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558A - Buoyancy control device and submarin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uoyancy control device and submarin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2558A KR20150022558A KR20130100625A KR20130100625A KR20150022558A KR 20150022558 A KR20150022558 A KR 20150022558A KR 20130100625 A KR20130100625 A KR 20130100625A KR 20130100625 A KR20130100625 A KR 20130100625A KR 20150022558 A KR20150022558 A KR 201500225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s member
- guide chamber
- control device
- buoyancy control
- r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41 propul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by transfer of solid balla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4—Automatic depth adjustment; Safety equipment for increasing buoyancy, e.g. detachable ballast, floating bo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2043/18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using shock absorbing telescoping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력제어장치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안내실; 상기 안내실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질량 부재;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질량 부재를 상기 안내실의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수단; 및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질량 부재를 상기 안내실의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uide chamber formed to be long along one direction; A mass member mounted on the guide chamber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chamber; First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nd moving the mass member to one side of the guide chamber; And second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nd moving the mass member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cha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력 제어 장치 및 잠수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 방향의 제어가 용이한 부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control device and a submar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ancy control device that facilitates buoyancy direction control and a submarine hav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잠수함은 물속을 운행하기 위해 부력제어장치를 사용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중성부력의 방향을 잠수함의 함수 또는 함미로 이동시켜, 잠수함의 잠항 또는 부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submarine uses a buoyancy control to operate the water.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direction of the neutral buoyancy can be shifted to a function or a stern of the submarine to facilitate submergence or floatation of the submarine.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부력제어장치는 잠수함의 내부로 바닷물을 유입 및 배출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부력제어장치는 잠수함의 운항 신뢰성 및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의 부력제어장치는 바닷물을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함께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로 인한 잠수함 함정의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Generally, the buoyancy control device of the submarine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sea wate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submarine. However, the buoyancy control system with such a structure may deteriorate the operational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ubmarine. In addition, since the buoyancy control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can introduce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the circulation of seawater, the submarine vessel may be damaged due to foreign matter.
또한, 이러한 구조의 부력제어장치는 바닷물을 순환시키는데 상당한 전력을 소모하므로, 잠수함의 운항성능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control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consumes a considerable amount of power to circulate the seawater, thus deteriorating the navigation performance of the submarine.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밸러스트 탱크로 물을 순환시키는 수 처리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 처리장치는 외부의 물을 유입 및 배출시키는 구조이므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선박의 유체 저항을 증가시켜 선박의 운항속도 및 운항방향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1 i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through a ballast tank. However, such a water treatment device has a structure for inflowing and discharging water from the outside, which increases the fluid resistance of the ship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reby hindering the ship's speed and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잠수함 또는 잠수체의 운항 안정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중성부력의 방향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부력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잠수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oyancy control device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direction of a neutral buoyancy without deteriorating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a submarine or a submarine and a submarine hav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안내실; 상기 안내실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질량 부재;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질량 부재를 상기 안내실의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수단; 및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질량 부재를 상기 안내실의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oyanc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guide chamber formed to be long along one direction; A mass member mounted on the guide chamber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chamber; First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nd moving the mass member to one side of the guide chamber; And second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nd moving the mass member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chamb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에서 상기 안내실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홈 또는 제1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질량 부재는 상기 제1홈 또는 상기 제1돌기와 결합하는 제2돌기 또는 제2홈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chamber has a first groove or a first projection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ass member has a second groove or a second groove A projection or a second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에서 상기 제1구동수단은, 제1모터; 제1릴; 일 단이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릴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 방향에 따라 상기 릴에 감기거나 또는 풀리는 제1강선;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ing means includes: a first motor; A first reel; And a first steel wire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t one end and fixed to the reel at the other end, and wound or unwound to the reel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에서 상기 제2구동수단은, 제2모터; 제2릴; 일 단이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릴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 방향에 따라 상기 릴에 감기거나 또는 풀리는 제2강선;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iving means includes a second motor; A second reel; And a second steel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eel and wound or unwound on the reel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는 상기 안내실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질량 부재와 상기 안내실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pact absorbing member mounted on both ends of the guide chamber and absorbing impact generated when the mass member and the guide chamber collide with each oth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수함은 전술된 부력제어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bmarine may include at least one buoyanc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부력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direction of buoyancy can be easily adjusted.
