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49596A -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596A
KR20150049596A KR1020130130366A KR20130130366A KR20150049596A KR 20150049596 A KR20150049596 A KR 20150049596A KR 1020130130366 A KR1020130130366 A KR 1020130130366A KR 20130130366 A KR20130130366 A KR 20130130366A KR 20150049596 A KR20150049596 A KR 20150049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electronic device
execution environment
user interface
input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무르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596A/ko
Priority to US14/526,859 priority patent/US20150121516A1/en
Publication of KR20150049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59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5Dual mode as a secondary asp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과,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신뢰 실행 환경 동작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는,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동작, 여기에서 상기 인증은 상기 전자 장치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는,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SECURE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전자 장치들로는 소위 '스마트 폰'이라 대별되는 이동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대화면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대방과의 통신이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음악,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웹 서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점차 고성능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컨버젼스 기능을 좀더 빠르게 수행하도록 진보되고 있다. 특히,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와 같은 하드웨어 및 Google사의 Android, Apple사의 iOS와 같은 운용체제(Operating System: OS)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뢰 실행 환경 및 비신뢰 실행 환경을 운용하는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해킹을 방지하는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신뢰할 수 있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과,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신뢰 실행 환경 동작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는,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동작, 여기에서 상기 인증은 상기 전자 장치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는,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신뢰 실행 환경과 비신뢰 실행 환경을 운용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와,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는 상기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은 상기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신뢰 실행 환경 및 비신뢰 실행 환경을 운용하여 외부로부터 해킹을 방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각각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비신뢰 프로세스와 신뢰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각각 다른 방법들을 도시한 도면;
도 4a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6a의 630동작에 대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표시부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자 장치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 즉,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넷북(Netbook), TV(Television),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손목시계, 카메라 장치, 네비게이션, MP3 또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면(101)에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9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 등의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90)는 터치 센서 기술을 적용하여 데이터 입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90)의 상측에는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이어 피스(Ear Piece)(10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어 피스(102)의 주변에는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사용 편의성을 위한 다수의 센서들(103) 및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104)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90)의 하측에 위치하며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장치(105) 및 키 버튼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장치(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공지의 여타 부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 장치들이 더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신뢰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 또는 비신뢰 실행 환경(Non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NTEE)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비신뢰 실행 환경은 일반적인 시스템 제어 및 관리에 사용하는 운영체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체제로는 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리눅스(Linux)와 같은 운영체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신뢰 실행 환경은 사용자 인증과 같은 보안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운영체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신뢰 실행 환경은 항상 안정적이고 외부로부터의 해킹이 방지된다. 상술한 신뢰 실행 환경 및 비신뢰 실행 환경은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으나,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노트 PC, 손목시계, 네비게이션, MP3, 카메라 장치 또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카메라 장치(130), 센서 장치(140), 무선 통신 장치(150), 오디오 장치(160), 외부 포트 장치(170), 입출력 제어부(180), 디스플레이 장치(190) 및 입력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 및 외부 포트 장치(170)는 다수 개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1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는 Trust Zone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Trust Zone 기술은 하나의 프로세서(112)에서 물리적으로 non-trust 영역(혹은 normal world)과 trust 영역(혹은 secure 영역)과 같이 2개의 공간을 제공하여 보안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이 trust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3a 참조). 일반적으로 non-trust 영역은 Android, Windows Phone 7 등 기존의 open OS가 동작하고 trust 영역에서는 아주 작은 크기의 trust OS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다. trust 영역은 secure 영역 또는 신뢰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을 뜻할 수 있으며, non-trust 영역은 non-secure 영역 또는 비신뢰 실행 환경(Non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NTEE)을 뜻할 수 있다. 여기서 비신뢰 실행 환경은 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리눅스(Linux)와 같은 운영체제가 될 수 있으며, 커널(Kernel) 또는 드라이버 IC(Driver Inter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trust 영역 및 non-trust 영역은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두 개의 프로세서가 각각 non-trust 영역과 trust 영역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도 3b 참조).
