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46950A -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950A
KR20150046950A KR1020130126583A KR20130126583A KR20150046950A KR 20150046950 A KR20150046950 A KR 20150046950A KR 1020130126583 A KR1020130126583 A KR 1020130126583A KR 20130126583 A KR20130126583 A KR 20130126583A KR 20150046950 A KR20150046950 A KR 20150046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xternal device
information code
code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섭
김덕진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6950A/ko
Priority to US14/300,596 priority patent/US20150113557A1/en
Publication of KR2015004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95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67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e.g. actuating a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9Image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n address
    • H04N2201/320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n address of an e-mail or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3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정보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단계,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로부터 정보코드를 검출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정보코드의 정보를 전송할 외부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외부장치에 상기 코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에 포함되는 정보코드를 편리하게 시청자가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VISUAL CODE WHITIN IMAGE}
본 발명은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의 정보를 획득하여 시청자가 편리하게 수신하도록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방송에서 TV 시청자에게 더욱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TV 컨텐츠 화면의 특정 위치에 정보가 담긴 QR 코드를 출력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시청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해당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TV 앞으로 가까이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2012-0137526호는 스크린 스캔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발명은 사용자가 시청 중이던 컨텐츠의 특정 장면에 대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장면을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장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포함된 바코드, QR 코드 등의 코드 데이터를 관련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서버로 전송한 후, 서버로부터 매칭되는 정보를 수신해서 스캐닝된 장면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말기에 의해 스캔된 TV 스크린에 출력되는 장면의 내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TV 스크린에 출력되는 장면을 사용자 단말에 의해 스캐닝을 하면 해당 장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분석해 데이터를 획득해서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제안하는 방법에는 사용자가 TV 스크린에 출력되는 장면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장면을 스캐닝 해야 한다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다.
 TV는 일반적으로 멀리 떨어져서 시청하며, TV에 출력되는 컨텐츠도 매우 신속하게 변한다는 일반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TV를 대상으로 하는 기술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찍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서 재빨리 원하는 장면이 지나기 전에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를 꺼내서 TV 스크린을 스캐닝 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동작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기술은 효율적이지 못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해주고자 하는 그 목적 자체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2003-333443호에는 방송내용정보와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에서 부가정보에 시청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포함시켜 이를 시청자의 휴대장치에 전송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영상에 포함된 시각 코드의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기술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V용 컨텐츠 제공자가 사용자의 참여 유도 또는 사용자에게 해당 화면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TV 컨텐츠의 특정 영역에 정보가 담겨진 시각 코드를 표시할 때, TV가 화면의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시각 코드를 주기적으로 읽어 주변 로컬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외부장치에게 해당 코드에 담겨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정보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된 영상신호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로부터 정보코드를 검출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정보코드의 정보를 전송할 외부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외부장치에 상기 정보코드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주기적으로 정지영상의 캡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순차적인 스캔을 통하여 정보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워터마크(water ma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는 스마트 폰, 게임기, 리모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코드의 정보는 URL, 문자메시지, 전화번호, 외부장치 제어신호, 외부장치 키 설정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탐색된 외부장치에 정보수신 수락여부를 확인하는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방법은, 정보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단계,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로부터 정보코드를 검출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정보코드의 정보를 전송할 외부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외부장치에 상기 정보코드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정보코드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수신된 정보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수신된 정보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수신된 정보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의도된 정보가 TV 에 의해 시청자에게 보여질 때 사용자가 TV 화면에 직접 다가가서 해당 정보를 스캐닝 하는 작업 없이 로컬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찾아내고 정보를 전달해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단순히 TV를 시청하는 것만으로 TV 컨텐츠 제공자가 의도하는 시청자 설문, 투표, 이벤트에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추가적으로 화면에 담겨진 추가 정보도 앉은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정보코드를 인식하여 전달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면에 표현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광고주는 자신의 상품을 광고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될 영상에 상품에 관한 영상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상품에 관한 영상만으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시청자에게 알리기 어렵기 때문에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정보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코드는 예를 들면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워터마크(water mark)등 디코딩 가능한 의미가 담긴 특정 형태의 코드를 의미한다. 