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623A - Clean water system and the movement method of salted water and washing water - Google Patents
Clean water system and the movement method of salted water and washing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7623A KR20140147623A KR1020130071230A KR20130071230A KR20140147623A KR 20140147623 A KR20140147623 A KR 20140147623A KR 1020130071230 A KR1020130071230 A KR 1020130071230A KR 20130071230 A KR20130071230 A KR 20130071230A KR 20140147623 A KR20140147623 A KR 201401476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reated water
- outlet
- filtration apparatus
- pick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223 garn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 i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206 steriliz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8237 rins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5733 Raphanus sativus var nig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abstract 2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abstract 1
- 238000004042 decolor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3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2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221 initi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RHZUVFJBSILHOK-UHFFFAOYSA-N anthracen-1-ylmethanolate Chemical compound C1=CC=C2C=C3C(C[O-])=CC=CC3=CC2=C1 RHZUVFJBSILH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30 anthrac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7 pesticide resid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574 pickled cabb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1263478 Noro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00 il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GIBGUSAECPPNB-UHFFFAOYSA-L nonaaluminum;magnesium;tripotassium;1,3-dioxido-2,4,5-trioxa-1,3-disilabicyclo[1.1.1]pentane;iron(2+);oxygen(2-);fluoride;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2].[O-2].[O-2].[O-2].[O-2].[F-].[Mg+2].[Al+3].[Al+3].[Al+3].[Al+3].[Al+3].[Al+3].[Al+3].[Al+3].[Al+3].[K+].[K+].[K+].[Fe+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 VGIBGUSAECPPN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41000972773 Aulop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1 radio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5 sal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김치공장에서 배추나 무우 등의 농작물 절임 및 세척에 사용한 절임수 또는 세척수의 정수시스템을 구성할 때 내부에 비중이 서로 상이한 여재로 4~6개의 여재층(170)이 구비된 제1여과장치(100)와; 내부에 비중이 상이한 1~3개의 여재층(270)이 구비된 제2여과장치(200); 살균용 오존이나 소독용 차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여 정량 공급하는 살균소독제 생성기(300), 세균 및 바이러스를 걸러주는 정수기(400);로 구성하여
처리수(절임수 또는 세척수)에 함유된 부유물질과 현탁물질을 포함한 유해물질들의 흡착 탈취와 탁도 및 색도 제거와 살균 소독을 행하도록 하고, 드레인 배출구에 의한 드레인 단계와 역세수 공급에 의한 역세 단계로 여재층에 흡착되었던 유해물질의 분리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행하도록 한 것으로서, 절임수의 염분 농도를 그대로 유지시켜서 재사용토록 하기 때문에 고가의 천일염 소금값 및 폐수처리에 따른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어 환경 오염을 방지하면서도 김치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ling and clean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a crop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pickling or washing water used for pickling and washing crops such as Chinese cabbage and radish, A first filtering device 100 having 4 to 6 filter layers 170; A second filtering device 200 having one to three filter media layers 270 different in specific gravity from each other; A disinfecting and disinfecting agent generator 300 for generating sterilizing ozone and disinfecting sodium hypochlorite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a water purifier 400 for filtering bacteria and viruses
It is possible to perform adsorption, deodorization, turbidity and color removal and disinfection of toxic substances including suspended solids an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reated water (pickling water or washing water), and to perform drainage step by drain outlet and backwash step by counter- The separation of toxic substances adsorbed to the filter media layer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asily. Therefore, since the salt concentration of the pickled water can be maintained and reused, it is possible to considerably reduce the costs of expensive salting salt and wastewater treat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production cost of kimchi while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김치를 대량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김치공장에서 배추, 무우 등을 절일 때 사용하는 절임수 및 절여진 배추, 무우를 세척할 때 사용하는 세척수를 정수하여 계속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금값 및 폐수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김치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수량을 최대한 줄여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mchi processing plant for making and selling a large quantity of kimchi, such as pickles, pickled cabbages and radishes used for pickling of Chinese cabbage, radish, etc.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salt value and wastewater treatment by minimizing the amount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kimchi factory by making it possible to keep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clean and to be continuously reused.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절임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식품회사(일례: 김치공장)에서는 배추, 무우 등의 농작물을 대량으로 절일 때 소금을 상당히 많이 녹인 높은 염도의 절임수를 하루에 수십톤씩 만들어 배추, 무우 등을 절일 때 사용하고 있다.Generally, a food company (for example, a kimchi factory) that produces pickles by harvesting crops produces several ten tons of high salty pickles a day, which is a lot of salt when a large amount of crops such as cabbage, radish, Is used when it is used.
즉, 일반적으로 바닷물인 해수의 염도는 3~4% 정도인데 비해 김치를 만들기 위한 절임수의 소금물 농도는 12~16% 정도가 되어야만 하므로 상기의 소금물 농도로 맞추려면 많은 량의 소금을 투입하여야만 하며, 김치의 맛과 양호한 숙성 상태를 위해 절임수는 대부분 일반 소금에 비해 값이 비싼 "천일염"을 사용하고 있다.That is, in general, the salinity of seawater is about 3 to 4%, whereas the salt concentration of salted water for making kimchi must be about 12 to 16%. Therefore, in order to adjust the salt concentration, For the taste and good aging condition of Kimchi, salted seaweed uses "sun salt", which is more expensive than regular salt.
그리고, 배추와 무우 등을 절이기 위해 한번 사용한 절임수에는 미세한 오염물질을 포함하여 잔류농약, 중금속, 탁도, 색도 등이 불순물이 다량 포함되게 되며, 이러한 불순물이 다량 포함된 절임수를 그대로 재사용하여 배추나 무우를 절임하게 되면 절임 상태가 좋지 않게 됨은 물론 절임 과정 후 여러 번 세척하는 과정을 거치더라도 절여진 배추나 무우에 잔류농약, 중금속 등이 배어있게 되므로 발효 숙성도를 저하시켜 맛이 떨어지게 되고,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ckles used once to cut cabbage and radish include fine pesticides, residual pesticides, heavy metals, turbidity, chromaticity, etc., which contain a large amount of impurities. The pickles containing such a large amount of impurities are reused as they are, If pickles are pickled, the pickles are not good, and even if they have been washed several times after the pickling process, residual pesticides and heavy metals in the pickled cabbages and radishes become infeste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health is harm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절임수가 비싼 "천일염"으로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김치공장에서는 배추, 무우 등을 절일 때 수십톤의 절임수를 2 ~ 3회 정도 사용한 후 폐수로 버리기 때문에 절임 과정 때마다 고농도의 절임수를 만들기 위한 천일염 소금값과 물값 부담은 김치 생산원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although most of the Kimchi factories use 2 to 3 times of pickled water of several tens of tons when pickling Chinese cabbage, radish, etc., even though they are made of expensive "salted salmon" as described above, The salt value and the water price burden to make high-concentration pickles every year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production cost of kimchi.
