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54719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719A
KR20150054719A KR1020150015183A KR20150015183A KR20150054719A KR 20150054719 A KR20150054719 A KR 20150054719A KR 1020150015183 A KR1020150015183 A KR 1020150015183A KR 20150015183 A KR20150015183 A KR 20150015183A KR 20150054719 A KR20150054719 A KR 20150054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bobbin
camera module
holder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채훈
이재은
전기원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 filed Critical (주)아이엠
Priority to KR102015001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4719A/ko
Publication of KR20150054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71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마그넷을 공유하는 액추에이터와 손떨림 보정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손떨림 보정장치는 서스펜션 와이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보빈의 광축 방향(Z축)으로의 구동과 함께 광축과 수직인 X축 및 Y축 방향으로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면서 손떨림 보정을 하는 상용화된 성능을 만족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하고, 박형화가 용이하며,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광학계(Optical system)로써, 이미지센서(Image sensor), 외부의 광을 상기 이미지센서로 입사시키는 렌즈가 구비된 렌즈 배럴(Lens barrel) 및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배럴을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모듈(Actuator Module) 및 손떨림 보정을 위한 손떨림 보정장치(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통상 카메라로 대표되는 촬영전용의 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휴대성 및 촬영편의성 등의 이유로, 또한 소비자의 생활패턴 등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Mobile device)에 탑재되어 있는 것이 보편적 경향이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과 손떨림 보정장치는 카메라 모듈의 구동과 관련된 핵심기술로써, 각각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액추에이터 모듈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마그넷(Magnet)과 코일(Coil)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를 구동하고 있으며, 상기 마그넷 및 코일과 함께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 모듈은 통상 보이스 코일 액추에이터(Voice Coil Actuator: VCA) 또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로도 지칭되고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모바일기기를 작동시키는 순간 작은 손떨림에도 화상의 초점이 틀어지게 됨으로써, 화질이 저하되어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손떨림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학계의 렌즈를 경유하는 광의 렌즈의 광축과 틀어짐에 의해서 발생함에 따라 상기 렌즈를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의 광축을 광의 입사 경로와 일치시키거나, 이미지센서를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축과 이미지센서에 수신되는 광의 입사 경로를 일치시켜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렌즈 또는 이미지센서에 각각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손떨림 보정에는 일반적으로 T자형 또는 L자형으로 렌즈를 지지하는 2축 가이드를 설치하여 렌즈가 2축 가이드를 따라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2축 가이드를 이용한 손떨림 보정은 소음이나 이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한 서스펜션 와이어(Suspension wire)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는 광학계를 지지하여 부양한 상태에서 전자기력에 의해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광학계의 구동 중에 다른 구성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소음 및 이물이 발생하지 않아 카메라 모듈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KR 2012-0045333 A US 2014-0009631 A1
본 발명은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를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액추에이터와 손떨림 보정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은,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렌즈 구동과 손떨림 보정장치를 이용한 손떨림 보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용이한 조립이 가능함과 동시에 박형화가 용이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어셈블리가 광축 방향으로 장착되며, 외부에 오토 포커스 코일이 구비된 보빈;
상기 보빈이 광축 방향으로 장착되고, 오토 포커스 코일과 광축에 수직 교차하는 방향에서 대향 배치된 삼각코너 마그넷이 각 모서리에 구비된 육면체의 홀더;
상기 홀더의 상면에 체결되어 보빈의 상단을 광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상부 판 스프링;
상기 보빈의 하면에 배치되어 보빈의 하단을 광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하부 판 스프링;
상기 하부 판 스프링의 하부에 배치되며, 삼각코너 마그넷을 외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형성된 백 플레이트;
상기 백 플레이트D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상면에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삼각코너 마그넷과 광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 및
상기 상부 판 스프링의 각 모서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이격 상태를 탄성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삼각코너 마그넷은 광축 방향의 내측으로 N극이 배치되고, 외측으로 S극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삼각코너 마그넷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삼각코너 마그넷을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인접하게 형성된 이동제한 턱;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각 측면모서리에 서스펜션 와이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된 댐퍼;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판 스프링은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서스펜션 와이어를 관통시킨 후 레이저 납땜할 수 있는 납땜 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커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와 마그넷을 공유하며, 서스펜션 와이어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장치를 통해 상기 보빈을 광축과 수직인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용화된 성능을 만족하면서도 부품비용 절감과 함께 조립이 용이하고, 박형화가 용이하므로, 이는 결과적으로 가격 인하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4는 도 1의 각 구성을 어셈블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과 코일의 배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과 코일의 전자기력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마그넷(Magnet)과 코일(Coil)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렌즈를 광축 방향(Z축)으로 구동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와 손떨림 보정을 위한 손떨림 보정장치(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를 포함한다.
