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84077A - Water Control Device for Planter - Google Patents

Water Control Device for Pla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077A
KR20150084077A KR1020140003258A KR20140003258A KR20150084077A KR 20150084077 A KR20150084077 A KR 20150084077A KR 1020140003258 A KR1020140003258 A KR 1020140003258A KR 20140003258 A KR20140003258 A KR 20140003258A KR 20150084077 A KR20150084077 A KR 20150084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level
packing
poll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3126B1 (en
Inventor
한백현
한백충
Original Assignee
한백현
한백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백현, 한백충 filed Critical 한백현
Priority to KR102014000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126B1/en
Publication of KR2015008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12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식물의 특성에 맞춘 수분공급을 위해 화분 내의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화분 내에 채워진 수분의 수위를 손쉽게 확인가능한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분의 배수구와 연통하며 화분의 측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대향 하여 세워지는 외부저수관을 구비하고 ,외부저수관의 하단부를 관통하는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수위조절관을 삽입하여, 상기 수위조절관 상단의 배출구에서 수분이 배출 되도록 하여 수위조절관의 상하 이동만으로도 화분내의 수분량을 식물의 특성에 맞춰 가감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외부저수관의 후면에 빛깔을 가진 유색수위표시부재를 구비하거나 상기 수위조절관을 빛깔을 가진 유색수위조절관으로 구비하여, 수분의 유무에 따른 빛의 굴절각도의 차이에 의해, 원거리에서도 손쉽게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water content in a flowerpot in order to supply water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a plant and easily check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illed in the flowerpot.
A water level adjusting pip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outlet of the flowerpot and having an outer water pipe which is horizontally opposed to the side face of the flowerpot and whose height is adjustable up and down through a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water pipe, The water level in the pot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water level control tube by allowing moisture to be discharged from the upper outlet port and the colored water level indicator having a color on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water canis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easily ascertaining a water level even at a remote place due to a difference in the refraction angle of ligh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Description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Water Control Device for Planter}Water Control Device for Planter}

본 발명은 식물의 특성에 맞춘 수분공급을 위하여 화분 내에 채워진 수분량을 가감조정할 수 있고 화분 내에 채워진 수분의 수위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pollen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plant and easily check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illed in the pollen.

식물이 잘 자라기 위해서는 햇빛,공기,바람,영양분,수분 등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환경조건이 중요하다. 그 환경조건 중에서도 식물을 재배하는 데 있어 수분에 대한 관리가 가장 중요하면서도 어렵다. 식물을 재배할 때 실패하는 가장 큰 요인은 수분관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For plants to grow well, proper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important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such as sunlight, air, wind, nutrients, and moisture. Amo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ater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to grow plant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biggest factor that fails to grow plants is in water management.

특히 최근에는 실내 벽면을 활용하여 다양 다종의 식물을 식재하여 공기정화와 인테리어 용도로 활용하고 있고 또한 실외에서도 벽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건물을 보호하고 실내온도를 낮추거나 하는 등의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식재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여러 종류의 식물을 한꺼번에 식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식물을 건강하게 재배하기 위한 수분관리에 대한 여러 가지 배경기술이 있다.In recent years, a variety of plants have been planted using indoor walls to utilize them as air purifying and interior applications. In addition, plants are planted on the wall outside to protect buildings and lower the room temperatur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In this case, many different kinds of plants are planted together at the same time, and there are various background techniques for moisture management for plant growth.

첫째는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고 둘째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단 셋째는 수분량을 확인하는 수단이다.The first is a means for supplying water, the second means for discharging water, and the third means for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수분을 공급하는 수단은 호스 등을 사용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전기모터 동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양의 물을 정기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을 취하거나 때로는 식재공간의 하부에 일정한 저수공간을 형성하여 심지를 활용한 저면 급수 방식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The means for supplying water is generally used to supply water using a hose or the like, and a method of regularly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at a constant time using an electric motor power, or in some cases, And water is supplied by a bottom watering method using a wick.

이러한 심지를 사용한 급수방법을 적용한 종래의 기술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1340-0000'이중심지급수구조를 가지는 화분'있다. 상기'이중심지급수구조를 가지는 화분'을 간단히 설명하면, 화분의 하단에 저수공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와 전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식재공에 식물을 식재하고 심지를 통한 수분공급의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심지급수법에 의한 수분공급 방법은 일정량의 수분을 식물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이 수분 과다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고사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같은 양의 수분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다양 다종한 식물이 식재되어 있을 경우 식물에 맞는 수분공급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chnique using such a wicking water application method is Korean Patent No. 10-0991340-0000 'Potted plant with double wick water supply structure'. The 'pollen having a double wick feed struc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A water storage spac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ollen, and plants are planted in a plurality of planting holes formed on the upper and the front and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hrough a wick is adopted . However, the water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re-feeding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a certain amount of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lant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the plants being subjected to stress due to excessive water or failing. When various kinds of plants are planted in the manner of supplying the same amount of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supply water suitable for plants.

