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4199U -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 - Google Patents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199U
KR20150004199U KR2020140003699U KR20140003699U KR20150004199U KR 20150004199 U KR20150004199 U KR 20150004199U KR 2020140003699 U KR2020140003699 U KR 2020140003699U KR 20140003699 U KR20140003699 U KR 20140003699U KR 20150004199 U KR20150004199 U KR 201500041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intake
supply device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순
Original Assignee
박홍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순 filed Critical 박홍순
Priority to KR2020140003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199U/ko
Publication of KR20150004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99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급수장치 및 기능성 병뚜껑 등에 관한 것으로, 비닐주머니 재질의 물주머니에 비하여 다소 경질인 음료수 병뚜껑에 취수용 호스를 꼽은 다음에 뚜껑을 닫고 충전된 물 등의 내용물을 흡입할 경우 병 내에 발생하는 음압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음료수의 흡입이 불가능한 점을 해소하고자
휴대용 급수장치의 구성은, 사용자가 입에 넣어 물을 빨아 먹을 수 있는 흡수용 노즐이 부착된 휴대용 급수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취수용 노즐과 동 밸브에 부착된 음압 해소용 흡기공 구멍을 뚫어놓은 구조물과 동 구조물에 있는 흡기공 구멍의 뚜껑으로 사용하며 동시에 음료수 개폐용 밸브의 역할을 겸하게 구성된 레버 및 흡기공의 구멍과 뚜껑이 접착 밀폐 되도록 구조물과 레버에 자석을 부착하고 이에 연결되는 흡기공 노즐에 호스 각각 끼우며
복층구조의 2중의 병 뚜껑은 위 부분이 시판되는 음료수 병 입구와 일치하며 아래 부분은 그보다 큰 PET 병 입구와 일치 하는 구조에 취수용 호스 및 흡기용 호스와 병 내부의 취수용 호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3개의 노즐이 형성된 뚜껑과, 병 안에 들어가 용기의 대 소 장 단에 따라 탄력적으로 신축하여 각 병의 기저부까지 닿을 수 있는 지그재그 형의 취수용 호스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portable water-supply device with air suction pipe to solve negative pressure and bottle cap which have individual multi combinatorial part, water suction pore and air suction pore.}
본 고안은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음료수 개폐용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급수장치에 시판되는 음료수 병을 연결하여 배낭 등에 넣고 호스를 빼내어 사용하므로 야외 활동 시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을 파지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물통에 든 식수를 마실 수 있으며
병 내 음압 해소용 흡기관 개폐장치를 부착하여 시판되는 각종 병속에 내장된 음료수를 보다 손쉽게 마실 수 있도록 개선하며 레버 또는 뚜껑에 흡기공 차단장치와 밀착용 자석을 부착하여 기밀성 유지 및 오염물질의 유입가능성을 없애고
기존의 시판되는 비닐재질로 제작된 기능성 물통이나 물주머니 방식 등이 반복 사용에 의한 곰팡이나 물때, 기타 오염 물질의 부착이 용이하며 세척과 건조가 곤란하여 세균번식이 우려되는 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휴대용 급수장치와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등산이나 자전거 타기 등 운동 및 장거리의 이동 시 물은 기갈의 해소와 체력유지 및 생존을 하는데 가장 필수적인 성분으로, 최소한 하루에 수 리터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물의 운반을 위하여 일정한 형식의 기구나 장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구와 장비의 형식으로는 각종 재질로 만들어진 다양한 규격과 모양의 물통이나 주머니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구와 장비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거나 종래 기술인 휴대용 물통 등으로 고안한 다수의 실용신안등록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99196) 등을 취득하여 활용중이나
기존의 기구와 장비 및 그동안 특허 또는 실용신안특허 등에 새로운 기술과 이론으로 등록 된 기구 및 장비들 일지라도 고유의 용법에 따라 사용을 하는 과정에서 일정부분의 불편이 내재하여 있거나 생명의 원천인 음용수를 다루고 저장과 운반하는 기구 장비가 반복 또는 수회의 재사용 과정과 깨끗하지 못한 보관 상태 등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에 노출되거나 세균의 침입 가능성 등 위생상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어
보다 즐거운 여가활동을 위한 야외활동과 건강을 위한 운동 등에 소용되는 음용수의 저장과 이동 운반 사용 과정에서 편리함을 도모하고, 깨끗하고 위생적인 음용수를 적정량 섭취하므로 건강에 이바지 하고자 개선의 필요가 있다
종래의 기술인 도면 1 의 휴대용 물통(실용신안등록번호 20 - 0399196)은
특히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물통(10)에 관한 것으로, 물통의 일측(11)에 빨대(12) 또는 호스를 연결 할 수 있도록 하며, 물통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13)에 공기구멍 및 빨대 또는 호스를 삽입할 수 있는 테이퍼진 구멍(14)을 형성하고, 물통의 몸체에 휴대용 고리를 장착할 수 있는 홈(15)을 형성하여 일측이 개방된 휴대용 고리를 사용자가 임의로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고리를 설치하여 물통을 고정하고자 하는 곳에 자유롭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여행, 등산, 낚시, 운동, 인라인, 싸이클 등의 야외 활동을 할 때, 물 또는 음료를 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며, 물통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물통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나
통 속에 들어있는 음료수를 마시기 위하여서는 병을 손으로 들고 빨대 또는 호스를 이용하여 물을 마셔야 하는 불편과 함께, 동일한 통의 반복사용이 필연적이기 때문에 곰팡이. 세균 등의 오염을 피할 수 없는 결함이 내재되어 있음
종래기술의 또 다른 실사례로 워터백이 있는데, 상기 워터백은 비닐 등의 재질로 제작된 얇은 물주머니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부피를 차지하는 일반 물통과 달리 물을 담지 않았을 때에는 작게 접거나 말아서 배낭에 보관할 수 있고, 자체 중량이 가벼워서 휴대가 편리하며.
