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948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2948A KR20150012948A KR1020130089159A KR20130089159A KR20150012948A KR 20150012948 A KR20150012948 A KR 20150012948A KR 1020130089159 A KR1020130089159 A KR 1020130089159A KR 20130089159 A KR20130089159 A KR 20130089159A KR 20150012948 A KR20150012948 A KR 201500129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nozzle
- dust brush
- main body
- dust
- nozz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27 co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진공 청소기는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여 먼지를 걸러내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를 일반적으로 청소기라 부를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is equipped with a motor inside and sucks air and dust from the outside to filter dust. Such a vacuum cleaner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몸체와 흡입노즐이 연장 튜브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형 청소기와 몸체에 흡입노즐이 직접 연결되는 업라이트(up-right)형 청소기가 있다.The cleaner generally has a canister type cleaner in which a body and a suction nozzle are connected to an extension tube, and an up-right type cleaner in which a suction nozz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dy.
한편, 간이 청소기로 사용자가 청소기 몸체를 직접 잡은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핸디형 청소기도 많이 보급되어 있다. 핸디형 청소기는 대상물의 일부분을 간단하게 청소하기 위해 제작됨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a handy type vacuum cleaner which can perform cleaning while the user holds the cleaner body directly by the simple vacuum cleaner is widely used. A handheld vacuum cleaner is generally designed to simply clean a portion of an object.
도 1 을 통해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100)는 본체(101), 본체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그릴 형태의 배기부(130), 손잡이(150) 및 전원버튼(16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10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conventional handy
본체는 피청소면의 이물 등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111)을 구비한다.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nozzle (111) for sucking a foreign object or the like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상기되는 구성을 이루는 진공 청소기(100)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청소기 본체(101)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 된다. The operation of the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손잡이(150)를 잡고 상기 흡입 노즐(111)을 전후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그러면,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이물질은 먼지통(170)에 모이며,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101)로부터 상기 먼진통(170)을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The user holds the
한편, 구석진 곳의 이물질이나 틈새에 존재하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틈새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착탈 가능한 특수한 형태의 보조 노즐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efficiently removing the dust present in a corner or in a gap. In order to remove the dust present in the gap, a special type of auxiliary nozzle which is detachable is required.
또한 표면 손상이 우려되는 대상물의 이물질 제거시에는 부드러운 재질으로 형성된 먼지 브러쉬가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이렇게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에 착탈할 수 있는 노즐이 제공되었다.In addition, a dust brush formed of a soft material is often supplementarily used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an object on which surface damage is likely to occur. Thus, a nozzle is provided that allows the user to attach and detach the vacuum cleaner as needed.
한편, 상기 노즐을 별도로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청소기에 장착 및 분리보관하는 경우 그 사용이 번거로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 노즐 또는 먼지 브러쉬의 분실이 빈번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ozzle is separately stored and attached to a vacuum cleaner whenever necessary, the nozzle can be cumbersome to use.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auxiliary nozzle or the dust brush is frequently lost.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청소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간단히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신뢰성이 증진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be implemented more simply and has improved durability and reliabil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노즐을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having a nozzle capable of efficiently sucking foreign mat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먼지를 쓸기 위한 먼지 브러쉬와 틈새 먼지를 흡수하기 위한 보조노즐이 동시에 구비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brush for sweeping dust and an auxiliary nozzle for absorbing dus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조노즐과 먼지 브러쉬가 개별적 또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 which auxiliary nozzles and dust brushes can be operat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조노즐 및 먼지 브러쉬가 본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auxiliary nozzles and dust brushes can be more firmly fixed to a main bod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조노즐 및 먼지 브러쉬가 청소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 또는 수납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which is used or housed in a state where an auxiliary nozzle and a dust brush are coupled to a cleaner main bod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조노즐 및 먼지 브러쉬의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reducing the risk of loss of auxiliary nozzles and dust brushe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조노즐 또는 먼지 브러쉬를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보다 간편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a series of processes for using an auxiliary nozzle or a dust brush is simpler.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본체;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모터 어셈블리;상기 흡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보조노즐; 및 상기 보조노즐 또는 상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먼지 브러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dust is introduced; a motor assem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ucking dust through the suction port; An auxiliary nozzle which is selectively communicated; And a dust brush which is selectively movable to a use position and a storage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nozzle or the main body.
