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15154A - Versatile mask for ultrafine particles - Google Patents

Versatile mask for ultrafine p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154A
KR20150115154A KR1020140039651A KR20140039651A KR20150115154A KR 20150115154 A KR20150115154 A KR 20150115154A KR 1020140039651 A KR1020140039651 A KR 1020140039651A KR 20140039651 A KR20140039651 A KR 20140039651A KR 20150115154 A KR20150115154 A KR 20150115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al
mouth
main member
filtration
fil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9265B1 (en
Inventor
김조천
김신도
송규용
박성룡
브엉 딘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265B1/en
Publication of KR2015011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26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호흡 보호수단인 구강여과부와 비강호흡 보호수단인 비강보호부를 모두 갖는 다목적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두 겹 이상의 면 필터와, 면 필터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필터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안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안면부착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비강 흡입 부위에 마련되며,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비강여과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입의 위치에 마련되며,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구강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파이프 형상의 구강보호부와 비강보호부의 내부에 각각 적층되는 복합필터에 의하여 강력한 여과작용이 가능하게 되어 여러 다른 대기오염 상황에 대하여 모두 대처 가능하게 되고 귀걸이 끈 없이 얼굴에 탈부착 가능하여 마스크 탈부착시에 화이버나 모자를 벗을 필요가 없게 되며 강력한 여과필터가 구비되면서도 일상적인 마스크의 외관 연출이 가능하여 미관상 거부감이 없는 다목적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mask having both a mouth filtration unit as a mouth respiratory protection unit and a nasal protection unit as a nasal respiratory protection unit, comprising: a main member composed of a two-ply or more surface filter and a prefilter inserted between the surface filters; A face attachment portion coupled with a rim of the main member and resiliently fixable to the face; A nasal filtration portion provided at the nasal suction portion in the main member,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comprising a first composite filter; And a mouthpiece formed at the mouth of the main member, the mouthpiece being composed of a second composite filter. The composite filter is stacked in the pipe-shaped oral protective portion and the nasal protective portion,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kinds of air pollution situations, and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it to face without earring straps, so it is not necessary to take off the fiber or hat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mask,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appearance of everyday mask with powerful filtering filter Thereby providing a multi-purpose mask having no cosmetic rejection.

Description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Versatile mask for ultrafine particles}{Versatile mask for ultrafine particles}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황에 대응 가능한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mask for ultrafine dust which can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현대사회에서는 대규모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배출되는 유독 기체의 양이 막대할 뿐만 아니라 그 종류도 다양하여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성분으로 대기가 오염되고 있다. In modern society, due to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industry, the amount of toxic gas emitted is not only large but also various kinds.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한 여러 규제 법규가 제정되고 정화장치의 개발도 이루어져 왔으나 대기 오염을 차단하기에는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Several regulatory regulations have been enacted to prevent air pollution and development of purification devices has been made, but it is still not enough to prevent air pollution.

최근에도 황사보다 더욱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은 아직 없는 상태이다. 특히 미세먼지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농도가 올라가면 심혈관계, 호흡기계 환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사망률도 높아진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해 연간 2만 여명의 조기사망과 80만 여명의 폐 관련 질환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를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무려 12조 3천억원으로 추정된다.Recently, many people are suffering from fine dust which is more harmful to human body than yellow dust, and measures are not yet in place. Particularly fine dust is a problem because it causes serious diseases such as heart attack, asthma, bronchitis, pneumonia and lung cancer. A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creases,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patients increases exponentially and the mortality rate increases. According to one study, there are about 20,000 premature deaths and about 800,000 lung-related diseases a year in the metropolitan area due to fine dust. It is estimated to be W12.3trn if it is converted into social cost.

또한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현장에서 근로자들과 인근 주민들은 다양한 대기 오염원에 노출되어 있다. 화학연료나 유기용제를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산업현장에는 아주 다양한 유형의 해로운 기체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근로자들은 많은 경우 답답한 마스크를 쓰기 보다는 간단한 방독면을 착용하게 되기도 하고 작업중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아예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경우도 많다.In addition to fine dust, workers and nearby residents are exposed to various air pollutants at various industrial sites. Unless you are handling chemical fuels or organic solvents directly, there are often many types of harmful gases exposed to industrial sites. In many cases, workers often wear simple respirators rather than stifling masks, and often do not use masks to communicate during work.

그리고, 대기오염의 원인이 다양한 만큼 각각의 오염원에 따라 적합한 마스크들은 개발되어 있으나,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마스크들을 모두 휴대하긴 힘들므로 하나의 마스크를 휴대하더라도 다른 대기오염원에는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도 많다.Although various masks have been developed for various pollution sources, it is difficult to carry all the various mask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ircumstances. Therefore, even when one mask is carried, it is often exposed to other air pollution sources .

이처럼 다양한 오염원 모두에 대처 가능한 마스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종래 개발된 마스크들은 다양한 요구들을 만족시키기에는 용도가 너무 한정되게 된다. 예를들어 일상생활에서도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신종플루 등의 바이러스에도 동시에 대처 가능한 마스크는 아직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Although masks capable of coping with various pollutants are desperately required, conventionally developed masks are too limited in use to satisfy various demands. For example, in everyday life, masks that can cope with not only fine dust but also viruses such as swine flu are not yet available.