trust 영역은 내부에 작은 크기의 메모리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메모리영역에는 마스터 키, 인증서, 개인정보 등의 보안 데이터가 저장되어 오직 trust 영역의 프로세서만이 접근할 수 있고 non-trust 영역의 프로세서는 접근할 수 없을 것이다.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전기적 연결 수단(참조번호 미기재)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30)는 사진, 비디오 클립, 레코딩 등의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30)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카메라 장치(130)는 프로세서(122)가 실행하는 카메라 프로그램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구성의 변경, 예컨대 렌즈 이동, 조리개의 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30)는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통해 획득한 수집 영상을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30)는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Image Signal Processor) 및 영상 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90)에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 도시되었으나, 카메라 장치(130)는 렌즈를 움직이는 엑츄에이터, 엑츄에이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장치(140)는 근접 센서, 홀(Hall) 센서, 조도 센서,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근접 센서는 전자 장치(100)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고, 홀 센서는 금속체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조도 센서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빛을 감지하며, 모션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센서 장치(140)는 공지의 여타 부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150)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무선 주파수 송ㆍ수신기 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송ㆍ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미 도시하였으나, 무선 통신 장치(150)는 RF IC 유닛(Radio Frequency IC unit)과 기저대역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RF IC 유닛은 전자파를 송ㆍ수신할 수 있으며, 기저대역 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전자파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RF IC 유닛은 RF 트랜시버(transceiver), 증폭기(amplifier), 튜너(tunor), 오실레이터(oscillat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CODEC 칩셋(COding DECoding chip set),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50)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적외선 통신(Infra Red Communication) 네트워크, Bluetooth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무선 통신 장치(150)는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또는 단문 문자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용 프로토콜을 이용한 여러 가지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60)는 스피커(161) 및 마이크로폰(162)에 연결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 또는 통화 기능 등의 오디오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60)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한 전기 신호를 스피커(161)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스피커(161)는 전기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61)는 하나의 진동 필름에 적어도 하나의 압전체를 부착시킨 플렉서블한 필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인물이나 기타 음원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60)는 마이크로폰(162)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프로세서(122)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60)는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한 이어폰, 이어셋,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포트 장치(170)는 전자 장치(100)를 상대 전자 장치와 직접 연결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상대 전자 장치와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외부 포트 장치(17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90) 및 입력 장치(20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기 및 기타 입력 장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90)는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90)는 터치 감지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정보를 프로세서(122)로 전달하고, 프로세서(122)로부터 제공되는 시각 정보, 텍스트, 그래픽 또는 비디오 등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9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을 표시할 수 있다. 더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90)는 프로세서(122)에 의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9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MOLED(Active Mo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박막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180)를 통해 프로세서(122)로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와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볼륨 제어를 위한 업/다운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입력 장치(200)는 해당 기능이 부여된 푸쉬 버튼(push botton), 로커 버튼(locker button), 로커(l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마우스(mouse), 트랙볼(track-ball) 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포인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 모듈(111), 통신 모듈(112), 그래픽 모듈(1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4), 코덱 모듈(115), 카메라 모듈(116) 및 어플리케이션 모듈(117)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명령어들의 집합,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 또는 프로그램(program)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체제 모듈(111)은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메모리 제어 및 관리,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운영체제 모듈(111)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은 무선 통신 장치(150) 또는 외부 포트 장치(17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 전자 기기 등의 상대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113)은 디스플레이 장치(190)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및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4)은 프로세서(122)에 의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9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1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6)은 카메라 기능(예컨대,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17)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모닝콜(morning call), MP3(MPEG Layer 3), 일정관리(Scheduler), 그림판, 카메라(Camera),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음악 플레이어(music player),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e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사용자 인증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란 용어는 응용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상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processing)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수 있다.
