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295A -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 Google Patents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9295A KR20150129295A KR1020150133777A KR20150133777A KR20150129295A KR 20150129295 A KR20150129295 A KR 20150129295A KR 1020150133777 A KR1020150133777 A KR 1020150133777A KR 20150133777 A KR20150133777 A KR 20150133777A KR 20150129295 A KR20150129295 A KR 201501292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noid
- surface contact
- plunger
- solenoid valve
- fl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내부에서의 유체 흐름이 원활하며, 유체의 차단력이 우수하고, 나아가서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제거력이 뛰어나며, 이를 위한 부재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공간의 측부와 저부에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에 마련되고, 솔레노이드와 탄성부재를 가지는 솔레노이드구동모듈; 상기 작동공간 내의 저면에 설치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출유로에 연결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는 시트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유출홀을 개폐시키도록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재에 면접촉되는 면접촉부가 마련되는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apable of reducing the weight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but also facilitates fabrication and assembly, smooth fluid flow in the interior, excellent blocking ability of the fluid, excellent removal of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The solenoid valve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n inlet passage and an outlet passage formed at a side and a bottom of the operating space, respectively; A solenoid driving module provided in the valve body, the solenoid driving module having a solenoid and an elastic member; A sheet memb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space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ving an outflow hole connected to the outflow passage; And a plunger provided to the operating space by the solenoid and the elastic member so as to reciprocat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hole and provided with a surface contact portion tha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heet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서의 유체 흐름이 원활하며, 유체의 차단력이 우수한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having a fluid flow smoothly inside and excellent in a fluid blocking force.
일반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밸브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밸브 중에서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밸브로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밸브의 작동속도가 빨라서 배관을 따라 흐르는 다양한 유체의 수위, 온도, 압력 등의 제어조건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In general, a valve widely used as a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a fluid flow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structures. Among these valves, a solenoid valve opens and closes the flow of fluid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supply of power As a valve, it can be remotely controlled, is easy to use, and is used to control the control conditions such as the level, temperature and pressure of various fluids flowing along the piping due to the high operating speed of the valve.
종래의 일례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53363호의 솔레노이드밸브용 하우징유니트 및 이 하우징유니트가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가 있다. 이는 솔레노이드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여자되어 발생된 전자적 추력에 의해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동되는 플런저가 유체가 출입하는 복수의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개폐하여, 상기 각 포트를 출입하는 유체의 유동경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솔레노이드밸브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끼워지며, 상기 플런저가 내부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철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철심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As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there is a housing unit for a solenoid valve of Korean Patent No. 10-0653363 and a solenoid valve provided with the housing unit. This is because a plunger driven by an electromagnetic thrust generated by excitation by a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coil opens and closes at least one port of a plurality of ports through which the fluid enters and leaves, A housing provided in a solenoid valve configured to change a path, the housing being fitted in the solenoid coil and having a hollow shape so that the plunger can linearly move inside the solenoid coil; A fixed iron core fixed to the housing;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housing and the fixed core to each oth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솔레노이드밸브는 유체의 흐르을 차단시 개폐부재가 유출포트 상단의 홀 주위에 선접촉됨으로써 유체의 리크(leak)를 완전히 방지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종래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응축수 등과 같은 액상물의 흐름을 개폐시키기 위해 사용시, 유입포트와 유출포트 사이에 형성된 격벽이 액상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액상물이 내부에 고이게 됨으로써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이는 기체의 흐름을 개폐시키기 위해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solenoid valv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flow of fluid is interrupt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ntacts the periphery of the hole at the upper end of the outlet port to limit the leakage of the fluid completely. Particularly, when a conventional solenoid valve is us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of a liquid material such as condensed water, the partition wall form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interferes with the flow of the liquid material and the liquid material can not flow smoothly, This applies equally when used to open or close the flow of gas.
또한 종래의 솔레노이드밸브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구조를 가지지 못하여, 이물질 제거를 위한 부재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필터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Further, since the conventional solenoid valve is structurally complicated and does not have a structur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a memb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an not be stably installed, and a separate filter member is used Which is a difficult problem.