식물은 원산지나 식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하고 필요로 하는 수분량은 각기 다르다. 따라서 모든 식물에 일률적으로 같은 양의 물을 공급하는 것보다는 식물에 맞춰 저수공간에 채워지는 수분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식물에 가장 적합한 양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Plants require different amounts of water depending on the origin and type of plant. Therefore, rather than supplying the same amount of water uniformly to all plants,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supplying the most suitable amount of water to plants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plants.

수분을 배출하는 수단으로는 식재공간의 하단에 배수구를 형성하거나, 통수성의 직물을 사용하여 식재공간을 형성하거나, 화분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수공간 내부의 일정 높이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물이 배수구위치까지 다다르면 배수되게 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a means for discharging water, a drainage hole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anting space, a planting space may be formed by using a water-permeable fabric, or a drainage hole may be formed at a certain height inside the watering space So that when the water reaches the position of the drain hole, the water is drained.

상기 수위가 일정높이에 다다르면 배출되는 배수수단은 화분 내에 채워질 수 있는 최대수분량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술의 심지를 이용한 급수법과 마찬가지로, 종류가 다른 여러 식물에 맞춘 수분공급 역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the drainage means discharged has a fixed maximum water amount that can be filled in the flowerpot, so that it is also impossible to supply water in accordance with various plants of different kinds as in the case of the watering method using the wick.

화분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수공간의 수분량을 확인하는 수분량 확인에 관한 다양한 수단들이 있다.In the case where a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pot, there are various means for confirming the water amount for confirming the water volume of the water storage space.

우선, 부력재를 사용하여 식재공간의 상단에서 수분량을 확인하는 수단이 있고, 다르게는 저수공간내에 투명한 창을 구비하거나, 저수공간과 연통 되는 투명관을 화분의 외측에 설치하는 수단이 있다.First, there is a means for confirming the amount of water at the upper end of the planting space using a buoyancy material. Alternatively, there is a means for providing a transparent window in the water storage space, or a transparent tub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space at the outside of the flowerpot.

수분량 확인을 위한 수단으로, 부력재를 사용하여 수위를 확인하는 종래 기술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6624호 '화분용 수위감지기 및 화분'이 있다. 상기 '화분용 수위감지기 및 화분'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저수공간이 구비된 이중화분에, 저수공간 내로부터 상부의 식재공간을 관통하는 가이드관을 설치하고, 가이드관내에는 부력재를 설치하고, 부력재와 연결하여 수위감지부를 구성하고, 부력재의 승강에 의해서 수위감지부와 가이드관 상부의 눈금표시에 의하여 급수된 수분의 양을 확인하는 수단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부력재를 사용하는 방법은 부력재가 담겨지기 위한 관과 부력재가 연결되는 별도의 수분표시장치를 상단에 구비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제작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confirming the water level using a buoyancy material as a means for confirming the water content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6624, "Pollen Level Sensor and Flowerpot". The 'pollen water level sensor and flowerpot'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A guide pipe is provided in the double flowerpot having a water storage space and passing through the food storage space in the upper water storage space. A buoyancy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guide pipe, And a means for confirm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buoyancy material and the graduation display o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pipe is adopted. However, in the method of using the buoyancy material, a separate moisture 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the buoyancy material to the pipe for containing the buoyancy material must be provided at the upper part, so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다른 화분 내의 수분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저수공간의 일부에 투명한 창을 구비하거나, 저수공간과 연통 되는 별도의 투명관을 화분의 바깥면에 구비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방법은 단순하고,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투명부재를 사용해서 투명한 물을 관찰해야 하므로 육안으로 가까이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 method of confirming the water content in another flowerpot is a method of providing a transparent window in a part of the water storage space or providing a separate transparent tub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spa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owerpot. Although the above method is simple and sim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ransparent water must be observed by using a transparent member, so that it can not be easily confirmed without close visual observation.

