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869A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0869A KR20150120869A KR1020150052900A KR20150052900A KR20150120869A KR 20150120869 A KR20150120869 A KR 20150120869A KR 1020150052900 A KR1020150052900 A KR 1020150052900A KR 20150052900 A KR20150052900 A KR 20150052900A KR 20150120869 A KR20150120869 A KR 20150120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ishing
- polished
- cleaning
- wafer
-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05—Control means for lapping machines or devices
- B24B37/013—Devices or means for detecting lapping comple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electrical means
- B24B49/105—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electrical means using eddy curr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optical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4—Circuits for electrically characterising or monitoring manufacturing processes, e. g. whole test die, wafers filled with test structures, on-board-devices incorporated on each die, process control monitors or pad structures thereof, devices in scrib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연마 후의 기판의 피연마면에 잔사로서 남아 있는 금속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판 처리 장치는, 기판의 피연마면을 연마해서 피연마면에 형성된 금속막을 제거하는 연마부(3)와, 연마부(3)에 의해 연마된 기판을 세정해서 건조하는 세정부(4)와, 연마부(3)에 의해 연마된 후에 기판이 일시적으로 놓이는 임시 거치대(180)를 구비하고 있다. 임시 거치대(180)에는, 기판의 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을 검지하는 센서(8, 9)가 설치되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highly accurately detecting a metal film remaining as a residue on a polished surface of a polished substrate.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polishing section 3 for polishing a surface to be polished of a substrate and removing a metal film formed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a cleaning section 4 for cleaning and drying the substrate polished by the polishing section 3, , And a temporary holding table (180) on which the substrate is temporarily placed after being polished by the polishing section (3). Sensors 8 and 9 for detecting the metal film remaining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are provided on the temporary mounting base 180. [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마 후의 기판의 표면(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의 잔사를 검출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cting a residue of a metal film remaining on a surface (polished surface) of a polished substrate.
종래부터,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을 연마해서 기판 상에 형성된 금속막을 제거하는 연마부와,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기판을 세정해서 건조하는 세정부를 갖는 기판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연마부에서는, 예를 들어, 연마 테이블의 상면에 연마 패드를 부착해서 연마면을 형성하고, 이 연마면에 연마 헤드(기판 보유 지지 기구)로 보유 지지한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의 피연마면을 가압 접촉시키고, 연마면에 슬러리를 공급하면서, 연마 테이블의 회전과 연마 헤드의 회전에 의한 연마면과 피연마면의 상대 운동에 의해, 피연마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화학 기계 연마(CMP)가 행해진다. Conventionally, there is known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polishing section for polishing a substrate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to remove a metal film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 cleaning section for cleaning and drying the substrate polished by the polishing section. In the polishing section, for example, a polishing pa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a polishing table to form a polishing surface, and a surface to be polished of a substrate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held by the polishing head (a substrate holding mechanism)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for polishing the surface to be polished in a flat manner by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olishing surface and the surface to be polished by rotation of the polishing table and rotation of the polishing head while supplying the slurry to the polishing surface Is done.
이와 같이, CMP 장치에서는, 기판 상에 과도하게 성막한 금속막을 연마로 제거하지만, 장치의 동작 불량이 발생한 경우 등에, 연마 후의 기판의 표면(피연마면)에 전부 제거할 수 없어 잔사로서 금속막이 남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종래, 연마 테이블 내에 센서 헤드를 설치(매설)하고, 웨이퍼의 연마 중, 연마 테이블과 함께 센서 헤드를 회전시켜, 웨이퍼의 표면을 가로지르면서 막 두께 데이터를 취득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As described above, in the CMP apparatus, the metal film excessively formed on the substrate is removed by polishing, but when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is defective, the CMP apparatus can not completely remov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polished surface) There is a case to be left. Therefore, a devic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sensor head is installed (buried) in a polishing table and the sensor hea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polishing table during polishing of the wafer to obtain film thickness data across the surface of the wafer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웨이퍼의 아래에 센서 헤드가 왔을 때의 막 두께 데이터(웨이퍼 전체가 아니라 일부의 막 두께 데이터)밖에 취득할 수 없고, 또한, 연마 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면서 막 두께 데이터를 취득하기 때문에, 막 두께의 측정 정밀도에 한계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only the film thickness data (the film thickness data, not the whole wafer) when the sensor head comes under the wafer can be obtained, and the film thickness data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film thickness is limited.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연마 후의 기판의 피연마면에 잔사로서 남아 있는 금속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highly accurately detecting a metal film remaining as a residue on a polished surface of a polished substrate.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는, 기판의 피연마면을 연마해서 피연마면에 형성된 금속막을 제거하는 연마부와,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기판을 세정해서 건조하는 세정부와,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후에 기판이 일시적으로 놓이는 임시 거치대를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이며, 임시 거치대에는, 기판의 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을 검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lishing section for polishing a surface to be polished of a substrate to remove a metal film formed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a cleaning section for cleaning and drying the substrate polished by the polishing section,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metal film remaining on a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is provided in the temporary holder.
