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149A -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5149A KR20150035149A KR20130115377A KR20130115377A KR20150035149A KR 20150035149 A KR20150035149 A KR 20150035149A KR 20130115377 A KR20130115377 A KR 20130115377A KR 20130115377 A KR20130115377 A KR 20130115377A KR 20150035149 A KR20150035149 A KR 201500351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emitting device
- light
- emitting cells
- nitr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9—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 H10H20/821—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e.g. non-planar junc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5—Bodies having stress relaxation structures, e.g. buffer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 H10H20/824—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 H10H20/825—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containing nitrogen, e.g. Ga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10H20/833—Transparent materi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4—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 H10H29/142—Two-dimensional arrangements, e.g. asymmetric LED layout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각각 버퍼층,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반도체층 및 투명전극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셀들은 상기 발광셀들이 직렬 접속된 복수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직렬 접속된 복수의 그룹은 서로 병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셀들은 삼각 기둥 형상이고, 상기 발광셀의 일측 경사면은 인접한 발광셀의 경사면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발광셀들은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출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단일 기판 상에 복수개의 삼각형 형상을 갖는 발광셀들을 구현하여 내부 전반사에 의한 광손실을 줄인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The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each including a buffer layer,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Group, and the plurality of groups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Here, the light emitting cells are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and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cells is disposed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djacent light emitting cells, and the light emitting cells emit red, green, blue and ultraviolet rays.
The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light-emitting cells having a plurality of triangular shapes on a single substrate, thereby reducing light loss due to total internal refl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질화물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보통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불리며,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이다.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체 재료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방출된 빛의 파장이 가전자대(valence band) 전자들과 전도대(conduction band) 전자들 사이의 에너지 차를 나타내는 반도체 재료의 밴드갭(band-gap)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The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is usually called a light-emitting diode (LED), and is a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that converts current into light.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miconductor material used to manufacture the light emitting diode. This is because the wavelength of the emitted light is determined by the band gap of the semiconductor material, which represents the energy difference between the valence band electrons and the conduction band electrons.
최근 발광 다이오드는 휘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용 광원, 자동차용 광원 및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다양한 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우수한 백색광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이 가능하다.In recent years, light emitting diode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as light sources for displays, light sources for automobiles and light sources for lighting, and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white light with high efficiency by using fluorescent materials or combining light emitting diodes of various colors Implementation is possible.
한편, 발광 다이오드의 휘도는 활성층의 구조, 빛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광 추출 구조, 칩의 크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위하는 몰딩부재의 종류 등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좌우된다.On the other h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epends 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the light extraction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extracting light to the outside, the size of the chip, and the type of molding member surrounding the light emitting diod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물계 발광소자(10)는 기판(20), 버퍼층(12),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 활성층(14),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 투명전극층(16), 제2 전극(17), 제1 전극(18)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nitride-based
상기 버퍼층(12)은 상기 기판(20)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 사이의 격자 상수 차이를 줄이기 위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aN, AlN, AlGaN, InGaN, AlInGaN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활성층(14)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을 통해서 주입되는 전자(또는 정공)와 이후 형성되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을 통해서 주입되는 정공(또는 전자)이 서로 만나서, 상기 활성층(14)의 형성 물질에 따른 에너지 밴드(Energy Band)의 밴드갭(Band Gap) 차이에 의해서 빛을 방출하는 층이다.In the
상기와 같은 종래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활성층(14)에서 발생하는 광이 발광소자 내부에서 전반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의 내부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용이하게 추출되지 못하여 광손실이 발생된다.The conventional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has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and thus the light generated in the
또한, 높은 휘도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발광소자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면 발광 소자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전류가 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전류 스프레딩(Spreading) 저하)Further, if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ncreased to realize a high luminance characteristi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can not uniformly spread inside the light emitting device. (Current Spreading Degradation)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광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전류 스프레딩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광 효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light distribution of a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3 is a view showing current spreading characteristics of a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발광소자의 광분포를 보면 내부 전반사로 인하여 광 추출 효율이 떨어져 출사되는 광의 수가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출사되는 광의 영역을 보면, 가장자리로 갈수록 현저하게 광량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발광소자의 전극들을 기준으로 전극과 전극이 인접한 영역에서는 전류 스프레딩이 잘되고 있으나(A영역), 전극들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류 스프레딩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다(B영역). 특히, 고출력 발광소자를 구현하기 위해 발광소자의 크기를 크게 할 경우, 이러한 전류 불균일 현상은 더욱 두드러진다.Referring to FIGS. 2 to 4,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and the light output is small.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region of the light to be emitted,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light decreases remarkably toward the edge. Also, as shown in FIG. 3, the current spreading is good in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de are adjacen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region A), but the current spreading decreases with distance from the electrodes B region). Particularly, whe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increased in order to realize a high output light emitting element, such current nonuniformity phenomenon becomes more prominent.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발광소자는 공급되는 순방향 전류(If[mA])가 커질수록 광효율(lm/W)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light efficiency (lm / W) of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evice is remarkably decreased as the forward current (If [mA]) supplied is larger.
