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589A -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method for m0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method for m0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9589A KR20150019589A KR20130096650A KR20130096650A KR20150019589A KR 20150019589 A KR20150019589 A KR 20150019589A KR 20130096650 A KR20130096650 A KR 20130096650A KR 20130096650 A KR20130096650 A KR 20130096650A KR 20150019589 A KR20150019589 A KR 201500195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electronic tag
- rfid
- rea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의 분실/도난에 따른 개인 정보 유출 및 금전적 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는, RFID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단말 내의 기판에 내장되며,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전자 태그 리더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에 송신하는 전자 태그; 상기 이동단말의 충전기에 내장되며, 상기 전자 태그에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전자 태그 리더기; 및 미리 설정된 인식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device and a security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device and a securit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preventing or minimizing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financial loss due to loss / theft of the mobile terminal .
The secur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RFID scheme, and is embedded in the substrate of the mobile terminal,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tag An electronic tag for transmitting to a reader; An electronic tag reader built in a charger of the mobile terminal for reque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lectronic tag and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mobile terminal to an inactive stat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during a preset waiting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의 분실/도난에 따른 개인 정보 유출 및 금전적 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사회가 발전하면서 많은 전자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예전에 희귀했던 모바일 폰들이 이젠 대중화가 되고, 기술의 발전으로 현재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As society develops, many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released. As a result, mobile phones, which were rare in the past, are now populariz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becoming mainstream nowadays.
이러한 최근의 흐름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분실 및 도난 예방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와 같은 제품들이 다양한 개인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고가이어서, 분실 또는 도난되었을 경우, 개인 정보 유출 및 금전적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이다.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prevent the loss and theft of smart phones and tablet PCs, because such products store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and are expensive, lost or stolen ,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financial loss.
따라서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분실/도난 방지용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제품들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품 등이 주로 출시되고 있다.Recently, a lot of products for preventing loss / theft of smart phones, tablet PCs and the like are being released. As these products, the products shown in Figs. 1 and 2 are mainly put on the market.
도 1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물리적으로 사람의 몸에 밀착시켜 이를 통해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하는 제품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사람의 몸에서 벗어날 경우 무선을 이용한 알람 기능을 통해 경고하여 이를 통해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하는 제품을 나타낸 것이다.FIG. 1 show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that physically contact a human body to prevent loss or theft. FIG. 2 shows a smart phone, a tablet PC, It is a product that warns through alarm function and prevents it from being lost or stole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품들은, 물리적 또는 알람 기능 등을 통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사람의 몸에 연결시킴으로써, 분실 또는 도난을 1차적으로 예방하는 수단에 그칠 뿐이며, 스마트폰 등의 이동단말이 분실 또는 도난된 이후의 개인 정보 유출 등은 전혀 해결할 수 없게 된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oducts are merely means for preventing loss or theft primarily by connect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to a human body through physical or alarm functions, and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s lost Or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fter being stolen can not be solved at all.
따라서 스마트폰 등의 분실 또는 도난에 따른 개인 정보 유출 뿐만 아니라 금전적 손실 또한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및 그 보안 방법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prevent or minimize financial loss as well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loss or theft of a smart phone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이용한 식별정보 매칭을 수행함과 함께 RFID 인식 대기 시간에 따른 이동단말의 비활성화를 제어함으로써, 이동단말의 분실 또는 도난에 따른 개인 정보 유출 및 금전적 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및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using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ethod and to control the inactiv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RFID recognition waiting time, thereby preventing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leaked or stolen, And to provide a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preventing or minimizing a los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RFID 방식을 이용한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 내의 기판에 내장되며,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전자 태그 리더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에 송신하는 전자 태그; 상기 이동단말의 충전기에 내장되며, 상기 전자 태그에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전자 태그 리더기; 및 미리 설정된 인식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가 제공됨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secur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using an RFID scheme, the secure device being embedded in a substrate in the mobile terminal,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 electronic tag fo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tag reader upon request; An electronic tag reader built in a charger of the mobile terminal for reque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lectronic tag and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mobile terminal to an inactive stat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during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perio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RFID 방식은, 상호유도방식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FID scheme may be a mutual induction schem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RFID 방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FID scheme may be implemented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chem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자 태그는,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에 송신하는 RF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tag further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RF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RFID reader to the RFID read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는,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및 상기 RF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RFID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tag