미 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여러 가지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시스템은 전원(power source)(교류 전원이나 배터리), 전력 오류 검출 회로, 전력 컨버터(converter), 전력 인버터(inverter), 충전 장치 또는 전력 상태 표시 장치(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100)는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 관리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본 도면에서 도시한 것보다 많은 개수의 구성요소를 가지거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2)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프로세서(122)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구동부(220), 사용자 입력 수신부(240), 인증 처리부(260) 및 표시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의 구성요소들은 별개의 모듈들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모듈 내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들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OS 구동부(2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운영체제 모듈(111)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운영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OS 구동부(220)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비신뢰 OS(혹은 open OS)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뢰 OS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신뢰 OS는 Trust Zone이라는 안정적이고 보완이 높은 신뢰 실행 환경에서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OS 구동부(220)는 비신뢰 OS를 실행하여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OS 구동부(220)는 신뢰 OS를 실행하여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OS 구동부(220)는 상술한 비신뢰 OS와 신뢰 OS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장치(19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뢰 OS는 비신뢰 OS를 제어할 수 있으나 비신뢰 OS는 신뢰 OS를 제어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240)는 인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 수신부(240)는 신뢰 실행 환경에서 입력되는 터치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등과 같은 입력 수단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인증 처리부(26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수신부(240)는 신뢰 실행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인증 처리부(26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240)에서 제공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처리부(260)는 신뢰 실행 환경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인증을 실행하며, 오직 신뢰 OS를 통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비신뢰 OS는 신뢰 OS에 접근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표시 제어부(280)는 OS 구동부(220)에서 제공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제어부(280)는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장치(190)에 그래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2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아웃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 횟수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프로세서(122)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프로세서(122)는 본 도면에서 도시한 것보다 많은 개수의 구성요소를 가지거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각각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비신뢰 프로세스와 신뢰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각각 다른 방법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2)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에 대한 처리 수단으로 비신뢰 프로세스(non-trust process)(313) 또는 신뢰 프로세스(trust process)(323)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커뮤니케이션 모듈(300)을 통하여 비신뢰 실행 환경(non-trusted execution environment)(310)과 신뢰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320)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커뮤니케이션 모듈(300)은 모니터 프로그램(monitor program)을 실행하여 감시모드(monitor mode)로 진입할 수 있다. 외부에서 프로세서(122)를 볼 때, 감시모드는 항상 안정적이고(secure), 모니터 프로그램은 secure 메모리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는 비신뢰 실행 환경(310) 내에서 비신뢰 OS(311)를 제공하고, 비신뢰 프로세스(313)는 비신뢰 OS(311)를 통해 동작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신뢰 실행 환경(320) 내에서 신뢰 OS(321)를 제공하고, 신뢰 프로세스(323)는 신뢰 OS(321)를 통해 동작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신뢰 OS(321)는 신뢰 실행 환경(320)에서 프로세싱하는데 필요한 기능들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신뢰 프로세스(313)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비신뢰 프로세스(313)는 사용자가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안전하게 입력하기 위한 안전 입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비신뢰 프로세스(313)는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어플리케이션은 지갑 어플리케이션 또는 은행업무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비신뢰 프로세스(313)는 신뢰 프로세스(323)에서 구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90)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비신뢰 프로세스(313)는 신뢰 프로세스(32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읽지 못하며 오직 신뢰 프로세스(323)만이 인식하고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비신뢰 프로세스(3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아웃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아웃 정보는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신뢰 프로세스(323)는 인증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신뢰 프로세스(323)는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신뢰 OS(311)는 신뢰 OS(321)로 접근할 수 없다. 예컨대, 신뢰 OS(321)는 비신뢰 OS(311)가 진행하는 비신뢰 프로세스(313)의 코드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개별 프로세서들(340, 350)은 각각 비신뢰 프로세스(343) 또는 신뢰 프로세스(353)를 동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비신뢰 OS(341)는 제1 프로세서(340)를 통해 제공되고, 비신뢰 프로세스(343)는 비신뢰 OS(341)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신뢰 OS(351)는 제2 프로세서(350)를 통해 제공되고, 신뢰 프로세스(353)는 신뢰 OS(351)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프로세서들(340, 350) 간의 제어는 커뮤니케이션 모듈(3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미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신뢰 실행 환경은 내부에 작은 크기의 메모리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메모리영역에는 마스터 키, 인증서, 개인정보 등의 보안 데이터가 저장되며, 오직 신뢰 실행 환경(320)의 프로세서만이 접근할 수 있고, 비신뢰 실행 환경의 프로세서는 접근할 수 없다.
