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30504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telephony of group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telephony of gro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504A
KR20150030504A KR20130109852A KR20130109852A KR20150030504A KR 20150030504 A KR20150030504 A KR 20150030504A KR 20130109852 A KR20130109852 A KR 20130109852A KR 20130109852 A KR20130109852 A KR 20130109852A KR 20150030504 A KR20150030504 A KR 20150030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deo call
group
group video
c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504A/en
Publication of KR2015003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50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은, 그룹 영상 통화를 원하는 대상 단말에 대한 그룹 초대가 수신될 때, 상기 대상 단말이 상기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미지원 단말일 때, 상기 대상 단말로의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 group video call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target terminal is a support terminal or a non-support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when a group invitation to a target terminal for group video call is received, And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group call request to the target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the non-serving terminal.

Description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TELEPHONY OF GROUP}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p video call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자간의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에서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과 미지원 단말(VoLTE 단말)을 지능망 노드에서 구분함으로써 미지원 단말(레거시 단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적합한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p video call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oup video call service in which a support terminal for a group video call and a non-support terminal (VoLTE terminal) are distinguished from an intelligent network node in a multi-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oup video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잘 알려진 바와 같이, ALL-IP 망은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는 인터넷 망과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음성, 데이터, 실시간 영상 서비스 등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한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함으로써, 패킷 전송을 통해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is well known, the ALL-IP network can provide interworking services with an Internet network using IP (Internet Protocol), and can provide solutions suitable for integrated multimedia services including voice, data, and real- ), The cost reduction effec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packet transmission.

이러한 All-IP 기반의 통신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서, ALL-IP 망을 기반으로 하여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의된 것이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라 함)이다. 이러한 IMS는 액세스 네트워크 형식에 무관하게 패킷 네트워크상에서 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반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일대일 영상 통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 core technology for providing a new service in the All-IP 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an IP Multimedia Sub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P Multimedia Subsystem ") defined as a core technology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subscribers based on the ALL- Quot; IMS "). Such an IMS can provide IP services over a packet network regardless of the access network format, and can provide services that require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such as one-to-one video calls as well as general call services.

한편, 3GPP 릴리스(Release) 8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나로써, 망 아키텍처(Network Architecture)인 EPC(Evolved Packet Core)를 기술하고 있는데, EPC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들의 집합이다.In 3GPP Release 8, EPC (Evolved Packet Core), which is a network architecture, is described as on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EPC is a set of network nodes for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to be.

이러한 EPC는 기존의 3GPP 시스템 아키텍처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진화시켜, 진화된 무선접속망(Evolved RAN)인 E-UTRAN(Evolved -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을 지원하고, 또한 패킷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단순화시킨 효율적인 망구조를 갖는다. EPC와 E-UTRAN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호칭할 수도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에서 서비스 중인 LTE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This EPC evolves the core network of the existing 3GPP system architecture to support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which is an evolved RAN, It has an efficient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network node is simplifi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EPC and an E-UTRAN may be referred to as an evolved packet system (EPS), and an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urrently in service in Korea can be regarded as such.

이러한 LTE 이동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통신 자원을 할당하여 복수의 영상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일대일 영상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자간의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는 컨퍼런스(conference) 영상 통화 서비스라고 칭할 수도 있다.Since the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allocat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resources to form a plurality of video call rout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party group video call service as well as a one-to-one video call service. Such a group video call service may be referred to as a conference video call service.

즉, LTE(또는 VoLTE) 이동통신 가입자들은 A단말(발신 단말)과 B단말(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방장 역할을 하는 A단말이 C단말을 초대(그룹 영상 통화 요청)함으로써,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발신 TAS(Originating - Telephony Application Server: O-TAS)에서는 이동통신망 노드를 통해 착신 TAS(Terminating - Telephony Application Server: T-TAS)에게 대상 단말과의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하고, 착신 TAS 측에서는 이동통신망 노드를 통해 대상 단말에게 그룹 통화 요청(INVITE)을 전송한다.That is, the LTE (or VoLT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s invite the C terminal (group video call request) by the A terminal acting as a guard during the video communication between the A terminal (calling terminal) and the B terminal (called terminal) In order to do so, the originating-telephony application server (O-TAS) receives a group video call service from a terminal (TA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node to a terminating-telephony application server (T-TAS) And the called TAS side transmits a group call request (INVITE) to the target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nod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현재는 LTE 이동통신 시스템(LTE망)이 CDMA 이동통신 시스템(2G망) 및/또는 WCDMA 이동통신 시스템(3G망) 등과 같은 레거시(legacy)망과 혼용 운용되는 혼용 통신 환경이 추세인데, 이러한 혼용 통신 환경에서 LTE 단말은 LTE망에 접속할 수 있으면서도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등과 같은 레거시망에도 접속할 수 있는 듀얼모드(dual mode)의 통신 단말장치(UE: User Equipment)로 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레거시망에서 사용되는 레거시 단말(2G 단말 또는 3G 단말)은 LTE망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As is well known, a mixed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an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TE network) is mixed with a legacy network such as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G network) and / or a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G network) In this hybrid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LTE terminal is a dual mode communication terminal (UE) capable of accessing an LTE network and capable of accessing a legacy network such as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 ≪ / RTI >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 legacy terminal (2G terminal or 3G terminal) used in the legacy network can not access the LTE network.

통상적으로, 영상 통화를 진행 중인 가입자들은 본인이 원하는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임의의 단말을 대상 단말로 선택하여 초대하고자 할 때, 대상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를 지원 가능한 지원 단말인지 혹은 그룹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미지원 단말인지를 분명하게 알 수가 없다.Typically, when a subscriber who is in the middle of a video call wants to select and invite an arbitrary terminal as a target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a group video call service desired by the user, whether the target terminal supports a group video call or a group video It is not clear whether the terminal is a non-callable terminal.

