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551A - Method of providing expanded support for target image handling in augmented reality by database multi-mounting in a single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expanded support for target image handling in augmented reality by database multi-mounting in a single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1551A KR20150001551A KR1020130074969A KR20130074969A KR20150001551A KR 20150001551 A KR20150001551 A KR 20150001551A KR 1020130074969 A KR1020130074969 A KR 1020130074969A KR 20130074969 A KR20130074969 A KR 20130074969A KR 20150001551 A KR20150001551 A KR 20150001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rget image
- augmented reality
- database
- image
- databas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지원함으로써 증강현실의 품질을 제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활용이 허용된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이 조악하고 프로세싱 시간도 늦어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의 단일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여 순차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증강현실에 관한 기술규격을 만족하면서도 기존에 비해 훨씬더 많은 타겟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증강현실의 품질 제고 및 프로세싱 시간의 단축을 달성하며 증강현실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an augmented reality by support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when an augmented reality is realized. In particula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augmented reality result is poor and the processing time is delayed because the target image that is allowed to be used when implementing the augmented reality in the electronic device is limited, a database is stored in a single memory sp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utilize much more target images than conventional ones while satisfying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related to the augmented reality,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ugmented reality and shortening the processing time and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users .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지원함으로써 증강현실의 품질을 제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an augmented reality by support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when an augmented reality is realized.
특히,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활용이 허용된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이 조악하고 프로세싱 시간도 늦어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의 단일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여 순차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증강현실에 관한 기술규격을 만족하면서도 기존에 비해 훨씬더 많은 타겟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증강현실의 품질 제고 및 프로세싱 시간의 단축을 달성하며 증강현실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augmented reality result is poor and the processing time is delayed because the target image which is allowed to be utilized when implementing the augmented reality in the electronic device is limited, a database is stored in a single memory sp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utilize much more target images than conventional ones while satisfying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related to the augmented reality,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ugmented reality and shortening the processing time and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users .
스마트폰과 같은 고성능의 카메라 장착형 모바일 기기가 폭발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With the explosion of high-performance camera-equipped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new services through Augmented Reality in such electronic devices.
이러한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즉,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현실세계에 컴퓨터 그래픽 처리를 통해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실시간으로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This augmented reality is a technique of superimposing virtual objects on the real world seen by the user. That is, it is called Mixed Reality (MR) because the virtual world which has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computer graphics processing is displayed on the real world by the user in real time.
이처럼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에 대해 가상세계를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유익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현실 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 기술로 창조한 가상 그래픽 영상을 오버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augmented reality is to add virtual world to the real world to provide useful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user. That is, the virtual graphic image created by the computer technology is overlapped with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al environment.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실세계 즉, 실제 환경에 부가하기 위한 타겟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즉, 실제 환경에 가상의 영상을 겹쳐서 표시하기 위해서는 그 겹쳐서 표시하기 위한 타겟 영상이 필요하다.In order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in an electronic device, a target image is required to be added to a real world, that is, a real environment. That is, in order to superimpose and display a virtual image in an actual environment, a target image for overlapping display is required.
그런데, 현재 증강현실 플랫폼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있다. 즉, 가상현실의 설계자가 소망하는 만큼의 타겟이미지를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는 기존에 증강현실 기술이 특정의 서비스를 대상으로 설계된 것이기 때문인데, 예컨대 유명 커피체인점인 스타벅스에서 매장찾기와 쿠폰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목적으로 활용될 것을 가정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라면 스타벅스 로고 이미지와 커피 이미지, 그리고 쿠폰 이미지 정도만 있으면 되므로 타겟이미지를 제한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다.However, currently available augmented reality platforms have limited target images. That is, there is a limit that the designer of the virtual reality can not sufficiently utilize the target image as much as desired. This is because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designed for a specific service. For example, Starbucks, a famous coffee chain, is supposed to be used for a specific purpose of providing a store search service and a coupon providing service. It is preferable to restrict the target image because only the Starbucks logo image, the coffee image, and the coupon image are required.