또한, 일상생활에 쓰이는 마스크들은 대부분은 너무 헐렁하여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차단 효과가 거의 없다. 특수하게 제작되는 마스크들도 고성능의 다층필터가 입과 코 모두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경우는 없으며 특히 여러 다른 특수 상황에 모두 대처 가능하도록 고성능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의 마스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In addition, most of the masks used in everyday life are too loose and have little dust or virus blocking effect. The masks that are specially manufactured do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igh-performance multilayer filter can be mounted on both the mouth and the nose, and there is not yet a mask capable of replacing the high-performance filter to cope with various special situations It is true.

구체적으로 도1에 도시되어 있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159호의 마스크를 살펴보면, 마스크(1)에 있어서, 코,입 형상의 본체(100) 내측에 탈착식 공기여과필터(300)를 공기여과필터 커버(301)와 용착하여 설치하고 얼굴에 접촉되는 내측 가장자리에는 스판덱스원단(402)을 접착한 환형의 우레탄 스폰지 패드(400) 및 우레탄 스펀지패드 고정 돌기들을 설치하며 본체 외측 가장자리에는 자외선 차단 및 방한용 두건(500)을 탈부착할 수 있으며 두건 고정 돌기(101) 및 홈(102)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air filtering filter 300 is disposed inside the nose-and-mouth main body 100 in the mask 1, An annular urethane sponge pad 400 and urethane sponge pad fixing protrusions each having a spandex fabric 402 adhered to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filter filter cover 301 are installed. And a hood fixing protrusion (101) and grooves (102) are provided on the hood (500).

도1의 종래기술은 스판덱스 원단으로 얼굴과의 밀착성을 높이고 필터가 교체가능하게 됨으로써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며 입 부위만의 개폐가 가능하여 마스크를 벗지 않고 음식 섭취나 대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technique shown in FIG. 1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pandex fabric improves the adhesion to the face and the filter is replaceable, thereby making it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opening and closing only the mouth portion, thereby enabling food intake and conversation without removing the mask.

다만, 도1의 종래기술은 코가 함께 보호되지 못하고, 입에 장착되는 필터는 다층의 복합필터가 장착되기는 힘든 구조이므로 가령 바이러스와 초미세먼지를 동시에 차단시키기에는 부족하며 귀에 거는 끈 없이 얼굴에 밀착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nose is not protected together with the nose and the filter mounted on the mouth is difficult to be equipped with a multi-layer composite filter, it is not sufficient to simultaneously block viruses and ultrafine dus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no means tha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또다른 종래기술로는 도2에 도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7565호의 코, 입 분리형 마스크가 있다.Another prior art is the nose-and-mouth type mask of the patent application 10-2011-0007565 shown in Fig.

도2의 종래기술은 구체적으로 공기를 필터링 하는 코, 입 분리형 마스크에 있어서, 코 마스크(100) 및 코마스크로부터 탈착 가능한 입 마스크(200)를 포함하며, 코마스크는, 상기 사용자의 비문과 상기 코마스크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기 구멍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코마스크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일방향 배출 격막을 포함하며, 통기 구멍과 일방향 배출 격막은 사용자의 비문에 대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인 코, 입 분리형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The prior art of FIG. 2 specifically includes a nose-and-mouth-type mask for filtering air, comprising a nose mask 100 and a mouth mask 200 detachable from the nose mask, And a unidirectional exhaust diaphragm formed to cover a plurality of vent hole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nasal mask to discharge air inside the nasal mask and block inflow of air outside the nasal mask, Is a nose-and-tear-off mask that is formed obliquely to the user's inscription.

상기 구성에 의하여 도2의 종래기술은 외부 공기의 불필요한 유입이 차단되고 코마스크와 입마스크가 용이하게 탈부착되며 마스크 내부의 공기 및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ventional art shown in FIG. 2 has an advantage in that unnecessary inflow of outside air is blocked, the nose mask and the mouth mask ar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and air and moisture inside the mask are smoothly discharged.

다만, 도2의 종래기술도 도1의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강력한 복합필터를 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 없으며, 귀에 거는 끈을 사용해야 하므로 안전모 등을 착용하였을 경우에는 마스크를 쓰기 위해서 안전모를 벗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한 가지 오염원에 대처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게 된다.However, the prior art of FIG. 2 does not have a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a strong composite filter as in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and has to use a strap to be put on the ear so that when a helmet or the like is worn, And there is no means for replacing the filter, so there is a problem that one has to cope with a source of pollution.

한편, 종래의 귀에 거는 끈 없는 마스크들은 피부에 들러붙는 점착성 물질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러한 점착성 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경우가 많고 피부 건강에도 좋지 않으므로 점착성 물질을 쓰지 않고도 얼굴에 귀에 거는 끈 없이 착용가능한 마스크가 필요하다.Conventional ear-strapless masks are designed to use sticky materials that adhere to the skin, but such sticky materials are often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are not good for skin health. Therefore, a mask that can be worn without a strap .

그리고 고성능 필터가 쓰이는 경우는 특수 목적을 위한 방독면들이 대부분인데 그러한 방독면을 쓰고 일상생활을 할 수는 없으므로 미관상 자연스러운 통상의 마스크처럼 보이면서도 고성능 필터가 적용 될 수 있는 마스크의 개발이 필요하다.If a high-performance filter is used, most of the gas masks for special purposes can not be used in everyday life by using gas mas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sks that can be applied to high-performance filters while still appearing as natural and normal masks.

