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39388A -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 Google Patents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388A
KR20160039388A KR1020140132378A KR20140132378A KR20160039388A KR 20160039388 A KR20160039388 A KR 20160039388A KR 1020140132378 A KR1020140132378 A KR 1020140132378A KR 20140132378 A KR20140132378 A KR 20140132378A KR 20160039388 A KR20160039388 A KR 20160039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ischarge port
contents
line
lower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상형
김시정
김주명
Original Assignee
표상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상형 filed Critical 표상형
Priority to KR102014013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9388A/ko
Publication of KR2016003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38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5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the tear-lines being broken by deformation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에 밀착되어 상부시트와의 사이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하부시트로 이루어진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하부시트는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일정깊이로 제1절곡라인과 제2절곡라인이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여 일정깊이로 토출구라인이 반원 또는 다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시트를 제1절곡라인과 제2절곡라인을 따라 절곡시켰을 때 상기 토출구라인을 따라 하부시트가 절단됨으로써 가압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토출구 옆에 내용물이 튀는 것을 막아주는 반원 또는 다각 형태의 차단벽이 형성되어, 내용물이 일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위가 더럽혀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내용물을 원하는 곳에 토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Pouch having Outlet}
본 발명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곡을 시켰을 때 가압토출구가 형성되고, 이 가압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샴푸나 린스, 혼합양념이나 소스와 같은 액상의 식품, 또는 고추장이나 마요네즈 및 케찹과 같은 겔타입의 식품들은 샘플이나 그 밖의 용도를 위하여 파우치에 소량이 수용되어 포장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파우치는 2개의 시트가 열융착에 의해 테두리 부분이 접착되고 내부에 상기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파우치를 특정 방향으로 접으면 어느 하나의 시트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이 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우치는 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때 내용물이 주변으로 비산되어 주변환경이 지저분해지거나 옷에 튀는 문제점이 있었다.
출원번호:10-2011-7024977 (공개번호:10-2012-0081020, 발명의 명칭 : 다기능 용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절곡이 용이하고 내용물의 토출시에 내용물이 주위에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주변환경이나 옷 등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에 밀착되어 상부시트와의 사이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하부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로서; 상기 하부시트는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일정깊이로 제1절곡라인과 제2절곡라인이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여 일정깊이로 토출구라인이 반원 또는 다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시트를 제1절곡라인과 제2절곡라인을 따라 절곡시켰을 때 상기 토출구라인을 따라 하부시트가 절단됨으로써 가압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토출구 옆에 내용물이 튀는 것을 막아주는 반원 또는 다각 형태의 차단벽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시트는 내용물에 접하는 PE필름(Polyethylene Film)과, 상기 PE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Al필름(또는 Evoh필름(Ethylene Vinyl Alcohol))과, 상기 Al필름(또는 Evoh필름(Ethylene Vinyl Alcohol))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PS필름(Polystyrene)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라인과 제2절곡라인은 상기 PS필름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일정깊이까지만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라인은 상기 PE필름을 관통한 후 상기 Al필름 또는 Evoh필름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일정깊이까지만 형성된다.
또한, 상기 PE필름은 그 두께가 60~70μm, 상기 Al필름 또는 Evoh필름은 그 두께가 6~7μm이며, 상기 PS필름은 그 두께가 400~420μm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는 제1절곡라인과 제2절곡라인에 의해 하부시트의 절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토출구라인에 의하여 가압토출구의 형성이 용이하고, 상기 토출구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차단벽에 의해 내용물이 일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비산된 내용물에 의해 주위가 더럽혀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내용물을 원하는 곳에 토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를 위에서 본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의 제1절곡라인과 제2절곡라인 및 토출구라인의 형성깊이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를 절곡시켰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를 위에서 본 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의 제1절곡라인과 제2절곡라인 및 토출구라인의 형성깊이를 보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를 절곡시켰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는 상부시트(100)와, 상면이 상기 상부시트(100)의 저면에 밀착되고 내용물을 토출하는 가압토출구(200a)가 형성된 하부시트(20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시트(100)는 유연성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약간의 힘만 가해도 어느 방향으로든 휨이나 절곡이 자유롭다. 이러한 상부시트(100)의 재질은 종래에 시중에서 파우치의 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들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시트(200)는 테두리 부분이 상기 상부시트(100)의 테두리 부분에 열융착에 의해 부착되는 것으로, 상부시트(100)처럼 유연성이 많은 재질이 아닌 일정 수준의 강도와 경도를 갖는 반경체의 재질이고, 상부시트(100)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며, 이 수용공간에 샴푸, 화장품, 음식물, 소스류 및 그 밖의 액상류 또는 그와 유사한 상태에 해당되는 내용물을 저장한다.