reader further comprises: an RF receiver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And an RFID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F receiv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는, 상기 이동단말의 충전기 본체 또는 잭에 내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tag reader may be embedded in the charger main body or the jack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RFID 방식을 이용한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자 태그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인식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이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curity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using an RFID scheme, the method comprising: reque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to an electronic tag;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to the electronic tag reader according to the request;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tag; And changing the mobile terminal to an inactive stat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during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or recognition. A security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RFID 방식은, 상호유도방식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FID scheme may be a mutual induction schem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RFID 방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FID scheme may be implemented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chem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번호 저장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로 송신하는 RF 송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step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storing step of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RF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FID read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RF 수신단계; 및 상기 RF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RFID 인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zing step includes: an RF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And an RFID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RF reception step.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및 보안 방법은, 전자태그 내장형 기판을 가지는 이동단말 및 전자 태그 리더기 내장형 충전기를 통해 RFID 방식의 식별정보 매칭을 수행하고, RFID 인식 대기 시간에 따른 이동단말의 비활성화를 제어함으로써, 이동단말의 분실 또는 도난 시, 제3자의 이동단말으로의 접근 또는 사용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urity device and the security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of the RFID system through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RFID tag and the charger with the RFID reader built- The access or use of the third party to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mpletely block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st or stole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분실 또는 도난에 따른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이동단말의 분실 또는 도난에 따른 금전적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loss or theft of a mobile terminal can be prevented, and a financial loss due to loss or theft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minimized.
도 1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물리적으로 사람의 몸에 밀착시켜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하는 제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사람의 몸에서 벗어날 경우 무선을 이용한 알람 기능을 통해 경고하여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하는 제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비아형의 전자태그 내장형 임베디드 기판의 공정도.
도 5는 패드형의 전자태그 내장형 임베디드 기판의 공정도.
도 6은 도 3의 개략 구성도를 제품에 적용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 is a diagram showing a product that physically touches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to a person's body to prevent loss or theft.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roduct that prevents a lost or stolen by warning through a wireless alarm function when a smart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is out of a person's body.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ecu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rocess chart of a via type electronic tag embedded type substrate.
5 is a process chart of a pad type electronic tag embedded type substrate.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oduct of Figure 3;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urit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및 그 방법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securit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method 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00)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00)는, RFID 방식을 이용한 이동단말(110)의 보안 디바이스를 나타낸 것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이동단말(110)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톱,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단말장치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단말장치라도 가능하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RFID 기술을 이용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RFID 기술이라 함은,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대상(물건, 사람 등)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로서, 안테나와 칩으로 구성된 전자 태그(RF 태그)에 사용 목적에 알맞은 정보를 저장하여 적용 대상에 부착한 후, 인식구성(판독구성)에 해당하는 전자 태그 리더기를 통하여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이다.In this case, the RFID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an identify a target (object, person, etc.) using a radio frequency (RF), and an RFID tag composed of an antenna and a chip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Is attached to the application object, and then the informa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RFID read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tion configuration (read configuration).
이러한 RFID 기술 특징으로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대용량의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중이나 원거리에서도 인식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데이터 신뢰성도 높다. 아울러 다수의 전자 태그 또는 전자 라벨 정보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으며, 공간적 제약 없이 동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데이터 변환(Write) 및 저장이 용이하다.This RFID technology feature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can incorporate a large-capacity memory. It can be recognized on the move or at a distance, can be repeatedly reused, and has high data reliabi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recognize a plurality of electronic tags or electronic label information, operate without space limitation, and facilitate data conversion (writing) and storage.
상기와 같은 RFID 기술 방식에는, 크게 2가지 상호유도 (Inductively coupled) 방식과 전자기파 (electromagnetic wave)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The RFID technology may be divided into two types: an inductively coupled method and an electromagnetic wave method.
먼저 상호유도 방식이라 함은, 근거리 이내(1m 이내)의 송수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코일 안테나를 사용한다. 이때의 전자 태그는 항상 거의 수동적으로 동작, 다시 말해 전자 태그의 IC 칩이 동작하는데 있어 필요한 모든 에너지를 전자 태그 리더기에 의해 공급받게 된다.First, the mutual induction method can be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in a short distance (within 1 m), and mainly uses a coil antenna. At this time, the electronic tag always operates almost passively, that is, all the energy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IC chip of the RFID is supplied by the RFID reader.
