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03097A - 커넥터 플러그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플러그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097A
KR20160003097A KR1020157033579A KR20157033579A KR20160003097A KR 20160003097 A KR20160003097 A KR 20160003097A KR 1020157033579 A KR1020157033579 A KR 1020157033579A KR 20157033579 A KR20157033579 A KR 20157033579A KR 20160003097 A KR20160003097 A KR 20160003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lock
receptacle
connector
connector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젱시 왕
지안펭 우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9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presenting a contact carrying strip, e.g. edge-like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 플러그는, 본체 및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의 단부 부분들에 제공되는 2 개의 단부 벽들을 갖는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된 복수 개의 플러그 접점(plug contact)들을 포함하고, 2 개의 단부 벽들 양자 모두에는,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그의 동일측 상에서 커넥터 플러그의 저부에 인접한 위치에 하나 이상의 블록 노치(block notch)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플러그 및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PLUG AND CONNECTOR ASSEMBLY}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중국 특허청에 2013년 5월 3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 CN201320236008.9 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의 전체 개시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 플러그 및 커넥터 플러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커넥터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플러그(또는 플러그로 지칭됨) 및 플러그에 정합되는 커넥터 리셉터클(또는 리셉터클로서 지칭됨)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접점들이 리셉터클에 제공되며, 복수 개의 플러그 접점들이 플러그에 제공된다. 플러그가 미리 정해진 정확한 자세로 리셉터클 내로 삽입될 때, 플러그 접점들은 리셉터클 접점에 전기 접속한다. 그러나, 플러그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정확한 자세로 리셉터클 내로 삽입된다면, 플러그의 저부가 리셉터클 내의 리셉터클 점점들을 가압하여 손상시키는 불리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의 양태를 극복하거나 경감시키도록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내로의 플러그의 삽입 중, 플러그의 저부가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오정렬로 인한 리셉터클의 리셉터클 접점들을 가압하고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체 및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의 단부 부분들에 제공되는 2 개의 단부 벽들을 갖는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된 복수 개의 플러그 접점들을 포함하고, 2 개의 단부 벽들 양자 모두에는,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그의 동일측 상에서 커넥터 플러그의 저부에 인접한 위치에 하나 이상의 블록 노치가 형성되는 커넥터 플러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의 2 개의 단부 벽들의 동일측들은 본체의 폭 방향으로 본체를 지나 연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의 2 개의 단부 벽들의 각각의 양쪽 측면들은 본체의 폭 방향으로 본체를 지나 연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블록 노치는 실질적으로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블록 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블록 노치는, 단부 벽의 저부 표면에 대해서 각지게 본체로부터 멀리 그리고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안내 면을 더 포함하며, 블록 면 및 안내 면은 함께 블록 노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부 벽들의 각각의 일측에는 하나의 블록 노치가 제공되며, 단부 벽들의 각각의 타측에는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분리되는 2 개의 블록 노치들이 제공되며;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들 중 상부 블록 노치의 블록 면 및 일측에서의 블록 노치의 블록 면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들 중 하부 블록 노치의 안내면 및 일측에서의 블록 노치의 안내 면 각각은, 개별 블록 면을 향해서 단부 벽의 저부 측으로부터 연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압입부(indentation)가 단부 벽의 저부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리셉터클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2 개의 측벽들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케이스 및 리셉터클 케이스에 제공된 복수 개의 리셉터클 접점들을 갖는 커넥터 리셉터클; 및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플러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커넥터 플러그는 플러그 접점들 및 리셉터클 접점들을 전기 접속하기 위해서 커넥터 리셉터클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단부 벽의 블록 노치가 2 개의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물림되고, 