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590A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piezo ceramic element - Google Patents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piezo ceramic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7590A KR20150007590A KR1020130081754A KR20130081754A KR20150007590A KR 20150007590 A KR20150007590 A KR 20150007590A KR 1020130081754 A KR1020130081754 A KR 1020130081754A KR 20130081754 A KR20130081754 A KR 20130081754A KR 20150007590 A KR20150007590 A KR 201500075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 watch
- band
- cradle
- module
- piezoelectric ceram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CMNRKCIXSYSNV-UHFFFAOYSA-N Zircon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TUMBQDCCIXGCV-UHFFFAOYSA-N lead oxide Chemical compound [O-2].[Pb+2] HTUMBQDCCIXG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EXPOXQUZXUXJW-UHFFFAOYSA-N lead(II) oxide Inorganic materials [Pb]=O YEXPOXQUZXUX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15—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providing information, e.g. bracelets with calendar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스마트 워치가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스마트 워치를 고정하기 위한 크래들(cradle), 크래들을 결속대상에 결속하는 워치 밴드(watch band) 및 워치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압전세라믹 모듈을 포함한다. 압전세라믹 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의 사운드 기능을 밴드에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손목의 둘레에서 전체적으로 음향을 생성하기 때문에 스마트 워치의 음향 전달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to which the smart watch is mounted includes a cradle for fixing the smart watch, a watch band for binding the cradle to the binding object, and at least on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s can be used to extend the sound capabilities of the SmartWatch in the bands and improve the overall acoustic performance of SmartWatch by creating an overall sound around the wri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압전세라믹 소자를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의 음향 및 진동 전달 능력을 개선한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assembly for a smart wa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watch band assembly using a piezoelectric ceramic element to improve a sound and vibration transmission capability of a smart watch.
대중화된 스마트폰은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며,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점이다.Popularized smart phone integrates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schedule management and Internet access to mobile phone functions. Unlike conventional mobile phones, which have been released as finished products and have been used only for a given function, It can be installed, added or deleted as desired.
다만, 다양한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점차 높은 사양이 요구되고 있고, 스마트폰의 크기나 무게가 상당해 지고 있다. However, increasingly high specifications are required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al applications, and the size and weight of smartphones are becoming significant.
반면에, 크기나 무게가 증가하는 만큼 이동성이나 편의성은 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 실시간으로 사용하는 것도 어렵고, 메시지나 전화가 왔을 경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크기가 커진 만큼 회의나 다른 사람의 눈을 피해야 하는 경우 이용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On the other hand, as the size and weight increase, mobility and convenience are deteriorating. For example, in a bag or a pocket, it is difficult to use in real time, and the user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a message or a phone call. In addition, as the size increases, it is often difficult to use when it is necessary to avoid meeting or eyes of another person.
이러한 연유로 최근에는 소형화되어 손목이나 와이셔츠의 소매 끝과 같이 접근성이 좋은 곳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 형태의 스마트 워치가 출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smart watches have been introduced that can be worn in places where accessibility is good, such as the end of a wrist or the sleeve of a wrists.
이러한 스마트 워치는 시간 확인부터 간단한 전화나 메시지 수신 확인이나, 음성 재생과 같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기능은 스마트 워치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거나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소 떨어진 스마트폰의 이동성이나 편의성을 보완할 수 있는 기기로서 각광받고 있다. Such a smart watch can provide basic functions such as a simple phone call, confirmation of message reception, and voice reproduction from a time check, and the above functions are provided by smart watch itself or in a manner of being linked with a smart phone. Therefore, recently,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device that can complement the mobility and convenience of a somewhat deteriorated smartphone.
소니의 스마트 워치, 삼성의 갤럭시 워치 등 스마트 워치에 대한 제품의 정보가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폰 간의 기능에 관한 것에만 집중되어 있으며, 밴드를 이용한 기능의 확장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는 실정이다.Although the product information on smart watches such as Sony's Smart Watch and Samsung's Galaxy Watch is constantly being provided, it is concentrated mainly on functions between smart watch and smart phone. There is no mention.