투명한 창이나 저수공간과 연통되는 투명관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수위를 확인하는 종래의 기술을 적용한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26188호 '물받침이 없는 화분'에는 화분용상자의 내부에 받침판을 구비한후 받침판의 하단에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저수공간을 관통하는 투명한 수위조절호스를 저수공간의 외측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투명한 수위조절호스에 표시되는 투명한 수분은 잘 보이지 않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위조절호스에 수위표시용 고무밴드를 장착하여 물 높이를 표시하고 있고, 수분의 감소에 따라 줄어드는 수분의 위치는 고무밴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저수된 수분의 최고수위 상태의 위치는 표시할 수 있으나, 수위의 변동에 따라 고무밴드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No. 10-1126188 entitled " Flowerpot Without Watering " is used as an example of applying a conventional technique of directly checking the water level using a transparent window or a transparent tube communicating with a water storage space. A transparent water level adjusting hose that forms a water storage space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penetrates the water storage space is provided outside the water storage space. Since the transparent water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water level adjusting hose is not easily visible, the height of the water level is displayed by mounting a rubber band for water level indication on the water level adjusting hose in order to overcome the water level. Is displayed and displayed. However, the above method can display the position of the highest water level of the stored water, but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of moving the rubber ban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water level.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화분들이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화분 내에 채워지는 수분의 양을 조절가능한 배수수단을 구비하여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맞춘 수분공급이 가능하고 건조기나 집중호우 같은 외부조건에도 식물이 수분 스트레스 없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수분조절장치의 제공과 아울러, 화분 내부에 채워진 수분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 투명 소재를 통과하여 투명한 수분을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저비용으로 쉽게 생산가능하며, 원거리에서도 확연히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화분용 수분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ollen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pollen, In addition to providing a moisture control device that allows the plants to grow without moisture stress, it is also possible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confirming the transparent water through the transparent material in the method of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po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len moisture control device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producing water, and capable of clearly observing the water level even at a long distance.

상기의 기술적 과제 중 화분 내에 채워지는 수분량을 조절 가능한 배수수단을 구비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저수공간에 저장되는 수분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양 다종의 식물이 식재된 여러 개의 화분을 한꺼번에 모아놓고 상부에서 동시에 물이 공급될 때 많은 양의 수분을 필요로 하는 식물에는 화분내 수분량을 많게 하고, 적은 양의 수분을 필요로 하는 식물에는 화분내 수분량이 적도록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게 되면 식물에 맞는 수분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는 , 배수구가 구비된 화분에 있어,상기 배수구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1패킹관;과 상기 제1패킹관과 연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화분의 측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대향하게 세워지는 외부저수관;과 상기 외부저수관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패킹장착공; 과 상기 패킹장착공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2패킹관; 과 상기 제2패킹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패킹링; 과 상기 패킹링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수위조절관; 으로 구성하여 상기 수위조절관의 상단이 배출구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having the drainage means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flowerpot, there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outlet for discharging water to control the amount of moistur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 Specifically, when a plurality of potted plants planted with various kinds of plants are colle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water is supplied at the same time from the upper part, a plant requiring a large amount of water requires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e pot, If the plant is equipped with a means for controlling water content in the pollen,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plant with wa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first packing tube inserted in and attached to a drain port of a flowerpot having a drain port; and a second packing pipe connected to the first packing pipe, An outer reservoir tube which is horizontally opposed to the outer reservoir tube; and a packing mounting hole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outer reservoir tube; And a second packing tube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packing mounting hole; And a packing ring integrally extended i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packing tube; And a height adjustable pipe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packing ring and being adjustable in height; And the upper end of the water level control tube serves as a discharge port.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수위조절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관의 상단에 위치한 배출구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므로, 저수공간의 최대 저수량을 조절할 수 있고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맞춰 상기 배수구의 높이를 설정, 저수공간의 최대저수량을 식물의 종류에 따라 가감조절하여 식물에 맞는 수분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실내에서 벽면을 사용하여 공기정화나 인테리어용으로 다양 다종의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 각각의 식재공간에서 수위조절관의 높낮이를 식재된 식물에 맞춰 적절히 조절하고 흡수 심지 등 상부로 수분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면 식물에 맞는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야외 공간에서 식물을 재배할 경우, 집중호우나 강우시에는 수위조절관을 최대로 낮게 조절하여 화분내 수분이 즉시 배출되도록 하고, 건조기에는 최대로 높게 조절하여 수분저장용량을 높여서, 식물의 종류나 외부조건에 맞는 물공급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l control pip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level control pipe which can be adjusted up and down, the maximum water storage amount of the water storage space can be controlled, Height, and the maximum water storage capacity of the water storage space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lant, thereby enabling water supply to the plant. Particularly, when a variety of plants are planted by using indoor walls for air purification or interior use, the height of water level control pipe in each planting space is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planted plants, and moisture When the plant is grown in an outdoor space, the water level control pipe is adjusted to the lowest level at the time of heavy rainfall or rainfall, so that water in the flowerpot is discharged immediately, and the dry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ater storage capacity by adjusting it to a maximum level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plant or external conditions.

