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78296A - 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296A
KR20150078296A KR1020130167545A KR20130167545A KR20150078296A KR 20150078296 A KR20150078296 A KR 20150078296A KR 1020130167545 A KR1020130167545 A KR 1020130167545A KR 20130167545 A KR20130167545 A KR 20130167545A KR 20150078296 A KR20150078296 A KR 20150078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light emitting
lead frame
bonding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일진엘이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엘이디(주) filed Critical 일진엘이디(주)
Priority to KR102013016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296A/en
Priority to PCT/KR2014/010917 priority patent/WO2015102225A1/en
Publication of KR2015007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296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4Coatings, e.g. passivation layers or antireflective coatings
    • H10H20/841Reflective coatings, e.g. dielectric Bragg refle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7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27011Involving a permanent auxiliary member, i.e. a member which is left at least partly in the finished device, e.g. coating, dummy feature
    • H01L2224/27013Involving a permanent auxiliary member, i.e. a member which is left at least partly in the finished device, e.g. coating, dummy feature for holding or confining the layer connector, e.g. solder flow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38Bonding interfaces outside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01L2224/83385Shape, e.g. interlocking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36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ckages
    • H10H20/0364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ckages of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10H20/831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bodie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갖는 발광 구조물;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및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 상기 발광 구조물,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 중 적어도 일 영역 상에 형성된 반사 절연층; 상기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트랜치를 구비하는 리드 프레임; 및 상기 반사 절연층과 리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딩 패드와 리드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합시키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having a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 substrate; A first bonding pad and a second bonding 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A reflective insulation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reg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first bonding pad, and the second bonding pad; A lead fram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onding pad and the second bonding pad, the lead frame having at least one first trench; And a conductive paste formed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and the lead frame to electrically bo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and the lead frame to each other.

Description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0001] 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 [0002]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립 타입으로 부착되는 발광 구조물,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가 안정적으로 절연되도록 함과 더불어 바닥면에서 산란되는 광을 수직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절연층의 도입에 따른 반사율의 증가로 광 추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stably insulat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 first bonding pad, and a second bonding pad, which are attached in a flip ty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that can maximiz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due to an increase in reflectance due to introduction of a reflective insulating layer.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는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의 재결합(re-combination)시 발생하는 발광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대표적인 발광소자로서, GaN과 같은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가 있다.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밴드 갭(band gap)이 커서 다양한 색광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A light emitting device is a device using a light emitting phenomenon occurring when electrons and holes are re-combined. As a typical light emitting device, there is a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nitride semiconductor such as GaN. Th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s a wide band gap and can realize various color light, and h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is applied to many fields.

이러한 발광소자의 경우, 패키지를 통하여 제품화된다. 발광 소자 패키지는 통상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다. 우선, 패키지 기판에 발광소자를 실장하고, 배선공정을 통하여 발광소자에 구비된 전극을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후, 형광체가 포함된 봉지재를 패키지 기판 상에 도포하고 경화시켜 발광 소자를 몰딩한다.In the case of such a light emitting element, the package is commercialized.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s usually manufactured by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 light emitting device is mounted on a package substrate, and an electrode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ode through a wiring process. Then, an encapsulant containing a fluorescent material is coated on the package substrate and cured to mold the light emitting device.

최근에는 플립 타입으로 패키지 기판에 발광소자를 실장함으로써, 발광소자와 패키지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 경로를 단축시켜 고속 동작으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에 있다.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horten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h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package substrate and use the device in a high-speed operation by moun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on the package substrate in the flip type.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38937호(2010.04.15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발광소자 패키지가 기재되어 있다.
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38937 (Apr. 15, 2010), which discloses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 절연층의 도입으로 반사율이 증가되어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층과 리드 프레임 간의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reliability in which the reflectance is increased by introducing a reflective insulating layer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s well as securing excellent adhesion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lead fr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갖는 발광 구조물;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및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 상기 발광 구조물,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 중 적어도 일 영역 상에 형성된 반사 절연층; 상기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트랜치를 구비하는 리드 프레임; 및 상기 반사 절연층과 리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딩 패드와 리드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합시키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having a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 substrate; A first bonding pad and a second bonding 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A reflective insulation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reg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first bonding pad, and the second bonding pad; A lead fram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onding pad and the second bonding pad, the lead frame having at least one first trench; And a conductive paste formed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and the lead frame to electrically bo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and the lead frame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는 리드 프레임 상에 플립 타입으로 부착되는 발광 구조물,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를 덮도록 형성된 반사 절연층에 의해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가 안정적으로 절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배치되는 반사 절연층에 의해 산란되는 광이 수직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으므로 반사율이 증가되어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nding pad and a second bonding pad by a reflective insulation layer formed to cover a light emitting structure, a first bonding pad, and a second bonding pad, Not only can it be stably insulated, but also the light scattered by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can be refl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reflectance is increased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는 반사 절연층의 일부분이 제거된 제2 트랜치와 제2 트랜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리드 프레임의 일 부분이 제거된 제1 트랜치를 설계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본딩 패드와 리드 프레임 사이에 도포되는 전도성 페이스트가 리플로우시 용융되는 과정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접한 위치의 리드 프레임들 상호 간이 단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반사 절연층과 리드 프레임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소자의 신뢰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Further, the light 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designing the first trench in which a part of the lead insulating film is removed, the second trench in which a part of the reflection insulating layer is removed and the first trench, , The conductive paste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and the lead frame is prevented from flowing down during the reflow melting process, so that the lead frames of adjacent positions can be prevented from shorting to each other, The adhesion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and the lead frame can be improv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can be stably secu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매개로 발광 구조물,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를 플립 타입으로 실장함으로써, 금속 와이어를 이용하는 종래 방식과 비교해 볼 때, 전기적 연결 경로가 짧아져 응답 속도가 빨라져 고 전류를 인가하는 고속 동작에 활용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mount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 first bonding pad, and a second bonding pad in a flip type via a conductive paste.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method using a metal wire, The response speed becomes faster, and thus it can be utilized for high-speed operation of applying a high curr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반사 절연층, 리드 프레임 및 전도성 페이스트 부분을 확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the lead frame, and the conductive paste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100)는 발광 구조물(115), 제1 본딩 패드(120), 제2 본딩 패드(130), 반사층(140), 리드 프레임(150) 및 전도성 페이스트(1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light emitting device 100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a first bonding pad 120, a second bonding pad 130, 140, a lead frame 150, and a conductive paste 160.

