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29785A - basket for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basket for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785A
KR20150029785A KR20130107700A KR20130107700A KR20150029785A KR 20150029785 A KR20150029785 A KR 20150029785A KR 20130107700 A KR20130107700 A KR 20130107700A KR 20130107700 A KR20130107700 A KR 20130107700A KR 20150029785 A KR20150029785 A KR 2015002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guide
partition member
refrigerator
guide sl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3016B1 (en
Inventor
최대진
정봉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016B1/en
Priority to US14/479,925 priority patent/US9534833B2/en
Publication of KR2015002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7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1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트레이가 사용자의 누름 조작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되어 컵 또는 용기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과 작동 신뢰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ray provided in the dispenser to be drawn for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user presses the tray to expand the space in which the cup or the container can be placed, Thereby ensuring operational reliability.

Description

냉장고 바스켓 { basket for refrigerator }Refrigerator basket {basket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basket.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allows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by using cool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thereby storing the stored food in an optimum state.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내부의 수납 구조들 또한 사용자의 사용 편의와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Recently, refrigerators have become increasingly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dietary life and products, and refrigerators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in consideration of user's convenience and energy efficiency are being released. In addition, the internal storage structures are also being developed variously for the user's convenience and efficient use of space.

예컨데, 냉장고에는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에 바스켓이 장착되어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바스켓은 도어의 인출시 개구된 상면에 노출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식품을 수납하게 된다.For example, the refrigera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sket is mounted on a door that is drawn out by a drawer to store food. The basket is exposed on an upper surface opened when the door is drawn out, and the user can receive food through the basket.

이와 같은 공간 구조의 특성상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는 상기 바스켓을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필요하며, 상기 구획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바스켓의 내부 공간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Due to such a spatial structure, a partition member for partitioning the basket is required inside the basket, and the user can adjust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ket through the movement of the partition member.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01699호에는 바스켓의 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부와,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바스켓의 플렌지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칸막이부가 상기 바스켓의 플렌지를 따라서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바스켓의 내부의 구획되는 공간의 비율을 조절하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01699 discloses a structure comprising a partition part for partitioning the inside of a basket and a fixing part formed in a hook shape and engaged with a flange of a basket, wherein the partition part is formed along a flange of the basket The basket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ratio of the space defined inside the basket can be adjusted.

그리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82702호에는 바스켓 형상의 저장박스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서 수납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분리판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부리판을 조작하여 상기 저장박스의 내부 공간 비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서랍식 저장박스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82702, a separating plate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space left and right along the upper edge of the basket-shaped storage box is movably arranged so that the inner space ratio of the storage box A drawer type storage box structure of a refrigerator is disclosed.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바스켓은 사용자가 상기 칸막이부 또는 분리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할 때 상기 칸막이부 또는 분리판이 부드럽게 이동되지 못하여 조작감이 떨어지고 사용상 불편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basket having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when the user operates the partitioning part or the separating plate to move left and right, the partitioning part or the separating plate can not be smoothly moved, resulting in a poor operational feeling and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스켓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바스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basket which can smoothly move a partitioning member for partitioning the inside of a basket,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al feeling and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바스켓은,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 상기 바스켓의 양측면에서 상기 구획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개구되며, 상기 구획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 슬롯; 및 상기 바스켓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을 통해 상기 구획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refrigerator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ket forming a food storage space; A partition member provided inside the basket and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ket; A pair of guide slots which are opened along both sides of the basket an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and guide movement of the partition member; And a guide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ket and coupled with the partition member through the guide slot.

상기 가이드 슬롯의 외측과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한쌍의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air of cover members formed on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guide slot, the slots being formed by the guide member.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디와; 상기 가이드 바디의 중앙에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구획부재와 결합되는 마운팅부와; 상기 가이드 바디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스켓의 외측면과 접하는 다수의 접촉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member includes: a guid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slot; A moun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guide body and passing through the guide slot and engaging with the partition member; And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guide body an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상기 접촉돌기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의 외측면과 점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 of the contact protrusion is formed in a round shape and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상기 다수의 접촉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 바깥쪽과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guide slot,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롯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air of guide slots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guide member is elongat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가이드 슬롯과 교차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artition member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guide slot.