상기 사용 위치는 상기 보조노즐이 흡입구와 연통 되어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납 위치는 상기 보조노즐이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보조노즐이 본체내부에 구비된 수납 공간에 안착 되어 있는 위치다. The use position means a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nozzle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to suck dust. The storage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nozzle is seated in a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when the auxiliary nozzle is not used.
상기 보조노즐은 상기 본체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nozzle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상기 보조노즐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병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A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nozzle; And a slot for receiving the rotation shaft so that the rotation shaft can be rotated and translated.
상기 보조노즐은, 청소 대상물과 대향하는 흡입단부; 및 상기 흡입 노즐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밀착단부; 및 상기 밀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구비되는 연결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nozzle includes a suction end portion facing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 close end which is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uction nozzle; And a connection end extending from the close end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end having the rotation shaft.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단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돌기일 수 있다.The rotation axis may be a protrus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end.
상기 보조노즐이 상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수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at portion rotatably received in the state that the auxiliary nozzl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상기 보조노즐은, 상기 안착부에 수납된 수납 위치에서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사용 위치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사용 위치에서 후방으로 힘이 가해져 병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조노즐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nozzle may be rotatable to a use position for sucking dirt from a storage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nozzle as a force is applied to the use position and is translationally moved. have.
상기 보조노즐의 상기 밀착단부에 마련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끼움결합 될 수 있는 삽입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위치에서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노즐의 회전이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at the close end of the auxiliary nozzle; And an insertion portion that can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inser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to restrict rotation of the auxiliary nozzle when a force is applied backward from the use position.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보조노즐에 결합되어 직선이동으로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dust brush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nozzle and move to a use position or a storage position by linear movement.
상기 사용 위치는 상기 먼지 브러쉬가 상기 보조노즐보다 돌출되어 이물질을 쓸수 있도록 고정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납위치는 상기 먼지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보조노즐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노즐과 함께 상기 본체에 수납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The use position may refer to a position where the dust brush is fixed to protrude from the auxiliary nozzle so as to use foreign substances. The storage position may be a position fixed to the auxiliary nozzle and stored in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auxiliary nozzle when the dust brush is not used.
특히, 상기 보조노즐의 일단에는 제1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먼지 브러쉬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마련되며,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걸림홈에 상기 제1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먼지 브러쉬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Particularly, a first lock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auxiliary nozzle, and the dust brush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t the use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brush may be restricted.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보조노즐보다 상기 먼지 브러쉬가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dust brush may protrude from the auxiliary nozzle at the use position.
상기 보조노즐의 타단에 제2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수납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홈에 상기 제2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nozzle,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cking groove at the locking position.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제2걸림돌기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안착부에 상기 보조노즐과 함께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ust brush is fixed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is received in the seating part of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auxiliary nozzle.
상기 보조노즐은, 상기 먼지 브러쉬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nozzle may further include a rail for guiding a linear movement of the dust brush.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먼지 브러쉬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병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brush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haft of the dust brush; And a slot for receiving the rotation shaft so that the rotation shaft can be rotated and translated.
상기 먼지 브러쉬는 먼지를 쓸기 위한 쓸기부; 흡입 노즐과 밀착되는 밀착단부; 및 상기 밀착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구비되는 연결단부; 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brush includes a writing unit for sweeping dust; A close end portion which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ction nozzle; And a connection end extending from the close end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end having the rotation shaft; . ≪ / RTI >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먼지 브러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보조노즐과 함께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안착부에 수납될 수 있다.The dust brush may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dust brush and be housed in a seating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auxiliary nozzle.