워터백의 한 종류로서 도면 2 에 종래기술로 도시된 인 휴대용 물병(실용신안등록번호 20-0406351)은 링거 줄(21)이 달려있는 비닐 팩(22)과, 상기 링거줄(21)을 삽입시켜 고리형상(23)으로 하여 고정하는 고정구(24)를 포함하고 상기 링거줄(21)의 단부에는 빨대가 연결된 흡입구(25)가 마련되며, 상기 비닐 팩(22)의 소정 부위에는 허리띠를 삽입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고리부(26)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일정량의 물을 먹은 후 플라스틱 물병 내에 진공 상태가 발생하여 음압으로 물이 잘 나오지 않았고, 물이 줄어들면서 물병 내의 물이 출렁거려 불편한 점을 해소하여 물이 빠져나간 만큼 부피가 줄어들어 음압의 발생이 없으며, 또한 출렁임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링거줄(21)은 상기 비닐 팩(22)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링거줄에 병뚜껑을 연결하여 비닐 팩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리 형상은 상기 링거줄(21)을 구부린 후 고정구(24)에 삽입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4)는 물병 뚜껑 등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24)에 만들어진 고리 형상(23)은 달리거나 자전거를 타면서도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상기 빨대가 연결된 흡입구(25)를 사용하기에 편리하게끔 목이나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링거줄(21)에는 조절 레버(26)를 부착하여 빨대가 부착된 흡입구(25)에서 흡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통이나 워터백은 등산 등의 야외활동시, 배낭에 든 물통이 흔들릴 경우 식수관에 연결되며, 물통 속 하부에 위치하는 밸브(27)가 따라서 요동하여 물통 상부나 좌우 측에 치우치게 되어, 물 대신에 공기가 공급되는 등,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단점과
사용 후 내부의 건조가 어려우며 항상 습기로 젖어 곰팡이와 세균의 번식이 우려되고 내부에 이끼류나 물때 등이 생길 경우 청소가 어려운 점 등 위생상의 고려가 부족하며 .
그리고 상기 종래의 워터백은 질긴 비닐 등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고 하나 배낭 속의 뾰족한 물건이나 외부에 노출 시 나뭇가지 등으로 찢어지거나 파손되면 배낭 속 물건의 훼손은 물론 당장 식수 공급에 차질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인 도면 3 의 기능성 물통(등록번호 10-11931010000)은 등산 등의 야외활동 시, 배낭에 든 물통이 흔들리더라도 식수관에 연결된 물통속의 밸브가 무게추에 의해 항상 물통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식수를 마실 수 있는 기능성 물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물통(31)과, 상기 물통(31)속의 물이 물통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물통 입구에 설치되는 커버(33)와, 상기 물통(31)속의 물을 흡입할 수 있게 상부에는 사용자가 입속에 넣는 음수용 캡(34)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통(31)속의 물을 흡입하는 밸브(36)가 설치된 식수관(37)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식수관(37)을 통해 물통(31)속의 물을 마실 수 있는 물통(31)에 있어서, 상기 물통(31)속의 밸브(36)에는 무게추(38)가 설치되어, 등산 등의 야외활동 시, 배낭에 든 물통(31)이 흔들리더라도 식수관(37)에 연결된 물통(31)속의 밸브(36)가 상기 무게추(38)에 의해 항상 물통(31)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31)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식수를 마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고 하나.
