아서 사용할 땐 끈(98)의 고정부가 되어 텃밭용기(13)가 견고하게 설치된다.
21, the strap is inserted into the corrugations of the gardening basket 13 so as to entirely surround the gardening basket, so that the gardening basket 13 can be used more stably. As described above, another function of the corrugation is a fixing part which can firmly fix the balancer 97 of the handrail 95. When used with the strap 98, it is a fixed part of the strap 98, so that the kitchen utensil 13 is securely installed.

도 15는 식물지지대(91)가 텃밭용기(11)의 주름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Fig. 15 shows that the plant support 91 is inserted into the corrugation of the utensil 11.

태풍이 발생하여 식물이 줄기가 부러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식물지지대(91)를 설치할 때,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토양에 직접 꽂으면 식물의 뿌리가 다치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텃밭용기(11)는 식물지지대(91)를 주름에 삽입 고정시켜 설치한다.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식물지지대(91)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When a plant support (91) is installed to prevent a plant from breaking a stem due to a typhoon, it is easy for the root of the plant to be damaged if it is plugged directly into the soil where the plant is planted. Thus, 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plant support base (91) in the corrugated form. Another function of the wrinkles is to insert and fix the plant support 91.

위와 같이 많은 주름의 역할을 정리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The role of many wrinkles as described abov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주름의 역할은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시트의 양 측면을 당겨 올려 관찰자가 정면에서 볼 때 텃밭용기 상부를 횡방향 중심선과 평행에 가깝게 형성해 토양을 안정적으로 담고 식물을 식재하고 재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role of wrinkles is to pull up both sides of the sheet toward the center of the sheet so that when the observer sees from the front, the top of the pot is close to the transverse centerline so that the soil can be stably held and the plant can be planted and cultivated.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텃밭용기의 주머니를 구획하는 벽면의 역할을 한다.Another role of wrinkles is to act as a wall that divides the pockets of the kitchen utensils.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텃밭용기의 전면과 후면을 단단히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Another role of wrinkles is to securely fasten the front and back of the garden container.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텃밭용기의 전면과 후면을 이격시켜 텃밭용기 상부를 항상 개방 상태로 있게 한다.Another role of wrinkles is to keep the top of the utensils open at all times by separat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container.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텃밭용기에 물 투입부를 형성시킨다.Another role of wrinkles is to form a water inlet in the pot.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텃밭용기를 난간에 설치시 고정부의 역할을 하고, 끈으로 매달아 사용할 때도 끈의 고정부 역할을 한다.Another role of wrinkles is that it plays a role of the governor when it is installed on the railing of the garden pot containers, and acts as a stopper of the rope even when it is hung with a string.

주름의 또 다른 역할은 식물지지대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Another role of wrinkles is to insert and fix plant supports.

다음으로 주름의 형성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method of forming the wrinkle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7을 보면, 주름의 겉끝부위(720)에 있는 주름형성결합부(73)가 결합부재(77)로 결합되어 주름이 펼쳐지지 않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7, it can be seen that the wrinkle-forming engagement portion 73 in the welt-side edge portion 720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member 77 and the wrinkle is fixed so as not to spread.

도 11을 보면, 주름의 측면부위(71)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결합부재(77)로 결합되어 주름에 주름결합형성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주름이 펼쳐지지 않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와 같이 주름 접철선을 따라 접철해서 주름을 생성하는데 주름이 펼쳐지는 것을 막기 위해 주름겉끝부위에 주름형성결합부를 형성하고 결합부재로 결합할수도 있고, 주름 측면부위에 주름결합부가 형성될 때는 주름결합형성부는 형성하지 않을수 있다.11, it is shown that the wrinkles are not spread even if the wrinkle-engaging portions formed on the side portions 71 of the wrinkles are joined by the engaging members 77 and the wrinkle-forming portions are not 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wrinkles from spreading to fold the wrinkles, the wrinkle forming part may be formed at the wrinkle side and may be joined by the joining member. When the wrinkle joining part is formed at the side part of the wrinkle, The joint forming portion may not be formed.