단부 벽의 저부측이 2 개의 측벽들 중 다른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닿아 인접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 접점들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슬로프가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측벽들 각각의 상부 외부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압입부가 단부 벽의 저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단부 벽의 저부 측의 압입부가 일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물림되고, 단부 벽의 일측이 다른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닿아 인접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 접점들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부 벽들의 각각의 일측에는 하나의 블록 노치가 제공되며, 단부 벽들의 각각의 타측에는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분리되는 2 개의 블록 노치들이 제공되며;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들 중 상부 블록 노치의 블록 면 및 일측에서의 블록 노치의 블록 면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며,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들 중 하부 블록 노치의 안내면 및 일측에서의 블록 노치의 안내 면 각각은, 개별 블록 면을 향해서 단부 벽의 저부 측으로부터 연장하고; 직사각형 리세스가 리셉터클 케이스의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들 중 하부 블록 노치는, 직사각형 리세스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리세스들이 커넥터 플러그의 블록 노치들에 대응하는 커넥터 리셉터클의 측벽들의 위치들에 형성되고, 커넥터 리셉터클에 대해 정확한 자세로 커넥터 리셉터클 내에 커넥터 플러그를 삽입하는 동안, 블록 노치들은 각각의 리세스들을 통해 통과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리셉터클 내로 플러그를 비스듬하게 삽입하는 동안, 플러그의 블록 노치들은 리셉터클의 측벽들과 맞물림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의 저부가 리셉터클 접점들을 가압하고 손상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그의 상세한 예시적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리셉터클 내로 종래 기술의 플러그를 비스듬하게(aslant) 삽입하는 예시적 도면이며, 여기서 플러그의 저부는 리셉터클에서 리셉터클 접점들을 가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예시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리셉터클 케이스의 예시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리셉터클 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된 플러그의 예시적 사시도이며, 여기서 리셉터클의 하나의 단부 벽은 리셉터클에 제공된 리셉터클 접점들을 노출하기 위해서 제거되며, 리셉터클의 일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는 도 2의 플러그의 단부 벽의 일측에서 블록 노치(block notch)와 맞물림된다.
도 5는 리셉터클 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된 플러그의 예시적 사시도이며, 여기서 리셉터클의 하나의 단부 벽은 리셉터클에 제공된 리셉터클 접점들을 노출하기 위해서 제거되며, 리셉터클의 타측벽의 상부 가장자리는 도 2의 플러그의 단부 벽의 타측에서 상부 블록 노치(upper block notch)와 맞물림된다.
도 6은 리셉터클 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된 플러그의 예시적 사시도이며, 여기서 리셉터클의 하나의 단부 벽은 리셉터클에 제공된 리셉터클 접점들을 노출하기 위해서 제거되며, 리셉터클의 (직사각형 리세스가 형성된) 타측벽의 상부 가장자리는 도 2의 플러그의 단부 벽의 타측의 하부 블록 노치(lower block notch)와 맞물림된다.
도 7은 리셉터클 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된 플러그의 예시적 사시도이며, 여기서 리셉터클의 하나의 단부 벽은 리셉터클에 제공된 리셉터클 접점들을 노출하기 위해서 제거되며, 리셉터클의 타측벽의 상부 가장자리는 도 2의 플러그의 단부 벽의 저부측에서 압입부(indentaiton)와 맞물림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도면 부호들이 유사한 요소들을 언급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물이 철저해지고 완벽해질 수 있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개념을 완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00)를 설명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플러그(100)는, 본체 및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의 단부 부분에 제공되는 2 개의 단부 벽(112)들을 갖는 플러그 하우징(110)(즉, 본체는 단부 벽(112)들 사이에 위치됨); 및 본체에 제공된 복수 개의 플러그 접점(contact)(도시 생략)들을 포함한다. 2 개의 단부 벽(112)들 양자 모두에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폭 방향으로 그의 동일측 상에서 커넥터 플러그(100)의 저부에 인접한 위치에 하나 이상의 블록 노치(11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플러그 하우징(110)의 폭 방향으로의 2 개의 단부 벽(112)들의 동일측들(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 벽(112)의 좌측 및 타단부 벽(112)의 좌측은 동일측들임)은, 본체의 폭 방향으로 본체를 지나 연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플러그 하우징(110)의 폭 방향으로의 2 개의 단부 벽(112)들의 각각의 양쪽 측면들은 본체의 폭 방향으로 본체를 지나 연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플러그 하우징(110)의 폭 방향으로의 2 개의 단부 벽(112)들의 각각의 양쪽 측면들에는 블록 노치(114)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플러그 하우징(110)의 폭 방향으로의 2 개의 단부 벽(112)들의 각각의 단지 일측에만 블록 노치(114)가 형성되며, 블록 노치를 갖지 않는 단부 벽(112)의 측은 본체의 폭 방향으로 본체를 지나 연장할 필요가 없다.