다음으로 전자기파 방식이라 함은, 중장거리에서의 송수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고주파 안테나를 사용한다. 이때의 전자 태그는 IC 칩을 구동하기 위해 전지를 포함하게 된다.Next, the electromagnetic wave system can be us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medium and long distance, and a high frequency antenna is mainly used. The electronic tag at this time includes a battery for driving the IC chip.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00)는, 전자 태그(111)를 이동단말 내에 내장시키므로, 이동단말(110)의 전력 소모 저감을 위하여, 전자 태그(110)의 필요한 에너지를 전자 태그 리더기(121)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상호유동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기파 방식의 RFID 기술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이내의 송수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의 기술로도 구현할 수 있다.Also, the
한편 RFID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에 있어서, 중요 구성요소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 태그와 전자 태그 리더기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00) 또한 RFID 기술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태그(111)와 전자 태그 리더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method of applying the RFID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an electronic tag and an electronic tag reader, and the
이때 전자 태그(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110) 내의 임베디드(embedded) 기판(112)에 내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도 4 및 도 5는 이동단말 내의 전자태그 내장형 임베디드 기판의 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비아형의 전자태그 내장형 임베디드 기판의 공정도를 나타내고, 도 5는 패드형의 전자태그 내장형 임베디드 기판의 공정도를 나타낸다.FIGS. 4 and 5 show process steps of an embedded electronic tag embedded substrate in a mobile terminal, FIG. 4 shows a process diagram of a via embedded electronic substrate embedded type substrate, and FIG. .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동박 피복된 수지 절연층(CCL; copper cladded layer) 타입의 자재를 내층 코어로 한 비아형의 전자태그 내장형 기판을 제조하는 공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CCL기판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금속자재,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의 기판이 내층 코어로 사용될 수 있다.Fig. 4 show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via-type electronic tag-embedded substrate using a copper clad layer-type CCL material as an inner layer cor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CCL substrate, and a metal material, or various other types of substrates may be used as an inner layer core.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CCL(200) 표면에 드라이 필름을 도포해서 공동(cavity)을 제작할 부위를 사진, 노광,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정의하고, 염화동(FeCl3)과 같은 식각액을 이용해서, 드라이 필름이 덮이지 않아 노출된 동박을 식각한 후 드라이 필름을 모두 박리함으로써, 도 4a와 같은 공동(cavity; 210)을 형성한다. 4, a dry film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그 후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를 디스펜싱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하여, 접착제 위에 전자 태그(111)를 실장하며, 접착제(220) 등으로 전자 태그(111)와 공동(210) 간의 빈 공간을 충진한다.4B and 4C, an adhesive is formed by a dispensing method or the like so that the
그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폭시 수지와 같은 레진 계열의 절연층(230)을 적층 배열한 구조를 제작한다. Then, as shown in FIG. 4D, a structure in which a resin-based insulating
그 후 도 4e 및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아홀(240) 가공 및 비아홀(240) 도금을 통해 전자 태그(111)와 전기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자 태그(111)가 내층에 내장된 내층 코어가 제작되고 나면,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부 빌드업 기판(250)을 제작 적층함으로써 비아형의 전자 태그 내장형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S. 4E and 4F, the via
다음으로 도 5를 살펴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부 빌드업 기판(340)을 가공 제작한다.Next, referring to FIG. 5, a lower build-up
그 후 CCL(300) 표면에 드라이 필름을 도포해서 공동(cavity)을 제작할 부위를 사진, 노광,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정의하고, 염화동(FeCl3)과 같은 식각액을 이용해서, 드라이 필름이 덮이지 않아 노출된 동박을 식각한 후 드라이 필름을 모두 박리함으로써, 상하면이 모두 식각된 도 5b와 같은 공동(cavity; 310)을 형성한다. Thereafter, a dry film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그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도 5a에서 제작된 하부 빌드업 기판(340)에 공동(310)이 형성된 CCL(300)을 적층한다.Then, as shown in FIG. 5C, the
그 후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를 디스펜싱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하여, 접착제 위에 전자 태그(111)를 실장하며, 접착제(320) 등으로 전자 태그(111)와 공동(310) 간의 빈 공간을 충진한다.5D and 5E, an adhesive is formed by a dispensing method or the like, the