정보코드는 특정 정보의 내용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패턴을 형성한 것으로, 패턴 분석을 통해 특정 정보를 해독할 수 있다. 정보코드의 정보는 예를 들면 TV화면상에 표시된 정보코드 내에 포함된 정보를 TV가 해석해 낸 정보로서 구체적으로 상품의 광고정보, 상품 가격정보, 상품 판매점 정보, 관련 정보가 링크된 URL, 음식점 주소정보, 사용자 명함정보 등 시청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정보코드는 QR코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고주(영상제작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될 영상을 제작할 때 영상에 표시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서버(400)에 저장하고, 영상에 QR코드를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QR코드에는 서버(400)의 주소(URL), 상품 제작자 주소, 전화번호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영상은, 예를 들면 방송국과 같은 영상공급원(200)을 통해 시청자의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방송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은 정지영상에 해당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특정 프레임에는 QR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QR코드는 이는 해당 제품에 대한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의 프레임들에 모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들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은 인코딩되어 공중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의 디스플레이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으로부터 녹화 방송 컨텐츠, 실시간 방송 컨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400)로부터 기제작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기제작된 컨텐츠는 VoD(Video On Demand) 컨텐츠, 프리미엄 VoD 컨텐츠,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로컬 파일, DLNA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VoD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VoD 컨텐츠 자체를 다운로드해주거나, 스트리밍 형태로 VoD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400)는 다양한 멀티 미디어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데이터 제공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컨텐츠를 제공받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 컨텐츠 재생 장치(미도시)로부터 재생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 컨텐츠 재생 장치는 DVD, 휴대폰, MP3 등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진, 스틸 이미지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모든 컨텐츠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된 영상컨텐츠로부터 QR코드가 포함된 정지영상을 캡처(capture)하여 정지영상에 포함된 QR코드를 검출하고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정지영상 캡처와 RQ코드 검출은 시청자의 조작없이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해석한 QR코드의 정보를 보낼 외부장치(300)를 탐색(discovery)한 후, 탐색된 외부장치(300)에 QR코드의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탐색된 외부장치(300)에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여 외부장치(300)가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를 확인 받을 수 있다. 외부장치(300)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QR코드와 같은 시각 코드를 통해 얻은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제품 정보, 특정 클라이언트 앱의 실행 명령, 문자, 전화 정보, 앱 동작제어 명령 등의 각종 데이터를 탐색된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300)는 수신된 QR코드의 정보(URL)를 이용하여 광고주의 서버(4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는, QR코드에 URL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가정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판매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자동적으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할 수 있는 TV, 셋탑 박스(Set-top box), 휴대폰, PC, 노트북, PDA, 태블릿 PC, 게임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컨텐츠 재생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컨텐츠 재생 기기(미도시)로부터 재생되는 컨텐츠를 신호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로 구현 가능하다. IPTV란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로서, 셋탑박스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TV를 서버(400)와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300)는 스마트 폰, 게임기, 리모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공급원(200)은 공중파 방송국, 케이블방송국, 위성방송국, 인터넷 컨텐츠공급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나타낸 도이다. 도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200)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 상기 수신된 영상을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 상기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 외부장치(3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5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예를 들면 방송국과 같은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영상신호에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코드, 예를 들면 QR코드가 영상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하는 영상에는 제품 영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품 영상에는 제품을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주가 제품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URL, 전화번호, 주소, 문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ferface) 규격 등을 따르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수신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및/또는 방송 채널을 튜닝하는 