이 구성에 의하면, 연마 후에 기판이 일시적으로 놓이는 임시 거치대에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임시 거치대에 놓인 기판의 피연마면에 잔사로서 남아 있는 금속막을, 임시 거치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연마 테이블 내에 센서가 설치(매설)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연마 후의 기판의 피연마면의 금속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ensor is provided at a temporary stand where the substrate is temporarily placed after polishing. Therefore, the metal film remaining as a residue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placed on the temporary stand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provided on the temporary stand. In this case, the metal film on the polished surface of the polished substrate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sensors are embedded (embedded) in the polishing table as in the conventional case.
또한,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에서는, 임시 거치대는 연마부와 세정부 사이에 설치되고, 임시 거치대에는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기판이, 세정부에 의해 세정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놓여도 좋다. Further,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rest st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olishing section and the cleaning section, and the substrate polished by the polishing section may be temporarily placed on the temporary resting stand before being cleaned by the cleaning s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연마부와 세정부 사이의 임시 거치대에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기판이 세정부에 의해 세정되기 전에, 임시 거치대에 놓인 기판의 피연마면의 금속막을, 임시 거치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ensor is provided at the temporary stand between the polishing section and the cleaning section. Therefore, before the substrate polished by the polishing section is cleaned by the cleaning section, the metal film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placed on the temporary mounting table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by the sensor provided on the temporary mounting table.
또한,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에서는, 센서는 임시 거치대에 놓인 기판의 피연마면의 전체면의 금속막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metal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placed on the temporary stand.
이 구성에 의하면, 임시 거치대에 놓인 기판의 피연마면의 전체면의 금속막을, 임시 거치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연마 테이블에 매설된 센서에서는 기판의 피연마면의 일부만의 금속막의 잔사밖에 검출할 수 없는 데에 비해, 기판의 피연마면의 전체면에 걸쳐 금속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etal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olished surface of the substrate placed on the temporary stand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provided on the temporary stand. Therefore, in the sensor embedded in the polishing table as in the prior art, the metal film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polish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a part of the metal film on the polished surface of the substrate can be detected .
또한,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에서는, 센서는 와전류식 센서이어도 좋다. Further,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ay be an eddy-current type sensor.
이 구성에 의하면, 와전류식 센서를 사용해서, 기판의 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의 잔사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sidue of the metal film remaining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by using the eddy current sensor.
또한,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에서는, 센서는 적외선 레이저식 센서이어도 좋다.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ay be an infrared laser type sensor.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레이저식 센서를 사용해서, 기판의 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의 잔사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sidue of the metal film remaining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by using the infrared laser typ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에서는, 센서는 적외선 카메라식 센서이어도 좋다. Further,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ay be an infrared camera type sensor.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카메라식 센서를 사용해서, 기판의 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의 잔사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sidue of the metal film remaining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by using the infrared camera type sensor.