운동이나 등산, 자전거 승차 중에는 통(31)속에 들어있는 물을 마시려면 물통 상부에 닫혀있는 뚜껑(32) 을 열고 꼭지(34)를 입에 물어야 물을 마시는 구조로 일반 병에서 물을 마시는 방법과 대동소이하며
호스를 이용한 음용수의 취수를 위하여서는 물통의 하부밸브에 별도의 음용수 호스를 장착하는 번거로움과 통 내부의 음압해소를 별도의 안전한 장치가 없이 커버 하단부에 보조 밸브 몸체를 설치하며 밸브의 몸체를 실리콘등 연질의 탄성재질로 만들어 얇은 막으로 성형하고 그 막을 절개하여 밸브 판막으로 사용하여 병 내부의 음압해소용 공기가 통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나 장기간의 사용 시 연질의 탄성 소재가 경화하면서 음용수의 누출을 차단하는 판막으로서의 구실을 상실하여 내용물이 새어나올 우려등 문제점이 있음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간의 야외 활동 과정에서 필수적인 물 등 음료수의 운반과 저장, 섭취과정에서 야기되는 불편과 용기의 재사용에 따른 오염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등산, 자전거 타기, 장거리 도보 여행 등 야외활동 시, 배낭에 든 물통에 손대지 않고 급수용 호스와 노즐을 구비한 물통에서 급수용 호스 등과 노즐을 빼내어 이동을 하면서 한 손으로 노즐을 조작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는 기능성 및 편리성이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용 급수장치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시판되는 체크밸브, 볼 밸브, 콕 밸브의 형상을 개선하여 휴대용 흡수장치로 제작하므로 기 인증된 기술을 차용하여 별도의 문제점 발생 소지를 최소화하고 제작상의 어려음을 최소화한 위한 휴대용 급수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시판되는 음료수병에 하나의 호스를 꼽아 음료수를 음용하고자 입으로 빨아먹을 경우에 병 내에 발생하는 음압으로 인하여 계속적인 음료수의 섭취가 곤란한 점을 해소하고자
병 내의 음압 해소용 공기 통로로 흡기관을 구비한 별도의 구조물을 급수장치에 부착하므로 병에 들어 있는 음료수의 흡입 시 발생하는 음압의 근본적인 해소를 위한 흡기관을 조립체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음료수 계폐용 레버를 흡기관의 마개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하여 공기 통로 및 입구를 상시 개방할 경우 병 내의 음료수 유출과 오염원의 침투를 방지하고자 공기통로를 막는 역할을 겸하는 2중 구조의 휴대용 급수장치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레버가 헐거워 흡기관의 마개가 이탈을 하거나 정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거나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기관 구멍 부근 및 마개 부근에 자석을 부착하여 자석의 견인력으로 흡기관 구멍을 밀폐하므로 오염원의 침입 가능성을 차단하는 흡기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기존에 나와 있는 휴대용 물병이나 비닐 백의 반복 사용에 따른 병 또는 비닐 백의 오염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복층구조의 병뚜껑을 사용하여 시판되는 물병을 구입 즉시 본 발명인 휴대용 급수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위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용 급수장치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병내의 흡수관이 경질일 경우 병뚜껑에 부착된 음료수 병의 대소 장단에 따라 기저부까지 흡수관이 닿지 않아 바닦에 남아 있는 물을 마시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부드러운 재질의 지그재그형 호스를 병 입하여 탄력성으로 병의 사이즈에 관련 없이 병내의 음료수 취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은
입에 넣어 물을 빨아 먹을 수 있는 취수용 노즐과 액체 개폐용 밸브 (체크벨브, 볼 벨브 또는 콕 밸브, 밀어서 개폐하는 밸브 방식 등)와 이에 연결된 취수용 호스
밸브에 부착된 음압 해소용 흡기공 구멍을 뚫어놓은 구조물과 동 구조물의 흡기공 구멍의 뚜껑 겸 음료수 차단용으로 겸용되는 레버 및 흡기공에 연결되는 호스
병 입구에 연결되어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병 뚜껑의 구조를 복층으로 제작하여 크고 작은 각각의 병뚜껑을 2중으로 아래 ·위로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통합 제작하므로 시판되는 음료수 병 뚜껑과 그보다 큰 규격의 음료병 뚜껑을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부의 병뚜껑에 취수용 호스 및 흡기용 호스 와 병 내부의 취수용 호스 를 연결시킬 수 있는 3개의 노즐이 형성된 병 뚜껑으로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휴대용 급수 장치의 취수용 밸브 형태 구성은 기존 활용되고 있는 체크 벨브를 휴대용 급수 장치에 적합하도록 개량하여 인체에 무해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실리콘 등의 재료로 제작되어 만들어진 원형 또는 다각형의 상부 하부 외피와 내부에는 실린더 레버에 의하여 손으로 돌려져 액체의 흐름과 차단역할을 하는 액체 개 폐용 실린더 및 실린더 지지용 부속품으로 액체가 통과하는 구멍이 있는 원판형 링, 상부외피에는 입에 넣어 음료수를 빨아먹는 흡수용 노즐과 액체 개폐용 실린더 과대조작 정지 돌기와 하부 외피와 연결하는 장치가 있고, 하부 외피는 내부에 실린더 지지용 링을 고정할 수 있는 홈이 있으며 상부 외피와 연결하는 장치가 있고 흡수용 노즐과 통하는 구멍이 있는 휴대용 급수 장치이며