아울러, 본 발명은 고체의 질량 부재를 이용하여 부력의 방향을 조정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조정된 부력의 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buoyancy force by using the solid mass member,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buoyancy direction adjusted by the external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함수 하향 상태를 위한 부력제어장치의 작동 상태 및 이에 따른 잠수함의 수중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함수 상향 상태를 위한 부력제어장치의 작동 상태 및 이에 따른 잠수함의 수중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oyanc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uoyancy control device for a function downward state and a submersible posture of the submari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the upward functioning state and the submersible posture of the submari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configuration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including not only when the configurations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when they are indirectly connected with each other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함수 하향 상태를 위한 부력제어장치의 작동 상태 및 이에 따른 잠수함의 수중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함수 상향 상태를 위한 부력제어장치의 작동 상태 및 이에 따른 잠수함의 수중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uoyancy control device for a function downward state and a submersible postur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the function upward state and the submersible posture of the submarine accordingly.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1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a
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100)는 안내실(110), 질량 부재(120), 제1구동수단(130), 제2구동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부력제어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충격흡수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력제어장치(100)는 구동수단(130, 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부력제어장치(100)의 자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부력제어장치(100)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는 부력제어장치(100)의 전방(도 1 기준으로 왼쪽)이 후방보다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아니면 부력제어장치(100)의 후방(도 1 기준으로 오른쪽)이 전방보다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The
안내실(11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안내실(110)의 형상이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기둥 또는 기타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안내실(110)은 대체로 잠수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안내실(110)의 일 단(도 1 기준으로 왼쪽)은 잠수함의 함수와 가까운 부분이고, 타 단(도 1 기준으로 오른쪽)은 잠수함의 함미와 가까운 부분일 수 있다.The
안내실(110)은 양단이 개방된 구조일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은 안내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소정의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12)는 안내실(110)에 장착되는 부재가 안내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질량 부재(120)는 안내실(110)에 장착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질량 부재(120)는 안내실(1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안내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질량 부재(120)에는 안내실(110)의 돌기(112)가 끼워지는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질량 부재(120)는 돌기(112)와 홈(122)의 결합에 의해 안내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참고로, 질량 부재(120)의 직선운동이 보장되는 범위에서, 안내실(110)의 돌기(112)와 질량 부재(120)의 홈(122)은 생략될 수 있다.The
질량 부재(120)는 소정의 질량을 갖는 고체 상태의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량 부재(120)는 소정의 질량을 갖는 금속물질 또는 비금속물질일 수 있다. 그러나 질량 부재(120)의 재질이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온에서 고체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The
질량 부재(120)에는 안내실(110)의 길이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관통 구멍(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구멍(124)은 질량 부재(120)가 안내실(120)의 일 단 또는 타 단으로 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내실(120) 내부의 압력 불균형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관통 구멍(124)은 안내실(110)의 공기가 질량 부재(120)의 양측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안내실(110) 일 단의 압력과 타 단의 압력이 항상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제1구동수단(130)은 안내실(110)의 일 단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동수단(130)이 안내실(110)에 직접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안내실(110)의 일 단으로 질량 부재(1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안내실(110) 또는 기타 어느 곳이라도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eans 130 may be mounted on one end of the
제1구동수단(130)은 질량 부재(120)를 안내실(110)의 일 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구동수단(130)은 제1모터(132), 제1릴(134), 제1강선(1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모터(132)는 정역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감속기가 내장된 감속모터일 수 있다. 제1릴(134)은 제1모터(132)에 장착되며 제1강선(136)이 자유롭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means 130 can move the