발광 구조물(115)은 기판(110)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 활성층(112) 및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을 갖는다.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has a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an active layer 112 and a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on a substrate 110.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은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은 실리콘(Si)을 도핑한 AlGaN으로 이루어진 제1층(미도시)과, 언도우프의 GaN(undoped-GaN)로 이루어진 제2층(미도시)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은 단일의 질화물층으로 성장시키는 것도 무방하나, 버퍼층(미도시)을 포함한 제1층과 제2층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적층 구조로 성장시켜야 크랙이 없는 우수한 결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층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includes a first layer (not shown) made of AlGaN doped with silicon (Si) and a second layer (not shown) made of undoped GaN And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formed alternately. Of course,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may be grown as a single nitride layer, but it must be grown in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ncluding a buffer layer (not shown) are alternately formed.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it in a laminated structure.

이때, 기판(110)은 질화물 반도체 단결정을 성장시키기에 적합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사파이어 기판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기판(110)으로는 사파이어 기판 이외에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ZnO), 갈륨 나이트라이드(gallium nitride, GaN), 실리콘(silicon, Si),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SiC),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등에서 선택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판(110)과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 사이에는 버퍼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퍼층은 선택적으로 기판(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층으로, 기판(110)과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 사이의 격자 부정합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며, 그 재질로는 AlN, GaN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bstrate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itable for growing a nitride semiconductor single crystal. Typically, a sapphire substrate is exemplified. In addition to the sapphire substrate, zinc oxide (ZnO), gallium nitride (GaN), silicon (Si), silicon carbide (SiC), aluminum nitride ), And the lik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buffer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At this time, the buffer layer is sel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he buffer layer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eliminating lattice mismatch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May be selected from AlN, GaN, and the like.

활성층(112)은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활성층(112)은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과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 사이에서 단일양자우물구조 또는 양자우물층과 양자장벽층이 교대로 다수 적층된 다중양자우물(multi-quantum well : MQW)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활성층(112)은 Al이 포함된 AlGaInN의 4원계 질화물층으로 이루어진 양자장벽층과, InGaN으로 이루어진 양자우물층에 의해 다중양자우물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다중양자우물 구조의 활성층(112)은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에 의한 자발적인 분극을 억제할 수 있다.The active layer 112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The active layer 112 has a single quantum well structure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or a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quantum well layers and a quantum barrier layer are alternately stacked a multi-quantum well (MQW) structure. That is, the active layer 112 has a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 by a quantum barrier layer made of a quaternary nitride layer of AlGaInN containing Al and a quantum well layer made of InGaN. The active layer 112 having such a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 can suppress spontaneous polarization due to stress and deformation that occurs.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은, 일 예로, Mg을 p형 도펀트로 도핑한 p형 AlGaN의 제1층(미도시)과, Mg을 도핑한 p형 GaN로 이루어진 제2층(미도시)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은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과 마찬가지로 캐리어 제한층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includes, for example, a first layer (not shown) of p-type AlGaN doped with Mg with a p-type dopant and a second layer (not shown) made of p-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formed alternately. Further,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can act as a carrier limiting layer like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제1 본딩 패드(120) 및 제2 본딩 패드(130)는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1) 및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 상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 본딩 패드(120) 및 제2 본딩 패드(130)는 전자빔(E-Beam) 증착, 열 증발 증착(Thermal Evaporation). 스퍼터링 증착(Sputtering deposition)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본딩 패드(120) 및 제2 본딩 패드(130)는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본딩 패드(120) 및 제2 본딩 패드(130)는 Au, Cr-Au 합금 등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nding pad 12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30 are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1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bonding pad 12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30 are formed by E-beam deposition, thermal evaporation, and the like. And may be formed by any one method selected from sputtering deposition and the like. The first bonding pad 12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3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by using the same mask. At this time, the first bonding pad 12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Au, Cr-Au alloy, and the like.

