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673A -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6673A KR20150046673A KR20130126188A KR20130126188A KR20150046673A KR 20150046673 A KR20150046673 A KR 20150046673A KR 20130126188 A KR20130126188 A KR 20130126188A KR 20130126188 A KR20130126188 A KR 20130126188A KR 20150046673 A KR20150046673 A KR 201500466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scale
- degree
- graduation
- interv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2758 humeru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952 Re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601 radi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06010073306 Exposure to radi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839 leuk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3 ul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92—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using markers or indicia for aiding patient positio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 목적의 방사선 촬영시 촬영의 목적이 되는 부위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간단하고 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촬영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 재촬영 횟수를 줄여 환자에게 불필요한 피폭을 감소시킴을 목적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는 양측 골두의 비정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눈금을 가지는 측정 기준부; 및 상기 비정렬 정도를 교정하기 위해 착용 부위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2 눈금을 가지는 회전 기준부;를 포함하여 양측 골두의 정렬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교정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시 착용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을 보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 골두의 정렬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교정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은 에너지를 갖고 있는 일종의 보이지 않는 광선이다. 방사선 종류로는 방사성 원소가 붕괴할 때 방출되는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엑스선과 전자기파가 포함된다. 방사선 촬영 중 엑스선(X-ray) 촬영은 엑스선이 생체에 대하여 강한 투과성이 있는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임상 검사이다.
상기 엑스선 촬영에 있어서, 환자가 자신의 질병 진료 목적으로 받는 방사선에 의한 피폭을 의료 피폭이라 하며, 1988년 UN과학원회(UNSCEAR)의 보고에 의하면 의료 피폭의 기여분 관련, 실효선량당량의 대부분은 엑스선 검사에 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인체 외부에 있는 방사선으로부터 받는 외부 피폭은 암 발생, 백혈병등 질병과 연관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암 발생과 방사능 피폭은 선형연관관계를 갖고 있어 노출되어도 안전할 만큼의 방사능이 피폭량이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는 아직 없다. 따라서, 의료 목적의 방사선 촬영시 피폭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최소 횟수의 촬영이 이루어져야 함이 바람직하다.
의료 목적의 방사선 촬영시, 특히 무릎 측면 촬영(Knee Lateral)의 경우, 대퇴부의 양측 골두(Medial Condyle 과 Lateral Condyle)가 일직선상으로 정렬된 상태로 촬영되어야 하며, 또한 팔꿈치 측면 촬영(Elbow lateral), 상완골 측면 촬영(Humerus Lateral)의 경우도 상완골의 양측 골두(Medial Condyle 과 Lateral Condyle)가 정렬되어 요골(Radius)의 요골두(Radial head)와 척골(Ulna)의 구상돌기(Coronoid process)부분이 겹쳐지도록 촬영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촬영자의 경험적 기술에 의존하여 재촬영을 통해 양측 골두를 정렬 상태로 교정하였는바, 방사선 재촬영 횟수가 많아 의료 피폭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시 촬영 목적 부분에 대한 재촬영 횟수를 줄여 환자에게 불필요한 피폭을 감소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면서 촬영 목적 부분에 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촬영 보조 장치 및 이에 따른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는 양측 골두의 비정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눈금을 가지는 측정 기준부와 상기 비정렬 정도를 교정하기 위해 목적 부위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2 눈금을 가지는 회전 기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 장치의 측정 기준부와 회전 기준부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고, 측정 기준부의 제1 중심 눈금과 회전 기준부의 제2 중심 눈금은 수직 방향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착용자의 착용 부위인 대퇴부나 상완부의 둘레와 상관없이 일정한 각도와 눈금을 유지하기 위하여 측정 기준부와 회전 기준부는 만곡 형태를 가진다. 또한, 착용 부위에 편히 착용시키기 위하여 측정 기준부와 회전 기준부는 동일한 만곡 형태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에 있어서, 측정 기준부의 제1 눈금 간격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갖는다.