튜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수신부(110)는 VGA 방식에 따른 RGB 신호를 전달 가능한 D-SUB, DVI(digital video interactive) 규격에 따른 DVI-A(analog), DVI-I(integrated digital/analog), DVI-D(digital) 또는 HDMI 규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영상수신부(110)는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하기에 적합하도록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어, 주어진 해상도에 맞게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스케일링,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및 인코딩(en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fresh rate) 변환,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개별 또는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한 영상을 시청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주사된 복수의 수평 주사 라인이 수직으로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정지영상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또는 유기물로 구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플렉시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 영상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40) 및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된 영상신호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기능,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로부터 정보코드를 검출하여 인식하는 기능, 상기 인식한 정보코드의 정보를 전송할 외부장치(300)를 탐색하는 기능, 상기 탐색된 외부장치(300)에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의 각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30)의 정지영상 캡처는 상기 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복수 프레임의 각 정지영상 프레임에 대해 특정 시점에서 정지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표시영상에 대한 정지영상의 캡처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는 동영상은 1초에 30 프레임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제품에 대한 영상이 3분 동안 표시되고, 1초에 30프레임을 표시한다고 가정할 때 5400개의 정지영상 들 중 하나의 정지영상만을 캡쳐하더라도 해당 제품에 대한 QR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의 정보코드 인식은 캡처한 정지영상에 대한 순차적인 스캔을 수행하여 정지영상에 포함된 QR코드(101)의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QR코드(101)는 통상적으로 모서리나 외곽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외곽부터 스캔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보코드 인식은 정지영상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여 QR코드의 패턴을 읽어 QR코드(101)가 갖고 있는 정보, 예를 들면 URL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코드 인식은 캡처한 정지영상에 대해 소프트웨어,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애플 운영체재(OS), 마이크로소프트(MS) 운영체제(OS)에서 설치될 수 있는 QR패턴인식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의 외부장치 탐색은 상기 인식한 QR코드 정보를 전송할만한 외부장치(300)를 탐색하기 위해 로컬 디바이스 디스커버리(local device discovery)를 수행한다.
로컬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주변의 외부장치(300)를 탐색하고, 탐색된 외부장치(300)와 연결하는 디스커버리(Discovery)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파이를 이용한 외부장치 탐색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커버리의 목적은 외부장치들(300)을 찾아 상호간 가능한 한 빨리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디스커버리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와 프로비전(provision) 디스커버리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는 크게 두 단계 즉, 스캔(Scan) 단계와 발견(find) 단계로 구성된다.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는 디바이스 상호 간 정보 교환을 위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과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사용한다. 외부장치(300)는 자신이 그룹 오너이거나 또는 리슨 상태(Listen State)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응답(response)할 수 있다. 외부장치(300)는 그룹에 속하지 않으면, 리슨 상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리슨 상태에서 외부장치(30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해 응답한다.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iscovery)에서 스캔 단계는 외부장치 또는 외부장치 그룹을 찾는 단계이다. 또한 스캔 단계는 외부장치 그룹을 설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채널을 찾는 단계이다. 즉 스캔 단계에서 외부장치는 지원되는 모든 채널을 스캔하여 주변의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수집한다. 스캔 단계에서 외부장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해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iscovery)에서 발견(find) 단계는 동일 채널에 존재하는 외부장치들이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서로를 발견하는 단계이다. 리슨 상태에서 외부장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기다린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면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대방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는 디바이스 네임(Device Name), 외부장치 주소(Device Address), 벤더(vendor) 정보등을 포함한다. 특히 외부장치가 이동통신이 가능한 기종 예컨대, 스마트폰인 경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폰 번호(phone numb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해당 외부장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이름,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외부장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상술한 정보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통해 서로 탐색이 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부장치(300)는 서로 연결이 가능하다. 우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연결을 희망하는 상대방 외부장치(300)와 프로비전 디스커버리를 수행한다. 프로비전 디스커버리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WSC(Wi-Fi Simple Configuration)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모드 또는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모드를 통해 상대방 외부장치(300)와 연결을 시도하게 될 때 이러한 연결 시도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것이다. 외부장치(300)는 프로비전 디스커버리를 위한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 프레임(Provision Discovery Request frame)을 수신하고, 팝업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내용을 알려 준다. 이러한 팝업에는 디바이스 이름 등과 같은 프로비전 디스커버리를 요청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정보를 포함된다. 요청을 받은 외부장치(300)의 사용자는 연결의 수용 여부 및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등을 결정한다.