하지만 이러한 타겟이미지의 제한은 증강현실 기술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특화되고 단순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라면 소수의 타겟이미지로도 충분하지만, 서비스의 범위를 넓히려고 한다면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있다는 점이 큰 장애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서비스나 길거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증강현실을 적용하려면 타겟이미지가 다수 필요하기에 장애요인이 된다.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target image is a result of limiting the scope of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lthough a small number of target images are sufficient for realizing a specialized and simple ser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a great obstacle that the target image is limited if the service is widened. For example, applying augmented reality to a navigation service or a street monitoring system is a hindrance to many target images.
종래기술에서는 이처럼 타겟이미지가 제한됨에 따라 증강현실 기술의 적용범위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소수의 타겟이미지를 사용하여 억지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당초 목표에 비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이 조악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외면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 프로그램이 적절한 타겟이미지를 찾지못하여 반복 탐색함으로 인해 타겟이미지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세싱 시간이 오히려 길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narrowed as the target image is limited. When the image is forcedly implemented using a small number of target images, the quality of the augmented reality result is poorer than the original target, There was a problem getting out. Also, since the control program can not find an appropriate target image and search it repeated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ing time is rather long even though the target image is small.
따라서 증강현실에 관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증강현실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and utilize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efficiently.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지원함으로써 증강현실의 품질을 제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an augmented reality by support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when realizing an augmented reality.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활용이 허용된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이 조악하고 프로세싱 시간도 늦어지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자기기의 단일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여 순차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증강현실에 관한 기술규격을 만족하면서도 기존에 비해 훨씬더 많은 타겟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증강현실의 품질 제고 및 프로세싱 시간의 단축을 달성하며 증강현실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augmented reality result is poor and the processing time is delayed because the target image that is allowed to be utilized when implementing the augmented reality in the electronic device is limited, It is possible to utilize much more target images than existing ones while satisfying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related to the augmented reality, thereby achieving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the augmented reality and the shortening of the processing time, To increase the power of the system.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하여 증강현실에서 타겟이미지를 확장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전자기기에 구비된 단일 메모리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여 로딩하는 제 1 단계; 카메라로 촬영한 현실세계의 획득영상을 제공받는 제 2 단계; 획득영상에 매칭되는 타겟이미지를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제 3 단계; 데이터베이스 검색 중에 획득영상과 매칭되는 타겟이미지를 발견하면 그 발견된 타겟이미지와 매칭되는 증강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제 4 단계; 그 획득된 증강이미지를 획득영상에서 위 발견된 타겟이미지의 위치에 오버레이 표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xtending and supporting a target image in augmented reality through a database multi-mount of a single memory,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multi-mounting and loading a plurality of databases in a single memory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 A second step of receiving an acquired image of a real world photographed by a camera; A third step of sequentially searching a plurality of databases for a target image matching an acquired image; A fourth step of acquiring, from the database, an enhancement image matching with the found target image when a target image matching the acquired image is found during the database search; And a fifth step of overlaying the acquired enhancement image on the position of the target image found in the acquired image.
본 발명에서 제 1 단계에서 다중 마운트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은 단일 메모리에 한번에 올릴 수 있는 분량의 타겟이미지를 구비하고, 제 3 단계는, 획득영상으로부터 특정 오브젝트를 발견하는 단계;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타겟이미지를 검색하고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겟이미지 발견에 실패하는 경우에 다음의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여 검색을 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multiple-mounted databases in the first step has a target image amount that can be loaded in a single memory at a time, and the third step includes: finding a specific object from the acquired image; Searching for a target image corresponding to the object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databases, and performing a search by moving to the next database when the target image discovery fails in one database.
또한, 본 발명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전자기기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접속되는 하나이상의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3 단계에서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순서는 내부 데이터베이스보다 후순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nal databases previously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at least one external database externally connec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In the third step, the search order of the external database is set to be subordinate to the internal database .