반사 절연층(140)은 발광 구조물(115), 제1 본딩 패드(120) 및 제2 본딩 패드(130) 중 적어도 일 영역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반사 절연층(140)은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킴과 더불어, 발광 구조물(115)의 활성층(11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측 수직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사 절연층(150)은 발광 구조물(115), 제1 본딩 패드(120) 및 제2 본딩 패드(1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발광 구조물(115)로부터 출사되어 산란되는 산란 광을 수직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eflective insulation layer 140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the first bonding pad 12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30. The reflective insulation layer 140 electrically isolates the anode and the cathode from each other and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2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in an upward vertical directio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50 serves to protect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the first bonding pad 12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30 and the scatter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and scatt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반사 절연층(140)은 금속층, 금속산화물, 금속질화물 및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층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 절연층(140)은 Si, Mg, Ti, Al, Zn, C, In, Sn이 포함된 화합물 및 혼합물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산화물, 불화물, 황화물 또는 질화물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metal layer, a metal oxide, a metal nitride, and a DBR (distributed Bragg reflector) layer. Specifically,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containing Si, Mg, Ti, Al, Zn, C, In, and Sn and mixtures thereof, and any of oxides, fluorides, sulfides, One can be selected and used.

또한, 반사 절연층(140)은 다층으로 이루어져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층 또는 ODR(Omni Directional Reflector)층 중의 어느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반사층(140)이 DBR층으로 사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DBR층으로 적용되는 Si, Ti, Ta, V, Cr, Mg, Al, Zn, In, Sn, C가 포함된 화합물, 혼합물, 산화물 및 질화물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불화물, 황화물 및 질화물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산화물, 질화물 또는 불화물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DBR의 두께는 10 ~ 900Å이 바람직하며, 적층되는 주기는 제한을 두지는 않지만, 20주기(k=20)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and may be a DBR (Distributed Bragg Reflector) layer or an ODR (Omni Directional Reflector) layer. At this time, when the reflective layer 140 is used as a DBR layer,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e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mixtures, oxides and nitrides of Si, Ti, Ta, V, Cr, Mg, Al, Zn, In, Sn and C applied as a DBR layer. Sulfide, and nitride. Among them, any one of the oxides, nitrides or fluorides is more preferable. The thickness of the DBR is preferably 10 to 900 angstroms, and the period of lamination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20 periods (k = 20) or less.

한편, 반사 절연층(140)이 ODR로 사용하는 경우 4개의 층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ODR 1층은 제1 굴절률이 낮은 유전체 박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DR 1층은 Si, Ti, Mg, Al, Zn, In, Sn, C가 포함된 화합물, 혼합물, 산화물 및 질화물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불화물, 황화물 및 질화물 중에 어느 하나의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중 산화물 및 불화물의 형태가 상기 ODR로 사용하는 경우는 4개의 층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ODR 1층은 제1 굴절률이 낮은 유전체 박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ODR 1층은 Si, Ti, Mg, Al, Zn, In, Sn, C가 포함된 화합물, 혼합물, 산화물 및 질화물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불화물, 황화물 및 질화물 중에 어느 하나의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중 산화물 및 불화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두께는 10 ~ 5,000Å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두께는 10 ~ 1,000Å 두께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is used as an ODR, it is preferable to form four layers. It is preferable to use a dielectric thin film having a low first refractive index for the ODR 1 layer. The ODR 1 layer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mixtures, oxides and nitrides including Si, Ti, Mg, Al, Zn, In, Sn and C, and any one of fluoride, sulfide and nitride Can be selected and used. When the form of the double oxide and the fluoride is used as the ODR, it is preferable to form four layers. The ODR 1 layer is characterized by using a dielectric thin film having a low first refractive index. The ODR 1 layer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mixtures, oxides and nitrides including Si, Ti, Mg, Al, Zn, In, Sn and C, and any one of fluoride, sulfide and nitride Can be selected and used. Binary oxides and fluoride forms are preferred. The thickness may be 10 to 5,000 angstroms, and the preferred thickness is 10 to 1,000 angstroms.

ODR 2층은 상기 제1층과 같이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ODR 2층의 재료는 Ag, Al, Pt, Ru, Rh, Pd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화합물, 혼합물, 산화물 및 질화물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ODR 2층의 두께는 1,000 ~ 10,000Å이 바람직하며, 1,000 ~ 5,000Å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ODR 2 layer serves to reflect the emitted light like the first layer. The material of the ODR 2 lay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 Al, Pt, Ru, Rh and Pd, or a compound, a mixture, an oxide and a nitride thereof. The thickness of the ODR 2 layer is preferably 1,000 to 10,000 angstroms, more preferably 1,000 to 5,000 angstroms.