본 발명은 압전세라믹 소자를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의 사운드 및 진동 기능을 밴드에서 확장시킬 수 있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watch band assembly capable of extending the sound and vibration functions of a smart watch in a band using a piezoelectric ceramic element.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의 음향 및 진동 전달 능력을 개선한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watch band assembly that improves the acoustic and vibration transmission capabilities of a smart watch.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의 음향 제어 기능을 개선한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watch band assembly that improves the sound control function of a smart watch.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가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스마트 워치를 고정하기 위한 크래들(cradle), 크래들을 결속대상에 결속하는 워치 밴드(watch band) 및 워치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압전세라믹 모듈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watch band assembly on which a smart watch is mounted includes a cradle for fixing the smart watch, a watch band for binding the cradle to the binding object, And at least on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embed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라 함은, 손목과 같은 결속대상에 착용되어 특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소형 장비로서, 시청각 수단인 스피커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기본적인 시계 및 알람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전화 및 메시지 등과 같은 수신 기능을 포함하거나, 음성 및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의 일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계나 팔찌 형태의 기기를 두루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는 자체 배터리의 충전이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아웃풋 단자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스마트워치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신호를 인가 받을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mart watch is a small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binding object such as a wrist and can display specific information, and can include a speaker or a display as an audiovisual means, and can provide a basic clock and an alarm function And may itself include receiving functions such as telephone and messages, or may provid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playback.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refer to a watch or bracelet type device that can provide some functions of a smart phone in conjunction with a smartphone. In addition, the smart watch may basically include an input / output terminal for charging its own battery 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or alternatively may receive power and signals necessary for driving from a smart watch.
크래들에는 스마트 워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크래들에 장착된 스마트 워치는 크래들에 고정된다. 크래들에 스마트 워치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억지 끼움 방식이나, 후크(hook) 구조, 클립 구조, 볼트 등이 두루 적용될 수 있다. A smart watch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cradle,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cradle is secured to the cradle. As a means for fixing the smart watch to the cradle, an interference fit, a hook structure, a clip structure, a bolt, etc. can be applied.
워치 밴드는 크래들 및 스마트 워치를 손목과 같은 결속대상에 고정할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수지, 가죽, 메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워치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전세라믹 모듈이 하나 또는 복수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압전세라믹 모듈이 크래들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압전세라믹 모듈이 밴드를 따라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watch band can secure the cradle and the smart watch to a binding object such as a wrist, and the material can be resin, leather, metal, or the like. One or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ceramic modules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ch band. For example, on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may be placed at a position facing the cradle, and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ceramic modules may be arranged at uniform or non-uniform intervals along the band.
압전세라믹 모듈은 압전소자 및 진동판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로부터의 구동신호를 받아 음향 또는 진동을 생성할 수가 있다. 압전세라믹 모듈은 워치 밴드의 외면, 내면에 부착되거나 밴드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can be provided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diaphragm, and can generate sound or vibration by receiving a drive signal from a smart watch. Piezoelectric ceramic modules can generate sound by being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inner surface of the watch band, or embedded in the band.
크래들에 설치되는 음향 모듈은, 일 예로, 메인 압전 구동체,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점을 중심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다른 압전세라믹 소자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The acoustic module installed in the cradle includes, for example, a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 diaphragm physically coupled to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at a fixed point located inside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may be free to vibrate around the fixed point. Such a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other piezoelectric ceramic elements described above equally or similarly.
스마트 워치와 압전세라믹 모듈은 각각의 전기 단자를 통해서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크래들에 앞서 언급된 스마트 워치의 인/아웃풋 단자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전세라믹 모듈이나 음향모듈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지만, 밴드 조립체에 내장된 제어칩을 이용하여 압전세라믹 모듈이나 음향모듈이 간접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The smart watch and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may be directly connected through respective electrical terminals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input / output terminals of the smart watch mentioned above in the cradle. The smart watch can also directly control the electrically connected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or the acoustic module, but th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or the acoustic module may be indirectly controlled by using the control chip incorporated in the band assembly.