2 * r * sinθ = x * n
(이때, r은 골두의 반경이며, θ는 정면을 기준으로 양측 골두가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x는 제1 눈금 간격을 나타내며, n은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은 도 2를 참조하면, 비정렬 정도는 양측 골두 외곽 접선의 좌표값 차이로부터 2 * r * sinθ가 된다. 제1 눈금 간격은 상기 비정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x의 정수배로 설정하므로, 골두의 직경과, 방사선이 조사되는 평면 상의 양측 골두의 정렬된 상태로부터 기울어진 각도의 사인함수 곱이 제1 눈금 간격의 정수배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에 있어서, 회전 기준부의 제2 눈금 간격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갖는다.
R * sinθ = y * n
(이때 R은 착용 부위의 반경이며, θ는 정면을 기준으로 양측 골두가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y는 제2 눈금 간격을 나타내며, n은 정수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목적 부위의 회전 정도는 삼각함수에 따라 R * sinθ이다. 상기 목적 부위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제2 눈금 간격은 y의 정수배로 설정하므로, 착용 부위의 반경과, 방사선이 조사되는 평면 상의 상기 양측 골두의 정렬된 상태로부터 기울어진 각도의 사인함수 곱이 제2 눈금 간격의 정수배가 된다.
상기 식을 연립하면, 2r : R = x : y의 관계가 된다. 이는 제1 눈금 간격과 제2 눈금 간격의 비율은 골두의 직경과 착용 부위의 반경의 비율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제1 눈금 및 제2 눈금 사이의 간격은 방사선이 조사되는 평면 상의 눈금 간격인 것이 특징이다. 환자마다 다른 착용 부위의 둘레(두께)에 관계 없이 일정한 각도와 눈금을 유지하기 위하여 측정 기준부와 회전 기준부는 만곡 형태를 가지고 상하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눈금 간격은 촬영되었을 경우 평면 필름상에 나타나는 눈금 간격,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를 정면에서 봤을 때의 눈금 간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제1 눈금 및 제2 눈금은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 눈금 및 제2 눈금 외의 부분은 방사선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촬영된 필름상에 제1 눈금 및 제2 눈금이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은 납으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는 양 단부에 연결부를 포함하고, 연결부에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를 착용 부위에 고정시키는 분리 가능한 스트랩이 연결된다.
이때, 스트랩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트랩의 일단은 밸크로 소재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부직포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트랩의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어 스트랩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목적 부위에 따라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를 착용 부위에 착용하는 단계; 제1 눈금의 중심 눈금에 촬영 장치의 수직 기준선이 일치되고, 방사선 촬영이 이루어지는 교정 기준 촬영 단계; 교정 기준 촬영 단계의 결과로부터 양측 골두의 비정렬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비정렬 정도에 대응하는 제2 눈금만큼 착용 부위를 회전시키는 교정 단계; 상기 교정 단계 이후 착용 부위와 목적 부위가 촬영되는 재촬영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착용 부위는 목적 부위로부터 10~15cm 떨어져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 부위는 방사선 촬영시 측정 기준부가 목적 부위와 함께 촬영되는 위치로 피촬영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방법에 있어서, 교정 기준 촬영 단계는 착용 부위와 목적 부위가 촬영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같이 양측 골두와 측정 기준부가 같이 촬영됨으로써, 비정렬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방법에 있어서, 측정 단계는 비정렬된 방향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골두의 외곽 접선과 일치되는 제1 눈금으로부터 비정렬된 골두의 외곽 접선과 일치되는 제1 눈금까지의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양측 골두의 비정렬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촬영 되었을 때, 양 골두의 외곽 접선간 간격을 측정 기준부의 제1 눈금으로 측정한 정도가 비정렬 정도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방법의 교정 단계에 있어서, 비정렬 정도에 대응하는 제2 눈금이 촬영 장치의 수직 기준선과 일치되도록 목적 부위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선 촬영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를 목적 부위 위쪽에 간단히 탈부착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고, 방사선 촬영시 양측 골두를 일치시킴에 있어서 촬영자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정량적 정도를 제시하여 보다 쉽게 최소한의 횟수로 촬영 자세를 교정하여 환자로부터 불필요한 방사선 재촬영에 따른 피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촬영 목적 부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측정 단계의 교정의 기준이 되는 촬영 필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대퇴부 착용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상완부 착용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촬영 목적 부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측정 단계의 교정의 기준이 되는 촬영 필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대퇴부 착용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상완부 착용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10)의 구성과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기준부(101)와 교정을 위한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회전 기준부(103)가 수직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양 단에 연결부(105)가 있고, 연결부(105)에 스트랩(107)이 연결된다. 상기 측정 기준부(101)는 제1 눈금부(1013)를 포함하고, 다른 눈금들보다 크게 표시된 제1 눈금부의 중앙은 제1 중심 눈금(1011)이다. 회전 기준부(103)는 제2 눈금부(1033)를 포함하고, 제2 눈금부의 중앙은 제2 중심 눈금(1031)이다. 제1 중심 눈금(1011)과 제2 중심 눈금(1031)은 수직으로 일치하도록 측정 기준부(101)와 회전 기준부(103)가 수직으로 연결된다.