따라서, A 단말(발신 단말)과 B 단말(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를 하는 중에 A 단말이 C 단말을 그룹 영상 통화를 위해 초대할 때, 발신 TAS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착신 TAS에서는 해당 이동통신망 노드를 통해 C 단말 측으로 그룹 통화 요청을 전송(예컨대, INVITE 송출)하게 되는데, C 단말이 미지원 단말(레거시 단말)인 경우 착신 TAS가 C 단말로 INVITE를 송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C 단말이 미지원 단말이기 때문에 A 및 B 단말은 C 단말과의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A invites the terminal C for the group video call while the terminal A (call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B (called terminal) are in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originating TAS, (E.g., INVITE) to the C terminal via the C-terminal. If the C-terminal is a non-serving terminal (legacy terminal), the C-terminal is a non-serving terminal even though the called TAS has transmitted the INVITE to the C- The A and B terminals are not provided with the group video call service with the C terminal.

즉, 종래 방법에 따르면, 그룹 영상 통화를 초대받은 단말이 레거시 단말일 때,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착신 TAS에서 불필요한 메시지 트래픽을 유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message traffic is caused in the incoming TAS although the group video call service is not provided when the terminal that is invited to the group video call is a legacy terminal, It is a factor that causes unnecessary waste of resources in the environ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9118호, 공개일자 2010년 04월 15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39118, published on April 15, 20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4900호, 공개일자 2012년 06월 20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64900, published on June 20, 2012.

본 발명은 두 단말 간의 영상 통화 중에 그룹 영상 통화를 원하는 대상 단말로의 통화가 요청될 때, 대상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레거시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미지원 단말일 때, 지능망 노드에서 대상 단말로의 그룹 통화 요청을 차단하는 새로운 그룹 영상 통화 제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When a call is requested to a target terminal that wants a group video call during a video call between two terminals, it is checked whether the target terminal is a support terminal of a group video call or a non-supported terminal (legacy terminal)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group video call control scheme that blocks group call requests from an intelligent network node to a target termin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그룹 영상 통화를 원하는 대상 단말에 대한 그룹 초대가 수신될 때, 상기 대상 단말이 상기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미지원 단말일 때, 상기 대상 단말로의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group video call, comprising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the target terminal is a support terminal or a non-support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when receiving a group invitation for a target terminal, And blocking transmission of a group call request to the target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a non-serving terminal.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여부 확인을 위한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DB와, 상기 그룹 영상 통화를 원하는 대상 단말에 대한 그룹 초대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그룹 초대가 수신될 때, 상기 가입자 DB의 단말 정보 검색을 통해 상기 대상 단말이 상기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말 관리부와, 상기 미지원 단말일 때, 상기 대상 단말로의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을 차단하는 통화 요청 차단부를 포함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subscriber DB for storing terminal information for confirming whether a group video call is supported, a request receiver for receiving a group invitation for a target terminal to which the group video call is desired, A terminal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target terminal is a support terminal or a non-supported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search of the subscriber DB when the terminal is received; And a call request blocking unit for blocking transmission of the call request.

본 발명은,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받은 해당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미지원 단말(레거시 단말)일 때, 지능망 노드 측에서 해당 단말로 송출되는 그룹 통화 요청을 차단함으로써, 지능망 노드 측에서 불필요한 메시지 트래픽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초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unnecessary message traffic from the intelligent network node by blocking the group call request sent from the intelligent network node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when the corresponding terminal requested for the group video call is a non-supported terminal (legacy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unnecessary resource wast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from being cau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영상 통화 제어 기법을 적용 가능한 이기종 이동통신 혼용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영상 통화 제어 기법을 적용 가능한 노드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영항 통화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그룹 영상 통화를 위한 그룹 초대가 발생될 때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그룹 초대를 받은 대상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미지원 단말일 때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FIG.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hybrid system to which a group video call control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node device to which a group video call control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group term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dure at a network node when a group invitation for a group video cal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a group call request is transmitted when a target terminal received a group invi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serving terminal of a group video call.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a user, an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영상 통화 제어 기법을 적용 가능한 이기종 이동통신 혼용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다수의 통신 단말(UE : user equipment)(110/1 ­ 110/3), 제 1 이동통신망(120), 제 2 이동 통신망(130) 및 지능망(IP Multimedia Subsystem)(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이동통신망(120)은 제 1 네트워크 노드로, 제 2 이동통신망(130)은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지능망(140)은 지능망 노드로 정의(통칭)될 수 있다.FIG.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hybrid system to which a group video call control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UE) 110/1 110/3,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an IP multimedia subsystem 140, and the like. Her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be defined as a first network node,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may be defined as a second network node, and the intelligent network 140 may be defined as an intelligent network node.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이동통신망(120) 내 기지국(eNodeB)(121)에 의해 이동통신 관련 서비스 등을 제공받는 통신 단말(UE-A, UE-B)(110/1, 110/2)은 기지국(121)로부터 패킷 기반의 음성 통화 서비스, 패킷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 및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 패킷 기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LTE 가입자 단말, HD 음성(voice)을 지원하는 VoLTE 가입자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통신 단말(UE-A, UE-B)과 기지국(121) 사이에는, 예컨대 건물 등에 설치된 이동통신용 안테나, 이동통신용 중계기 등을 포함하여 셀 또는 라디오 유닛(RU : radio unit)으로 정의(명칭)될 수 있는 중계 장비가 더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communication terminals UE-A and UE-B 110/1, 110/2, 110 and 110 are provided with mobile communication related services and the like by a base station (eNodeB) 121 in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Can receive a packet-based voice call service, a packet-based video call service, a group video call service, and a packet-based data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base station 121. For example, an LTE subscriber terminal, an HD voice, And a VoLTE subscriber terminal supporting the VoIP service. Between each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s UE-A and UE-B is defined a cell or a radio unit (RU)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installed in a building or the like,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Name) can be installed.