일례로 염분 농도가 12~16%인 약 30t 의 절임수를 만들 때 들어가는 "천일염" 소금값은 약 200만원에 달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절임수를 배추, 무우에 1회만 사용하고 그대로 버릴 경우 그 소금값과 물값은 고스란히 김치의 생산원가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For example, it is said that the salt value of "salt of sun salt" which is used when making salted water of about 30t with a salt concentration of 12 ~ 16% reaches about 2 million won. If you use this salted water only once in Chinese cabbage and radish, The salt value and the water value all contribute considerably to the production cost of kimchi.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절임수로 절여진 배추, 무우 등은 다시 깨끗한 물(이하 '세척수'라 칭함)로 여러 번(4~5회) 헹구어주어야만 하며, 이와 같이 세척수로 여러번 헹구어주는 과정을 행하게 되면 절여진 배추나 무우에서 염분이 적당히 빠지면서 깨끗해지는 반면에 세척수에는 일정량의 염분과 잔류농약 및 중금속 등의 각종 불순물이 포함되게 된다.Then, the Chinese cabbage, radish and the like cut into the pickled water as described above must be rinsed several times (four to five times) with fresh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hing water'). When the process of rinsing with the washing water is performed The salted cabbages and radishes are cleaned with the proper amount of salinity, while the washing water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salt, residual pesticides and various impurities such as heavy metals.
그러므로 종래에는 절인 배추나 무우를 헹구어준 세척수를 각종 불순물의 함유로 인해 3~4회 사용한 후 그대로 배수시켜 버렸다.Therefore, conventionally, the pickled Chinese cabbage or radish washed water was used 3 to 4 times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impurities and then drained as it is.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절임수 및 세척수를 2~3회 및 3~4회 사용하고 난 후 폐수로 버리게 되면 절임수나 세척수에 포함된 염분 농도와 잔류농약, 중금속 등의 각종 불순물들로 인해 그 주변의 환경 오염이 매우 심각하게 발생 되므로 절임수 및 세척수를 버릴 때는 여과 처리과정을 거쳐 버리게 되는데, 이로 인한 폐수처리비용도 결국은 김치의 생산원가 중 일부를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ickled and washed water is used 2 to 3 times and 3 to 4 times and then discarded as wastewater, the concentration of saline contained in the pickled or washed water, various pesticides, heavy metals, Since the pollution occurs very seriously, it is filtered through the process of discarding the pickled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te water treatment cost is also one of the problems that eventually becomes part of the production cost of the kimchi.
그리고, 절임수와 세척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선행기술로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77542호(공개번호 10-2002-0023440호)의 배출절임 염수와 세척수의 처리방법 및 장치가 있으며, 이는 폐염수와 세척수의 부유물을 여과처리하는 3단금속처리조 → 부유물을 재차 여과하는 3단정수처리조 → 여과용 필터 → 살균처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As a prior art developed to recycle the pickled water and the washing water, the method of treating salted and washed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77542 (Publication No. 10-2002-0023440)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Which consists of a three-stage metal treatment tank for filtering the suspended solids and wash water suspension, a three-stage water treatment tank for re-filtering suspended solids, a filtration filter, and a sterilization treatment device.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3단금속처리조와 3단정수처리조는 부유물질과 현탁물질만을 단순 여과처리만 하기 때문에 배추나 무우를 절임하거나 세척할 때 나오는 잔류농약, 중금속 등 각종 유해물질들의 흡착 탈취 및 탁도와 색도까지 효율적으로 제거하지는 못하였으며, 3단정수처리조를 구성하는 모래조 및 활성탄조에 부유물이 많이 흡착되면 여과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그럴 때마다 모래와 활성탄을 모두 빼내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으로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prior art three-stage metal treatment tank and three-stage water treatment tank are only subjected to simple filtration treatment for suspended solids and suspended solids, adsorption / deodorization and turbidity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such as pesticide residues and heavy metals, And the chromaticity can not be efficiently removed. When the flocculant is adsorbed to the sand tank and the activated carbon tank constituting the three-point water treatment tank,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remarkably decreased. Therefore, the sand and the activated carbon need to be removed and replaced every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x is not goo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시스템 및 선행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김치공장에서 배추, 무우 농작물을 절이고 세척할 때 사용하는 대량의 절임수 및 세척수를 보다 저렴한 비용에 효율적으로 정수하여 계속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일염 소금값 및 폐수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배출되는 폐수의 수량을 최대한 줄여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removing a large amount of pickles And cleaning water can be efficiently purified at a lower cost and can be continuously reused so that the cost of salting salt and wastewater treatment can be reduced and the amount of discharged wastewater can be minimized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김치공장에서 배추나 무우 등의 농작물 절임 및 세척에 사용한 절임수 또는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내부에 비중이 서로 상이한 여재로 4~6개의 여재층이 구비된 제1여과장치와; 내부에 비중이 상이한 1~3개의 여재층이 구비된 제2여과장치; 제1여과장치의 처리수 공급관(A)이나 제2여과장치의 2차 처리수관에 설치되며 오존 또는 차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여 정량 공급하는 살균소독제 생성기; 2차 처리수관에 설치되어 세균 및 바이러스를 걸러주는 정수기;로 구성하고,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st filtration apparatus having 4 to 6 filter media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ies from each other in the pickling water or clean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used for pickling and washing crops such as Chinese cabbage and radish in a kimchi factory; A second filtering device having one to three filter media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ies inside; A sterilizing disinfectant generator installed in the treated water supply pipe (A) of the first filtration device or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pipe of the second filtration device and generating ozone or sodium hypochlorite to be supplied in a quantitative manner; And a water purifier installed in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pipe for filtering bacteria and viruses,
제1여과장치와 제2여과장치에서 2차에 걸쳐 부유물질과 현탁물질을 포함한 유해물질의 흡착 탈취 및 탁도와 색도의 제거 단계; 소독제 및 오존을 이용한 살균 소독단계; 제1, 제2드레인 배출구를 통한 드레인단계; 제1, 제2역세수 유입구와 제1, 제2역세수 배출구를 통한 역세수 공급으로 여재층에 흡착되었던 유해물질을 분리시켜 세척하는 역세단계; 처리수공급관으로 처리수를 공급하여 역세단계로 인해 뒤섞인 여러 여재들을 비중을 이용하여 원래 자리로 찾아가게 하는 원위치 단계;를 행하도록 함으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A step of adsorbing and deodorizing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suspended solids and suspended solids, and removing turbidity and chromaticity from the first filtration apparatus and the second filtration apparatus; Disinfecting step using disinfectant and ozone; A drain step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A backwashing step of separating and washing the harmful substances adsorbed to the filter medium layer by the reverse and reverse water suppl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osmosis water inlets and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osmosis water outlets; And an in-situ step of supplying the treated water to the treated water supply pipe to cause the various media mixed with the backwashing step to reach the original place using specific gravity.