또한, 본 발명에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XML 파일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 1 단계에서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매개하는 XML 파일을 단일 메모리에 모두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databases are connected via an XML file, and in the first step, all of the XML files mediating a plurality of databases are loaded into a single memor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Meanwhil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target image extension of augmented reality through a database multiple mount of a single memory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전자기기에서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된 갯수의 타겟이미지를 활용할 있게 되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을 제고하고 프로세싱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증강현실 사용자의 만족도가 제고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an utilize a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target images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reby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augmented reality result and shortening the processing time, thereby ultimately enhanc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tisfaction of a real user is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플랫폼을 갖는 스마트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에서 증강현실이 실행될 경우의 제어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 모드에서 타겟이미지를 처리하는 제어 순서도,
[도 4]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 호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단일 메모리에 다중 마운트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타겟이미지를 이동 검색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증강현실에 관한 기술규격을 만족하면서 단일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함으로써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활용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타겟이미지를 이동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나타내는 도면.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mart terminal having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dure when an augmented reality is executed in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flowchart for processing a target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 of a target image call in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5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target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6 illustrates a concept of moving and searching a target image using a multi-mounted database in a single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us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by multi-mounting a database in a single memory while satisfying a technical standard related to the augmented reality.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program source code showing a process of moving and searching a target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는 카메라와 같은 화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와 모니터와 같이 획득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컴퓨터, 개인휴대단말, 태블릿 PC, 이동전화기, 화상전화기, 스마트폰, 핸드헬드 장치, 게임 콘솔, 전자보드, 전자 사인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device for acquiring an image such as a camera and a device for displaying an acquired screen, such as a monitor, and may b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tablet PC, a mobile phone, Smart phones, handheld devices, game consoles, electronic boards, electronic sign board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플랫폼을 갖는 스마트 단말(100)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mart terminal 100 having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말통신부(101)는 안테나, 무선처리 모듈, 모뎀 등을 구비하여 스마트 단말(100)이 이동통신망이나 각종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외부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해준다.First,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01 includes an antenna, a wireless processing module, a modem, and the like so that the smart terminal 100 can acces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various wired / wireless networks to perform digit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카메라 모듈(110)은 촬영부(103)와 화상처리부(105)로 이루어지는데, 촬영부(103)는 렌즈, 렌즈구동 모터, 영상 센서를 구비하고 화상처리부(105)는 센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 변환하는 회로를 구비한다. 화상처리부(105)는 촬영 신호를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고 각종 부가정보(예: EXIF)를 추가하여 단말제어부(111)로 제공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07)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감지 센서와 버튼 형식의 키 입력을 위한 키 버튼 등을 구비하고, 이들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단말제어부(111)로 제공한다.The
디스플레이부(108)는 LCD 판넬이나 LED 판넬로서 단말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 단말(100)의 상태를 표시하고, 현실세계의 촬영영상과 증강이미지를 결합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메모리부(109)는 스마트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로서 램(RAM), 롬(ROM), 플래시메모리, MRAM(자성체 램), PRAM(상변화 램), FRAM(강유전체 램),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09)는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09 is a module that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100 and includes a RAM, a ROM, a flash memory, an MRAM (magnetic material RAM), a PRAM ), A FRAM (ferroelectric RAM), a web disk, and a cloud disk.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09 may store various kinds of data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말제어부(111)는 스마트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 처리를 수행한다. 단말제어부(111)에서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100)에서 증강현실이 실행되는 경우의 제어 순서도이다,FIG. 2 is a control flowchart when an augmented reality is executed in the smar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S300 단계에서 단말제어부(111)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상태란 스마트 단말(100)로 호가 착신되거나 사용자 입력부(107)를 통해 입력이 제공되기를 대기하는 상태를 의미한다.First, in step S300, the
이처럼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입력이 존재하면 단말제어부(111)는 S302 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모드가 요구되었는가를 검사한다. S302 단계의 검사결과 촬영모드가 요구된 경우 단말제어부(111)는 S30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S32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If there is an input while maintaining the standby state, the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순서도는 증강현실이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순서도이므로 S302 단계에서 촬영모드가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The flowchart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flowchart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n augmented reality is applied, so a situation in which a shooting mode is not required in step S302 will not be described.