제1강선(136)은 제1릴(134)과 질량 부재(120)를 연결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강선(136)의 일 단은 제1릴(134)에 고정되고, 타 단은 질량 부재(120)의 일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모터(132)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제1강선(136)이 제1릴(134)에 감기면서 질량 부재(120)를 안내실(110)의 일 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제2구동수단(140)은 질량 부재(120)를 안내실(110)의 타 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구동수단(140)은 제2모터(142), 제2릴(144), 제2강선(14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모터(142)는 정역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감속기가 내장된 감속모터일 수 있다. 제2릴(144)은 제2모터(142)에 장착되며 제2강선(146)이 자유롭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means 140 can move the
제2강선(146)은 제2릴(144)과 질량 부재(120)를 연결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강선(146)의 일 단은 제2릴(144)에 고정되고, 타 단은 질량 부재(120)의 타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모터(142)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제2강선(146)이 제2릴(144)에 감기면서 질량 부재(120)를 안내실(110)의 타 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충격흡수 부재(150)는 안내실(11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The
충력흡수 부재(150)는 발포성 재질 또는 신장 수축이 자유로운 재질로 이루어지며, 질량 부재(120)가 안내실(110)의 일 단 또는 타 단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참고로, 충격흡수 부재(15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The
위와 같이 구성된 부력제어장치(100)는 질량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여 부력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부력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제어장치(100)는 잠수함 또는 기타 잠수장치에 탑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잠수함 또는 기타 잠수장치의 잠수 또는 부상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다음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부력제어장치(100)를 이용한 잠수함의 잠수 자세를 설명하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부력제어장치(100)를 이용한 잠수함의 부상 자세를 설명한다.2 and 3, the submergence attitude of the submarine using the
부력제어장치(100)는 질량 부재(120)의 위치를 조정하여 부력제어장치(100)가 탑재된 잠수함(200)의 잠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제어장치(100)는 제1구동수단(130)과 제2구동수단(140)을 작동시켜 질량 부재(120)를 부력제어장치(100)의 전방(도 2 기준으로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구동수단(130)의 제1모터(132)는 제1강선(136)이 제1릴(134)에 감기도록 회전하고, 제2구동수단(140)의 제2모터(142)는 제2강선(146)이 제2릴(144)로부터 풀리도록 회전하여, 질량 부재(120)를 안내실(1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2 참조).The
이 경우 부력제어장치(100)가 탑재된 잠수함(200)은 함수(210)가 함미(220)보다 무거워지므로(도 3 참조), 잠수함(200)이 심해를 향하는 자세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자세는 프로펠러(230)에 의한 추진력이 하방을 향하게 하므로, 잠수함(200)의 잠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이와 반대로, 부력제어장치(100)는 질량 부재(120)의 위치를 조정하여 부력제어장치(100)가 탑재된 잠수함(200)의 부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제어장치(100)는 제1구동수단(130)과 제2구동수단(140)을 작동시켜 질량 부재(120)를 부력제어장치(100)의 후방(도 4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구동수단(130)의 제1모터(132)는 제1강선(136)이 제1릴(134)로부터 풀리도록 회전하고, 제2구동수단(140)의 제2모터(142)는 제2강선(146)이 제2릴(144)에 감기도록 회전하여, 질량 부재(120)를 안내실(110)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4 참조).In contrast, the
이 경우 부력제어장치(100)가 탑재된 잠수함(200)은 함미(220)가 함수(210)보다 무거워지므로(도 5 참조), 잠수함(200)이 해상을 향하는 자세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세는 프로펠러(230)에 의한 추진력이 상방을 향하게 하므로, 잠수함(200)의 부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25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0 부력제어장치
110 안내실 112 돌기
120 질량 부재 122 홈
124 관통 구멍
130 제1구동수단 132 제1모터
134 제1릴 136 제1강선
140 제2구동수단 142 제2모터
144 제2릴 146 제2강선
150 충격흡수 부재
200 잠수함
210 함수 220 함미100 Buoyancy control device
110
120
124 through hole
130 First driving means 132 First motor
134
140 Second driving means 142 Second motor
144
150 shock absorber
200 submarines
210
Claims (6)
상기 안내실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질량 부재;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질량 부재를 상기 안내실의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수단; 및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질량 부재를 상기 안내실의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부력제어장치. A guide chamber formed to be long along one direction;
A mass member mounted on the guide chamber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chamber;
First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nd moving the mass member to one side of the guide chamber; And
Second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nd moving the mass member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chamber;
And a buoyancy control device.
상기 안내실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홈 또는 제1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질량 부재는 상기 제1홈 또는 상기 제1돌기와 결합하는 제2돌기 또는 제2홈을 구비하는 부력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chamber has a first groove or a first projec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mass member has a second projection or a second groove engaging with the first groove or the first projection.