즉 상기 카메라 모듈은 액추에이터를 통해 렌즈를 광축 방향(Z축)으로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떨림 보정장치(OIS)를 통해 렌즈를 광축과 수직인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축과 일치시킴으로써,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손떨림 보정장치(OIS)는 마그넷과 코일을 포함하면서 렌즈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있는데, 액추에이터의 경우, 2개의 판 스프링(Leaf sring)을 포함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장치(OIS)의 경우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Suspension wire)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와 손떨림 보정장치는 하나의 마그넷을 공유하면서 이와 대향 배치되는 코일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데, 즉 상기 마그넷과 광축과 수직인 X축 및 Y축 방향으로 오토 포커스(Auto Focus: AF) 코일(AF Coil)이 배치되고, 광축 방향으로 손떨림 보정용 코일(OIS Coil)이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따르면, 하나의 마그넷을 이용하면서도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면서 피사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고, 또한 촬영과정에서의 손떨림 보정 역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조립이 용이하고 박형화가 용이한 측면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어셈블리(Lens assembly)가 장착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는 보빈 어셈블리(Bobbin Ass'y), 상기 보빈 어셈블리(11)를 내부에 수용하는 육면체의 홀더(Holder)와 상기 홀더(120)에 광축 방향(Z축)으로 장착되는 삼각코너 마그넷(Magnet)을 포함하는 홀더 어셈블리(Holder Ass'y) 및 상기 홀더 어셈블리(12)와의 사이에 공극(Air gap)이 형성되도록 이격 배치된 하우징(Housing) 및 상기 하우징(130)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PCB Ass'y)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 어셈블리(11)는 보빈(110)과 함께 삼각코너 마그넷(121)에 대하여 광축과 수직인 X축, Y축 방향에서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보빈(110)의 외부에 권선된 오토 포커스 코일(AF Coil)과 상기 오토 포커스 코일(112)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판 스프링(Bottom leaf spring) 및 상기 하부 판 스프링(150)의 하부에 구비되며, 삼각코너 마그넷(121)을 외부 노출하도록 개구부(113a)가 형성된 백 플레이트(Back plate)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 어셈블리(12)는 홀더(120) 및 상기 홀더(12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 4개의 삼각코너 마그넷(121)과 함께 상기 홀더(120)의 상면에 구비된 상부 판 스프링(Top leaf spring)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삼각코너 마그넷(121)은 광축 방향(Z축)의 내측으로 N극이, 외측으로 S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불가피하게 서로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해 자리유지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120)는 삼각코너 마그넷(12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삼각코너 마그넷(121)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20a)과 인접하게 이동제한 턱(120b)을 형성하게 된다. 즉 홀더(12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20a)과 인접하게 형성된 이동제한 턱(120b)을 통해 삼각코너 마그넷(121)의 이동을 구조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13)는 하우징(130) 및 인쇄회로기판(131)과 함께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의 상면에 구비되어 삼각코너 마그넷(121)과 광축 방향(Z축)으로 대향 배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OIS Coil), 홀 센서(133) 및 상기 홀더 어셈블리(12)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Air gap)을 유지하도록 상부 판 스프링(160)과 인쇄회로기판(131)에 각 일단이 연결된 서스펜션 와이어(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140)는 관점에 따라 홀더 어셈블리(12)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어셈블리(12)와 보빈 어셈블리(11)는 가동부(AF Ass'y)로 지칭되고, 기판 어셈블리(13)는 고정부(OIS Ass'y)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따르면, 광축 방향(Z축)의 내측으로 N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삼각코너 마그넷(121)을 기준으로 광축 방향(Z축)으로 손떨림 보정용 코일(132)이 배치되고, 광축과 수직인 X축, Y축 방향에 오토 포커스 코일(112)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손떨림 보정용 코일(132)을 최소 2개만 사용하여도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력의 확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보빈(110)은 렌즈 어셈블리(101)가 장착되는 내부가 원형으로 형성된 8각형으로 형성되며, 외부에 오토 포커스 코일(112)의 권선을 위한 권선 홈(111)이 형성되고, 광축 방향(Z축)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하부 판 스프링(150) 및 백 플레이트(113)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판 스프링(150)은 홀더(120)의 하부에 체결되는 외부고정부(151) 및 상기 외부고정부(151)와 제1 굴곡부(153)를 통해 연결되어 보빈(1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고정부(15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판 스프링(150)은 핀 홀(150a)을 통해 홀더(120)에 형성된 제1 고정핀(120c)에 체결되는 외부고정부(151) 및 상기 외부고정부(151)의 내측에 라운드와 직선을 통해 전체적으로 굴곡 형성된 제1 굴곡부(153)를 통해 연결되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고정부(152)로 구성되어 보빈(110)의 하단을 상기 내부고정부(152)가 광축 방향(Z축)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판 스프링(150)과 대향 배치되어 홀더(1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판 스프링(160)은 홀더(120)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분할 설치되어 보빈(110)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판 스프링(160)은 홀더(120)에 체결되는 제1,2 외측고정부(161a)(161b) 및 상기 제1,2 외측고정부(161a)(161b)의 