그 후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폭시 수지와 같은 레진 계열의 절연층(330)을 적층 배열한 구조를 제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자 태그(111)가 내층에 내장된 내층 코어가 제작되고 나면,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부 빌드업 기판(350)을 제작 적층함으로써 패드형의 전자 태그 내장형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Then, as shown in FIG. 5F, a structure in which a resin-based insulating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상기와 같이 이동단말(110) 내의 임베디드 기판(112)에 내장된 전자 태그(111)는, 이동단말(11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전자 태그 리더기(121)의 요청에 따라 식별정보를 전자 태그 리더기(121)에 송신한다.3, the
이때 전자 태그(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정보 저장부(113) 및 RF 송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먼저 식별정보 저장부(113)는, 이동단말(11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실리콘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110)의 식별정보에는 사용자 이름, 주소, 성별, 나이, 이동단말 고유번호, 이동단말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rst, the identification
다음으로 RF 송신부(114)는, 충전기(120)에 내장된 전자 태그 리더기(121)의 요청에 따라 식별번호 저장부(113)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전자 태그 리더기(121)에 송신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안테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도 6은 도 3의 개략 구성도를 제품에 적용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 리더기(121)는, 이동 단말(110)의 충전기(12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일예로 충전기(120)의 본체(122) 또는 잭(123)에 내장될 수 있다.3 and 6, the
다시 도 3으로 돌아와, 상기와 같이 충전기(120)에 내장된 전자 태그 리더기(121)는, 전자 태그(111)에 이동단말(110)의 식별정보를 요청하고, 상기와 같은 요청에 따라 수신된 식별정보를 인식한다.3, the
이때 전자 태그 리더기(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수신부(124) 및 RFID 인식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먼저 RF 수신부(124)는, 이동단말(110) 내에 내장된 전자 태그(111)로부터 이동단말(110)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First, the
다음으로 RFID 인식부(125)는, RF 수신부(124)에서 수신된 식별정보를 인식함으로써, RFID 방식의 식별정보 매칭을 수행한다.Next,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110) 내에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제어부(115)는, 미리 설정된 인식 대기 시간 동안 식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이동단말(110)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The
이때 이동단말(110)의 비활성화 상태라 함은, 이동단말의 작동 불능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해당 이동단말(110)로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경우를 포함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실 또는 도난 시, 제3자가 이동단말(110)의 모든 기능/동작을 전혀 사용 또는 접근할 수 없는 경우라면 어떠한 경우라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disabled state of the
예를 들어, 이동단말(110)의 사용자가 인식 대기 시간을 1주일로 설정한 경우, 만약 1주일 동안 이동단말(110)과 충전기(120)가 서로 연결되지 않아 이를 통해 전자태그(111) 및 전자태그 리더기(121)를 통한 식별정보의 인식/매칭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제3자 누구도 이동단말(110)의 모든 기능/동작을 전혀 사용 또는 접근할 수 없는 작동 불능의 상태로 이동단말(110)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이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securit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above configuration is implemented through hardwa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urit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은, RFID 방식을 이용한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으로서,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자 태그에 요청하는 단계(S110), S110 단계에서의 요청에 따라,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자 태그로부터 전자 태그 리더기로 송신하는 단계(S120),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130); 및 미리 설정된 인식 대기 시간 동안 식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이동단말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키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securit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que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to an electronic tag using an RFID scheme (S110) (S120) a step of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electronic tag to the electronic tag reader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electronic tag, and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tag (S130); And changing the mobile terminal to an inactive stat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during the preset recognition wait time (S140).
여기서 S120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번호 저장단계(S121), 및 S110 단계에서의 요청에 따라 식별번호 저장단계(S121)에서 저장된 식별정보를 전자 태그 리더기로 송신하는 RF 송신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ing step S121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storing step S121 in response to the request in step S110, And an RF transmission step (S122) of transmitting to the tag reader.