그리고, 통신 단말(UE-A, UE-B)은 영상 통화 중에 그룹 영상 통화를 원하는 대상 단말(예컨대, 통신 단말(UE-C))을 초대하여 그룹 영상 통화를 실현할 수 있는데, 착신 단말과의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될 때 착신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인지 혹은 미지원 단말인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지능망(14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착신 단말과의 영상 통화 중에 그룹 영상 통화를 위해 초대한 대상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 미지원 단말(레거시 단말)인 경우일 때,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지능망(140)으로부터 이를 통지받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s UE-A and UE-B can realize a group video call by inviting a target termina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desiring group video communication during a video call. When a video call is connected, a message indicating whether the called terminal is a support terminal for a group video call or a non-supported terminal can be provided from the intelligent network 140 via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When the target terminal invited for the group video call is a group video call unsupported terminal (legacy terminal), the intelligent network 140 can be notified via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또한, 제 2 이동통신망(130)에 의해 이동통신 관련 서비스 등을 제공받는 통신 단말(UE-C)(110/3)은 서킷 또는 패킷 기반의 음성 통화 서비스, 서킷 또는 패킷 기반의 영상 통화 서비스, 및 서킷 또는 패킷 기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3G 가입자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이동통신망(130)은, 예컨대 3G(WCDMA) 이동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레거시망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110/3, which is provid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related service by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may be a circuit or packet-based voice call service, And a circuit or packet-based data communication service, for example, a 3G subscriber terminal or the like. To this e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may refer to a legacy network such as a 3G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다음에, 제 1 이동통신망(120)은, 예컨대 LTE 이동통신 시스템(또는 LTE망)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기지국(eNodeB)(121), 이동성 관리 노드(MME : Mobility Management Entity)(122), 신호 처리 노드(SGW : Serving Gateway)(123), 패킷 처리 노드(PGW : PDN Gateway)(124) 및 정책 관리 노드(PCRF : 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구성하는 각 노드들(예컨대, eNodeB, MM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include an eNodeB 121,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122, and the like. A signaling node (SGW) 123, a packet processing node (PGW) 124, and a 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 (PCRF) 125. Here, each node (e.g., eNodeB, MME,

SGW, PGW, PCRF 등)은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 등에 따라 부분적 혹은 선택적으로 통폐합되거나 혹은 다른 구성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SGW, PGW, PCRF, etc.) may be partially or selectively incorporated or replaced with other components depending on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먼저, 기지국(121)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단지 하나의 eNodeB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예컨대 수백 내지 수천 개의 eNodeB들에 대한 통신 서비스(예컨대, 음성 통화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 부가정보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동성 관리 노드(122)에 의해 관장(제어)될 수 있으며, 수십 개의 eNodeB들이 하나의 트래킹 영역(TA : Tracking Area)(또는 트래킹 그룹)을 형성하는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First, the base station 121 exemplarily shows only one eNodeB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mmunication service (for example, a voice call service, a video call service, (E. G., Various multimedia services including group video call service, supplementary information service, etc.) can be supervised by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22 and several tens eNodeBs can be controlled in one tracking area (TA) Group).

그리고, 기지국(121)은 LTE(또는 VoLTE) 등 차세대 기술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비로서 기지국, 기지국 장비 혹은 기지국 장치로 정의(명칭)될 수 있으며,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승인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통신 단말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과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지국(121)은, 예컨대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21 may be defined as a base station, a base station equipment, or a base station device as a device supporting next gener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such as LTE (or VoLTE), and may be defined as a radio bearer control, a radio resource management function such as radio admission control, connection mobility control, and dynamic resource allocation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rovided. Here, the base station 121 may be defined as a digital unit (DU), for example.

또한, 기지국(121)은 IP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SGW(123)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121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such as IP header compression and encryption of user data streams, routing of user plane data to the SGW 123, scheduling and transmission of paging messages, Scheduling and transmission of data, measurement and measurement reporting for mobility and scheduling, and the like.

다음에, 이동성 관리 노드(122)는 기지국(121)과 신호 처리 노드(123) 간의 신호 제어 담당 등을 통해 통신 단말(단말 장치)의 이동성 등을 관리하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세션 관리, 아이들(idle)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기능 등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이동성 관리 노드(122)는 단말이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신호 처리 노드(123) 또는 패킷 처리 노드(124)로부터의 결합 요청이나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등이 있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것 등과 같은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여러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도시 생략된 HLR(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 등을 제공받아 EPS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IP tunnel)의 설정과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HLR은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단말의 위치 관련 데이터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22 may be a node that manages the mobility of a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device) through a signal control charge between the base station 121 and the signal processing node 123, , Idle subscriber management, paging, and subscriber authentication functions. That is,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22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control signals when there is a binding request from the terminal or another network node, 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node 123 or the packet processing node 124, And can receive the subscriber profile information, authentication, and location related data from the HLR (home location register) (not shown) to set up the EPS bearer or IP tunnel And mobility management can be provided. Here, the HLR can store and manage subscriber profile information, authentication, location-related data of the terminal, and the like.

그리고, 신호 처리 노드(123)는 후술하는 정책 관리 노드(125)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 정책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제어(session control) 등을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인 것으로, 기지국(121)과 S1-U 인터페이스로 연동하며, LTE 이동통신 시스템 및 3GPP망 내부에서의 핸드오프(hand-off) 등을 지원하고, 패킷 처리 노드(124)와 EPS 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 bearer)를 설정하고 터널링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node 123 performs a session control process for processing payload traffi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ssion based on a communication policy in the network provided from the policy management node 125 (UE) interface with the base station 121 to support handoff in the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3GPP network, and supports the handover of the packet processing node 124 An ESP bearer (Evolved Packet System bearer), and a PDU (Packet Data Unit) using tunneling.

또한, 패킷 처리 노드(124)는 정책 관리 노드(125)로부터 제공되는 통신 및 과금 정책 등에 따라 단말 장치의 IP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비 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제어 등을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신호 처리 노드(123) 및 외부망과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고, 지능망(140)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며, 신호 처리 노드(123) 및 외부망으로 PDU를 전달할 수 있으며, 정책 관리 노드(125)로부터 제공되는 정책 우선순위 정보를 신호 처리 노드(123)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책 관리 노드(125)는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에 따른 동적(dynamic) QoS 및 과금 규칙(rule)의 제공 등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 내의 통신 정책 및 과금 정책 등을 관리 및 수행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cket processing node 124 allocates the IP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ommunication and accounting policies provided from the policy management node 125, and allocates the IP address of the user plane node < RTI ID = 0.0 > And provides tunneling and IP routing functions through an organic linkage with the intelligent network 140. The signal processing node 123 and the external The PDU may be delivered to the network, and the policy management node 125 may provide the signal processing node 123 with the policy priority information. Here, the policy management node 125 manages and performs communication policies and billing polici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provision of dynamic QoS and billing rules according to the service data flow. And the like.