볼 밸브( Ball Valve)및 콕 밸브(Cock Valve)에 흡기관이 부착된 휴대용급수장치로 동 밸브는 인체에 무해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실리콘 등의 재료로 제작하며 음용수의 인출 노즐 보다 인입 노즐 부위를 길게 만들므로 흡기관이 내장된 구조물의 부착공간을 확보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휴대용 급수장치이며
흡기관이 내장된 구조물을 휴대용급수장치의 몸체에 고정하고 액체 개 폐용 실린더 레버로 액체를 차단하면 레버의 일부에 부착된 흡기관 공기구멍의 뚜껑(마개)이 공기구멍을 동시에 차단하도록 구성하며, 공기구멍의 차단용 뚜껑 부근과 구조물에 자석을 부착하여 자석의 견인력을 이용하여 흡기관을 밀봉하여 오염물질의 유입가능성을 차단하는 휴대용 급수장치의 공기 흡입 장치이고
밸브의 노즐 외부를 손으로 밀거나 당겨서 개폐를 하는 구조의 노즐( 도면대용 10면 사진 참조)은 측면에 흡기관이 내장된 구조물을 고정하고, 흡기관 구멍위에 뚜껑을 부착하여 손가락으로 밀어서 흡기공 차단 뚜껑이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뚜껑 및 흡기공 구멍이 뚤려 있는 구조물의 흡기공 주변에 자석을 고정하여 자석의 견인력을 이용하여 흡기관을 밀봉하여 오염물질의 유입가능성을 차단하고, 흡기관용 호스 중 일부는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무관을 연결하는 구조의 휴대용 급수장치이고
복층 구조의 병 뚜껑은 위쪽에는 시판되고 있는 음료수용 병뚜껑과 하단에는 더 큰 사이즈의 시판용 음료수(PET 병 등) 병뚜껑을 상하로 고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므로 구입한 음료수의 병 입구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병뚜껑을 잠가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부가 있는 병뚜껑이며
병뚜껑의 상단에 부착된 음료수용 뚜껑 상부에 휴대용 급수장치에 연결되는 호스와 흡기용 호스를 꼽아 연결 할 수 있는 노즐을 부착하고, 휴대용급수장치에 연결되는 노즐의 대향측( 병 뚜껑 내측)과 병 내의 음료수를 흡수하는 호스가 서로 통하도록 하는 상 하의 흡수공 노즐과 흡기공 노즐이 별개로 구성되고
병내 삽입되는 취수관용 노즐에 연결되는 병 안의 취수용 호스는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하여 용기의 대 소 장 단에 따라 탄력적으로 신축하여 각 병의 기저부까지 닿을 수 있는 지그재그 형으로 구성되어 취수용 호스가 물통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병의 기저부까지 남아 있는 음료수를 빨아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 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고안은 등산, 자전거 타기, 장거리 도보 여행 등 야외활동 시 음료수 병을 손으로 잡지 않고, 물병을 배낭에 넣고 취수관을 어깨 앞으로 넘겨 빼내거나 자전거에 거치하여 필요시 한손으로 레버를 조작하여 휴대용 급수장치를 입에 물고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편리성
(2) 본 발명은 보행의 중지 또는 자전거의 정차 없이 이동 중에 수시로 휴대용 급수장치로 건조한 입안을 헹구거나 소량의 음료수를 마실 수 있어 목마름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지하므로 일행들과 뒤떨어지는 폐단을 없애고 배낭 등에서 물병을 찾는 시간을 절약하는 기능성
(3) 본 고안은 장시간의 목마름 해소를 위하여 휴식 중에 음료수를 다량으로 벌컥벌컥 마시므로 발생하는 수분의 과다 섭취 방지 및 수분과다 섭취에 따른 수분중독의 예방 효과
(4) 본 고안은 수시로 소량의 물을 섭취하여 목마름을 사전에 예방하므로 수분의 과다 섭취를 방지하여 적정량의 음료수를 가져 갈 수 있어 배낭 등에 넣는 휴대 물건의 공간과 중량 절약
(5) 본 고안은 필요시 새로운 음료수 병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므로 기존의 반복적으로 재사용을 하는 음료수 통이나 비닐 물 백 등에서 야기되는 물때. 이끼, 곰팡이 등의 오염과 세척과 건조가 곤란하여 사용 후 보관 중에 나타나는 세균의 번식이 용이한 문제점인 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현저한 기능에 있다
도면 1은 종래의 물통의 사시도
도면 2는 종래의 다른 실사례의 워터백의 사시도
도면 3은 종래의 기능성 물통의 절개도
도면 4는 체크 밸브 형식의 휴대용 급수장치 및 복수의 병 뚜껑을 결합한 사시도
도면 5는 체크 밸브 형식의 급수장치 분해도
도면 6은 도면 5의 급수장치 종 단면도 및 횡 단면도
도면 7은 도면 5의 급수장치의 피스톤 작동 개폐에 대한 개략도
도면 8은 볼 밸브 및 콕 밸브의 개 폐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 9는 도면 8의 급수장치 분해도