따라서 공해, 유독가스,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의 각종 대기 오염원에 모두 대처할 수 있고,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는 복합필터의 채용이 가능하며 안전모 등을 착용했을 경우에도 안전모 등을 벗지 않고 얼굴에 부착 가능한 한편 고성능 필터가 적용되면서도 미관상 자연스러운 마스크의 개발이 요청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opt a composite filter capable of coping with various air pollution sources such as pollution, toxic gas, fine dust, virus and the like and having a depth that can effectively block pollutants. Also, While it is possible to attach it to the face while applying a high performance filter, it is required to develop a cosmetic natural mask.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159호(공개일자: 2009.04.01)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3159 (Published Date: April 4, 2009)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7565호(공개일자: 2011.01.24)Published Japanese Translation of PCT Application No. 10-2011-0007565 (Published Date: January 24, 2011)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여러 종류의 대기 오염에 모두 대처 가능하며 고성능 필터를 구비할 수 있는 수단을 채용하면서 귀에 거는 끈 없이 착용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sk which can cope with various kinds of air pollution and which can be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filter while wearing the earphone without strap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마스크는, 두 겹 이상의 면 필터와, 면 필터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필터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안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안면부착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비강 흡입 부위에 마련되며,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비강여과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입의 위치에 마련되며,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구강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mask comprising: a main member including two or more face filters and a pre-filter inserted between the face filters; A nasal filtering portion formed of a first composite filter provided at a nasal suction portion of the main member and a mouth filtration portion provided at a mouth of the main member and made of a second composite filter .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부재는 상기 비강여과부가 탈착가능하게 되는 제1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비강여과부는 콧구멍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양 콧구멍에 삽입되는 두 개의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상기 하우징에 공기 진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내장되어 형성되는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Preferably, the main member further includes first detachment means in which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is detachable.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nostril, and includes two housings inserted into both nostrils, And a first composite filter formed by sequentially embedding a filter of the first filter in the air moving direction in the housing.

이때, 상기 제1복합필터는 용도별로 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composite filters are provided with different filter configurations for different purpos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부재는 상기 구강여과부가 탈착가능하게 되는 제2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원통형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하우징의 양측 개구부는 복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막으로 폐쇄되도록 한다.Preferably, the main member further includes second detachment means in which the mouth filtration portion is detachable, wherein the mouth filtration portion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housing, and a filter having different materials sequential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housing And the both side openings of the cylindrical housing are closed by a membrane in which a plurality of vents are formed.

이때, 제1탈착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측이 통기되는 원기둥이 구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되게 하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하우징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기 통기구를 둘러싸며 연장된 부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탈착수단에 나사 결합 되는 원통형의 너트부를 더 포함하며, 구강여과부는 용도별로 상기 다층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detachment means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ylindrical body protruding in the mouth direction on both sides, and the mouth filtra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A cylindrical nut portion formed with threads and screwed to the first detachment means, and the mouth filtration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multi-layer filter structure for each use.

또는, 상기 메인부재에는 상기 구강여과부가 탈착 가능한 제2탈착수단이 구비되게 하되, 제2탈착수단은 신축성의 링이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원형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원형 홈에 상기 링이 결합되고, 구강여과부는 용도별로 상기 다층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main member may be provided with second detachment means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the mouth filtration unit, and the second detachment means may be an elastic ring. The mouth filtration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circular groov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The ring may be coupled to the circular groove, and the oral filtration part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multi-layer filter structure for each use.

한편, 상기 안면부착수단은 메모리 폼의 표면을 둘러싸는 땀 흡수가 용이한 항균 섬유를 더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ace attachment means further includes an antibacterial fiber that easily absorbs perspiration and surrounds the surface of the memory foam.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마스크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깊이가 깊은 고성능의 복합 필터의 채용이 가능하여 여러 가지 대기 오염원을 동시에 뛰어난 효율로 차단시킬 수 있으며, 특히, PM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First, it is possible to adopt a high-performance composite filter with a deep depth, so that various air pollution sources can be simultaneously shielded with excellent efficiency. In particular,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blocking ultrafine dust below PM 2.5.

둘째, 복합 필터를 다양한 대기 오염원에 대응되도록 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세트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필터의 교체만으로 간접흡연의 피해로부터 각종 작업장의 유해가스까지 모두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Second, since the composite filter is provided as a set with different filter configurations so as to correspond to various air pollution sources, it is possible to block all the harmful gases of various workplaces from the damage of second-hand smoke only by changing the filter.

셋째, 고성능의 복합 필터를 채용하면서도 일상적인 마스크와 거의 유사한 외관을 하므로 특수 방독면과 달리 미관상으로도 괴리감을 주지 않는다.Third, while adopting a high-performance composite filter, it has a similar appearance to a usual mask, so it does not give a sense of aesthetic appearance unlike a special respiratory mask.

넷째, 코와 입이 동시에 복합필터로 보호 가능하게 됨으로써 코나 입의 어느 하나만 보호하는 마스크에 비하여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Fourth, since the nose and mouth can be protected by the composite filter at the same time, a smooth breathing is possible compared to a mask protecting only one of the nose and mouth.

다섯째, 귀에 거는 끈 없이 착용이 가능하므로 모자나 헬멧 등을 착용한 경우에도 모자나 헬멧을 벗지 않고 마스크를 얼굴에 쓰거나 벗을 수 있으며 탈착수단으로 탄성재질의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좋지 않은 점착성 물질을 쓰지 않을 수 있다.Fifth, it is possible to wear without a strap on your ears. Even if you wear a hat or a helmet, you can wear or remove the mask without removing the hat or helmet. By using a frame made of elastic material as a removable means, I can not write.