플러그(100)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의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 상에서 슬라이드할 때, 블록 노치(114)가 리셉터클의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와 맞물림되거나 끼워맞춤될 수 있는 한, 블록 노치(114)는 다양한 형상들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 노치는 아크 그루브(arc groove)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블록 노치(114)는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본체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블록 면(block face)(114a)을 포함한다. 블록 면(114a)은 폭 방향으로 단부 벽(11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범프(bump)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범프의 저부 표면은 블록 면(114a)을 형성한다. 블록 노치는 범프의 저부 표면과 단부 벽(112)의 일측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노치(114)는 단부 벽의 저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안내 면(guide face)(11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면(114a) 및 안내 면(114b)은 함께 블록 노치를 형성한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부 벽(112)들의 각각의 일측(예컨대, 도 2의 단부 벽의 우측)에는 하나의 블록 노치(114)가 제공되며, 단부 벽(112)들의 각각의 타측에는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분리되는 2 개의 블록 노치(114)들이 제공된다.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114)들 중 상부 블록 노치의 블록 면(114a) 및 일측에서의 블록 노치(114)의 블록 면(114a)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즉, 동일한 거리만큼 단부 벽의 저부측으로부터 이격됨). 대안의 실시예에서, 도 2의 단부 벽(112)의 우측에는 그의 좌측과 같이 2 개의 블록 노치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114)들 중 하부 블록 노치의 안내면(114b) 및 일측에서의 블록 노치(114)의 안내 면(114b) 각각은, 개별 블록 면(114a)을 향해서 단부 벽(112)의 저부 측으로부터 연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압입부(116)가 단부 벽의 저부측에 형성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커넥터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2 개의 측벽(212)들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케이스(210), 및 리셉터클 케이스(210)에 제공된 복수 개의 리셉터클 접점(220)들을 갖는 커넥터 리셉터클(200); 및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플러그(100)를 포함한다. 플러그(100)는 플러그 접점들 및 리셉터클 접점들을 전기 접속하기 위해서 커넥터 리셉터클(20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플러그(100)는, 단부 벽(112)의 블록 노치(114)가 2 개의 측벽(212)들 중 하나의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212a)와 맞물림하고, 단부 벽(112)의 저부측이 2 개의 측벽(212)들 중 다른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닿아 인접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 접점(220)들로부터 분리된다(즉, 플러그(100)가 리셉터클 접점(220)들과 접촉하지 않음). 그 결과, 리셉터클(200) 내로 플러그(100)를 비스듬하게 삽입하는 동안, 플러그(100)의 블록 노치(114)는 리셉터클(200)의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212a)와 맞물림되어, 플러그(100)의 저부가 리셉터클 접점(220)들을 가압하고 손상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슬로프가 측벽(212)들 각각의 상부 외부 가장자리 상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형성한다.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상은,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대해 부정확한 자세(posture)로 위치되는 경우에 플러그를 비스듬하게 삽입하는 동안 블록 노치(114)와 측벽(212)의 상부 가장자리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측벽(212)의 상부 가장자리가 얇은 두께를 갖는다면, 측벽(212)들의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리세스(214)들은 커넥터 플러그(100)의 블록 노치(114)들에 대응하는 커넥터 리셉터클(200)의 측벽(212)들의 위치들에 형성된다. 리셉터클(200) 내로 플러그(100)를 비스듬하게 삽입하는 동안, 리세스(214)들은 통로들을 제공하며, 이 통로를 통해서 플러그(100)의 블록 노치(114)들이 통과하는 한편, 플러그(100)는 리셉터클(200)의 일 측벽(212)의 상부 가장자리에 대해서 하방으로 회전되어서, 블록 노치(114)가 측벽(212)의 상부 가장자리와 맞물림되거나 스냅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리세스(216)는 리셉터클 케이스(210)의 측벽(212)들 중 하나의 측벽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0)의 하나의 측벽(우측벽)(212)의 상부 가장자리는 플러그(100)의 단부 벽(112)의 일측(우측)의 블록 노치(114)와 맞물림된다.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서 리셉터클 접점(220)들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0)의 하나의 측벽(좌측벽)(212)의 상부 가장자리는 플러그(100)의 단부 벽(112)의 타측(좌측)의 블록 노치(114)와 맞물림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때, 플러그(100)의 단부 부분 또는 단부 면은 리셉터클(200)의 단부 벽에 가깝다(그러나, 플러그(100)는 여전히 리셉터클(200)에 대해 정확한 자세로 위치되지 않음). 