다음에, 정책 관리 노드(125)는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에 따른 동적(dynamic) QoS 및 과금 규칙(rule)을 제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정책 및 과금 정책 등을 처리 및 집행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policy management node 125 provides dynamic QoS and billing rules according to a service data flow to process and execute communication policies and billing policie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o on.

한편, 제 2 이동통신망(130)은,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다수의 노드, 예컨대 기지국(NodeB), RNC(Radio Network Controller), MSC(Mobile Switching Center), CGS(Cellular Gateway Switch), SGSN(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GGSN(Gateway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등을 포함하여, 통신 단말(예컨대, 3G 가입자 단말)들에게 3G 이동통신 관련의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제 1 이동통신망(120)으로의 통신 호 천이, 지능망(140)과의 유기적인 연동(연계)을 통한 IP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정의(통칭)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such as a NodeB, an RNC,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 Cellular Gateway Switch (CGS) A 3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to a communication terminal (e.g., a 3G subscriber terminal) including a 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SGSN), a Gateway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GGSN)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econd network node) that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call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providing an IP-based service through organic interlocking with the intelligent network 140, .

다른 한편, 지능망(140)은, 예컨대 지능망 노드로서 정의될 수 있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를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호 세션 제어 노드(CSCF :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141), 가입자 정보 노드(HLR : Home Location Register)(142),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O-TAS : Originating - Telephony Application Server)(143), 멀티미디어 자원 노드(MRF : Media Resource Function)(144) 및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T-TAS : Terminating - Telephony Application Server)(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lligent network 140 may mean an IMS (IP Multimedia Subsystem), which may be defined as an intelligent network node, for example, a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 141,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142, an originating-telephony application server (O-TAS) 143, a media resource function (MRF) 144, TAS: Terminating - Telephony Application Server) 145 and the like.

먼저, 호 세션 제어 노드(141)는 호 처리를 수행하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를 위한 기본 기능 등을 수행하는 인프라 시스템으로서, 이러한 호 세션 제어 노드(141)는 가입자 등록, 인증, 과금, 서비스별 트리거링 및 라우팅, 착신자 위치 조회, SIP 메시지의 압축 및 해제 등을 처리하며, 역할에 따라 Proxy_CSCF, Interogating-CSCF, Serving-CSCF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First,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performs call processing and performs basic functions such as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based multimedia session control.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includes a subscriber registration , Authentication, billing, service-specific triggering and routing, caller location inquiry, and decompression and release of SIP messages, and can be divided into Proxy_CSCF, Interogating-CSCF, and Serving-CSCF depending on the role.

또한, 호 세션 제어 노드(141)는 영상 통화 중인 두 통신 단말(예컨대, UE-A와 UE-B) 중 방장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UE-A)로부터 임의의 통신 단말(예컨대, UE-C)(또는 대상 단말)에 대한 그룹 영상 통화로의 초대 메시지(예컨대, REFER 메시지)가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수신될 때 이를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 전달하고, 이에 응답하여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부터 통화 요청의 확인 통지 메시지(예컨대, NOTIFY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제 1 이동통신망(120)을 Also,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may receive a call from any of the two communication terminals (e.g., UE-A and UE-B) To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when an invitation message (e.g., a REFER message) to the group video call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or the target terminal) is received via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When a confirmation notification message (for example, a NOTIFY message) of a cal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경유하여 임의의 통신 단말(UE-C)에 대한 그룹 초대를 요청한 통신 단말(UE-A)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A requesting the group invitation to the arbitrary communication terminal UE-C via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더욱이, 호 세션 제어 노드(141)는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부터 통신 단말(UE-C)과의 그룹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메시지(예컨대, INVITE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로 전달하고,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로부터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받은 대상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미지원 단말(레거시 단말)임의 나타내는 그룹 통화 불가 메시지(예컨대, NOT ACCEPTABLE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 전달하며, 이에 응답하여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부터 그룹 통화 불가 확인 메시지(예컨대, NOT ACCEPTABLE NOTIFY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통신 단말(UE-A)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transmits a call request message (for example, an INVITE message) for a group call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from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to the called application service node 145), and when a group call incapable message (for example, a NOT ACCEPTABLE message) representing any of the non-serving terminals (legacy terminals) of the group video call is received from the destination terminal requested to receive the group video call from the incom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5 (Not ACCEPTABLE NOTIFY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in response to this, it is transmitted to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via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A.

그리고, 가입자 정보 노드(142)는 제 1 이동통신망(예컨대, LTE망) 및/또는 제 2 이동통신망(예컨대, 3G망)에 대한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노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단말의 위치 관련 데이터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입자 정보 노드(142)은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로 정의(통칭)될 수 있다.The subscriber information node 142 refers to a node including a database storing subscriber information for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g., LTE network) and / or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g., 3G network) Subscriber profile information, authentication, location-related data of the terminal, and the like. Here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node 142 may be defined (collectively) as an HSS (Home Subscriber Server) capable of provid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다음에,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는, 예컨대 발신자표시, 발/착신 금지, 착신전환, 그룹 영상 통화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 동작 및 호 처리와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 필드 변경 등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과금 처리와 CSCF, MRF, HLR 및 부가 서비스 수행을 위해 다양한 노드들과의 연동 처리와 운용(Operation), 관리(Administration), 유지보수(Maintenance)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상태 및 단말 정보 등을 포함하는 등록 상태 정보들을 저장하는 가입자 D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는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한 통신 단말의 위치 상황에 따라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착신 TAS)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Next,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provides a function of performing an additional service operation such as caller display, call / incoming prohibition, call forwarding, group video call, and changing a message field for call processing and call processing And can handle interworking with various nodes,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to perform billing and CSCF, MRF, HLR and additional services. And may include a subscriber DB for storing registr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subscriber's additional service status and terminal information. Here, the source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may function as a destination application service node (destination TAS) according to the location statu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the group video call.