도1은 종래기술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
도2는 종래기술인 코, 입 분리형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안면부착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메인부재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1,2 탈착수단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구강여과부와 제2탈착수단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구강여과부와 제2탈착수단에 대한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비강여과부를 나타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2탈착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비문부와 구문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1,2 탈착수단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착용상태의 측면도,
1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prior art mask,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nose-and-mouth type mask,
3 is a front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a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ace attachment unit of a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member of a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attaching / detaching means of the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mouth-filtering portion and the second removing device of the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outh-filtering portion and the second removing device of the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nasal filtering unit of a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econd detachment means of a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nscription and a syntax part of a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12 is a side view of a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1)가 사용자에 의하여 착용된 경우를 상정한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in which a multi-purpose mas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 user.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본 발명은 두 겹 이상의 면 필터(11)와, 면 필터(11)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필터(13)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10)와, 메인부재(10)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안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안면부착부(20)와, 메인부재(10)에서 비강 흡입 부위에 마련되며, 제1복합필터(31)로 이루어지는 비강여과부(30)와, 메인부재(10)에서 입의 위치에 마련되며, 제2복합필터(41)로 이루어지는 구강여과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member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main member 10 ") consisting of two or more face filters 11 and a prefilter 13 inserted between face filters 11 A face attachment portion 20 which is joined to the rim of the main member 10 and can be elastically fixed to the face of the main member 10, And a mouth filtration section 40 which is provided at a mouth position in the main member 10 and is composed of a second composite filter 41. [

도5에는 메인부재(10)의 단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메인부재(10)의 단면구조상 양 표면은 면 재질의 필터(11)이며 그 사이에 부직포 재질의 프리필터(13)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5에는 두겹의 면 필터(11)와 한 겹의 프리필터(13)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숫자에 제한은 없으며 복수개의 면 필터(11)가 있고 그 사이마다 프리필터(13)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재질은 사용 환경에 따라서 면과 부직포가 아닌 다른 재질이 적용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Fig. 5 shows a 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member 10. As shown in Fig. Both surfaces 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main member 10 are made of a surface-type filter 11, and a pre-filter 13 made of nonwoven fabric can be inserted therebetween. 5, the number of the surface filters 11 is two and the number of the prefilters 13 is one. However,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f the surface filters 11, Can be inserted. The material of the filter may be made of materials other than cotton and nonwoven fabric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그리고 도4에는 안면부착부(20)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안면부착부(20)는 도4에 표현된 것처럼 탄성재질로 되어 얼굴에서 양측 볼을 조임에 의하여 얼굴에 다목적 마스크(1)가 착용되게 된다. 조임에 의한 착용방식이 채택됨으로써 종래의 끈없는 마스크와는 달리 인체에 해로운 점착제를 쓸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And is shown with respect to the face attachment 20 in Fig. The face attachment portion 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s shown in FIG. 4, and the multipurpose mask 1 is worn on the face by tightening the both sides of the face with the face. By adopting the fastening method,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hich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unlike the conventional cordless mask.

다만, 탄성력에 의하여 얼굴에 착용 될 경우 사람마다 얼굴의 굴곡이 다르므로 안면부착부(20)와 얼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스며들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면부착부(20)에서 피부에 접촉되는 부위에는 메모리 폼 등의 형상복원 재질의 쿠션이 부착될 수 있다. 메모리 폼은 착용 후 시간이 지나면 빈 공간을 채우도록 형상이 변형되며 탈착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메모리 폼의 성질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안면부착부(20)에 적용되어 좀 더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face is worn on the face due to the elastic force, the curvature of the face differs for each person, so that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ace attachment portion 20 and the face, so that external air can permeate into the mask. In order to prevent this, a cushion of a shape restoration material such as a memory foam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face attachment portion 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kin. The shape of the memory foam is deformed to fill an empty space after a lapse of time from the wearing of the memory foa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ace-attachment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properties of the memory foam,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airtightnes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1)는 코와 입 부위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메인 부재(10)가 피부에 접촉되게 되므로 외부 공기가 직접 코와 입으로 들어오기는 힘들며 따라서 안면부착부(20)에 구비되는 상기 메모리 폼은 보조적인 기밀성의 향상을 위한 구성이 된다.In the multi-purpose mas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member 10 is basically in contact with the skin except for the nose and the mouth, external air is difficult to directly enter into the nose and mouth, The memory foa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lemental airtightness improving structure.

도3에서는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가 빈 공간인 것처럼 묘사가 되어 있으나, 도3의 기본 실시예에서도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는 결합 된 상태이다 비강여과부(30)의 자세한 구성은 도9에 도시되어 있으며, 구강여과부(40)는 도7과 도8에 도시되어 있다. 3, the nasal cavity 30 and the oral cavity 40 are illustrated as empty space. However, in the basic embodiment of FIG. 3, the nasal cavity 30 and the oral cavity 40 are combine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30 is shown in Fig. 9, and the oral filtration portion 40 is shown in Figs. 7 and 8. Fig.

다만, 후술하겠지만 도7과 도8은 구강여과부(40)가 메인부재(10)에 탈착가능하게 되는 경우의 실시예로서 도7과 도8은 각각 구강여과부(40)가 후술하게 될 제2탈착수단(16)에 결합되는 방식이 서로 다른 실시예를 이루므로 기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참고할 경우에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제2탈착수단(16) 및 너트부(44)와 원형 홈은 제외하고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7 and 8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oral filtration section 40 is detachable to the main member 10, and FIGS. 7 and 8 show the state in which the oral filtration section 40 2 attachment / detachment means 16,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and the nut portion 44 shown in FIGS. 7 and 8 and the circular attachment / detachment means 16 shown in FIGS. It is necessary to refer to it except for the groove.