외부장치(300)는 연결의 수용 여부 등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알리기 위해,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 프레임(Provision Discovery Response frame)을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통신부(150)는 예를 들면 서버, 모바일장치, 리모컨과 같은 외부의 장치들과 데이터통신, 근거리 유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VDSL, 이더넷, 토큰링,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LVDS, HEC 등의 데이터통신, 2G, 3G, 4G, 롱텀에볼루션(LTE)와 같은 이동 통신,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인터넷 기술,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신호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11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처리부(120)는 QR코드가 일부로서 포함된 수신영상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고, 제어부(130)는 상기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한다. 이때 정지영상 캡처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20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스캔하여 인식가능한 코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인식가능한 코드가 없으면 다음 주기에 다시 정지영상을 캡처한다.
단계 S130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정지영상에 인식가능한 코드가 존재하면, 해당 정보코드의 정보를 인식한다.
단계 S140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인식한 QR코드의 정보를 전송할 외부장치(300)를 탐색하는 로컬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외부장치 탐색 결과에 외부장치의 존재가 없으면 종료한다.
단계 S150에서, 제어부(130)는 탐색 결과에 외부장치의 존재가 있으면 대상 외부장치(300)에 푸쉬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S160에서, 외부장치(300)의 사용자는 수신된 푸쉬 메시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만일 사용자가 수신을 허용하지 않으면 종료한다.
단계 S170에서, 만일 외부장치(300)의 사용자가 정보 수신을 허용하면 해당 정보를 보거나 URL에 자동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때,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외부장치(300)의 동작은 달라질 수 있다. 만일 외부장치(30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수신되는 정보는 문자메시지, 전화번호, URL 등일 될 수 있다. 만일 외부장치(300)가 게임기 컨트롤러인 경우, 게임기 컨트롤러의 제어키 설정 신호일 수 있다.
외부장치(3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장치(300)는 예를 들면 전화번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 전화 걸기 또는 문자 보내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자동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3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전송한 예를 들면 외부장치(300)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영상수신부
120: 영상처리부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통신부
200: 영상공급원
300: 외부장치
400: 서버

Claims (1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정보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된 영상신호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로부터 정보코드를 검출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정보코드의 정보를 전송할 외부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외부장치에 상기 정보코드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주기적으로 정지영상의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순차적인 스캔을 통하여 정보코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워터마크(water ma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스마트 폰, 게임기 컨트롤러, 리모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코드의 정보는 URL, 문자메시지, 전화번호, 외부장치 제어신호, 외부장치 키 설정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탐색된 외부장치에 푸쉬 메시지(push message)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보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단계;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로부터 정보코드를 검출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정보코드의 정보를 전송할 외부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외부장치에 상기 정보코드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 캡처 단계는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주기적으로 정지영상의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코드 인식 단계는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순차적인 스캔을 통하여 정보코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워터마크(water ma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스마트 폰, 게임기, 리모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코드의 정보는 URL, 문자메시지, 전화번호, 외부장치 제어신호, 외부장치 키 설정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외부장치에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정보코드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수신된 정보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수신된 정보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수신된 정보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30126583A 2013-10-23 2013-10-23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Ceased KR20150046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583A KR20150046950A (ko) 2013-10-23 2013-10-23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US14/300,596 US20150113557A1 (en) 2013-10-23 2014-06-10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code in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583A KR20150046950A (ko) 2013-10-23 2013-10-23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950A true KR20150046950A (ko) 2015-05-04

Family

ID=5282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583A Ceased KR20150046950A (ko) 2013-10-23 2013-10-23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13557A1 (ko)
KR (1) KR201500469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1833B2 (en) 2017-01-02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4617B1 (en) * 2015-02-19 2021-01-26 Amazon Technologies, Inc. Synchronizing a client device with media content for scene-specific notifications
US10110933B2 (en) * 2015-09-01 2018-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file processing
JP5950222B1 (ja) * 2015-11-25 2016-07-13 Uxent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FR3048324A1 (fr) * 2016-02-26 2017-09-01 Orange Procede de deport depuis un terminal connecte a un reseau local d'un acces a un contenu multimedia