S302 단계의 검사결과 촬영모드가 요구된 경우 단말제어부(111)는 S304 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모듈(110)을 구동한다. 카메라 모듈(110)을 구동한다는 의미는 촬영부(103)의 렌즈를 투과한 빛을 수광하고 빛의 밝기와 색상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획득하며, 화상처리부(105)에서 획득된 영상을 단말제어부(111)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S304 단계에서 단말제어부(111)는 획득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8)에 미리보기 표시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2 that the photographing mode is requested, the
그리고 나서 단말제어부(111)는 S306 단계로 진행하여 증강현실의 적용이 요구되는 설정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증강현실의 적용은 사용자가 촬영모드를 실행하기 전이나 촬영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스마트 단말(100)의 설정메뉴를 조작하여 인에이블 설정할 수 있다.Then, the
S306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의 적용이 요구되면 단말제어부(111)는 S310 단계로 진행하여 증강현실 적용 모드로 진행한다. 반면에 S306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 적용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S308 단계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6 that the applic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s required, the
여기서 촬영모드를 수행한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보기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특정한 정지 영상의 촬영 또는 동영상의 녹화가 요구되는가를 검사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Here, the execution of the shooting mode refers to an operation for checking whether a specific still image is photographed or a video is recorded while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preview form and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 모드에서 타겟이미지를 처리하는 제어 순서도이다.[Figure 3] Figure 3 is a control flowchart for processing a target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말제어부(111)는 증강현실 모드로 진행하면, S400 단계에서 메모리부(109)에 존재하는 모든 xml(타겟이미지의 데이터베이스)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하고, 그 검색할 xml의 순서를 결정한다. 이때, 증강현실 모드에서는 현실세계에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검색대상 오브젝트를 미리 설정해야 한다.When the
이때, 검색대상 오브젝트를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획득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고 카메라가 포커싱한 영역일 수도 있으며 증강현실 전용의 소프트웨어에서 획득영상을 분석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00)에서 자체적으로 획득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 밖에도 현재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현실세계의 획득영상으로부터 검색대상 오브젝트를 발견할 수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setting an object to be searched may be a region in which a user sets a specific region in an acquired image, a region focused by a camera, and an acquired image by analyzing an acquired image in software dedicated to augmented reality. It is possible to enlarge or reduce the image obtained by itself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r to find the object to be searched from the acquired image of the real worl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utiliz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는 xml(타겟이미지의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순서를 미리 결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메모리부(109)로부터 xml을 그때그때 무작위로 읽어와 순차적으로 하나씩 검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search order of xml (the database of the target image) may not be determined in advance. That is, xml may be read from the memory unit 109 at that time and then sequentially retrieved one by one.
그러면 먼저 증강현실에서 사용되는 타겟이미지에 대하여 살펴본다.Then we first look at the target image used in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실세계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사물이나 스마트 단말(100)로 출력하기 위한 타겟이미지가 필요하다. 현재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타겟이미지의 숫자가 제한되어 있기에 다양한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ugmented reality requires a target image for outputting a virtual object or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100 using information acquired in the real world. In the augmented reality platform, which is currently used as a standard, the number of target images that can be used is limit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뷰포리아(Vuforia)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증강현실에서는 타겟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xml 파일을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함으로써 타겟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We will discuss how to use the target image in a commonly used Vuforia augmented reality platform. In augmented reality, a target image can be used by adding an xml file including a target image to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 호출의 개념을 나타내는 일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cept of a target image call in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먼저 증강현실 소프트웨어는 획득영상에서 특정한 이미지 예컨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잘게 짤린 나무조각을 검색대상 오브젝트로 식별하고, 이를 타겟이미지로 삼아 xml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타겟이미지는 증강이미지와 매칭되어 xml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데, 예컨대 [도 4(a)]의 나무조각이라는 타겟이미지에 대해 [도 4(b)]의 도자기 주전자가 증강이미지로서 매칭되어 xml 파일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이처럼 타겟이미지과 증강이미지를 매칭시켜 xml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First, the augmented reality software can identify a piece of wood in the acquired image as a search target object, as shown in Fig. 4 (a), and retrieve the xml file as a target image. The target image is matched with the augmented image and stored in the xml file. For the target image, for example, a piece of wood of Fig. 4 (a), the porcelain kettle of Fig. 4 (b) May be stored. Conventionally, the target image and the enhancement image are generally matched and stored as an xml file.
그러면 사용자가 [도 4(c)]와 같이 스마트 단말(100)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당해 영상에 대응한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가를 xml 파일로부터 검색한다. 이렇게 xml 파일을 검색한 결과, 매칭되는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한 증강이미지를 오버레이 표시하는 것이다.When the user acquires an image using the smart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4 (c), the user searches the xml file to see if there is a target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As a result of searching the xml file, if there is a matching target image, the corresponding enhancement image is overlaid.