그리고 기본 실시예에서는 구강여과부(40)와 비강여과부(30)가 메인부재(10)에 탈착 가능한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두 여과부(30,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본 실시예에서는 구강여과부(40)와 비강여과부(30)는 메인부재에 고정부착 될 수도 있는 것이다.Also, in the basic embodiment, the two filtration units 30 and 40 are provided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oral filtration unit 40 and the nasal filtration unit 30 are detachable to the main member 10. Therefore, in the basic embodiment, the oral filtration section 40 and the nasal filtration section 30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main member.

비강여과부(3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비강여과부(30)는 콧구멍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양 콧구멍을 밀폐하게 되는 두 개의 하우징(32)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상기 하우징(32)에 공기 진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내장되어 형성되는 제1복합필터(31)로 이루어지게 된다.9, the nasal filtration part 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nostril, and includes two housings 32 that seal both nostrils, And a first composite filter (31) formed by sequentially embedding filters of different materials in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housing (32).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32)의 형상은 비강 내부 형상에 대응되게 상측 종단부가 굽어져서 비강 내부로 하우징(32)이 삽입되더라도 이물감 없이 편안하게 착용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32)은 콧구멍 안쪽으로 깊이 삽입될 필요 없이 콧구멍 개구부만을 밀폐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복합필터(31)의 하부에는 반원구 형상의 1차 정화실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흡착구가 복수개가 구비되며 공기가 흡입될 때 상기 흡착구가 유동되면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그 외주면에 흡착시키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housing 32 can be worn comfortably without a foreign object even if the housing 32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by bending the upper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nasal cavity.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32 can be made to seal only the nostril opening without the need to be deeply inserted into the nostril. A semi-spherical primary purifying chamber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mposite filter 31, and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as shown in the figure are provided therein. When the air is sucked, the suction port And adsorbs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고 정화실의 상단에는 제1복합필터(31)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흡입공이 형성되며, 흡입공을 지난 공기는 제1복합필터(31)를 통과하게 된다. 제1복합필터(31)는 기본적으로 공기가 처음 통과되는 활성탄 층이 가장 하부에 형성되며, 활성탄 층의 상부에는 대기 오염의 종류에 따라 오염원의 차단이 가능한 필터층들이 차례로 위치될 수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purifying chamber, a suction hole is formed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pound filter 31,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hole passes through the first compound filter 31. The first composite filter 31 is basically formed with an activated carbon layer through which the air first passes and the filter layers capable of blocking the pollution source depending on the type of air pollution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activated carbon layer.

구강여과부(40)는 도7과 도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7과 도8에서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도7을 참조하기로 한다.The oral filtration unit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7 and 8,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so that Fig. 7 will be referred to.

구강여과부(40)도 비강여과부(30)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하우징(42)과 하우징(42) 내부에 하우징(42)의 깊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서로다른 필터층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비강여과부(30)와의 차이점은 하우징(42)이 형상의 제한을 덜 받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상을 띠고 개방되는 원통 양측은 복수개의 통기구(43)가 형성되는 막으로 폐쇄된다. 이는 공기의 흡입 압력을 낮추어 제2복합필터(41)의 여과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
Like the nasal filtration part 30, the oral filtration part 40 basically comprises different filter layers laminat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using 42 in the housing 42 and the housing 42. At this time, the difference from the nasal filtration part 30 is that the housing 42 is less restricted in the shape, and therefore, both sides of the cylinder, which is opened in a cylindrical shape, is closed by the membrane in which the plurality of vent holes 43 are formed. This is to increase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second composite filter 41 by lowering the suction pressure of the ai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1)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mas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1실시예는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가 모두 메인부재(10)에서 착탈 가능하게 되는 형태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both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30 and the oral filtration portion 40 are detachable from the main member 10.

도6 내지 도10에는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가 각각 제1탈착수단(15)과 제2탈착수단(16)에 결합 가능하게 되는 수단들이 도시되어 있다.6 to 10 show the means by which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30 and the oral filtration portion 4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emoval means 15 and 16, respectively.

먼저, 도9를 참조하여 비강여과부(30)의 탈착방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9와 도6에는 비강여과부(30)의 탈착방식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다만 비강여과부(30)의 탈착방식에는 제한은 없으며 일례로 제1탈착수단(15)은 코 부위의 메인 부재(10)에서 프리필터(13)가 일부 제거되고 도9의 비강여과부(30)의 하우징(32)의 하부 끝단의 수평 부분이 프리필터(13)가 위치되는 부위에 삽입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First, the detachment method of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and 6, the detachment / attachment manner of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30 is not shown in detail. However,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detachment method of the nasal filtration section 30. For example, the first desorption section 15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re-filter 13 is partially removed from the main member 10 at the nose section and the nasal filtration section 30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32 of the pre-filter 13 can be inserted into the portion where the pre-filter 13 is located.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여 구강여과부(40)가 제2탈착수단(16)에 탈착되는 방식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referring to FIG. 7,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manner in which the oral filtration part 4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제2탈착수단(16)은 메인부재(10)에서 입이 위치되는 부위에 구비되는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측이 통기되는 원기둥이 구강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띠게 된다. 따라서 제2탈착수단(16)에 결합되는 원통 파이프 형상의 구강여과부(40)를 사용자가 입으로 물어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다.The second attachment / detachment means 16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mouth is located in the main member 10, and has a shape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ylindrical body on both sides is protruded in the mouth direction. Therefore, the user can bite the oral filtration part 40 of the cylindrical pipe shape coupled to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to suck air.