상기 냉장고용 바스켓은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슬라이딩 인출입 하면서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ket for a refrigerator is mounted 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while slidingly pulling out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바스켓에 의하면, 구획부재를 사용자가 이동시키는 조작을 하게 될 때 가이드부재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상기 바스켓의 외측면과 접하여 상기 구획부재의 이동 조작시 상기 구획부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baske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moves the partition member, the guide member is moved together, and the guide member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The partition member is prevented from tilting when the partition member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so that the partition member can be moved in a more stable state.

따라서, 상기 구획부재는 간섭이나 걸림 없이 보다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작감의 향상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artition member can be moved more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or clogg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tion feeling and the usability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바스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와 커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바스켓어셈블리에서 구획부재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of a refrigerator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ske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uide member and a cov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5 'of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member is moved in the basket assemb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a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devised by adding, .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바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바스켓이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other words,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bottom freeze-type refrigerator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and can be applied to all refrigerators having a basket Le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of a refrigerator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0,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1,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 storage space therein, doors 20 and 30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So that an external shape can be formed.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에 냉장실(11)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다.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a refrigerating chamber 1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freezing chamber 1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and the freezing chamber 12, respectively.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배치되며, 좌우 한쌍의 회전 도어(20)는 각각 회동에 의해 하나의 냉장실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The door may be composed of a rotary door 20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and a sliding door 30 mounted on the main body 10 in a sliding manner. The left and right pairs of the rotary door 20 are disposed and the pair of right and left rotary doors 20 respectively block one refrigerating chamber space by pivoting.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30)(이하 도어)는 서랍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40)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스켓(40)은 상기 도어(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어(30) 또는 도어(30)에 제공는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liding door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or) may have a drawer-like structure, and a basket 40 may be installed to form a storage space. Of course, the basket 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oor 30, and the door 30 or the door 3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상기 도어(3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도어(30)가 수용되는 공간도 구획되어 각각 다른 온도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데 상부의 칸은 냉장실로 사용하고 하부의 칸은 냉동실로도 사용 가능할 것이며, 두개의 공간을 모두 냉동실로 사용하되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oor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oors and may be vertically disposed. In this case, the space in which the door 30 is accommodated may also be divided to maintain different temperatures. For example, the upper cell can be used as a cold room, the lower cell can also be used as a freezer, and both chambers can be used as freezing chambers but maintained at different temperature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바스켓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sket.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40)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의 수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40)에는 다수의 통기구(41)가 형성되어 냉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이 보다 신선하게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basket 40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its upper surface is opened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food therein. The basket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vents (41) to allow the inflow of cool air so that food stored therein can be stored more freshly.

한편, 상기 바스켓(40)의 내부에는 상기 바스켓(40)을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부재(5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스켓(4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sket (4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50) for partitioning the basket (40) on both sides. The partition member 5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of the basket 40.

상세히, 상기 구획부재(5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50)의 둘레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테두리(51)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51)는 상기 바스켓(40)의 내측면과 면접촉되어 상기 구획부재(50)가 안정적인 상태로 장착 및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In detail, the partition member 5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rim 51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around the partition member 50. The rim 5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sket 40 to allow the partition member 50 to be mounted and moved in a stable state.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5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홀(52)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홀(52)은 상기 구획부재(50)의 상부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50)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A handle hole 5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50 so that the handle hole 52 can be held by the user. The handle hole 52 is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50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50.

또한, 상기 구획부재(50)의 하부에는 다수의 통기공(53)이 더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53)은 상기 구획부재(5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바스켓(40)의 내부 공간들 사이를 냉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3 are further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ing member 50. The vent holes 53 allow the cool air to flow between the inner spaces of the basket 40 defined by the partition member 50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50)의 양측단에는 고정부(5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54)는 상기 테두리(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51)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54)는 상기 테두리(51)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54)에는 결합홀(541)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부재(80)에 의해 가이드부재(7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4)는 상기 구획부재(50)의 양측단에서 상하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구획부재(50)의 좌우측 방향이동 조작시에도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both side ends of the partition member 50, a fixing portion 54 is formed. The fixing portion 5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im 51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rim 51. In other words, the fixing portion 54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rim 51, and a fixing hole 541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54, 80 to engage with the guide member 70. The fixing portions 54 can be positioned at different height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rtition member 50. Accordingly, even when the partition member 50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no moment is generated, . ≪ / RTI >

한편, 상기 바스켓(40)에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는 가이드 슬롯(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롯(42)은 상기 구획부재(5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54)의 위치와 대응하는 높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부재(50)가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guide slots 4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ket 40 facing each other. The guide slot 42 guides the movement of the partition member 50. The guide slot 42 is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54, To form a path.