도 2는 목적 부위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목적 부위(20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무릎(405, 도 4);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팔꿈치(603, 도 5)가 될 수 있지만, 다만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의 골두를 가지는 모든 신체 부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의 모습은 현재 양측 골두(202)가 비정렬된 모습으로 골두의 기울어진 정도(205)는 θ이다. 상기 비정렬 정도(203)는 양측 골두의 외곽 접선인 좌표 1(2032)과 좌표 2(2031)의 차이로부터 구할 수 있다.(이후 서술할 수학식의 변수 r은 골두 반경(207), R 은 목적 부위 반경(209), θ는 골두의 기울어진 정도(205), x는 제1 눈금 간격(1015), y는 제2 눈금 간격(1035), n은 정수를 나타낸다.) 골두의 반경(207)은 동일한 값으로 하는데, 한국 성인 평균 대퇴부의 골두 반경이 3.5cm일때, r = 3.5cm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측정된 양측 골두의 반경의 평균값을 통해 상기 r값을 설정할 수 있다. 좌표 1(2032)은 삼각함수에 따라 (r * sinθ) + r이고, 좌표 2(2031)는 (- r * sinθ) + r이다. 따라서 비정렬 정도(203)는 2 * r * sinθ이 된다. r = 3.5cm인 경우, 비정렬 정도(203)는 7sinθ가 된다. 제1 눈금 간격(1015, 도 1)이 0.5cm인 경우, (정밀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x = 0.5가 되고, 7sinθ = 0.5n이 되는 θ의 값은 n의 값에 따라 4˚, 8˚, 12˚, 16˚ ... 가 된다. 이때, 목적 부위(201)의 회전 정도(208)는 목적 부위 반경(209)의 삼각 함수를 통해, R * sinθ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로서, 한국 사람의 성인 평균 허벅지 반경이 8.5cm인 경우, 허벅지를 4˚, 8˚, 12˚, 16˚ 회전 시켰을때의 이동 거리(208)는 각각 8.5 sin4˚= 0.6, 8.5 sin8˚= 1.2, 8.5 sin12˚= 1.8과 같이 0.6의 배수가 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결정되는 회전 기준부(103)의 바람직한 제2 눈금 간격(1035) y는 0.6cm가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측정 기준부와 상기 회전 기준부는 동일한 만곡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측정 기준부 및 회전 기준부에 포함된 제1 및 제2 눈금 간격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를 정면 방향(촬영 장치가 촬영하는 촬영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눈금 간격을 의미한다. 즉, 상기 측정 기준부 및 회전 기준부의 눈금은, 촬영 장치에서 보는 방향(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필름상의 평면적 눈금 간격을 의미한다.