도면 10는 도면대용의 밸브 외피를 밀어서 개폐하는 밸브 사진
도면 11은 도면 10의 밸브에 흡기관을 부착한 사시도
도면 12은 복수의 병뚜껑과 상 하 흡수관 및 흡기공을 부착한 사시도 및 병뚜껑의 종 단면도 와 횡 단면도
도면 13은 취수관 및 흡기관, PET 병 등 내부에 들어가는 지그재그형 취수관 사시도
도면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급수장치 밸브(200)의 구조는 기존 활용되고 있는 일종의 체크 벨브 형식을 휴대용 급수장치에 적합하도록 개량하여 인체에 무해한 금속, 합성수지와 실리콘 등의 재료로 제작되어 만들어진 원형 또는 다각형의 상(210) 하(211) 외피와 내부에는 액체 개 폐용 실린더(250) 및 원판형의 실린더 지지용 부속품(254), 이에 연결되는 흡수용 노즐(270)과 호스(600) 및 흡기공이 뚫려 있는 구조물(230)을 급수장치에 고착하고 이에 연결되는 흡기용 노즐(271)을 흡기용 호스(601)와 연결하는 구조로
외피는 도면 5,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2개로 나눈 것을 결합 장치로 상호 결합하며
상부 외피(210)에 액체 개폐용 실린더를 조작하는 레버(240)를 부착하여 레버 이탈방지용 나사못(243) 및 와샤(242)로 액체 개폐용 실린더(250)와 체결하여 결합되며 동 레버의 과대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12) 및 외피의 측면에 입에 넣어 음료를 빨아 흡수 할 수 있는 흡수공 노즐(213)이 위치하며 상(210) 하(211)로 나누어진 말단 부위에는 하부 외피와 결합을 위한 장치(214)가 형성되고,
하부 외피(211)는 내부에 액체 개폐용 실린더(250)의 움직임이나 이탈을 방지하기위한 원판형 실린더 지지용 부속품 돌기(256)를 고정하는 홈(257) 및 상부 외피와 결합을 위한 장치(215)가 구비되며 후미에 흡수관 호스와 연결을 위한 노즐(270)이 부착되고
흡기관 구조물(230)은 외피에 고착되어 흡기용 구멍(231 )과 흡기공 구멍 입구에서 흡기용 호스(601)를 끼우는 노즐(271)까지 내면에 공기통로(232)가 연결되어 뚫려있고 흡기용 호스와 연결되도록 노즐(271)이 부착된 구조이며
레버(240)는 액체 개폐용 실린더(250)의 조작과 동시에 흡기공의 마개(260) 부착공간으로 사용되는 2중 역할을 담당하며 레버(250)에 흡기공 차단용 마개구멍(261)에 동 마개 (260)을 부착하여 흡기공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구성하여 레버(240)를 움직이면 (도면 7 참조) 취수용 밸브의 개폐와 동시에 흡기공의 열림과 차단역할을 2중으로 수행하여 병 뚜껑(500)에 고정된 병(603) 내부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며 사용자가 물을 흡수하지 않을 경우 흡기공 밸브를 차단하므로 불필요한 누수의 방지 역할을 담당한다.
흡기공 차단 마개(260)은 부드럽고 질기며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성형하여 제작하여 레버(240)를 잠금 시 흡기공에 밀착이 되며 공기의 흡입과 방출을 차단 밀폐하도록 한다
레버(240)의 작동 시 헐거움 등으로 흡기공 차단용 마개(260)을 부착한 레버가 열리거나 마개(260)의 밀착 위치가 이탈하는 경우를 방지하고자 레버(240)와 흡기공 구조물(230)의 주변에 자석(233,244)의 ‘+’, ‘-’ 극이 같은 위치에 오도록 부착하여 자석의 견인력으로 조작레버의 이탈을 중복 차단 한다
동 밸브의 내부 구조는 상부 외피와 내부 액체 개 폐용 실린더가 접촉하는 부위에 밀봉 기능이 있는 오 링(252)을 넣어 액체 유출 방지 등 기밀을 유지하고
액체 개 폐용 실린더(250)의 상부는 평기어 형 구조(251)로 성형하여 동 실린더 레버(240)와 체결 시 미끄러짐 등 없도록 하고 동 실린더(250)의 하부는 반원형(259)으로 성형하여 도면 7의 개폐용 피스톤이 음료수를 차단하는 요도(280)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으로 레버(240)을 조작하는 각도(283)에 따라 동 피스톤(250)이 상부 외피(210)의 흡수공 노즐에 있는 구멍(213)의 위치와 일치 여부에 따라 음료의 흡수가 가능(282)하거나 또는 밀폐(281)되는 등으로 사용하며
동 실린더 지지용 부속품인 원판형 링(254)은 중앙의 실린더의 통과용 구멍 주변에 흡수공 노즐(270)로부터 음료가 유입되도록 여분의 음료수 통과 구멍(258)을 성형하며 바깥쪽에 하부 외피의 지지 홈과 일치하도록 돌기(256)를 구성하여 실린더의 불필요한 이탈과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실린더 나사산(253)에 나사(255)로 고정하며 상하 외피 및 내부 부품을 결합하여 완성품을 흡수용 및 흡기용 호스에 연결하여 사용 한다.
도면 8, 도면 9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볼 밸브 콕 벨브(300) 는 몸체인 밸브(300) 및 입에 넣는 흡수용 노즐(302)과 몸체와 연결되는 장치(303,304), 음료수 개폐용 레버(310), 취수용 노즐(340) 및 밸브와 연결되는 장치(305,306), 흡기관이 있는 구조물(320)로 구성되나 구조물(320)을 제외하고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관용수단이므로 그 기술적 구조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하며 양 밸브가 외형상 구분이 흡사하므로 별개의 도시 없이 동일하게 사용한다.