상기 결합부재는 접착제 ,박음질, 볼트와 너트, 나사 중 택일 된 하나이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부재의 역할인 시트와 시트를 결합하는 재료이면 본 발명의 결합부재의 재료로 적당하다. The joining member is not limited to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dhesive, a staple, a bolt, a nut and a screw, and is suitable as the material of the joi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joins the sheet and the sheet serving as the joining member.

주름형성결합부, 주름결합부, 결합부는 결합부재를 접착제로 할 때는 접착제가 도포 되는 부분이고, 박음질로 할 때는 박음질 되는 부분이다. 결합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할 때는 시트를 천공해서 주름형성결합부, 주름결합부, 결합부를 얻을 수 있다.The wrinkle-forming engagement portion, the wrinkle engagement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are portions to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when an engaging member is used as an adhesive, and portions that are stitched when the engaging member is to be stitched. When the engaging member is made of a bolt and a nut, the sheet is punctured to obtain a pleated-fitting portion, a crimping portion, and a fitting portion.

시트를 천공하고 볼트와 너트로 결합해서 주름을 생성하는 것이 견고성이 좋아 바람직하다. It is preferred that the sheet be perforated and joined together with bolts and nuts to produce wrinkles.

주름형성결합부, 주름결합부, 결합부를 시트의 천공에 의해 형성할 때 텃밭용기를 사용하는 중에 천공구 둘레의 시트가 늘어짐이 발생해 볼트와 너트가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도 4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아일렛(eyelet) 베이스(88)와 아일렛(eyelet) 와셔(89)를 포개어 압착해서 아일렛(eyelet)을 장착해 주름형성결합부, 주름결합부, 결합부를 보강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sheet around the cloth tool from slacking during the use of the utensil container when the wrinkle-forming engagement portion, the wrinkle engagement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are formed by perforation of the sheet to prevent the bolt and the nut from being pulled out, The eyelet base 88 and the eyelet washer 89 are superimposed and pressed on both sides with the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to mount the eyelet to reinforce the crease forming part, .

주름의 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number of wrinkle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을 보면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하나씩의 주름을 포함하는 텃밭용기(15)를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kitchen garden container 15 including one front and one rear wrinkles can be seen.

도 8을 보면 전면, 후면에 각각 2개씩의 주름을 포함하는 텃밭용기(11)를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t is possible to see the kitchen utensils 11 including two wrinkle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텃밭용기는 유연한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시트의 양 측면을 당겨 올리는 주름을 전면과 후면이 각각 1개 이상 포함하고 있어야 토양을 안정적으로 담고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The garden vat contains one or more front and back wrinkles that pull up both sides of the sheet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flexible sheet so that the plant can be planted with stable soil.

전면과 후면이 각각 2개 이상의 주름을 포함하는 것이 더 안정적으로 토양을 담을 수 있어 전면과 후면이 각각 하나의 주름을 포함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each include two or more wrinkles so that the soil can be contained more stably so that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each include one wrinkle.

주름의 길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length of the wrinkle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주름 접철선(66)이 횡방향 중심선과 접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corrugated wire 66 is in contact with the transverse center line.

주름접철선을 따라 접철하여 주름을 생성하면, 도 10과 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시트의 양 측면이 당겨 올려지고, 도 10을 보면, 횡방향중심선(42)과 접해 있는 주름이 펼쳐져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10 and 12, both sides of the sheet are pulled up toward the center of the sheet as shown in Fig. 10 and Fig. 10, and wrinkles in contact with the lateral center line 42 It is shown that it is unfolded.