도 3은 측정 단계에서의 교정 기준이 되는 촬영 필름(30)의 모습이다. 양측 골두(202)가 비정렬됨으로써 골두의 외곽 접선(301)간 거리가 생기며, 상기 외곽 접선(301)에 해당하는 측정 기준부(101)의 제1 눈금 간격(1015)을 측정하면 이것이 비정렬 정도(203)가 된다. 이후 교정 단계에서 상기 제1 눈금 간격(1015)에 대응하여, 제2 중심 눈금(1031)으로부터 떨어진 제2 눈금만큼 목적 부위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대퇴부의 무릎 측면 촬영 모습을 나타낸다. 교정 기준 촬영시 촬영 장치(407)의 수직 기준선(401)이 제1 중심 눈금(1011) 및 제2 중심 눈금(1031)과 일치되도록 한다. 이후 교정 단계는 측정된 골두의 비정렬 정도(203)만큼 제2 중심 눈금(1031)으로부터 떨어진 제2 눈금(1033, 도 1)에 촬영 장치의 수직 기준선(401)이 다시 일치되도록 목적 부위(405)를 회전시킴으로써 교정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 목적 부위가 팔꿈치(603)이고, 착용 부위가 상완부(601)의 경우 교정 기준 촬영 단계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로, 방사선의 무릎 측면 촬영(Knee Lateral)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방법은 촬영 보조 장치(10)를 착용 단계(S10), 교정 기준 촬영 단계(S20), 비정렬 정도의 측정 단계(S30), 교정 단계(S40) 및 재촬영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 단계(S10)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10)를 목적 부위인 무릎(405)으로부터 10~15cm가량 위쪽에 위치한 대퇴부(403)에 고정시킨다. 착용 위치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피촬영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양단에 위치한 연결부에 고정된 스트랩의 양단(1071)을 허벅지 주위에 둘러 결합함으로써 고정시킨다. 방사선 무릎 측면 촬영시 무릎은 방사선 기기안에 약간 구부린 상태로 측면을 향하여 고정된다. 방사선이 조사되는 촬영 장치(407)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십자형 기준선을 갖는것이 특징이다.
상기 교정 기준 촬영 단계(S20)는 상기 촬영 장치(407)의 기준선 중 수직 기준선(401)을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측정 기준부(101)의 제1 중심 눈금(1011)과 일치되도록 상기 보조 장치(10)를 조정한다. 이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며 이때, 목적 부위인 무릎(405)과 착용 부위인 대퇴부(403)가 나오도록 촬영함으로써, 양측 골두(202)와 측정 기준부(101)의 눈금이 방사선 필름상에 나오도록 한다.
상기 측정 단계(S30)는 상기 촬영된 필름상에 양측 골두가 비정렬 되어 있는경우, 정면 방향에 있어서, 비정렬된 양측 골두 중 어느 한 골두의 외곽 접선과 일치되는 제1 눈금으로부터 나머지 한 골두의 외곽 접선과 일치되는 제1 눈금까지의 간격(즉, 비정렬된 양 골두의 외각 접선 사이의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양측 골두의 비정렬 정도를 측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골두의 외곽 접선(301)간의 거리에 해당하는 제1 눈금 간격이 비정렬 정도(203)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 기준부(101)는 만곡 형태를 가지는 바, 상기 눈금 간격은 실제 만곡 형태 상의 눈금 간격이 아닌, 촬영된 필름상의 평면적 눈금 간격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방법의 교정 단계(S40)는 상기 측정된 비정렬 정도(203)에 대응하는 제1 눈금 간격만큼 떨어진 제2 눈금(1033)을 촬영 장치의 수직 기준선(401)과 일치되도록 대퇴부(405)를 회전시킨다.
이후 착용 부위와 목적 부위를 재촬영(S50)하여 양측 골두(202)가 정렬됨을 확인함으로써 무릎 측면 촬영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방사선의 팔꿈치 측면 촬영(Elbow Lateral)에서 사용되는 방사선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방법의 착용 단계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10)를 목적 부위인 팔꿈치(603)로부터 10 ~ 15cm가량 위쪽에 위치한 상완부(Humerus)(601)에 스트랩 양단(1071)을 결합함으로써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 부위는 피촬영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방사선 팔꿈치 측면 촬영시 팔꿈치는 방사선 기기안에 약간 구부린 상태로 측면을 향하여 고정된다. 이후의 단계는 상기 기술한 일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실행함으로써, 상완골의 양측 골두가 정렬 되도록 촬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완골 측면 촬영(Humerus Lateral)의 경우와 같이 양측 골두를 일치시켜야 하는 방사선 촬영에서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101: 측정 기준부
103: 회전 기준부
105: 연결부
107: 스트랩
1011: 제1 중심 눈금
1013: 제1 눈금부
1031: 제2 중심 눈금
1033: 제2 눈금부
1035: 제2 눈금 간격
1071: 스트랩 양단
20: 목적 부위 단면도
201: 목적 부위
202: 양측 골두
203: 비정렬 정도
205: 골두의 기울어진 정도
207: 골두 반경
208: 목적 부위 회전 정도
209: 목적 부위 반경
2031: 좌표 1
2032: 좌표 2
30: 교정 기준 촬영 필름
301: 골두의 외곽 접선
401: 수직 기준선
403: 대퇴부
405: 무릎
407: 촬영 장치
601: 상완부
603: 팔꿈치
S10: 착용 단계
S20: 교정 기준 촬영 단계
S30: 측정 단계
S40: 교정 단계
S50: 재촬영 단계
101: 측정 기준부
103: 회전 기준부
105: 연결부
107: 스트랩
1011: 제1 중심 눈금
1013: 제1 눈금부
1031: 제2 중심 눈금
1033: 제2 눈금부
1035: 제2 눈금 간격
1071: 스트랩 양단
20: 목적 부위 단면도
201: 목적 부위
202: 양측 골두
203: 비정렬 정도
205: 골두의 기울어진 정도
207: 골두 반경
208: 목적 부위 회전 정도
209: 목적 부위 반경
2031: 좌표 1
2032: 좌표 2
30: 교정 기준 촬영 필름
301: 골두의 외곽 접선
401: 수직 기준선
403: 대퇴부
405: 무릎
407: 촬영 장치
601: 상완부
603: 팔꿈치
S10: 착용 단계
S20: 교정 기준 촬영 단계
S30: 측정 단계
S40: 교정 단계
S50: 재촬영 단계
Claims (25)