상기의 기술적 과제 중 화분 내부에 채워진 수분량을 쉽게 확인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는 수중에서 공기 중으로 나오는 빛은 매질의 밀도 차이에 의해 굴절되어 물체를 확대하여 보이게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기 외부저수관의 후면 내측 또는 외측에 부착되는 유색수위표시부재; 로 구성하였다. 상기 유색수위표시부재는 뚜렷한 빛깔을 가진 띠모양으로 형성된 것이다. 수분이 채워진 곳의 외부저수관은 볼록렌즈의 역할을 하므로, 수분이 채워진 외부저수관의 후면에 위치하는 유색표시부재는 확대되어 보여, 수분이 채워지지 않은 곳과 확연히 구별되므로 원거리에서도 쉽게 수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view of the fact that the light emitted into the air in the water is refracted by the density difference of the medium to enlarge the object, as a means for easily confirm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flowerpot, A colored water level indicating member attach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Respectively. The colored water level indicating member is formed in a band shape having a distinctive color. Since the outer low-water pipe at the water-filled place acts as a convex lens, the colored display member located at the rear of the water-filled external low-water pipe is enlarged and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unfilled water, .

수위확인을 위한 다른 수단으로는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수위조절관을 뚜렷한 빛깔을 가진 유색 수위조절관으로 대체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수분이 채워진 부분에 잠겨진, 빛깔을 가진 유색수위조절관은 빛의 굴절에 의해 확대되어 보이므로 수분이 채워지지 않은 부분과 확연히 구별되어 화분 내부에 채워진 수분의 수위확인과 수위조절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Other means for ascertaining the water level may be accomplished by replacing the height adjustable water level control tube with a distinctive colored water level control tube. The colored water level control tube, which is submerged in the water filled part, is seen to be enlarged by the refraction of light, so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art that is not filled with water, so that the water level in the flowerpot can be confirmed .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를 사용할 경우, 화분 내부에 채워지는 수분의 양을 가감조절 가능하므로 식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각개 식물에 적합한 수분공급이 가능하여 식물을 건강하게 키울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야외재배시에도 건기와 집중호우시와 같은 외부조건에 따라 저수공간의 수분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식물이 수분 스트레스 없이 자라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원거리에서도 쉽게 화분 내에 공급된 수분량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pollen water management apparatu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to be filled in the pollen, so that water suitable for each plant can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do. In addition, even when cultivated in the open ai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torage space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external conditions such as dry season and heavy rainfall, thus helping plants to grow without moisture stress. In additi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pot can be easily confirmed even at a long dist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외부저수관의 변형사용예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수위조절관'의 하강조절에 따른 저수량의 변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수위표시 구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external water pipe of the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variation of the water storage amount according to the descent control of the 'water level control pipe' of the pollen wat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water level display implementation of the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색'이란 '무색투명하지 않은 빛깔을 가진'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The term " colored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mean " having a color that is not colorless and transparent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의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1)는, 화분내에 채워진 수분량을 가감조절하여 식재된 식물의 특성에 맞춘 수분공급을 위한 장치로서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배수구(12)가 구비된 화분(2)에 있어, The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 plant cultivated by adjust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pollen. Referring to FIG. 2, (2)

상기 배수구(1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1패킹관(15);과A first packing pipe 15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12,

상기 제1패킹관과 연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화분의 측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대향하게 세워지는 외부저수관(20);으로 구성하고 상기 외부저수관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패킹장착공(25);과 상기 패킹장착공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2패킹관(35); 상기 제2패킹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패킹링(38);과 상기 패킹링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수위조절관(50); 을 구성요소로 하였다.And an outer reservoir pipe (20) connected to the first packing pipe and vertically install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pollen, and a packing mounting hole (25)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outer reservoir pipe, And a second packing pipe (35) inserted and mounted in the packing mounting hole; A packing ring 38 integrally extended i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packing tube, and a height adjustable pipe 50 inserted through a center of the packing ring to adjust height; As a component.