이를 [도 4(c)]를 이용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와 같은 형태의 그림(501)을 스마트 단말(100)로 촬영하면 스마트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참조부호 511과 같은 형태로 촬영된 이미지가 나타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c). 4 (a)] is photographed by the smart terminal 100, the photograph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terminal 100 in the same shape as the
이때, 스마트 단말(100)에서 증강현실이 요구된 경우 511의 이미지에서 잘게 짤린 나무조각라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이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겟이미지로 설정하여 xml 파일을 검사한다. [도 4(a)]의 타겟이미지가 xml 파일에 존재하면 그에 대응하여 참조부호 502와 같은 [도 4(b)]의 도자기 주전자 이미지를 증강이미지로서 획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타겟이미지 위에 증강이미지가 오버레이 표시되어 [도 4(c)]의 영상이 획득된다.At this time, if the augmented reality is requested from the smart terminal 100, an object called a piece of wood chopped in the image of 511 is identified and set as a target image as shown in Fig. 4 (a) do. If the target image of FIG. 4 (a) is present in the xml file, a porcelain kettle image of FIG. 4 (b) such as 502 may be obtained as an enhancement image. Thus, the augmented image is overlaid on the target image (Fig. 4 (c)).
이는 특정한 위치에서 거리의 이름을 획득하거나 또는 특정한 가게의 모습이 촬영되면, 다녀간 손님들의 품평 결과를 표시하는 등 최근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실생활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It is provided to use various augmented reality in real life by using the latest augmented reality, such as acquiring the name of the street at a specific location or displaying the result of a review of a shop when a specific shop is photographed.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의 기술규격에 따르면 증강현실에서 타겟이미지와 증강이미지를 매칭시킨 조합을 100개까지만 넣을 수 있도록 제한되어 있다. 즉, xml 파일에는 타겟이미지와 증강이미지의 조합을 100개까지만 정의할 수 있는 것이며 그렇게 배경은 전술한 바와 같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ical standard, the number of combinations of the target image and the enhancement image that match the target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is limited to 100. That is, in the xml file, only up to 100 combinations of the target image and the enhancement image can be defined, and the background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이러한 제약사항을 준수하면서도 타겟이미지를 확장하여 사용하는 방법론으로부터 단일 메모리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고 이들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대해 xml 파일을 로딩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ique for multiple-mounting a plurality of databases in a single memory and loading an xml file for each of these databases from a methodology of extending and using a target image while obeying these constraints.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gain.
단말제어부(111)는 S400 단계에서 메모리부(109) 내에 존재하는 모든 xml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하고 이들 검색대상 xml에 순번을 정한다. 예를 들어 5개의 xml이 존재하면 이들 xml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후 각각의 xml마다 하나씩 순번을 정한다. 최초 검색될 xml을 제 1 데이터베이스로, 두 번째 검색할 xml을 제 2 데이터베이스로, 세 번째 검색할 xml을 제 3 데이터베이스로, 네 번째 검색할 xml을 제 4 데이터베이스로, 마지막 다섯 번째 검색할 xml을 제 5 데이터베이스로 순번을 설정한다.In step S400, the
이때, 스마트 단말(100)의 단일 메모리부(109)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고 타겟이미지와 증강이미지의 조합을 정의하는 xml 파일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로 로딩된 상태이다.At this time, an xml file that mounts a plurality of databases in a single memory unit 109 of the smart terminal 100 and defines a combination of a target image and an augmented image is loaded in each database.