이와 같이, 종래 발광소자는 구조적으로 내부에서 전반사가 일어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광 손실이 커지고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light loss is increased and the light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a high probability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within the structure.
본 발명은, 단일 기판 상에 복수개의 삼각형 형상을 갖는 발광셀들을 구현하여 내부 전반사에 의한 광손실을 줄인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that realizes light emitting cells having a plurality of triangular shapes on a single substrate, thereby reducing optical loss due to total internal reflection.
또한, 본 발명은, 단일 기판 상에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형성하고, 이들을 직렬과 병렬 구조로 연결하여 광효율을 개선한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re formed on a single substrate, and the light emitting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structures to improve light efficiency.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각각 버퍼층,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반도체층 및 투명전극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셀들은 상기 발광셀들이 직렬 접속된 복수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직렬 접속된 복수의 그룹은 서로 병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each including a buffer layer,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Group, and the plurality of groups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발광셀들은 삼각 기둥 형상이고, 상기 발광셀의 일측 경사면은 인접한 발광셀의 경사면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발광셀들은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출사한다.Here, the light emitting cells are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and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cells is disposed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djacent light emitting cells, and the light emitting cells emit red, green, blue and ultraviolet rays.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셀들은 연결부들에 의해 각각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들과 각각의 발광셀들은 전기적 단락 방지를 위해 절연막패턴이 개재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structure by connection portions, and the connection portions and the light emitting cells are interposed with an insulating film pattern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rt.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단일 기판 상에 복수개의 삼각형 형상을 갖는 발광셀들을 구현하여 내부 전반사에 의한 광손실을 줄인 효과가 있다.The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light-emitting cells having a plurality of triangular shapes on a single substrate, thereby reducing light loss due to total internal refl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단일 기판 상에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형성하고, 이들을 직렬과 병렬 구조로 연결하여 광효율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The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cells formed on a single substrate, and the light-emitting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structures to improve light efficienc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광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전류 스프레딩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광 효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Ⅰ-Ⅰ'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상기 도 7a의 발광소자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상기 도 8a의 발광소자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상기 도 7a의 Ⅱ-Ⅱ'선과 Ⅲ-Ⅲ'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전류 스프레딩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광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 질화물계 발광소자와 본 발명의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광효율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질화물 발광소자의 크기에 따른 광효율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 light distribution of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3 is a graph showing current spreading characteristics of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graph showing light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includ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7A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view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7A.
8A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view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8A.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II 'and III-III' of FIG. 7A.