상기 보조노즐의 회전축과 상기 먼지 브러쉬의 회전축은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nozzle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ust brush may be coaxial.
또한,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보조노즐 외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먼지 브러쉬가 상기 보조노즐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Also, the dust brush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nozzle, and the dust brush may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auxiliary nozzle.
도 1은 종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보조노즐이 사용 위치에서 회전 제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브러쉬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노즐과 먼지 브러쉬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브러쉬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nozzle is rotationally restricted at the use posi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dust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n auxiliary nozzle and a dust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use state diagram of a dust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otherwise than as specifically describ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를 설명한다.First, a
진공 청소기(10)의 본체(1)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흡입노즐(17)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노즐(17)을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면, 상기 이물질은 흡입구(11)를 통하여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A main body 1 of the
또한, 상기 흡입노즐(17)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3)로 배출시키는 모터 어셈블리(미도시)가 상기 본체(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17)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미도시)에 상기 배기구(13)로 배출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 may further include a motor assembly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상기 사이클론 먼지 분리부(17)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노즐(17)을 통해 유입된 유체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흡입노즐(17)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보조노즐(4)이 상기 본체(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노즐(4)은 회전축(45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1)에 수납되거나 상기 흡입구(11)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An
상기 보조노즐(4)은 좁고 깊은 곳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적합한 형상을 함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 장형의 보조노즐(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조노즐(4)은 장형뿐만 아니라 원통형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노즐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도 3(a)는 보조노즐(4)이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도 3(c)는 상기 보조노즐(4)의 사용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FIG. 3 illustrates a state of use of an auxiliary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상기 보조노즐(4)은 본체(1)에 상시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1)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납 위치 또는 사용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따라서 틈새의 먼지와 같이 흡입노즐(17)만으로는 이물질의 제거가 어려운 경우에 상기 보조노즐(4)을 사용위치로 이동시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사용 위치로 이동하거나 수납위치로 이동할 때에도 상기 보조노즐(4)은 본체(1)와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보조노즐(4)을 분실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when foreign matter is difficult to remove by the
또한 상기 보조노즐(4)과 연결된 먼지 브러쉬(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 브러쉬(6)는 이물질을 쓸어 모으거나, 청소면과의 접착력에 의해 떨어지기 쉽지 않은 이물질을 먼지 브러쉬(6)로 외력을 가하여 흡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면 손상이 염려되는 대상물을 청소하기 위해 재질이 부드러운 먼지 브러쉬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상기 먼지 브러쉬(6)를 사용할 수 있다. Further, a dust brush 6 connected to the
상기 먼지 브러쉬(6)는 상기 보조노즐(4) 또는 상기 본체(1)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 브러쉬(6)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The dust brush 6 can be selectively moved to a use position and a storage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dust brush 6 is connected to the
한편, 상기 먼지 브러쉬(6)와 보조노즐(4)이 회동 되어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이 상기 본체(1)에 마련된다. 상기 안착부(7)는 상기 먼지 브러쉬(6)가 회동하여 접혔을 때 수용될 수 있는 만큼의 공간이 상기 본체(1)의 하부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dust brush 6 and the
즉, 별도의 부피를 차지하는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보노노즐(4) 및 상기 먼지브러쉬(5)를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노즐(4) 및 상기 먼지 브러쉬(6)가 항상 본체에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진공 청소기(10)의 부피가 증가하거나 외관상의 미려함에 손상이 없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tore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조노즐(4)의 사용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노즐(4)은 상기 본체(1)에 회전 및 병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use state of the
즉, 도 3(a)는 보조노즐(4)이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본체(1)와 연결된 회전축(452)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노즐(4)이 회전하면, 상기 보조노즐(4)은 본체(1)의 안착부(7)로 안착될 수 있다. That is, FIG. 3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상기 보조노즐(4)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납 위치에 상기 보조노즐(4)이 보관된다. 사용자가 상기 보조노즐(4) 또는 먼지 브러쉬(6)를 이용하고자 할때는 도 3(b)와 같이 상기 보조노즐(4)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조노즐(4)이 사용 위치에 이를 수 있도록 도 3(c)와 같이 최대 회전 각도 만큼 상기 보조노즐(4)을 회전 시킨다. When the auxiliary nozzle (4) is not used, the auxiliary nozzle (4) is stored in the storage position. When the user wishes to use the