이후 단말제어부(111)는 S402 단계로 진행하여 검색 대상의 xml 내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한다. 즉, 획득영상에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색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Then, the
[도 5]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 하나에는 개별적으로 최대 100개까지의 타겟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참조부호 601, 602, …, 603으로 표시된 최대 100개의 타겟이미지에 대해 참조부호 611, 612의 어느 한가지 방향으로 순서대로 타겟이미지를 검색한다.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target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Each database shown in FIG. 5 may include up to 100 target images individually. That is,
즉, 단말제어부(111)는 S402 단계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런 후 단말제어부(111)는 S404 단계에서 검색대상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S408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S406 단계로 진행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먼저 S406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S406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당해 xml 파일에서 타겟이미지를 발견하지 못한 상황이므로 단말제어부(1110는 다음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된 xml 파일을 대상으로 타겟이미지 검색을 계속한다. 즉, 제 1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겟이미지를 찾지 못한 경우 단말제어부(111)는 S406 단계에서 제 2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여 다음 xml 파일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한다.First, let us consider the case of proceeding to step S406. In step S406, the terminal control unit 1110 moves to the next database and continues searching for the target image in the xml file loaded in the corresponding database because the target image is not found in the xml file. If the target image is not found in the database, the
이를 첨부된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단일 메모리에 다중 마운트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타겟이미지를 이동 검색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단일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함으로써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활용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 6 and FIG. 7.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moving and searching a target image using a multi-mounted database in a single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 concept of utilizing multiple target images by multi-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710, 720, 730)는 내부에 최대 100개까지의 타겟이미지를 한번에 올릴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들(710, 720, 7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색의 순서가 결정되어 있다. 이러한 검색 순서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고, 무작위로 선택될 수도 있고, 가장 많이 또는 가장 최근에 적용된 데이터베이스를 먼저 선택할 수도 있고, 특수한 알고리즘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each of the databases 710, 720 and 730 can upload up to 100 target images at a time. In addition, the search order of each of the databases 710, 720, and 730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is search order can be set by the user, randomly selected, first or most recently applied database, or by a special algorithm.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제어부(111)는 S406 단계에서 다음 xml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한 후 S402 단계로 돌아가서 절차를 수행한다. 이처럼 타겟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메모리부(109) 내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이들 데이터베이스(710, 720, 730)는 스마트 단말(100)에 미리 저장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통신망이나 무선랜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접속되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액세스 속도를 감안할 때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먼저 검색하고 외부 데이터베이스는 나중에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bases 710, 720 and 730 are not limited to an internal database stored in advance in the smart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n external database externally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LAN. However, it is desirable to search the internal database first and the external database later, considering the access speed.
[도 6]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검색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8]의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여 개별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xml 파일을 로딩해두는 과정을 거친다. 그런 후 첫 번째 xml 파일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하여 실패하면 다음 xml 파일로 이동하여 타겟이미지를 검사한다. 이 같은 방법을 모든 xml 파일에 대하여 모두 검사한다.In order to configure the database search structure as shown in FIG. 6, the same operation as the program source code of FIG. 8 is executed to load an xml file into an individual database. Then it searches the first xml file for the target image, and if it fails, it goes to the next xml file and examines the target image. This is done for all xml files.
한편, S404 단계에서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면 S408 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제어부(111)는 타겟이미지에 대응하는 증강이미지를 획득영상에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시되는 결과 화면은 앞서 설명한 [도 4(c)]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If the target image exists in step S404,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8. In step S408, the
이후 단말제어부(111)는 S410 단계로 진행하여 증강현실 모드의 해제가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S410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 모드의 해제가 요구되는 경우 증강현실 모드를 종료한다. Then, the
반면에 S410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 모드 해제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S412 단계로 진행하여 이미지 변화가 발생하는가를 검사한다. 즉, 촬영영상이 변화하는 것과 같이 증강현실을 적용하기 위한 대상 이미지에 변화가 발생하는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만일 S412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의 이미지 변화가 존재하면 S414 단계로 진행하여 대상 이미지를 변경하고 S400 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상술한 일련의 동작을 되풀이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0 that the augmented reality mode cancellation is not required, the flow advances to step S412 to check whether an image change occurs. That is, it is examined whether a change occurs in the target image for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 such as a change in the photographed imag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2 that there is an image change of the augmented realit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14 to change the target image, and proceeds to step S400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operations.
하지만, S412 단계의 검사결과 이미지 변화가 없는 경우 단말제어부(111)는 S408 단계를 계속해 수행한다.