상기 가이드 슬롯(42)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가이드부재(7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롯(4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함몰형성되는 함몰부(421)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421)는 상기 바스켓(40)에 장착되는 한쌍의 커버부재(60)가 서로 결합될 때 결합돌기(612)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612)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slot 42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a part of the guide member 7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inserted therein. The guide slot 42 has a depression 421 are formed. The depression 421 allows the engaging protrusion 612 to be positioned when the pair of cover members 60 mounted on the basket 4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상기 가이드 슬롯(42)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그 구조와 형상은 완전히 동일하고, 단지 대응하는 상기 고정부(54)의 위치에 따라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위치될 수도 있다.The guide slots 42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ir structures and shapes are exactly the same, and their height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fixing portion 5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와 커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5-5' 단면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uide member and a cov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5 'in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부재와 가이드 부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4 and 5, the cover member and the guide memb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커버부재(60)는 상기 바스켓(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42)에 장착된다. 양측 중 하나의 상기 커버부재(60)는 상기 바스켓(4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이너 커버(61)와 외측면에 구비되는 아웃 커버(62) 한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cover member 6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ket 40 and is mounted on the guide slot 42. [ One of the cover members 60 is formed of a pair of an inner cover 61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asket 40 and an outer cover 62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ket 4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이너 커버(61)와 아웃 커버(62) 모두 동일한 형상의 슬롯(611,62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42)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611,621)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7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Slots 611 and 621 having the same shape are formed in the inner cover 61 and the outer cover 62 and ar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guide slot 42 and are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70 along the slots 611 and 621, To be moved.

그리고, 상기 슬롯(611,621)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결합돌기(612)와 결합홈(622)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이너 커버(61)에는 다수의 결합돌기(6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아웃 커버(62)에는 상기 결합돌기(612)가 삽입 체결되는 결합홈(6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612)와 결합홈(622)은 서로 압입되거나 후크 방식으로 체결되어 서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612 and engaging grooves 622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ies of the slots 611 and 621.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612 protrude from the inner cover 61 and a coupling groove 622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s 612 are inserted is formed in the outer cover 62. The coupling protrusions 612 and the coupling grooves 622 may be press-fitted into each other or hooked together to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612)는 상기 바스켓의 가이드 슬롯(42)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이너 커버(61)와 아웃 커버(62)의 체결시 상기 이너 커버(61)와 아웃 커버(62)의 사이에 상기 바스켓(40)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너 커버(61)와 아웃 커버(62)의 결합시 상기 바스켓(40)은 간섭되지 않고 상기 이너 커버(61)와 아웃 커버(62)와 밀착된 상태가 되며, 상기 이너 커버(61)와 아웃 커버(62)의 결합에 의해 상기 바스켓(40) 상에 상기 이너 커버(61)와 아웃 커버(62)가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upling protrusion 61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depression formed in the guide slot 42 of the basket and when the inner cover 61 and the out cover 62 are engaged, So that the basket 4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over 62 and the outer cover 62. That is, when the inner cover 61 and the out cover 62 are engaged, the basket 40 is not in interference with the inner cover 61 and the out cover 62, The outer cover 61 and the outer cover 62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basket 40 by the engagement of the inner cover 61 and the outer cover 62. [

또한, 상기 이너 커버(61)와 아웃 커버(62)의 양측단에는 돌출되는 체결부(613)와 함몰되는 체결홈(62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613)는 상기 바스켓을 관통한 후 상기 체결홈(623)과 결합되어 상기 바스켓(40)상에 상기 이너 커버(61)와 아웃 커버(62)가 한 층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inner cover 61 and the outer cover 62 may be provided with fastening portions 623 projecting from both ends of the outer cover 61 and the outer cover 62. The fastening portions 613 may penetrate the basket The inner cover 61 and the out cover 62 may be firmly fixed on the basket 40 by engaging with the coupling groove 623.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상기 바스켓(40)의 외측에 배치되며,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결합부재(80)에 의해 상기 구획부재(50)와 결합되어 상기 구획부재(50)의 이동 조작시 상기 구획부재(5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상기 커버부재(60)에 형성되는 슬롯(611,6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guide member 70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ket 40 and is coupled with the partition member 50 by a coupling member 80 such as a screw or a rivet so as to move the partition member 50 The partition member 50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partition member 50. 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70 moves along the slots 611 and 621 formed in the cover member 60.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재(70)는 판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바디(71)와, 상기 가이드 바디(71)의 중앙부에 돌출되며, 상기 커버부재(60)의 슬롯(611,621)에 삽입되어 상기 구획부재(50)와 결합되는 마운팅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detail, the guide member 70 includes a guide body 71 formed in a plate shape, a guide body 71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guide body 71, inserted into the slots 611 and 621 of the cover member 60, (Not shown).

