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89659A - Power Supply and Its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and Its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659A
KR20150089659A KR1020140010556A KR20140010556A KR20150089659A KR 20150089659 A KR20150089659 A KR 20150089659A KR 1020140010556 A KR1020140010556 A KR 1020140010556A KR 20140010556 A KR20140010556 A KR 20140010556A KR 20150089659 A KR20150089659 A KR 20150089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external device
unit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6356B1 (en
Inventor
임튼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356B1/en
Publication of KR2015008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35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헤드 유닛에 구비되는 전원 장치로서,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와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로 출력하는 전원부 및 상기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케이블에 의한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head unit, wherein an output connector of a vehicle head unit and an input connector of an external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able, and the power supply device A power supply unit for outputting the power supply voltage to an output connector of the head unit and a voltag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apparatus to compensate for a voltage drop of a voltage appearing at an output connector of the vehicle head unit by the cable do.

Figure P1020140010556
Figure P1020140010556

Description

전원 장치 및 이의 충전 전압 보상 방법{Power Supply and Its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0001] DESCRIPTION [0002] Power supply and its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

본 발명은 차량 헤드유닛과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차량용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에 충전전압을 공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an external device by connecting a vehicle head unit and an exter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supplying a charging voltage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USB) It is about the method.

차량의 표준형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서의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는 차량용 USB 케이블 및 사용자의 USB케이블로 차량 헤드유닛과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The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of the vehicle's standard AV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electrically connects the vehicle head unit and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vehicle USB cable and the user's USB cable.

차량 헤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는 차량 헤드유닛으로부터 USB 동작전원(VBUS≒5±0.25V))을 받아서 동작 및 충전을 수행한다.An external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head unit receives the USB operation power supply (VBUS? 5 ± 0.25V) from the vehicle head unit to perform operation and charging.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헤드유닛의 전원부와 외부장치가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에는 차량 전원부의 USB 동작전원 설계 시, 헤드유닛으로부터 5V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차량용 USB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장치의 고속충전 및 일반충전 기능을 구현 하도록 한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ower source unit of a vehicle head un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onventionally, when designing a USB operation power source for a vehicle power source, 5V is supplied from a head unit, and a fast charging and a general charging function of an external device are implemented through a USB cable for a vehicle.

표 1은 외부장치의 동작 및 충전을 위한 USB 동작전원 및 전류값을 기재한 표이다.Table 1 is a table listing USB operation power and current values for operation and charging of external devices.


USB VBUS MIN

USB VBUS MIN

4.75V

4.75V

USB VBUS MAX

USB VBUS MAX

5.25V

5.25V

USB 2.0 최대 허용전류

USB 2.0 Maximum Allowable Current

500mA

500mA

USB 3.0 최대 허용전류

USB 3.0 Maximum allowable current

900mA

900mA

USB VBUS 고속충전 최대전류

USB VBUS Fast Charge Max Current

2100mA

2100mA

도 1에 도시된 DC-DC 컨버터부 출력전압(A 지점 전압)의 전압은 아래 아래와 같이 계산 될 수 있다. The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output voltage (A point voltage) shown in FIG. 1 can be calculated as below.

DC-DC 컨버터부 출력전압=

Figure pat00001
, (R1=100KΩ,R2=100KΩ)DC-DC converter part output voltage =
Figure pat00001
, (R1 = 100KΩ, R2 = 100KΩ)

= (1+100KΩ/100KΩ)*2.5V = 5V = (1 + 100K? / 100K?) 2.5V = 5V

(단, DC-DC 컨버터 출력부에서 헤드 유닛 USB커넥터 단까지의 Process Control Block 패턴에 대한 영향 무시) (Ignoring the effect of the process control block pattern from the DC-DC converter output to the head unit USB connector)

외부장치로 IPAD 를 고속 충전 할 경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2100mA의 전류가 차량용 USB 케이블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앞서 계산한 DC-DC 컨버터부 출력전압 (5V)로부터 실제 USB 전원 공급 포트(B 지점)의 전압은 아래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When IPAD is charged at high speed with an external device, current of 2100 mA flows in the USB cable of the vehicle as shown in Table 1. Accordingly, the voltage of the actual USB power supply port (point B) from the previously calculated DC-DC converter output voltage (5V)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B지점 전압= A지점 전압 - (케이블저항) * 최대충전전류B point voltage = A point voltage - (cable resistance) * Maximum charge current

