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551A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4551A KR20150064551A KR1020130149390A KR20130149390A KR20150064551A KR 20150064551 A KR20150064551 A KR 20150064551A KR 1020130149390 A KR1020130149390 A KR 1020130149390A KR 20130149390 A KR20130149390 A KR 20130149390A KR 20150064551 A KR20150064551 A KR 20150064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 information
- app
- image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기 설정된 앱스토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앱 정보를 상기 앱스토어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상기 앱스토어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를 기반으로 앱 정보 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앱 정보 레이어를 결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riginal imag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predetermined application store;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is requested and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store and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mage and the ap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store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integrated image file by combining the original imag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 이미지를 통해 획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easily and easily installing an application obtained through a photographic image.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무선 인터넷, 메시지 송수신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functions capable of carrying out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while being portable.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playback of a music file or a moving picture file, game, broadcast reception, wireless Interne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layer).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핑을 하거나, 메신저에 접속해 친구나 직장 동료와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전자메일을 전송하거나 수신된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앱스토어(App store)에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surf the web, access the messenger, exchange conversations with friends or work colleagues, and check e-mail transmission or the contents of received e-mail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desired by the user can be downloaded from an application store (App store).
그런데, 안드로이드 마켓(Android Market) 등과 같은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개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데도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주변의 지인으로부터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을 추천받아 설치하거나, 혹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에 접속하여 추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However, as the number of applications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App Store such as the Android Market is rapidly increasing, it takes much time for the user to search for and download the desired application, and it is difficult to select an appropriate application exist.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nstalls a recommended application from a nearby acquaintance or connects to a separate server that provides the application, and installs a recommended application.
특히,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주변 지인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소정의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좀 더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Particularly, a user of a mobile terminal occasionally tries to install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which is a peripheral site, in his / her terminal. In this case,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n inconvenience to access a predetermined app store, to input the name of the application, and to search for and install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name. Accordingly,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method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another terminal more easily and easily.
본 발명은 원본 이미지와 앱 정보 레이어가 통합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통합 이미지를 통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generate an image in which an original image and an app information layer are integrated and can easily install and execute a desired application through the generated integrated image.
본 발명은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기 설정된 앱스토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앱 정보를 상기 앱스토어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상기 앱스토어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를 기반으로 앱 정보 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앱 정보 레이어를 결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original imag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predetermined application store;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is requested and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store and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mage and the ap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store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integrated image file by combining the original imag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layer.
또한, 본 발명은 원본 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앱 정보를 기 설정된 앱스토어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상기 앱스토어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를 기반으로 앱 정보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앱 정보 레이어를 결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extracting text information from an original image,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app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from the predetermined app store if the extracted text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name of the application; Generating an app information layer based 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mage and ap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store; And combining the original imag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layer to generate an integrated image fi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원본 이미지와 앱 정보 레이어가 결합된 통합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통합 이미지에 포함된 앱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설치 또는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generates an integrated image in which an original image and an app information layer are combined, thereby allowing a user to easily install or execute a corresponding application through touch inputting on an app icon included in an integrated image .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Meanwhile, various other effects will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앱 정보 레이어가 포함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앱스토어와 앱 정보 요청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앱 정보 레이어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앱 아이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앱 정보 데이터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앱 정보 레이어가 포함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통합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앱 아이콘을 설치, 실행 또는 공유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통합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앱 아이콘들을 설치, 실행 또는 공유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2;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 integrated image file including an app information layer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questing an application store and an applic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pp informa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app icon included in an original imag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pp information data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an integrated image file including an application information layer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mobile terminal installing, executing, or sharing an application icon included in an integrated image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that installs, executes, or shares a plurality of application icons included in an integrated image f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camera, tablet computers, e-book terminals, and the like. In addition, suffixes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functional components.