본 발명의 사상은,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내부에서의 유체 흐름이 원활하며, 유체의 차단력이 우수하고, 나아가서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제거력이 뛰어나며, 이를 위한 부재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reduce the weight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but also to facilitate fabrication and assembly, smooth fluid flow in the inside, excellent fluid blocking ability, and furthermor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capable of stably and easily installing a member for this purpose. However, these problems are illustrative,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는, 작동공간의 측부와 저부에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에 마련되고, 솔레노이드와 탄성부재를 가지는 솔레노이드구동모듈; 상기 작동공간 내의 저면에 설치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출유로에 연결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는 시트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유출홀을 개폐시키도록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재에 면접촉되는 면접촉부가 마련되는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including: a valve body having an inlet channel and an outlet channel formed at a side and a bottom of an operating space, respectively; A solenoid driving module provided in the valve body, the solenoid driving module having a solenoid and an elastic member; A sheet memb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space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ving an outflow hole connected to the outflow passage; And a plunger provided to the operating space by the solenoid and the elastic member so as to reciprocat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hole and provided with a surface contact portion tha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heet memb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플런저의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메쉬소켓; 및 상기 메쉬소켓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메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sh socket which is disposed around the plunger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wherein at least one inlet is formed; And a mesh member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esh socke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솔레노이드구동모듈은 상기 작동공간 내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쉬소켓은 상기 나사결합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noid driving module may include a threaded portion to be screwed into the operation space, and the mesh socket may be formed with a support flange supported by the threaded port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메쉬소켓이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불소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member is in the form of a plate on which the mesh socket is seated, and may be made of fluorine rubb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는 상기 면접촉부가 끝단에 링 형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nger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shaped protrusion at the end of the surface contact port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는 상기 면접촉부가 끝단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다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nger may be formed in multiple such that the surface contact portion is concentric with the end.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는 상기 시트부재에 선접촉되는 선접촉부가 상기 면접촉부와 함께 끝단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nger may be formed such that a line abutting portion, which is in line contact with the sheet member, is concentric with the surface abutting por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따르면,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내부에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를 최소화하여 내부에서의 유체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며, 플런저와 탄성을 가진 시트부재가 면접촉 또는 다중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차단력이 우수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메쉬부재에 의해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제거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메쉬부재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weight can be reduced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but also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are facilitated and the structure for obstructing the flow of the fluid inside is minimized, And the plunger and the resilient sheet member are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or multiple contact so that the blocking force of the fluid is improved and further the ability of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by the mesh member is excellent, So that the mesh member can be stably and easily installed.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플런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메쉬소켓과 메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플런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플런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rface-contact typ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and bottom view of a plunger in a surface-contacting solenoid valve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sh socket and mesh member in a face-contact solenoid val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lunger in a surface-contact typ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lunger in an surface-contact typ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order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such as a film, region or substrate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lamina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lements may be directly "on", "connected", "lamina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or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one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do.