이때 식별번호 저장단계(S121)에서의 이동단말의 식별정보에는 사용자 이름, 주소, 성별, 나이, 이동단말 고유번호, 이동단말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storage step S121 may include the user name, address, sex, age, mobile terminal number, mobile phone numbe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S130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태그로부터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RF 수신단계(S131), 및 RF 수신단계(S131)에서 수신된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RFID 방식의 식별정보 매칭을 수행하는 RFID 인식단계(S132)를 포함할 수 있다. 7, the RFID receiving step S131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RFI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RF receiving step S131, And an RFID recognition step (S132) for performing information matching.
또한 S140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인식 대기 시간 동안 식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이동단말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In step S140, as shown in FIG. 7,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during the preset waiting time, the mobile terminal can be changed to the inactive state.
이때 이동단말의 비활성화 상태라 함은, 앞서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의 작동 불능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해당 이동단말로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경우를 포함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실 또는 도난 시, 제3자가 이동단말의 모든 기능/동작을 전혀 사용 또는 접근할 수 없는 경우라면 어떠한 경우라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disabl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a disabl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case of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mobile terminal. However, And can be used in any case when a third party can not use or access all the functions /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time of loss or theft.
예를 들어,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인식 대기 시간을 1주일로 설정한 경우, 만약 1주일 동안 이동단말과 충전기가 서로 연결되지 않아 이를 통해 전자태그 및 전자태그 리더기를 통한 식별정보의 인식/매칭이 S130 단계에서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S140 단계에서 제3자 누구도 이동단말의 모든 기능/동작을 전혀 사용 또는 접근할 수 없는 작동 불능의 상태로 이동단말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sets the recognition wait time to one week, i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harger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for one week, recognition / matching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electronic tag and the RFID reader / If it is not done in step S130, the third party changes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disabled state in which all the functions /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can not be used or accessed at all in step S14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방법은, 이동단말 내의 전자 태그를 이용하므로, 이동단말의 전력 소모 저감을 위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 태그의 필요한 에너지를 전자 태그 리더기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상호유동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기파 방식의 RFID 기술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Meanwhile, since the securit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electronic tag in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Method can be adop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 electromagnetic wave type RFID technology may be adopted.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방법은, 앞서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근거리 이내의 송수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NFC 방식의 기술로도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urit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by an NFC technique that can be us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in a short distan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및 보안 방법은, 전자태그 내장형 기판을 가지는 이동단말 및 전자 태그 리더기 내장형 충전기를 통해 RFID 방식의 식별정보 매칭을 수행하고, RFID 인식 대기 시간에 따른 이동단말의 비활성화를 제어함으로써, 이동단말의 분실 또는 도난 시, 제3자의 이동단말으로의 접근 또는 사용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The security device and the security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of the RFID system through a mobile terminal having an electronic tag built-in board and an electronic tag reader built-in charger, By controlling the inactiv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waiting time, the access or use of the third party to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mpletely block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st or stole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분실 또는 도난에 따른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이동단말의 분실 또는 도난에 따른 금전적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loss or theft of a mobile terminal can be prevented, and a financial loss due to loss or theft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hrough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associa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such functionality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또한, 용어 "제어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MCU 등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explicit use of the term "control un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refer exclusively to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and includes, without limitation, hardware such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 MCU, May implicitly include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non-volatile storage.
본 발명의 도면은 동작과정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While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depict operational process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the order shown,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 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laims hereof, the elements depicted as means for performing a particular function encompass any way of performing a particular function, such elements being intended to encompass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that perform a particular function, Microcode, etc., coupled with suitable circuitry to perform the software for the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Referenc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o " one embodiment ", etc.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the like, as well as various modifications of such expression,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means. Thus, the appearances of the phrase " in one embodiment " and any other variation disclo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not necessarily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embodiments and conditional statements disclosed herein are intended to assist the reader in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보안 디바이스 110 : 이동 단말
111 : 전자 태그 112 : 전자태그 내장형 임베디드 기판
113 : 식별번호 저장부 114 : RF 송신부
115 : 제어부 120 : 충전기
121 : 전자 태그 리더기 122 : 충전기 본체
123 : 충전기 잭 124 : RF 수신부
125 : RFID 인식부 100: secure device 110: mobile terminal
111: Electronic tag 112: Embedded electronic tag embedded substrate
113: identification number storage unit 114: RF transmission unit
115: control unit 120: charger
121: Electronic tag reader 122: Charger main body
123: charger jack 124: RF receiver
125: RFID recognition unit
Claims (11)
상기 이동단말 내의 기판에 내장되며,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전자 태그 리더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에 송신하는 전자 태그;
상기 이동단말의 충전기에 내장되며, 상기 전자 태그에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전자 태그 리더기; 및
미리 설정된 인식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A secur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using an RFID scheme,
An electronic tag embedded in a substrate in the mobile terminal, the electronic tag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FID reader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RFID reader;
An electronic tag reader built in a charger of the mobile terminal for reque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lectronic tag and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mobile terminal to an inactive stat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during a preset recognition wait time;
The secure device comprising:
상기 RFID 방식은, 상호유도방식인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FID scheme is a mutual guidance scheme.