도 47을 보면, 투시되어 보이는 전면 주름의 속끝부위가 종방향으로 연장된 선(67)과 후면 주름의 속끝부위가 종방향으로 연장된 선(68)을 보면 주름이 저면에 접해 있지 않고, 주름이 펼쳐져 연통부(80)를 형성한 것이 나타나 있다. 주름 접철선이 횡방향 중심선(42)에 접해 있어도 주름 접철선을 따라 접철해서 주름을 생성하고 횡방향 중심선(42)를 따라 접어 주름의 주름결합부를 결합부재로 결합해서 주머니를 형성하면, 저면에 접해 있는 주름의 부분은 횡방향 중심선(42)를 따라 접어질 때 펼쳐진다. 상기와 같이 주름은 저면에 접해 있지 않고 떨어져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7,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wrinkle that is seen through is seen in a line 6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ine 68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wrinkle portion, the wrinkles are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he communication portion 80 is formed. Even if the wrinkle fitting wire is in contact with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the wrinkle is generated along the wrinkle fitting line and folds along the transverse center line 42. When the wrinkle fitting portion of the wrinkle is joined with the engaging member to form the pocket, The portions of the abutting corrugations unfold when folded along the transverse centerline 42.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corrugations are formed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but to be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주름은 텃밭용기의 상부에서 시작해서 저면에 있는 연통부의 상부까지 형성되어 있지만, 주름의 역할중 벽면의 역할이 필요 없을 때에는 주름에 주름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주름의 부분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주름은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데, 그러면 더 많은 토양을 담을 수 있어 많은 양의 토양이 필요한 식물에는 바람직하겠다. 상기와 같이 주름은 주름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만을 주름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저면의 있는 연통부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ugation is formed from the top of the kitchen utensil to the top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on the bottom. However, when the role of the corrugation is not required, the corrugation portion Except that the remaining wrinkles can be spread out and used, which would be desirable for plants that require a large amount of soil because they can contain more soils. As described above, the corrugation may be formed by corrugation only to form the corrugated portion, or may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주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의 위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osition of the wrinkle joint formed in the wrinkl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0의 텃밭용기(12)의 주름결합부는 주름 속끝부위(72)에 형성되고,The corrugated portion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12 in Fig. 20 is formed in the corrugation end portion 72,

도 11의 텃밭용기(11)의 주름결합부는 주름 측면부위(71)에 형성되고, 11 is formed on the wrinkle side surface portion 71, and the wrinkle-

도 25의 텃밭용기의 주름결합부는 주름 속끝부위(72) 및 주름 측면부위(71)에 형성된다.The wrinkle-connecting portion of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in Fig. 25 is formed in the crease-end portion 72 and the crease-side portion 71. [

상기 도면에 나타나듯이 주름결합부의 위치는 주름 속끝부위, 주름 측면부위 중 선택된 하나이거나, 주름 속끝부위, 주름 측면부위 둘 모두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sition of the crease portion is a selected one of the crease end portion and the crease side portion, or both the crease end portion and the crease side portion.

주름결합부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주름 측면부위에 형성될 때 견고한 고정을 위해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도시되어 있듯이 주름결합부의 위치가 주름 속끝부위에 형성될 때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when the wrinkle-conn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wrinkle side portion, two or more wrinkle-fitting portions may be formed for firm fixing. As shown in FIG. 18, two or more corrugated portions may be formed when the corrugated portion is formed on the corrugated end portion.

배수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is a description of the drain hole.

도 9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텃밭용기는 저면의 일 측에 배수구(81)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kitchen utensi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ain port 81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여름 장마철이나 물관리의 미숙으로 인하여 발생 되는 과습으로 인한 뿌리 썩음을 막기위해 텃밭용기의 저면의 일 측에 배수구(81)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root rot caused by excessive moisture generated due to inexperience of summer rainy season or water management, a drainage port (8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dening container.