이러한 본 발명은 김치공장에서 배추, 무우 등을 절일 때 대량으로 사용하는 절임수 및 세척수의 미세 오염물질과 유해물질들은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염도는 그대로 유지하여 계속 재사용하기 때문에 고가의 천일염 소금값 및 폐수처리에 따른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어 김치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invention effectively removes fine pollutants and harmful substances in pickled water and washing water which are used in large quantities when pickling Chinese cabbage, radish and the like in a kimchi factory, but keeps salinity intact and is continuously reused. Therefore, expensive salted salt value and wastewater treat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kimchi.
또한, 김치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높은 염도와 다량의 각종 오염물질 및 유해물질이 함유된 폐수로 인해 토양과 하천 등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Kimchi factory can be minimized, contamina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soil and river due to high salinity and waste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various pollutants and harmful substances can be minimized.
도 1a 는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이 살균소독제 생성기→제1여과장치→제2여과장치의 순서로 구성된 상태를 일례로 보인 도면
도 1b 는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이 제1여과장치→제2여과장치→살균소독제 생성기의 순서로 구성된 상태를 다른 실시예로 보인 도면
도 2a 는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이 살균소독제 생성기→제1여과장치→제2여과장치→정수기의 순서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보인 도면
도 2b 는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이 제1여과장치→제2여과장치→살균소독제 생성기→정수기의 순서로 구성된 것을 다른 실시예로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이 살균소독제 생성기→제1여과장치→제2여과장치→제3여과장치→정수기의 순서로 구성된 것을 다른 실시예로 보인 도면1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terilizing disinfectant generator, a first filtration device, and a second filtration device in this order;
1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order of the first filtration apparatus -> the second filtration apparatus -> the sterilizing disinfectant generator
2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terilizing disinfectant generator, a first filtration device, a second filtration device, and a water purifier in this order
FIG. 2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order of the first filtration apparatus → the second filtration apparatus → the sterilizing disinfectant generator → the water purifier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terilizing disinfectant generator, a first filtration device, a second filtration device, a third filtration device, and a water purifier in this order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여과장치와 제2여과장치의 앞쪽 또는 뒤쪽에 살균소독제 생성기가 설치된 상태를 구분하여 보인 도면이다.FIGS. 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infecting and disinfecting agent generator is installed in front of or behind a first filtering apparatus and a second filtering apparatus constitut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은 4개 이상의 여과 부재로 다층 여과층을 구성하는 제1여과장치(100)와 1~3개의 여과 부재로 단층 여과층을 구성하는 제2여과장치(200), 살균용 오존이나 소독용 차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살균소독제 생성기(300)로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즉, 김치공장에서 배추나 무우 등의 농작물 절임 및 세척에 사용한 후 재사용하기 위해 이물질을 여과 처리하기 위한 절임수나 세척수(이하 '처리수'라 칭함)는 제1여과장치(100)와 제2여과장치(200)를 차례로 통과시켜 여과하는 것으로서, Namely, the pickled water or the washing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eated water") for filtering the foreign substances to be used for pickling and washing of crops such as Chinese cabbage, radish and the like and then reused in the Kimchi factory is passed through the
상기 제1여과장치(100)는 상부 입구(101)에 전동밸브(111)(121)가 각각 설치된 처리수 유입구(110) 및 제1역세수 배출구(120)를 분기시켜 설치하고, 하부의 출구(102)에는 전동밸브(131)(141)(151)가 각각 설치된 1차 처리수 배출구(130)와 제1역세수 유입구(140) 및 제1드레인 배출구(150)가 분기되어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1여과장치(100)의 내부에는 바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스트레이너(Strainer)(160) 위로 비중이 무거운 것은 아래쪽에 놓이고 비중이 가벼운 것은 위에 놓이도록 하부에서부터 자갈, 모래, 일라이트, 가넷, 제올라이트, 카본, 안드라사이트의 여재로 만들어진 자갈층, 모래층, 일라이트층, 가넷층, 제올라이트층, 카본층, 안드라사이트층 중에서 4 ~ 6개의 여재를 선택하여 4층 이상으로 적층시킨 다층의 여재층(170)이 구비되게 한다.The
상기 제2여과장치(200)는 상부의 입구(201)에 제1여과장치(100)의 1차 처리수 배출구(130)와 1차 처리수관(180)으로 연결되는 1차 처리수 유입구(210) 및 제2역세수 배출구(220)를 각각 전동밸브(211)(221)로 개폐되게 분기시켜 설치하고, 하부의 출구(202)에는 전동밸브(231)(241)(251)가 각각 설치된 2차 처리수 배출구(230)와 제2역세수 유입구(240) 및 제2드레인 배출구(250)가 분기되어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2여과장치(200)의 내부에는 바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스트레이너(Strainer)(260) 위에 서로의 비중이 상이한 여러 여재로 만들어진 자갈층, 모래층, 일라이트층, 가넷층, 제올라이트층, 카본층, 안드라사이트층 중에서 선택된 1 ~ 3개의 단층으로 된 여재층(270)이 구비되게 한다.In the
여기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A)는 상기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유입구(110)에 설치되는 처리수 공급관이고, (180)은 1차 처리수 배출구(130)와 제2여과장치(200)의 1차 처리수 유입구(210)를 연결하는 1차 처리수관이고, (280)은 2차 처리수 배출구(230)에 설치된 2차 처리수관이며, (B)는 제1역세수 유입구(140)와 제2역세수 유입구(240)에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수 공급관이다.A reference numeral A in the drawing denotes a treated water supply pipe installed in the treated
그리고, 살균용 오존이나 소독용 차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는 살균소독제 생성기(300)는 도 1 과 같이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유입구(110)에 설치된 처리수 공급관(A)에 연결하거나 또는 도 2 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제2여과장치(200)의 2차 처리수 배출구(230)에 설치된 2차 처리수관(280)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sanitizing and disinfecting
즉, 보통 김장 김치는 날씨가 차가운 겨울 초입(11월)에 주로 하지만 김치 전용 냉장고 개발로 인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요즈음의 김치공장에서는 계절에 상관없이 많은 량의 김치를 제조하여 사계절 내내 출하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배추나 무우를 절임하고 세척하는 절임수나 세척수에는 계절별로 미생물의 번식율이 서로 상이하게 된다.In other words, Kimchi Kimchi is usually in early winter (November) due to cold weather. However, kimchi factories that can store for a long time due to the development of Kimchi refrigerator are producing kimchi in large quantities regardless of the season. Therefore, the pickling and washing water for pickling and washing Chinese cabbage and radis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breeding rate of microorganisms by season.