- 양측 골두의 비정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눈금을 가지는 측정 기준부; 및
상기 비정렬 정도를 교정하기 위한 목적 부위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2 눈금을 가지는 회전 기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준부의 제1 눈금 간격은,
상기 골두의 직경과, 방사선이 조사되는 평면 상의 상기 양측 골두의 정렬된 상태로부터 기울어진 각도의 사인함수 곱이 제1 눈금 간격의 정수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준부의 제2 눈금 간격은,
상기 착용 부위의 반경과, 방사선이 조사되는 평면 상의 상기 양측 골두의 정렬된 상태로부터 기울어진 각도의 사인함수 곱이 제2 눈금 간격의 정수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골두의 반경은 동일하거나 각 골두 반경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1 눈금 간격과 제2 눈금 간격의 비율은 상기 골두의 직경과 상기 착용 부위의 반경의 비율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눈금 및 제2 눈금 사이의 간격은 방사선이 조사되는 평면 상의 눈금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위는 대퇴부이고, 상기 양측 골두는 대퇴부의 양측 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위는 상완부이고, 상기 양측 골두는 상완골의 양측 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준부와 상기 회전 기준부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준부와 상기 회전 기준부는 동일한 만곡 형태를 가지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눈금의 중심 눈금과 상기 제2 눈금의 중심 눈금은 수직 방향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는 양 단부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를 착용 부위에 고정시키는 분리 가능한 스트랩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일단은 밸크로 소재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부직포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트랩의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어 스트랩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눈금 및 제2 눈금은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은 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눈금 및 제2 눈금 외의 부분은 방사선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 제 1 항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를 착용 부위에 착용하는 단계;
제1 눈금의 중심 눈금에 촬영 장치의 수직 기준선이 일치되고, 방사선 촬영이 이루어지는 교정 기준 촬영 단계;
상기 교정 기준 촬영 단계의 결과로부터 양측 골두의 비정렬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비정렬 정도에 대응하는 제2 눈금만큼 착용 부위를 회전시키는 교정 단계; 및
상기 교정 단계 이후 착용 부위와 목적 부위가 촬영되는 재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위는 대퇴부이고, 상기 양측 골두는 대퇴부의 양측 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위는 상완부이고, 상기 양측 골두는 상완골의 양측 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위는 목적 부위로부터 10 cm 내지 15 cm 이격되어 착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하는 단계는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스트랩을 착용 부위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기준 촬영 단계는 착용 부위와 목적 부위가 촬영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촬영 방향에서, 비정렬된 양측 골두의 외각 접선 사이의 간격을 제1 눈금으로부터 측정함으로써 상기 양측 골두의 비정렬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단계는,
상기 비정렬 정도에 대응하는 제2 눈금이 촬영 장치의 수직 기준선과 일치되도록 목적 부위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126188A KR20150046673A (ko) | 2013-10-22 | 2013-10-22 |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
| PCT/KR2013/010991 WO2015060496A1 (ko) | 2013-10-22 | 2013-11-29 |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126188A KR20150046673A (ko) | 2013-10-22 | 2013-10-22 |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46673A true KR20150046673A (ko) | 2015-04-30 |
Family
ID=5299306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30126188A Abandoned KR20150046673A (ko) | 2013-10-22 | 2013-10-22 |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46673A (ko) |
| WO (1) | WO2015060496A1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77636B1 (ko) * | 2016-11-14 | 2018-07-11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C형 엑스선 투시장치용 골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기 |
| KR101877639B1 (ko) * | 2016-11-25 | 2018-07-11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C형 엑스선 투시장치 |
| CN113317810A (zh) * | 2021-05-24 | 2021-08-31 |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 一种脑部ct断层扫描定位贴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639178B2 (ja) * | 2006-12-25 | 2011-02-23 | 株式会社サトー | リストバンド及びリストバンドの使用方法 |