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1, a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can be received by the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A GPS (Global Position System)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An A / V (Audio / Video)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미도시)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미도시)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A microphone (not shown)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압력센서(143)는 이동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The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s the acceleration of a small value built in the airbag system of an automobile and recognizes the minute motion of the human hand and measures the acceleration of a large value used as an input means such as a game There are various kinds. Acceleration sensors are usually constructed by mounting two or three axes in one package.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only one axis of Z axis is required. Therefore,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is used instead of the Z-axis direction for some reason,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main substrate by using a separate piece substrate.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The gyro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and it can sense the direction of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If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5)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 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스마트 폰에 설치 및 실행 가능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의 명칭을 저장하고 있는 앱 텍스트 DB를 포함한다. 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xternal appearan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bar type mobile terminal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mong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et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type mobi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types.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Referring to FIG. 2, the case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가 배치되고, 리어 케이스(100-2)의 하부 면에는 마이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미도시)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제1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와 후술하는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메뉴 키로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메뉴를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홈 키로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상관없이 대기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백 키로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취소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a functional aspect, the first
또한, 제4 사용자 입력부(즉, 사이드 키, 130d)는 슬립 모드(sleep mode)와 웨이크 업(wake-up mode) 모드 사이를 상호 전환하기 위한 키로 작동하거나, 혹은 이동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립 모드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소비를 절약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의 백라이트가 꺼진 상태를 가리키고, 웨이크 업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백라이트가 켜진 상태를 가리킨다. Also, the fourth user input unit (i.e., the side key 130d) may operate as a key for switching between a sleep mode and a wake-up mode, or may operate as a special function within the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5 사용자 입력부(130e)가 배치되고, 리어 케이스(100-2)의 하부 면에는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3, a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 인접하게 다른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The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A second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rear case 100-2.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앱 정보 레이어가 구비된 통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합 이미지를 통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rego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앱 정보 레이어가 포함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 integrated image file including an app informa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카메라(121)를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한다(S405). 이때, 상기 피사체는,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앱 아이콘들이 표시된 타 단말기의 스크린 화면이거나, 혹은 앱 아이콘들이 표시된 전자문서, 잡지, 신문, 광고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4, the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앱 아이콘이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사진 촬영을 통해 획득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이동 단말기(100)는 사진 촬영 외에, 원본 이미지를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혹은 특정 웹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획득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original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con is acquired through photograph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제어부(180)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획득한 원본 이미지를 스캔하여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추출한다(S410).The
제어부(180)는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title)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앱 텍스트 DB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S415, S420). 여기서, 앱 텍스트 DB는, 스마트 폰에 설치 및 실행 가능한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명칭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The
상기 검색 결과,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앱 텍스트 DB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일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기 설정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한다(S465). 이후, 제어부(180)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이미지 파일 생성 절차를 종료한다.If the extracted text information does not exist in the app text DB, the
한편, 상기 검색 결과,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앱 텍스트 DB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앱스토어(app store)와 앱 정보 요청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425). 여기서, 앱스토어는, 스마트 폰의 운영 체제(iOS 또는 안드로이드 등)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다운받을 수 있는 웹 사이트 또는 웹 서버를 지칭한다. 상기 앱 정보 요청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아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if the extracted text information exists in the app text DB, the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앱 매칭 정보 요청 메시지를 앱스토어(200)에 전송한다(S510). 그러면, 앱스토어(200)는 상기 텍스트 정보와 일치하는 앱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20).Referring to FIG. 5, the
제어부(180)는 앱스토어(200)로부터 수신된 앱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이미지와 상기 앱 아이콘의 이미지가 서로 동일한지를 비교한다(S530). The
상기 비교 결과, 양 이미지가 서로 동일한 경우, 제어부(180)는 원본 이미지에서 추출한 객체의 이미지를 정상적인 앱 아이콘 이미지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및 설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앱스토어(200)에 전송한다(S540). 그러면, 앱스토어(20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및 설치 URL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50). 여기서, 상기 앱 정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명칭(title) 및 버전(version) 정보를 포함한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both image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the