또한, 밴드 조립체에는 스마트 워치의 진동 기능을 추가 또는 보완하기 위해 진동모듈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스마트 워치의 진동으로 전화수신, 메시지수신, 알람 등을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가 있으며, 진동모듈을 진동 기능이 없는 스마트 워치에 진동 기능을 추가하거나 진동 기능이 있더라도 이를 보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가 있다. 진동 모듈은 크래들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고, 진동 모듈은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nd assembly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vibration module to add or supplement the vibration function of the smart watch. The vibration of the smart watch can be used to transmit the cal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and alarm to the wearer. The vibration module can be used for adding a vibration function to a smart watch without a vibration function or for reinforcing the vibrating function. The vibration module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radle, and the vibration module may receive electrical signals from the smart watch to generate vibration.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압전세라믹 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의 사운드 및 진동 기능을 밴드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sound and vibration functions of a smart watch in a band using a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압전세라믹 모듈이 손목의 둘레를 따라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음향 또는 진동을 생성하기 때문에 스마트 워치의 표시 기능을 더욱 다양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and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mart watch more variously because th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generates sound or vibration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rist.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스마트워치에 사운드 기능을 추가 또는 보완하는 것은 물론,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계된 스마트 워치의 음향 제어 기능을 개선할 수도 있다.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rove or improve the sound control function of a smart watch associated with a smart phone by using a touch sensor as well as supplementing or supplementing a sound function with the smart watc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및 상기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워치 밴드에 내장된 압전세라믹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의 워치 밴드 내면에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음향 모듈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embedded in the watchband of FIG. 1. FIG.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s that can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a watch band of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nd assembly for a smart watch and a smart w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module that may be applied to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se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및 상기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워치 밴드에 내장된 압전세라믹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embedded in the watch band of FIG. Fig.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100)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워치(20)를 사용자의 손목(10)과 같은 결속대상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며, 스마트 워치(20)의 사운드 기능을 추가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 1 and 2, the smart
스마트 워치(20)는 상면의 디스플레이, 시계 등의 기능을 위한 모듈, 동기화된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밴드 조립체(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아웃풋 단자(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스마트 워치(20)에 대응하여 밴드 조립체(100)는 크래들(120), 워치 밴드(130) 및 압전세라믹 모듈(160)을 포함한다. 4개의 압전세라믹 모듈(160)이 워치 밴드(130)을 따라 내장되며, 스마트 워치(20)의 본체로부터 전달된 음향신호 또는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Corresponding to the
압전세라믹 모듈(160)은 압전소자, 진동판 및 전극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압전소자로 공급되는 주파수 및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압전세라믹 모듈(160)에서 발생하는 소리 및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압전세라믹 모듈(160)은 외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서 진동을 할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20)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신호에 대응하여 음악, 통화내용, 경고음 등을 전달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복수 지점에서 압전세라믹 모듈(160)이 소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 잘 들리도록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워치가 중력센서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중력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스마트워치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워치의 자세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소리를 강하게 발생시켜 사용자가 통화내용이나 경고음을 확실하게 들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Since the piezoelectric
도 2를 참조하면, 압전세라믹 모듈(160)이 워치 밴드(130)의 내부에 이격되어 제공된다. 압전세라믹 모듈(160)의 위치에 따라 소리 또는 진동의 세기를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Referring to FIG. 2, a piezoelectric
본 실시예에서 압전세라믹 모듈(160)이 워치 밴드(130) 내부에 내장된 것으로 설명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밴드의 외면 또는 내면에 부착되어 노출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통공을 형성하여 압전세라믹 모듈 또는 보호필름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piezoelectric