이때 상기 회전축(452)이 회전 및 병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452)을 수용하는 장공(1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452)이 상기 본체(1)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노즐(4)에 상기 장공(12)이 마련된다. 반면, 상기 회전축(452)이 상기 보조노즐(4)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장공(12)은 상기 본체(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특히 상기 장공(12)은 상기 안착부(7)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7)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조노즐(4)이 상기 수납 위치나 상기 사용 위치로 회전될 때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한편, 상기 보조노즐(4)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흡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노즐(4)은 회전 제한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보조노즐(4)이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면, 보조노즐(4)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foreign matter is sucked by using the
따라서 상기 보조노즐(4)이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본체(1)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가 필요한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refore, a structure is required in which the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노즐(4)이 상기 수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회전한 뒤, 상기 보조노즐(4)에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보조노즐(4)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4, when the
상기 보조노즐(4)은 청소 대상물과 대향 하는 흡입단부(44), 상기 흡입노즐(17)에서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밀착단부(45) 및 상기 밀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1)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452)이 구비되는 연결단부(4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밀착단부(45)는 밀착면(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노즐(4)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흡입구의(11)와 상기 보조노즐(4)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보조노즐(4)과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사용 위치에서 서로 이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노즐의 병진 운동에 의해, 상기 밀착면(450)과 결합 또는 밀착하기 위한 상기 흡입구(11) 말단의 흡입밀착면(18)과 상기 밀착면(450)은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따라서 상기 밀착면(450)과 상기 흡입밀착면(18)의 길이 및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length and shape of the
또한, 상기 보조노즐(4)과 상기 흡입구(11) 사이가 상기 사용 위치에서 이격 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11) 또는 밀착단부(45)에는 탄성재질을 가진 가스켓(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A gasket (not shown) having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on the
상기 밀착단부(45)의 일부분은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연결단부(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된 부분은 보조노즐(4)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보조노즐(4)의 회전 제한을 유도한다. A portion of the coherent end (45) may extend fur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connecting end (46). The extended portion smoothe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auxiliary nozzle (4). In addition, rotation restriction of the auxiliary nozzle (4) is induced at the use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단부(46)는 상기 밀착단부(45)의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단부(46)의 끝단에는 본체(1)와 연결되기 위한 회전축(452)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노즐(4)의 상기 밀착단부(45)에 마련된 삽입홈(451), 상기 삽입홈(451)에 끼움 결합 될 수 있는 삽입부(8)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보조노즐(4)에 후방으로 힘이 가해져 병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삽입부(8)는 상기 삽입홈(451)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노즐(4)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n
사용자가 상기 보조노즐(4)에 후방으로 이동을 가하는 경우, 상기 보조노즐(4)은 상기 장공(12)에 수용된 회전축(452)의 움직임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공(12)의 길이는 상기 보조노즐(4)의 병진운동에 의해 상기 삽입홈(451)과 상기 삽입부(8)가 결합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user moves backward to the
한편, 상기 연결단부(46)는 상기 삽입부(8)가 상기 보조노즐(4)의 회전 제한하는 역할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연결단부(46)가 없다면 상기 삽입부(8)가 상기 삽입홈(451)에서 이탈될 수 있는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회전 제한 구조는 보조노즐(4)과 상기 본체(1)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사용자가 청소하는 과정에서 보조노즐(4)이 예측 불가능 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rotation restricting structure makes the fixing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452)은 상기 연결단부(46)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453)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돌기(453)은 연결단부(46) 끝단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453)가 상기 장공(12)에 수용되면, 상기 돌기(453)가 회전하거나 장공(12) 내에서 병진운동 함에 따라 상기 보조노즐(4)이 상기 본체(1)에서 회전 또는 병진운동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노즐(4)과 먼지 브러쉬(6)의 결합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먼지 브러쉬(6)의 사용 상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먼지 브러쉬(6)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ust brush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상기 먼지 브러쉬(6)는 상기 보조노즐(4)에 결합된 상태로 직선이동 하여 상기 먼지 브러쉬(6)의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dust brush 6 is linearly mov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즉, 상기 먼지 브러쉬(6) 역시 상기 본체(1)에 항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That is, the dust brush 6 may also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 at all times.