여기서, 제1패킹관(15)과 제2패킹관(35)은 고무,실리콘,우레탄과 같은 탄성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탄성재질은 자체 탄성에 의해 틈새를 메우므로, 제1패킹관(15)이 배수구(12)에 장착될 때와 배수구(12)를 관통하여 외부저수관(20)과 결합될 때, 그리고 제2패킹관(35)이 패킹장착공(25)에 장착될 때, 물이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에 대해서 기밀을 유지하고 자체 탄성과 마찰력에 의해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packing pipe 15 and the second packing pipe 35 are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urethane. When the first packing pipe 15 is mounted on the drain hole 12 and when it is coupled with the external water pipe 20 through the drain hole 12 and the second packing pipe 15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pipe 20 through the drain hole 12 since the elastic material fills the gap by self- When the packing tube 35 is mounted on the packing mounting hole 25, water is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thereby keeping the airtightness against moisture and enabling a firm connection by the self-elasticity and the frictional force. An adhesive or the like may be used for more rigid bonding.

그리고 제1패킹관(15)과 외부저수관(20)의 결합은, 제1패킹관(15)이 외부저수관(20) 일측의 끝단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외부저수관(20)의 일측의 끝단이 제1패킹관(15) 내로 삽입되어 결합 될 수도 있다. The first packing pipe 15 and the outer reservoir pipe 20 may be connected by inserting the first packing pipe 15 into the inner end of the outer reservoir pipe 2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packing tube 15 and coupled therewith.

또한 , 제1패킹관(15)의 일측의 끝단을 외향돌출되는 플렌지 형상으로 걸림턱을 형성하여 화분구멍에서 빠져나오는 걸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packing pipe 15 may be formed with a flange-like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to prevent it from coming out of the flowerpot hole.

또한, 제1패킹관(15)의 일측의 끝단에 중공의 스폰지를 삽입하거나, 촘촘한 망사재질의 걸름망을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hollow sponge may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rst packing pipe 15, or a screw net of a fine mesh material may be attached.

상기 외부저수관(20)은 화분에 형성된 배수구(12)의 위치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1)의 외부저수관(20)의 변형 사용예를 비교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external water reservoir 20 may be deformed in shap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rain hole 12 formed in the flowerpo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xternal water pipe 20 of the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Referring to FIG. 3,

배수구(12)가 화분(2)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When the drain hole 12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pollen 2,

제1패킹관(15)과 결합된 외부저수관(20)의 형상은 티자(T)관의 형상을 가지게 되어, 바닥에 놓여서 사용되는 화분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external reservoir tube 20 combined with the first packing pipe 15 has a shape of a tee (T) pipe, and can be suitably used for pollen which is placed on the floor and used.

또한, 상기 배수구(12)가 저수공간(11)의 저면에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제1패킹관(15)과 결합된 외부저수관(20)은 유자(U)관 형상을 가지게 되어, 하부공간에 장애물이 없는 현수화분이나 벽걸이 화분용으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When the drain hole 1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1, the external water pipe 20 coupled with the first packing pipe 15 has a U-shaped pipe shape, Can be used suitably for hanging pots or wall-hanging pots without obstacles.

도 1의 확대부분을 참조하여 설명하면,Referring to the enlarged portion of Fig. 1,

제2패킹관(35)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패킹링(38)이 형성되므로, 제2패킹관(35)의 내부 직경은 패킹링(38)의 내부 직경보다 크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acking pipe 35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acking ring 38 because the packing ring 38 is integrally formed by extending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cking pipe 35.

상기 패킹링(38)은 상기 제2패킹관(35)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2패킹관과 같은 고무,실리콘, 우레탄을 포함하는 탄성재질이다. 상기 팽킹링(38)에 수위조절관(50)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할 때에 탄성재질의 마찰력이 패킹링(38)에서만 작용하게 되어 패킹링(38)의 탄성에 의해 수분이 새어나오는 걸 방지면서, 수위조절관(50)이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수위조절관(50)의 상하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제2패킹관(35)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내부 직경을 가진 패킹링(38)을 구성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e packing ring 38 extends from the second packing pipe 35 and is integrally formed. Therefore, the packing ring 38 is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rubber, silicone, and urethane such as a second packing pipe. When the water level control pipe 50 is inserted into the swelling ring 38 to move up and down, friction of the elastic material acts only on the packing ring 38 to prevent moisture from leaking due to elasticity of the packing ring 38, The packing ring 38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acking pipe 35 can be used because the level control pipe 50 can be fixed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evel control pipe 50 can be smooth. Is important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패킹관(35)의 하부 끝단을 외향돌출되는 플렌지 형상으로 걸림턱을 형성하여 패킹장착공(25)에 삽입시 걸림턱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A lower end of the second packing pipe 35 may be formed as a flange protruding outwardly to serve as a latching protrusion when inserted into the packing mounting hole 25. [

상기 패킹링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수위조절관(50)은 투명한 플라스틱재질이 바람직하고, 일정한 정도의 딱딱함을 갖고 휘어지는 연질의 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height adjustable pipe 50,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packing ring,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and a flexible pipe having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may be used.