한편, 상기 비교 결과, 양 이미지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원본 이미지에서 추출한 객체의 이미지가 정상적인 앱 아이콘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앱 정보 요청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wo images are not identical to each other, th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앱 정보들과 앱스토어(200)로부터 수신한 앱 정보들을 기반으로, 기본적인 앱 정보 레이어를 생성한다(S430). 여기서, 상기 앱 정보 레이어는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앱 정보 레이어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4, the
도 6을 참조하면, 앱 정보 레이어(610)는 원본 이미지(650)에 포함된 복수의 앱 아이콘들에 대한 앱 위치 정보(620), 앱 이미지 정보(630), 앱 텍스트 정보(640) 및 앱 정보 데이터 블록(미도시)을 포함한다.6, the
앱 위치 정보(620)는 원본 이미지(650)에 포함된 각 애플리케이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가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650)에 포함된 특정 앱 아이콘(660)의 위치 정보는, 앱 이미지 영역(720)과 앱 텍스트 영역(730)을 포함하는 박스 영역(710)의 좌표값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The
앱 이미지 정보(630)는 원본 이미지(650)에 포함된 각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앱 텍스트 정보(640)는 원본 이미지(630)에 포함된 각 애플리케이션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The
앱 정보 데이터 블록(미도시)은 원본 이미지(650)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의 명칭, 버전, 설치 URL, 실행 경로 등에 관한 앱 정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앱 정보 데이터 블록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app information data block (not shown) includes app information about the name, version, installation URL, execution path, etc. of the app icons included in the
도 8을 참조하면, 앱 정보 데이터 블록(800)은 설치 유무 정보 필드(810), 앱 명칭 정보 필드(820), 앱 버전 정보 필드(830), 설치 URL 정보 필드(840), 실행 경로 정보 필드(850) 및 실행 순서 정보 필드(860)를 포함한다. 8, the app information data block 800 includes an installation presence / absence information field 810, an app name information field 820, an application version information field 830, an installation
설치 유무 정보 필드(810)는 원본 이미지(650)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이 단말기(100) 내에 설치되어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앱 명칭 정보 필드(82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명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앱 버전 정보 필드(83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최신 버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installation presence / absence information field 810 includes information as to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설치 URL 정보 필드(84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웹 사이트 또는 웹 서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실행 경로 정보 필드(850)는 단말기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installation
실행 순서 정보 필드(86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즉, 멀티태스킹이 실행되는 경우), 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execution order information field 86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execution order of each application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simultaneously (that is, when multitasking is executed).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430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앱 정보들과 앱스토어(200)로부터 수신한 앱 정보들을 기반으로, 앱 위치 정보, 앱 이미지 정보, 앱 텍스트 정보 및 앱 정보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는 앱 정보 레이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앱 정보 데이터 블록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앱 명칭 정보(820), 앱 버전 정보(830) 및 설치 URL 정보(840)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이다.4, in step 430, the
이후, 제어부(180)는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앱 아이콘이 단말기(100) 내에 설치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35). Thereafter, the
상기 확인 결과, 앱 아이콘이 단말기(100) 내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앱 정보 레이어를 구성하는 앱 정보 데이터 블록(800)을 업데이트한다(S440). 즉, 제어부(180)는 해당 앱 아이콘의 설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앱 정보 데이터 블록(800)의 설치 유무 정보 필드(810)에 기록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pplication icon is not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the
한편, 상기 확인 결과, 앱 아이콘이 단말기(10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설치된 앱 아이콘이 최신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45). If the application ic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the
만약, 상기 설치된 앱 아이콘이 최신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제어부(180)는 앱 정보 레이어를 구성하는 앱 정보 데이터 블록(800)을 업데이트한다(S450). 즉, 제어부(180)는 해당 앱 아이콘의 설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설치 유무 정보 필드(810)에 기록하고, 해당 앱 아이콘의 실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실행 경로 정보 필드(850)에 기록한다.If the installed app icon is the latest version of the application, the
한편, 상기 설치된 앱 아이콘이 최신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최신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업데이트한다(S455). 그 다음, 제어부(180)는 앱 정보 레이어를 구성하는 앱 정보 데이터 블록(800)을 업데이트한다(S450). 즉, 제어부(180)는 해당 앱 아이콘의 설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설치 유무 정보 필드(810)에 기록하고, 해당 앱 아이콘의 실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실행 경로 정보 필드(850)에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stalled app icon is not the latest version of the application, the
상술한 과정들을 통해, 앱 정보 레이어의 구성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원본 이미지와 앱 정보 레이어를 결합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기 설정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한다(S460). 이때, 통합 이미지 파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650)와 앱 정보 레이어(610)가 서로 통합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통합 이미지 파일은 일반 이미지 파일과 구별되도록 별도의 갤러리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app information layer is completed,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앱 정보 레이어가 포함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an integrated image file including an app informa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미지 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이미지 목록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905). 이때, 이미지 목록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일반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이러한 이미지 목록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이하, '통합 이미지'라 칭함)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910). 이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통합 이미지는, 단말기 내에서 설치 및/또는 실행 가능한 복수의 앱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If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mage file is selected in the state that the image list screen is displayed, the
상기 통합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원하는 앱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이 터치 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앱 정보 레이어에 포함된 앱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앱 아이콘을 식별한다(S915). If the area where the desired app icon is displayed is touched while the integrated image is displayed, the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앱 아이콘이 단말기(100)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920). 상기 확인 결과, 선택된 앱 아이콘이 단말기 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앱 정보 데이터 블록(800)의 설치 유무 정보 필드(810)를 업데이트한다(S925). 이러한 경우, 통상 설치 유무 정보 필드(810)를 갱신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 통합 이미지 파일을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는 실익이 있다. The