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It is obvious that n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Also, relative terms such as "top" or "above" and "under" or "below" can b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certain elements to other elements as illustrated in the Figures. Relativ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in addition to those depicted in the Figures. For example, in the figures the elements are turned over so that the elements depicted as be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other elements are orie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ample "top" may include both "under" and "top" directions depending on the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figure. If the elements ar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ther direction), the relative descriptions used herein can be interpreted accordingl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s,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shape shown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shapes of the regions shown herei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밸브본체(110), 솔레노이드구동모듈(120), 시트부재(130) 및 플런저(Plunger; 3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상물, 예컨대 응축수나 냉각수 또는 정수 등의 흐름을 개폐시킬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기체의 흐름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1 and 2, the surface contact
밸브본체(110)는 작동공간(111)의 측부와 저부에 유입유로(112)와 유출유로(11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밸브본체(110)는 예컨대, 저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14)가 체결부재(116), 예컨대 다수의 볼트나 스크루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114)와의 사이에 오링(115)이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14)는 상면에 시트부재(130)가 안착될 수 있다.The
솔레노이드구동모듈(120)은 밸브본체(110)에 마련되되, 일례로 밸브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121)와 탄성부재(122)를 가질 수 있다. 솔레노이드구동모듈(120)은 예컨대 플런저(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내측에 플런저(140)가 설치되는 실린더(124)를 가질 수 있고, 전자기력에 의해 플런저(140)가 실린더(124) 내에서 이동하도록 실린더(124)의 둘레에 솔레노이드(121)가 설치될 수 있으며, 플런저(140)가 하방으로 복귀되기 위한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22)가 플런저(14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구동모듈(120)은 센서 등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개폐시키도록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The
탄성부재(122)는 일례로 코일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그 설치 위치와 고정 구조 등에 따라 코일 인장 스프링을 비롯하여 다양한 스프링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The
실린더(124)는 예컨대 플런저(14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43)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내측면에 가이드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The
솔레노이드구동모듈(120)은 작동공간(111) 내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123)가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결합부(123)와 작동공간(111)의 입구측 사이에 오링(127)이 개재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구동모듈(120)은 예컨대 솔레노이드(121)를 감싸는 케이싱(125)이 실린더(124) 상단에 너트(126)로 고정될 수 있다. The
시트부재(130)는 작동공간(111) 내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출유로(113)에 연결되는 유출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시트부재(130)는 예컨대 후술하게 될 메쉬소켓(150)이 안착되기 위한 면적을 제공하는 플레이트(Plat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불소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의 천연 고무 또는 인조 고무로 이루어지거나,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부재(13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후술하게 될 플런저(140) 끝단에 마련된 면접촉부(141)와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하여, 유체의 리크(leak)를 최대한 방지하도록 한다.The
플런저(140)는 솔레노이드(121)와 탄성부재(122)에 의해 작동공간(111)에 유출홀(131)을 개폐시키도록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예컨대 상단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22)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유출홀(131)을 차단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121)와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유출홀(131)을 개방시킬 수 있다. 플런저(140)는 유출홀(131)의 차단을 위하여 시트부재(130)에 면접촉되는 면접촉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면접촉부(141)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플런저(140) 하단에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플런저(140)와 별개로 제작되어 플런저(14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플런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메쉬소켓과 메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stantial part of a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plunger of FIG. 3,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sh member.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40)는 면접촉부(141)가 끝단에 링 형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부재(130)에서 유출홀(131) 주변에 면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면접촉부(141)의 중심에는 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3 and 4, the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100)에는 메쉬소켓(150)과 메쉬부재(160)가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메쉬소켓(150)은 플런저(140)의 둘레에 위치하여 작동공간(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쉬소켓(150)은 유입유로(112)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작동공간(111)과 유출유로(113)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메쉬소켓(150)은 유입구(151)가 단일로 이루어지거나, 본 실시례에서처럼 둘레를 따라 다수, 예컨대 3개로 형성될 수 있고, 솔레노이드구동모듈(120)의 나사결합부(123)에 의해 지지되어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나사결합부(12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지지플랜지(152)가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The
메쉬부재(16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과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메쉬소켓(150)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플런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lunger in a surface-contact typ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플런저(240)는 면접촉부(241)가 링 형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부재(130; 도 3에 도시)에서 유출홀(131; 도 3에 도시)의 주변에 면접촉되되, 면접촉부(241)가 끝단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다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면접촉부(241) 각각이 동심원을 이루어서 시트부재(130; 도 3에 도시)에 밀착됨으로써, 면접촉부(241)와 시트부재(130) 사이를 통해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다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6,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밸브에서 플랜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flange in a solenoid valve of a surface-contact typ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런저(340)는 면접촉부(341)가 링 형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되, 시트부재(130; 도 3에 도시)에 선접촉되는 선접촉부(342)가 면접촉부(341)와 함께 끝단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접촉부(342)와 면접촉부(341)는 시트부재(130; 도 3에 도시)와의 사이에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다중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선접촉부(342)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다중 접촉 구조의 구현을 위해 필요로 하는 플런저(340) 끝단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선접촉부(342)는 플런저(340)의 끝단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시트부재(130; 도 3에 도시)와의 선접촉을 위하여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횡단면이 역삼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7,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접촉식 솔레노이드밸브(100)에 따르면,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밸브본체(110)로부터 유체의 배출시 그 유로가 유체의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유체의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도록 한다. 즉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밸브본체(110)는 작동공간(111)의 측부와 저부에 유입유로(112)와 유출유로(113)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체의 흐름에 장애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해 유체가 내부에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urface contact