이러한 하부시트(200)는 내용물에 접하는 PE필름(Polyethylene Film,210)과, 상기 PE필름(2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Al필름(220)과, 상기 Al필름(22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PS필름(Polystyrene,2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Al필름(220) 대신에 Evoh필름(Ethylene Vinyl Alcohol,220)을 사용하여도 Al필름(220)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PE필름(210)과 PS필름(230) 사이에는 Al필름(220)이 배치될 수도 있고 Evoh필름(22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좀 더 부연하면, 상기 PE필름(210)은 여러 가지 종류의 PE 중에서 LLDPE(Linear 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부시트(200)를 구성하는 PE필름(210)은 그 두께가 60~70μm이고, 상기 Al필름(220) 또는 Evoh필름(220)은 그 두께가 6~7μm이며, 상기 PS필름(230)은 그 두께가 400~420μm이다.
한편, 하부시트(200)에는 제1절곡라인(L1)과 제2절곡라인(L2)이 일직선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내용물의 외부 토출을 위한 가압토출구(200a)를 형성시키기 위해 토출구라인(L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라인(L1)은 상기 하부시트(20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일정깊이(D1)로 형성된다. 부연하면, 제1절곡라인(L1)은 상기 PS필름(23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일정깊이(D1)까지만 형성된다. 즉, 제1절곡라인(L1)을 형성시킬 때 하부시트(200)에 칼집을 내어 형성시키는데, PE필름(210)과 Al필름(220) 또는 Evoh필름(220)에는 칼집을 전혀 내지 않고 PS필름(230)에만 칼집을 낸다. 이때, PS필름(230) 두께의 절반 이상에 칼집을 내어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를 절곡시켰을 때 하부시트(200)가 용이하게 꺽일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자세히는 상기 제1절곡라인(L1)은 PS필름(230) 두께의 70~90% 정도까지 칼집을 내어 형성된다.
상기 제2절곡라인(L2)은 상기 하부시트(20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일정깊이(D1)로 형성되되 상기 제1절곡라인(L1)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부연하면, 제2절곡라인(L2)은 상기 PS필름(23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일정깊이(D1)까지만 형성된다. 즉, 제2절곡라인(L2)을 형성시킬 때 하부시트(200)에 칼집을 내어 형성시키는데, PE필름(210)과 Al필름(220) 또는 Evoh필름(220)에는 칼집을 전혀 내지 않고 PS필름(230)에만 칼집을 낸다. 이때, PS필름(230) 두께의 절반 이상에 칼집을 내어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를 절곡시켰을 때 하부시트(200)가 용이하게 꺽일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자세히는 상기 제2절곡라인(L2)은 PS필름(230) 두께의 70~90% 정도까지 칼집을 내어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라인(L3)은 상기 하부시트(20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여 일정깊이(D2)로 형성되되, 그 형태는 반원 또는 다각(3각, 4각, 5각...)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구라인(L3)은 상기 가압토출구(200a)를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PE필름(210)을 관통한 후 상기 Al필름(220) 또는 Evoh필름(22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일정깊이(D2)까지만 형성된다. 즉, 토출구라인(L3)을 형성시킬 때 하부시트(200)에 칼집을 내어 형성시키는데, PE필름(210)은 두께 전체를 관통하고 Al필름(220) 또는 Evoh필름(220)은 칼집을 내되 관통되지 않는 정도에서 칼집을 내며, PS필름(230)에는 전혀 칼집을 내지 않는다. 이때, Al필름(220) 또는 Evoh필름(220)은 완전히 관통시키지 않더라도 두께의 절반 이상에 칼집을 내어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를 절곡시켰을 때 토출구라인(L3)을 따라 하부시트(200)가 절단되어 가압토출구(200a)가 형성되도록 한다. 좀 더 자세히는 Al필름(220) 또는 Evoh필름(220) 두께의 70~90% 정도까지 칼집을 내어 형성된다.