이 경우에, 블록 노치(114)가 리셉터클의 측벽과 맞물림되지 않고 플러그(100)가 하방으로 추가로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서 리셉터클 접점(220)들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0)의 다른 측벽(직사각형 리세스가 제공된 좌측벽)(212)의 상부 가장자리는 플러그(100)의 단부 벽(112)의 타측(좌측)의 블록 노치(114)와 맞물림된다. 그 결과, 플러그(100)의 단부 부분 또는 단부 면이 리셉터클(200)의 단부 벽으로부터 (부정확한 자세로) 멀리 위치되며 하부 높이에서 직사각형 리세스의 상부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경우일지라도, 하부 블록 노치가 상부 블록 노치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하부 블록 노치는 상부 블록 노치 이전에 직사각형 리세스(216)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물림되는 한편, 플러그(100)의 단부 벽(112)의 좌측은 직사각형 리세스(216)를 따라 미끄러져, 플러그(100)가 리셉터클 접점(220)들과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는, 2 개의 짧은 플러그들이 하나의 리셉터클(200) 내로 함께 끼워맞춤되며 2 개의 짧은 플러그들 중 하나가 리셉터클(200)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도 7은 리셉터클(200) 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된 플러그(100)의 예시적 사시도이며, 여기서 플러그(100)는, 리셉터클(200)의 일 측벽(212)(좌측벽)의 상부 가장자리가 플러그(100)의 단부 벽(112)의 저부측에서 압입부(116)와 맞물림되며, 단부 벽(112)의 일측이 타측벽(우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닿아 인접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 접점(220)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실시예가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당업자에게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수많은 수정예들이 당업자에 의해 상기 실시예들에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구성 또는 원리에 있어서의 충돌없이 서로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수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다양한 변형들 또는 수정예들이 본 개시의 원리들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만들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며, 그의 범주는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서 규정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로 인용되고 단수형으로 진행된 요소는, 상기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 것(이러한 배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참조들은, 인용된 특징들을 또한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명시적으로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특별한 특징을 갖는 원소 또는 복수 개의 원소들을 "포함"하거나 "갖는" 실시예들은 그 특징을 갖지 않는 이러한 추가 원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3)

  1. 커넥터 플러그(100)로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의 단부 부분들에 제공되는 2 개의 단부 벽(112)들을 갖는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110);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된 복수 개의 플러그 접점(plug contact)들을 포함하며,
    상기 2 개의 단부 벽들 양자 모두에는,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그의 동일측 상에서 커넥터 플러그의 저부에 인접한 위치에 하나 이상의 블록 노치(block notch)(114)가 형성되는,
    커넥터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의 2 개의 단부 벽들의 동일측들은 본체의 폭 방향으로 본체를 지나 연장하는,
    커넥터 플러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의 2 개의 단부 벽들의 각각의 양쪽 측면들은 본체의 폭 방향으로 본체를 지나 연장하는,
    커넥터 플러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노치는 실질적으로 플러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블록 면(block face)(114a)을 포함하는,
    커넥터 플러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노치는 단부 벽의 저부 표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안내 면(guide face)(114b)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 면 및 안내 면은 함께 블록 노치를 형성하는,
    커넥터 플러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들의 각각의 일측에는 하나의 블록 노치가 제공되며, 단부 벽들의 각각의 타측에는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분리되는 2 개의 블록 노치들이 제공되며,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들 중 상부 블록 노치의 블록 면 및 일측에서의 블록 노치의 블록 면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커넥터 플러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들 중 하부 블록 노치의 안내면 및 일측에서의 블록 노치의 안내 면 각각은, 개별 블록 면을 향해서 단부 벽의 저부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커넥터 플러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의 저부측에 하나 이상의 압입부(indentation)(116)가 형성되는,
    커넥터 플러그.