= 5 - (0.0842*2)*2.1 = 4.6472V           = 5 - (0.0842 * 2) * 2.1 = 4.6472 V

(이때, B 지점전압: 실제 USB 전원 공급 포트전압, A 지점전압: DC-DC 컨버터부 출력전압)(At this time, the voltage at the B point: the actual USB power supply port voltage, the A point voltage: the output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전술한 계산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고속 충전을 할 경우 최대 충전전류(2.1A)에 의한 케이블의 전압강하로 인해, USB 최소 전압 스펙인 4.75 V를 만족시키지 못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calculation process described above, the USB minimum voltage specification of 4.75 V can not be satisfied due to the voltage drop of the cable due to the maximum charging current (2.1 A) in the case of fast charging.

고속 충전시, 전압강하 문제를 고려하여 차량 헤드유닛의 USB 동작전원 설계를 할 때, USB 동작전원 사양의 최대값에 가까운 5.2V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When designing the USB operation power supply of the vehicle head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voltage drop problem at the time of high-speed charging, it is possible to output 5.2V which is close to the maximum value of the USB operation power supply specification.

하지만, 고속 충전시, 전압강하 문제를 고려하여 대응설계를 할 경우, 외부장치 고속 충전 시 USB 동작전압의 최소 스펙(4.72V)을 만족 시킬 수 있으나, 고속 충전을 하지 않는 경우 동작전압의 최대스펙인 5.25V를 초과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However, when the high-speed charging is performed, the minimum specification (4.72V) of the USB operating voltage can be satisfied at the time of fast charging of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corresponding design is taken considering the voltage drop problem. However, Which may exceed 5.25V.

예컨대, USB 장치의 동작 전류는 5mA 이므로, B지점 전압은 5.2V 로 계산되고,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USB 동작 최대 스펙은 5.25V 이므로 최대 스펙 대비 약 50mV 의 마진이 발생한다. 이 경우, 마진 부족으로 인해 저항 편차 및 DC-DC 컨버터부의 출력 편차를 고려할 때 최대 스펙을 불만족시킬 가능성이 있다. For example, since the operating current of the USB device is 5 mA, the voltage at the B point is calculated to be 5.2 V. As shown in Table 1, the USB operation maximum specification is 5.25 V, and therefore, a margin of about 50 mV is generated relative to the maximum specification.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ximum specification is dissatisfied when the resistance deviation and the output deviation of the DC-DC converter portion are considered due to the margin shortage.

동작전압의 최대 스펙을 초과하게 되면, USB 장치(예컨대, USB Memory Stick)가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 AVN 시스템에서 USB 연결을 통하여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If the maximum specification of the operating voltage is exceeded, if the USB device (for example, a USB memory stick) is connected and operated, it may cause a problem in the multimedia function implemented through the USB connection in the AVN system.

즉, 종래에는 차량 헤드유닛을 통한 고속 충전 시 케이블의 임피던스와 고속 충전 전류로 인해 발생되는 케이블의 전압강하 때문에 동작전원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ng power can not be satisfied due to the impedance of the cable and the voltage drop of the cable caused by the high-speed charging current during high-speed charging through the vehicle head unit.

아울러, 고속 충전 및 일반 충전 시 전압강하를 보상할 수 있는 대응 설계로 동작전원을 공급할 경우, AVN시스템 개발 시 케이블의 종류 및 길이, 시스템의 편차에 따라 차량 헤드유닛의 출력전압 값을 지속적으로 튜닝 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When AVN system is developed, the output voltage value of the head unit of the vehicle is continuously tuned according to the type and length of the cable and the deviation of the system when the operation power is supplied by the corresponding design that can compensate the voltage drop at the high- Have problem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차량용 USB케이블을 통하여 고속충전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압강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ly controlling a voltage drop that may occur in a system for supporting high-speed charging through a USB cable for a vehicle.