또한, 수위조절관(50)의 양측 끝단을 외향돌출되는 플렌지 형상으로 걸림턱을 형성할수 있고, 수위조절관(50)은 패킹링(38)에 강제 끼움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adjusting pipe 50 can be inserted into the packing ring 38 by forcibly fitting. The water level adjusting pipe 50 can be formed with a flange-like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pipe 50.

상기 패킹링(38)은 탄성재질이 사용되므로 수위조절관(50)의 강제 끼움이 가능하고, 상기 걸림턱으로 인해 패킹링(38)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packing ring 38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force-fit the level-adjusting pipe 50 and prevent the packing ring 38 from escaping from the packing ring 38 due to the latching jaw.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상기 수위 조절관(20)의 상단에는 배출구(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구(52)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수분은 배출구(52)를 통하여 수위조절관의 중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Since the discharge port 5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l control pipe 20 whose height is adjustable, moisture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discharge port 52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52 through the hollow of the level control pipe do.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수위조절관'의 하강조정에 따른 저수량의 변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variation of the water storage amount according to the descending adjustment of the 'water level control pipe' of the pollen wat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Referring to FIG. 4,

수위조절관(50) 상단의 구멍은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2)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수위조절관(50)의 상하이동은 연동되는 배출구(52) 높이의 상하조절이 되고 식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저수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각각의 식물에 적합한 수분공급이 가능하여 식물을 건강하게 키울 수 있다.The hole at the top of the level-adjusting pipe 50 serves as an outlet 52 for discharging water. Therefore,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evel control pipe 50 can be controlled up and down the height of the associated discharge port 52,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Can be raised healthily.

예를 들어 , 실내 벽면을 이용하여 다양 다종한 공기정화식물을 키우는 경우, 식재된 식물의 종류와 특성에 맞춰 수위조절관을 상하이동시켜 화분내 수분량을 조절하고, 화분 내에 하부에서 상부로 수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심지 등을 구비하면,식물에 맞는 양의 수분공급이 가능하고, 야외 재배의 경우, 장마와 같은 강우나 집중호우시에는 수위조절관은 최대로 낮추어 수분이 저수공간내에서 모두 배출되게 하여 식물의 수분에 의한 고사를 방지하고, 건조기나 가뭄때에는 수위조절관은 높게 올리면 되므로 외부조건에 따라 식물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variety of air purification plants are grown using indoor walls, the water level in the flower pot can be controlled by moving the water level control tub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nted plant, Th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plant in a suitable amount. In the case of outdoor cultivation, in the case of rainfall such as rainy season or heavy rains,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pipe is reduced to the maximum, Thereby preventing the plant from being damaged by moisture, and in the case of a dryer or a drought, the water level control pipe can be raised to a high level.

상기 외부저수관(20)의 상단에는 상면 중앙에 통기공(32)이 형성된 덮개(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덮개(30)는 먼지의 유입이나 모기등 벌레가 들어와 산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통기공(32)은 외부저수관(20) 내부의 수분이 채워지지 않은 곳의 대기압을 유지하여,상기 수위조절관(50)의 장착시 배출구로 수분이 쉽게 빠지는데 도움을 준다.
A lid 30 having a vent hole 3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may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ernal reservoir tube 20. The lid 30 can prevent the inflow of dust or insects such as mosquitoes into the scattering. The vent hole 3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30 maintains the atmospheric pressure of the inside of the external reservoir tube 20 where the water is not filled, It helps to get off easily.

상기 외부저수관(20)은 무색투명의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외부저수관(20)의 후면 내측 또는 외측에 장방향으로 유색수위표시부재(40)가 부착된다. Preferably, the external water pipe 20 is made of a colorless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by injection molding, and the colored water level indicating member 40 is attach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water pip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5를 참조하면, '후면'이란 시야방향(4)에서 외부저수관(20)의 원통 둘레의 중앙을 지나 닿는 지점에 위치하는 내주연 또는 외주연의 일부를 말하고, '장방향'이란 화분(2)의 측면에 세워진 외부저수관(2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르는 길이방향을 말한다.Referring to FIG. 5, the term "rear surface" refers to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or outer circumference located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reservoir tube 20 in the visual field direction 4, Refers to a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reservoir tube 20 erec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tank 2.