내측에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라운드 형성된 제2 굴곡부(163)를 통해 연결되어 보빈(110)의 상단을 광축으로 지지하는 제1,2 내측고정부(162a)(162b)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판 스프링(160)과 홀더(120)는 하부 판 스프링(150)과 마찬가지로 핀 방식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각각 가이드구멍(160a) 및 제2 고정핀(120d)으로 지칭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빈 어셈블리(11), 홀더 어셈블리(12) 및 기판 어셈블리(13)는 홀더(120)의 내부에 보빈(110)이 수용되고, 상기 홀더(120)의 하부에 기판 어셈블리(13)가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조립과정이 진행되며, 이러한 이격 상태를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40)가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각 서스펜션 와이어(140)는 일단이 상부 판 스프링(160)에 연결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131)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140)의 용이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판 스프링(160)의 각 모서리에 납땜 홀(160b)이 형성되며, 상기 납땜 홀(160b)에 각각의 서스펜션 와이어(140)의 일단을 삽입한 후에 외부에서 레이저 납땜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각 서스펜션 와이어(140)와 측면에 위치하게 되는 홀더(120)의 각 측면모서리에는 서스펜션 와이어(140)를 내부에 수용하는 댐퍼(Damper)가 형성된다. 상기 댐퍼(122)는 홀더(120)의 각 측면모서리에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서스펜션 와이어(140)를 수용함에 따라 외부 충격시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140)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진동특성을 개선하게 된다.
도 9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홀더(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상부커버(170)는 스테인리스(SUS)를 포함하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하단이 하우징(130)에 닿도록 형성되어 홀더 어셈블리(12)를 전체적으로 덮게 된다. 이러한 상부커버(170)는 쉴드 캔(Shield can)으로 지칭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따르면, 삼각코너 마그넷(121)을 공유하는 오토 포커스 코일(112)과 손떨림 보정용 코일(132)을 이용하여 렌즈 어셈블리(101)가 장착된 보빈(110)을 광축 방향(Z축)과 광축에 수직인 X축, Y축으로 구동하게 됨으로써, 상용화된 성능을 만족하면서도 부품비용 절감과 함께 생산설비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가격 인하 효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카메라 모듈 11: 보빈 어셈블리
12: 홀더 어셈블리 13: 기판 어셈블리
101: 렌즈 어셈블리 110: 보빈
111: 권선 홈 112: 오토 포커스 코일
113: 백 플레이트 113a: 개구부
120: 홀더 120a: 수용공간
120b: 이동제한 턱 120c: 제1 고정핀
120d: 제2 고정핀 121: 삼각코너 마그넷
122: 댐퍼 130: 하우징
131: 인쇄회로기판 132: 손떨림 보정용 코일
133: 홀 센서 140: 서스펜션 와이어
150: 하부 판 스프링 150a: 핀 홀
151: 외부고정부 152: 내부고정부
153: 제1 굴곡부 160: 상부 판 스프링
160a: 가이드구멍 160b: 납땜 홀
161a: 제1 외측고정부 161b: 제2 외측고정부
162a: 제1 내측고정부 162b: 제2 내측고정부
163: 제2 굴곡부 170: 상부커버

Claims (6)

  1. 렌즈 어셈블리(Lens assembly)가 광축 방향으로 장착되며, 외부에 오토 포커스 코일(AF coil)이 구비된 보빈(Bobbin);
    상기 보빈이 광축 방향으로 장착되고, 오토 포커스 코일과 광축에 수직 교차하는 방향에서 대향 배치된 삼각코너 마그넷(Magnet)이 각 모서리에 구비된 육면체의 홀더(Holder);
    상기 홀더의 상면에 체결되어 보빈의 상단을 광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상부 판 스프링(Top leaf sring);
    상기 보빈의 하면에 배치되어 보빈의 하단을 광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하부 판 스프링(Bottom leaf spring);
    상기 하부 판 스프링의 하부에 배치되며, 삼각코너 마그넷을 외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형성된 백 플레이트(Back plate);
    상기 백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극(Air Gap)이 형성되도록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상면에 인쇄회로기판(PCB)이 구비된 하우징(Bottom cover);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삼각코너 마그넷과 광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OIS Coil); 및
    상기 상부 판 스프링의 각 모서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이격 상태를 탄성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Suspension wire);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코너 마그넷은 광축 방향의 내측으로 N극이 배치되고, 외측으로 S극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삼각코너 마그넷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삼각코너 마그넷을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인접하게 형성된 이동제한 턱;
    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각 측면모서리에 서스펜션 와이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된 댐퍼(Damper);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판 스프링은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서스펜션 와이어를 관통시킨 후 레이저 납땜할 수 있는 납땜 홀;
    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커버(Top cover);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015183A 2015-01-30 2015-01-30 카메라 모듈 Ceased KR20150054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83A KR20150054719A (ko) 2015-01-30 2015-01-30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83A KR20150054719A (ko) 2015-01-30 2015-01-3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719A true KR20150054719A (ko) 2015-05-20

Family

ID=5339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183A Ceased KR20150054719A (ko) 2015-01-30 2015-01-3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4719A (ko)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7214A (zh) * 2015-05-28 2016-05-25 惠州市大亚湾永昶电子工业有限公司 带抖动校正功能的透镜驱动装置