상기 먼지 브러쉬(6)가 사용위치에서 상기 보조노즐(4)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노즐(4)에는 제1걸림돌기(4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브러쉬(6)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42)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용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홈에 상기 제1걸림돌기(42)가 삽입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보조노즐(4)보다 상기 먼지 브러쉬(6)가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걸림돌기(42)의 위치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먼지 브러쉬(6)의 말단이 보조 노조노즐보다 돌출되어야 이물질을 쓸기 위한 먼지 브러쉬(6)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이에 더하여, 상기 보조노즐(4)의 타단에는 제2걸림돌기(4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홈에 상기 제2걸림돌기(43)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상기 먼지 브러쉬(6)는 상기 제2걸림돌기(43)에 고정되어 상기 안착부(7)에 상기 보조노즐(4)과 함께 수납될 수 있다. The dust brush 6 may be fixed to the
상기 제2걸림돌기(43)에 상기 걸림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노즐(4)이 상기 안착부(7)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걸림돌기(43)의 위치 및 상기 안착부(7)의 길이와 너비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The position of the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먼지 브러쉬(6)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먼지 브러쉬(6)가 상기 제2걸림돌기(43)에 고정되어 있는 보조노즐(4)을 안착부(7)로부터 사용 위치로 회전시킨다. 6 (a), when the user desires to use the dust brush 6, the dust brush 6 is pressed against the
그리고 도 6(b)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먼지 브러쉬(6)를 제2걸림돌기(43)에서 제1걸림돌기(42)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먼지 브러쉬(6)를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사용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먼지 브러쉬(6)를 사용할 수 있다. 6 (b), the user can linearly move the dust brush 6 from the
상기 보조노즐(4)은 먼지 브러쉬(6)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41)은 상기 보조노즐(4)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상기 레일(41)을 통하여 상기 먼지 브러쉬(6)가 제1걸림돌기(42)와 제2걸림돌기(43) 사이를 보다 부드럽게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41)은 상기 먼지 브러쉬(6)를 상기 사용 위치 또는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 브러쉬(6)가 상기 보조노즐(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dust brush 6 can smoothly move linearly between the first
도 7은 상기 먼지 브러쉬(5)가 상기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일실시예를 도시하였다.FIG. 7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상기 먼지 브러쉬(5)는 상기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 브러쉬(5)도 상기 본체(1)와 직접 연결되기 위한 회전축(53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먼지 브러쉬(5)의 회전축(531)은 상기 장공(11)에 수용되어 상기 먼지 브러쉬(5)의 회전 및 병진 이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The
도 7(a)는 먼지 브러쉬(5)가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먼지 브러쉬(5)가 상기 안착부(7)에 안착되어 있는 위치를 수납 위치라 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브러쉬(5)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납 위치에 상기 먼지 브러쉬(5)가 보관된다.Fig. 7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사용자가 상기 먼지 브러쉬(5) 또는 먼지 브러쉬(5)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도 7(b)와 같이 상기 먼지 브러쉬(5)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먼지 브러쉬(5)가 사용 위치에 이를 수 있도록 도 7(c)와 같이 최대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When the user wishes to use the
이때 상기 회전축(531)이 회전 및 병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531)을 수용하는 장공(11)이 구비된다. 상기 장공(11)은 상기 보조노즐(4)의 회전축(452)과 상기 먼지 브러쉬(5)의 회전축(531)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an
따라서, 상기 먼지 브러쉬(5)만 따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노즐(4)과 독립적으로 상기 먼지 브러쉬(5)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only the