상기 유색수위표시부재(40)는, 너비가 좁고 기다랗게 생긴 띠 모양을 가지고, 빨강 이나 파랑 등의 뚜렷한 빛깔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로는 비닐재질의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인쇄나 도색으로도 가능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ored water level indicating member 40 has a band shape having a narrow width and a long width and has a distinctive color such as red or blue. As a material, vinyl tape can be used, or it can be printed or pain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수위표시 구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자세하게는, 수분이 채워진 원통관이 볼록렌즈의 역할을 수행하여 사물을 확대시켜 보여주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저수관(20)의 내부에 위치한 유색수위표시부재(40)에 반사되어 나오는 빛(3)은 수분(22)에서 공기중으로 나올때 촛점(5)방향으로 굴절된다. 관측자의 시야방향(4)에서 볼 때는 굴절된 빛(3)이 직진하여 나오는 빛으로 인식하므로, 촛점거리(8)내에 위치한 상기 유색수위표시부재(40)는 원래의 위치보다 더 먼 거리에 위치한 확대된 허상(10)을 보게 된다. 따라서, 수분이 채워진 부분과 수분이 채워지지 않은 부분이 상존하는 상기 외부저수관(20)에서 수분(22)이 채워진 부분의 빛(3)은 수분이라는 매질에 의해 굴절각이 더 크므로, 상기 유색수분표시부재(40)의 빛깔로 채워진 확대된 허상(10)이 보이게 되고, 수분이 채워진 부분과 수분이 채워지지 않은 부분의 경계는 명확히 구분되어 원거리에서도 손쉽게 육안으로 수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water level display implementation of the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water tube is shown as a convex lens to enlarge objects. 5, the light 3 reflected by the colored water level indicating member 40 located inside the external water pipe 20 is ref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focal point 5 when it exits from the water 22 into the air . The colored water level indicating member 40 located within the focal distance 8 is located farther from the original position than the original position because the refracted light 3 is seen as a straight line when viewed in the view direction of the observer 4 And see the enlarged virtual image 10. Therefore, the light 3 at the portion where the water 22 is filled in the external reservoir tube 20 in which the water-filled portion and the water-unfilled portion are present is greater in refraction angle due to the medium of moisture, The enlarged virtual image 10 filled with the color of the water display member 40 is seen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water filled portion and the water unfilled portion is clearly distinguished so that the water level can be easily visually observed even at a remote pla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llen wat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자세히는, 상기의 투명 수위조절관(50)을 빛깔을 가진 유색수위조절관(55)으로 대체한 것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water level control pipe 50 is replaced with a colored water level control pipe 55 having a color.

도 1의 실시예의 구조와 공통되는 구성요소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Components common to th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of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1,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S. 6 and 7,

상술한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상기 수위조절관(50)을 이용한 최대 저수량의 조절과 빛의 굴절률의 차이를 이용한 수위확인은 투명 수위조절관(50)을 빛깔을 가진 유색수위조절관(55)으로 대체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수분(22)이 채워진 부분에 잠긴, 빛깔을 가진 유색수위조절관(55)은 빛의 굴절에 의해 확대하여 보이므로 수분이 채워지지 않은 부분과 확연히 구별되어 화분(2)에 채워진 수분(22)의 수위확인과 수위조절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 of the maximum water level using the adjustable height control pipe 50 and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of light can be performed by replacing the transparent water level control pipe 50 with the colored water level control pipe 55 having a color . ≪ / RTI > The colored water level control pipe 55 having a color that is locked in the portion where the water 22 is filled can be enlarged by the refraction of the light so that the water 22 filled in the flowerpot 2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ortion not filled with water, And the water level control function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ollen water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know.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2:화분
3:빛 4:시야방향
5:촛점 8:촛점거리
10:허상 11:저수공간
12:배수구 15:제1패킹관
20:외부저수관 22:수분
25:패킹장착공 30:덮개
32:통기공 35:제2패킹관
38:패킹링 40:유색수위표시부재
50:수위조절관 52:배출구
55:유색수위조절관
1: Pollen water management device 2: pollen
3: Light 4: Field of view
5: Focal point 8: Focal length
10: Image 11: Reservoir
12: drain hole 15: first packing pipe
20: External low water pipe 22: Moisture
25: packing mounting hole 30: cover
32: vent hole 35: second packing pipe
38: packing ring 40: colored water level indicating member
50: water level control tube 52: outlet
55: colored water level control tube