KR20170068807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106896465A (zh) * 2015-09-29 2017-06-27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
WO2017135562A1 (ko) * 2016-02-01 2017-08-10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KR20170109767A (ko) * 2016-03-22 2017-10-10 (주)파트론 렌즈 구동 장치
JP2018017945A (ja) * 2016-07-29 2018-02-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該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CN107664897A (zh) * 2016-07-29 2018-02-06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以及该透镜驱动装置的制造方法
KR20180092720A (ko) * 2017-02-10 2018-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110997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WO2018186673A1 (ko) * 2017-04-05 2018-10-11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80110999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180113022A (ko) * 2017-04-05 2018-10-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80113024A (ko) * 2017-04-05 2018-10-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9004765A1 (ko) * 2017-06-30 2019-01-03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90031804A (ko) 2017-09-18 2019-03-27 (주)아이엠 카메라 모듈
CN110989127A (zh) * 2019-12-31 2020-04-10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光学变焦马达、摄像装置及移动终端
US10747015B2 (en) 2016-03-17 2020-08-1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WO2021149992A1 (ko) * 2020-01-20 2021-07-29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3992825A (zh) * 2021-10-19 2022-01-28 广西柳钢东信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网络的视频监控装置
US11294262B2 (en) 2017-03-30 2022-04-05 Lg Innotek Co., Ltd.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CN114401361A (zh) * 2021-12-28 2022-04-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结构及电子设备
WO2022141191A1 (zh) * 2020-12-30 2022-07-07 欧菲光集团股份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WO2023085644A1 (ko) * 2021-11-12 2023-05-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US11822212B2 (en) 2015-11-04 2023-11-21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12259636B2 (en) 2017-02-10 2025-03-2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WO2025100893A1 (ko) * 2023-11-10 2025-05-15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Cited B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7214A (zh) * 2015-05-28 2016-05-25 惠州市大亚湾永昶电子工业有限公司 带抖动校正功能的透镜驱动装置
CN106896465A (zh) * 2015-09-29 2017-06-27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
CN106896465B (zh) * 2015-09-29 2019-10-25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
US11822212B2 (en) 2015-11-04 2023-11-21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170068807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135562A1 (ko) * 2016-02-01 2017-08-10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CN107852448A (zh) * 2016-02-01 2018-03-27 亚必凯电子机械设备股份有限公司 便携式终端用相机致动器及相机模块
US11256109B2 (en) 2016-03-17 2022-02-2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US10747015B2 (en) 2016-03-17 2020-08-1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US11709374B2 (en) 2016-03-17 2023-07-2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20170109767A (ko) * 2016-03-22 2017-10-10 (주)파트론 렌즈 구동 장치
JP2018017945A (ja) * 2016-07-29 2018-02-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該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KR20180013770A (ko) * 2016-07-29 2018-02-0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CN107664896B (zh) * 2016-07-29 2020-09-29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以及该透镜驱动装置的制造方法
KR20180013772A (ko) * 2016-07-29 2018-02-0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CN107664897B (zh) * 2016-07-29 2020-08-25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以及该透镜驱动装置的制造方法
CN107664897A (zh) * 2016-07-29 2018-02-06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以及该透镜驱动装置的制造方法
CN107664896A (zh) * 2016-07-29 2018-02-06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以及该透镜驱动装置的制造方法
US10466502B2 (en) 2016-07-29 2019-11-05 Alps Alpine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ens driving device