도 46은 도 9의 43A-43A 선으로 절단해 얻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를 방근시트(32), 방수시트(33) 및 토목용 부직포(31), 외장시트(34)의 다중적층으로 제작시 다중적층시트에 천공으로만 배수구를 형성하면 배수구로 수분이 배출될 때 토목용 부직포와 외장시트가 배출수로 오염이 될 수가 있다. 그래서 추가의 구성이 필요하다. 도 46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4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43A-43A in Fig. 9, showing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ulti-layer laminate of the antifogging sheet 32, the waterproof sheet 33 and the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31, When the drainage hole is formed in the multiple laminated sheet only by perforation, when the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drainage hole, the civil nonwoven fabric and the external sheet may become contaminated with the drainage water. So additional configuration is needed. Referring to FIG. 46, th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시트를 천공하고 텃밭용기 안쪽의 방수시트(32) 층에 자착식 부틸고무시트(83)를 부착하고 투터치 휘팅(Fitting)(82)의 바디부(84)와 캡너트(85)를 단단히 조임으로 결합하고 투터치 휘팅(Fitting)(82)에 튜브(86)를 연결한 것이다. 자착식 부틸고무시트(83)는 모든 종류의 피착체에 대하여 강력한 접착력과 강한 내한, 내열 및 감온성으로 저온에서 경화되지 않고 고온에서 연화되지 않아 방수시트(33)와 투터치 휘팅(82)의 사이를 방수하는데 바람직하다. 투터치 휘팅은 공기압 배관에 사용하는 너트 조임식 관 연결구이다. 공기도 빠져나오지 못하니 수분은 더욱 빠져나오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소규모 수경재배의 양액 공급배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 실시 예로 투터치 휘팅(Fitting)을 도시하였지만 원터치 휘팅(Fitting)도 바람직하다.The sheet is perforated and an autoclaved butyl rubber sheet 83 is attached to the waterproof sheet 32 inside the container of the kitchen utensil and the body portion 84 of the two-touch fitting 82 and the cap nut 85 are fastened tightly And a tube 86 is connected to a two-touch fit 82. [ The self-adhering butyl rubber sheet 83 does not harden at a low temperature and does not soften at a high temperature due to strong adhesive force, strong cold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temperature sensitivity to all kinds of adherends, . Two-touch fitting is a nut tightening pipe connection for pneumatic piping. The air will not escape, and moisture will not escape. Therefore, it is widely used in nutrient supply piping of small scale hydroponic cultivation. Although one-touch fitting is shown as one embodiment, one-touch fitting is also desirable.

걸이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hook part is as follows.

도 39를 보면, 후면의 상부에 시트의 천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이부(76)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걸이부(76)는 벽면에 설치시 벽면에 못 또는 나사를 박고 걸이부(76)를 끼움으로 텃밭용기를 설치하거나, 난간에 설치시는 쇠고리를 걸어 설치할 수도 있다.39, there is shown a hook portion 76 formed by perforating the sheet at the upper part of the rear surface. When the hook portion 76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a nail or a screw is put on the wall surface and the hook portion 76 It is possible to install a kitchen garden container by fitting, or to attach a key ring when installing it on a railing.

도 14를 보면, 2개의 걸이부(76)를 형성한 것을 볼 수 있고,14, it can be seen that two hook portions 76 are formed,

또 도 34를 보면, 4개의 걸이부(76)를 형성한 것을 볼 수 있다.34, it can be seen that four hook portions 76 are formed.

상기와 같이 텃밭용기가 포함한 주머니 수에 따라 걸이부(76)의 수는 다르게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hooking portions 76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bags contained in the gardening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텃밭용기 제작에서 식물식재와 재배 후 텃밭용기의 보관과 폐기처리까지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hird embodiment and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riefly explain the process from the planting of the plant material to the storage and disposal of the planting material container after cultivation in the production of a gardening container.

롤 형태로 말아져 판매되는 토목용 부직포, 방근 부직포, 방수용 비닐, UV처리된 직물을 각각 장축선의 길이는 80㎝, 단축선의 길이는 60㎝을 갖는 타원형으로 재단하고, 맨 아래층으로 직물로 하고 그 위로 차례로 토목용 부직포, 방수 비닐, 방근부직포를 적층하고, 시트의 테두리의 끝단을 깔끔하게 바이어스 천을 둘러 박음질하여 마감하고, 시트를 천공기로 천공해서 주름결합부, 걸이부를 형성하고, 시트가 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천공구에 아일렛을 장착하고, 또 시트를 천공하고 투터치 휘팅을 설치하여 배수구를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의 상부에서 저면까지 연장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을 형성하고, 천공으로 형성된 전면 및 후면의 주름결합부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주머니와 물 투입부를 형성한 텃밭용기를 제작하고,The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the nonwoven fabric, the waterproof vinyl, and the UV-treated fabric, which are rolled in roll form, are cut into elliptical shapes each having a major axis length of 80 cm and a minor axis length of 60 cm, The tops of the edges of the sheets are neatly folded in a bias cloth, and the sheets are punched with a perforator to form a corrugated portion and a hanging portion, and the sheet is stretched To prevent this, an eyelet is attached to the cloth tool, the sheet is perforated and a two-touch fit is provided to form a drain hole, an inwardly concave corrugation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A bowl and a water inlet are formed to form a garden pot container,