10 is a graph showing current spr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light distribution of the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comparing light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and a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aph comparing light efficienc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는 패키지에 실장되어, 평판형 표시장치의 광원으로 사용하거나,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ackage, and can be used as a light source of a flat display device or as an illumin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Ⅰ-Ⅰ'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includ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는 우물 구조를 갖는 패키지 몸체(120)와, 상기 패키지 몸체(120) 내부에 실장된 제 1 발광소자(50) 및 제 2 발광소자(60)와, 상기 패키지 몸체(120)의 우물 영역에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 소자(50, 60)를 덮도록 적층된 몰드층(200)과 형광체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 몸체(120) 양측에는 외부 신호패턴들과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 1 리드프레임(150a)과 제 2 리드프레임(150b)이 형성되어 있다.5 and 6, the light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발광소자(50, 60)들의 실장 방법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발광소자의 양극과 음극을 신호패턴들과 연결하는 와이어 본딩방법과, 발광소자를 직접 솔더 볼을 사이에 두고 신호패턴들과 연결하는 플립칩 본딩 방법이 있다.The method of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상기 패키지 몸체(120)의 하측에는 베이스 기판(122)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 1 발광소자(50)와 제 2 발광소자(60)가 실장된다.A
상기 패키지 몸체(120)의 내측 둘레에는 소정의 경사면(2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몰드층(200)과 형광체층(300)의 분리를 위해 경사면(250)에는 돌출부(260)가 형성되어 있다.A predetermined
이와 같이, 상기 몰드층(200)과 형광체층(300)을 분리하여 형성하면, 각각의 층들을 균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발광소자들(50, 60)은 단일한 기판 상에 삼각형 형상으로된 다수의 발광셀들로 형성하였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발광소자의 구조는 도 7a 및 도 8a에서 설명한다.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상기 도 7a의 발광소자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A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quivalent circuit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7A.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발광소자는, 단일한 기판(S) 상에 삼각형 형상을 갖는 다수의 발광셀들(C1, C2, C3, C4)을 형성하여 구현한다.7A and 7B,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C1, C2, C3, and C4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a single substrate S .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 상에는 제1 내지 제4 발광셀(C1, C2, C3, C4)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구조는 아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물계 발광소자로써, 버퍼층,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투명전극층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도 9에서 설명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to fourth light emitting cells C1, C2, C3, and C4 are formed on a substrate S,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buffer layer,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Detail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상기 활성층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발광셀들은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중 어느 하나의 광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발광셀들은 서로 다른 광들을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layer, each of the light emitting cells may emit light of any one of red, green, blue, and ultraviolet. Thus, each light emitting cell can emit different light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를 기판(S) 상에 제1 내지 제4 발광셀들(C1, C2, C3, C4)을 직렬과 병렬 조합으로 구현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mplemented by serial and parallel combination of the first to fourth light emitting cells C1, C2, C3, and C4 on the substrate S.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셀(C1=D1)과 제2 발광셀(C2=D2)은 제4연결부(214)에 의해 서로 직렬 접속된 제1 그룹을 형성하고, 제3 발광셀(C3=D3)과 제4 발광셀(C4=D4)은 제2 연결부(212)에 의해 서로 직렬 접속된 제 2 그룹을 형성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C1 = D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C2 = D2) form a first group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by a fourth connecting
그런 다음, 상기 제1 발광셀(C1=D1)의 양극과 제3 발광셀(C3=D3)의 양극 및 제2 발광셀(C2=D2)의 음극과 제4 발광셀(C4=D4)의 음극은 각각 제3 연결부(213)와 제1 연결부(211)에 의해 접속되어, 직렬 접속된 제1 그룹의 제1과 제2 발광셀들(C1, C2)과 제2 그룹의 제3과 제4 발광셀들(C3, C4)은 서로 병렬 접속된다. 특히, 병렬 접속을 위한 제3 연결부(213)와 제1 연결부(211)에는 일부의 면적을 크게 형성한 P 패드(210)와 N 패드(220)가 형성되어 있다.Then, the anod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C1 = D1), the anode of the third light emitting cell (C3 = D3), the cathode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C2 = D2) The cathod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by a third connecting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에 형성되는 다수의 발광셀들(C1 내지 C4)은 각각 삼각형 형상(삼각 기둥)으로 형성하여 광의 내부 전반사에 의한 광손실을 줄였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C1 to C4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formed into a triangular shape (triangular column) to reduce light loss due to total internal total reflection of light.