이렇게 토출구라인(L3)을 따라 하부시트(200)가 절단되면 반원 또는 다각 형태의 차단벽(200b)이 형성되는데, 이 차단벽(200b)은 상기 가압토출구(200a) 옆에 돌출되어 파우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일방향으로 튀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에 의한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었기 때문에 바깥쪽으로, 즉 상부시트(100)의 절반이 나머지 절반의 상부시트(100)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파우치를 절곡시키면 하부시트(200)는 제1절곡라인(L1)과 제2절곡라인(L2)을 따라 절곡된다. 이때, 토출구라인(L3)을 따라 하부시트(200)가 절단되면서 원형 또는 다각 형태의 가압토출구(200a)가 형성되고, 내부의 내용물에 압력이 가해져서 가압토출구(200a)를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분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파우치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부시트재질 두께(μm) 내열온도(℃) 총두께(μm)
실시예 1 PE필름+Al필름+PS필름 60+6+400 90 466
실시예 2 PE필름+Al필름+PS필름 70+7+420 90 497
비교예 1 PE필름+Al필름+PS필름 50+5+300 90 355
비교예 2 PE필름+Al필름+PS필름 80+8+450 90 538
[실시예 1]
상부시트(100), 두께 60μm의 PE필름(210)과 두께 6μm의 Al필름(220) 및 두께 400μm의 PS필름(230)이 접착되어 형성된 하부시트(200)로 이루어진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였다. 그리고, 제1절곡라인(L1)과 제2절곡라인(L2)은 PS필름(230)의 내부 320μm 지점까지 칼집을 내어 형성시켰고, 토출구라인(L3)은 Al필름(220)의 내부 5μm 지점까지 칼집을 내어 형성시켰다. 이러한 상태의 파우치에 0.3bar의 내압을 가하여 내용물 누액을 확인하였고, 더불어 20분 동안 90℃의 온도를 가하여 파우치의 열변성을 확인하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 경우에는 가압토출구(200a)의 형성이 용이하고, 내용물 누액이 없었으며, 파우치의 열변성이 없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모든 조건은 같고, 다만 하부시트(200)를 두께 70μm의 PE필름(210)과 두께 7μm의 Al필름(220) 및 두께 420μm의 PS필름(230)을 접착시켜 형성하였다. 이 경우에도 가압토출구(200a)의 형성이 용이하고, 내용물 누액이 없었으며, 파우치의 열변성이 없었다.
그리고, Al필름 대신 Evoh필름을 사용하여 테스트한 경우에도 실시예1,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모든 조건은 같고, 다만 하부시트(200)를 두께 50μm의 PE필름(210)과 두께 5μm의 Al필름(220) 및 두께 300μm의 PS필름(230)을 접착시켜 형성하였고, 제1절곡라인(L1)과 제2절곡라인(L2)은 PS필름(230)의 내부 270μm 지점까지 칼집을 내어 형성시켰고, 토출구라인(L3)은 Al필름(220)의 내부 4.5μm 지점까지 칼집을 내어 형성시켰다. 이 경우에는 가압토출구(200a)의 형성은 용이하였으나, 내용물의 누액이 검출되었고, 파우치 특히 하부시트(200)의 열변성으로 우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모든 조건은 같고, 다만 하부시트(200)를 두께 80μm의 PE필름(210)과 두께 8μm의 Al필름(220) 및 두께 450μm의 PS필름(230)을 접착시켜 형성하였다. 이 경우에는 내용물의 누액이 없었고, 파우치의 열변성이 없었으나, 가압토출구(200a)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았다.