또한,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는 본 발명에 따라 호 세션 제어 노드(141)로부터 그룹 영상 통화를 위한 초대 메시지(예컨대, REFER 메시지)가 수신될 때 그룹 통화의 확인을 위해 대상 단말로의 그룹 통화 준비(즉, 그룹 통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트랜스코딩 등)를 멀티미디어 자원 노드(144)로 요청(예컨대, INVITE 메시지의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자원 노드(144)로부터 요청 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호 세션 제어 노드(141)로 전달하며,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로부터 생성된 그룹 통화 불가 메시지가 호 세션 제어 노드(141)를 경유하여 수신될 때 그에 상응하는 그룹 통화 불가 확인 메시지(예컨대, NOT ACCEPTABLE NOTIFY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 세션 제어 노드(141)와 제 1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통신 단말(UE-A)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receives the invitation message (e.g., REFER message) for the group video call from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g., transmitting an INVITE message) to the multimedia resource node 144 to prepare for call (i.e., real-time transcoding of multimedia data for a group call), and in response thereto, a request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ultimedia resource node 144 When it is received, transmits a group call disable message generated from the called application service node 145 to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and when the group call disable message is received via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E.g., a NOT ACCEPTABLE NOTIFY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A via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It can provide capability.

다음에, 멀티미디어 자원 노드(144)는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어, 관리 및 코덱 변환기능 등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통신 단말에게 제공하는 통화 안내 방송(음성/영상)을 관리하며, 그룹 영상 통화(미디어 회의), 문자와 음성 간 변환/음성 인식,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트랜스코딩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자원 노드(144)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미디어 리소스 기능 제어기(Media Resource Function Controller)와 미디어 리소스 기능 처리기(Media Resource Function Proces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media resource node 144 may function as a multimedia server that provides a multimedia service control, management, and codec conversion function provided to a subscriber. For this purpose, a call announcement broadcast (voice / video) And can provide functions such as group video call (media conference), conversion between text and voice / speech recognition, and real-time transcoding of multimedia data. To this end, the multimedia resource node 144 may include a media resource function controller and a media resource function processo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또한, 멀티미디어 자원 노드(144)는 본 발명에 따라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부터 그룹 통화 준비가 요청(예컨대, INVITE 메시지의 수신)될 때 그에 대응하는 요청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media resource node 144 generates a request confirm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a group call preparation request (for example, an INVIT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3) to the user.

한편,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는, 예컨대 착신 TAS로서, 상술한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는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한 통신 단말의 위치 상황에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stination application service node 145 may equally provide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for example, as an incoming TAS, And may include configurations as shown. Here, the called application service node 145 may function as a calling application service node in a location statu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the group video cal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영상 통화 제어 기법을 적용 가능한 노드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호 처리 블록(202), 가입자 DB(204), 과금 블록(206), 연동 인터페이스 블록(208) 및 OAM 블록(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node device to which a group video call control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and includes a call processing block 202, a subscriber DB 204, a billing block 206, an interworking interface block 208, Block 210, and the like.

도 2를 참조하면, 호 처리 블록(202)은 발신자표시, 발/착신 금지, 착신전환, 그룹 영상 통화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 동작 및 호 처리와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 필드 변경 등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호 처리 블록(20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call processing block 202 provides a function of performing additional service operations such as caller indication, call / incoming call prohibition, call forwarding, group video call, and changing a message field for call processing and call processing For this, the call processing block 202 may include a group video call control apparatus having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영상 통화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요청 수신부(302), 단말 관리부(304), 통화 요청 차단부(306) 및 단말 상태 보고부(308)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대 단말 관리부(31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group video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 request receiving unit 302, a terminal management unit 304, a call request blocking unit 306 and a terminal status reporting unit 308 And may selectively include an opposite terminal management unit 310. [

도 3을 참조하면, 요청 수신부(302)는 그룹 영상 통화를 원하는 대상 단말(예컨대, UE-C)로의 그룹 초대가 수신, 즉 O-TAS(143)로부터 통신 단말(UE-C)과의 그룹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메시지(예컨대, INVITE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단말 관리부(304)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3, the request receiver 302 receives a group invitation to a target terminal (e.g., UE-C) to which a group video call is desired, i.e., receives a group invitation from the O-TAS 143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 And delivering a call request message (e.g., an INVITE message) for a call to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304 when the call request message is received.

다음에, 단말 관리부(304)는 요청 수신부(302)로부터 전달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의 바디에 포함된 대상 단말 정보를 추출한 후 도 2의 가입자 DB(204)의 단말 정보 검색을 통해 해당 통신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 예컨대 도 2의 가입자 DB(204)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통신 단말(예컨대, UE-C)에 대한 컨택 헤더(Contact Header)의 특징 태그(feature tag)에 삽입된 단말 정보의 확인을 통해 통신 단말(예컨대, UE-C)이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예컨대, LTE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예컨대, 레거시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그 체크 결과를 통화 요청 차단부(306) 및 단말 상태 보고부(308)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304 extracts the target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ody of the call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request reception unit 302, and then,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search of the subscriber DB 204 of FIG. 2, (For example, UE-C) stored in the subscriber DB 204 shown in FIG. 2,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a support terminal for a video call or a non-supported terminal (e.g., an LTE terminal) or a non-supported terminal (e.g., a legacy terminal) through confirmation of the terminal information inserted in the feature tag And transmitting the result of the check to the call request blocking unit 306 and the terminal status report unit 308, for example.

이를 위해, 도 2의 가입자 DB(204)에는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상태 및 단말 정보(즉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여부 확인을 위한 단말 정보 등) 등을 포함하는 등록 상태 정보들이 기 저장되어 있다. 즉, 응용 서비스 노드(착신 TAS 또는 발신 TAS)는,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해, 그룹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각 가입자별의 단말 정보(지원 단말 정보 또는 미지원 단말 정보)를 가입자 DB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ubscriber DB 204 of FIG. 2 stores registr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subscriber's supplementary service status and terminal information (i.e., terminal information for confirming whether the group video call is supported). That is, in order to realize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service node (incoming TAS or originating TAS) registers terminal inform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or unsupported terminal information) for each subscriber supporting the group video call in the subscriber DB and manages .