상기 가이드 바디(71)는 길이방향으로 중앙부가 함몰되는 수용부(72)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72)에는 상기 바스켓(40)에 장착된 상기 아웃 커버(6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70)의 좌우 이동시 상기 아웃 커버(62)는 상기 수용부(72)의 내측에서 좌우측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The guide body 71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72 in which the center portion of the guide body 71 is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72 so as to receive the out cover 62 mounted on the basket 40 do. Therefore, when the guide member 7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he outboard cover 62 moves relative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from left to right.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73)는 상기 수용부(72)의 중앙에서 돌출되며, 상기 슬롯(611,621)을 관통하여 상기 구획부재(50)의 고정부(54)와 연결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73)는 상기 슬롯(611,62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롯(611,621)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마운팅부(73)의 양측단에는 스크류홀(731)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홀(731)은 상기 결합부재(80)가 체결되는 것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80)의 체결에 의해 상기 구획부재(50)와 가이드부재(70)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롯(611,621)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mounting portion 73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72 and extends through the slots 611 and 621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54 of the partition member 50 . The mounting portion 73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to be inserted into the slots 611 and 621 and is formed to be slidable along the slots 611 and 621. [ Screw holes 731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mounting portion 73. The screw holes 73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members 80 being fastened. The partitioning member 50 and the guide member 7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member 80 and can be slidably moved along the slots 611 and 621. [

한편, 상기 수용부(72)의 외측에는 단차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74)는 상기 수용부(72)의 상단과 하단에서 단차지도록 절곡되며, 상기 마운팅부(73)의 돌출 방향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stepped portion 74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72. The stepped portion 74 is bent to be stepp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72 and is formed to protrude somewhat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73.

상기 단차부(74)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단차부(74)에는 접촉돌기(7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741)는 단부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70)의 장착시 상기 바스켓(40)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A plurality of the stepped portions 7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ontact protrusions 741 may be formed on the respective stepped portions 74. The contact protrusion 741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at an end thereof and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40 when the guide member 70 is mounted.

이때, 상기 접촉돌기(741)는 상기 바스켓(40)의 외측면과 점접촉 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70)가 상기 바스켓(40)의 외측면과 마찰이 최소화 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촉돌기(741)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바스켓(40)과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재(50)의 이동 조작시 상기 바스켓(40)의 외측면으로 고르게 힘을 분산하여 상기 구획부재(50) 및 가이드부재(70)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act protrusion 741 comes into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40, so that the guide member 70 is slid in a state in which friction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40 is minimized .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741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maintain a stable state of support with the basket 40. When the partition member 50 is moved, So that the partition member 50 and the guide member 70 can be stably moved.

물론, 상기 접촉돌기(741)의 단부 형상은 라운드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보다 부드러운 이동을 위하여 볼베어링과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hape of the end of the contact protrusion 741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round shape, or may have a structure such as ball bearing for smooth movement.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bas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상기 바스켓어셈블리에서 구획부재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member is moved in the basket assembly.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40)은 상기 도어(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식품을 수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basket 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draw-out port of the door 30 when the basket 30 is mounted on the door 30, and the food is received through the opened upper surface.

이때, 상기 바스켓(40)의 내부 공간은 사용자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비율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구획부재(50)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바스켓(40) 내부의 공간을 조절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user can be adjus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ket 40. For this purpose, the user moves the partition member 50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space inside the basket 40 .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바스켓(40)의 손잡이홀(52)에 손을 넣어 상기 구획부재(50) 상단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구획부재(50)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In detail, the user inserts his / her hand into the handle hole 52 of the basket 40 to move the partition member 50 left and right while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50.