스마트 워치(20)는 크래들(120)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압전세라믹 모듈(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전세라믹 모듈(160)과 연결된 전기단자가 마련되어 스마트 워치의 인/아웃풋 단자와 상호 직접 접촉될 수도 있겠으나, 본 실시예에서 크래들(120)에 내장된 제어칩을 통해서 별도의 전기 단자(122)가 마련되고, 압전세라믹 모듈(160)은 전기 단자(122)를 통해서 스마트 워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한편, 스마트 워치(20)를 수용하는 크래들(120)의 그루브(groove) 주변은 탄성 재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제공되어 스마트 워치(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스마트 워치(20) 상면 외주를 감쌀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스마트 워치와 크래들 간의 결합 구조는 여타의 다른 수용, 억지 끼움, 후크 구조, 클립 구조, 볼트 등이 두루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The periphery of the groove of the
워치 밴드(130)는 크래들(120)과 일체로 사출과 같은 공정을 통해서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품으로 제공되어 크래들에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워치 밴드는 플렉시블한 가죽이나 고무, 우레탄 소재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형상이 대체로 유지되나 손목에 넣을 수 있는 개구를 가진 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워치 밴드(130)는 일반적인 수지 재질의 제1 및 제2 밴드(132, 136)를 포함하며, 양 단에는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홀과 상기 홀에 끼워지는 스틱을 포함하는 결속 수단을 갖는다.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의 워치 밴드 내면에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s that can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a watch band of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워치 밴드(130, 130')의 내면에 제공되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140, 140')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re are shown different
스마트 워치(20)에서 전화나 메시지가 수신되면 진동하여 수신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진동 전달 구조체(140, 140')는 스마트 워치(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보다 강하게 사용자의 손목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돌기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을 일으키는 소스로는 압전세라믹 모듈, 음향모듈, 진동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When the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진동 전달 구조체(140)는 워치 밴드(130)의 내면과 크래들(120)의 내면에 복수개의 반구 형상의 돌기로 제공된다. 도 3의 진동 전달 구조체(140)는 워치 밴드(130)와 크래들(120) 내면 양 측에 모두 제공되나, 경우에 따라서, 어느 일 측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3, the
또한, 도 4에서 진동 전달 구조체(140')는 워치 밴드(130') 및 크래들(120') 내면에 라인 형상의 돌기로 제공된다. 라인 형상의 돌기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역시 라인 형상의 돌기는 워치 밴드나 크래들 어느 일 측에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4, the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 140 'is provided as a line-shaped proj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chband 130' and the cradle 120 '. A plurality of line-shaped projection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rojection in a line shape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watch band or the crad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mart watch and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the function of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300)는 음향 모듈(310), 크래들(320), 워치 밴드(330), 압전세라믹 모듈(360) 및 진동 모듈(350)을 포함한다. 5 and 6, the smart
본 실시예에서 음향 모듈(310)은 압전 소자를 통해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압전세라믹 소자를 이용한 스피커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스마트 워치(20)를 고정하기 위한 크래들(320), 워치 밴드(330) 및 워치 밴드(330)에 내장된 압전세라믹 모듈(360)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에 개시되지 않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밴드 조립체(300)는 크래들(3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밴드 터치센서(37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375)를 포함하며, 제1 밴드 터치센서(370)는 제1 밴드 접촉신호를 생성하고, 제2 밴드 터치센서(375)는 제2 밴드 접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제어칩(380)은 제1 밴드 터치센서(37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3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추가로 스마트 워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단자(322), 음향모듈(310), 진동모듈(350), 압전세라믹 모듈(360)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독자적인 구동을 위해 내장 배터리 및 충전회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따라서, 스마트 워치(20)로부터 음향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칩(380)은 음향 신호를 압전세라믹 모듈(360)에 전달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모듈(310) 및 진동모듈(350)을 더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압전세라믹 모듈(360)과 함께 압전세라믹 소자를 이용한 음향모듈(310) 또는 진동모듈(350)에도 음향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이는 전달되는 음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제어칩(380)에서 전달되는 요소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인 경우 모든 압전세라믹 모듈(360), 음향모듈(310) 및 진동모듈(350)을 작동시킬 수 있지만, 경고음의 경우 음향모듈(310) 또는 압전세라믹 모듈(360) 일부 또는 전체에서 음향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when the acoustic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진동 역시 동시에 구동될 수 있지만, 손목을 돌아가면서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칩(380)은 압전세라믹 모듈(360)의 구동순서를 조절할 수도 있다. The vibration can also be simultaneously driven, but the
제1 밴드 터치센서(370)에서는 단시간 터치, 긴시간 터치, 반복 터치, 스크롤 등의 터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시간 터치에는 재생 또는 일시정지를 기능하게 할 수 있으며, 긴시간 터치에는 모드 전환, 기능 설정 등의 모드를 호출하게 할 수도 있으며, 스크롤에 대응하여서는 볼륨 조절이나 다음곡/이전곡 재생 등의 음성제어기능을 매칭할 수가 있다. 제어칩(380)은 정해진 설정에 따라 접촉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 워치(20)로 전달할 수가 있다.The first