원기둥 형상의 제2탈착수단(16)은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일종의 볼트와 유사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구강여과부(40)는 일측에 중공의 원기둥이 연장되고 그 연장되는 부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부(44)로 형성되며 이 너트부(44)가 볼트 형상의 제2탈착수단(16)에 나사결합으로 부착된다.The cylindrical second detachment means 16 has thread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to serve as a kind of bolt. At this time, the hollow filtration part 40 has a hollow cylinder extending on one side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ded part, and the nut part 44 is formed by the bolt- 16).

다만, 제2탈착수단(16)이 볼트의 역할이 아닌 너트 형상을 띠게 되어 너트의 역할을 맡고 구강여과부(40)의 끝단이 볼트 형상으로 되어 볼트의 역할을 맡게 될 수도 있다. 즉 반드시 어느 한쪽이 고정된 역할을 맡을 필요는 없는 것이다.However,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may have a nut shape instead of a bolt, so that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may assume the role of a nut and the end of the oral filtration portion 40 may have a bolt shape. That is, one does not have to assume a fixed role.

도6에서 하단에 도시된 부분이 바로 제2탈착수단(16)이 된다. 도6에서는 상기 설명과는 달리 제2탈착수단(16)은 너트 형상을 띠고 있다. 따라서, 제2탈착수단(16)이 도6과 같이 너트로 될 경우에는 구강여과부(40)의 끝단은 너트부가 아닌 볼트부가 되는 것이다.The portion shown at the lower end in FIG. 6 becomes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6,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has a nut shape. Therefore, when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is a nut as shown in FIG. 6, the end of the mouth filtration part 40 is a bolt part, not a nut part.

도6에는 제1탈착수단(15)과 제2탈착수단(16)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In Fig. 6, the first detachment means 15 and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are shown together.

다시 도7로 돌아와서 살펴보면, 일단에 형성된 너트부(44) 외에 타단에 볼트 형상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변형 실시예로서,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구강여과부(40)가 두 개 이상 나란히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다. 특히, 일상적인 목적이 아닌, 전염 바이러스 등이 창궐하는 상황에서는 필터의 여과력을 극대화 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쓰이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back to FIG. 7, a portion protruding in the form of a bolt at the other end is shown in addition to the nut portion 44 formed at one end. This is an alternative embodiment, in which two or more oral filtration sections 40 are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side by side for special purpos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filtering power of the filter in the case where contagious viruses such as contagious viruses are not used for everyday purposes.

도7의 오른쪽에는 앞서 설명한 통기구(43)가 형성된 모습이 왼쪽 도면에서 A-A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the left side view of the air vents 43 described above.

한편 구강여과부(40)는 여러 가지 상황을 대비하여 복수개로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계절에 따라 오염원이 달라지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주요한 각종 바이러스들에 대하여 종류별로 대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도 있다. 또는 사용처에 따라 유기용제 취급을 위한 경우, 납땜 등의 작업에서 중금속 개스를 차단시키기 위한 경우, 담배연기가 자욱한 상황에서 간접흡연을 피하기 위한 경우 등에 따라 여러 종류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여러 종류를 하나의 세트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각각의 구강여과부(40)는 서로 내부 필터 구성을 목적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mouth filtration units 40 are provided for various situations. This may be to prepare for a situation where the pollution source varies according to the season, or it may be designed so as to prepare for each kind of major viruses. Or to avoid heavy metal gas in the operation of soldering or the like, or to avoid secondhand smoke in the case where the smoke is thick, depending on the place of use,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several sets as one set. At this time, each of the mouth filtration units 40 constituting one se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purposes.

도8에는 제1실시예에서 제2탈착수단(16)에 구강여과부(40)가 결합되는 방식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8 show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manner in which the oral filtration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second means for removing 16 in the first embodiment.

도8의 실시예에서는 도7처럼 제2탈착수단(16)과 구강여과부(40)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제2탈착수단(16)은 신축성의 링으로 되고 이 링에 대응될 수 있게 구강여과부(40)의 하우징(42) 외부에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이 원형 홈에 링으로 된 제2탈착수단(16)이 결합되게 된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second removing unit 16 and the mouthpiece filtering unit 40 are not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as shown in FIG. 7, but the second removing unit 16 is a stretchable ring, A circular groov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utside the housing 42 of the oral filtration section 40 so that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as a ring is coupled to the circular groove.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의 도7의 실시예와 같이 구강여과부(40)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연결될 수는 없다. 다만 이 실시예의 특징은 원형의 홈이 구강여과부의 하우징(42)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하여 하우징(42)이 입 안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가능하게 되는 점이다. 단순한 불편함의 개선을 위한 목적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서는 입 안으로 구강여과부(40)가 깊이 돌출될 경우 헛구역질을 일으킬 수도 있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장시간 착용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여 이런 점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as in the embodiment of Fig. 7 described earlier, the oral filtration part 40 can not be connected in plur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the feature of this embodiment is that a plurality of circular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42 of the oral filtration por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housing 42 protruding into the mouth can be adjusted. This may b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imple discomfort, and if the mouth filtration part 40 is protruded deep into the mouth depending on the user, it may cause malfunction. This phenomenon tends to occu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wearing for a long time, so that this aspect can be impro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8의 실시예는 제1탈착수단(15)과 비강여과부(30)의 결합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embodiment of FIG. 8 can also be applied to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etachment means 15 and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30.