상기 구획부재(50)를 좌우측으로 이동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획부재(50)는 상기 구획부재(50)와 연결된 상기 가이드부재(70)와 함께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partition member 5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guide member 70 connected to the partition member 50 when the partition member 5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이때, 상기 구획부재(5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54)의 높이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구획부재(50)의 이동 조작시에 상기 구획부재(50)는 서로 다른 높이의 고정부(54)에 의해 두 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구획부재(50)가 모멘트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height positions of the fixing portions 54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rtitioning member 5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partitioning member 50 is moved, So that the partition member 50 can be supported at two points by the fixing portion 54 of the height so that the partition member 50 can be smoothly slid without being rotated by the moment.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상기 커버부재(60)의 슬롯을 따라서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부재(70)의 접촉돌기(741)는 상기 바스켓(4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재(7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The guide member 70 is moved along the slot of the cover member 60 so that the contact protrusion 741 of the guide member 70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40, So that the member 70 can be stably moved.

특히, 상기 구획부재(50)의 양측에 결합된 각각의 가이드부재(70)는 상기 바스켓(40)의 양측과 접촉되는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구획부재(50)가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since each of the guide members 7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artition member 50 move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asket 40, the partition member 50 is not moved in a stable state, .

Claims (9)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
상기 바스켓의 양측면에서 상기 구획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개구되며, 상기 구획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 슬롯; 및
상기 바스켓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을 통해 상기 구획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바스켓.
A basket forming a food storage space;
A partition member provided inside the basket and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ket;
A pair of guide slots which are opened along both sides of the basket an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and guide movement of the partition member; And
And a guide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ket and coupled to the partition member through the guide sl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외측과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한쌍의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ir of cover member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guide slot, the slots being formed through the guid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디와;
상기 가이드 바디의 중앙에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구획부재와 결합되는 마운팅부와;
상기 가이드 바디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스켓의 외측면과 접하는 다수의 접촉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A guid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slot;
A moun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guide body and passing through the guide slot and engaging with the partition member;
And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guide body an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의 외측면과 점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nd of the contact protrusion is formed in a round shape and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촉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 바깥쪽과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guide slot,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롯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guide slots are positioned at different heigh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member is elongat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가이드 슬롯과 교차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tition member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uide sl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용 바스켓은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슬라이딩 인출입 하면서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ket for a refrigerator is mounted 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while sliding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KR1020130107700A 2013-09-09 2013-09-09 basket for refrigerator Active KR102143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700A KR102143016B1 (en) 2013-09-09 2013-09-09 basket for refrigerator
US14/479,925 US9534833B2 (en) 2013-09-09 2014-09-08 Basket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700A KR102143016B1 (en) 2013-09-09 2013-09-09 basket for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785A true KR20150029785A (en) 2015-03-19
KR102143016B1 KR102143016B1 (en) 2020-08-11

Family

ID=5302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700A Active KR102143016B1 (en) 2013-09-09 2013-09-09 basket for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01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673A1 (en) * 2018-10-02 2020-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00038350A (en) * 2018-10-02 2020-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64815A (en) * 2020-11-12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342A (en) * 2009-06-22 201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342A (en) * 2009-06-22 201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673A1 (en) * 2018-10-02 2020-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00038350A (en) * 2018-10-02 2020-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11774170B2 (en) 2018-10-02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220064815A (en) * 2020-11-12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016B1 (en)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EP2594874B1 (en) Refrigerator
KR101584808B1 (en) A refrigerator having a height-adjusting accommodating member
US9677807B2 (en) Refrigerator
RU2529919C2 (en) Refrigerating unit with vegetable container
KR102174511B1 (en) Divider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EP2282148B1 (en) Refrigerator
KR101644018B1 (en) Refrigerator
KR102629953B1 (en) Refrigrator
US8562088B2 (en) Refrigerator
US20130147337A1 (en) Refrigerator
KR102120103B1 (en) A storing container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646514B1 (en) Refrigerator
KR101622231B1 (en) Refrigerator
EP2924377B1 (en) Refrigerator
KR20170065216A (en) Door guard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995427B1 (en) Refrigerator
EP3315886B1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50029785A (en) basket for refrigerator
US20190056168A1 (en) Refrigerator
KR101949958B1 (en) Refrigerator
KR101652514B1 (en) Container member assembly for refrigerator
KR20150016023A (en) refrigerator
EP2588820B1 (en) Refrigerator
KR101902247B1 (en) A refrigerator door structure having a dividing bar assembly and a refrigerato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