| CA2687116C (en) * | 2007-05-14 | 2015-05-26 |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 Patient-specific surgical guidance tool and method of use |
| JP2009219765A (ja) * | 2008-03-18 | 2009-10-01 |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 画像計測装置、医用画像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JP2011101662A (ja) * | 2009-11-10 | 2011-05-26 | Osakafu Keisatsu Kyokai Osaka Keisatsu Byoin | 膝関節撮像用架台 |
| KR20110100790A (ko) * | 2010-03-05 | 2011-09-15 | 김기경 |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
| JP4527200B1 (ja) * | 2010-03-15 | 2010-08-18 | 有限会社ワイティー臨床矯正セミナー | 耳入桿支持機構および頭部x線規格写真撮影装置 |
-
2013
- 2013-10-22 KR KR20130126188A patent/KR20150046673A/ko not_active Abandoned
- 2013-11-29 WO PCT/KR2013/010991 patent/WO201506049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77636B1 (ko) * | 2016-11-14 | 2018-07-11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C형 엑스선 투시장치용 골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기 |
| KR101877639B1 (ko) * | 2016-11-25 | 2018-07-11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C형 엑스선 투시장치 |
| CN113317810A (zh) * | 2021-05-24 | 2021-08-31 |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 一种脑部ct断层扫描定位贴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5060496A1 (ko) | 2015-04-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896313B2 (en) | Orthopedic fixation with imagery analysis | |
| EP1417931A1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producing true size radiographic image | |
| CN111432878A (zh) | 放射治疗装置的等中心的基于epid的验证、修正和最小化的方法 | |
| Sutter et al. | Three-dimensional hindfoot alignment measurements based on biplanar radiographs: comparison with standard radiographic measurements | |
| FI68515B (fi) | Mjukvaevnadsfilteranordning | |
| KR20150046673A (ko) |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 |
| CN107693958B (zh) | 放射治疗全程位置验证的方法 | |
| JP2017086628A (ja)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
| US10517558B2 (en) | Ankle imaging accessory | |
| US7241045B2 (en) | Stereoradiography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 |
| RU2350268C1 (ru) |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антеторсии шейки бедренной кости | |
| Holmberg et al. | In vivo determination of the accuracy of field matching in breast cancer irradiation using an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 |
| US20080273665A1 (en) | Adjustable Radiographic Marker and Calibration Aid | |
| US20240081762A1 (en) | Apparatus for determining projection angle of dental periapical radiography and method of using same | |
| CN216294066U (zh) | 一种穿戴式x光摄影定位器 | |
| Kim et al. | Study on exposure dose according to change of source to image distance and additional filter using abdomen phantom | |
| Song et al. | A study on distortion and dose of images in mobile radiography | |
| RU63667U1 (ru) |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угломер | |
| Lee et al. | A Study on the Appropriate Collimation Size for Dose Reduction in the Thyroid and Breast during Shoulder Anteroposterior Projection with Digital Radiography Systems | |
| US20190247006A1 (en) | Calibration target for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 |
| SU1009436A1 (ru) |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истинной длины трубчатой кости | |
| PARISOTTO et al. | Validation of the rotation induced couch shift with the Machine Performance Check (MPC) tool | |
| Vodovatov et al. | Comparison of different protocols for radiography of the premature newborns performed on microfocal x-ray units | |
| Seslija et al. | Measurement of joint kinematics using a conventional clinical single‐perspective flat‐panel radiography system | |
| Marg Brown et al. | Overview of Position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8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