본 발명에 따르면, 연마 후의 기판의 피연마면에 잔사로서 남아 있는 금속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film remaining as a residue on the polished surface of the polished substrate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윙 트랜스포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정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정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정 라인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정 라인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정 라인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wing trans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washing s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b) is a side view showing the cleaning s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ing lin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ing lin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ing lin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기판 처리 장치에 대해,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학 기계 연마(CMP)에 의해 기판을 연마하는 기판 처리 장치의 경우를 예시한다. Hereinafter,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of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for polishing a substrate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is exempl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기판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기판 처리 장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하우징(1)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1)의 내부는 격벽(1a, 1b)에 의해 로드/언로드부(2)와 연마부(3)와 세정부(4)로 구획되어 있다. 이들 로드/언로드부(2), 연마부(3) 및 세정부(4)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립된다. 또한, 기판 처리 장치는, 기판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를 갖고 있다.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로드/언로드부(2)는, 다수의 웨이퍼(기판)를 스톡하는 웨이퍼 카세트가 적재되는 2개 이상(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프론트 로드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프론트 로드부(20)는 하우징(1)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기판 처리 장치의 폭 방향(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프론트 로드부(20)에는, 오픈 카세트, SMIF(Standard Manufacturing Interface) 포드 또는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를 탑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SMIF, FOUP는 내부에 웨이퍼 카세트를 수납하고, 격벽으로 덮음으로써, 외부 공간과는 독립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밀폐 용기이다. The load /
또한, 로드/언로드부(2)에는 프론트 로드부(20)의 배열을 따라서 주행 기구(21)가 부설되어 있고, 이 주행 기구(21) 상에 웨이퍼 카세트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2대의 반송 로봇(로더)(22)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 로봇(22)은 주행 기구(21) 상을 이동함으로써 프론트 로드부(20)에 탑재된 웨이퍼 카세트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반송 로봇(22)은 상하로 2개의 핸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측의 핸드가 처리된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로 되돌릴 때에 사용하고, 하측의 핸드를 처리 전의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로부터 취출할 때에 사용하고, 상하의 핸드를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반송 로봇(22)의 하측 핸드는, 그 축심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웨이퍼를 반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loading /
로드/언로드부(2)는 가장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영역이므로, 로드/언로드부(2)의 내부는 기판 처리 장치의 외부, 연마부(3) 및 세정부(4) 중 어느 것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항상 유지되어 있다. 연마부(3)는 연마액으로서 슬러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장 더러운 영역이다. 따라서, 연마부(3)의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되고, 그 압력은 세정부(4)의 내부 압력보다도 낮게 유지되어 있다. 로드/언로드부(2)에는 HEPA 필터, ULPA 필터 또는 케미컬 필터 등의 클린 에어 필터를 갖는 필터 팬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필터 팬 유닛으로부터는 파티클이나 유독 증기, 유독 가스가 제거된 클린 에어가 항상 분출되고 있다. The inside of the load /
연마부(3)는, 웨이퍼의 연마(평탄화)가 행해지는 영역이며, 제1 연마 유닛(3A), 제2 연마 유닛(3B), 제3 연마 유닛(3C), 제4 연마 유닛(3D)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연마 유닛(3A), 제2 연마 유닛(3B), 제3 연마 유닛(3C) 및 제4 연마 유닛(3D)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 처리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이 연마부(3)에서, 웨이퍼의 표면(피연마면)을 연마해서 피연마면에 형성된 금속막을 제거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Th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마 유닛(3A)은, 연마면을 갖는 연마 패드(10)가 설치된 연마 테이블(30A)과, 웨이퍼를 보유 지지하고 또한 웨이퍼를 연마 테이블(30A) 상의 연마 패드(10)에 가압하면서 연마하기 위한 톱 링(31A)과, 연마 패드(10)에 연마액이나 드레싱액(예를 들어, 순수)을 공급하기 위한 연마액 공급 노즐(32A)과, 연마 패드(10)의 연마면 드레싱을 행하기 위한 드레서(33A)와, 액체(예를 들어 순수)와 기체(예를 들어 질소 가스)의 혼합 유체 또는 액체(예를 들어 순수)를 안개 상태로 하여 연마면에 분사하는 애토마이저(34A)를 구비하고 있다. 1, the