또한, 하나의 기판(S) 상에 다수의 발광셀들(C1 내지 C4)이 직렬 및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전류 스프레딩 특성이 개선된다. 왜냐하면, 삼각형 구조로 형성된 발광셀들은 각각의 경사면들이 인접한 발광셀들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삼각형의 경사면을 통해 전류가 흐르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C1 to C4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structures on one substrate S, thereby improving current spreading characteristics. This is because the light emitting cells formed in the triangular structure are arranged such that the respective inclined surfaces face the adjacent light emitting cells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triangles.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상기 도 8a의 발광소자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A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quivalent circuit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8A.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발광소자는, 단일한 기판(S) 상에 삼각형 형상을 갖는 다수의 발광셀들(C1 내지 C6)을 형성하여 구현한다.8A and 8B,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C1 to C6)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a single substrate (S).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 상에는 제1 내지 제6 발광셀(C1, C2, C3, C4, C5, C6)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각각의 구조는 도 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to sixth light emitting cells C1, C2, C3, C4, C5, and C6 are formed on a substrate S, , And has a triangular shap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의 기판(S) 상에 제1 내지 제6 발광셀들(C1, C2, C3, C4, C5, C6)을 직렬과 병렬 조합으로 구현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hrough sixth light emitting cells C1, C2, C3, C4, C5, and C6 are implemen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on the substrate 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셀(C1=D1)과 제2 발광셀(C2=D2)은 제6연결부(316)에 의해 서로 직렬 접속되고, 제2 발광셀(C2=D2)와 제3 발광셀(C3=D3)은 제1 연결부(311)에 직렬 접속되어 제1 그룹을 형성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C1 = D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C2 = D2)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by a sixth connecting
또한, 제4 발광셀(C4=D4)과 제5 발광셀(C5=D5)은 제4 연결부(314)에 의해 서로 직렬 접속되고, 제5 발광셀(C5=D5)과 제6 발광셀(C6=D6)은 제3 연결부(313)에 의해 직렬 접속되어 제2 그룹을 형성한다.The fourth light emitting cell C4 = D4 and the fifth light emitting cell C5 = D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by the fourth connecting
그런 다음, 상기 제1 발광셀(C1=D1)의 양극과 제4 발광셀(C4=D4)의 양극 및 제3 발광셀(C3=D3)의 음극과 제6 발광셀(C6=D6)의 음극은 각각 제5 연결부(315)와 제2 연결부(312)에 의해 접속되어, 직렬 접속된 제1 그룹의 제1 내지 제3 발광셀들(C1, C2, C3)과 제2 그룹의 제4 내지 제6 발광셀들(C4, C5, C6)은 서로 병렬 접속된다. 특히, 병렬 접속을 위한 제5 연결부(315)와 제2 연결부(312)에는 일부 면적을 크게 형성한 P 패드(310)와 N 패드(320)가 형성되어 있다.The anod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C1 = D1, the anode of the fourth light emitting cell C4 = D4, the cathode of the third light emitting cell C3 = D3, and the cathode of the sixth light emitting cell C6 = The cathodes are connected by the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에 형성되는 다수의 발광셀들(C1 내지 C6)은 각각 삼각형 형상(삼각기둥)으로 형성하여 광의 내부 전반사에 의한 광손실을 줄였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C1 to C6)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formed into a triangular shape (triangular column) to reduce light loss due to total internal total reflection of light.
또한, 하나의 기판(S) 상에 다수의 발광셀들(C1 내지 C6)이 직렬 및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전류 스프레딩 특성이 개선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C1 to C6)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structures on one substrate (S), thereby improving current spreading characteristics.
도 9a 및 도 9b는 상기 도 7a의 Ⅱ-Ⅱ'선과 Ⅲ-Ⅲ'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II 'and III-III' of FIG. 7A.