이에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기(300)는 처리수 공급관(A)이나 2차 처리수관(280)을 통과하는 처리수의 통과량을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유량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펄스 량에 따라 계절별로 컨트롤부에 설정 입력된 정량의 소독제(차염소산나트륨)나 살균용 오존을 통상의 정량펌프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처리수의 살균 소독이 되게 한다.The sanitizing and disinfecting
여기서, 제1여과장치(100)와 제2여과장치(200)는 상기 자갈층을 여과층으로 사용할 경우는 비중을 2.65 이상이 되는 크기로 하여 스트레이너(160)(260) 바로 위에 자갈이 먼저 깔린 후 그 위로 모래층, 일라이트층, 가넷층, 제올라이트층, 카본층, 안드라사이트층 중에서 선택된 부재의 층이 비중에 따라 적층되어 놓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gravel layer is used as a filtration layer, the
여기서, 상기 자갈층과 모래층은 처리수에 함유된 부유물질 및 현탁물질을 걸러준다.Here, the gravel layer and the sand layer filter the suspended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상기 일라이트층을 구성하는 일라이트(illite)는 물속의 중금속과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각종 부유물질의 흡착 및 탈취와 분해 능력이 뛰어나고, 물에 다량의 용존산소를 발산하여 활성화시켜 주는 물질로서 비중은 약 2.6 ~ 2.9 이다.The illite constituting the illite layer is a substance that excels in adsorption and deodorization and decomposition of various suspended substances including heavy metals and radioactive substances in water and emits a large amount of dissolved oxygen to activate the water. About 2.6 to 2.9.
상기 가넷층을 구성하는 가넷은 물의 미세한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다층 여과 방식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여과재로 비중은 약 2.2 ~ 2.5 이다.The garnet constituting the garnet layer is a filter medium mainly used for a multi-layer filtration method to remove minute floating matters of water, and its specific gravity is about 2.2 to 2.5.
상기 제올라이트층을 구성하는 제올라이트는 나노 크기의 채널이나 동공을 가지는 다공성의 광물질로서, 다른 물질의 흡착, 탈취, 항균 기능이 매우 뛰어나다고 할 수 있으며, 비중은 약 2.2 이다.The zeolite constituting the zeolite layer is a porous mineral having a nano-sized channel or a pore. The zeolite is excellent in adsorption,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s of other materials, and has a specific gravity of about 2.2.
상기 카본층을 구성하는 카본은 활성 탄소의 미세 공극 흡착력을 이용해 물속의 유해물질(불순물, 잔류염소, 유기화학물, 수은, 납, 세균)을 걸러내되 염분과 미네랄은 그대로 통과시키는 밀도를 유지하며, 비중은 약 1.72 ~ 1. 92 이다.Carbon constituting the carbon layer filters the harmful substances (impurities, residual chlorine, organic chemicals, mercury, lead, bacteria) in the water by using the microporous adsorption force of the activated carbon, and maintains the density allowing the salt and minerals to pass therethrough , And specific gravity is about 1.72 to 1.92.
상기 안드라사이트층을 구성하는 안드라사이트(Anthracite)는 석탄을 원료로 하는 탁도 제거용 여과재로 물의 냄새나 맛 등을 흡착하여 주며, 비중이 약 1.4 ~ 1.6 으로 가벼워서 역세척시 부유물질과 현탁물질이 잘 분리되어 세척된다.Anthracite, which constitutes the above-mentioned andthracite layer, absorbs the odor and taste of water with a filter material for turbidity removal using coal as a raw material and has a specific gravity of about 1.4 to 1.6, Well separated and washed.
이러한 본 발명은 김치공장에서 배추나 무우의 절임에 사용한 절임수 또는 절여진 배추나 무우를 세척할 때 사용한 세척수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시켰다가 펌프로 펌핑하여 상기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공급관(A)을 통해 공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저장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곧바로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공급관(A)으로 공급되게 하여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kled water used for pickling of Chinese cabbage or radish or the washed water used for washing pickled cabbage or radish in a kimchi factory is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tank not shown in the figure and pumped with a pump, Water supply pipe A of the
여기서, 도 2a 와 도 2b 는 상기 도 1a 및 1b 의 정수시스템에 정수기를 추가로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Here, FIGS. 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purifier is further installed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FIGS. 1A and 1B.