한편, 상기 확인 결과, 선택된 앱 아이콘이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앱 정보 데이터 블록(800)에 포함된 설치 URL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930). 즉, 제어부(180)는 설치 URL 정보에 해당하는 웹 사이트 또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유무를 반영하기 위해, 앱 정보 데이터 블록(810)의 설치 유무 정보 필드(810)를 업데이트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930 that the selected application icon is not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이러한 앱 정보 데이터 블록의 갱신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지, 아니면 타 단말기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팝업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935). When the update of the app information data block is completed, the
상기 팝업창에서 앱 실행 메뉴가 선택되면(S940), 제어부(180)는 앱 정보 데이터 블록(800)에 포함된 실행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한다(S945).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최신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If the application execution menu is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S940), the
또한, 상기 팝업창에서 앱 공유 메뉴가 선택되면(S950), 제어부(180)는 선택된 앱 아이콘의 공유 방법 및/또는 공유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955). 이러한 선택화면을 통해, 공유 방법 및 대상이 결정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공유 방법을 통해 해당 앱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타 단말기로 전송한다(S960). 이에 따라, 본 이동 단말기는 통합 이미지 파일 전체뿐만 아니라, 통합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개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제3 자와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팝업창에서 앱 취소 메뉴가 선택되면(965), 제어부(180)는 상술한 910 단계로 이동하여 통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다시 표시한다. If the application sharing menu is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S950), the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통합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앱 아이콘에 대한 간단한 터치 입력만으로, 해당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설치 또는 실행하거나, 혹은 타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easily install or execut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of the application, or share the application with the other terminal by simply inputting a simple touch of the icon of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integrated image file.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통합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앱 아이콘을 설치, 실행 또는 공유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0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stalling, executing or sharing an app icon included in an integrated image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미지 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이미지 목록화면(101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이미지 목록화면(1010)은 적어도 하나의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다. 또한,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1015)는 일반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와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가령,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의 일 영역에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이러한 이미지 목록화면(1010)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1015)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10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When the
상기 통합 이미지(1020)가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앱 아이콘(1021)이 표시된 영역이 터치 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앱 아이콘(1021)이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If the area where the
상기 확인 결과, 선택된 앱 아이콘(1021)이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앱 정보 레이어의 앱 정보 데이터 블록(800)에 포함된 설치 URL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ed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앱 아이콘(1021)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지, 아니면 타 단말기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팝업창(103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Then, the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팝업창(1030)이 표시된 상태에서, 앱 실행 메뉴(1031)를 선택한 후 확인 아이콘(1035)이 터치 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앱 아이콘(1021)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화면(104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11, when the pop-up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팝업창(1030)이 표시된 상태에서, 앱 공유 메뉴(1033)를 선택한 후 확인 아이콘(1035)이 터치 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앱 아이콘의 공유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105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12, when the
이러한 선택화면(105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메일 아이콘(1051)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06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실행화면(1060)의 일 영역에는 타 단말기로 전송할 파일이 첨부되고, 상기 첨부 파일은 통합 이미지 파일의 전체 혹은 그 일부일 수 있다.When the
상기 실행화면(1060)이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자 입력창(1061, 1063)을 통해 원하는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 후 전송 아이콘(1065)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해당 앱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본 이동 단말기는 통합 이미지 파일 전체뿐만 아니라, 통합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개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제3 자와 공유할 수 있다. If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통합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앱 아이콘들을 설치, 실행 또는 공유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stalling, executing or shar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cons included in an integrated image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미지 목록화면(미도시)에서 선택한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10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이러한 통합 이미지(1020)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앱 아이콘(1023, 1025, 1027, 1029)을 순차적으로 터치 앤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1070)이 수신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앱 아이콘들(1023, 1025, 1027, 1029)이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When the user input 1070 for sequentially touching and dragging the first to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앱 아이콘들(1023, 1025, 1027, 1029) 중 적어도 하나가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앱 정보 레이어에 포함된 설치 URL 정보를 참조하여 설치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selected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앱 아이콘들(1023, 1025, 1027, 1029)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바로 실행할지, 아니면 타 단말기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팝업창(미도시)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After that, the
이러한 팝업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앱 실행 메뉴(미도시)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Q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앱 아이콘들(1023, 1025, 1027, 1029)에 대해 멀티 태스킹을 수행한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앱 아이콘(1023)의 제1 실행화면(1081), 제2 앱 아이콘(1025)의 제2 실행화면(1083), 제3 앱 아이콘(1027)의 제3 실행화면(1085) 및 제4 앱 아이콘(1029)의 제4 실행화면(1087)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When the application execution menu (not shown) is selected in the state that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상기 팝업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앱 공유 메뉴(미도시)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앱 아이콘들(1023,1025, 1027, 1029)의 공유 방법 및 공유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러한 선택화면을 통해 공유 방법 및 대상이 결정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공유 방법을 통해 해당 앱 아이콘들에 관한 정보를 타 단말기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app sharing menu (not shown) is selected in the state that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th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원본 이미지와 앱 정보 레이어가 통합된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통합 이미지에 포함된 앱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설치 또는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n image in which an original image and an app information layer are integrated, thereby enabling a user to easily install or execute the application through touch inputting on an app icon included in the integrated image .
