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505A - Food packaging - Google Patents
Food packag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8505A KR20150088505A KR1020140008893A KR20140008893A KR20150088505A KR 20150088505 A KR20150088505 A KR 20150088505A KR 1020140008893 A KR1020140008893 A KR 1020140008893A KR 20140008893 A KR20140008893 A KR 20140008893A KR 20150088505 A KR20150088505 A KR 201500885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shape
- container
- tool
- food packa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용기의 상부에 외향 확장된 플랜지에 커팅칼의 형상 또는 이쑤시개의 형상이 상기 플랜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의 상부에 외향 확장된 플랜지의 여백에 절단선으로 커팅칼 형상 또는 이쑤시개 형상이 형성되도록 한 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용기의 상부 플랜지에 접착된 리들 필름을 개봉 시, 상기 용기의 플랜지에 형성된 커팅칼을 분리하여 상기 커팅칼을 이용하여 개봉할 수 있고, 용기 내부의 식품을 섭취 시에도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이쑤시개를 분리하여 상기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섭취할 수 있어 용기에 부착된 리들 필름을 개봉 시 내부 식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식품 섭취에 필요한 별도의 포크, 젓가락 등이 필요하지 않는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shape of a cutting knife or a shape of a tooth-toot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an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cutting knife or a tooth-tooth shape is formed by a cutting line in a margin of a flange extending outwardly from an upper portion of a container. In the case of opening a ridle film adhered to an upper flange of a container, The cutting knife formed on the flange of the container can be separated and opened using the cutting knife, and even when the food inside the container is consumed, the toothpick formed on the flange can be separated and taken using the toothpick, When the ridle film is opened, the inside food can be minimized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which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ork, chopstick or the lik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용기의 상부에 외향 확장된 플랜지에 커팅칼의 형상 또는 이쑤시개의 형상이 상기 플랜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shape of a cutting knife or a shape of a tooth-toot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ange, will be.
최근 김치, 고추장, 된장 등과 같은 식품이 대량으로 가공된 후, 적정 양으로 포장되어 유통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Recently, foods such as kimchi, kochujang, doenjang, etc. have been processed in large quantities, then packaged in appropriate quantities, distributed and sold to consumers.
그러나 이러한 식품은 포장 유통되는 동안에 발효될 수 있으며, 발효로 인한 가스 배출로 용기가 부풀어 오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스흡수제를 용기의 내부, 보통은 뚜껑이나 포장지 안쪽에 장착하여 발생하는 발효가스를 흡수하도록 하였다.
However, such foods can be fermented while being packaged and circulated, causing problems such as swelling of the container due to gas discharge due to fermentation. Therefore, conventionally, the gas absorbent is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usually inside the lid or the wrapping paper, to absorb the fermentation gas generated.
그러나, 이러한 가스흡수제로 인하여 식품 포장 공정이 복잡해지고 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일부 소비자에게는 거부감을 일으키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uch a gas absorbent has a problem that the food packag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not only the cost is increased, but also some consumers are denied.
또한, 종래, 의료 재료, 의료 기구, 식품 등 물품의 보존에 있어서는, 용기나 필름, 시트 등의 형상의 포장체 본체와, 세균 등의 미생물을 투과하지 않고 또한 멸균용 가스를 투과할 수 있다고 하는 성능을 더불어 가진 멸균용 시트와의 사이에 상술한 물품을 삽입, 배치하고, 멸균용 시트를 포장체에 가열 밀봉하는 멸균용 포장체가 이용되고 있다. 그 후, 이 멸균용 포장체는 에틸렌옥사이드, 과산화수소, 스팀 등의 멸균용 가스에 의해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Conventionally, in preserving articles such as medical materials, medical instruments, foods, etc., it has been conventionally known that a package body of a shape such as a container, a film, or a sheet, and a package body that can permeate a sterilizing gas without permeating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There is used a sterilizing package which inserts and arranges the above-described articles between a sterilization sheet having high performance and heat-sealing the sterilization sheet to the package. Thereafter, the sterilizing package is treated with a sterilizing gas such as ethylene oxide, hydrogen peroxide, and steam.