  9. 커넥터 조립체로서,
    리셉터클 케이스(receptacle case)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2 개의 측벽(212)들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케이스(210), 및 리셉터클 케이스에 제공된 복수 개의 리셉터클 접점(220)들을 갖는 커넥터 리셉터클(200); 및
    플러그 접점들 및 리셉터클 접점들을 전기 접속하기 위해서 커넥터 리셉터클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제 1 항에 따른 커넥터 플러그(100)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단부 벽의 블록 노치가 2 개의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물림되고 단부 벽의 저부측이 2 개의 측벽들 중 다른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닿아 인접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 접점들로부터 분리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방으로 테이퍼진(tapered)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측벽들 각각의 상부 외부 가장자리 상에 슬로프(slope)가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제 8 항에 따른 커넥터 플러그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단부 벽의 저부 측의 압입부가 일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물림되고, 단부 벽의 일측이 다른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닿아 인접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 접점들로부터 분리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제 6 항에 따른 커넥터 플러그가 되도록 구성되며;
    리셉터클 케이스의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의 상부 부분에 직사각형 리세스(216)가 형성되고,
    타측에서의 2 개의 블록 노치들 중 하부 블록 노치는, 직사각형 리세스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커넥터 플러그의 블록 노치들에 대응하는 커넥터 리셉터클의 측벽들의 위치들에 복수 개의 리세스(214)들이 형성되고,
    커넥터 리셉터클에 대해 정확한 자세로 커넥터 리셉터클 내에 커넥터 플러그를 삽입하는 동안, 블록 노치들은 각각의 리세스(214)들을 통해 통과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57033579A 2013-05-03 2014-04-25 커넥터 플러그 및 커넥터 조립체 Ceased KR201600030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202360089U CN203250925U (zh) 2013-05-03 2013-05-03 连接器插头和连接器组件
CN2013202360089 2013-05-03
PCT/IB2014/061002 WO2014177981A1 (en) 2013-05-03 2014-04-25 Connector plug and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97A true KR20160003097A (ko) 2016-01-08

Family

ID=4937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579A Ceased KR20160003097A (ko) 2013-05-03 2014-04-25 커넥터 플러그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73555B2 (ko)
KR (1) KR20160003097A (ko)
CN (1) CN203250925U (ko)
BR (1) BR112015027326A2 (ko)
WO (1) WO2014177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8577B (zh) * 2015-04-15 2020-07-28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连接器组件
CN110611226B (zh) * 2018-09-30 2024-09-13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及其插头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037Y2 (ja) * 1987-12-11 1994-06-29 ユニバーサル販売株式会社 回路基板取付構造
US4960387A (en) * 1989-01-25 1990-10-02 Amp Incorporated Pin saver
US4900261A (en) * 1989-02-23 1990-02-13 Positronic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131867A (en) * 1990-10-15 1992-07-21 Molex Incorporated Anti-vib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ess relief
JP2541256Y2 (ja) * 1990-12-27 1997-07-1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小型多極電気コネクタ
US5161996A (en) * 1991-07-26 1992-11-10 Amp Incorporated Header assembly and alignment assist shroud therefor
US5104331A (en) * 1991-08-12 1992-04-14 Goble Robert H Damage resistant latching electrical connector
GB9127466D0 (en) * 1991-12-30 1992-02-19 Amp Gmbh Electronic control module assembly
JP2598412Y2 (ja) * 1992-04-03 1999-08-09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US5302136A (en) * 1992-11-23 1994-04-12 Modicon, Inc. Apparatus for positively preventing misengagement of multipoint connector elements
US5458497A (en) * 1993-05-27 1995-10-17 Beta Phase, Inc. Connector assembly
US5378169A (en) * 1993-09-24 1995-01-03 The Whitaker Corporation Pivotal connector for planar electronic devices