한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processo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manner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 V input unit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51: display unit 160: memory
170: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Claims (13)
상기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앱 정보를 기 설정된 앱스토어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상기 앱스토어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를 기반으로 앱 정보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앱 정보 레이어를 결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Extracting text information from an original image;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app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from the predetermined app store if the extracted text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name of the application;
Generating an app information layer based 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mage and ap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store; And
And combining the original imag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layer to generate an integrated image file.
상기 원본 이미지는, 사진 촬영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iginal image is obtained through photographing.
상기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앱 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arching whether the extracted text information exists in an app text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he extracted text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name of an application.
상기 앱스토어는, 단말기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웹 사이트 또는 웹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lication store is a web site or a web server capable of downloading various kinds of applications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앱스토어에 앱 매칭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앱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추출된 객체의 이미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앱 아이콘 이미지가 서로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from the original image;
Requesting and receiving app matching information in the app store; And
And comparing the image of the object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mage with the image of the application icon of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matching information.
상기 앱 정보 레이어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앱 위치 정보, 앱 이미지 정보, 앱 텍스트 정보 및 앱 정보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 information layer includes app position information, app image information, app text information, and an app information data block related to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상기 앱 정보 데이터 블록은,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각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유무 정보, 앱 명칭 정보, 앱 버전 정보, 설치 URL 정보, 실행 경로 정보 및 실행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data block includes at least one of installation existence information, application name information, app version information, installation URL information, execution path information, and execution order information of each applic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상기 추출된 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앱 정보 데이터 블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Determining whether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xt information i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And updating the app information data block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이미지 뷰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통합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앱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ntering an image view mode,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mage file on a display unit;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 icons included in the image.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자신의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앱 정보 레이어에 포함된 설치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And installing the application using the installation UR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layer when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con received by the user input is not installed in the terminal itself Control method.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자신의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지, 아니면 타 단말기로 공유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Displaying a pop-up window on the display unit for selecting whether to execute the application immediately or to share the appl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when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pplication ic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itself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앱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터치 앤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앱 아이콘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Performing multitasking on applica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cons when a user input for sequentially touching and dragg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cons included in the image is received, Control method.
기 설정된 앱스토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앱 정보를 상기 앱스토어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상기 앱스토어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를 기반으로 앱 정보 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앱 정보 레이어를 결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riginal imag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predetermined application store;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is requested and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store and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mage and the ap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store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integrated image file by combining the original imag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lay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49390A KR20150064551A (en) | 2013-12-03 | 2013-12-03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49390A KR20150064551A (en) | 2013-12-03 | 2013-12-03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64551A true KR20150064551A (en) | 2015-06-11 |
Family
ID=5350308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49390A Withdrawn KR20150064551A (en) | 2013-12-03 | 2013-12-03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64551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80373576A1 (en) * | 2015-12-08 | 2018-12-27 |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system, and terminal device |
-
2013
- 2013-12-03 KR KR1020130149390A patent/KR20150064551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80373576A1 (en) * | 2015-12-08 | 2018-12-27 |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system, and terminal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35606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50083678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40080007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 KR20140143610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50068175A (en) | Operating Method for Mobil terminal | |
| KR20150084304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50039999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896255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20001477A (en) | Mobi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 |
| KR20150084579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50000681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50064551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661974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769556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7005522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50010182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50093023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685349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672216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679572B1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973649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
| KR20150030054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661975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50041479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50086764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