또한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 플런저(140)와 탄성을 가진 시트부재(130)의 면접촉에 의해 유체의 리크(leak)를 방지할 수 있으며, 메쉬부재(160)에 의해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필터링을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메쉬소켓(150)에 의해 메쉬부재(160)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메쉬부재(160)가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flow of the fluid is blocked, leakage of the fluid can be prevented by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40)에 면접촉부(241)가 동심원을 이루도록 다중으로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40)에 면접촉부(341)와 선접촉부(342)가 동심원을 이루도록 다중으로 형성됨으로써 플런저와 시트부재와의 사이를 통해서 유체가 리크되는 것을 다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솔레노이드밸브 110 : 밸브본체
111 : 작동공간 112 : 유입유로
113 : 유출유로 114 : 베이스플레이트
115 : 오링 116 : 체결부재
120 : 솔레노이드구동모듈 121 : 솔레노이드
122 : 탄성부재 123 : 나사결합부
124 : 실린더 125 : 케이싱
126 : 너트 127 : 오링
130 : 시트부재 131 : 유출홀
140,240,340 : 플런저 141,241,341 : 면접촉부
142 : 홈 150 : 메쉬소켓
151 : 유입구 152 : 지지플랜지
160 : 메쉬부재 342 : 선접촉부100: solenoid valve 110: valve body
111: working space 112: inflow channel
113: Outflow channel 114: Base plate
115: o-ring 116: fastening member
120: Solenoid drive module 121: Solenoid
122: elastic member 123:
124: cylinder 125: casing
126: Nut 127: O-ring
130: sheet member 131: outlet hole
140, 240, 340:
142: groove 150: mesh socket
151: inlet port 152: support flange
160: mesh member 342:
Claims (1)
상기 밸브본체에 마련되고, 솔레노이드와 탄성부재를 가지는 솔레노이드구동모듈;
상기 작동공간 내의 저면에 설치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출유로에 연결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는 시트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유출홀을 개폐시키도록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재에 면접촉되는 면접촉부가 마련되는 플런저;
를 포함하는, 면접촉식 솔레노이드 밸브.A valve body in which an inflow passage and an outflow passage are formed at the side and bottom of the operating space, respectively;
A solenoid driving module provided in the valve body, the solenoid driving module having a solenoid and an elastic member;
A sheet memb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space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ving an outflow hole connected to the outflow passage; And
A plunger installed to be reciprocatable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hole in the working space by the solenoid and the elastic member, the plunger being provided with a surface contact portion tha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heet member;
And a contact-type solenoid valv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33777A KR20150129295A (en) | 2015-09-22 | 2015-09-22 |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
| PCT/KR2016/010540 WO2017052197A1 (en) | 2015-09-22 | 2016-09-21 |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33777A KR20150129295A (en) | 2015-09-22 | 2015-09-22 |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55695 Division | 2014-05-09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29295A true KR20150129295A (en) | 2015-11-19 |
Family
ID=548434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33777A Withdrawn KR20150129295A (en) | 2015-09-22 | 2015-09-22 |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129295A (en) |
| WO (1) | WO2017052197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524662Y2 (en) * | 1990-04-14 | 1997-02-05 |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 Solenoid valve plunger |
| KR100966345B1 (en) * | 2008-03-27 | 2010-06-28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Solenoid valve |
| JP5559516B2 (en) * | 2009-11-10 | 2014-07-23 |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 solenoid valve |
| KR20130136238A (en) * | 2012-06-04 | 2013-12-12 | 영도산업 주식회사 | Solenoid valve for fluid control |
| KR101512788B1 (en) * | 2014-05-09 | 2015-04-17 | 메탈젠텍 주식회사 | Steam trap system |
-
2015
- 2015-09-22 KR KR1020150133777A patent/KR20150129295A/en not_active Withdrawn
-
2016
- 2016-09-21 WO PCT/KR2016/010540 patent/WO201705219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7052197A1 (en) | 2017-03-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86845B1 (en) | Valve manifold assembly | |
| TWI596291B (en) | Multi-port modular valve with snap-in seat | |
| KR101512788B1 (en) | Steam trap system | |
| US7367543B2 (en) | Solenoid valve for fluid flow | |
| KR102368773B1 (en) | Diaphragm valve | |
| US9664300B2 (en) | Pilot-operated valve with floating piston | |
| JP6212463B2 (en) | Small solenoid valve | |
| US9995404B2 (en) | Seat valve | |
| JP2006258135A (en) | Solenoid valve | |
| WO2008076962A1 (en) | Check valve | |
| WO2005008108B1 (en) | Extended stroke valve and diaphragm | |
| KR20150024789A (en) | Pressure-reducing valve | |
| US20130228711A1 (en) | 3-Way Solenoid Valve | |
| JP5986450B2 (en) | Pneumatically operated valve and its assembly method | |
| KR20150129295A (en) | Surface contact type solenoid valve | |
| CN112228589B (en) | Valve structure and solenoid valve device | |
| KR102165250B1 (en) | Diaphragm valve | |
| JPH062782A (en) | Pneumatic pressure operating valve | |
| US11313476B1 (en) | Pressure loss mitigation and durable valve | |
| CN205504137U (en) | Combined electromagnetic valve | |
| JP2020034131A (en) | valve | |
| RU2013139935A (en) | VALVE | |
| JP2018091396A (en) | Control valve unit | |
| CN113811707A (en) | Diaphragm-Seat Valve | |
| JP7684673B2 (en) | Pressure reducing valves and pressure reducing valve unit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050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05569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