JP3086846B2 (ja) * 1995-09-28 2000-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の嵌合構造
US5651697A (en) * 1995-12-11 1997-07-29 Molex Incorporated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865651A (en) * 1996-12-17 1999-02-02 Seagate Technology, Inc. Female connector for mating with 3-in-1 IDE interface and power connector with recesses and projectio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US6093042A (en) * 1998-12-10 2000-07-25 Berg Technology, Inc. High density connector with low insertion force
US6155860A (en) * 1998-01-31 2000-12-05 Berg Technology, Inc. Socket for electrical component
FR2782577B1 (fr) * 1998-08-24 2000-11-17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avec fiche et embase a faible force d'insertion, notamment du type a contacts broche/lyre
US6350141B1 (en) * 2000-05-30 2002-02-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Connector frame for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JP3964146B2 (ja) * 2001-03-22 2007-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03059584A (ja) * 2001-08-17 2003-02-28 Yazaki Corp コネクタ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004063135A (ja) * 2002-07-25 2004-02-26 Yazaki Corp コネクタ構造
JP4052642B2 (ja) * 2003-02-27 2008-02-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TW200719787A (en) * 2005-11-11 2007-05-16 Innolux Display Corp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088811B2 (ja) * 2007-01-10 2012-12-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N101964481A (zh) * 2009-07-23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498635U (zh) * 2009-08-12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2208731A (zh) * 2010-03-29 2011-10-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扩展插座
US8282415B1 (en) * 2011-04-21 2012-10-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port connector assembly
US8628347B2 (en) * 2012-02-14 2014-01-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alignment features
TWM438739U (en) * 2012-04-13 2012-10-0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Connector with a guide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250925U (zh) 2013-10-23
US20160056566A1 (en) 2016-02-25
WO2014177981A1 (en) 2014-11-06
US9673555B2 (en) 2017-06-06
BR112015027326A2 (pt)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4656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2646884B (zh) 电连接器
US20130137307A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196984B2 (en)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using substrate connector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JP6352676B2 (ja) コネクタ
US8500460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s and assembly thereof with contact-mounting wall having variable thickness
KR20180063598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3185448U (ja) 電気コネクタ
US20140370726A1 (en) Electric Connector
KR20160003097A (ko) 커넥터 플러그 및 커넥터 조립체
CN104103955B (zh) 基板连接器
US9640897B2 (en) Wire-side connector and device-side connector with mating guides
CN106252925B (zh) 薄型连接器
JP6466266B2 (ja) コネクタ
JP6172760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TWM606585U (zh) 電連接器組
JP4293254B2 (ja) コネクタ
US805244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KR200378641Y1 (ko) 멀티탭
KR102226323B1 (ko) 헤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US9153903B2 (en) Electrical connector confronting with different mating electrical connectors
US916632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guard
KR20160023478A (ko) 커넥터
KR20170045665A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3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