도 7a와 함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기판(S:400) 상에 삼각형 형상을 갖는 제1 내지 제2 발광셀들(C1 내지 C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각각 버퍼층(401, 501, 601), 제1 도전형 반도체층(402, 502, 602), 활성층(403, 503, 603),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4, 504, 604) 및 투명전극층(405, 505, 605)을 포함한다.9A and 9B,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to second light emitting cells C1 to C4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a substrate (S) 400,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402, 502, and 602, the
상기 버퍼층(401, 501, 601), 제1 도전형 반도체층(402, 502, 602), 활성층(403, 503, 603),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4, 504, 604) 및 투명전극층(405, 505, 605)은 화학증착방법(CVD), 분자선 에피택시법(MBE), 스퍼터링법(Sputtering), 수산화물 증기상 에피택시법(HVPE)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기판(40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402, 502 and 602, the
상기 기판(400)은 사파이어(Al2O3), SiC, Si, GaAs, GaN, ZnO, Si, GaP, InP, G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sapphire (Al 2 O 3 ), SiC, Si, GaAs, GaN, ZnO, Si, GaP, InP and Ge can be used as the
상기 버퍼층(401, 501, 601)은 상기 기판(400)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402, 502, 602) 사이의 격자 상수 차이를 줄이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layers 401, 501, and 601 may be formed to reduce the difference in lattice constant between the
상기 버퍼층(401, 501, 601)의 재질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lxGa1 - xN (0.5≤x≤1)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x는 0.5 내지 1의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0.8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버퍼층(401, 501, 601)의 재질은 알루미늄(Al)이 갈륨(Ga)보다 같거나 높은 비율로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버퍼층(401, 501, 601)의 재질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material of the buffer layers 401, 501, and 601 may include aluminum (Al), for example, Al x Ga 1 -xN (0.5 ? X? 1 ). The material of the buffer layers 401, 501, and 601 may include aluminum (Al) in a ratio equal to or higher than gallium (Ga) . However, the materials of the buffer layers 401, 501, and 601 are not limited.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402, 502, 602)은 예를 들어, n형 반도체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AlxGa1 - xN (0.02≤x≤0.08)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에는 Si, Ge, Sn 등의 n형 도펀트가 도핑된다. 상기 x는 0.02 내지 0.08의 범위의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0.0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402, 502, 602)의 재질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402, 502, and 60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material thereof may be Al x Ga 1 -xN (0.02 ? X ? 0.08).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30 may be doped with an n-type dopant such as Si, Ge or Sn. X has a value in the range of 0.02 to 0.08, preferably about 0.05. However, the material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s 402, 502, and 602 are not limited.
상기 활성층(403, 503, 603)은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또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MQW: Multi Quantum Well)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상기 활성층(403, 503, 603)이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상기 활성층(403, 503, 603)은 복수개의 장벽층과, 상기 복수개의 장벽층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양자우물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층(140)의 적층 구조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4, 504, 604)은 예를 들어, p형 반도체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AlxGa1 - xN (0.1≤x≤0.3)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4, 504, 604)에는 Mg, Ba 등의 p형 도펀트가 도핑된다. 상기 x는 0.1 내지 0.3의 범위의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0.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4, 504, 604)의 재질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404, 504, 604) may be, for example, formed in a p-type semiconductor layer, the material is Al x Ga 1 - may be the x N (0.1≤x≤0.3).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404, 504, and 604 are doped with a p-type dopant such as Mg or Ba. X has a value in the range of 0.1 to 0.3, preferably about 0.2. However, the material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s 404, 504, and 604 are not limited.
한편,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4, 504, 604)은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404, 504, and 604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상에는 투명전극층(405, 505, 6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층(405, 505, 605)은 ITO, IZO(In-ZnO), GZO(Ga-ZnO), AZO(Al-ZnO), AGZO(Al-Ga ZnO), IGZO(In-Ga ZnO), IrOx, RuOx, RuOx/ITO, Ni/IrOx/Au 및 Ni/IrOx/Au/I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러한 재료로 한정하지는 않는다.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50,
즉, 상기와 같이, 기판(400) 상에 버퍼층,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투명전극층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면, 도 7a,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삼각형 형상의 제1 내지 제 4 발광셀들(C1 내지 C4)을 패터닝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4 연결부들(211, 212, 213, 214)과 접속되는 제1 내지 제4 발광셀들(C1 내지 C4)의 음극 영역의 제1 도전형 반도체층들은 일부가 노출되도록 식각한다.That is, when the buffer layer,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active layer,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상기와 같은 식각 고정으로 각각의 발광셀들에 대응하는 버퍼층(401, 501, 601), 제1 도전형 반도체층(402, 502, 602), 활성층(403, 503, 603), 제2 도전형 반도체층(404, 504, 604) 및 투명전극층들(405, 505, 605)이 형성된다.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402, 502 and 602, the