밸브(300) 몸체는 인입부를 흡기공이 뚫려있는 구조물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늘려(301) 공간을 확보하고 몸체에 부착되는 구조물(320)은 각 밸브의 측면에 고정되어 레버(310)의 열림(330)위치와 잠금(331) 위치 시 레버의 정지위치를 확보하는 지지물 역할을 겸한다
그리고 상기 흡기공이 뚫려 있는 구조물(320)은 각 밸브(300)의 측면에 부착되며 흡기공(321)이 노출되도록 고정하고 레버(310)에 고정되어 있는 흡기공 차단용 마개(314)가 흡기공(321)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구성하여 레버(310)를 조작하여 흡기공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8, 도면 9의 밸브(300)에 나사(313) 및 와샤(311,312) 등으로 결합된 레버(310)는 도면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성요소에 대한 부호는 각각 기록하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8, 도면 9의 레버(310)에 부착된 흡기공 차단 마개(314)는 도면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성요소에 대한 부호는 각각 기록하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8, 도면 9의 레버(310)의 작동 시 헐거움 등이 있을 시 작동되는 자석(315,323)은 도면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성요소에 대한 부호는 각각 기록하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10, 도면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밸브(400)및 입에 넣는 흡수용 노즐(401)과 노즐 외부(402)를 손으로 밀거나(404) 당겨서(405) 개폐를 하는 구조의 밸브 음료수의 차단 마개 역할을 하는 내부(403)및 흡기관이 있는 구조물(410)로 구성되나 구조물(410)을 제외하고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관용수단이므로 그 기술적 구조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도면 11은 동 밸브(400)의 노즐 측면에 병렬로 부착되는 흡기공이 뚫려 있는 구조물(410) 및 뚜껑(420)은 사시도와 같은 형태로 부착하고 흡기관 구멍(411)위에 뚜껑(420)을 부착하여 뚜껑을 손가락으로 밀어서 흡기공 차단 마개(421)가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사용자가 물을 흡수하지 않을 경우 흡기공 밸브를 차단하므로 흡기공 호스(432)에 불필요한 물의 유입 방지역할과 병 뚜껑(500)에 고정된 병(603) 내부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 취수용 노즐에서 불필요한 누수의 방지 역할을 담당 한다.
도면11의 흡기공 구멍차단 뚜껑(420)에 부착된 흡기공 차단 마개(421)는 도면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성요소에 대한 부호는 각각 기록하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흡기공 차단 뚜껑(420)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일변에 경첩(423)을 장착하여 흡기공 차단 마개(421)과 자석(422)를 부착 한다
뚜껑(420)의 작동 시 헐거움 등이 있을 시 작동되는 자석(413,422)은 도면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성요소에 대한 부호는 각각 기록하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추가로 흡기공 차단 뚜껑(420)의 밀착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잠금용 홈(414)와 뚜껑에 잠금용 돌기(424)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흡기용 노즐(431)에 연결되는 호스(601) 중 일부는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탄력성이 있는 재질 (432))을 연결한다
도면12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병뚜껑(500) 은 인체에 무해한 프라스틱 등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며 그 구조는 상·하로 구분하고 위 뚜껑(504)은 시중에서 광범위하게 판매되는 시판용 음료수(먹는 샘물 등) 뚜껑과 같은 규격으로 만들고 아래 뚜껑 (505)은 병 입구가 위 뚜껑 보다 큰 규격의 시판용 음료수 병 규격으로 하여 위 뚜껑과 아래 뚜껑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며 도면 12의 종단면도(501)와 같이 상 하의 병뚜겅은 각각 시판용 생수 병 입구의 나사산(507)과 음료수(508)의 나사산과 같은 규격으로 구성한다
상단에 부착된 음료수용 뚜껑(504) 상부에 도면 11의 횡단면도(503)과 같이 휴대용 급수장치에 연결되는 호스(600)의 노즐(510)을 구성하고 위 노즐의 대향측( 병 뚜껑 내측)에 병 내의 음료수를 흡수하는 호스(603)를 서로 관통하여 노즐(511)을 구성하고, 같은 병 뚜껑 위에 별도로 흡기용 노즐(512)을 장착하여 상 하의 흡수공 노즐과 흡기공 노즐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병뚜껑을 구성하고 사용 시 3개의 노즐(510, 511, 512)에 각 호스를 끼움으로 병뚜껑의 조립을 완성 한다
도면13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취수용 및 흡기용 호스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관용수단이므로 그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취수용 호스(600)는 곰팡이 등 내부 오염의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한 구경으로 시판용 인체에 무해한 비닐 호스로 구성하고 흡기공의 호스는 취수용 호스 구경의 보다 가는 시판용 비닐 호스로 구성하되 인체에 해가 없는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병내 삽입되는 취수용 호스(602)는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하여 용기의 대 소 장 단에 따라 탄력적으로 신축하여 각 병의 기저부까지 닿을 수 있는 지그재그 형으로 구성되어 취수용 호스가 물통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병의 크기에 관련 없이 기저부에 남아 있는 음료수를 빨아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로 한다
200 : 체크 밸브 형식의 급수장치
210 : 동 장치의 상부 외피