100: 상부시트 200: 하부시트
200a: 가압토출구 200b: 차단벽
210: PE필름 220: Al필름, Evoh필름
230: PS필름 L1: 제1절곡라인
L2: 제2절곡라인 L3: 토출구라인

Claims (6)

  1.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시트(100)와, 상기 상부시트(100)에 밀착되어 상부시트(100)와의 사이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가압토출구(200a)가 형성된 하부시트(200)로 이루어진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200)는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일정깊이(D1)로 제1절곡라인(L1)과 제2절곡라인(L2)이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여 일정깊이(D2)로 토출구라인(L3)이 반원 또는 다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시트(200)를 제1절곡라인(L1)과 제2절곡라인(L2)을 따라 절곡시켰을 때 상기 토출구라인(L3)을 따라 하부시트(200)가 절단됨으로써 가압토출구(200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토출구(200a) 옆에 내용물이 튀는 것을 막아주는 반원 또는 다각 형태의 차단벽(20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200)는 내용물에 접하는 PE필름(Polyethylene Film,210)과, 상기 PE필름(2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Al필름(220)과, 상기 Al필름(22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PS필름(Polystyrene,2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200)는 내용물에 접하는 PE필름(Polyethylene Film,210)과, 상기 PE필름(2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Evoh필름(Ethylene Vinyl Alcohol,220)과, 상기 Evoh필름(22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PS필름(Polystyrene,2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라인(L1)과 제2절곡라인(L2)은 상기 PS필름(23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일정깊이까지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라인(L3)은 상기 PE필름(210)을 관통한 후 상기 Al필름(220) 또는 Evoh필름(22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일정깊이까지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E필름(210)은 그 두께가 60~70μm, 상기 Al필름(220) 또는 Evoh필름(220)은 그 두께가 6~7μm이며, 상기 PS필름(230)은 그 두께가 400~42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KR1020140132378A 2014-10-01 2014-10-01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Ceased KR20160039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378A KR20160039388A (ko) 2014-10-01 2014-10-01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378A KR20160039388A (ko) 2014-10-01 2014-10-01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388A true KR20160039388A (ko) 2016-04-11

Family

ID=5580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378A Ceased KR20160039388A (ko) 2014-10-01 2014-10-01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93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9854A1 (it) 2019-10-28 2021-04-28 Guala Pack Spa Confezione monouso con apertura a rottura
KR102362291B1 (ko) * 2021-07-28 2022-02-14 주식회사 명성에이앤티 절개선이 형성되는 액체 보관 패키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9854A1 (it) 2019-10-28 2021-04-28 Guala Pack Spa Confezione monouso con apertura a rottura
KR102362291B1 (ko) * 2021-07-28 2022-02-14 주식회사 명성에이앤티 절개선이 형성되는 액체 보관 패키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1479B2 (en) Sealed single-dose break-open package suited to be opened vertically
US11059650B2 (en) Packaging bag for heating in microwave oven
WO2010030958A3 (en) Containers for holding materials
JP6757771B2 (ja) イージーピール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CN106458407A (zh) 柔性容器
BR112016003521A2 (pt) Película para embalagem flexível para uso em embalagem do tipo bag-in-box e sacos fabricados com a mesma.
CA3088078A1 (en) A production method for producing a sealed break-open package and corresponding sealed break-open package
CN109789957B (zh) 适用于柔性容器的柔性配件
WO2021100672A1 (ja) 包装体の製造方法、包装材用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備える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6132458B2 (ja) 易カット性パウチ
CN110536841B (zh) 柔性容器
JP6150227B2 (ja) 定量注出用包装袋
KR20160039388A (ko) 가압토출구가 형성된 파우치
JP5839072B2 (ja) 易カット性パウチ
JP2008296962A (ja) 電子レンジ適性及び香味保持性に優れたポリオレフィン系包装材
JP7251964B2 (ja) 注出口付き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01082A1 (en) Multilayer Seal for a Container
JP2020517531A (ja) 可撓性容器
JP2016190682A (ja) 密封システム
US11104499B2 (en) Flexible pouch with microcapillary dispensing system
JP6753162B2 (ja) 包装袋
JP7133390B2 (ja) 包装袋
JP2018062173A (ja) 滑性および耐ブロッキング性の良好な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包装体
JPWO2019131483A1 (ja) パウチおよび内容液入りパウチ
JP5839071B2 (ja) 易カット性パ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9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