아울러, 본 발명을 통해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여, 차량용 USB 케이블에 의해 강하되는 전압을 보상하는 전원장치 및 이의 충전전압보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device for detecting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an external device and compensating for a voltage dropped by a USB cable for a vehicle, and a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와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로 출력하는 전원부 및 상기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케이블에 의한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전압 보상부를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able, the power supply device electrically connecting an output connector of a vehicle head unit and an input connector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ltage compensating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and compensating for a voltage drop of a voltage appearing at an output connector of the vehicle head unit by the cable, .

전압 보상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작을 경우 보상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로부터 획득한 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전압 보상부와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compares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with a reference voltage to output a compensation signal when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switching unit switches 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

전압 보상부는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값에 의해 스위칭 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와 직렬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제2 저항,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과 제2 저항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을 포함한다.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includes a comparator for comparing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with a reference voltage,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ng unit, a first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witching unit, A second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sistor, and a third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of the power source and the second resistor.

전원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의 병렬 연결에 따라 형성된 병렬 저항과 제3 저항에 의해 분배된 전원전압을 피드백 받는 피드백 단자 및 상기 피드백 된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parallel terminal formed by paralle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a feedback terminal fed back with the power supply voltage divided by the third resistor, and a feedback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head unit Lt; RTI ID = 0.0 > DC-DC < / RTI >

기준전압은 상기 전원부의 전압스펙 사이에 존재하는 값으로 조정되고, 상기 비교부 입력단자의 입력값이다.The reference voltage is adjusted to a value existing between the voltage specifications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is an input value of the comparison unit input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와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의 충전 전압 보상 방법은 상기 차량 헤드 유닛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에 따라, 상기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in a case where an output connector of a vehicle head unit and an input connector of an external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ab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wer supply voltage inputted to the vehicle head unit is supplied to an output Detecting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compensating a voltage drop of a voltage appearing at an output connector of the head unit according to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detected; .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작을 경우 보상신호를 출력한다.The step of detecting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compares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reference voltage and outputs a compensation signal when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The step of compensating for the voltage drop of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output connector of the vehicle head unit includes comparing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with a reference voltage,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활성화 신호가 출력되면 저항의 병렬연결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parallel connection of the resistors when an activation signal is outpu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형성된 상기 저항의 병렬연결에 따라 전원전압이 분배되어, 피드백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And a power supply voltage is distributed according to a parallel connection of the resistor formed to receive the feedback.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USB 케이블에 의한 USB 동작전압 강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USB operating voltage drop by the USB cable for vehicles.

아울러, 본 발명은 USB 동작 전압의 강하 및 상승분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충전장치의 설계능률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design efficiency of the charging device by actively controlling the drop and rise of the USB operating voltag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전원부와 외부장치가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개괄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보상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ehicle power source unit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connected.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tage compens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intended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readi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 comprises,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eans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Do not exclude the add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개괄적인 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 헤드유닛(100)에 구비되는 전원장치(200)는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30)와 외부장치의 입력커넥터(40)가 케이블(15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케이블(150)을 통해 외부장치(300)로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head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vehicle head unit and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able 150 And supplies the power supply voltage to the external device 300 through the cable 150.

여기서, 외부장치(300)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MP3(Mega Audio Layer-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네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TM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한다. Here, the external device 30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n MP3 (Mega Audio Layer-3), a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digital camera, a navigation terminal,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terminal,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rminal,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TMS) Multimedia device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장치(200)는 전원부(210) 및 전압 보상부(220)를 포함한다. 전원부(210)는 전원전압을 헤드유닛(100)의 출력 커넥터(30)로 출력한다. 전압 보상부(220)는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여 케이블(150)에 의한 차량 헤드유닛의 출력 커넥터(30)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강하를 보상한다.2, the power supply 2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10 and a voltage compensation unit 220. The power supply unit 21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10 and a voltage compensation unit 220. [ The power supply unit 210 outputs the power supply voltage to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head unit 100. 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220 detects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and compensates the voltage drop of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vehicle head unit by the cable 150. [

구체적으로, 케이블(150)의 임피던스 성분으로 인해 외부장치의 입력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이 헤드유닛(100)의 기준전압(4.75V)보다 낮게 되면, 전압 보상부(220)는 병렬저항을 형성하고, 형성된 병렬저항에 의해 전원부(210)로 입력되는 전압(VFB)이 분배된다.Specifically, when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4.75 V) of the head unit 100 due to the impedance component of the cable 150, 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220 outputs the parallel resistance And the voltage VFB input to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distributed by the formed parallel resistors.

