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40326A -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326A
KR20160040326A KR1020167008470A KR20167008470A KR20160040326A KR 20160040326 A KR20160040326 A KR 20160040326A KR 1020167008470 A KR1020167008470 A KR 1020167008470A KR 20167008470 A KR20167008470 A KR 20167008470A KR 20160040326 A KR20160040326 A KR 20160040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intrinsically safe
discharge
safe battery
p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살르미말라 호레
한스 파르테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4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32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G01R31/3606
    • G01R31/3627
    • G01R31/367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02J2007/003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충전 후에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셀의 방전 곡선의 결정이 이루어지고, 도금 기준의 존재와 관련해서 배터리 셀의 방전 곡선이 분석되며, 적어도 하나의 도금 기준이 존재하면 모니터링 모드의 작동으로 변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용량이 모니터링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된 본질 안전 배터리 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METHOD FOR OPERATING INTRINSICALLY SAFE BATTERY CELLS}
본 발명은 저온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충전 후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셀 들은 고정 및 이동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예를 들면 비상 전력 공급 시스템에 또는 전기 차 및 하이브리드 차용 자동차 산업에 많이 사용된다. 이런 적용을 위해, 일반적으로 다수의 배터리 셀이 서로 직렬로 및/또는 병렬로 전기 접속되어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를 형성한다.
제조 공차 및/또는 노화에 의한 용량 손실로 인해, 배터리를 형성하는 배터리 셀 들의 용량이 정확하게 동일하지 않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 들의 충전 및 방전은 공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예컨대 개별 배터리 셀의 과부하 또는 심방전의 위험이 있다. 이에 수반해서, 개별 배터리 셀의 과열 위험이 있는데, 상기 과열 위험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단계로 상응하는 배터리 셀의 열 파괴를 야기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보호를 위한 안전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안전 컴포넌트에는 통상적으로 그리고 특히 안전 회로 CID(Current Interrupt Device), 압력 경감 밸브, 또는 과부하 또는 너무 높은 전류 흐름으로 인한 과열에 대한 열 보호 퓨즈와 같은 장치들 및 기능들이 포함된다. 간단한 경우, 본질 안전 배터리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장치에 의해 배터리 내의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은 비활성화될 수 있는 반면, 배터리의 나머지 배터리 셀들은 계속 작동될 수 있다.
본질 안전 배터리 셀 들, 예컨대 본질 안전 리튬-이온 셀 들은 선행 기술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 단락, 과부하, 심방전 또는 외부 과열과 같은 상황에서 배터리 셀을 보호하기 위해, 전자 컴포넌트, 예컨대 신속 방전 장치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의 내부 단락을 야기하는 메커니즘에는 도금이 포함된다. 상기 도금에서 충전 과정 동안 양으로 대전된 이온들이 전극의 구조 내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전극 상에 층으로서 침적된다. 침적된 층들은 전극들 사이의 단락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너무 높은 전류로 또는 저온에서 충전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저온은 약 0℃ 이하의 온도이다.
이와 관련해서, WO 2009/036444 A2에는 무결성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준전극을 가진 재충전 가능한 리튬 셀이 개시되어 있다. 리튬 셀은, 기준 전극에 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작동 전극(들)에서의 전위 및 작동 전극들의 전위 차와 관련한 정보를 얻기 위해, 충전 상태 모니터를 가진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US 7 982 437 B2에는 차량의 트랙션 배터리와 관련된 방전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제어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배터리 제어 모듈은, 트랙션 배터리 내에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트랙션 배터리를 충전 전압에 의존하는 충전/방전 프로파일로 주기적으로 작동시킨다. 트랙션 배터리의 온도가 한계치, 예를 들면 10℃ 미만이면, 배터리 제어 모듈은, 예컨대 저온 조건에서 차량 작동의 조기 범위 동안 트랙션 배터리 내에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트랙션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킨다.