211 : 동 장치의 하부 외피
212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 레버 멈춤 돌기
213 : 흡수용 노즐
214 : 상부 외피의 고정 장치
215 : 하부 외피의 고정 장치
230 : 흡기공이 뚫린 구조물
231 : 구조물에 뚫린 흡기공 입구
232 : 구조물 내부 흡기공 통로 가상도
233 : 구조물에 부착한 흡기공 뚜껑 밀착용 자석
240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 조작 레버
241 : 피스톤 미끄럼 방지용 톱니(기어 형태)
242 : 레버 이탈 방지용 와샤
243 : 레버 고정용 나사못
244 : 레버에 부착한 흡기공 밀착용 자석
250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 몸체
251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 미끄럼 방지용 톱니(기어 형태)
252 : 누수 방지용 실리콘 O 링
253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 고정용 나사산
254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 진동 방지용 고정링
255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 고정용 나사
256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 진동 방지용 링 고정 돌기
257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 진동 방지용 링 고정 홈
258 : 음료수 통과용 구멍
259 : 음용수 개폐용 피스톤의 반원형 하부
260 : 흡기공 잠금 뚜껑(마개)
261 : 흡기공 잠금 뚜껑 장착용 구멍
270 : 취수용 노즐
271 : 흡기공 노즐
280 : 음용수 차단 요도
281 : 개폐용 피스톤 레버를 음료수 차단한 위치
282 : 개폐용 피스톤 레버를 음료수 통과로 놓은 위치
300 : 볼 밸브 또는 콕 밸브 몸체
301 : 볼 밸브 또는 콕 밸브의 음료수 인입부를 연장한 부위
302 : 흡수용 노즐
310 : 개폐용 레버
311 : 레버 고정 와샤(상)
312 : 레버 고정 와샤 (하)
313 : 레버 고정 나사
314 : 레버에 부착한 흡기공 잠금 마개
315 : 레버에 부착한 흡기공 뚜껑 밀착용 자석
320 : 흡기공이 뚫린 구조물
321 : 흡기공 입구
322 : 구조물에 뚫린 흡기공 통로 가상도
322 : 흡기공 구조물에 부착한 밀폐용 자석
330 : 레버를 음료수 흡수 위치에 놓은 상태
331 : 레버를 음료수 차단 위치에 놓은 상태
340 : 취수용 노즐
341 : 흡기공 노즐
400 : 밀어서 개폐하는 밸브
401 : 흡수용 노즐
402 : 손으로 밀어 개폐하는 부분
403 : 밸브 내부
404 : 밸브 열림
405 : 밸브 닫힘
410 : 흡기공이 뚫린 구조물
411 : 흡기공 입구
412 : 구조물에 뚫린 흡기공 통로 가상도
413 : 구조물에 부착된 자석
414 : 뚜껑 잠김 홈
420 : 흡기공 차단 뚜껑
421 : 차단 뚜껑에 부착한 흡기공 잠금 뚜껑(마개)
422 : 차단 뚜껑에 부착한 자석
423 : 뚜껑 연결 경첩 부위
424 : 뚜껑 잠금용 돌기
430 : 취수용 노즐
431 : 흡기공 노즐
432 : 흡기공 호스 보조용 고무호스
500 : 복층구조의 병뚜껑
501 : 복층구조의 병뚜겅 입면도
502 : 복층구조의 병뚜겅 종단면도
503 : 횡단면도
504 : 복층구조의 상부 병뚜껑
505 : 복층구조의 하부 병뚜껑
507 : 시판 생수병 연결용 나사산
508 : 시판 음료수병 연결용 나사산
510 : 취수용 호스 연결 노즐
511 : 취수용 병입 호스 연결 노즐
512 : 흡기공 호스 연결 노즐
600 : 취수용 호스
601 : 흡기용 호스
602 : 병입되는 취수용 호스
603 : 먹는 샘물 또는 음료수(PET)병

Claims (13)

  1. 휴대용 급수장치의 취수용 밸브 형태 구성은 기존 활용되고 있는 일종의 체크 벨브형식을 휴대용 급수 장치에 적합하도록 개량하여 인체에 무해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실리콘 등의 재료로 제작되어 만들어진 원형 또는 다각형의 상부 하부 외피와 내부에는 레버에 의하여 액체의 흐름과 차단역할을 하는 액체 개 폐용 실린더 및 동 실린더를 지지하는부속품으로 액체가 통과하는 구멍이 있는 원판형 링, 상부외피에는 입에 넣어 음료수를 빨아먹는 흡수용 노즐과 액체 개폐용 실린더 과대조작 방지 돌기와 하부 외피와 연결하는 장치가 있고, 하부 외피는 내부에 실린더 지지용 링을 고정할 수 있는 홈이 있으며 상부 외피와 연결하는 장치가 있고 흡수용 노즐과 통하는 구멍이 있는 휴대용 급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린더의 일부를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레버로 조작하는 각도에 따라 상부 외피의 흡수공 노즐에 있는 구멍의 위치와 실린더의 반원형이 없는 공간이 일치되어 음료의 흡수가 가능하거나 또는 반원형 부분이 흡수공 구멍을 차단하여 음료수의 통과가 밀폐되는 등으로 사용하는 액체 개폐용 실린더
  3. 볼 밸브는 인체에 무해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실리콘 등의 재료로 제작하며 액체 차단부위를 기준으로 음용수의 인출 노즐 보다 인입 노즐 부위를 길게 만들므로 흡기관이 내장된 구조물의 부착공간을 확보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휴대용 급수장치
  4. 콕 밸브는 인체에 무해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실리콘 등의 재료로 제작하며 액체 차단부위를 기준으로 음용수의 인출 노즐 보다 인입 노즐 부위를 길게 만들므로 흡기관이 내장된 구조물의 부착공간을 확보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휴대용 급수장치
  5. 제 1항, 제 3항, 제 4항 있어서 휴대용급수장치의 몸체에 고정하며 흡기공 구멍이 있고 흡기공 구멍으로부터 흡기공 노즐까지 뚫린 공기통로가 내장된 구조물
  6.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에 있어서 액체 개 폐용 실린더에 연결되어 액체를 개폐하면서 동시에 레버의 일부에 부착된 흡기관 공기구멍의 마개로 흡기관 구조물의 흡기관 공기구멍을 동시에 차단하도록 구성한 레버
  7. 제 5항, 제 6항에 있어서 공기구멍의 차단용 마개 부근과 흡기공이 형성된 구조물의 흡기공 주변에 자석을 부착하여 자석의 견인력을 이용하여 흡기관을 밀봉하여 오염물질의 유입 가능성을 차단하는 휴대용 급수장치의 공기 흡입 장치
  8. 밸브의 노즐 외부를 손으로 밀거나 당겨서 개폐를 하는 구조의 노즐( 도면대용 10면 사진 참조)의 측면에 흡기관이 내장된 구조물을 고정하고, 흡기관 구멍위에 뚜껑을 부착하여 손가락으로 밀어서 흡기공 차단 마개가 열리고 닫히는 구조의 휴대용 급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뚜껑 및 흡기공 구멍이 뚤려 있는 구조물의 흡기공 주변에 자석을 고정하여 자석의 견인력을 이용하여 흡기관을 밀봉하여 오염물질의 유입가능성을 차단하는 휴대용 급수장치의 공기 흡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흡기관용 호스 중 일부는 손으로 밸브의 노즐 외부를 밀거나 당겨서 음료수의 유입을 개폐할 때 노즐의 이동거리 만큼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무관을 연결하는 구조의 휴대용 급수장치의 공기 흡입 장치