그리고, 통화 요청 차단부(306)는, 단말 관리부(304)로부터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받은 대상 단말이 미지원 단말임이 통지될 때, 대상 단말로의 그룹 통화 요청을 차단, 즉 제 2 이동통신망(130)을 경유하여 통신 단말(UE-C)로 그룹 통화 요청이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it is notified that the target terminal that has requested the group video call from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304 is a non-supported terminal, the call request blocking unit 306 blocks the group call request to the target terminal, that is,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the group call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via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다음에, 단말 상태 보고부(308)는, 단말 관리부(304)로부터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받은 대상 단말이 미지원 단말임이 통지될 때, 그룹 영상 통화를 초대받은 대상 단말이 미지원 단말임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한 단말 측으로 전송, 즉 호 세션 제어 노드(141) -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 - 호 세션 제어 노드(141) -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그룹 영상 통화를 초대한 통신 단말(UE-A) 측으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terminal status report unit 308 notifies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304 of a guidan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arget terminal, which has been invited to the group video call, is a non-supported terminal when the target terminal requested to perform the group video call is notified that the terminal is a non- The call origination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via the communication path through which the group video call is requested, And transmitting the group video call to the invited communication terminal UE-A side.

마지막으로, 상대 단말 관리부(310)는 두 통신 단말(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영상 통화 호가 연결(임의의 단말을 그룹 영상 통화 대상으로 초대하기 전의 두 단말 간의 영상 통화 호 연결)될 때 가입자 DB의 검색을 통해 착신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발신 단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대 단말 관리부(310)는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담당하는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발신 TAS)와 착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담당하는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착신 TAS)가 있는 경우일 때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 측이 아닌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 체크는, 가입자 DB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단말에 대한 컨택 헤더(Contact Header)의 특징 태그(feature tag)에 삽입된 단말 정보의 확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Lastly, when the video call is connected between two communication terminals (calling terminal and called terminal) (when a video call is connected between two terminals before an arbitrary terminal is invited to a group video call) The calling terminal may provide a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the called terminal is a supporting terminal or a non-supported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through the search of the calling terminal, and providing the checking result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re is an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origination TAS) responsible for a service and a term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terminating TAS) responsible for a service for the terminating terminal, the destination application service node . Here, the check as to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a non-supported terminal can be performed by confirming the terminal information inserted in the feature tag of the contact header for the called terminal stored in the subscriber DB.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과금 블록(206)은 통신 단말들이 지능망(140)에서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때 관련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연동 인터페이스 블록(208)은 CSCF, MRF, HLR 및 부가 서비스 수행을 위해 다양한 노드들과의 연동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블록(210)은 지능망(140) 내 TAS의 운용(Operation), 관리(Administration), 유지보수(Maintenance)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2, the billing block 206 may provide a function of performing a related billing process when communication terminals are provided with an additional service or the like performed in the intelligent network 140, and the interlocking interface block 208 The OAM (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block 210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operation of the TAS in the intelligent network 140, Administration, Maintenance, and so 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그룹 영상 통화를 초대받은 대상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미지원 단말(레거시 단말)일 때 대상 단말로 전송되는 그룹 통화 요청의 차단을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착신 TAS)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 단말(미지원 단말)로의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 차단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부재 및 기능들을 호 세션 제어 노드(CSCF) 측에 적용함으로써, 호 세션 제어 노드가 대상 단말(미지원 단말)로의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을 차단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rget terminal that is invited to the group video call is a non-serving terminal (legacy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blocking of the group call request transmitted to the target terminal is performed by the called application service no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y applying the configuration member and functions for blocking transmission of a group call request to a target terminal (non-serving terminal) to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CSCF) sid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may be designed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the group call request to the target terminal (the non-serving terminal).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기종 이동통신 혼용 시스템을 본 발명에 따라 그룹 영상 통화를 네트워크 노드에서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sses for controlling the group video call in the network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hybri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그룹 영상 통화를 위한 그룹 초대가 발생될 때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dure at a network node when a group invitation for a group video cal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두 통신 단말, 예컨대 발신 단말(UE-A)과 착신 단말(UE-B)간에 영상 통화 호(그룹 통화 호 또는 회의 통화 호)가 연결되면, 착신 단말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담당하는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에서는 착신 단말(UE-B)이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예컨대, LTE 단말)인지 혹은 미지원 단말(예컨대, 레거시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발신 단말(UE-A)에게 제공한다. 여기에서, 착신 단말에 대한 미지원 단말의 여부 체크는, 가입자 DB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단말에 대한 컨택 헤더(Contact Header)의 특징 태그(feature tag)에 삽입된 단말 정보의 확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4, when a video call (group call or conference call) is connected between two communication terminals, for example, a calling terminal UE-A and a called terminal UE-B, It is checked whether the called terminal UE-B is a supporting terminal (for example, an LTE terminal) or a non-serving terminal (for example, a legacy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in the called application service node. To the terminal UE-A. Here, the check of the non-supporting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called terminal can be performed by checking the terminal information inserted in the feature tag of the contact header for the called terminal stored in the subscriber DB .

다음에, 두 통신 단말(UE-A, UE-B)간에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되어 영상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방장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발신 단말)(UE-A)은 임의의 통신 단말(예컨대, UE-C)을 그룹 영상 통화를 위한 대상 단말로 초대할 수 있는데, 통신 단말(UE-A)이 통신 단말(UE-C)을 그룹 영상 통화로 초대하기 위해 초대 메시지(예컨대, REFER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전송된 초대 메시지는 제 1 이동통신망(120)과 호 세션 제어 노드(141)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 전달된다(단계 401, 402).Next, a communication terminal (calling terminal) UE-A serving as a clerk during a video call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mmunication terminals UE-A and UE-B is connected to an arbitrary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E.g., a REFER message) to invite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to the group video call.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may invite the UE-C to the target terminal for the group video call. The invit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through a communication path via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steps 401 and 402).

이에 응답하여,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에서는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응하는 수신 확인 메시지(예컨대, 200 OK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 세션 제어 노드(141)와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 단말(UE-A)로 전송한다(단계 403, 404).In response,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generates an acknowledgment message (e.g., a 200 OK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vitation message and transmits the acknowledgment message to the call application control node 141 via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A via the communication path (steps 403 and 404).

다시,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에서는 전달받은 초대 메시지에 의거하여 대상 단말에 대한 그룹 통화의 확인을 위해 대상 단말로의 그룹 통화 준비, 즉 그룹 통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트랜스코딩 등을 멀티미디어 자원 노드(144)로 요청(예컨대, INVITE 메시지의 전송)하며(단계 406), 이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자원 노드(144)에서는 전달받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요청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 전달한다(단계 407).Again,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transmits the group call preparation to the target terminal, that is, the real-time transcoding of the multimedia data for the group call, in order to confirm the group call to the target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invitation message, The multimedia resource node 144 generates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to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in response to the request (e.g., transmission of the INVITE message) to the node 144 (step 406) (Step 407).