도10에는 제1실시예가 적용되는 경우의 제2탈착수단(16)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메인 부재(10)의 단면도이다.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member 10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of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6 when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도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1)의 두 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1에서는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 외에도 코 부위와 입 부위에 보조 필터(38,48)를 메인부재(10)에 더 결합시켜 탈착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Fig. 11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mas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that the auxiliary filters 38 and 48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member 10 in addition to the nasal filtration part 30 and the oral filtration part 40 in addition to the nose part and the mouth part.

코 부위와 입 부위로 호흡이 이뤄지므로 특히 기밀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보조필터(38,48)를 적용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최대한 차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비강보조필터(38)이며 비강보조필터(38)는 제1보조탈착수단(39)에 의하여 탈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입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구강보조필터(48)이며 구강보조필터(48)는 제2보조탈착수단(49)에 의하여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breathing is performed at the nose portion and the mouth portion, particularly, the airtightness is required, so that the auxiliary filters 38 and 48 are applied so as to block the polluted air from the outsid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nasal auxiliary filter 38 is detachable by the first auxiliary detachment means 39. The oral auxiliary filter 48 is formed at the mouth and the oral auxiliary filter 48 is removable by the second auxiliary detachment means 49.

도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1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FIG. 12 shows a user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면부착수단(20)에서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메모리 폼의 표면에는 땀 흡수가 용이한 항균 섬유층이 마련되어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부위에 땀이 과도하게 차는 것이 방지됨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an antimicrobial fiber lay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emory foam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face attachment means 20, so that excessive sweating on the skin is prevented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다목적 마스크 10: 메인부재
11: 면 필터 13: 프리필터
15: 제1탈착수단 16: 제2탈착수단
20: 안면부착부 30: 비강여과부
31: 제1복합필터 32: 비강여과부 하우징
38: 비강보조필터 39: 제1보조탈착수단
40: 구강여과부 41: 제2복합필터
42: 구강여과부 하우징 43: 통기구
44: 너트부 45: 볼트부
48: 구강보조필터 49: 제2보조탈착수단
1: multipurpose mask 10: main member
11: surface filter 13: prefilter
15: first detachment means 16: second detachment means
20: Facial attachment part 30: Nasal filtration part
31: First compound filter 32: Nasal filtration housing
38: Nasal Auxiliary Filter 39: First Auxiliary Desorption Means
40: Oral filtration part 41: Second composite filter
42: oral cavity housing 43: vent
44: nut portion 45: bolt portion
48: Oral auxiliary filter 49: Second auxiliary detachment means

Claims (7)

두 겹 이상의 면 필터와, 면 필터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필터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안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안면부착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비강 흡입 부위에 마련되며,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비강여과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입의 위치에 마련되며,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구강여과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마스크.
A main member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 filters and a pre-filter inserted between the surface filters;
A face attachment portion coupled with a rim of the main member and resiliently fixable to the face;
A nasal filtration portion provided at the nasal suction portion in the main member,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comprising a first composite filter;
And a mouth filtration part which is provided at a mouth position in the main member and is composed of a second composite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는 상기 비강여과부가 탈착가능하게 되는 제1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비강여과부는 콧구멍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양 콧구멍을 밀폐하게 되는 두 개의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상기 하우징에 공기 진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내장되어 형성되는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member further comprises first detachment means in which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is detachable,
Wherein the nasal filtration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nostril and includes two housings which are hermetically sealed in both nostrils and a first composite filter in which filters of different materials are sequentially embedded in the housing in the air moving direction Features a multi-purpose mas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합필터는 용도별로 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complex filters are provided in different filter configurations for different purpo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에는 상기 구강여과부가 탈착가능하게 되는 제2탈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구강여과부는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원통형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하우징의 양측 개구부는 복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막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member is provided with second detachment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mouthpiece to the mouthpiece,
The mouth filtration part is composed of a hollow cylindrical housing and a second composite filter formed by sequentially inserting filters of different materi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housing and both side openings of the cylindrical housing are formed into a plurality of vents Wherein the mask is closed.
제4항에 있어서,
제1탈착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측이 통기되는 원기둥이 구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이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하우징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기 통기구를 둘러싸며 연장된 부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탈착수단에 나사 결합 되는 원통형의 너트부를 더 포함하며, 구강여과부는 용도별로 상기 다층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detachment means has a shape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ylindrical body on both sides is protruded in the mouth direction,
The mouth filt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ylindrical nut portion having one side of the housing extended to form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surrounding the air vent and screwed to the first detachment means, Wherein the plurality of masks are provided in different mann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에는 상기 구강여과부가 탈착 가능한 제2탈착수단이 구비되고,
제2탈착수단은 신축성의 링이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원형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원형 홈에 상기 링이 결합되고, 구강여과부는 용도별로 상기 다층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member is provided with second detachment means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the mouth filtration portion,
Wherein the second detachment means is a stretchable ring and the mouth filtration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circular groov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ing is coupled to the circular groove, Wherein a plurality of filters are provided in different filter configur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착수단은 메모리 폼의 표면을 둘러싸는 땀 흡수가 용이한 항균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ce attachment means further comprises an antimicrobial fiber that facilitates sweat absorption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memory foam.
KR1020140039651A 2014-04-02 2014-04-02 Versatile mask for ultrafine particles Expired - Fee Related KR101639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651A KR101639265B1 (en) 2014-04-02 2014-04-02 Versatile mask for ultrafine part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651A KR101639265B1 (en) 2014-04-02 2014-04-02 Versatile mask for ultrafine p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54A true KR20150115154A (en) 2015-10-14
KR101639265B1 KR101639265B1 (en) 2016-07-14