도 4a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화면(400)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표시는 전자 장치(100)의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다수개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Credit Card Number와 같은 보안 정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다수개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에는 해당 데이터 값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 내지 3의 정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좌측 상단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그 하단에 4 내지 6 및 7 내지 9의 정수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7 내지 9의 정수가 배치된 위치의 하단에는 최근 입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Del'키와 사용자 입력을 완료하는 'OK'키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다수개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에 대한 데이터 값을 임의로 섞어 배치할 수 있다(도 4b 참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Del'키 및 'OK'키는 고정하고, 0 내지 9의 정수를 임의로 배치하여 상대방에 의한 비밀번호 노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도 4c 참조).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입력 데이터 값을 배치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 입력 영역(또는 키)에 대응하는 숫자를 디지털로 표시하고,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숫자의 배열을 임의로 변경하고, 각 숫자에 서로 다른 색 또는 서로 다른 모양을 할당하고 숫자와 동시에 표시시키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가 표시된 후,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키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비신뢰 실행 환경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없도록 구성되며 전자 장치(100)의 신뢰 실행 환경만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신뢰 실행 환경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는 인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횟수에 따라 화면(400)의 인디케이터(430)에는 사용자 입력 횟수를 의미하는 문자(43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자(431)는 '*'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신뢰 실행 환경은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 횟수를 비신뢰 실행 환경에 제공하고, 비신뢰 실행 환경은 이를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각각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에 대한 위치를 각각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에 대한 좌표를 통해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좌표 {0, 0}을 기준점으로 하고 좌표 {X1, Y1}과 좌표 {X2, Y2}를 이은 직선을 대각선으로 갖는 사각형 형태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입력 영역을 정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500동작에서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도 4a와 같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표시는 전자 장치(100)의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구성은 전자 장치(100)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510동작에서 신뢰 실행 환경 동작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신뢰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 또는 비신뢰 실행 환경(Non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NTEE)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비신뢰 실행 환경은 일반적인 시스템 제어 및 관리에 사용하는 운영체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체제로는 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리눅스(Linux)와 같은 운영체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신뢰 실행 환경은 사용자 인증과 같은 보안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운영체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신뢰 실행 환경은 항상 안정적이고 외부로부터의 해킹이 방지된다. 상술한 신뢰 실행 환경 및 비신뢰 실행 환경은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으나,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신뢰 실행 환경 동작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520동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4a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터치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수신은 신뢰 실행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530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신뢰 실행 환경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는 신뢰 실행 환경으로의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동작에 대한 명령어 세트는 상술한 메모리(110)에 하나 이상의 모듈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2)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600동작에서 비신뢰 실행 환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비신뢰 실행 환경인 안드로이드 또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로 동작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610동작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620동작에서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인증이 필요없는 일반 어플리케이션인지 또는 인증이 필요한 보안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630동작에서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도 4a와 같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표시는 전자 장치(100)의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630동작의 자세한 설명은 도 6b 및 하기 상술로 설명한다.