마찬가지로, 제2 연마 유닛(3B)은 연마 패드(10)가 설치된 연마 테이블(30B)과, 톱 링(31B)과, 연마액 공급 노즐(32B)과, 드레서(33B)와, 애토마이저(3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3 연마 유닛(3C)은 연마 패드(10)가 설치된 연마 테이블(30C)과, 톱 링(31C)과, 연마액 공급 노즐(32C)과, 드레서(33C)와, 애토마이저(34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4 연마 유닛(3D)은 연마 패드(10)가 설치된 연마 테이블(30D)과, 톱 링(31D)과, 연마액 공급 노즐(32D)과, 드레서(33D)와, 애토마이저(34D)를 구비하고 있다. Similarly, the
다음에, 웨이퍼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마 유닛(3A) 및 제2 연마 유닛(3B)에 인접하여, 제1 리니어 트랜스포터(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리니어 트랜스포터(6)는, 연마 유닛(3A, 3B)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른 4개의 반송 위치[로드/언로드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반송 위치(TP1), 제2 반송 위치(TP2), 제3 반송 위치(TP3), 제4 반송 위치(TP4)로 함]의 사이에서 웨이퍼를 반송하는 기구이다. Next, a transport mechanism for transporting the wafers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a first linear transporter 6 is disposed adjacent to the
또한, 제3 연마 유닛(3C) 및 제4 연마 유닛(3D)에 인접하여, 제2 리니어 트랜스포터(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리니어 트랜스포터(7)는, 연마 유닛(3C, 3D)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른 3개의 반송 위치[로드/언로드부측에서 순서대로 제5 반송 위치(TP5), 제6 반송 위치(TP6), 제7 반송 위치(TP7)로 함]의 사이에 웨이퍼를 반송하는 기구이다. A second linear transporter 7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polishing unit 3C and the
웨이퍼는, 제1 리니어 트랜스포터(6)에 의해 연마 유닛(3A, 3B)에 반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마 유닛(3A)의 톱 링(31A)은 톱 링 헤드의 스윙 동작에 의해 연마 위치와 제2 반송 위치(TP2) 사이를 이동한다. 따라서, 톱 링(31A)에의 웨이퍼의 전달은 제2 반송 위치(TP2)에서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연마 유닛(3B)의 톱 링(31B)은 연마 위치와 제3 반송 위치(TP3) 사이를 이동하고, 톱 링(31B)에의 웨이퍼의 전달은 제3 반송 위치(TP3)에서 행해진다. 제3 연마 유닛(3C)의 톱 링(31C)은 연마 위치와 제6 반송 위치(TP6) 사이를 이동하고, 톱 링(31C)에의 웨이퍼의 전달은 제6 반송 위치(TP6)에서 행해진다. 제4 연마 유닛(3D)의 톱 링(31D)은 연마 위치와 제7 반송 위치(TP7) 사이를 이동하고, 톱 링(31D)에의 웨이퍼의 전달은 제7 반송 위치(TP7)에서 행해진다. The wafer is transported to the polishing
제1 반송 위치(TP1)에는, 반송 로봇(22)으로부터 웨이퍼를 수취하기 위한 리프터(11)가 배치되어 있다. 웨이퍼는 이 리프터(11)를 통하여 반송 로봇(22)으로부터 제1 리니어 트랜스포터(6)에 전달된다. 리프터(11)와 반송 로봇(22) 사이에 위치하여, 셔터(도시하지 않음)가 격벽(1a)에 설치되어 있고, 웨이퍼의 반송 시에는 셔터가 개방되어 반송 로봇(22)으로부터 리프터(11)에 웨이퍼가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리니어 트랜스포터(6)와, 제2 리니어 트랜스포터(7)와, 세정부(4) 사이에는 스윙 트랜스포터(1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윙 트랜스포터(12)는, 제4 반송 위치(TP4)와 제5 반송 위치(TP5) 사이를 이동 가능한 핸드를 갖고 있으며, 제1 리니어 트랜스포터(6)로부터 제2 리니어 트랜스포터(7)에의 웨이퍼의 전달은, 스윙 트랜스포터(12)에 의해 행해진다. 웨이퍼는, 제2 리니어 트랜스포터(7)에 의해 제3 연마 유닛(3C) 및/또는 제4 연마 유닛(3D)에 반송된다. 또한, 연마부(3)에서 연마된 웨이퍼는 스윙 트랜스포터(12)를 경유해서 세정부(4)에 반송된다. At the first transport position TP1, a
도 2는 스윙 트랜스포터(12)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스윙 트랜스포터(12)는 기판 처리 장치의 프레임(160)에 설치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가이드(161)와, 리니어 가이드(161)에 설치된 스윙 기구(162)와, 스윙 기구(162)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승강 구동 기구(16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승강 구동 기구(165)로서는, 서보 모터와 볼 나사를 갖는 로봇 실린더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스윙 기구(162)에는 스윙 아암(166)을 통하여 반전 기구(167)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반전 기구(167)에는 웨이퍼(W)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170)가 연결되어 있다. 스윙 트랜스포터(12)의 측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설치된 웨이퍼(W)의 임시 거치대(18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임시 거치대(18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마부(3)와 세정부(4) 사이에 설치된다. 임시 거치대(180)에는 연마부(3)에 의해 연마된 후에 웨이퍼(W)가 일시적으로 놓인다. 예를 들어, 연마부(3)에 의해 연마된 웨이퍼(W)가, 세정부(4)에 의해 세정되기 전에, 임시 거치대(180)에 일시적으로 놓인다. 이 경우, 임시 거치대(180)는, 제1 리니어 트랜스포터(6)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고, 제1 리니어 트랜스포터(6)와 세정부(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스윙 아암(166)은, 스윙 기구(162)의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그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전 기구(167) 및 파지 기구(170)가 일체적으로 선회 운동하고, 파지 기구(170)는, 제4 반송 위치(TP4), 제5 반송 위치(TP5) 및 임시 거치대(180)의 사이를 이동한다. The
파지 기구(170)는, 웨이퍼(W)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 아암(171)을 갖고 있다. 각각의 파지 아암(171)의 양단부에는, 웨이퍼(W)의 외주연을 파지하는 척(1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척(172)은 파지 아암(171)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지 기구(170)는, 한 쌍의 파지 아암(171)을 웨이퍼(W)에 근접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173)를 구비하고 있다. The
웨이퍼(W)를 파지하는 경우에는, 파지 아암(171)을 개방한 상태에서, 파지 아암(171)의 척(172)이 웨이퍼(W)와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할 때까지 파지 기구(170)를 승강 구동 기구(165)에 의해 하강시킨다. 그리고, 개폐 기구(173)를 구동해서 파지 아암(171)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파지 아암(171)의 척(172)으로 웨이퍼(W)의 외주연을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 구동 기구(165)에 의해 파지 아암(171)을 상승시킨다. The grasping