WO2018051469A1 (ja) * 2016-09-15 2018-03-22 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における連携制御方法
FR3097393B1 (fr) * 2019-06-12 2021-07-16 Hopen Project Procédé d’appairage entre un boîtier d’affichage de contenus numériques et un serveur d’un dispositif de partage de contenus numériques
US11589107B2 (en) 2019-08-09 2023-02-21 Outlayr, Inc.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a machine-readable optical code based on screen-captured video
US11062100B1 (en) * 2019-08-09 2021-07-13 Outlayr, Inc.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a machine-readable optical code based on screen-captured video
US11277658B1 (en) * 2020-08-21 2022-03-15 Beam, Inc. Integrating overlaid digital content into displayed data via graphics processing circuitry
WO2022093464A1 (en) * 2020-10-27 2022-05-05 Arris Enterprises Llc Technologies for providing media control device quick response (qr) code functionality
DE102020128827A1 (de) 2020-11-03 2022-05-05 Connaught Electronics Ltd. Übertragung von Dateiinhalten als Teil eines Videostreams
US11481933B1 (en) 2021-04-08 2022-10-25 Mobeus Industries, Inc. Determining a change in position of displayed digital content in subsequent frames via graphics processing circuitry
US11601276B2 (en) 2021-04-30 2023-03-07 Mobeus Industries, Inc. Integrating and detecting visual data security token in displayed data via graphics processing circuitry using a frame buffer
US11477020B1 (en) 2021-04-30 2022-10-18 Mobeus Industries, Inc. Generating a secure random number by determining a change in parameters of digital content in subsequent frames via graphics processing circuitry
US11682101B2 (en) 2021-04-30 2023-06-20 Mobeus Industries, Inc. Overlaying displayed digital content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via graphics processing circuitry using a frame buffer
US11475610B1 (en) 2021-04-30 2022-10-18 Mobeus Industries, Inc. Controlling interactivity of digital content overlaid onto displayed data via graphics processing circuitry using a frame buffer
US11483156B1 (en) * 2021-04-30 2022-10-25 Mobeus Industries, Inc. Integrating digital content into displayed data on an application layer via processing circuitry of a server
US11586835B2 (en) 2021-04-30 2023-02-21 Mobeus Industries, Inc. Integrating overlaid textual digital content into displayed data via graphics processing circuitry using a frame buffer
US11526685B1 (en) 2021-06-16 2022-12-13 Outlayr, Inc.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a machine-readable optical code based on a stored screen-captured image
US11562153B1 (en) 2021-07-16 2023-01-24 Mobeus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gnizability of objects in a multi-layer display
US12212803B2 (en) 2022-07-13 2025-01-28 Neal C. Fairbanks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interactivity for objects appearing in media content captured through an image capture device of a us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8834B2 (en) * 2001-02-27 2004-08-17 Nokia Corporation Push content filtering
JP4577085B2 (ja) * 2005-05-17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
EP2487875B1 (en) * 2011-02-14 2021-08-25 Quotient Technology Inc. Identifier-based coupon distribu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1833B2 (en) 2017-01-02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13557A1 (en)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6950A (ko) 영상에 포함된 정보코드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US959168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including electronic tag, mobile device, and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and display device of the same
US89730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086910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189358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1897507B (zh) 投屏方法、装置、第二终端和存储介质
US2014000721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linking television and smart phone using image authentication key
EP3611898B1 (en) Downloading media content via a handheld device
CN104202624B (zh) 传输图片的方法及装置
TWI443641B (zh) 發送裝置、接收裝置、螢幕畫面傳輸系統及方法
CN102917247B (zh) 自动识别电视频道和电视节目的方法
CN105745936A (zh) 传输设备、混合广播数据传输方法、接收设备及混合广播数据接收方法
US20160164970A1 (en) Applic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pplication Server and Terminal
US20140165104A1 (e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display apparatus
US8297497B2 (en)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screen fram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20230179815A1 (en)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072567B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250130763A1 (en) Display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US9846563B2 (en) Method, mobile terminal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ultimedia playing
JP2015087413A (ja) 電子機器及び表示画質補正方法
US20080163314A1 (en) Advance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519032B1 (ko) 서치 커서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CN111405330A (zh) 一种高清电视机的显示方法及高清电视机
KR20200046904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tv 프로그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tv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WO2016138770A1 (zh) 一种实现网络数字视频播放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0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