즉, 상기 먼지 브러쉬(5)는 상기 보조노즐(4) 외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먼지 브러쉬(5)가 상기 보조노즐(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브러쉬(5)는 상기 보조노즐(4)을 감싸는 것과 동시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먼지 브러쉬(5)의 일 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반면, 상기 먼지 브러쉬(5)는 상기 회전축(5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보조노즐(4)과 함께 안착부(7)에 수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따라서, 상기 먼지 브러쉬(5)가 항상 본체(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먼지 브러쉬(5)를 별도로 보관하는 것에 비하여 월등히 분실위험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한편, 상기 먼지 브러쉬(5)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쓸기 위해서는 상기 먼지 브러쉬(5)가 사용 위치에서 회전 제한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상기 먼지 브러쉬(5)가 고정되지 않고 계속해서 움직이면, 청소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때 외력이 먼지 브러쉬(5)로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큰 불편을 초래한다.Meanwhile, in order to use the
따라서 상기 먼지 브러쉬(5)가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본체(1)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가 필요한바, 상기 먼지 브러쉬(5)가 사용 위치에서 고정되는 구조는 상기 보조노즐(4)이 고정되는 구조와 유사할 수 있다.The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상기 먼지 브러쉬(5)는 먼지를 쓸기 위한 쓸기부(51), 흡입 노즐과 밀착되는 밀착단부(52) 및 상기 밀착단부(52)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1)에 연결되는 연결단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531)은 연결단부(53)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상기 밀착단부(52)는 상기 먼지 브러쉬(5)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흡입노즐(17)의 일부분과 결합 또는 밀착하는 부위가 된다. 상기 밀착단부(52)는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흡입노즐(17)과 이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길이 및 형상이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밀착단부(52)의 일부분은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착단부(52)의 하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단부(5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53)의 끝단에는 본체(1)와 연결되기 위한 회전축(531)이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531)은 상기 연결단부(53) 끝단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돌기가 상기 장공(11)에 수용되면, 상기 돌기가 회전하거나 장공(11) 내에서 병진운동 함에 따라 상기 먼지 브러쉬(5)이 상기 본체(1)에서 회전 또는 병진운동 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먼지 브러쉬(5)의 회전축(531)은 상기 보조노즐(4)의 회전축(452)과 동축을 형성하면서 상기 장공(11)에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먼지 브러쉬(5)의 연결단부(53)의 끝단은 상기 보조노즐(4)의 연결단부(53) 끝단 보다 넓은 가로 너비를 가지고, 상기 보조노즐(4)의 회전축(452) 바깥쪽에 결합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보조노즐(4)과 상기 먼지 브러쉬(5)를 항상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또한, 본체(1)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먼지 브러쉬(5) 또는 상기 보조노즐(4)을 회전만 시키면 사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바, 별도로 먼지 브러쉬(5) 또는 보조노즐(4)을 외부로부터 가져와서 흡입노즐(17)과 결합시키기 위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즉 사용 조작의 간편화를 도모한다. The
또한, 상기 보조노즐(4) 또는 먼지 브러쉬(5)가 사용 위치에서 본체로부터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청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1: 본체 4: 보조노즐
5: 먼지 브러쉬 7: 안착부
8: 삽입부 10: 진공 청소기
11:흡입노즐 41: 레일
42:제1걸림돌기 43:제2걸림돌기
44: 흡입단부 45, 52: 밀착단부
46, 53: 연결단부 51: 쓸기부
451: 삽입홈 452, 531: 회전축
453:돌기 532: 걸림홈1: Main body 4: Auxiliary nozzle
5: dust brush 7: seat part
8: Insertion part 10: Vacuum cleaner
11: suction nozzle 41: rail
42: first locking projection 43: second locking projection
44:
46, 53: connecting end 51:
451:
453: projection 532:
Claims (20)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흡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보조노즐; 및
상기 보조노즐 또는 상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먼지 브러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dust is introduced;
A motor assem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ucking dust through the suction port;
An auxiliary nozzle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And a dust brush selectively movable to a use position and a storage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nozzle or the main body.