텃밭용기를 난간이나 벽면 또는 끈으로 매달아 설치하고, 저면관수로 식물을 키우기위해 텃밭용기에 공극률이 큰 세라믹 볼을 담고 그 위에 투수성 부직포를 깔고 그 위에 토양을 담고, 원하는 식물을 식재하고, 물 투입부에 물을 투입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식물을 재배 후에는 식물을 걷어내고 텃밭용기에 볼트와 너트를 풀어 토양을 빼내고, 더러워진 텃밭용기는 깨끗이 세탁 후 작게 접어 보관하고, 오랜 사용 후 폐기처리 할 때는 바이어스 천의 박음질 실을 잘라 바이어스 천을 뜯어내서 방근 부직포, 토목용 부직포, 방수 비닐, uv처리된 직물을 분리배출한다. In order to grow plants with bottom irrigation water, a ceramic ball having a large porosity is placed in a garden container, a water permeable nonwoven fabric is laid thereon, soil is placed on the ceramic ball, the desired plants are planted, water After the plants are grown, the plants are removed, the bolts and nuts are loosened to remove the soil from the garden pots, and the dirty garden pots are cleanly folded and stored after being cleaned. The biasing cloth of the bias cloth is cut and the biasing cloth is peeled off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nonwoven fabric, the nonwoven fabric for civil engineering, the waterproof vinyl, and the uv treated fabric.

현재 가장 유용하고 바람직한 구현 예로 간주 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구현 예로 제한되지 않고,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과 범주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배치를 포괄하고자 하며, 이러한 범주는 법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균등한 구조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usefu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so as to encompass all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structures