ODR 3층은 상기 제2층의 산화를 방지하고,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ODR 3층은 Si, Ti, Mg, Al, Zn, In, Sn, C이 포함된 화합물, 혼합물, 산화물 및 질화물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불화물, 황화물, 질화물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 산화물, 질화물 및 불화물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가 더욱 좋다. 상기 ODR 3층은 100 ~ 20,000Å이 좋으며, 1,000 ~ 20,000Å이 더욱 바람직하다. ODR 4층은 상기 ODR 3층과 제1 및 제2 본딩 패드(120, 130)을 붙여주며, 경우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ODR 4층의 물질은 Ti, Ni, Cr, Co, Fe, Hf, Pd, Zr, Pt, Y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화합물, 혼합물, 산화물 및 질화물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4층의 두께는 1 ~ 2,000Å이 바람직하며, 500Å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The ODR 3 layer prevents oxidation and electrically insulates the second layer. The ODR 3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mixtures, oxides, and nitrides including Si, Ti, Mg, Al, Zn, In, Sn and C, and any one of fluoride, sulfide, . Among them, any one of oxide, nitride and fluoride is preferable. The ODR 3 layer is preferably 100 to 20,000 angstroms, more preferably 1,000 to 20,000 angstroms. The ODR 4 layer attaches the ODR 3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20 and 130,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case. The material of the ODR 4 lay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 Ni, Cr, Co, Fe, Hf, Pd, Zr, Pt and Y or a compound, a mixture, an oxide and a nitride thereof. The thickness of the fourth layer is preferably 1 to 2,000 angstroms, and more preferably 500 angstroms or less.

리드 프레임(150)은 제1 본딩 패드(120) 및 제2 본딩 패드(1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트랜치(T1)를 구비한다. 이러한 리드 프레임(150)의 재질로는 구리(Cu),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텅스텐(W)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The lead frame 150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bonding pad 12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30 and includes at least one first trench T1. As the material of the lead frame 150, one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copper (Cu),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tungsten (W)

제1 트랜치(T1)는 제1 및 제2 본딩 패드(120, 130)와 리드 프레임(150) 사이에 각각 도포되는 전도성 페이스트(160)가 리플로우시 용융되는 과정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반사 절연층(140)과 리드 프레임(15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트랜치(T1)는 리드 프레임(150) 전체 두께의 1 ~ 95%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트랜치(T1)의 두께가 리드 프레임(150) 전체 두께의 1% 미만일 경우에는 전도성 페이스트(160)가 충진되는 공간이 협소해지는 관계로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제1 트랜치(T1)의 두께가 리드 프레임(150) 전체 두께의 95%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면적 설계로 인해 리드 프레임(150)의 전기 전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The first trench T1 prevents the conductive paste 160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20 and 130 and the lead frame 150 from flowing down during the reflow melting process,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lead frame 15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rench T1 has a thickness of 1 to 95% of the entire thickness of the lead frame 150.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trench T1 is less than 1% of the entire thickness of the lead frame 150, the space filled with the conductive paste 160 may be narrowed, resulting in difficulty in properly exhibiting the above effects. Conversely,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trench T1 exceeds 9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lead frame 150, it may cause a decreas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lead frame 150 due to an excessive area design.

전도성 페이스트(160)는 반사 절연층(140)과 리드 프레임(15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본딩 패드(120, 130)와 리드 프레임(150)을 전기적으로 접합시킨다. 이때, 전도성 페이스트(160)는 반사 절연층(140)과 리드 프레임(150) 사이 및 반사 절연층(140)과 제1 트랜치(T1) 사이에 각각 충진된다. 이때, 리드 프레임(150) 상에 배치되는 전도성 페이스트(160)를 매개로 발광 구조물(115), 제1 본딩 패드(120) 및 제2 본딩 패드(130)를 플립 타입으로 실장할 경우, 금속 와이어를 이용하는 종래 방식과 비교해 볼 때, 전기적 연결 경로가 짧아져 응답 속도가 빨라질 수 있으므로 고 전류를 인가하는 고속 동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The conductive paste 160 is formed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lead frame 150 to electrically bo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20 and 130 and the lead frame 150. [ At this time, the conductive paste 160 is filled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lead frame 150, and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first trench T1. In this case, wh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the first bonding pad 12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30 are mounted in a flip type via the conductive paste 160 disposed on the lead frame 150,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h is shortened and the response speed can be increased, so that a high-speed operation in which a high current is applied can be made possible.

한편,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100)는 투명 전도층(116), 반사층(117) 및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light emitting device 100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6, a reflective layer 117, and a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투명 전도층(116)은 발광 구조물(115)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투명 전도층(116)은 투명하고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니켈(Ni)과 금(Au)의 복합층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전도층(116)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IAZO(Indium Alumin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IGTO(Indium Gallium Tin Oxide), ATO(Aluminum Tin Oxide), IWO(Indium Tungsten Oxide), CIO(Cupper Indium Oxide), MIO(Magnesium Indium Oxide), MgO, ZnO, In2O3, TiTaO2, TiNbO2, TiOx, RuOx 및 IrOx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층이나 그들의 복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6 i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6 is made of a transparent and conductive material, and may include a metal, for example, a complex layer of nickel (Ni) and gold (Au).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6 may include an oxi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indium zinc tin oxide (IZTO), aluminum zinc oxide (AZO) Indium Aluminum Zinc Oxide), GZO (Gallium Zinc Oxide), IGO (Indium Gallium Oxide), 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 IGTO (Indium Gallium Tin Oxide), ATO (Aluminum Tin Oxide) Layer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IO (Cupper Indium Oxide), MIO (Magnesium Indium Oxide), MgO, ZnO, In 2 O 3 , TiTaO 2 , TiNbO 2 , TiOx, RuOx and IrOx, .