이후,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에서는 요청 확인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통화 요청의 확인 통지 메시지(예컨대, NOTIFY 메시지)를 생성한 후 호 세션 제어 노드(141)와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 단말(UE-A)로 전송하며(단계 408), 이에 대한 응답 ACK(예컨대, 200 OK 메시지)를 통신 단말로부터 전달받는다(단계 409).Then,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generates a confirmation notification message (for example, a NOTIFY message) of the call request in response to the receipt of the request confirmation message, and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A via the communication path via the communication path (step 408), and receives a response ACK (e.g., 200 OK message)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409).

다시,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에서는 통신 단말(UE-C)과의 그룹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메시지(예컨대, INVITE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 세션 제어 노드(141)를 경유하는 경로를 통해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로 전달한다(단계 410).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generates a call request message (for example, an INVITE message) for group call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and transmits the call application message To the service node 145 (step 410).

그 결과,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에서는 대상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예컨대, LTE 단말)인지 혹은 미지원 단말(예컨대, 레거시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s a result, in the receiv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5,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target terminal is a supporting terminal (for example, an LTE terminal) or a non-serving terminal (for example, a legacy terminal)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그룹 초대를 받은 대상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미지원 단말일 때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a group call request is transmitted when a target terminal received a group invi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serving terminal of a group video call.

도 5를 참조하면, 요청 수신부(302)에서는 그룹 영상 통화를 원하는 통신 단말(UE-C)로의 그룹 초대를 수신, 즉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부터 통신 단말(UE-C)과의 그룹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메시지(예컨대,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 관리부(304)로 전달한다(단계 502).5, the request receiver 302 receives a group invitation to a desired communication terminal UE-C, that is, receives a group call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from an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For example, an INVITE message) to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304 (step 502).

다음에, 단말 관리부(304)에서는 수신된 통화 요청 메시지의 바디에 포함된 대상 단말 정보를 추출한 후(단계 504), 가입자 DB(204)의 탐색을 통해 단말 정보 검색함으로써(단계 506), 해당 통신 단말(UE-C)이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예컨대, LTE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예컨대, 레거시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508). 여기에서, 통신 단말(UE-C)에 대한 미지원 단말의 여부 체크는, 가입자 DB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단말(UE-C)에 대한 컨택 헤더(Contact Header)의 특징 태그(feature tag)에 삽입된 단말 정보의 확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304 extracts the target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ody of the received call request message (step 504), searches the subscriber DB 204 for terminal information (step 506) It is checked whether the terminal UE-C is a supporting terminal (e.g., LTE terminal) or a non-serving terminal (e.g., a legacy terminal) of a group video call (step 508). Here, the check of the non-supported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is performed by checking whether or not the non-supported terminal is inserted in the feature tag of the contact header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 And can be performed through confirmation of terminal information.

상기 단계(508)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통신 단말(UE-C)이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에서는 해당 통신 단말로 그룹 통화 요청을 전송하며(단계 510), 그 결과 규정된 그룹 영상 통화 시나리오가 실행될 것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8 that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UE-C is a support terminal for the group video call, the called application service node 145 transmits a group call request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510), so that the defined group video call scenario will be executed.

상기 단계(508)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통신 단말(UE-C)이 그룹 영상 통화의 미지원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통화 요청 차단부(306)에서는 해당 통신 단말(UE-C)로의 그룹 통화 요청을 차단, 즉 제 2 이동통신망(130)을 경유하여 통신 단말(UE-C)로 그룹 통화 요청이 전송되는 것을 차단한다(단계 512).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8 that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UE-C is a non-supported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the call request blocking unit 306 requests a group call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UE- (Step 512), that is, blocking the group call reques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via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이후, 단말 상태 보고부(308)에서는 그룹 영상 통화를 초대받은 통신 단말(UE-C)이 미지원 단말임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한 단말 측으로 전송, 즉 호 세션 제어 노드(141) -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 - 호 세션 제어 노드(141) -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그룹 영상 통화를 초대한 통신 단말(UE-A) 측으로 전송한다(단계 514).Then, the terminal status reporting unit 308 generates a guidan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invited to the group video call is a non-supported terminal and transmits the group video call to the terminal requesting the group video cal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A which has invited the group video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via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

즉,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에서는 통신 단말(UE-C)이 미지원 단말임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그룹 통화 불가 메시지: NOT ACCEPTABLE)를 호 세션 제어 노드(141)를 경유하는 경로를 통해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로 전달한다(단계 411, 412).4, the called application service node 145 transmits a guidance message (group call disabled message: NOT ACCEPTABLE)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C is a non-serving terminal to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via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To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steps 411 and 412).

이후,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에서는 그에 따른 ACK 메시지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자원 노드(144)로 전달하고(단계 413), 호 세션 제어 노드(141)를 경유하는 경로를 통해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145)로 전달한다(단계 414, 415).Thereafter, the source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generates an ACK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multimedia resource node 144 (step 413). The destination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transmits the ACK message to the destination application service node 145 (Steps 414 and 415).

마지막으로,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143)가 그룹 통화 불가 확인 메시지(예컨대, NOT ACCEPTABLE NOTIFY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 세션 제어 노드(141)와 제 1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 단말(UE-A)로 전송하고(단계 416), 통신 단말(UE-A)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200 OK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단계 417), 그룹 영상 통화에 대한 제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Finally, the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143 generates a group call disabling acknowledgment message (e.g., a NOT ACCEPTABLE NOTIFY message) to communicate with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141 via the communication path via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Step 416), and receives a response message (e.g., a 200 OK message)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UE-A (step 417) to the terminal UE-A do.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발신 응용 서비스 노드와 착신 응용 서비스 노드를 각각 구비하여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신과 착신을 위한 응용 서비스 노드를 하나의 통합 서버(통합 응용 서비스 노드)로 구축하여 그룹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up video call service is provided by providing an originating application service node and a destination application service node,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 node as a single integrated server (integrated application service node) to provide a group video call servic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is easy to see that this is possible. That i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받은 해당 단말이 그룹 영상 통화의 미지원 단말(레거시 단말)일 때, 지능망 노드 측에서 해당 단말로 전송되는 그룹 통화 요청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능망 노드 측에서 불필요한 메시지 트래픽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초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rresponding terminal requested for the group video call is a non-supported terminal (legacy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the intelligent network node blocks the group call request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unnecessary message traffic from being generated at the intelligent network node side, and can provide a group video call control model that effectively prevents unnecessary resource wast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from being caused.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VoLTE(또는 LTE) 이동통신망에 적용함으로써, VoLTE 또는 LTE 서비스에서의 그룹 통화의 신뢰도 증진 및 자원 낭비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is technical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a VoLTE (or L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realizing the enhancement of the reliability of group calls in VoLTE or LTE services and the prevention of resource waste.