However, if there is no image chang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step S412, th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스마트 단말
101 : 단말통신부
103 : 촬영부
105 : 화상처리부
107 : 사용자 입력부
108 : 디스플레이부
109 : 메모리부
110 : 카메라 모듈
111 : 단말제어부
501 : 피사체
502 : 증강이미지
511 : 피사체로부터 획득된 영상
601, 602, 603 : 타겟이미지
611, 621 : 검색 방향
710, 720, 730 : 데이터베이스
701, 702, 703 : 데이터베이스간 이동100: smart terminal
101:
103:
105:
107: User input
108:
109:
110: camera module
111:
501: Subject
502: Augmented image
511: image obtained from the subject
601, 602, 603: target image
611, 621: search direction
710, 720, 730:
701, 702, 703: Move between databases
Claims (5)
카메라로 촬영한 현실세계의 획득영상을 제공받는 제 2 단계;
상기 획득영상에 매칭되는 타겟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제 3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 중에 상기 획득영상과 매칭되는 타겟이미지를 발견하면 상기 발견된 타겟이미지와 매칭되는 증강이미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제 4 단계;
상기 획득된 증강이미지를 상기 획득영상에서 상기 발견된 타겟이미지의 위치에 오버레이 표시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A first step of multi-mounting and loading a plurality of databases in a single memory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A second step of receiving an acquired image of a real world photographed by a camera;
A third step of sequentially searching the plurality of databases for a target image matched with the acquired image;
A fourth step of acquiring an enhancement image matching the found target image from the database if a target image matching the acquired image is found during the database search;
A fifth step of overlaying the acquired enhancement image on the acquired target image at the position of the found target image;
A method for supporting a target image extension of augmented reality through a database multiple-mount of a single memory.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다중 마운트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은 단일 메모리에 한번에 올릴 수 있는 분량의 타겟이미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획득영상으로부터 특정 오브젝트를 발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타겟이미지를 검색하고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겟이미지 발견에 실패하는 경우에 다음의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여 검색을 시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multi-mounted databases in the first step has a target image amount that can be loaded in a single memory at a time,
In the third step,
Finding a specific object from the acquired image;
Retrieving a target image corresponding to the object for the plurality of databases and performing a search if the target image is not found in one database, moving to the next database;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a plurality of images in a memory;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자기기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접속되는 하나이상의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순서는 상기 내부 데이터베이스보다 후순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atabase comprises a plurality of internal databases previously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one or more external databases externally connected through a wire / wireless network,
Wherein the search order of the external database in the third step is set to be a subordinate to the internal database.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XML 파일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매개하는 XML 파일을 단일 메모리에 모두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databases are connected via an XML file,
Wherein the step of loading the XML file mediating the plurality of databases into a single memory in the first step is per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74969A KR20150001551A (en) | 2013-06-27 | 2013-06-27 | Method of providing expanded support for target image handling in augmented reality by database multi-mounting in a single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74969A KR20150001551A (en) | 2013-06-27 | 2013-06-27 | Method of providing expanded support for target image handling in augmented reality by database multi-mounting in a single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1551A true KR20150001551A (en) | 2015-01-06 |
Family
ID=524752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74969A Ceased KR20150001551A (en) | 2013-06-27 | 2013-06-27 | Method of providing expanded support for target image handling in augmented reality by database multi-mounting in a single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01551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07363A (en) | 2021-01-25 | 2022-08-02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ertified augmented reality content |
-
2013
- 2013-06-27 KR KR1020130074969A patent/KR2015000155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07363A (en) | 2021-01-25 | 2022-08-02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ertified augmented reality cont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868659B2 (en) | Imag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 CN110096660B (en) |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page pictures and electronic equipment | |
| CN108415705B (en) | Webpag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 |
| KR102178892B1 (en) | Method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 KR10165737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entry content to a remote environment | |
| KR10136276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ture file | |
| US20110167364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roving application startup | |
| CN110119294A (en) | The generation method of menu page, apparatus and system | |
| KR20160022383A (en) | Two-dimensional cod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 |
| JP2006236323A (en) |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client and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 |
| US9165340B2 (en) |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aid program | |
| CN102800045A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 US20130227681A1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 |
| US1136684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operator terminal | |
| CN110568973B (en) | Screenshot method, screenshot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equipment | |
| CN102385758A (en) | Dynamic Image Result Stitching | |
| CN114417782B (en) | Display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 CN105659581A (en) |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captur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system, and program | |
| KR20150001551A (en) | Method of providing expanded support for target image handling in augmented reality by database multi-mounting in a single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
| CN112261483B (en) | Video output method and device | |
| KR10182559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 |
| US8365093B2 (e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nabling storage of state of temporary display screen magnification view | |
| KR10155326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device | |
| CN114528431B (en) | Information lis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 |
| CN110830723B (en) | Shooting method, shoot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1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5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40722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5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5101006359 Request date: 20151026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3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70623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51026 Decision date: 20170623 Appeal identifier: 20151010063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