11: 타원형 시트로 제작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각각 2개의 주름을 포함하고, 전면 주름의 측면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후면 주름의 측면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에 결합부재로 결합 된 텃밭용기.
12: 타원형 시트로 제작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각각 2개의 주름을 포함하고, 전면 주름의 속끝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후면 주름의 주름속끝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에 결합부재로 결합 된 텃밭용기.
13: 타원형 시트로 제작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각각 2개의 주름을 포함하고, 전면 주름의 속끝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후면의 결합부에 결합 되고, 후면 주름의 속끝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전면의 결합부에 결합부재로 결합 된 텃밭용기.
14: 사각형 형상의 시트로 제작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각각 2개의 주름을 포함하고,전면 주름의 속끝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는 후면의 결합부에 결합 되고, 전면 주름의 측면에 형성된 주름결합부는 후면 주름의 측면에 형성된 주름결합부에 결합부재로 결합 된 텃밭용기.
15: 타원형 시트로 제작되고, 전면과 후면이 각각 1개의 주름을 포함하고,전면 주름의 측면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가 후면 주름의 측면부위에 형성된 주름결합부에 결합부재로 결합 된 텃밭용기.
20: 5개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
21: 7개의 주머니를 갖는 텃밭용기.
22: 양쪽형 텃밭용기.
23:양쪽형 텃밭용기의 제1텃밭용기.
24:양쪽형 텃밭용기의 제2텃밭용기.
30: 시트.
31: 토목용 부직포.
32: 방근시트
33: 방수시트
34: 외장시트.
35: 반타원형시트.
36: 시트의 반타원형 부분.
37: 반타원형시트의 밑변.
38: 시트의 사각형 부분.
39: 연장결합부.
41: 종방향 중심선.
42: 횡방향 중심선.
44: 연장결합부의 종방향 길이.
45: 시트의 사각형 부분의 횡방향 길이.
46: 단축선.
47: 장축선.
48: 단축선의 가장 외곽에 있는 양 끝점.
51: 텃밭용기의 전면.
52: 텃밭용기의 후면.
53: 텃밭용기의 좌측면.
54: 텃밭용기의 우측면.
55: 텃밭용기의 저면.
61: 주머니.
62: 물 투입부.
63: 전면 주름.
64: 후면 주름.
66: 주름 접철선.
67: 전면 주름 속끝부위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선.
68: 후면 주름 속끝부위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선.
69: 양쪽형시트의 접철선.
70: 주름.
71: 주름 측면부위.
72: 주름 속끝부위.
73: 주름형성결합부.
74: 주름결합부.
75: 결합부.
76: 걸이부.
77: 결합부재.
78: 바이어스 천.
78a: 바이어스 천의 폭의 길이.
79: 박음질 선.
80: 연통부.
81: 배수공.
82: 투터치 휘팅.
83: 자착식 부틸고무시트.
84: 투터치 휘팅의 바디부.
85: 투터치 휘팅의 캡너트.
86: 튜브.
87: 아일렛.
88: 아일렛 베이스.
89: 아일렛 와셔.
91: 식물지지대.
92: 물뿌리개.
93: 고추.
94: 상추.
95: 난간.
96: 난간수평대.
97: 난간동자.
98: 끈.
99: 실.
100: 못.
101: 필기구.
110: 텃밭용기(11)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120: 텃밭용기(12)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130: 텃밭용기(13)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140: 텃밭용기(14)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150: 텃밭용기(15)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200: 텃밭용기(20)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210: 텃밭용기(21)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220: 텃밭용기(22)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230: 양쪽형 텃밭용기의 제1텃밭용기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240: 양쪽형 텃밭용기의 제2텃밭용기를 펼쳐서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 텃밭용기의 시트.
510: 앞으로 전면이 될 부분.
520: 앞으로 후면이 될 부분.
535: 횡방향 중심선에서 측정되는 측면의 길이.
550: 횡방향 중심선에서 측정되는 저면의 길이.
610: 주머니의 폭의 길이
700: 주름의 우측면.
710: 주름의 좌측면.
720: 주름 겉끝부위
이하 도 48의 시트(110)에 도시된 기호 설명
a: 장반경.
b: 단반경.
c: 중앙점에서 초점까지의 거리.
f: 초점.
p: 중앙점.
AB: 시트의 사각형 부분에 종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2개의 변 중 하나.
CD: 시트의 사각형 부분에 종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2개의 변 중 다른 하나.
AD: 시트의 사각형 부분에 횡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2개의 변 중 하나.
BC: 시트의 사각형 부분에 횡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2개의 변 중 다른 하나.
11: A kitchen utensil container made of an elliptical shee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each including two corrugations, and the corrugated port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ront corrugation is joined to the corrugated port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rear corrugated portion.
12. A vegetable dish container made of an elliptical shee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each including two corrugations, and the corrugated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ront corrugation is joined to the corrugated portion formed at the corrugation end portion of the rear corrugated portion.
13: The front and back surfaces each include two corrugations, and the corrugat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front corrugation is joined to the engaging portion on the rear surface, and the corrugated portion formed on the end portion of the rear corrugation A vegetable container coupled to a coupling part by a coupling member.
14: a square-shaped sheet, where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each include two wrinkles, the wrinkle-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end portion of the front wrinkle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on the rear surface,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wrinkl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rinkle.
15: A kitchen utensil made of an elliptical sheet, where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each include one pleat, and the pleated fitting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pleat is joined to the pleated fitting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pleat.
20: Container with five pockets.
21: A kitchen pot with seven pockets.
22: Both sides of the kitchen utensils.
23: The first garden pot of two-sided garden pot.
24: A second garden pot of two-sided garden pots.
30: sheet.
31: Nonwoven fabric for civil engineering.
32: Antiperspirant sheet
33: Waterproof sheet
34: Exterior sheet.
35: Semi-oval sheet.
36: half elliptical part of sheet.
37: Base of semi-elliptical sheet.
38: The rectangular part of the sheet.
39: Extension joint.
41: longitudinal centerline.
42: transverse centerline.
44: longitudinal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45: transverse length of the rectangular portion of the sheet.
46: Shortening line.
47: Long axis line.
48: Both end points at the outermost of the short line.
51: The front of the kitchen garden.
52: Rear of the pottery container.
53: The left side of the pottery container.
54: The right side of the pots.
55: The bottom of the pottery container.
61: Pocket.
62: Water input section.
63: Front wrinkles.
64: Rear pleats.
66: Wrinkled wire.
67: Longitudinally extending line of the front rim.
68: longitudinally extending line of the rear crease.
69: Welding wire of double sheet.
70: Wrinkles.
71: wrinkle side area.
72: Crease tip area.
73: wrinkle forming part.
74: wrinkled portion.
75: coupling part.
76: The hook section.
77: coupling member.
78: Bias cloth.
78a: Length of the width of the bias cloth.
79: Staple line.
80: communication part.
81: drainage.
82: Two-touch fitting.
83: Self-assembled butyl rubber sheet.
84: Body part of two-touch fitting.
85: Cap nut for two-touch fitting.
86: Tube.
87: Eyelet.
88: Eyelet base.
89: Eyelet washers.
91: Plant support.
92: Sprinkler.
93: Pepper.
94: Lettuce.
95: Railing.
96: Handrail level base.
97: balustrade.
98: String.
99: Thread.
100: Nails.
101: Writing instruments.
110: A sheet of a kitchen garden container in which a garden pot (11) is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120: A sheet of a kitchen garden container in which a garden pot (12) is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130: A sheet of a kitchen garden container in which a garden pot (13) is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140: A sheet of a kitchen garden container having a garden pot (14) unfolde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150: Sheet of a kitchen garden container with a garden pot (15) spread out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200: A sheet of a kitchen garden container in which a garden pot (20) is spread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plane.
210: A sheet of a kitchen garden container which is spread on a flat garden container (21)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220: Sheet of a kitchen garden container with a garden pot (22) spread out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230: Both sides of a garden pot The first garden pot A sheet of a garden pot container spreading a container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240: The second garden of the two-sided garden container The sheet of the household garden container which unfolded the container and supported on a flat horizontal surface.
510: Front of the front part.
520: Forward to the rear.
535: Length of the side measured at the transverse centerline.
550: Length of the bottom measured at the transverse centerline.
610: Length of pocket width
700: Right side of the wrinkle.
710: Left side of the pleats.
720: wrinkle area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ymbols shown in the sheet 110 of FIG. 48
a: Long term.
b: Short axis.
c: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focus.
f: Focus.
p: Center point.
AB: One of the two side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in the rectangular part of the sheet.
CD: One of the two side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in the rectangular part of the sheet.
AD: One of the two sides parallel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in the rectangular part of the sheet.
BC: Another of the two sides parallel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in the rectangular part of the sheet.