반전 기구(167)는 파지 기구(170)에 연결된 회전축(168)과, 이 회전축(168)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모터에 의해 회전축(168)을 구동시킴으로써, 파지 기구(170)는, 그 전체가 180도 회전하고, 이에 의해 파지 기구(170)에 파지된 웨이퍼(W)가 반전된다. 이와 같이, 파지 기구(170) 전체가 반전 기구(167)에 의해 반전되므로, 종래 필요했던 파지 기구와 반전 기구 사이의 웨이퍼 전달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웨이퍼(W)를 제4 반송 위치(TP4)로부터 제5 반송 위치(TP5)에 반송할 때는, 반전 기구(167)는 웨이퍼(W)를 반전시키지 않고, 피연마면이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웨이퍼(W)가 반송된다. 한편, 웨이퍼(W)를 제4 반송 위치(TP4) 또는 제5 반송 위치(TP5)로부터 임시 거치대(180)에 반송할 때는, 연마된 면이 위를 향하도록 반전 기구(167)에 의해 웨이퍼(W)가 반전하게 된다. The reversing
임시 거치대(180)는 베이스 플레이트(18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81)의 상면에 고정된 복수의(도 2에서는 2개의) 수직 로드(182)와, 베이스 플레이트(181)의 상면에 고정된 1개의 역 L자형의 수평 로드(183)를 갖고 있다. 수평 로드(183)는 베이스 플레이트(181)의 상면에 접속된 수직부(183a)와, 이 수직부(183a)의 상단부로부터 파지 기구(170)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183b)를 갖고 있다. 수평부(183b)의 상면에는 웨이퍼(W)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도 2에서는 2개의) 핀(184)이 설치되어 있다. 수직 로드(182)의 상단부에도, 웨이퍼(W)를 지지하기 위한 핀(18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핀(184)의 선단부는 동일 수평면 내에 위치하고 있다. 수평 로드(183)는 수직 로드(182)보다도 웨이퍼(W)의 선회 이동의 중심[즉, 스윙 기구(162)의 모터 회전축]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The
반전 기구(167)에 의해 반전하게 된 파지 기구(170)는 웨이퍼(W)를 파지한 상태로, 수평 로드(183)의 수평부(183b)와 베이스 플레이트(181)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고, 모든 핀(184)이 웨이퍼(W)의 하방에 위치했을 때에, 스윙 기구(162)에 의한 파지 기구(170)의 선회가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파지 아암(171)을 개방함으로써 웨이퍼(W)가 임시 거치대(180)에 적재된다. 임시 거치대(180)에 적재된 웨이퍼(W)는, 다음에 설명하는 세정부(4)의 반송 로봇에 의해 세정부(4)에 반송된다. The
도 3의 (a)는 세정부(4)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세정부(4)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세정부(4)에서는 연마부(3)에 의해 연마된 웨이퍼(W)를 세정해서 건조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부(4)는, 제1 세정실(190)과, 제1 반송실(191)과, 제2 세정실(192)과, 제2 반송실(193)과, 건조실(194)로 구획되어 있다. 제1 세정실(190) 내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상측 1차 세정 모듈(201A) 및 하측 1차 세정 모듈(201B)이 배치되어 있다. 상측 1차 세정 모듈(201A)은 하측 1차 세정 모듈(201B)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세정실(192) 내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상측 2차 세정 모듈(202A) 및 하측 2차 세정 모듈(202B)이 배치되어 있다. 상측 2차 세정 모듈(202A)은 하측 2차 세정 모듈(202B)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1차 및 2차 세정 모듈(201A, 201B, 202A, 202B)은 세정액을 사용해서 웨이퍼를 세정하는 세정기이다. 이 1차 및 2차 세정 모듈(201A, 201B, 202A, 202B)은 수직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으므로, 풋프린트 면적이 작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3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cleaning part 4, and Fig. 3 (b) is a side view showing the cleaning part 4. Fig. In the cleaning section 4, the wafer W polished by the
상측 2차 세정 모듈(202A)과 하측 2차 세정 모듈(202B) 사이에는, 웨이퍼의 임시 거치대(203)가 설치되어 있다. 건조실(194) 내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상측 건조 모듈(205A) 및 하측 건조 모듈(205B)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상측 건조 모듈(205A) 및 하측 건조 모듈(205B)은 서로 격리되어 있다. 상측 건조 모듈(205A) 및 하측 건조 모듈(205B)의 상부에는, 청정한 공기를 건조 모듈(205A, 205B) 내에 각각 공급하는 필터 팬 유닛(207, 207)이 설치되어 있다. 상측 1차 세정 모듈(201A), 하측 1차 세정 모듈(201B), 상측 2차 세정 모듈(202A), 하측 2차 세정 모듈(202B), 임시 거치대(203), 상측 건조 모듈(205A) 및 하측 건조 모듈(205B)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볼트 등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Between the upper
제1 반송실(191)에는 상하 이동 가능한 제1 반송 로봇(209)이 배치되고, 제2 반송실(193)에는 상하 이동 가능한 제2 반송 로봇(210)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반송 로봇(209) 및 제2 반송 로봇(210)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축(211, 212)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반송 로봇(209) 및 제2 반송 로봇(210)은, 그 내부에 모터 등의 구동 기구를 갖고 있으며, 지지 축(211, 212)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반송 로봇(209)은 반송 로봇(22)과 마찬가지로, 상하 2단의 핸드를 갖고 있다. 제1 반송 로봇(209)은, 도 3의 (a)의 점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측의 핸드가 상술한 임시 거치대(180)에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반송 로봇(209)의 하측 핸드가 임시 거치대(180)에 액세스할 때에는, 격벽(1b)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도시하지 않음)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A