반사층(117)은 투명 전도층(116) 상에 형성된다. 반사층(117)은 높은 광 반사도를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Ag, Al, Au, Pd, Pt, Ru 및 Rh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거나, 그들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층(117)은 광 반사층(미도시) 및 금속 산화 방지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반사층(117)은 Ag 재질로 이루어진 광 반사층 및 Ni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 산화 방지층이 차례로 적층된 다층의 금속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사층(117)은 500 ~ 50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 3500Å를 제시할 수 있다.A reflective layer 117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6. The reflective layer 117 is made of a metal having high light reflectivity, and may b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among Ag, Al, Au, Pd, Pt, Ru, and Rh, or an alloy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reflection layer 117 may include a light reflection layer (not shown) and a metal oxidation prevention layer (not shown). That is, the reflective layer 117 is preferably a multi-layer metal layer in which a light reflection layer made of an Ag material and a metal oxidation prevention layer made of a Ni material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reflective layer 117 may have a thickness of 500 to 5000 ANGSTROM, more preferably 1500 to 3500 ANGSTROM.

이때, 플립 방식의 발광 소자의 경우, 반사층(117)의 재질로 반사율이 높은 Ag가 주로 사용된다. Ag의 일함수가 5eV 이하로 낮기 때문에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과의 접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반사층(117)과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 간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과 반사층(117) 사이에 투명 전도층(116)을 적용하였다. 이와 같이, 투명 전도층(116)을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과 반사층(117) 사이에 삽입하면, 투명 전도층(116)이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113)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순방향 전압(Vf) 및 광학적 출력(PO; Optical Power)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flip-type light emitting device, Ag having a high reflectivity is mainly used as the material of the reflection layer 117. Since the work function of Ag is as low as 5 eV or less, adhesion with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is not properly performe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6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the reflective layer 117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adhesion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117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 ) Were applied. Thus, whe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6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the reflective layer 117,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6 is firmly attached to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3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orward voltage Vf and optical power (PO) characteristics.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은 반사층(117)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은 Cr, Ni, Pt, Ti, Au, Cu 및 W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의 금속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is formed on the reflective layer 117.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is a multilayer metal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 Ni, Pt, Ti, Au, Cu and W.

이러한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은 반사층(117)과 제1 및 제2 본딩 패드(120, 130) 간의 계면에서 각각의 물질이 융화되어 반사층(117)의 특성, 특히 반사율 및 접촉저항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is formed by melting the respective material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reflection layer 117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20 and 130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on layer 117, There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은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형성된 제1 접착 금속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착 금속층의 재질로는 Cr 또는 Ti를 포함하는 금속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접착 금속층은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과 반사층(117)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고,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 금속층은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과 제1 및 제2 본딩 패드(120, 13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dhesive metal layer (not shown) form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adhesive metal layer, it is preferable to use a metal layer containing Cr or Ti.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metal layer disposed on 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dhesion between 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and the reflective layer 117, and the first metal diffusion The first adhesive metal layer disposed under the barrier layer 118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dhesion between 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20 and 130.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본딩 패드(120, 130) 각각은 상부 접착 금속층(미도시)과, 제2 금속 확산 장벽층(미도시)과, 하부 접착 금속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접착 금속층 및 하부 접착 금속층 각각은 Ti 또는 Au를 포함하는 금속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접착 금속층은 제1 및 제2 본딩 패드(120, 130)와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고, 하부 접착 금속층은 제1 및 제2 본딩 패드(120, 130)와 제1 및 제2 범프(미도시) 또는 외부 전극 단자(15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Although not show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20 and 130 may include an upper adhesive metal layer (not shown), a second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not shown), a lower adhesive metal layer (not shown) . ≪ / RTI > At this time, each of the upper adhesive metal layer and the lower adhesive metal layer preferably uses a metal layer containing Ti or Au. The upper adhesive metal layer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20 and 130 and 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and the lower adhesive metal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20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bumps (not shown) or the external electrode terminal 150, as shown in FIG.

제2 금속 확산 장벽층은 Cr, Ni, Pt, Ti, Au, Cu 및 W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의 금속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및 제2 본딩 패드(120, 130)와 제1 금속 확산 장벽층(118) 간의 계면에서 각각의 물질이 융화되어 접촉저항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second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is preferably a multilayer metal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 Ni, Pt, Ti, Au, Cu and W, To prevent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second bonding pads 120 and 130 and 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18 from being lowered due to fusion of the materials.