Claims (20)

유연한 시트로 제작되는 텃밭용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중앙방향으로 상기 시트의 양 측면을 당겨 올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안쪽으로 오목한 주름을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면; 및 후면;

상기 전면의 주름결합부가, 상기 전면의 주름결합부와 대응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후면의 주름결합부 및 후면의 결합부 중 하나 이상에 결합부재로 결합 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주머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
In a gardening container made of a flexible sheet,
And pulling up both sides of the sheet toward the center of the sheet,
A front surfac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inwardly concave wrinkles, respectively; And rear surface;

Wherein the front surface wrinkling engagement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rinkle engagement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wrinkle-engaging portion and the rear-engag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to form a bag in which plants can be pla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후면이 각각 2개 이상의 주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2] 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each include at least two wrink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반타원형의 형상을 1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2. The pot of claim 1, wherein the sheet comprises at least one semi-elliptical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반타원형의 형상을 2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4. The pot of claim 3, wherein the sheet comprises at least two semi-elliptical shap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네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사각형의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2개의 변을 각각 반타원형의 밑변으로 하는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5. The household applianc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heet has a shape in which two sides parallel to a longitudinal center line of a quadrilateral having the same size of four internal angles are each a base of a semi-elliptical sha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네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사각형의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2개의 변을 각각 2개의 반타원형의 밑변으로 하는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6. The household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heet has a shape in which two sides parallel to a longitudinal center line of a quadrilateral having the same size of four internal angles each have two semi-elliptical b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주름결합부가 후면의 주름결합부에 결합부재로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2] The kitchen utensi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ugated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is coupled to the corrugated portion of the rear surface by a coupling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결합부는 주름의 측면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8] 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wrinkle-binding portion is formed at a side portion of the wrink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주름결합부가 후면의 결합부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2]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ugated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결합부는 주름의 속끝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10] 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7 or 9, wherein the wrinkle-binding por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wrink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의 겉끝부위에 주름형성결합부를 형성하고 결합부재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12] 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wrinkle-forming part is formed at the tip of the wrinkles and is joined by a join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주름결합부가 후면의 주름결합부 및 후면의 결합부에 결합부재로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ugated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결합부는 주름의 측면부위 및 주름의 속끝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12] 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wrinkle-binding portion is formed at a side portion of the wrinkles and an inward portion of the wrink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이 주름결합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2] The kitchen utensi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rinkles extend to the wrinkle-fitting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이 저면에 있는 연통부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15. The kitchen utensil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rrugation extends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서로 연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2] 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uch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너트와 볼트, 나사, 박음질 및 접착제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The housing of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nut, a bolt, a screw, a staple, and an adhesi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접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rinkles are formed by f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2] The kitchen utensi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hanger portion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텃밭용기의 저면에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텃밭용기.
[2] The vegetable garde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ain hole on a bottom surface of the garden pot container.
KR1020130070898A 2013-06-20 2013-06-20 vegetable garden container Active KR101504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98A KR101504421B1 (en) 2013-06-20 2013-06-20 vegetable garden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98A KR101504421B1 (en) 2013-06-20 2013-06-20 vegetable garden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11A true KR20140147511A (en) 2014-12-30
KR101504421B1 KR101504421B1 (en) 2015-03-19