즉, 제2여과장치(200)의 2차 처리수관(280)에는 양전하필터나 일반 필터가 설치되어 일반 세균, 대장균, 노로 바이러스(식중독균)를 걸러주는 정수기(400)를 연결하여 보다 위생적인 절임수나 세척수로 만들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a positive charge filter or a general filter is installed in the secondary
또한, 정수처리할 처리수의 수량이 더욱 많은 경우에는 도 3 과 같이 상기 제2여과장치(200)의 일측에 또 하나의 제2여과장치(200)를 더 설치하여 처리수가 제1여과장치(100)에서 2개의 제2여과장치(200)를 차례로 거치면서 여과되게 할 수도 있다.When the number of treated water to be purified is further increased, anoth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수를 여과하는 동작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filtering the treated water using the pickling water of the crop and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wash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단계:(처리수의 1차 여과단계)Step 1: (primary filtration step of treated water)
상기 배추나 무우 등의 농작물을 절임하거나 세척할 때 사용한 처리수를 1차 여과할 때는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유입구(110)와 1차 처리수 배출구(130)의 전동밸브(111)(131)는 열어주고, 제1역세수 배출구(120) 및 제1역세수 유입구(140)와 제1드레인 배출구(150)의 전동밸브(121)(141)(151)는 모두 막아준다.When the treated water used for pickling or washing crops such as Chinese cabbage or radish is first filtered, the treated
또한, 제2여과장치(200)의 1차 처리수 유입구(210)와 2차 처리수 배출구(230)의 전동밸브(211)(231)는 열어주고, 제2역세수 배출구(220) 및 제2역세수 유입구(240)와 제2드레인 배출구(250)의 전동밸브(221)(241)(251)는 막아준다.The first
이 상태에서 처리수 공급관(A)을 통해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유입구(110)로 처리수를 공급하면 그 처리수는 제1여과장치(100) 내부에서 비중에 따라 4~6개의 다층으로 적층된 여러 여재층(170)을 차례로 거치면서 처리수에 함유된 부유물질과 현탁물질 및 잔류농약, 중금속 등 각종 유해물질들의 양호한 흡착 및 탈취와 탁도 및 색도가 1차 제거된 다음 하부의 스트레이너(160)를 통해 전동밸브(131)가 열려있는 1차 처리수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tr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treated
제2단계:(처리수의 2차 여과단계)Second step: (Second filtration step of treated water)
상기 제1여과장치(100)의 1차 처리수 배출구(130)와 1차 처리수관(180)을 차례로 거친 처리수는 제2여과장치(200)의 전동밸브(211)가 열려있는 1차 처리수 유입구(210)를 통해 제2여과장치(200) 내부로 유입된다.The tre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treated
이때 제2여과장치(200) 내부의 스트레이너(260) 위에는 비중에 따라 자갈층, 모래층, 일라이트층, 가넷층, 제올라이트층, 카본층, 안드라사이트층 중에서 선택된 1~3개 여재로 구성된 단층 구조의 여재층(270)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1차 처리수에 잔류되어 있던 각종 부유물질과 현탁물질 및 잔류농약,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들은 매우 이상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2차 여과된 처리수는 스트레이너(260)를 거쳐 2차 처리수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At this time, on the
물론 도 3 과 같이 제2여과장치(200)가 복수로 설치된 경우에는 처리수가 2개의 제2여과장치(200)를 차례로 거쳐 여과된 후 다음 단계로 배출된다.
As shown in FIG. 3, when a plurality of the
제3단계:(처리수에 살균제 및 소독제 투입 단계)Step 3: (step of adding disinfectant and disinfectant to the treated water)
이 단계는 도 1a 와 같이 살균용 오존이나 소독용 차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는 살균소독제 생성기(300)를 상기 제1여과장치(100)에 처리수를 공급하는 처리수 공급관(A)에 설치하여 처리수에 살균제 및 소독제가 투입되게 한다.In this step, a disinfecting and disinfecting
여기서, 상기 처리수 공급관(A)을 통해 처리수가 제1여과장치(100)로 공급될 때 살균소독제를 정량펌프에 투입하여 정량 투입되게 하여도 되지만, 도 1a 와 같이 살균소독제 생성기(300)를 구비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량센서가 제1여과장치(100) 내부로 공급되는 처리수의 양을 측정하면 그 측정값을 받은 컨트롤부에 의해 동작되는 살균소독제 생성기(300)가 그 측정값에 알맞는 정량의 살균 소독제(오존 또는 차염소산나트륨)를 자동 투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tr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상기와 같이 투입되는 살균소독제는 제1여과장치(100)에서 여과처리 할 때 처리수의 살균 소독을 함께 행하여 주므로 처리수의 세균이나 미생물 제거 효과가 양호하면서도 처리수가 다층의 여재층(170)을 통해 양호하게 여과될 수 있다.Since the sterilizing disinfectant to be introduc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treated water at the time of filtration treatment in the
여기서, 상기 살균 소독제를 공급하는 살균소독제 생성기(300)는 도 1b 와 같이 제2여과장치(200)의 2차 처리수 배출구(230)에 설치되는 배출라인에 설치하여 살균 소독제인 오존 또는 차염소산나트륨이 2차 여과 처리된 2차 처리수에 정량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B, the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이러한 살균소독제 생성기(300)는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공급관(A)이나 제2여과장치(200)의 2차 처리수관(28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처리수의 세균 및 미생물의 살균 소독율을 높여주므로 재사용하는 절임수 또는 세척수를 위생적으로 만들어준다.The sterilizing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여과장치(200)의 2차 처리수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가 절임수인 경우 그 염분 농도는 12~16%로 일반 바닷물의 염분농도(3~4%)에 비해 상당히 높은 상태인데, 상기와 같이 다층의 여재층(170)이 있는 제1여과장치(100)와 단층의 여재층(270)이 있는 제2여과장치(200)에서 2차에 걸쳐 여과 처리되더라도 각종 부유물질과 현탁물질 및 잔류농약,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들만이 양호하게 제거될 뿐 그 염분 농도는 거의 그대로 유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reated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2차례에 걸쳐 여과처리된 2차 처리수를 곧바로 농산물 절임통으로 공급되게 하거나 또는 별도의 저장수조에 받아 놓았다가 절임통으로 공급되게 하면 다시 소금을 섞지 않고서도 농산물 절임수로 양호하게 계속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f the secondary treated water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filtration treatment twice as described above is directly fed into the pickling tank of the agricultural product or is received in a separate storage tank and then supplied to the pickling tank, the product can be kept in good condition without harvesting the salt again It can be reused.