일반적으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는 크기가 작고, 손가락에 비해서 터치면적이 작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가리거나 오작동의 문제가 자주 발생할 수가 있다. 하지만, 워치 밴드(330)에 터치센서를 제공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오작동이나 디스플레이 가림 없이 원활한 기능 수행을 할 수가 있다.In general, the display of a smart watch is small in size and has a small touch area compared to a finger, so that it may occasionally occlude a display or malfunction. However, by providing the touch sensor to the
스마트 워치(20)의 기능을 더욱 다양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제2 밴드 터치센서(375)가 더 제공될 수가 있다. 제2 밴드 터치센서(375)의 접촉신호도 단시간 터치, 긴시간 터치, 반복 터치, 스크롤 등의 터치 모션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제어칩(380)도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의 제2 밴드 접촉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아니면 제1 밴드 접촉신호와 조화를 이루면 음향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A second
예를 들어, 터치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롤도 다른 쪽 터치센서의 터치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제어할 수 있으며, 양쪽 터치센서에서의 동시 접촉에 대응하여 더욱 확장된 기능을 정의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touch sensor, the scroll can be controlled while confirming that the touch of the other touch sensor is maintained, and it is possible to define a further extended function in response to the simultaneous contact with both touch sensors have.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음향 모듈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module that may be applied to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음향 모듈(310)은 스마트 워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워치(20)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음향을 생성하며, 스마트 워치(20) 또는 압전세라믹 모듈(360)의 스피커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음향 모듈(310)의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주파수 재생용 또는 고음재생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압전 스피커를 개량한 음향 모듈을 제시할 수 있다. 7, the
음향 모듈(310)은 메인 압전 구동체(311), 진동판(312), 및 지지부(314)를 포함하며, 고정점(313)을 중심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311) 및 진동판(312)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할 수 있다.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하우징(315)은 음향 모듈(110)의 하우징(315)이며, 하우징(315)은 크래들(320)에 설치될 수 있다. 자명한 사항이지만, 메인 압전 구동체나 진동판은 음향 모듈의 자체의 전기 단자를 통해서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거나, 음향 모듈과 연결되되 크래들에 설치되는 별도의 전기 단자를 통해서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메인 압전 구동체(311) 및 진동판(312)은 일체로 결합되어 압전 구동체(311)의 진동이 진동판(312)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압전 구동체(311)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고정점(313)에서 지지부(314)가 압전 구동체(311) 또는 진동판(312)을 지지한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에서 압전 세라믹의 외주를 고정하여서 그 용도가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압전 구동체(311) 및 진동판(312)을 지지부(314)가 외주가 아닌 중앙부 또는 그 주변에서 지지하고, 오히려 외주가 고정단이 아닌 자유단이 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스피커보다 본 발명의 압전 구동체(311) 및 진동판(312)은 저역대 성능을 더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자기회로방식의 스피커와 유사한 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The main
메인 압전 구동체(311)로는 PbO, ZrO2, TiO2를 배합한 PZT계열 또는 PMN-PT(압전단결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압전 효과를 이용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311)는 평판 형상 또는 기타 플렉시블한 입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As the main
메인 압전 구동체(311)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312)은 메인 압전 구동체(311)의 진동을 전달 받아 공기 중으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진동판(312)은 단순한 판 형상 외에도 원추형 또는 나팔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압전 구동체(311)와 면접하는 것 외에도 점이나 선으로 접촉하는 것도 물리적 결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진동판(312)은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 종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인 경우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지지부(314)는 고정점(313)을 통해서 메인 압전 구동체(311) 및 진동판(312)과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압전 구동체(311) 및 진동판(312)은 지지부(314)에 의해서 고정되며, 음향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고정점(313)을 중심으로 진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점(313)은 메인 압전 구동체(311)의 중앙부, 즉 외주가 아닌 그 내측의 일 지점에 정의될 수 있다. 음향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지지부(314)에 대해서 고정점(313)은 정지하며, 메인 압전 구동체(311) 및 진동판(312)의 외주 부분은 자유단으로서 위아래로 진동할 수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311)의 진동은 진동판(312)으로 전달되어 소리 에너지를 공기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조는 밴드(330)에 제공되는 압전세라믹 모듈(360)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The support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20:스마트 워치 22:인/아웃풋 단자
100: 밴드 조립체 110:음향 모듈
120:크래들 122:전기 단자
130:워치 밴드 140:진동 전달 구조체
160:압전세라믹 모듈20: Smart Watch 22: In / Out
100: Band assembly 110: Acoustic module
120: cradle 122: electrical terminal
130: Watch band 140: Vibration transmission structure
160: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Claims (11)
상기 스마트 워치를 고정하기 위한 크래들(cradle);
상기 크래들을 결속대상에 결속하는 워치 밴드(watch band); 및
상기 워치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압전세라믹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A smart watch band assembly to which a smart watch is attached,
A cradle for fixing the smart watch;
A watch band for binding the cradle to an object to be bound; And
And at least on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embed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ch band.