전원부(2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병렬저항에 의해 분배된 입력전압(VFB) 때문에 가변 되어, 헤드유닛의 출력 커넥터(30)에 나타나는 전압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외부장치 입력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이 보상된다. The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varied due to the input voltage VFB divided by the parallel resistor so that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head unit is raised, The voltage is compensa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전원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3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210)는 DC-DC 컨버터의 역할을 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컨트롤러(211), 인버터(212), 전원부 출력단(10), 피드백 단자(20), 전압입력소자(213) 및 비교소자(214)를 포함한다.3, the power supply unit 210 includes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211, an inverter 212, a power supply output 10, a feedback terminal 20, An input element 213 and a comparison element 214. [

전원부(210)로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면, PWM 컨트롤러(211)는 펄스 폭 변조를 통해, 인버터(212)로 스위칭 신호를 전달한다.When the input voltage Vin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210, the PWM controller 211 transmits the switching signal to the inverter 212 through the pulse width modulation.

인버터(212)는 PWM 컨트롤러(211)로부터 출력된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의해 온/오프 스위칭 된다. 인버터(211)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입력전압(Vin)이 전원부 출력단(10)을 통해 헤드유닛의 출력 커넥터(30)로 전달된다.The inverter 212 is switched on / off by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PWM controller 211. The input voltage Vin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head unit through the power supply output terminal 10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verter 211. [

헤드유닛의 출력 커넥터(30)로 전달된 입력전압(Vin)은 차량용 USB 케이블(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장치의 입력커넥터(40)를 통해 외부장치(300)로 전달된다.The input voltage Vin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head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USB cable 150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300 through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이때, 외부장치의 고속충전, 일반충전 및 기능수행에 필요한 전류와 차량용 USB 케이블(150)의 임피던스로 인한 전압강하가 발생된다.At this time, a voltage drop occurs due to the current required for fast charging, normal charging and functioning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impedance of the USB cable 150 for the vehicle.

여기서, 전압보상부(220)는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여 케이블(150)에 의한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30)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한다. 이를 위해, 전압보상부(220)는 비교부(221), 스위칭부(222), 제1저항, 제2 저항, 제3 저항 및 한 개 이상의 레퍼런스 저항을 포함한다. 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220 detects a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and compensates for the voltage drop of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vehicle head unit by the cable 150. To this end, 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220 includes a comparator 221, a switching unit 222, a first resistor, a second resistor, a third resistor, and one or more reference resistors.

비교부(221)는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을 경우, 논리값 하이(High) 를 출력한다. 여기서, 기준전압은 전원부(210)의 전압스펙 사이에 존재하는 값으로 레퍼런스 저항의 연결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The comparing unit 221 compares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reference voltage and outputs a logic value High when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do. Here, the reference voltage is a value existing between the voltage specifications of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can be adjusted by connecting the reference resistors.

일실시예에서, 기준전압을 전원부(210)의 최소 스펙인 4.75V 로 설정하고, 비교부(221)의 비반전 입력으로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40)의 전압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voltage may be set to 4.75 V, which is the minimum specification of the power supply 210, and the voltage of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of the comparator 221.

일실시예에서, 외부장치의 입력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이 케이블의 저항(임피던스) 성분으로 인해 기준전압(4.75V) 보다 낮게 되면 비교부(221)는 하이신호(Logic 1)를 출력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become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4.75 V) due to the resistance (impedance) component of the cable, the comparator 221 outputs a high signal (Logic 1) .