한편, 도 3은 도 1의 반사 절연층, 리드 프레임 및 전도성 페이스트 부분을 확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the lead frame, and the conductive paste portion of FIG. 1 are enlarg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절연층(140)은 리드 프레임(150)의 제1 트랜치(T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트랜치(T2)를 구비할 수 있다.3, the reflection insulating layer 140 may include a second trench T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ench T1 of the lead frame 150. In addition,

이때, 제2 트랜치(T2)는 반사 절연층(140) 전체 두께의 5 ~ 9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트랜치(T2)의 두께가 반사 절연층(140) 전체 두께의 5% 미만일 경우에는 전도성 페이스트(160)가 충진되는 공간이 협소해지는 관계로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제2 트랜치(T2)의 두께가 반사 절연층(140) 전체 두께의 9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공정 공차의 오차가 발생할 시, 발광 구조물(115)에 데미지가 가해질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반사 절연층(140)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발광 소자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trench T2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5 to 9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flection insulating layer 140.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rench T2 is less than 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flective insulation layer 140, the space filled with the conductive paste 160 may be narrowed, resulting in difficulty in properly exhibiting the above effects.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rench T2 exceeds 9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there is a fear that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5 may be damaged when a process tolerance error occurs.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insulation layer 140 may increas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이러한 제1 및 제2 트랜치(T1, T2) 각각은 바닥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요철 패턴(142, 15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요철 패턴(142, 152)은 텍스처링 가공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텍스처링 가공 처리는 건식 식각 또는 습식 식각 공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T1 and T2 may have first and second concaved and convex patterns 142 and 152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oncave-convex patterns 142 and 152 may be formed by texturing processing. Such texturing processing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a dry etching or a wet etching process.

이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트랜치(T1, T2)의 바닥면에 텍스처링 가공 처리를 실시하여 제1 및 제2 요철 패턴(142, 152)을 형성할 경우, 제1 및 제2 요철 패턴(142, 152)에 의해 각각의 바닥면의 표면적이 확장되는데 기인하여 반사 절연층(140)과 리드 프레임(15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소자의 신뢰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caved and convex patterns 142 and 152 are formed by subjecting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T1 and T2 arranged corresponding to mutually facing positions to texturing proces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lead frame 150 is improved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surface area of each bottom surface by the first and second uneven patterns 142 and 152, .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는 리드 프레임 상에 플립 타입으로 부착되는 발광 구조물,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를 덮도록 형성된 반사 절연층에 의해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가 안정적으로 절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배치되는 반사 절연층에 의해 산란되는 광이 수직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으므로 반사율이 증가되어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that is mounted on a lead frame in a flip type, a first bonding pad, and a reflective bonding layer formed to cover the second bonding pad, Not only the pad and the second bonding pad can be stably insulated but also the light scattered by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can be refl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reflectance is increased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는 반사 절연층의 일부분이 제거된 제2 트랜치와 제2 트랜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리드 프레임의 일 부분이 제거된 제1 트랜치를 설계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본딩 패드와 리드 프레임 사이에 도포되는 전도성 페이스트가 리플로우시 용융되는 과정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접한 위치의 리드 프레임들 상호 간이 단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반사 절연층과 리드 프레임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소자의 신뢰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trench in which a part of the reflection insulating layer is removed and a first trench in which a part of the lead fram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ench is removed, The conductive paste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and the lead frame is prevented from flowing down during the reflow melting process so that the lead frames in adjacent positions are prevented from shorting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and the lead frame and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stably.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매개로 발광 구조물,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를 플립 타입으로 실장함으로써, 금속 와이어를 이용하는 종래 방식과 비교해 볼 때, 전기적 연결 경로가 짧아져 응답 속도가 빨라져 고 전류를 인가하는 고속 동작에 활용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mount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 first bonding pad, and a second bonding pad in a flip type via a conductive paste, ,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h is shortened and the response speed is increased, so that it can be utilized in high-speed operation in which a high current is applied.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200)는 발광 구조물(215), 제1 본딩 패드(220), 제2 본딩 패드(230), 반사 절연층(240), 리드 프레임(250), 전도성 페이스트(260) 및 제1 및 제2 범프(270, 27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215, a first bonding pad 220, a second bonding pad 230, Layer 240, a leadframe 250, a conductive paste 260, and first and second bumps 270 and 275. In one embodiment,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200)의 경우, 리드 프레임(250) 및 제1 및 제2 범프(270, 275)에 대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for the lead frame 250 and the first and second bumps 270 and 275, The descrip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xample,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are explained.

리드 프레임(2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스트 배출 홀(H)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200)는 리드 프레임(250)의 제1 트랜치(도 1의 T1)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페이스트 배출 홀(H)이 구비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와 차이를 보인다.The lead frame 250 has at least one paste discharge hole H. [ That is,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ste discharge hole H corresponding to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ench (T1 in FIG. 1) of the lead frame 250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페이스트 배출 홀(H)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리드 프레임(2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페이스트 배출 홀(H)은 반사 절연층(240)과 리드 프레임(250) 사이에 개재되는 전도성 페이스트(260)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At least one paste discharge hole (H) is formed to penetrate the lead frame (250). The paste discharge hole H serves to guide the conductive paste 260 interposed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240 and the lead frame 250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페이스트 배출 홀(H) 각각은 최소 직경이 0.5㎛ 이하이고, 최대 직경이 발광 소자 전체 크기에 대하여 50%의 직경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이스트 배출 홀(H)의 직경이 0.5㎛ 미만일 경우에는 직경이 너무 협소한 관계로 잔량의 전도성 페이스트(260)를 리드 프레임(25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페이스트 배출 홀(H)의 직경이 발광 소자 전체 크기에 대하여 50%의 직경을 초과할 경우에는 전도성 페이스트(260)의 과도한 배출로 인해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Each of these paste discharge holes H is preferably designed so that the minimum diameter is 0.5 탆 or less and the maximum diameter has a diameter of 50% with respect to the total siz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When the diameter of the paste discharge hole (H) is less than 0.5 mu m, it may be difficult to easily discharg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ductive paste (260) to the outside of the lead frame (250). Conversely, when the diameter of the paste discharge hole H exceeds 50% of the total siz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excessive discharge of the conductive paste 260 may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which is not preferable .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페이스트 배출 홀(H)은 제1 및 제2 본딩 패드(220, 230)와 각각 이격된 외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이스트 배출 홀(H)이 제1 및 제2 본딩 패드(220, 230)의 내측 및 외측과 각각 이격되는 위치에서 리드 프레임(2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경우, 인접한 위치의 리드 프레임(250)들 상호 간이 단락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aste discharge holes H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220 and 230, respectively. When the paste discharge hole H is formed to penetrate the lead frame 25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220 and 230 as described above, 250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short-circuiting each other.