제1 반송 로봇(209)은 임시 거치대(180), 상측 1차 세정 모듈(201A), 하측 1차 세정 모듈(201B), 임시 거치대(203), 상측 2차 세정 모듈(202A), 하측 2차 세정 모듈(202B) 사이에 웨이퍼(W)를 반송하도록 동작한다. 세정 전의 웨이퍼(슬러리가 부착되어 있는 웨이퍼)를 반송할 때는, 제1 반송 로봇(209)은 하측의 핸드를 사용하고, 세정 후의 웨이퍼를 반송할 때는 상측의 핸드를 사용한다. 제2 반송 로봇(210)은 상측 2차 세정 모듈(202A), 하측 2차 세정 모듈(202B), 임시 거치대(203), 상측 건조 모듈(205A), 하측 건조 모듈(205B) 사이에 웨이퍼(W)를 반송하도록 동작한다. 제2 반송 로봇(210)은 세정된 웨이퍼만을 반송하므로, 1개의 핸드만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반송 로봇(22)은, 그 상측의 핸드를 사용해서 상측 건조 모듈(205A) 또는 하측 건조 모듈(205B)로부터 웨이퍼를 취출하고, 그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로 되돌린다. 반송 로봇(22)의 상측 핸드가 건조 모듈(205A, 205B)에 액세스할 때에는, 격벽(1a)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도시하지 않음)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The first conveying
세정부(4)는 2대의 1차 세정 모듈 및 2대의 2차 세정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웨이퍼를 병렬해서 세정하는 복수의 세정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세정 라인」이란, 세정부(4)의 내부에 있어서, 하나의 웨이퍼가 복수의 세정 모듈에 의해 세정될 때의 이동 경로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웨이퍼를, 제1 반송 로봇(209), 상측 1차 세정 모듈(201A), 제1 반송 로봇(209), 상측 2차 세정 모듈(202A), 제2 반송 로봇(210), 그리고 상측 건조 모듈(205A)이 순서대로 반송하고(세정 라인 1 참조), 이와 병렬해서, 다른 웨이퍼를, 제1 반송 로봇(209), 하측 1차 세정 모듈(201B), 제1 반송 로봇(209), 하측 2차 세정 모듈(202B), 제2 반송 로봇(210), 그리고 하측 건조 모듈(205B)이 순서대로 반송할 수 있다(세정 라인 2 참조). 이와 같이 2개의 병렬하는 세정 라인에 의해, 복수(전형적으로는 2매)의 웨이퍼를 거의 동시에 세정 및 건조할 수 있다. Since the cleaning section 4 includes two primary cleaning modules and two secondary cleaning modules,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plurality of cleaning lines for cleaning a plurality of wafers in parallel. The "cleaning line" is a movement path when one wafer is cleaned by a plurality of cleaning modules in the cleaning section 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one wafer is transferred to the
또한, 2개의 병렬하는 세정 라인에 있어서, 복수의 웨이퍼를 소정의 시간차를 설정하여 세정 및 건조할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차로 세정하는 것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1 반송 로봇(209) 및 제2 반송 로봇(210)은, 복수의 세정 라인에서 겸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세정 또는 건조 처리가 동시에 종료된 경우에는, 이들 반송 로봇이 바로 웨이퍼를 반송할 수 없어, 스루풋을 악화시켜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복수의 웨이퍼를 소정의 시간차로 세정 및 건조시킴으로써, 처리된 웨이퍼를 빠르게 반송 로봇(209, 210)에 의해 반송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two parallel cleaning lines, a plurality of wafers may be cleaned and dried by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Advantages of cleaning at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are as follows. The first conveying
연마된 웨이퍼에는 슬러리가 부착되어 있고, 그 상태에서 웨이퍼를 장시간 방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배선 금속으로서의 구리가 슬러리에 의해 부식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 세정부(4)에 의하면, 2대의 1차 세정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행하는 웨이퍼가 상측 1차 세정 모듈(201A) 또는 하측 1차 세정 모듈(201B) 중 어느 하나로 세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다른 쪽의 1차 세정 모듈에 웨이퍼를 반입해서 이를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스루풋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마 후의 웨이퍼를 즉시 세정해서 구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lurry is attached to the polished wafer, and it is not preferable to leave the wafer for a long time in this state. This is because copper as the wiring metal sometimes is corroded by the slurry. According to this cleaning section 4, since two primary cleaning modules are provided, even when the preceding wafer is cleaned by either the upper
또한, 1차 세정만이 필요한 경우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이퍼를, 제1 반송 로봇(209), 상측 1차 세정 모듈(201A), 제1 반송 로봇(209), 임시 거치대(203), 제2 반송 로봇(210), 그리고 상측 건조 모듈(205A)이 순서대로 반송할 수 있고, 제2 세정실(192)에서의 2차 세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측 2차 세정 모듈(202B)이 고장 중일 때에는, 상측 2차 세정 모듈(202A)에 웨이퍼를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송 로봇(209) 및 제2 반송 로봇(210)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웨이퍼를 소정의 세정 라인에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정 라인의 선정은 제어부(5)에 의해 결정된다. 5, the wafer is transferred to the
각 세정 모듈(201A, 201B, 202A, 202B)은, 고장을 검지하는 검지기(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세정 모듈(201A, 201B, 202A, 202B)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생겼을 때, 검지기가 이를 검지해서 제어부(5)에 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5)는 고장난 세정 모듈을 피하는 세정 라인을 선정하고, 현재의 세정 라인을 새롭게 선정된 세정 라인으로 전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대의 1차 세정 모듈과 2대의 2차 세정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1차 세정 모듈 및/또는 2차 세정 모듈을 3대 이상으로 해도 좋다. Each of the