그리고 상기 2차례에 걸쳐 여과 처리된 처리수가 절임된 농산물의 세척수인 경우에도 세척수에 잔류되어 있던 각종 부유물질과 현탁물질 및 잔류농약,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들이 양호하게 제거되고 염분 농도는 약하게 잔류된 상태이므로 2차 여과된 처리수를 곧바로 농산물 세척통으로 보내거나 별도의 저장통에 받아 놓았다가 세척수로 재사용하면 되므로 세척수의 절수 효과가 뛰어난 것이다.
Also, even in the case of the washing water of agricultural products picked up in the treated water twice, the harmful substances such as suspended substances, suspended substances, residual pesticides and heavy metals remaining in the washing water are well removed and the salt concentration is weakly retained The second filtered water can be immediately sent to the agriculture washing basin or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and then reused as the washing water. Therefore, the water-saving effect of the washing water is excellent.
제4단계:(정수기를 이용한 정수단계)Step 4: (Purification step using water purifier)
이러한 본 발명은 도 2a 및 2b 와 같이 제2여과장치(200)에서 2차 여과되는 2차 처리수의 배출라인에 일반 필터나 양전하필터가 설치된 통상의 정수기(400)를 더 설치하여 2차 처리수가 정수기(400)에서 다시 정수 처리된 후 절임수 또는 세척수로 공급되게 하면 일반 세균, 대장균, 노로 바이러스(식중독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하고 위생적인 깨끗한 절임수 또는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in the present invention, an
제5단계:(여과장치의 드레인 단계)Step 5: (Drain stage of the filtration device)
상기의 제1여과장치(100)와 제2여과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배추나 무우와 같은 농산물을 절일 때 사용한 절임수나 세척수를 장시간 여과 처리하다보면 제1여과장치(100)와 제2여과장치(200)에 내장된 여재층(170)(270)에는 다량의 부유물질과 현탁물질 및 잔류농약, 중금속 등이 과다하게 흡착되므로 효율이 점차 떨어지게 된다.When the pickled water or washing water used for pickling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hinese cabbage or radish is filtered for a long time by using the
이러한 때 본 발명은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유입구(110)와 1차 처리수 배출구(130) 및 제2여과장치(200)의 1차 처리수 유입구(210)와 2차 처리수 배출구(230)의 전동밸브(111)(131)(211)(231)를 막아준 상태에서 제1드레인 배출구(150)와 제2여과장치(200)의 제2드레인 배출구(250)를 열어준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eated
그러면 제1여과장치(100)와 제2여과장치(200) 내부에 채워져 있던 처리수들은 제1드레인 배출구(150) 및 제2드레인 배출구(250)를 통해 전량 배출된다.
The treated water that has been filled in the
제6단계:(역세수를 이용한 역세단계)Step 6: (backwash step with backwash)
상기 드레인이 완료되면 제1여과장치(100)의 제1드레인 배출구(150)와 제2여과장치(200)의 제2드레인 배출구(250)는 전동밸브(151)(251)를 잠궈주고, 제1역세수 배출구(120)와 제1역세수 유입구(140) 및 제2역세수 배출구(220)와 제2역세수 유입구(240)는 전동밸브(121)(141)(221)(241)를 열어준 상태에서 역세수를 제1여과장치(100) 및 제2여과장치(200)에 공급한다.When the drain is completed, the
그러면 역세수는 스트레이너(160)(260)를 거쳐 위로 상승 되어 채워지면서 "자갈층, 모래층, 일라이트층, 가넷층, 제올라이트층, 카본층, 안드라사이트층" 중에서 선택되어 설치된 다층 및 단층의 여재층(170)(270)들을 위로 들어올려 뒤섞어 주면서 여재들에 흡착되어 있던 현탁물질이나 부유물질, 잔류농약,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들을 분리시켜 준 다음 열려있는 제1역세수 배출구(120)와 제2역세수 배출구(220)를 거쳐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다.Then, the reverse segregation water is filled up by the strainer 160 (260) and filled up to form a multi-layered and single-layered filter medium layer selected from "gravel layer, sand layer, ilite layer, garnet layer, zeolite layer, carbon layer, (170) and (270) are lifted up to separate harmful substances such as suspended substances, floating substances, residual pesticides, and heavy metals adsorbed on the filter media. Then,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water discharge openings (120) And is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ationary
상기 역세 작업이 완료되면 제1역세수 배출구(120)와 제2역세수 배출구(220) 및 제1역세수 유입구(140)와 제2역세수 유입구(240)는 닫아 주고, 제1드레인 배출구(150) 및 제2드레인 배출구(250)를 열어준다.When the backwash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first reverse
그러면 제1여과장치(100)와 제2여과장치(200)의 통체 속에 채워져 있던 역세수는 모두 드레인되어 배출되며, 상기와 같이 역세수가 드레인되어 배출되는 동안 제1여과장치(100)와 제2여과장치(200) 내부에 있던 비중이 서로 상이한 여러 여재들(자갈, 모래, 일라이트, 가넷, 제올라이트, 카본, 안드라사이트) 중에서 선택되어 설치된 여재들은 원래의 자리를 찾아가 각자의 층을 이루게 된다.The backwash water filled in the tubular body of the
그 후 제1드레인 배출구(150)와 제2드레인 배출구(250)는 닫아주고 처리수 유입구(110)와 1차 처리수 유입구(210) 및 1차 처리수 배출구(130)와 2차 처리수 배출구(230)는 열어준 상태에서 처리수 공급관(A)을 통해 다시 오염된 절임수나 세척수를 공급하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제1여과장치(100) 및 제2여과장치(200)에서 2차에 걸쳐 여과 처리가 반복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동밸브들은 모두 수동형 밸브로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컨트롤부에 의해 자동으로 여닫히게 하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motor-operated valves may be installed with a manual valv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operated valves ar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unit since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pursued.