Family

ID=5267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898A Active KR101504421B1 (en) 2013-06-20 2013-06-20 vegetable garden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42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51090A1 (en) * 2017-01-19 2018-07-25 Bacsac Flexible container for crops
US10278335B2 (en) * 2017-01-30 2019-05-07 High Caliper Growing, Inc. Fabric growing trough
WO2022117636A1 (en) * 2020-12-02 2022-06-09 Ulf Gerstberger Planting vessel
US12351534B2 (en) 2019-05-01 2025-07-08 High Caliper Growing, Inc. Compos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013A (en) 2003-04-30 2004-11-25 Green Support:Kk Gardening container comprising nonwoven fabric
KR20040098782A (en) * 2003-05-15 2004-11-26 삼하조경개발주식회사 Net for afforestation
KR100709720B1 (en) 2006-09-08 2007-04-19 이상권 Plant cultivation container manufacturing sheet, plant cultivation container made of the sheet and plant cultivation set using the sheet
KR20130021669A (en) * 2011-08-23 2013-03-06 주식회사 한설그린 Structur for wall green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51090A1 (en) * 2017-01-19 2018-07-25 Bacsac Flexible container for crops
US10278335B2 (en) * 2017-01-30 2019-05-07 High Caliper Growing, Inc. Fabric growing trough
US10470377B2 (en) 2017-01-30 2019-11-12 High Caliper Growing, Inc. Fabric growing trough
US12351534B2 (en) 2019-05-01 2025-07-08 High Caliper Growing, Inc. Composting system
WO2022117636A1 (en) * 2020-12-02 2022-06-09 Ulf Gerstberger Planting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421B1 (en)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122B2 (en) Vertical hanging fabric plant container
CA2966344C (en) Vertical hydroponic tower array fixture system
CN105934149A (en) A container for supplying culture fluid to plant roots in a soilless culture method
JP4976785B2 (en) Roof greening system
US20140370238A1 (en) System for Forming a Vegetative Textile Element
KR101504421B1 (en) vegetable garden container
US922645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rtical hanging plant container
JP2010119317A (en) Plant raising mat
KR101386859B1 (en) The sheet with pockets for green wall and the onstruction method of green wall therewith
KR102626053B1 (en) Plant cultivation pa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21023244A (en) Partition
KR102645814B1 (en) a plant-based plant system
KR20150127504A (en) Stair type sheet 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2486886A (en) Plant wall system and a laminate material for making the system
KR101295376B1 (en) Nature-friendly plant cultivation container
JP6624537B1 (en) Multi-purpose storage unit
JP6554628B1 (en) Multipurpose storage unit
KR101572752B1 (en) Hanging Pouch for Planter
JP6644394B1 (en) Storage tube material
JP7101914B1 (en) Stepped container type partition
JP7083223B2 (en) Member for adding pots with water reservoir
JP2001186816A (en) Hanging bag for flowers and ornamental plants and hanging set for flowers and ornamental plants
KR101641680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CN208940483U (en) A kind of agricultural production landscape structures planted to aerial developing agricultural
JPH11192032A (en) Irrigation tool cultivation soil set, and irrig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