도 6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6310동작에서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입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다수개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Credit Card Number와 같은 보안 정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각각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에 대한 위치를 각각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에 대한 좌표를 통해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좌표 {0, 0}을 기준점으로 하고 좌표 {X1, Y1}과 좌표 {X2, Y2}를 이은 직선을 대각선으로 갖는 사각형 형태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입력 영역을 정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것이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6320동작에서 결정된 다수개의 입력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다수개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에 해당 데이터 값을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1 내지 3의 정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좌측 상단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그 하단에 4 내지 6 및 7 내지 9의 정수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7 내지 9의 정수가 배치된 위치의 하단에는 최근 입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Del'키와 사용자 입력을 완료하는 'OK'키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다수개의 입력 영역(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에 대한 데이터 값을 임의로 섞어 배치할 수 있다(도 4b 참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Del'키 및 'OK'키는 고정하고, 0 내지 9의 정수를 임의로 배치하여 상대방에 의한 비밀번호 노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도 4c 참조).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입력 데이터 값을 배치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 입력 영역(또는 키)에 대응하는 숫자가 디지털로 표시되고, 입력 작업마다 숫자의 배열이 임의로 변경되게 하고, 각 숫자에 서로 다른 색 또는 서로 다른 모양을 할당하고 숫자와 동시에 표시시키게 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640동작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신뢰 실행 환경 동작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신뢰 실행 환경 동작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650동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4a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터치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수신은 신뢰 실행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비신뢰 실행 환경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없도록 구성되며 전자 장치(100)의 신뢰 실행 환경만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신뢰 실행 환경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는 인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횟수에 따라 화면(400)의 인디케이터(430)에는 사용자 입력 횟수를 의미하는 문자(431)가 표시될 수 있다(도 4d 참조). 이러한 문자(431)는 '*'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신뢰 실행 환경은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 횟수를 비신뢰 실행 환경에 제공하고, 비신뢰 실행 환경은 이를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660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신뢰 실행 환경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는 신뢰 실행 환경으로의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는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 처리는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각 동작에 대한 명령어 세트는 상술한 메모리(110)에 하나 이상의 모듈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2)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또는 전체 모듈은 하나의 개체에 구성되고, 각 모듈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동작들은 순차적, 반복적 또는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동작들은 생략되거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동작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술한 대응하는 모듈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non-transient)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 장치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 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것이다.
100: 전자 장치 300: 커뮤니케이션 모듈
310: 비신뢰 실행 환경 320: 신뢰 실행 환경
400: 화면 410: 사용자 인터페이스
430: 인디케이터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신뢰 실행 환경 동작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는;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동작, 여기에서 상기 인증은 상기 전자 장치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는,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이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입력 데이터를 구성하는 동작, 여기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의 구성은 상기 전자 장치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되는, 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데이터를 구성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입력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다수개의 입력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좌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입력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입력 영역에 임의로 배치되는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의 일부 데이터는 상기 입력 영역의 일부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입력 데이터의 나머지 데이터는 상기 입력 영역의 나머지 영역에 순차적으로 또는 임의로 배치되는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입력 데이터는 임의로 변경되거나, 상기 입력 데이터의 색 또는 모양이 변경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아웃 정보는 미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입력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결정되는 것을 표시하는 방법.