그런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00) 상에 절연막을 형성한 후, 이후 형성될 제1 내지 제4 연결부들(211, 212, 213, 214)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발광셀들(C1 내지 C4)의 일측면에 절연막패턴(410)을 형성한다.Then, as shown in the drawing, after an insulating film is formed on the
상기와 같이, 절연막패턴(410)이 형성되면, 기판(400) 상에 금속막을 형성하고, 이를 식각하여 도 7a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연결부들(211, 212, 213, 214)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sulating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발광셀들(C1, C2)은 제4 연결부(214)에 의해 상기 제1 발광셀(C1)의 제1 도전형 반도체층(502)과 제2 발광셀(C2)의 투명전극층(40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발광셀들(C1, C2)은 제4 연결부(214)에 의해 직렬 접속된다.9A and 9B,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cells C1 and C2 are connected to the first
상기 제2 및 제4 발광셀들(C2, C4)은 제1 연결부(211)에 의해 제2 및 제3 발광셀들(C2, C4)의 제1 도전형 반도체층들(402, 60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및 제4 발광셀들(C2, C4)은 병렬 접속된다.The second and fourth light emitting cells C2 and C4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402 and 602 of the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cells C2 and C4 by the
상기와 같이, 기판(400) 상에 제1 내지 4 발광셀들(C1, C2, C3, C4)과 제1 내지 제4 연결부들(211, 212, 213, 214)이 형성되면, 기판(400) 전면에 보호막(415)을 형성하여, 발광소자의 발광셀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When the first to fourth light emitting cells C1, C2, C3 and C4 and the first to fourth connecting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전류 스프레딩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광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current spreading characteristic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light distribution of the nitride 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상에 삼각형 형상의 제1 내지 제2 발광셀들(C1, C2, C3, C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직렬과 병렬 혼합 연결 구조로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cells C1, C2, C3, and C4 having a triangular shape are formed on a substrate, and they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hybrid connection structures .
상기 제1 및 제2 발광셀들(C1, C2)의 직렬 접속에 의해 전류는 제1 발광셀(C1)의 경사면을 통해 인접한 제2 발광셀(C2)로 흐르고, 제3 및 제4 발광셀들(C3, C4) 역시 동일한 형태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종래 발광소자에서는 전극이 형성된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전류가 흘렀으나, 본 발명의 발광소자에서는 다수의 발광셀들의 연결구조에 의해 전류가 발광소자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흐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수의 발광셀들을 구비한 발광소자는 종래 기술에 비해 전류 스프레딩 특성이 개선된다.The current flows to the adjacent second light emitting cells C2 through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s C1 by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cells C1 and C2, (C3, C4) also flow in the same form. 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evice, a current flows intensively in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electrodes are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urrent flows uniformly in the entire reg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du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urrent spreading characteristic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도 2와 도 11을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발광소자가 종래 기술에 의한 발광소자에 비해 현저히 광추출 효율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Comparing FIG. 2 and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remarkably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evice.
도 12는 종래 질화물계 발광소자와 본 발명의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광효율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질화물 발광소자의 크기에 따른 광효율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FIG. 12 is a graph comparing light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and a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graph comparing light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the nitride light-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종래 질화물계 발광소자와 본 발명의 질화물계 발광소자가 모두 높은 전력(전류)에서 광효율이 떨어지나, 본 발명의 질화물계 발광소자가 종래 질화물계 발광소자에 비해 높은 광효율 특성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12 and 13, both the conventional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and the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low light efficiency at high power (current), but the nitride-based light-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er Light efficiency characteristics can be seen.
또한, 도 13에서와 같이, 사례 1(case 1)은 크기가 40*30[mil]인 발광소자이고, 사례 2(case 2)는 40*30[mil]의 크기를 갖는 두 개의 발광소자로 구현한 것으로서, 두 개의 발광소자로 구성된 사례 2의 광효율이 우수한 것을 볼 수 있다.13, Case 1 is a light emitting element having a size of 40 * 30 [mil], Case 2 is a case of having two light emitting elements having a size of 40 * 30 [mil]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efficiency of Case 2 composed of two light emitting devices is excellent.