종래부터 범용되어 온 멸균용 포장체는, 가열 밀봉성(heat seal) 때문에, 멸균용 시트의 밀봉면에 접착제층을 설치한 포장체이지만, 이러한 포장체에서는, 멸균용의 가스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코팅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포장체는, 접착제의 코팅과 멸균 가스의 투과의 면으로부터의 제약이 많기 때문에, 실용상에도 문제가 있고, 개량이 필요하였다.
The sterilization package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widely used is a package which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on the sealing surface of the sterilization sheet because of its heat sealability. In such a package, the permeability of the gas for sterilization is secured It was necessary to partially coat the adhesive. On the other hand, since such a package has many restric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ating of the adhesive and the permeation of the sterilizing gas, there is also a problem in practical use, and improvement has been required.
이것에 비하여, 포장체 본체인 컵형 용기의 본체부의 주연에 설치된 플랜지부에 가열 접착성의 접착제층을 거쳐서 멸균용 시트를 가열 밀봉하고, 개봉했을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는 멸균용 시트와 포장체 본체의 쌍방에 남는 성질의 접착제를 이용한 포장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 구조는, 구체적으로는, 접착제를 최내층으로 하는 용기에 대하여 멸균용 시트를 가열 밀봉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rilizing sheet is heat-sealed through a heat-adhesive adhesive layer on the flange portion provided on the peripheral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cup-shaped container as the main body of the package, A packag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remaining in both sides has been proposed. Specifically, such a packaging structure is to heat-seal a sterilizing sheet to a container having an innermost layer of an adhesive.
또한, 두부, 마늘 등 일상 생활의 식품들은 밀폐된 포장용기에 수용되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용기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투명한 밀봉비닐을 열압착으로 접합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everyday foods such as tofu and garlic are housed in sealed packaging containers. Such a packaging container has a structure in which transparent sealing vinyl is bonded to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포장용기는 밀봉된 상태로 유통되어지므로 장시간 보관시 외기와 차단되게 되므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발효 등으로 부피가 팽창되어서 밀봉비닐이 부풀러 올라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있다.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packaging container is circulated in a sealed state, i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ir during storage for a long time, so that it can not be stored freshly and the volume is expanded due to fermentation of the contents,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이에 종래 개발되어 사용되는 제품들을 살펴보면, As a result,
등록번호 10-0465419호는 ‘식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 몸통의 상부면에 리드 필름이 부착되는 식품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통의 상부에 외향 확장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중간 상면에는 동심을 이루는 제1,2환형요홈이 상기 플랜지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Registration No. 10-0465419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lead film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a container body, wherein a flange extending outward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The annular first and second annular grooves are recessed and recessed from the flange surface,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상기 리드 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제1,2,3 밀봉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밀봉면은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최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밀봉면은 상기 제1,2환형요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밀봉면은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최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최내측을 이루는 제1밀봉면에는, 용기 몸통 내부와 상기 제1환형요홈을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2환형요홈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2밀봉면에는, 상기 제1,2환형요홈을 연통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통로가 상기 유입구의 위치와 다른 각도에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의 최외측을 이루는 제3밀봉면에는, 상기 제2환형요홈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가 상기 연결통로의 위치와 다른 각도에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First and second sealing surfaces for attaching the lead film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are formed, wherein the first sealing surface is formed on the radially innermost side of the flange, and the second sealing surface is formed on the first And the second sealing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ange, and the first sealing surface, which is the innermost side of the flange, Wherein one or more connecting passages for communicating the first and second annular grooves are formed on the second sealing surfac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nular grooves, Wherein at least one outflow opening communicating the second annular groove with the outside is form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in a third sealing surface forming the outermost side of the flange, It shows a food packag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등록번호 20-0357851호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부에 밀봉접합되는 밀봉비닐을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Registration No. 20-0357851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 housing space for containing contents and a sealing vinyl sealingly joined to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upper rim is formed with a ventilation groove communicating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outside.
등록번호 10-1152991호는 ‘멸균용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층 포장체 본체와 멸균용 시트가 가열 밀봉되어 구성되는 멸균용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다층 포장체 본체의 형상은 용기 형상이며, 상기 다층 포장체 본체와 상기 멸균용 시트가 접하는 부분에는 가열 밀봉부(heat seal part)가 형성되고, 상기 멸균용 시트를 상기 다층 포장체 본체로부터 박리하여 개봉하는 경우에, 상기 다층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최내층을 포함하는 층의 적어도 상기 가열 밀봉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가 멸균용 시트 측으로 이동하여 박리되고, 상기 박리는, 상기 다층 포장체 본체의 상기 최내층과 상기 최내층에 접하는 다음층의 층 사이, 상기 다음층의 층 내, 상기 다음층과 상기 다음층에 접하는 다음다음층의 층 사이 중 어느 하나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포장체를 나타내고 있다.