스위칭부(222)는 비교부(221)로부터 획득한 논리값에 따라 스위칭되어, 전압보상부(220)와 전원부(21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222)는 비교부(221)로부터 입력 받은 출력신호에 의해 활성화(Turn on) 되어, 제 1저항(R1)과 제 2저항(R2)를 병렬로 연결시킨다.The switching unit 222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logic value obtained from the comparing unit 221 and connects 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220 and the power supply unit 210. Specifically, the switching unit 222 is turned on by the output signal received from the comparator 221 to connect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in parallel.

제 1저항(R1)과 제 2저항(R2)의 병렬연결에 의해 형성된 병렬 저항과, 제 3저항에 의해 분배된 전원전압이 피드백단자(20)로 입력된다. The parallel resistor formed by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distributed by the third resistor are input to the feedback terminal 20. [

즉, 외부장치 입력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제 1저항(R1)과 제 2저항(R2)이 병렬 연결되어, 병렬저항을 형성함으로써, 저항값이 가변되어 피드백 단자(20)로 입력되는 전압(VFB)을 변화시킨다. That is, when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external device input connector 4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form a parallel resistor, (VFB) input to the control unit (20).

도 3에 도시된 회로에서 알 수 있듯이, 저항값 가변에 의해 피드백 단자(20)로 입력되는 전압은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circuit shown in FIG. 3, the voltage input to the feedback terminal 20 by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병렬 저항이 형성되면, 피드백 단자(20)로 저항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입력된다. 피드백 단자(20)는 비교소자(214)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있다.When a parallel resistor is formed, the voltage distributed by the resistor is input to the feedback terminal 20. The feedback terminal 20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omparison element 214.

비교소자(214)는 병렬저항에 의해 분배된 피드백 전압과, 전압 입력소자(213)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비교 결과는 PWM 컨트롤러(211)의 입력신호가 되어, 인버터(212)를 제어한다.The comparison element 214 compares the feedback voltage distributed by the parallel resistor with the referenc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input element 213 and outputs the comparison result. The comparison result becomes an input signal to the PWM controller 211, and controls the inverter 212.

즉, 저항의 병렬 연결로 인해 분배된 피드백 전압이 전원부(210)으로 입력되면, PWM 컨트롤러(211)의 입력 신호가 변화하고, 입력 신호에 의한 PWM 컨트롤러(211)의 펄스 폭 변조에 의해 인버터(212)가 스위칭 되어, 전원부 출력단(10)에 출력되는 전원전압이 달라진다. 이로 인해, 헤드유닛(100)의 출력 커넥터(30)에 나타나는 전압이 상승되어 외부장치 입력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이 보상된다. That is, when the distributed feedback voltage is input to the power supply unit 210 due to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resistors, the input signal of the PWM controller 211 changes, and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PWM controller 211 by the input signal causes the inverter 212 are switched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utput to the power supply output terminal 10 is changed. As a result,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head unit 100 is raised to compensate for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external device input connector 40.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와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의 충전 전압 보상 방법은 차량 헤드 유닛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로 출력하는 단계, 외부장치의 입력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검출된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에 따라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in a case where an output connector of a vehicle head unit and an input connector of an external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ab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wer supply voltage input to the vehicle head unit is connected to an output connector Comparing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reference voltage, and compensating for the voltage drop of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output connector of the head unit according to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detec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보상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통해 충전 전압 보상 방법 및 회로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tage compens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and the circuit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먼저 차량 헤드유닛의 출력 커넥터(30)와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40)를 차량용 USB 케이블(15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S410). First,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vehicle head unit and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USB cable 150 for the vehicle (S410).

여기서, 차량용 USB 케이블(150)은 차량 헤드유닛(100)과 외부장치(300)의 상호접속 (Interconnection)을 위하여, 차량 관련 주요 업체들에 의해 개발된 주변장치의 접속 표준에 따른다. 차량용 USB는 스마트기기, MP3 등과 같은 외부장치(300)가 접속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Here, the vehicle USB cable 150 is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standard of the peripheral device developed by major vehicle companie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head unit 100 and the external device 300. The USB for the vehicle automatically recognizes when an external device 300 such as a smart device, MP3, or the like is connected.