A : 처리수 공급관 B : 역세수 공급관
100 : 제1여과장치 110 : 처리수 유입구
120 : 제1역세수 배출구 130 : 1차 처리수 배출구
140 : 제1역세수 유입구 150 : 제1드레인 배출구
160,260: 스트레이너 170,270 : 여재층
200 : 제2여과장치 210 : 1차 처리수 유입구
220 : 제2역세수 배출구 230 : 2차 처리수 배출구
240 : 제2역세수 유입구 250 : 제2드레인 배출구
300 : 살균소독제 생성기 400 : 정수기A: treated water supply pipe B: reverse water supply pipe
100: first filtration device 110: treated water inlet
120: first stationary water outlet 130: first treated water outlet
140: first reverse osmosis water inlet 150: first drain outlet
160, 260:
200: second filtration unit 210: primary treated water inlet
220: second stationary water outlet 230: second treated water outlet
240: Second countertop water inlet 250: Second drain outlet
300: disinfectant disinfectant generator 400: water purifier
Claims (6)
내부의 스트레이너(160) 위로 자갈, 모래, 일라이트, 가넷, 제올라이트, 카본, 안드라사이트의 여재 중에서 비중이 상이한 4~6개 여재로 된 다층의 여재층(170)이 구비된 제1여과장치(100)와;
내부의 스트레이너(260) 위로 상기의 여러 여재 중에서 비중이 상이한 1~3개의 여재로 된 여재층(270)이 구비된 제2여과장치(200);
살균용 오존이나 소독용 차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여 정량 공급하는 살균소독제 생성기(300)로 정수시스템을 구성하며
상기 제1여과장치(100)의 상부 입구(101)에는 전동밸브(111)(121)가 설치된 처리수 유입구(110) 및 제1역세수 배출구(120)를 분기시켜 설치하고, 하부 출구(102)에는 전동밸브(131)(141)(151)가 설치된 1차 처리수 배출구(130)와 제1역세수 유입구(140) 및 제1드레인 배출구(150)를 분기시켜 설치하며,
상기 제2여과장치(200)의 상부 입구(201)에는 제1여과장치(100)의 1차 처리수 배출구(130)와 연결되는 1차 처리수 유입구(210) 및 제2역세수 배출구(220)를 전동밸브(211)(221)로 개폐되게 분기시켜 설치하고, 하부 출구(202)에는 전동밸브(231)(241)(251)가 구비된 2차 처리수 배출구(230)와 제2역세수 유입구(240) 및 제2드레인 배출구(250)를 분기시켜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In constructing a juice or pickl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used for pickling and washing of crops such as cabbage and radish in the Kimchi factory,
A first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multilayered filter medium layer 170 composed of 4 to 6 filter media different in specific gravity from filter media of gravel, sand, ilite, garnet, zeolite, carbon and andesite on the inner strainer 160 100);
A second filtration apparatus 200 having a filter medium layer 270 composed of one to three filter media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among the various filter media above the inner strainer 260;
A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agent generator 300 for generating sterilizing ozone and disinfecting sodium hypochlorite,
The treated water inlet 110 and the first reverse water discharge outlet 120 provided with the electromotive valves 111 and 121 are branched and installed in the upper inlet 101 of the first filtration apparatus 100 and the lower outlet 102 A first treated water discharge port 130 provided with electromotive valves 131, 141 and 151, a first reverse water inlet 140 and a first drain outlet 150 are branched,
A first treated water inlet 210 and a second treated water outlet 220 connected to the first treated water outlet 130 of the first filtering device 100 are connected to the upper inlet 201 of the second filtering device 200, And the second outlet 202 is provided with a second treated water outlet 230 provided with the electric valves 231, 241 and 251 and a second outlet The water inlet 240 and the second drain outlet 250 are branched
And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washing water.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기(300)는,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공급관(A)과 제2여과장치(200)의 2차 처리수관(28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nitizing / disinfecting agent generator 300 may include:
Is installed in any one or both of the treated water supply pipe (A) of the first filtration apparatus (100) and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pipe (280) of the second filtration apparatus (200) .
제2여과장치(200)의 처리수가 배출되는 2차 처리수관(280) 말미에 일반필터 또는 양전하필터가 구비된 정수기(400)를 설치하여
세균 및 바이러스가 걸러진 2차 처리수를 절임수 또는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water purifier 400 equipped with a general filter or a positive charge filter is installed at the tail of the secondary water pipe 280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of the second filtering device 200 is discharged
Wherein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filtered by bacteria and viruses can be reused as pickling water or washing water.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정수시스템을 이용하여
제1여과장치(100)는 처리수 유입구(110)와 1차 처리수 배출구(130)를 열어주고, 제1역세수 배출구(120) 및 제1역세수 유입구(140)와 제1드레인 배출구(150)는 막아주며, 제2여과장치(200)는 1차 처리수 유입구(210)와 2차 처리수 배출구(230)를 열어주고, 제2역세수 배출구(220) 및 제2역세수 유입구(240)와 제2드레인 배출구(250)를 막아준 상태로 처리수를 공급하여 다층 여재층(170)과 단층 여재층(270)에서 2~3차에 걸쳐 처리수에 함유된 부유물질과 현탁물질을 포함한 유해물질들의 흡착 탈취와 탁도 및 색도가 제거되게 하는 단계;
제1여과장치(100)에 처리수를 공급할 때 또는 제2여과장치(200)에서 2차 처리수를 배출할 때 살균 소독제를 공급하는 단계;
제1여과장치(100)의 처리수 공급관(A)과 1차 처리수 배출구(130) 및 제2여과장치(200)의 1차 처리수 유입구(210)와 2차 처리수 배출구(230)는 막아주고, 제1드레인 배출구(150)와 제2드레인 배출구(250)는 열어주어 제1여과장치(100)와 제2여과장치(200)에 채워진 처리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단계:
상기 드레인 단계 완료 후 제1, 제2여과장치(100)(200)의 제1, 제2드레인 배출구(150)(250)는 막아주고 제1, 제2역세수 배출구(120)(220)와 제1, 제2역세수 유입구(140)(240)는 열어준 상태로 역세수를 공급하여 여재층(170)(270)에 흡착되었던 유해물질을 분리시키는 역세 작업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동작방법.
A method of operation of a pickling or rins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used for pickling and washing crops such as cabbage and radish in a Kimchi factory,
Us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claim 1 or 2,
The first filtration unit 100 opens the treated water inlet 110 and the first treated water outlet 13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everse water discharge outlet 120 and the first reverse water discharge inlet 140 and the first drain discharge outlet And the second filtering device 200 opens the first treated water inlet port 210 and the second treated water outlet port 230 and the second reverse water discharge port 220 and the second reverse water inlet port 240 and the second drain outlet 250 are closed to supply the treated water in the multi-layered filter medium layer 170 and the single-layered filter medium layer 270 in the second to third stages, And removing the turbidity and chromaticity of the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the harmful substances;
Supplying a sterilizing disinfectant when supplying treated water to the first filtration apparatus (100) or discharging the second treated water from the second filtration apparatus (200);
The first treated water inlet port 210 and the second treated water outlet port 230 of the treated water supply pipe A of the first filtration apparatus 100 and the first treated water discharge port 130 and the second filtration apparatus 200 And a drain step of opening the first drain outlet 150 and the second drain outlet 250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filled in the first filter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filtering device 200,
After completion of the drain step, the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150 and 250 of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apparatuses 100 and 200 are closed and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water outlets 120 and 220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water inlet ports 140 and 240 are a backwashing operation for separating harmful substances adsorbed to the filter media 170 and 270 by supplying backwash water in an open state;
Wherein the water is collected from the crops.