10-1152991 relates to a sterilizing package body comprising a main body of a multi-layered packag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a sterilizing sheet which is heat-sealed, wherein the shape of the multi- Wherein when the sterilization sheet is peeled from the main body of the multilayer package and opened, a heat seal part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multilayer package body and the sterilization shee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layer including at least the innermost layer of the package body including a portion where at least the heat-sealed portion is formed is moved to the sterilizing sheet side to be peeled off, and the peeling is carried out by peeling the innermost layer of the multi- Between the layers of the next layer contacting the inner layer, in the layer of the next layer, between the next layer and the next layer next to the next layer The stand takes place shows a package for sterile characterized.
출원번호 20-2008-0009814호는 ‘개량 두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는 실링필름의 사방 가장자리를 열접착시키기 위한 플랜지가 사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되어 두부와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보강편들이 형성된 몸체로 구성된 두부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호형지게 볼록 형성된 볼록낙하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볼록낙하부는, 두부와 물의 밀봉 포장시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측으로 볼록지게 형성되어 있다가, 밀봉된 상기 몸체의 상부에 실링된 실링필름의 개봉 시에 외부측의 공기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볼록낙하부가 몸체의 하부측으로 낙하됨으로써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 상기 볼록낙하부의 높이만큼 하강되도록 하여 물이 상기 몸체의 외부로 넘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두부 포장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The application number 20-2008-0009814 relates to a 'modified tofu packaging container', wherein a flange for thermally adhering the four sides of the sealing film is formed at four sides, and an upper portion is opened insid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pieces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convex drop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at an inner side of the body, The convex drop portion is convex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when sealing the tofu and the water. When the sealed film sealed on the sealed body is opened, the air on the outer side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body The convex drop portion drops down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To ensure that the falling height as the portion has the water represents an improved packaging container which comprises the head to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상기 종래 사용되는 용기 또는 포장체는 사용함에 있어 용기의 상부에 부착된 필름을 개봉 시, 내부의 식품이 외부로 튀게 되어 주변에 묻히게 되고, 용기 내부의 식품을 사용자가 섭취 시 별도의 젓가락 또는 포크 등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or package, when the film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is opened, food inside the product is splashed out and buried in the surroundings. When the user uses the food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용기의 상부에 외향 확장된 플랜지의 여백에 도구 형상의 절단선을 형성하여 상기 절단선으로 형성된 도구를 플랜지에서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utting line of a tool shape on a margin of a flange extended outward from an upper part of a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as a technical problem with a focus on providing a packaging container.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이 담겨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외향으로 확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상면에 필름이 가열, 압착으로 부착, 밀봉된 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일 측에는 도구 형상의 절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main body containing food and a flange extending outward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the film being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lange by heating, And a cutting line in the form of a too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ng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에 의하면, 용기의 상부 플랜지에 접착된 필름을 개봉 시, 상기 용기의 플랜지에 형성된 커팅칼을 분리하여 상기 커팅칼을 이용하여 개봉할 수 있고, 용기 내부의 식품을 섭취 시에도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이쑤시개를 분리하여 상기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섭취할 수 있어 용기에 부착된 필름을 개봉 시 내부의식품 또는 물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식품 섭취에 필요한 별도의 포크, 젓가락 등이 필요하지 않는 등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According to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m adher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container is opened, the cutting knife formed on the flange of the container can be separated and opened using the cutting knife,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toothpick formed on the flange and to use it by using the toothpick. Accordingly, when the film attached to the container is opened, the inside food or water can be minimized to the outside, and a separate fork, It does not need chopsticks, etc. It is an effectiv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기에 커팅칼 형상의 형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기에 이쑤시개 형상의 형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기에 숟가락 형상의 형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기에 상기한 각각의 형상들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ormation of a cutting knife shape in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rmation of a toothpick shape in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ormation of a spoon shape in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each of the above-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기를 살펴보면,
In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체의 상부에서 외향으로 확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상면에 필름이 가열, 압착으로 부착, 밀봉된 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일 측에는 도구 형상(300)의 절단선(c)이 형성되어 있다.