  12. 신뢰 실행 환경과 비신뢰 실행 환경을 운용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는 상기 비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증은 상기 신뢰 실행 환경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신뢰 실행 환경에서 구성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입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다수개의 입력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좌표를 통하여 상기 입력 영역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일부 데이터를 상기 입력 영역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의 나머지 데이터를 상기 입력 영역의 나머지 영역에 순차적으로 또는 임의로 배치하는 전자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상기 입력 데이터의 색 또는 모양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위해 미리 설정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아웃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신뢰 실행 환경에서 결정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입력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제 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non-transient)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30130366A 2013-10-30 2013-10-30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ithdrawn KR20150049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66A KR20150049596A (ko) 2013-10-30 2013-10-30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526,859 US20150121516A1 (en) 2013-10-30 2014-10-29 Authenticating input in trusted execution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66A KR20150049596A (ko) 2013-10-30 2013-10-30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596A true KR20150049596A (ko) 2015-05-08

Family

ID=5299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366A Withdrawn KR20150049596A (ko) 2013-10-30 2013-10-30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21516A1 (ko)
KR (1) KR201500495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8087B2 (en) * 2015-02-27 2019-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usted pin management
US9769169B2 (en) 2015-09-25 2017-09-19 Intel Corporation Secure sensor data transport and processing
US20170091431A1 (en) * 2015-09-26 2017-03-30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ntry on a small touchscreen display
KR102482114B1 (ko) 2015-12-31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통신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온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시스템
KR102582923B1 (ko) * 2016-10-28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보호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14062B1 (ko) * 2018-02-27 2023-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러스트존 그래픽 렌더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CN112771468B (zh) * 2018-09-13 2024-03-29 吴俊洙 折叠型多媒体终端
EP3851936B1 (en) * 2018-09-13 2024-10-30 June Soo Oh Foldable multimedia terminal
CN111552514B (zh) * 2019-02-12 2024-12-0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处理器以及指令执行方法
KR102697372B1 (ko) * 2019-07-24 202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스위치를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917067B2 (en) * 2019-12-28 2024-02-27 Intel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instructions for usage restrictions cryptographically tied with data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8071A (en) * 1994-07-12 1998-07-07 Information Resource Engineering, Inc. Pocket encrypting and authenticating communications device
US5546463A (en) * 1994-07-12 1996-08-13 Information Resource Engineering, Inc. Pocket encrypting and authenticating communications device
PL178218B1 (pl) * 1994-10-27 2000-03-31 Ibm Sposób i urządzenie do bezpiecznej identyfikacji ruchomego użytkownika w sieci komunikacyjnej
US5841869A (en) * 1996-08-23 1998-11-24 Cheyenne Property Trust Method and apparatus for trusted processing
JP4321944B2 (ja) * 2000-04-27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を用いた個人認証システム
US6898301B2 (en) * 2000-07-10 2005-05-24 Casio Computer Co., Ltd.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fingerprint and electronic device employed for the system
US20020107885A1 (en) * 2001-02-01 2002-08-08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processing form data
KR100505187B1 (ko) * 2001-08-08 2005-08-04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인증장치, 인증방법 및 인물 등록방법
JP2003173237A (ja) * 2001-09-28 2003-06-20 Ricoh Co Ltd 情報入出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058895B2 (en) * 2001-12-20 2006-06-06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fully personalized and contextualized interaction environment for terminals in mobile use
US6986006B2 (en) * 2002-04-17 2006-01-10 Microsoft Corporation Page granular curtained memory via mapping control
US7568217B1 (en) * 2003-03-20 2009-07-28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role based access control system on a network
US7707418B2 (en) * 2003-06-30 2010-04-27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controller,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3626491B1 (ja) * 2003-12-26 2005-03-09 株式会社ドワンゴ メッセンジャー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メッセンジャー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8527003B2 (en) * 2004-11-10 2013-09-03 Newlans,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high data rate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60147000A1 (en) * 2004-12-22 2006-07-06 Schlumberger Omnes, Inc. Method for in-band entity authentication via telephone
US7639876B2 (en) * 2005-01-14 2009-12-29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handwritten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objects
JP4692174B2 (ja) * 2005-09-14 2011-06-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個人認証装置及びドア開閉システム