또한, 제1 세정실(190)에 임시 거치대를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어, 임시 거치대(203)와 마찬가지로, 상측 1차 세정 모듈(201A)과 하측 1차 세정 모듈(201B) 사이에 임시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다. 어느 세정 모듈이 고장난 경우는, 2매의 웨이퍼를 임시 거치대(180)[도 3의 (a) 참조]와 제1 세정실(190) 내의 임시 거치대에 반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orary cleaning table may be provided in the
1차 세정 모듈(201A, 201B)에 사용되는 세정액의 농도와, 2차 세정 모듈(202A, 202B)에 사용되는 세정액의 농도는 다르게 해도 좋다. 예를 들어, 1차 세정 모듈(201A, 201B)에 사용되는 세정액의 농도를, 2차 세정 모듈(202A, 202B)에 사용되는 세정액의 농도보다도 높게 한다. 통상, 세정 효과는 세정액의 농도와 세정 시간에 거의 비례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1차 세정에서 농도가 높은 세정액을 사용함으로써, 웨이퍼의 오염이 심한 경우라도, 1차 세정의 시간과 2차 세정의 시간을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of the cleaning liquid used in the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기판 처리 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판 처리 장치에서는, 임시 거치대(180)에, 웨이퍼(W)의 표면(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을 검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Next,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a sensor for detecting the metal film remaining on the surface (polishing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wafer W is provided in the temporary placement table 180.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8)는 임시 거치대(180)에 놓인 웨이퍼의 표면(피연마면)의 전체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피연마면의 전체면의 금속막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 타입의 센서(9)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센서(9)는 로봇(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웨이퍼의 표면(피연마면) 상을 전체면에 걸쳐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서(7, 8)는, 예를 들어, 와전류식 센서이다. 또한, 센서로서, 적외선 레이저식 센서나 적외선 카메라식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the
그리고, 센서(7, 8)에 의해 웨이퍼(W)의 표면(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을 검지한 결과, 이상이 검지된 경우(예를 들어, 검지된 금속막의 두께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큰 경우 등)에는, 이상이 검지된 웨이퍼(W)의 식별 정보를 제어부(5)에 보내고, 세정ㆍ건조의 공정 후에 그 웨이퍼를 또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예를 들어, 그 웨이퍼를 빼내어 폐기 처분으로 함). 또한,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는,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연마 테이블(30A 내지 30D)에의 다음의 웨이퍼(W)의 반송을 정지하는 처치를 행해도 좋다.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metal film remaining on the surface (polished surface) of the wafer W by the sensors 7 and 8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detected metal film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wafer W is sent to the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의 기판 처리 장치에 의하면, 연마 후에 웨이퍼(W)가 일시적으로 놓이는 임시 거치대(180)에 센서(7, 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임시 거치대(180)에 놓인 웨이퍼(W)의 표면(피연마면)에 잔사로서 남아 있는 금속막을, 임시 거치대(180)에 설치된 센서(7, 8)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연마 테이블 내에 센서가 설치(매설)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연마 후의 웨이퍼(W) 표면(피연마면)의 금속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마부(3)와 세정부(4) 사이의 임시 거치대(180)에 센서(7, 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마부(3)에 의해 연마된 웨이퍼(W)가 세정부(4)에 의해 세정되기 전에, 임시 거치대(180)에 놓인 웨이퍼(W)의 피연마면의 금속막(잔사로서 남아 있는 금속막)을, 임시 거치대(180)에 설치된 센서(7, 8)에 의해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임시 거치대(180)에 놓인 웨이퍼(W)의 피연마면의 전체면의 금속막을, 임시 거치대(180)에 설치된 센서(7, 8)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연마 테이블에 매설된 센서에서는 웨이퍼(W)의 피연마면의 일부만의 금속막의 잔사밖에 검출할 수 없는 데에 비해, 웨이퍼(W)의 피연마면의 전체면에 걸쳐 금속막의 잔사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tal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olishing surface of the wafer W placed on the temporary placement table 180 can be detected by the
예를 들어, 센서(7, 8)는 와전류식 센서이다. 그 경우, 와전류식 센서를 사용해서, 웨이퍼(W)의 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의 잔사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7, 8)는 적외선 레이저식 센서나 적외선 카메라식 센서이어도 좋다. 그 경우, 적외선 레이저식 센서나 적외선 카메라식 센서를 사용해서, 웨이퍼(W)의 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의 잔사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에 의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목적에 따라서 변경ㆍ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can be changed or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기판 처리 장치는, 연마 후의 기판의 피연마면에 잔사로서 남아 있는 금속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고, 화학 기계 연마(CMP) 장치 등으로서 사용되어 유용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ighly accurately detecting the metal film remaining as a residue on the polished surface of the polished substrate, and is useful as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apparatus or the like .