First, a food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flange extending out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formed, and a film is attached and sealed by heating, pressing and sea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Is formed.
상기 도구 형상(300)은 커팅칼 형상(310) 또는 이쑤시개 형상(320) 또는 숟가락 형상(330)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절단선(c)이 형성된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에 형성되는 도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tool shape 300 on which the cutting line c is formed is selectively protruded outward in accordance with the tool formed on the
상기 도구 형상(300)의 일 측에는 플랜지(200)에서 탈착을 위한 홈(h)이 형성된다.
On one side of the
상기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의 두께보다 얇거나 또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플랜지(200)에 형성되는 도구 형상(300)은 상기 플랜지(200)의 여백에 따라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상기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의 형상에 따라 곡면형 또는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기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식품 포장용기(10)는 일반적으로 식품이 담겨지는 내부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외향으로 확장된 플랜지(200)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200)의 상부면에는 일반적으로 필름이 가열, 압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 밀봉된다.
The
이에 상기 플랜지(200)의 일 측에는 도구 형상(300)의 절단선(c)이 형성된다. A cutting line (c) of the tool shape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nge (200).
상기한 도구 형상(300)으로는 커팅칼 형상(310) 또는 이쑤시개 형상(320) 또는 숟가락 형상(330) 또는 식품의 섭취에 필요한 도구의 형상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형상은 포장용기의 필름을 커팅하거나 또는 포장용기 내부의 식품을 섭취할 수 있는 도구의 형상이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한 형상들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The
상기 도구 형상(300)은 상기 플랜지(200)의 여백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절단선(c)으로 구분된다.
The
상기한 절단선(c)은 플랜지(200)의 여백공간에 형성되는 도구 형상(300)의 일 측 부분을 구분하며, 상기 도구 형상(300)의 탈착 시, 탈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절단선(c)으로 구분된다.
The cutting line c defines one side portion of the
상기한 절단선(c)은 플랜지(200)에 형성되는 다양한 도구들의 일 측면 부분만 절단선(c)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또는 도구들의 양측 끝부에만 절단선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utting line c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portion of the various tools formed on the
상기 절단선(c)이 형성된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tool shape 300 on which the cutting line c is formed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상기한 도구 형상(300)이 플랜지(200)의 여백공간에 형성 시, 형성되는 도구들의 형상에 따라 플랜지(2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형성되는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The
상기 도구 형상(300)의 일 측에는 플랜지(200)에서 탈착을 위한 홈(h)이 형성된다.
On one side of the
상기 홈(h)은 사용자가 플랜지(200)의 여백공간에 형성된 도구 형상(300)을 탈착 시,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홈(h)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절단선(c)을 따라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The groove h is for facilitating the detachment when the user removes the
상기한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의 두께보다 얇거나 또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구 형상들(310, 320, 330)의 두께는 사용자가 사용 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플랜지(200)의 두께보다 얇거나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플랜지(200)에 형성되는 도구 형상(300)은 상기 플랜지(200)의 여백공간에 따라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의 형상에 따라 곡면형 또는 직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플랜지(20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됨으로 도시된 형상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의 상부 플랜지에 접착된 리들 필름을 개봉 시, 상기 용기의 플랜지에 형성된 커팅칼을 분리하여 상기 커팅칼을 이용하여 개봉할 수 있고, 용기 내부의 식품을 섭취 시에도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이쑤시개를 분리하여 상기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섭취할 수 있어 용기에 부착된 리들 필름을 개봉 시 내부 식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식품 섭취에 필요한 별도의 포크, 숟가락, 젓가락 등이 필요하지 않아 효과적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idle film adher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container is opened, the cutting knife formed on the flange of the container can be separated and opened using the cutting knife, The toothpick formed on the flange can be separated and consumed by using the toothpick. Thus, when the ridle film attached to the container is opened, the inside food can be minimized to the outside, and a separate fork, spoon, It is not necessary and effective.