상기 역세 작업단계 후
제1, 제2역세수 배출구(120)(220) 및 제1, 제2역세수 유입구(140)(240) 막아 주고 제1, 제2드레인 배출구(150(250)는 열어주어
제1, 제2여과장치(100)(200)의 역세수가 드레인되는 동안 비중이 상이한 여러 여재층(170)(270)들이 원래의 자리를 찾아가도록 하는 여재층 원위치 단계;
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동작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fter the backwashing step
The first and second drainage outlets 120 and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drainage outlets 140 and 240 are closed and the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150 and 250 are opened
A plurality of filter media layers 170 and 270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ies while the backwaters of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devices 100 and 200 are drained;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2여과장치(200)를 통해 배출되는 2차 처리수는,
일반 필터 또는 양전하필터가 설치된 정수기(400)로 정수 처리하여 공급하는 단계;
를 추가로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동작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apparatus 200,
Treating the purified water with a water purifier 400 equipped with a general filter or a positive charge filter;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71230A KR20140147623A (en) | 2013-06-20 | 2013-06-20 | Clean water system and the movement method of salted water and washing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71230A KR20140147623A (en) | 2013-06-20 | 2013-06-20 | Clean water system and the movement method of salted water and washing wat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47623A true KR20140147623A (en) | 2014-12-30 |
Family
ID=5267636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71230A Ceased KR20140147623A (en) | 2013-06-20 | 2013-06-20 | Clean water system and the movement method of salted water and washing wa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147623A (en)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883346A (en) * | 2016-02-03 | 2018-11-23 | 霍尼韦尔国际公司 | Water filter filter core and the method for crossing drainage using it |
| KR102116109B1 (en) * | 2019-10-25 | 2020-05-27 |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 Centrifugal stirring type adsorption filtering apparatus |
| KR20210054697A (en) * | 2019-11-06 | 2021-05-14 | 양동규 | System for manufacturing rice cake comprising cooling water circulation means |
| WO2020228865A3 (en) * | 2020-07-31 | 2021-06-10 | 苏州普轮电子科技有限公司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 CN113893604A (en) * | 2021-10-18 | 2022-01-07 | 安及义实业(上海)有限公司 | Double-filtering station capable of being alternately used |
| CN114917379A (en) * | 2022-05-23 | 2022-08-19 |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 Filter sterilization method |
| KR20230139419A (en) * | 2022-03-25 | 2023-10-05 | 농업회사법인 한성비엔에이(주) | Recycling System of Waste Salt Water |
-
2013
- 2013-06-20 KR KR1020130071230A patent/KR2014014762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883346A (en) * | 2016-02-03 | 2018-11-23 | 霍尼韦尔国际公司 | Water filter filter core and the method for crossing drainage using it |
| KR102116109B1 (en) * | 2019-10-25 | 2020-05-27 |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 Centrifugal stirring type adsorption filtering apparatus |
| KR20210054697A (en) * | 2019-11-06 | 2021-05-14 | 양동규 | System for manufacturing rice cake comprising cooling water circulation means |
| WO2020228865A3 (en) * | 2020-07-31 | 2021-06-10 | 苏州普轮电子科技有限公司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 CN113893604A (en) * | 2021-10-18 | 2022-01-07 | 安及义实业(上海)有限公司 | Double-filtering station capable of being alternately used |
| KR20230139419A (en) * | 2022-03-25 | 2023-10-05 | 농업회사법인 한성비엔에이(주) | Recycling System of Waste Salt Water |
| CN114917379A (en) * | 2022-05-23 | 2022-08-19 |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 Filter steriliza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40147623A (en) | Clean water system and the movement method of salted water and washing water | |
| CA2607713C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 US20220145596A1 (en) | Residential grey water recycling system | |
| CN101774710B (en) | Membrane separation structure optimizing system for purified water preparation | |
| CN103771644A (en) | Multifunctional water purifier | |
| US20180021734A1 (en) |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located in a water reservoir | |
| US6953525B2 (en) | Potable water treatment plant and method of maintaining same | |
| DE10016365B4 (en) | Process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 |
| KR20130069973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thereof | |
| KR20160105262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cleaning system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
| CA2916669C (en) |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sulfates from water | |
| KR20100020563A (en) | Water cleaning apparatus | |
| KR100509321B1 (en) | Multipurpose intergrated water purification system | |
| KR101445209B1 (en) | Apparatus for Movable Supplying Beverage | |
| KR101300655B1 (en) |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aline water or washing water | |
| RU2360870C1 (en) | Method of water (versions)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and plant for water (versions)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 |
| KR100703233B1 (en) | Recycling System of Sewage Treatment Water for Agricultural Water and Its Use Method | |
| RU71650U1 (en) | WATER CLEANING AND DISINFECTION SYSTEM (OPTIONS) | |
| KR20010038557A (en) | purification sysytem of a water purifier | |
| KR101170832B1 (en) | Water-purifying treatment device | |
| CN204569597U (en) | A kind of efficient sterilizing device and there is the swimming-pool water cycle for the treatment of system of this device | |
| JP3220792B2 (en) | Circulating fish breeding equipment and decontamination method | |
| CN1297490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river and lake water | |
| CN104528996A (en) | High-efficiency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 and swimming pool water treatment circulating system with sterilization device | |
| ES2340656B1 (en) | PROCEDURE AND INSTALLATION FOR HYGIENIZATION OF FOOD AND OTHER ITEMS, WITH RECYCLING OF WATER USE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5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5101000546 Request date: 20150202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02 Effective date: 20150421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042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50202 Decision date: 20150421 Appeal identifier: 20151010005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