US8250151B2 (en) * 2005-10-12 2012-08-21 Bloomberg Finance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data transmission
US20080068227A1 (en) * 2006-09-19 2008-03-20 Sharp Kabushiki Kaisha Input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CN101340281B (zh) * 2007-07-02 2010-12-22 联想(北京)有限公司 针对在网络上进行安全登录输入的方法和系统
US8117642B2 (en) * 2008-03-21 2012-02-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omputing device with entry authentication into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US20120010995A1 (en) * 2008-10-23 2012-01-12 Savnor Technologies Web content capturing, packaging, distribution
JP5245869B2 (ja) * 2009-01-29 2013-07-2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26621B1 (ko) * 2009-12-30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8850573B1 (en) * 2010-04-14 2014-09-30 Google Inc. Computing device with untrusted user execution mode
US20110302649A1 (en) * 2010-06-02 2011-12-08 Skiff,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e sign-in on a touch screen device
KR101151294B1 (ko) * 2010-11-19 2012-06-08 황영만 능동형 보안 인증 제공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
WO2012070593A1 (ja) * 2010-11-22 2012-05-31 Yoshida Kenji 情報入力システム、プログラム、媒体
JP5304776B2 (ja) * 2010-12-16 2013-10-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2203521A1 (de) * 2011-03-28 2012-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rchitektur mit zwei Vertrauenswürdigkeitsstufen
US9076020B2 (en) * 2011-05-13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tected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other devices
US20130085944A1 (en) * 2011-09-29 2013-04-04 Pacid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security
WO2013163285A1 (en) * 2012-04-25 2013-10-31 Southeast Solutions, Inc. Fraud resistant passcode entry system
US20140324708A1 (en) * 2012-06-12 2014-10-30 Square, Inc. Raw sensor input encryption for passcode entry security
US20140029921A1 (en) * 2012-07-27 2014-01-30 Adam Warren Systems and methods for hotspot enabled media
US9419966B2 (en) * 2012-08-23 2016-08-16 Alejandro V. Natividad Method for producing dynamic data structures for authentication and/or password identification
US8955147B2 (en) * 2012-12-05 2015-02-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device privacy application
US11194368B2 (en) * 2012-12-10 2021-12-07 Adobe Inc. Accelerometer-based biometric data
US9778837B2 (en) * 2013-03-15 2017-10-03 Apple Inc.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multiple access modes
US9141823B2 (en) * 2013-03-15 2015-09-22 Veridicom, Sa De Cv Abstraction layer for default encryption with orthogonal encryption logic session object; and automated authentication, with a method for online litigation
KR102210995B1 (ko) * 2013-04-24 2021-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보안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40331146A1 (en) * 2013-05-02 2014-11-06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2095912B1 (ko) * 2013-05-15 2020-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안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40344423A1 (en) * 2013-05-16 2014-11-20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witching function mode
US9552472B2 (en) * 2013-05-29 2017-01-24 Blackberry Limited Associating distinct security modes with distinct wireless authenticators
JP5433812B1 (ja) * 2013-08-27 2014-03-05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認証装置及び認証プログラム
US9251333B2 (en) * 2013-08-29 2016-02-02 Paypal, Inc. Wearable user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KR20150032963A (ko) * 2013-09-23 2015-04-01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장치 및 방법
US9558491B2 (en) * 2013-09-30 2017-01-31 Square, Inc. Scrambling passcode entry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1516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9596A (ko)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073668B2 (en) Method for measuring angles between display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S2945065T3 (es) Método para abrir rápidamente una aplicación o función de la aplicación y terminal
EP300163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uthorizing operation
KR102123092B1 (ko) 지문 인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4161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interface
US20170024121A1 (en) Operating method for contents search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7111342A (zh) 包括旋转体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50065415A (ko) 곡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220137067A (ko) 영상 특수 효과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0851823B (zh) 数据访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5004563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20196A (ko) 전자 장치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128115B (zh) 信息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557499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125525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11454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13429B1 (ko) 사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102220766B1 (ko) 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와 방법 및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방법
KR20150042066A (ko) 부팅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19061A (ko) 무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43235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이어잭 단자 캡
KR102185204B1 (ko)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2163677B (zh) 应用机器学习模型的方法、装置及设备
KR20190095753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사용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