10 : 포장용기
100 : 본체
200 : 플랜지
300 : 도구형상
310 : 커팅칼 형상
320 : 이쑤시개 형상
330 : 숟가락 형상
h : 홈
c : 절단선10: Packaging container
100:
200: Flange
300: tool shape
310: cutting knife shape 320: toothpick shape 330: spoon shape
h: groove c: cutting line
Claims (7)
상기 플랜지의 일 측에는 도구 형상(300)의 절단선(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A food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main body containing a food and a flange extending out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re formed and the film is attached and sealed by heating,
Characterized in that a cutting line (c) of a tool shape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nge
상기 도구 형상(300)은 커팅칼 형상(310) 또는 이쑤시개 형상(320) 또는 숟가락 형상(33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l shape (300) is formed by a cutting knife shape (310), a toothpick shape (320) or a spoon shape (330)
상기 절단선(c)이 형성된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에 형성되는 도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l shape (300) formed with the cutting line (c) is protruded outward sel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tool formed on the flange (200)
상기 도구 형상(300)의 일 측에는 플랜지(200)에서 탈착을 위한 홈(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h)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tool shape (300) for detachment in the flange (200)
상기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의 두께보다 얇거나 또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l shape (300) can be formed thinner or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lange (200)
상기 플랜지(200)에 형성되는 도구 형상(300)은 상기 플랜지(200)의 여백에 따라 다수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ool shapes (300) formed on the flange (200) can be formed according to a margin of the flange (200)
상기 도구 형상(300)은 플랜지(200)의 형상에 따라 곡면형 또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l shape (30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or a straight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ange (20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08893A KR20150088505A (en) | 2014-01-24 | 2014-01-24 | Food packag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08893A KR20150088505A (en) | 2014-01-24 | 2014-01-24 | Food packag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88505A true KR20150088505A (en) | 2015-08-03 |
Family
ID=5387290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08893A Ceased KR20150088505A (en) | 2014-01-24 | 2014-01-24 | Food packag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88505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93708B1 (en) | 2021-03-25 | 2021-08-26 | 류지율 | Easy Cut Packaging Container |
| WO2023219241A1 (en) * | 2022-05-12 | 2023-11-16 | 구자홍 | Container with cutting knife |
-
2014
- 2014-01-24 KR KR1020140008893A patent/KR2015008850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93708B1 (en) | 2021-03-25 | 2021-08-26 | 류지율 | Easy Cut Packaging Container |
| WO2023219241A1 (en) * | 2022-05-12 | 2023-11-16 | 구자홍 | Container with cutting knif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S2668997T3 (en) | Composite container with detachable membrane | |
| JP7344677B2 (en) | Cup-shaped containers and laminates for cup-shaped containers | |
| JP4738342B2 (en) | Recloseable rigid container assembly | |
| JP7123054B2 (en) | Spout caps, spouts and spouted vessels | |
| JP2011084329A (en) | Sealing lid and package using the same | |
| JPS62251363A (en) | Simple beer vessel | |
| US6299919B1 (en) | Packaging container for sliced foodstuffs, in particular cheese slices | |
| KR102293708B1 (en) | Easy Cut Packaging Container | |
| KR101458084B1 (en) | Packing bag for fermented foods | |
| KR20150088505A (en) | Food packaging | |
| KR100847041B1 (en) | Container | |
| JP6650199B2 (en) | Food container lids and packages | |
| JPS6378A (en) | Simple beer vessel | |
| JP6025323B2 (en) | Composite paper container | |
| JP2018104017A (en) | Container package | |
| JP2020015520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heating container and heating container | |
| KR101543355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ouch Having Spout | |
| JP2001310431A (en) | Easy-open composite film and packaging container | |
| KR200328359Y1 (en) | Cap structure of beverage container | |
| JP2007530380A (en) | Cylindrical bag having sealing stand bottom or bag stand bottom and lid / shoulder, bottom used for this, lid / shoul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bag | |
| CN218752483U (en) | Beverage bag with easy-to-tear sticker for drinking mouth | |
| KR20140114685A (en) | Packing bag for fermented foods | |
| KR200231429Y1 (en) | Gas-exhaustible package for fermented food | |
| JP5974468B2 (en) | Partially opening lid material and packing material for storing granular material using the same | |
| CN220054865U (en) | Packaging bag and combined packing assembl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