상기 보조노즐은 상기 본체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nozzle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상기 보조노즐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병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nozzle; And
And a long hole for receiving the rotation shaft so that the rotation shaft can be rotated and translated.
상기 보조노즐은,
청소 대상물과 대향하는 흡입단부; 및
상기 흡입 노즐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밀착단부; 및
상기 밀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구비되는 연결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The method of claim 3,
The auxiliary nozzle
A suction end facing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 close end which is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uction nozzle; And
And a connection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close en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connection end portion includes the rotation shaft.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단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on shaft is a projec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end portion.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보조노즐이 상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수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seat part (120) rotatably received in the state that the auxiliary nozzl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상기 보조노즐은,
상기 안착부에 수납된 수납 위치에서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사용 위치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사용 위치에서 후방으로 힘이 가해져 병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조노즐의 회전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uxiliary nozzle
Wherein the auxiliary nozzle is rotatable to a use position for sucking dirt from a storage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rotation of the auxiliary nozzle is restricted as a force is applied to the backward direction and translationally moved from the use position.
상기 보조노즐의 상기 밀착단부에 마련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끼움결합 될 수 있는 삽입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위치에서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노즐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at the close end of the auxiliary nozzle; And
An insertion portion which can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 RTI >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rear side, thereby limiting rotation of the auxiliary nozzle.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보조노즐에 결합되어 직선이동으로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brush is coupled to the auxiliary nozzle and moves to a use position or a storage position by linear movement.
상기 보조노즐의 일단에는 제1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먼지 브러쉬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마련되며,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걸림홈에 상기 제1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먼지 브러쉬의 이동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10. The method of claim 9,
A first locking project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auxiliary nozzle,
In the dust brush,
And a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Wherein the movement of the dust brush is restricted by inserting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nto the latching groove at the use position.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보조노즐보다 상기 먼지 브러쉬가 돌출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ust brush is protruded from the auxiliary nozzle at the use position.
상기 보조노즐의 타단에 제2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수납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홈에 상기 제2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을 하는 진공 청소기.11. The method of claim 10,
A second locking projec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nozzle,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atching groove at the storage position.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제2걸림돌기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안착부에 상기 보조노즐과 함께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ust brush is fixed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housed in the seating part of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auxiliary nozzle.
상기 보조노즐은,
상기 먼지 브러쉬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The auxiliary nozzle
Further comprising a rail for guiding a linear movement of the dust brush.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brus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상기 먼지 브러쉬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병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 rotating shaft of the dust brush; And
And a long hole for receiving the rotation shaft so that the rotation shaft can be rotated and translated.
상기 먼지 브러쉬는,
먼지를 쓸기 위한 쓸기부;
흡입 노즐과 밀착되는 밀착단부; 및
상기 밀착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구비되는 연결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ust brush includes:
Donation to sweep away dust;
A close end portion which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ction nozzle; And
A connection end extending from the close end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end having the rotation shaft;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먼지 브러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보조노즐과 함께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안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ust brush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of the dust brush and is housed in a seating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auxiliary nozzle.
상기 보조노즐의 회전축과 상기 먼지 브러쉬의 회전축은 동축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nozzle and a rotation axis of the dust brush form a coaxial axis.