이때, 제1 본딩 패드(220) 및 제2 본딩 패드(230)는 리드 프레임(250)과 공융(eutectic) 본딩 또는 솔더링 본딩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pad 220 and the second bonding pad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ad frame 250 using eutectic bonding or soldering bonding.

솔더링의 경우에, Cr, Ti, Pt, Au, Mo, Sn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합금, 예를 들면, Au/Sn, Pt/Au/Sn, Cr/Au/Sn 등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범프(270, 275)에 의해 전기적인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제1 및 제2 범프(270, 275)로는 Au 및 Sn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층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공융 본딩을 위한 경우에는 Sn, Ag, Cu 등의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AuSn 합금, NiSn 합금, AgSn 합금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및 2 본딩 패드(220, 230)는 솔더링 본딩 뿐만 아니라 공융 본딩 모두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두 방식 중에 어느 하나를 자유롭게 택하여 실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oldering, at least two alloys of Cr, Ti, Pt, Au, Mo and Sn, for example, Au / Sn, Pt / Au / Sn, Cr / Au / Electrical bonding is performed by the bumps 270 and 275. More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bumps 270 and 275 are formed of a metal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u and S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utectic bonding, an alloy of Sn, Ag, Cu or the like can be used. In particular, AuSn alloy, NiSn alloy and AgSn alloy are preferable. According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220 and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oldered bonding as well as eutectic bonding, any one of the two methods can be freely selected and mounted as needed.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는 리드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페이스트 배출 홀의 설계로 반사 절연층과 리드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전도성 페이스트가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위치의 리드 프레임들 상호 간이 단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aste interposed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and the lead frame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the design of the paste discharge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lead frame ,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hort-circuiting of the lead frames at adjacent positions in advan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These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발광 소자 110 : 기판
111 :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112 : 활성층
113 :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115 : 발광 구조물
116 : 투명 전도층 117 : 반사층
118 : 제1 금속 확산 장벽층 120 : 제1 본딩 패드
130 : 제2 본딩 패드 140 : 반사 절연층
150 : 리드 프레임 160 : 전도성 페이스트
T1, T2 : 제1 및 제2 트랜치
100: light emitting device 110: substrate
111: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2: active layer
113: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115: light emitting structure
116: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7: reflective layer
118: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120: first bonding pad
130: second bonding pad 140: reflective insulating layer
150: lead frame 160: conductive paste
T1, T2: first and second trenches

Claims (19)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갖는 발광 구조물;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및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
상기 발광 구조물,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 중 적어도 일 영역 상에 형성된 반사 절연층;
상기 제1 본딩 패드 및 제2 본딩 패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트랜치를 구비하는 리드 프레임; 및
상기 반사 절연층과 리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딩 패드와 리드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합시키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A light emitting structure having a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 substrate;
A first bonding pad and a second bonding 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A reflective insulation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reg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first bonding pad, and the second bonding pad;
A lead fram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onding pad and the second bonding pad, the lead frame having at least one first trench; And
And a conductive paste formed between the reflective insulation layer and the lead fram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and the lead frame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 구조물 상에 형성된 투명 전도층과,
상기 투명 전도층 상에 형성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제1 금속 확산 장벽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 reflective layer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formed on the reflective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광 반사층 및 금속 산화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flective layer
A light reflection layer, and a metal oxidation prevention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Ag 또는 Ni을 포함하는 다층의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flective layer
Wherein the metal layer is a multi-layered metal layer containing Ag or Ni.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확산 장벽층은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형성된 제1 접착 금속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adhesive metal layer formed on each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금속층은
Cr 또는 Ti를 포함하는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dhesive metal layer
Wherein the metal layer is Cr or Ti.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확산 장벽층은
Cr, Ni, Pt, Ti, Au, Cu 및 W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의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Wherein the metal layer is a multi-layered metal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 Ni, Pt, Ti, Au, Cu and W.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본딩 패드 각각은
상부 접착 금속층과,
제2 금속 확산 장벽층과,
하부 접착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An upper adhesive metal layer,
A second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And a lower adhesive metal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착 금속층 및 하부 접착 금속층 각각은
Ti 또는 Au를 포함하는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9. The method of claim 8,
Each of the upper adhesive metal layer and the lower adhesive metal layer
Ti, or Au.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확산 장벽층은
Cr, Ni, Pt, Ti, Au, Cu 및 W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의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Wherein the metal layer is a multi-layered metal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 Ni, Pt, Ti, Au, Cu and 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본딩 패드와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범프 및 제2 범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Further comprising a first bump and a second bump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범프 각각은
Au 및 Sn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발광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umps
Au, and Sn. The side-emitting type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layer is a metal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u and S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트랜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insulation layer
Wherein the at least one second trench comprises at least one second tren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절연층은
금속층, 금속산화물, 금속질화물 및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층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insulation layer
A metal layer, a metal oxide, a metal nitride, and a DBR (distributed Bragg reflector) layer.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랜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The conductive past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are fill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치는
상기 리드 프레임 전체 두께의 1 ~ 95%의 두께를 갖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trench
Wherein the lead frame has a thickness of 1 to 9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lead fram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치는
상기 반사 절연층 전체 두께의 5 ~ 9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trench
Wherein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9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flective insulating lay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랜치 각각은
제1 및 제2 요철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16. The method of claim 15,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And a first and a second concavo-convex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리드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rench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to penetrate the lead frame.
KR1020130167545A 2013-12-30 2013-12-30 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 Withdrawn KR2015007829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545A KR20150078296A (en) 2013-12-30 2013-12-30 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
PCT/KR2014/010917 WO2015102225A1 (en) 2013-12-30 2014-11-13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545A KR20150078296A (en) 2013-12-30 2013-12-30 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296A true KR20150078296A (en) 2015-07-08