하지만, 사례 3(case 3)과 같이, 발광소자를 단일 소자로 하고 크기를 40*60[mil]로 크게 할 경우, 크기가 40*30[mil]인 두 개의 발광소자와 같은 광효율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However, as in the case 3,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 single device and the size is increased to 40 * 60 [mil], 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light efficiency as the two light emitting devices of size 40 * 30 [mil] can see.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수의 발광셀들로 구성된 발광소자를 사용할 경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실장되는 두 개의 발광소자를 하나의 발광소자로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다수개의 발광소자들이 실장되는 영역에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적용할 경우, 다양한 설계 마진 확보가 가능하다.
Therefore,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is us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light emitting devices mounted in the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can be reduced to one light emitting devic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egion wher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mounted, various design margins can be secured.
100: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20: 패키지 몸체
50: 제 1 발광소자 60: 제 2 발광소자
200: 몰드층 300: 형광체층
401,501,601: 버퍼층 402,502,602: 제1 도전형 반도체층
403,503,603: 활성층 404,504,604: 제2 도전형 반도체층
405,505,605: 투명전극층
C1,C2,C3,C4: 제1, 2, 3 및 제4 발광셀들100: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120: package body
50: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60: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200: mold layer 300: phosphor layer
401, 501, and 601: buffer layers 402, 502, and 602:
403, 503, 603:
405, 505, 605: transparent electrode layer
C1, C2, C3, and C4: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cells
Claims (6)
상기 기판 상에 각각 버퍼층,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반도체층 및 투명전극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셀들은 상기 발광셀들이 직렬 접속된 복수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직렬 접속된 복수의 그룹은 서로 병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Board;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each including a buffer layer,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include a plurality of group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plurality of groups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cells have a triangular prism shape.
The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cell is disposed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djacent light emitting cell.
The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cells emit light of any one of red, green, blue, and ultraviolet.
The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structure by connecting portions.
6. The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s and each of the light emitting cells have an insulating film pattern interposed therebetween in order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15377A KR102015127B1 (en) | 2013-09-27 | 2013-09-27 |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15377A KR102015127B1 (en) | 2013-09-27 | 2013-09-27 |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35149A true KR20150035149A (en) | 2015-04-06 |
| KR102015127B1 KR102015127B1 (en) | 2019-08-27 |
Family
ID=5303019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15377A Active KR102015127B1 (en) | 2013-09-27 | 2013-09-27 |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15127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98874A (en) * | 2010-02-27 | 2011-09-02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a multi-cell array |
| JP2013062279A (en) * | 2011-09-12 | 2013-04-04 | Stanley Electric Co Ltd |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rray and vehicle lighting fixture |
-
2013
- 2013-09-27 KR KR1020130115377A patent/KR1020151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98874A (en) * | 2010-02-27 | 2011-09-02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a multi-cell array |
| JP2013062279A (en) * | 2011-09-12 | 2013-04-04 | Stanley Electric Co Ltd |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rray and vehicle lighting fix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15127B1 (en) | 2019-08-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593836B2 (en) | Light-emitting device | |
| US8314414B2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for improving a light emission efficency | |
| US20130015465A1 (en) |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 |
| KR101894025B1 (en) | Light emitting device | |
| JP2016092414A (en) |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ing system | |
| US20120086043A1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 |
| KR102376468B1 (en) | Red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 |
| KR20130019279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 KR20120129029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 US10385266B2 (en) | Phosphor composition, light emitting element package comprising same, and lighting system | |
| KR102199997B1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 |
| KR20130007314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 KR102359824B1 (en) | Uv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 |
| KR20130019275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 KR20130079873A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 KR20120063953A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having the same | |
| KR102015127B1 (en) |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 |
| KR20200084637A (en) | Semiconductor device | |
| KR102175346B1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 |
| KR102163961B1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 |
| KR102398435B1 (en) | Red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 |
| KR102353844B1 (en) | Uv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 |
| KR102362307B1 (en) | Light emitting device | |
| KR101871498B1 (en) | Light emitting device | |
| KR101829798B1 (en) | Light emitt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