  11. 복층 구조의 병 뚜껑은 상단에는 시판되고 있는 음료수용 병뚜껑과 하단에는 더 큰 사이즈의 시판용 음료수(PET 병 등) 병뚜껑을 상하로 고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므로 구입한 음료수의 병 입구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병뚜껑을 잠가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부가 있는 병뚜껑
  12. 제 11항에 있어서 복층 구조의 병뚜껑의 상단에 부착된 음료수용 뚜껑 상부에 휴대용 급수장치에 연결되는 호스와 흡기용 호스를 꼽아 연결 할 수 있는 노즐을 각각 부착하고, 휴대용급수장치에 연결되는 노즐의 대향측( 병 뚜껑 내측)과 병 내의 음료수를 흡수하는 호스가 서로 통하도록 하는 상 하의 흡수공 노즐과 흡기공 노즐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병뚜껑
  13. 제 12항에 있어서 병내 삽입되는 취수관용 노즐에 연결되는 병 안의 취수용 호스는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하여 용기의 대 소 장 단에 따라 탄력적으로 신축하여 각 병의 기저부까지 닿을 수 있는 지그재그 형으로 구성된 취수용 호스
KR2020140003699U 2014-05-13 2014-05-13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 Ceased KR201500041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99U KR20150004199U (ko) 2014-05-13 2014-05-13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99U KR20150004199U (ko) 2014-05-13 2014-05-13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99U true KR20150004199U (ko) 2015-11-23

Family

ID=5486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699U Ceased KR20150004199U (ko) 2014-05-13 2014-05-13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1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7933A (zh) * 2017-08-14 2017-11-24 深圳市康洁日用品有限公司 带流液开关控制的软管及其制备方法
CN111434284A (zh) * 2019-01-11 2020-07-21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真空保压便携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7933A (zh) * 2017-08-14 2017-11-24 深圳市康洁日用品有限公司 带流液开关控制的软管及其制备方法
CN111434284A (zh) * 2019-01-11 2020-07-21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真空保压便携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6015A1 (en) Dual valve bottle lid
US6079361A (en) Animal watering system & methods
US5738039A (en) Portable pet bowl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US10568473B2 (en) Portable easyP urinal
US8601980B2 (en) Portable drinking bowl with water reservoir for pets
FR2955487A1 (fr) Biberon a double ouverture
US8875913B2 (en) Lubricious, sealed, airless baby bottle
WO2009155333A2 (en) Improved personal hydration system
US20060255048A1 (en) Personal hydration system
KR20150004199U (ko) 음압 해소용 흡기관이 있는 휴대용 급수장치와 복수의 결합부 및 흡수공 흡기공의 구별이 있는 병뚜껑
US20200154960A1 (en) Portable easyp urinal
US20100219196A1 (en) Portable Pet Water Bowl Tote
US20080000922A1 (en) Water storage device
US20090045205A1 (en) Adapter for drink container
US20080249488A1 (en) Portable waste receptacle with disposable bag
KR101193101B1 (ko) 기능성 물통
KR200481718Y1 (ko)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US20090289080A1 (en) Fluid container
CN201847593U (zh) 防溢应急方便器
CN208160360U (zh) 一种用于运动水壶的吸嘴
CN204642558U (zh) 上翘卡位座式弯曲吸管盖
CN210870923U (zh) 一种接插式防回流吸管及容器
KR200415307Y1 (ko)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CN207899066U (zh) 户外抗菌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5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319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5092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0331

U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UE08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UE08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E08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0523

U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UE08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UE08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E08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E08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