KR20180092720A (ko) * 2017-02-10 2018-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2259636B2 (en) 2017-02-10 2025-03-2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KR20180110999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US11543735B2 (en) 2017-03-30 2023-01-03 Lg Innotek Co., Ltd.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20220160522A (ko) * 2017-03-30 2022-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230096952A (ko) * 2017-03-30 2023-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US11747715B2 (en) 2017-03-30 2023-09-05 Lg Innotek Co., Ltd.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20210151752A (ko) * 2017-03-30 2021-1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US11294262B2 (en) 2017-03-30 2022-04-05 Lg Innotek Co., Ltd.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20180110997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210122735A (ko) * 2017-03-30 2021-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WO2018186673A1 (ko) * 2017-04-05 2018-10-11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80113024A (ko) * 2017-04-05 2018-10-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20011767A (ko) * 2017-04-05 2022-0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80113022A (ko) * 2017-04-05 2018-10-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0603485A (zh) * 2017-04-05 2019-12-20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单元及包括透镜驱动单元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US11283974B2 (en) 2017-04-05 2022-03-2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same
CN114217492A (zh) * 2017-04-05 2022-03-2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单元及包括透镜驱动单元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CN110603485B (zh) * 2017-04-05 2022-01-2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单元及包括透镜驱动单元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CN114217492B (zh) * 2017-04-05 2024-02-23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单元及包括透镜驱动单元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KR20230019174A (ko) * 2017-04-05 2023-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20220174192A1 (en) * 2017-04-05 2022-06-0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same
US11838614B2 (en) 2017-04-05 2023-12-0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same
JP2020516929A (ja) * 2017-04-05 2020-06-11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駆動装置、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US11327333B2 (en) 2017-06-30 2022-05-1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WO2019004765A1 (ko) * 2017-06-30 2019-01-03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2124054B2 (en) 2017-06-30 2024-10-2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190031804A (ko) 2017-09-18 2019-03-27 (주)아이엠 카메라 모듈
WO2021135185A1 (zh) * 2019-12-31 2021-07-08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光学变焦马达、摄像装置及移动终端
CN110989127A (zh) * 2019-12-31 2020-04-10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光学变焦马达、摄像装置及移动终端
WO2021149992A1 (ko) * 2020-01-20 2021-07-29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22141191A1 (zh) * 2020-12-30 2022-07-07 欧菲光集团股份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3992825B (zh) * 2021-10-19 2023-12-15 广西柳钢东信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网络的视频监控装置
CN113992825A (zh) * 2021-10-19 2022-01-28 广西柳钢东信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网络的视频监控装置
WO2023085644A1 (ko) * 2021-11-12 2023-05-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CN114401361A (zh) * 2021-12-28 2022-04-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结构及电子设备
WO2025100893A1 (ko) * 2023-11-10 2025-05-15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4719A (ko) 카메라 모듈
KR102370739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
CN103901701B (zh) 透镜驱动装置、摄像模块以及附带摄像机的便携式终端
KR10150402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I648568B (zh)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ing device
TWI658300B (zh) 鏡頭驅動裝置、相機模組以及相機搭載裝置
TWI648569B (zh) 鏡頭驅動裝置、照相機模組以及付照相機的攜帶終端
TWI654460B (zh) 鏡頭驅動裝置、相機模組以及相機搭載裝置
KR102513041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160121298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19113638A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4204934A (zh) 透镜驱动装置及摄像机
CN102879973A (zh) 透镜架驱动装置
WO2015043459A1 (en) Lens driving apparatus
TW201804195A (zh) 鏡頭驅動裝置、相機模組及配備相機的裝置
JP2009086319A (ja) 防振ユニット、撮影ユニット、および撮影装置
CN110361825B (zh) 透镜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40011850A (ko) 카메라 모듈
KR20170109767A (ko) 렌즈 구동 장치
JP2009086320A (ja) 防振ユニット、撮影ユニット、および撮影装置
KR20140107903A (ko) 카메라 모듈
KR102029953B1 (ko) 카메라 모듈
KR20150085611A (ko) 카메라 모듈
KR20140089780A (ko) 카메라 모듈
JP5117809B2 (ja) 防止ユニット、撮影ユニット、および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43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