외부장치(300)와 차량 헤드유닛이 연결되면, 전원부(210)는 차량 헤드 유닛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Vin)을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30)로 출력한다. When the external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head unit, the power source unit 210 outputs the power source voltage Vin input to the vehicle head unit to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vehicle head unit.

비교부(221)는 외부장치의 입력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고(S420), 비교결과에 따라 보상신호 또는 정상신호를 출력한다(S430). 구체적으로, 비교부(221)는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작을 경우 논리값 1을 출력한다.The comparator 221 compares the voltage appearing on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reference voltage (S420), and outputs a compensation signal or a norma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S430). More specifically, the comparator 221 outputs a logical value 1 when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40 of the external devi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활성화 신호가 출력되면, 제 1저항(R1)과 스위칭부가 직렬 연결되고, 제 1저항(R1)과 제2 저항(R2)이 병렬 연결되어, 제 1저항(R1)과 제 2저항(R2)의 병렬연결에 따른 수학식 2와 같은 병렬저항이 형성된다(S440). When the activation signal is output,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witching unit are connected in series,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are connected in parallel. A parallel resistor is formed according to the parallel connection of Equation (2) (S440).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병렬 연결에 따라 형성된 병렬 저항에 의해 전원전압이 분배된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단자(20)로 제 1저항(R1) 및 제 2저항(R2)의 병렬 연결에 따라 형성된 병렬 저항(R1//R2)과 제 3저항(R3)에 의해 전원전압이 분배된다(S450).The power supply voltage is distributed by the parallel resistor formed according to the parallel connection.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voltage is distributed to the feedback terminal 20 by the parallel resistor R1 //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formed according to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S45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저항(R1//R2)과 제 3저항(R3)은 직렬로 연결되므로, 수학식 1을 통해 분배된 전원전압을 얻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since the parallel resistor R1 /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are connected in series, the divided power voltage can be obtained by Equation (1).

분배된 전원전압은 피드백 단자(20)로 입력되고, 피드백 된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30)에 나타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한다 (S460).The distributed power source voltage is input to the feedback terminal 20, and the voltage drop appearing in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vehicle head unit is compensated using the fed power source voltage (S460).

즉, 저항의 병렬 연결로 피드백 전압을 분배하면 전원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이 능동적으로 가변되어 헤드유닛(100)의 출력 커넥터(30)에 나타나는 전압이 승압되어, 이에 따라 외부장치 입력커넥터(40)에 나타나는 전압이 보상된다.That is, when the feedback voltage is divided by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resistors, the power supply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actively varied to increase the voltage appearing on the output connector 30 of the head unit 100, The voltage appearing in the capacitor 40 is compensated.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USB 케이블(150)에 의한 USB 동작전압 강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USB operating voltage drop by the USB cable 150 for a vehicle.