Family

ID=5349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545A Withdrawn KR20150078296A (en) 2013-12-30 2013-12-30 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78296A (en)
WO (1) WO2015102225A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824A (en) * 2015-07-24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 light-
KR20170027088A (en) * 2015-09-01 201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N107170857A (en) * 2017-04-25 2017-09-15 淮安澳洋顺昌光电技术有限公司 The preparation method of LED flip chip
KR20180092634A (en) * 2017-02-10 2018-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ing emitting module
WO2018212630A1 (en) * 2017-05-19 2018-11-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aser diode
WO2019045166A1 (en) * 2017-09-01 2019-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WO2019169755A1 (en) * 2018-03-08 2019-09-1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Micro-led chip, display scree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WO2020096314A1 (en) * 2018-11-09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10672954B2 (en) 2017-09-01 2020-06-02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10861834B2 (en) 2018-03-08 2020-12-08 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Micro-LED chips, display scree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371352A1 (en) * 2022-05-13 2023-11-16 Raynergy Tek Incorporation Electrode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078B1 (en) * 2006-03-20 2007-11-08 한국광기술원 Flip chip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insulator reflective surface
CN101621101A (en) * 2008-06-30 2010-01-06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LE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402804B2 (en) * 2010-04-12 2014-01-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JP5768759B2 (en) * 2012-04-27 2015-08-26 豊田合成株式会社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20130292719A1 (en) * 2012-05-04 2013-11-07 Chi Mei Lighting Technology Corp. Light-emitting diod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824A (en) * 2015-07-24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 light-
KR20170027088A (en) * 2015-09-01 201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180092634A (en) * 2017-02-10 2018-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ing emitting module
CN107170857A (en) * 2017-04-25 2017-09-15 淮安澳洋顺昌光电技术有限公司 The preparation method of LED flip chip
US10998694B2 (en) 2017-05-19 2021-05-04 Lg Innotek Co., Ltd. Laser diode
CN110651404A (en) * 2017-05-19 2020-01-03 Lg 伊诺特有限公司 laser diode
CN110651404B (en) * 2017-05-19 2021-04-23 Lg 伊诺特有限公司 laser diode
WO2018212630A1 (en) * 2017-05-19 2018-11-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aser diode
WO2019045166A1 (en) * 2017-09-01 2019-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US10672954B2 (en) 2017-09-01 2020-06-02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N109757120B (en) * 2017-09-01 2024-04-16 苏州立琻半导体有限公司 Light emitting device packaging
WO2019169755A1 (en) * 2018-03-08 2019-09-1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Micro-led chip, display scree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US10861834B2 (en) 2018-03-08 2020-12-08 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Micro-LED chips, display scree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0096314A1 (en) * 2018-11-09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12074267B2 (en) 2018-11-09 2024-08-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20230371352A1 (en) * 2022-05-13 2023-11-16 Raynergy Tek Incorporation Electrode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2433144B2 (en) * 2022-05-13 2025-09-30 Raynergy Tek Incorporation Electrode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2225A1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8296A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
JP5797640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ode having a reflectiv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46929B1 (en) Light emitting diode and led module having the same
US20150188011A1 (en) Side-emitting typ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chip and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4602079B2 (en)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BARRIER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693375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8022430B2 (en) Nitride-based compou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9786814B2 (e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JP4956928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60027875A (en) Light emitting device
CN101868866A (en) Improved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CN110085716A (en)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CN104241493A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550004B1 (en) Light emitting device
KR20120129449A (e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KR20160005827A (en) Side emitting typ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chip an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6218426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160065349A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chip an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2011238744A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US20230078065A1 (en) Forming method of flip-chip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KR20170018239A (en) Flip typ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049241B2 (en) Light emitting devic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US11888091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150029423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928312B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