상기 압전세라믹 모듈은 상기 워치 밴드에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s are disposed at uniform or non-uniform intervals in the watch band.
상기 압전세라믹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세라믹 모듈을 소정의 순서 패턴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wherein the piezoelectric ceramic module is operated in a predetermined order pattern.
상기 워치 밴드 외면에 제공되며, 착용자의 제1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밴드 터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에서의 제1 밴드 접촉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의 음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band touch senso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chband for sensing a first band contact signal of the wearer, And a voic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voice control unit.
상기 제1 밴드 접촉신호에 대응하여 재생, 일시정지, 다음곡, 이전곡,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상기 음성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5. The method of claim 4,
And generates the voic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reproduction, pause, next music, previous music, and volume in response to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상기 제1 밴드 접촉신호는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corresponds to one of a touch retention, a one touch, a repeat touch, and a scroll operation.
상기 크래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상기 워치 밴드 외면에 제공되며, 착용자의 제2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밴드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밴드 접촉신호 및 상기 제2 밴드 접속 신호의 조합을 통해서 상기 음성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and touch senso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atch band opposite to the first band touch sensor with the cradle therebetween, for sensing a second band contact signal of the wearer,
Wherein the voic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and the second band connection signal.
상기 크래들에 장착된 음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향 모듈은,
메인 압전 구동체;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und module mounted on the cradle,
The sound module includes:
A main piezoelectric actuator;
A diaphragm physically coupled to the main piezoelectric actuator; And
A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at a fixed point located inside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Where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are free to vibrate around the fixed point.
상기 크래들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radle,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module for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rom the smart watch to generate vibration. ≪ RTI ID = 0.0 > 11. < / RTI >
상기 결속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에서 생성되는 진동을 상기 결속대상에 증폭시켜 전달하는 진동 전달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 for contacting the binding object and amplifying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mart watch to the binding object.
상기 진동 전달 구조체는 상기 워치 밴드 및 상기 크래들 내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 includes protrusion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watchba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81754A KR20150007590A (en) | 2013-07-11 | 2013-07-11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piezo ceramic e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81754A KR20150007590A (en) | 2013-07-11 | 2013-07-11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piezo ceramic ele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7590A true KR20150007590A (en) | 2015-01-21 |
Family
ID=5257046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81754A Abandoned KR20150007590A (en) | 2013-07-11 | 2013-07-11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piezo ceramic ele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07590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671211A (en) * | 2020-06-23 | 2020-09-18 | 歌尔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wearable device wearing assembly and intelligent wearable device |
-
2013
- 2013-07-11 KR KR1020130081754A patent/KR20150007590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671211A (en) * | 2020-06-23 | 2020-09-18 | 歌尔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wearable device wearing assembly and intelligent wearable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44168B1 (en) |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 |
| US20210194543A1 (en) | Wirelessly Charged Electronic Device With Shared Inductor Circuitry | |
| KR20150007586A (en)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 |
| EP2800395B1 (en) | Electronic device | |
| JP6315434B2 (en) | Transmitter / receiver | |
| WO2015060230A1 (en) | Bracelet-typ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bracelet-type notification device | |
| US20120108215A1 (en) | Remote notification device | |
| KR101536229B1 (en) | Smart watch having band touch sensor | |
| HK1222728A1 (en) | Band with haptic actuators | |
| CN105814510A (en) | Band attachment mechanism with haptic response | |
| US10296093B1 (en) | Altering feedback at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environmental and device conditions | |
| KR20170087749A (en) | Watch type terminal | |
| JP2015531188A (en) |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 |
| JP6151490B2 (en) | Electronic device mounting member and combina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mounting member | |
| KR20150007591A (en) | Smart watch including piezo ceramic element | |
| KR101542864B1 (en) | Smart watch including audio module | |
| US9438990B2 (en) | Electronic device | |
| KR20150007588A (en)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sound film | |
| KR20150007590A (en)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piezo ceramic element | |
| JP5598827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 KR101540401B1 (en) | Smart watch including sound film | |
| KR20150007584A (en)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band touch sensor | |
| CN208971805U (en) | Article seeking device based on wafer speaker | |
| KR20150007582A (en)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including audio module | |
| US7353043B2 (en) |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