Family

ID=5435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6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9265B1 (en) 2014-04-02 2014-04-02 Versatile mask for ultrafine part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265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48A (en) * 2017-09-22 2019-04-01 ㈜하스피케어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KR102137670B1 (en) * 2019-09-27 2020-07-27 윤재웅 Portable respiratory support apparatus
KR20210033405A (en) * 2019-12-24 2021-03-26 윤재웅 Portable respiratory support apparatus
CN112827085A (en) * 2021-01-18 2021-05-25 苏辉 All-round protection gas mask
KR20210133808A (en) * 2020-04-29 2021-11-08 (주)멋진여성 With no straps, wrapped around the face and replace filters easy to mask
WO2022050569A1 (en) * 2020-09-07 2022-03-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Nose plugs and mask comprising same
KR20220033778A (en) * 2020-09-10 2022-03-17 천승업 Nose mask
KR20220087107A (en) * 2020-12-17 2022-06-24 국방과학연구소 Adsorption filter structure or helmet with Adsorption filter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242B1 (en) 2019-02-26 2019-08-14 이주용 Recyclable fine dust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19129B1 (en) 2019-06-24 2021-02-23 신윤호 Nose insert mask
KR20210001418U (en)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폴메이드 The adjustable straps for a mask
KR102227497B1 (en) 2020-08-20 2021-03-12 배영진 Mask detachable security surface for splash prevention
KR102273318B1 (en) 2020-11-12 2021-07-06 배영진 Composite mask with easy-to-remove protective face for splash protection
KR102268803B1 (en) 2020-12-02 2021-06-24 배영진 Removable structure of mask and anti-splash protection
KR20220116981A (en) 2021-02-15 2022-08-23 배영진 Removable structure of the splash-preventing safety face and mask
KR102402986B1 (en) 2021-09-08 2022-05-31 배영진 A mas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97Y1 (en) * 2002-10-30 2003-02-14 고봉국 mask
KR20090003159U (en) 2007-09-28 2009-04-01 박기수 Mask
KR20100031180A (en) * 2008-09-12 2010-03-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 air filtering unit for persnal carry
KR20110007565A (en) 2009-07-16 2011-01-24 홍완기 Nose, mouth detachable mask
KR20130095234A (en) * 2013-07-08 2013-08-27 김경중 Mask for purification air pollu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97Y1 (en) * 2002-10-30 2003-02-14 고봉국 mask
KR20090003159U (en) 2007-09-28 2009-04-01 박기수 Mask
KR20100031180A (en) * 2008-09-12 2010-03-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 air filtering unit for persnal carry
KR20110007565A (en) 2009-07-16 2011-01-24 홍완기 Nose, mouth detachable mask
KR20130095234A (en) * 2013-07-08 2013-08-27 김경중 Mask for purification air pollut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48A (en) * 2017-09-22 2019-04-01 ㈜하스피케어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KR102137670B1 (en) * 2019-09-27 2020-07-27 윤재웅 Portable respiratory support apparatus
KR20210033405A (en) * 2019-12-24 2021-03-26 윤재웅 Portable respiratory support apparatus
KR20210133808A (en) * 2020-04-29 2021-11-08 (주)멋진여성 With no straps, wrapped around the face and replace filters easy to mask
WO2022050569A1 (en) * 2020-09-07 2022-03-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Nose plugs and mask comprising same
KR20220033778A (en) * 2020-09-10 2022-03-17 천승업 Nose mask
KR20220087107A (en) * 2020-12-17 2022-06-24 국방과학연구소 Adsorption filter structure or helmet with Adsorption filter structure
CN112827085A (en) * 2021-01-18 2021-05-25 苏辉 All-round protection gas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265B1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265B1 (en) Versatile mask for ultrafine particles
KR101865203B1 (en) Dust mask
KR101176942B1 (en) Mouthpiece equipped with mask
JP5851487B2 (en) Helmet-mounted respirator device with double air supply system
KR102036025B1 (en) A band type mask that is wear on neck
US20170216634A1 (en) Nose Respiratory Filtration Mask
KR101574021B1 (en) Multi-purpose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JP2015012896A (en) Mask pad and mask
JP2006289093A (en) Multi-functional mask
US20120325221A1 (en) Lightweight Respirator
KR20160134338A (en) The breathing apparatus for micro dust filtering with exhaust valve in the norse mask
US20160082296A1 (en) Fully sealed anti-pollution mask
CN103418093A (en) Dust mask for mine safety
CN205163951U (en) Novel prevent haze gauze mask
CN201523692U (en) Multifunctional reusable mask
CN203154642U (en) Breathing filter
CN204121633U (en) Cleaning type micron ceramic filtering dust-proof mask
CN210904714U (en) Plague epidemic situation field treatment and laboratory protective mask
KR200389362Y1 (en) Facial mask for preventing moisture
KR20220000311A (en) Versatile mask without Line
JP2011120853A (en) Simple cylindrical air filter
CN207545652U (en) A kind of breathing mask
KR20210002167U (en) Filter replacement MASK PAD
CN204543317U (en) A kind of safety cap of dust proof and gas defence
CN213215484U (en) Mask capable of removing peculiar sm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307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7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