상기 RFID 방식은, NFC 방식으로 구현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FID device is implemented by an NFC method.
상기 전자 태그는,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에 송신하는 RF 송신부;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tag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RF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RFID reader to the RFID reader;
The secure device comprising: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는,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및
상기 RF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RFID 인식부;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tag reader comprises:
An RF receiver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And
An RFID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F receiver;
The secure device comprising: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는, 상기 이동단말의 충전기 본체 또는 잭에 내장되는이동단말의 보안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nic tag reader is embedded in a charger main body or jack of the mobile terminal.
이동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자 태그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인식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
A security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using an RFID scheme,
Reque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lectronic tag;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to the electronic tag reader according to the request;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tag; And
Changing the mobile terminal to an inactive stat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during a preset waiting tim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RFID 방식은, 상호유도방식인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FID method is a mutual induction method.
상기 RFID 방식은, NFC 방식으로 구현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FID method is implemented by an NFC method.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번호 저장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 태그 리더기로 송신하는 RF 송신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nsmitting comprises:
An identification number storage step of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RF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FID reader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RF 수신단계; 및
상기 RF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RFID 인식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보안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cognizing comprises:
An RF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And
An RFID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RF reception step;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96650A KR20150019589A (en) | 2013-08-14 | 2013-08-14 |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method for m0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96650A KR20150019589A (en) | 2013-08-14 | 2013-08-14 |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method for m0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19589A true KR20150019589A (en) | 2015-02-25 |
Family
ID=5257868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30096650A Withdrawn KR20150019589A (en) | 2013-08-14 | 2013-08-14 |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method for m0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19589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947197B2 (en) | 2015-11-04 | 2018-04-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lerting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WO2022228093A1 (en) * | 2021-04-26 | 2022-11-03 | 深圳市沃特沃德信息有限公司 | Information security protection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
2013
- 2013-08-14 KR KR20130096650A patent/KR2015001958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947197B2 (en) | 2015-11-04 | 2018-04-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lerting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WO2022228093A1 (en) * | 2021-04-26 | 2022-11-03 | 深圳市沃特沃德信息有限公司 | Information security protection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081795B2 (en) |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US10516208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hielding structure | |
| US902604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FC secure application support in battery-off mode when no nonvolatile memory write access is available | |
| EP3236719B1 (en) | Electronic device | |
| US9119160B2 (en) | Optimization of NFC tag for different battery levels | |
| EP2022178B1 (en) | Data commun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 |
| US9209867B2 (en) | Device for authenticating wanted NFC interactions | |
| CN108292934B (en) | Electronic equipment | |
| KR102152924B1 (en) | Antenna by Using Conductor and Device | |
| US862231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with a smartcard | |
| US2008014348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interrupts for rfid tags | |
| JP2007241789A (en) | Wireless tag reader / wri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 |
| US20130081127A1 (en) | Smart car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 |
| WO2012088945A1 (en) | Near field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thereof | |
| KR20150019589A (en) |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method for m0bile terminal | |
| US20190205723A1 (en) | Antenna formed using laser plating or print-and-plating for field-power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 |
| CN103825099A (en) |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ag antenna | |
| JP2005244852A (en) | Electronics | |
| CN203039768U (en) | Cellphone casing embedded with intelligent card | |
| US10602610B2 (en) |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 |
| US9113329B2 (en) | Mobile device learning mode for secure identification | |
| CN112989849A (en) | Portable RFID temperature reading and writ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 CN106982082A (en) | Smart mobile phone independently perceives label | |
| TWM311950U (en) | Embedding and connecting structure with wireless radio frequency recognizing label | |
| HK1179775B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fc secure application support in battery-off mod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