1 : 하우징
2 : 로드/언로드부
3 : 연마부
3A : 제1 연마 유닛
3B : 제2 연마 유닛
3C : 제3 연마 유닛
3D : 제4 연마 유닛
4 : 세정부
5 : 제어부
6 : 제1 리니어 트랜스포터
7 : 제2 리니어 트랜스포터
8 : 센서
9 : 센서
10 : 연마 패드
11 : 리프터
12 : 스윙 트랜스포터
20 : 프론트 로드부
21 : 주행 기구
22 : 반송 로봇(로더)
30A 내지 30D : 연마 테이블
31A 내지 31D : 톱 링
32A 내지 32D : 연마액 공급 노즐
33A 내지 33D : 드레서
34A 내지 34D : 애토마이저
TP1 : 제1 반송 위치
TP2 : 제2 반송 위치
TP3 : 제3 반송 위치
TP4 : 제4 반송 위치
TP5 : 제5 반송 위치
TP6 : 제6 반송 위치
TP7 : 제7 반송 위치
180 : 임시 거치대
190 : 제1 세정실
191 : 제2 세정실
192 : 제3 세정실
193 : 제4 세정실
203 : 임시 거치대 1: Housing
2: Load / unload section
3:
3A: first polishing unit
3B: second polishing unit
3C: Third polishing unit
3D: fourth polishing unit
4: Taxation
5:
6: 1st linear transporter
7: Second linear transporter
8: Sensor
9: Sensor
10: Polishing pad
11: lifter
12: Swing Transporter
20: Front rod section
21:
22: Carrying robot (loader)
30A to 30D: polishing table
31A to 31D: Top ring
32A to 32D: abrasive liquid supply nozzle
33A to 33D: Dresser
34A to 34D: Atomizer
TP1: First transport position
TP2: 2nd conveying position
TP3: Third conveying position
TP4: Fourth conveying position
TP5: fifth conveying position
TP6: Sixth conveying position
TP7: Seventh conveying position
180: temporary holder
190: First cleaning chamber
191: Second cleaning chamber
192: Third cleaning chamber
193: Fourth cleaning chamber
203: temporary cradle
Claims (6)
상기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상기 기판을 세정해서 건조하는 세정부와,
상기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후에 상기 기판이 일시적으로 놓이는 임시 거치대
를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이며,
상기 임시 거치대에는, 상기 기판의 피연마면에 남아 있는 금속막을 검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A polishing section for polishing a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to remove a metal film formed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A cleaning unit cleaning and drying the substrate polished by the polishing unit;
A temporary holder for temporarily holding the substrate after being polished by the polishing unit;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Wherein the temporary stand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 metal film remaining on a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상기 임시 거치대는, 상기 연마부와 상기 세정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임시 거치대에는, 상기 연마부에 의해 연마된 상기 기판이, 상기 세정부에 의해 세정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놓이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temporary shelf is provided between said polishing section and said cleaning section,
Wherein the temporary holding table is temporarily placed on the substrate polished by the polishing section before being cleaned by the cleaning section.
상기 센서는, 상기 임시 거치대에 놓인 상기 기판의 피연마면의 전체면의 금속막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판 처리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a metal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polished of the substrate placed on the temporary stand.
상기 센서는, 와전류식 센서인, 기판 처리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is an eddy-current sensor.
상기 센서는, 적외선 레이저식 센서인, 기판 처리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is an infrared laser type sensor.
상기 센서는, 적외선 카메라식 센서인, 기판 처리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is an infrared camera typ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2014086177A JP2015205359A (en) | 2014-04-18 | 2014-04-18 | Substrate treatment device |
| JPJP-P-2014-086177 | 2014-04-18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20869A true KR20150120869A (en) | 2015-10-28 |
Family
ID=5432121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52900A Withdrawn KR20150120869A (en) | 2014-04-18 | 2015-04-15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50298283A1 (en) |
| JP (1) | JP2015205359A (en) |
| KR (1) | KR20150120869A (en) |
| CN (1) | CN105047582A (en) |
| TW (1) | TW201601875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7108113A (en) * | 2015-11-27 | 2017-06-15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JP6577385B2 (en) * | 2016-02-12 | 2019-09-18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Substrate holding modul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 CN206105604U (en) * | 2016-09-14 | 2017-04-19 | 天津华海清科机电科技有限公司 |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ystem |
| JP6884015B2 (en) * | 2017-03-22 | 2021-06-09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Substrate polishing equipment and polishing method |
| DE102018007463B4 (en) * | 2018-09-04 | 2022-01-05 | Schneider Gmbh & Co. Kg | Device and method for lens processing and processing device for lenses |
-
2014
- 2014-04-18 JP JP2014086177A patent/JP2015205359A/en active Pending
-
2015
- 2015-04-10 TW TW104111568A patent/TW201601875A/en unknown
- 2015-04-15 KR KR1020150052900A patent/KR20150120869A/en not_active Withdrawn
- 2015-04-17 US US14/690,306 patent/US2015029828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4-17 CN CN201510186031.5A patent/CN105047582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TW201601875A (en) | 2016-01-16 |
| CN105047582A (en) | 2015-11-11 |
| JP2015205359A (en) | 2015-11-19 |
| US20150298283A1 (en) | 2015-10-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64007B1 (en) | Polishing device | |
| TWI831261B (en)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
| TWI715539B (en) | Processing module,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 |
| JP2012209589A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 CN111386598B (en) | Substrate conveying device, substrate processing system,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 KR20040007107A (en) | Semiconductor wafer planarization equipment having improving wafer unloading structure | |
| US20130185884A1 (en) | Cleaning module and process for particle reduction | |
| KR20150120869A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 JP7071818B2 (en) | Board processing system | |
| CN111799200A (en) | Conveyance device, workpiec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conveyanc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 |
| KR20190140840A (en) | Teaching apparatus and teaching method for substrate transfer system | |
| KR102365323B1 (en) | Substrate holding modul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
| US20150221536A1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transfer method and substrate transfer device | |
| US10818531B2 (en) | Substrate transport system,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nd position adjustment method | |
| KR20150117601A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 KR2018000831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olishing a surface of a substrate | |
| JP2024175140A (en)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
| JP6216193B2 (en) | Unit control panel, substrate transfer test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 US20220282918A1 (en) | Drying system with integrated substrate alignment stage | |
| JP5689367B2 (en) | Substrate transport method and substrate transport machine | |
| JP6322021B2 (en)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
| TWI880075B (en) | Integrated cmp system and method for polishing substrates | |
| JP6216258B2 (en)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
| JP2017188642A (en) | Transfer device, cleaning device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 |
| JP2015152324A (en) |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edge chipping of substrat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