아울러, 본 발명은 USB 동작 전압의 강하 및 상승분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충전장치의 설계능률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design efficiency of the charging device by actively controlling the drop and rise of the USB operating voltag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와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로 출력하는 전원부; 및
상기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케이블에 의한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전압 보상부
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A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output connector of a vehicle head unit and an input connector of an external device, the power supply device su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to the external device via a cable,
A power supply for outputting the power supply voltage to an output connector of the head unit; And
A voltage compensating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and compensating for a voltage drop of a voltage appearing at an output connector of the vehicle head unit by the cable,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보상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작을 경우 보상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전압 보상부와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A comparator comparing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outputting a compensation signal when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A switching unit tha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signal and connects 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보상부는,
상기 외부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값에 의해 스위칭 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와 직렬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제2 저항;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과 제2 저항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
을 포함하는 것
인 전원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voltage compensating unit comprises:
Comparing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with a reference voltage
A comparator;
A switching unit which is switched by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A first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witching unit;
And a second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sistor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 second resistor;
And a third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resistor
Including
Power supp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의 병렬 연결에 따라 형성된 병렬 저항과 제3 저항에 의해 분배된 전원전압을 피드백 받는 피드백 단자; 및
상기 피드백 된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
인 전원 장치.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claim 3,
A feedback terminal for receiving a power supply voltage divided by a parallel resistor formed according to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and the third resistor; And
A controller for compensating for a voltage drop of a voltage appearing at an output connector of the head unit using the feedback power supply voltage,
Including
Power suppl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은
상기 전원부의 전압스펙 사이에 존재하는 값으로 조정되고,
상기 비교부 입력단자의 입력값 인 것
인 전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supply unit is adjusted to a value existing between the voltage specifications of the power supply unit,
Which is an input value of the comparator input terminal
Power supply.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와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의 충전 전압 보상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 헤드 유닛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커넥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에 따라, 상기 헤드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 전압 보상 방법.
A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in a case where an output connector of a vehicle head unit and an input connector of an external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able,
Outputting a power supply voltage input to the vehicle head unit to an output connector of the vehicle head unit;
Detecting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Compensating a voltage drop of a voltage appearing at an output connector of the head unit according to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detected
/ RTI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작을 경우 보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인 전압 보상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detecting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Comparing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outputting a compensation signal when the voltage appearing at the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 RTI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출력 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입력커넥터에 나타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활성화 신호가 출력되면 저항의 병렬연결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상기 저항의 병렬연결에 따라 전원전압이 분배되어, 피드백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전압 보상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compensating for a voltage drop of a voltage appearing at an output connector of the vehicle head unit
Comparing a voltage appearing at an input connector of the external device with a reference voltage;
Forming a parallel connection of the resistors when the activation signal is outpu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Receiving a power supply voltage according to a parallel connection of the resistor;
/ RTI >






KR1020140010556A 2014-01-28 2014-01-28 Power Supply and Its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Active KR102126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56A KR102126356B1 (en) 2014-01-28 2014-01-28 Power Supply and Its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56A KR102126356B1 (en) 2014-01-28 2014-01-28 Power Supply and Its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59A true KR20150089659A (en) 2015-08-05
KR102126356B1 KR102126356B1 (en) 2020-06-24

Family

ID=5388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556A Active KR102126356B1 (en) 2014-01-28 2014-01-28 Power Supply and Its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3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843A1 (en) * 2019-05-21 2020-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feedback on voltage supplied from electronic device to externa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5148A (en) * 2007-06-07 2008-12-18 Kenwood Corp Usb power supply boos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5148A (en) * 2007-06-07 2008-12-18 Kenwood Corp Usb power supply boos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843A1 (en) * 2019-05-21 2020-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feedback on voltage supplied from electronic device to external device
KR20200134058A (en) * 2019-05-21 202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cting feedback on voltage supplied from an electronic device to external device
US11462998B2 (en) 2019-05-21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feedback on voltage supplied from electronic device to exter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356B1 (en)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9542B2 (en) Battery powered circuit and method
US93273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ystem power management
US9584016B2 (en) USB power supply apparatus
CN107209539B (en) Power supply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power supply device control circuit, power receiving device control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adapter using power supply device, an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US10284004B2 (en) Charging system with peak voltage detection
US9479060B2 (en) Control circuit, battery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US7719236B2 (en) Parallel powering of portable electrical devices
EP2388882A2 (en) Parallel powering of portable electrical devices
US9293925B2 (en) Charging and power supplying circuit, method and application device
US20170222463A1 (en) Duty cycle control for charging a battery
US20100314945A1 (en) Bidirectional converter and electronic device
US10770912B2 (en) Char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955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directional two-port battery charging with boost functionality
US10218195B2 (en) Switching-type charging circuit capable of quickly dropping the voltage at the input end to zero
JP2008118847A (en) Power supply managing system with charger/voltage boosting controller
CN110970956A (en) Charging method, electronic device,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KR20130009599A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with a common control loop for a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and a boost regulator
US8854025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S9837845B2 (en) Charging controlling circuit and charging controlling system
US12316150B2 (en) Charge systems with a bi-directional linear charger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s
US20070019347A1 (en) Electrical device with adjustable voltage
KR20130009411A (en)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 master device using a detachable device
US11088560B2 (en) Charger having fast transient respons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505593B (en) Configurabl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power supply
KR102126356B1 (en) Power Supply and Its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