Claims (7)

배수구가 구비된 화분에 있어,
상기 배수구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1패킹관;
상기 제1패킹관과 연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화분의 측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대향하게 세워지는 외부저수관;
상기 외부저수관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패킹장착공;
상기 패킹장착공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2패킹관;
상기 제2패킹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패킹링;
상기 패킹링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수위조절관;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In pots equipped with drain holes,
A first packing tube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drain hole;
An outer reservoir pipe connected to the first packing pipe and standing up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ace the side of the pollen;
A packing mounting hole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external reservoir tube;
A second packing tu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packing mounting hole;
A packing ring integrally extending i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packing tube;
A height adjustable pipe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packing r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관은 무색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level control pipe is a colorless transparent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관은 빛깔을 가진 유색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level control tube is a colored material having a col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저수관의 후면 내측 또는 외측에 장방향으로 수위표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ter level indicat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water cannul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저수관의 상단에는 상면 중앙에 통기공이 형성된 덮개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d having a vent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ernal water reservoi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화분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저수관은 티자(T)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in hole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a side of the pollen, and the external low water pipe is formed in a shape of a tee (T)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화분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저수관은 유자(u)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llen
Wherein the external water pip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ular (u) pipe.

KR1020140003258A 2014-01-10 2014-01-10 Water Control Device for Planter Active KR101583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58A KR101583126B1 (en) 2014-01-10 2014-01-10 Water Control Device for Pla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58A KR101583126B1 (en) 2014-01-10 2014-01-10 Water Control Device for Pla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077A true KR20150084077A (en) 2015-07-22
KR101583126B1 KR101583126B1 (en) 2016-01-07

Family

ID=5387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58A Active KR101583126B1 (en) 2014-01-10 2014-01-10 Water Control Device for Pla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1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83U (en) * 2022-07-06 2024-01-15 주식회사 여명 Expansion type bottom flowerpo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412B1 (en) * 2016-07-06 2018-11-20 조성화 A pot having automatic drain and water level detection
KR102580770B1 (en) 2021-01-28 2023-09-20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Intelligent smart plant care system combined with smart soil condition sensor and beacon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330Y1 (en) * 2005-02-15 2005-05-13 한상준 Apparatus for cultivating vegetables with stairs type
KR20110036491A (en) * 2009-10-01 2011-04-07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Water level detector and flower p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330Y1 (en) * 2005-02-15 2005-05-13 한상준 Apparatus for cultivating vegetables with stairs type
KR20110036491A (en) * 2009-10-01 2011-04-07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Water level detector and flower p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83U (en) * 2022-07-06 2024-01-15 주식회사 여명 Expansion type bottom flowerpo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126B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859B2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US4171593A (en) Pot including water level indicator
US20090056219A1 (en) Self-watering plant container
US20070267515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ulating soil moisture
US20100162624A1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ES2476020T3 (en) Pot set for automatic irrigation plants
KR101191318B1 (en) flowerpot for orchid
KR101583126B1 (en) Water Control Device for Planter
KR200479346Y1 (en) Prefabricated plant pot assembly for interior greening
US20200128767A1 (en) Plant pot insert
KR200302520Y1 (en) Flowerpot having a device for suppling moisture and a device for measuring water level
KR101344914B1 (en) Auto-supplying apparartus of water
US20150000746A1 (en) Fill Pipe With Level Indicator for Plant Stand and Method of Using
JP6296515B2 (en) Simple hydroponics equipment for general households
KR20150094277A (en) Cultivating device
KR101280123B1 (en) Port table
JP2015515272A (en) Modular integrated system for plant seed germination, cultivation, planting, fertilization and maintenance
KR101920412B1 (en) A pot having automatic drain and water level detection
KR102653506B1 (en) Automatic water-feeding pot
KR102036134B1 (en) Flowerpot set for reporting water supply time
CN208242323U (en) Self sucking flowerpot
RU66657U1 (en) DEVICE FOR DOMESTIC IRRIGATION OF INDOOR PLANTS
KR20140002311A (en) Hydroponic system
RU116012U1 (en) PLANT PLACEMENT DEVICE
CN204634590U (en) Potted flower water storage cover disc with water level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