상기 제1구동수단은,
제1모터;
제1릴;
일 단이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릴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 방향에 따라 상기 릴에 감기거나 또는 풀리는 제1강선;
을 포함하는 부력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riving means comprises:
A first motor;
A first reel;
A first steel wire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t one end and fixed to the reel at the other end, and wound or unwound to the reel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And a buoyancy control device.
상기 제2구동수단은,
제2모터;
제2릴;
일 단이 상기 질량 부재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릴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 방향에 따라 상기 릴에 감기거나 또는 풀리는 제2강선;
을 포함하는 부력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riving means comprises:
A second motor;
A second reel;
A second steel wire connected to the mass member at one end and fixed to the reel at the other end, and wound or unwound to the reel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And a buoyancy control device.
상기 안내실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질량 부재와 상기 안내실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부력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mounted at both ends of the guide chamber and absorbing impact generated when the mass member and the guide chamber collide with each other.
A submarine comprising at least one buoyancy control device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100625A KR20150022558A (en) | 2013-08-23 | 2013-08-23 | Buoyancy control device and submarin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100625A KR20150022558A (en) | 2013-08-23 | 2013-08-23 | Buoyancy control device and submarin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22558A true KR20150022558A (en) | 2015-03-04 |
Family
ID=5302053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30100625A Withdrawn KR20150022558A (en) | 2013-08-23 | 2013-08-23 | Buoyancy control device and submarin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22558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776859A (en) * | 2017-09-28 | 2018-03-09 | 哈尔滨工程大学 | AUV deep motion buoyancy compensation control methods latent greatly |
| CN109305313A (en) * | 2018-09-21 | 2019-02-05 | 中电科海洋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 Center of gravity adjusting device for underwater submersible |
-
2013
- 2013-08-23 KR KR20130100625A patent/KR20150022558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776859A (en) * | 2017-09-28 | 2018-03-09 | 哈尔滨工程大学 | AUV deep motion buoyancy compensation control methods latent greatly |
| CN107776859B (en) * | 2017-09-28 | 2019-02-26 | 哈尔滨工程大学 | AUV deep diving buoyancy compensation control method |
| CN109305313A (en) * | 2018-09-21 | 2019-02-05 | 中电科海洋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 Center of gravity adjusting device for underwater submersib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67269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ling position of underwater vehicle | |
| KR101339790B1 (en) | Underwater thrusting apparatus with a function of adjusting stiffness in caudal fin | |
| JP6523568B2 (en) | Underwater drone | |
| EP3216028B1 (en) | Transformer in-situ inspection vehicle with a cage hull | |
| JP6455046B2 (en) | Attitude control device for underwater equipment | |
| JP6657064B2 (en) | Flotation device | |
| US20170305509A1 (en) | Pontoon systems and methods | |
| EP2819916A2 (en) | A vessel | |
| US9758218B2 (en) | Method for reducing the swinging of ships, anchored or moored to a buoy, and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 |
| KR20150022558A (en) | Buoyancy control device and submarine including the same | |
| KR101566521B1 (en) | System for absorbing impact in ship | |
| ITGE20040013A1 (en) | RETRACTABLE HULL APPENDICES FOR GOVERNMENT AND FOR THE STABILIZATION OF MOTOR VESSELS. | |
| KR20160063056A (en) | Mooring apparatus and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same | |
| ES2702077T3 (en) | Cargo ship of merchandise and procedure of realization of the same | |
| KR20170049249A (en) | Ocean-current sensing and prediction system usingfloating sensing apparatus | |
| Ma et al. | Study on energy and hydrodynamic performance of the underwater glider. | |
| KR20150076647A (en) | Buoyancy control device and submarine including the same | |
| KR20150012082A (en) | Buoyancy control device and submarine including the same | |
| KR101879723B1 (en) | Multi-hull vessel easy to attenuation of wave making resistance | |
| JP2013133030A (en) | Ship, and method for ensuring ship stability | |
| JP6351464B2 (en) | Underwater observation equipment | |
| CN104760669A (en) | Water wind inspection ship | |
| CN103803021A (en) |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of boat and push boat, steering method of boat | |
| US20210061423A1 (en) | Ship posture stabilization system | |
| KR102227893B1 (en) | Supplementary Towing System for Enhancing Stability using Thruster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