상기 먼지 브러쉬는 상기 보조노즐 외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먼지 브러쉬가 상기 보조노즐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dust brush is provid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nozzle, and the dust brush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auxiliary nozzl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89159A KR20150012948A (en) | 2013-07-26 | 2013-07-26 | vacuum cleaner |
| CN201410355881.9A CN104337465A (en) | 2013-07-26 | 2014-07-24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89159A KR20150012948A (en) | 2013-07-26 | 2013-07-26 |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12948A true KR20150012948A (en) | 2015-02-04 |
Family
ID=5248887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89159A Ceased KR20150012948A (en) | 2013-07-26 | 2013-07-26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12948A (en) |
| CN (1) | CN104337465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209734A (en) * | 2018-03-20 | 2018-06-29 |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 Electric machine casing and hand-held cleaners with vent |
Family Cites Familie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SE390102B (en) * | 1975-01-29 | 1976-12-06 | Electrolux Ab | DEVICE ON A NOZZLE FOR A VACUUM CLEANER |
| DE3309162A1 (en) * | 1983-03-15 | 1984-09-20 | Krups Stiftung | Battery-operated table vacuum cleaner |
| DE3703386A1 (en) * | 1987-02-05 | 1988-08-18 | Duepro Ag | SUCTION CLEANING TOOL |
| KR960016448B1 (en) * | 1994-12-15 | 1996-12-12 | 대우전자 주식회사 | Accessory nozzle of a vacuum cleaner |
| JP2937838B2 (en) * | 1994-12-26 | 1999-08-23 | 大宇電子株式會▲社▼ | Suction pipe with auxiliary brush in vacuum cleaner |
| US5839161A (en) * | 1997-05-28 | 1998-11-24 | Choung Cheng Industrial Co., Ltd. | Suction pip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
| KR100519964B1 (en) * | 2003-08-27 | 2005-10-13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Accessory assembly for vacuum cleaner |
| JP2005185480A (en) * | 2003-12-25 | 2005-07-14 | Sharp Corp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5359407B2 (en) * | 2009-03-12 | 2013-12-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Brush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
| CN201398935Y (en) * | 2009-04-30 | 2010-02-10 | 金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 Dust collector flat suction nozzle |
-
2013
- 2013-07-26 KR KR1020130089159A patent/KR20150012948A/en not_active Ceased
-
2014
- 2014-07-24 CN CN201410355881.9A patent/CN104337465A/en active Pending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209734A (en) * | 2018-03-20 | 2018-06-29 |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 Electric machine casing and hand-held cleaners with vent |
| CN108209734B (en) * | 2018-03-20 | 2024-02-02 | 北京小狗吸尘器集团股份有限公司 | Motor shell with exhaust hole and handheld dust collec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4337465A (en) | 2015-02-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25336B1 (en) | Vacuum Cleaner | |
| US10980382B2 (en) | Cleaning device | |
| CN100593387C (en) | vacuum cleaner | |
| US7356874B2 (en) | Vacuum cleaner | |
| KR101143659B1 (en) | Convertible vacuum cleaner | |
| US20160184954A1 (en) | Handheld abrading machine | |
| US11147421B2 (en) |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 |
| KR102072381B1 (en) | Vacuum Cleaner | |
| KR20220012727A (en) | Vacuum Cleaner | |
| KR101420971B1 (en) | Suction port body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 |
| KR20100001442A (en) |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 |
| US9572466B2 (en) | Nozzle for a vacuum cleaner | |
| US9655487B2 (en) | Vacuum cleaner and nozzle for a vacuum cleaner | |
| CN103356129A (en) | Electric dust collector | |
| KR20150012948A (en) | vacuum cleaner | |
| JP2011104224A (en) | Suction tool for vacuum cleaner | |
| US20140352105A1 (en) | Platform for vacuum cleaner | |
| KR101039491B1 (en) | Nozzle of vacuum cleaner | |
| JP6306341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 JP2011142980A (en) | Vertical vacuum cleaner | |
| JP4480595B2 (en)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 KR102174352B1 (en)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 JP4093576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 KR101192869B1 (en) | Suction device for vaccum cleaner | |
| JP6133179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3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2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9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