302 : 요청 수신부 304 : 단말 관리부
306 : 통화 요청 차단부 308 : 단말 상태 보고부
310 : 상대 단말 관리부
302: request reception unit 304:
306: call request blocking unit 308: terminal status reporting unit
310:

Claims (11)

그룹 영상 통화를 원하는 대상 단말에 대한 그룹 초대가 수신될 때, 상기 대상 단말이 상기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미지원 단말일 때, 상기 대상 단말로의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을 차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
Checking whether the target terminal is a supporting terminal or a non-serving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when receiving a group invitation for a target terminal for group video call;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group call request to the target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the non-serving terminal
The group video call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체크하는 과정의 전에,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에 대한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될 때,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체크 결과로서 상기 착신 단말이 지원 단말 또는 미지원 단말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omprises:
Checking whether the called terminal is a supporting terminal or a non-supported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when a video call call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is connected before the checking process;
Genera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ed terminal is a support terminal or a non-supported terminal and providing the generated message to the calling terminal
The group video call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미지원 단말일 때, 상기 발신 단말에게 상기 대상 단말이 미지원 단말임을 통지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omprises:
And notifying the calling terminal that the target terminal is a non-serving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the non-serving terminal
The group video call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지원 단말의 체크는,
상기 대상 단말에 대한 컨택 헤더(Contact Header)의 특징 태그(feature tag)에 삽입된 단말 정보의 확인을 통해 수행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ecking of the unsupported terminal comprises:
Is performed by checking the terminal information embedded in the feature tag of the contact header for the target terminal
Group video call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 차단은,
지능망 노드를 통해 수행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cking of the group call request comprises:
Performed through an intelligent network node
Group video call control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 차단은,
상기 지능망 노드 내의 응용 서비스 노드(TAS) 또는 호 세션 제어 노드(CSCF)를 통해 수행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locking of the group call request comprises:
(TAS) or call session control node (CSCF) in the intelligent network node
Group video call control method.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여부 확인을 위한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DB와,
상기 그룹 영상 통화를 원하는 대상 단말에 대한 그룹 초대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그룹 초대가 수신될 때, 상기 가입자 DB의 단말 정보 검색을 통해 상기 대상 단말이 상기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말 관리부와,
상기 미지원 단말일 때, 상기 대상 단말로의 그룹 통화 요청의 전송을 차단하는 통화 요청 차단부
를 포함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장치.
A subscriber DB for storing terminal information for confirming whether the group video call is supported,
A reque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group invitation for a target terminal to which the group video call is desired;
A terminal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target terminal is a support terminal or a non-support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through search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DB when the group invitation is received;
A call request blocking unit for blocking transmission of a group call request to the target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the non-
The group video call control device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지원 단말일 때, 상기 대상 단말이 미지원 단말임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그룹 영상 통화를 요청한 단말 측으로 전송하는 단말 상태 보고부
를 더 포함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terminal status reporting unit for generating a guidan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arget terminal is a non-serv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roup video call to the requesting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the non-
The group video call control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관리부는,
상기 가입자 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대상 단말에 대한 컨택 헤더(Contact Header)의 특징 태그(feature tag)에 삽입된 단말 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지원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It is checked whether the terminal is the support terminal or the non-support terminal by checking the terminal information inserted in the feature tag of the contact header for the target terminal stored in the subscriber DB
Group video call control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그룹 초대의 발생 전에,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에 대한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될 때,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그룹 영상 통화의 지원 단말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상기 발신 단말에게 제공하는 상대 단말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pparatus comprises:
A check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the called terminal is a supporting terminal or a non-supported terminal of the group video call when a calling video call is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before the group invitation is generated and the check result is provided to the calling terminal Lt; RTI ID =
The group video call control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 관리부는,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컨택 헤더(Contact Header)의 특징 태그(feature tag)에 삽입된 단말 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이 지원 단말인지 또는 미지원 단말인지를 체크하는
그룹 영상 통화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called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alled terminal is a support terminal or a non-supported terminal by checking the terminal information inserted in the feature tag of the contact header for the called terminal
Group video call control device.
KR20130109852A 2013-09-12 2013-09-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telephony of group Ceased KR201500305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852A KR20150030504A (en) 2013-09-12 2013-09-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telephony of gro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852A KR20150030504A (en) 2013-09-12 2013-09-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telephony of gro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504A true KR20150030504A (en) 2015-03-20

Family

ID=5302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852A Ceased KR20150030504A (en) 2013-09-12 2013-09-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telephony of gro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05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758B2 (en) Method for continuously providing emergency call service through packet network
EP4117335B1 (en) Method for managing session and smf node
US9706340B2 (en)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proxim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25676B2 (en) Communication system
US10638375B2 (en) Video telephony service quality enhan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500496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omai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116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all of mixing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KR1020485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of group video telephony
KR1015777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 equipment for additional service
KR102092191B1 (en) Abnormal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500286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ncurrent call
KR1015582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ing over call from packet switched domain to circuit switched domain
KR201500305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telephony of group
KR1020982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imining call process, and systems for call process
KR1021992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all
KR1021219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all
KR1014637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all origination information of restricted call termination
KR1021133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information of location
KR10140455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all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for
KR1020767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ctive status of mobile phone
KR10212450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verting message for video telephony
KR1022160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ing an integration mailbox
Gandhi et al. Wi-Fi Calling
KR201500258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ndov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1500289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ing an integration mail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4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9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4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9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08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0417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3068

Request date: 201605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0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25

Effective date: 201801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0525

Decision date: 20180123

Appeal identifier: 2016101003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