따라서, 저온에서 배터리 셀, 특히 리튬-이온 셀의 충전은 배터리 셀의 도금 및 고장의 위험을 야기한다.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제공을 위해, 도금의 생성을 검출하여 배터리 셀 및 경우에 따라 배터리를 추가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상은 저온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충전 후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된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셀의 방전 곡선을 결정하는 단계, 도금 기준의 존재와 관련해서 배터리 셀의 방전 곡선을 분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도금 기준이 존재하면 모니터링 모드의 작동으로 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는 배터리 셀의 용량이 모니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충전 후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이하에서 배터리 셀이라고도 하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이 이제 다수의 작동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작동 모드에서 배터리 셀은 상이한 집중도로 조사되므로 효율적으로 대기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이 저온에서의 충전으로 인한 도금의 특별한 위험에 노출되었던 경우, 그것에 후속하는 방전 과정에서 방전 곡선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과정이 충전 및 방전 과정으로 이루어진 매 사이클마다 이루어질 필요가 없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위험한 경우에만 이루어지면 된다.
후속 단계에서, 방전 곡선이 도금 기준의 존재에 대해 조사된다. 도금 기준이 존재하지 않으면, 배터리 셀이 정상(normal) 모드로 작동된다. 이 정상 모드에서도 배터리 셀의 파라미터들이 통상적으로 모니터링되지만, 방전 곡선이 결정될 필요는 없다.
이에 반해, 도금 기준의 존재가 검출되면, 셀은 이후로 모니터링 모드로 작동되며,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는 배터리 셀의 용량이 모니터링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구체적인 이유가 주어진 경우에만 모니터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배터리 셀의 용량의 모니터링은 셀의 성능 및 작동 안전성에 대한 판단 및 경우에 따라 추가의 조치에 대한 판단을 허용하는 용량의 변화가 결정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의미에서 작동 안전성을 효율적으로 높이는데 기여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신속한 용량 손실이 결정되는 경우 안전 모드의 작동으로 변동이 이루어지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모드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은 비활성화된다. 이 경우,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은 예컨대 내부 스위칭 장치에 의해, 본질 안전 배터리 셀에 접속된 회로 장치로부터 분리된다.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이 직렬 회로에서 작동되면, 스위칭 장치에 의해 바이패스가 형성된다.
여기서, 신속한 용량 손실은 하나의 사이클로부터 다음 사이클까지 또는 소수의 사이클들 내에서 배터리 셀의 용량의 심한 감소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의 용량은 처음 50 내지 100 사이클 내에 0.1 % 내지 1% 만큼 줄어든다. 이는 사이클당 0.01 ‰ 내지 0.2 ‰의 평균 기울기에 상응한다. 상기 기울기가 하나의 사이클 내에 또는 수 사이클 내에, 예컨대 10 사이클 내에, 10 내지 100 배로, 즉 0.1 % 내지 1 %의 값으로 상승하면, 신속한 용량 손실이 주어진다.
상기 단계의 장점은 필시 손상된 배터리 셀이 예컨대 배터리 내의 직렬 접속으로부터 분리되며 바이패스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이 차후 충전 및 방전 과정으로부터 배제된다는 것이다. 상기 분리 및 바이패스 형성으로 인해, 한편으로는 손상된 배터리 셀의 용융의 위험이 제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배터리 셀이 과부하로 인해, 추가의 온전한 배터리 셀을 손상시킬 수 있는 열을 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전 곡선이 실온에서 공지된 기준 곡선보다 더 높은 방전 전압을 가지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도록 실시된다. 공지된 기준 곡선으로서, 예컨대 배터리 셀의 구성에 전형적인 방전 곡선 또는 배터리 셀 자체에서 측정에 의해 결정된 기준 곡선이 사용될 수 있다.
방전 곡선의 여러 특성은 도금의 존재를 지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전 곡선이 플래토를 나타내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도록 실시된다. 또한, 2개의 전환점을 가진 방전 곡선이 도금의 존재를 지시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상기 방전 곡선이 2개의 전압 인터벌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전환점을 가지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도록 실시된다.
또한, 도금의 존재는, 방전 곡선이 충전 전압의 최대치 또는 방전 전압의 최소치 근처에 놓인 한계들을 가진 플래토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상기 방전 곡선이 2개의 전압 인터벌 사이에 플래토를 포함하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도록 실시되고, 이 경우 제한 전압은 충전 전압의 최대치 또는 방전 전압의 최소치 근처에 놓인다.
마찬가지로 도금의 존재는, 방전 곡선이 충전 전압의 최대치 또는 방전 전압의 최소치 근처에 놓인 2개의 전환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상기 방전 곡선이 2개의 전압 인터벌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전환점을 가지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도록 실시되고, 이 경우 제한 전압은 충전 전압의 최대치 또는 방전 전압의 최소치 근처에 놓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모드로의 변동이 상기 기준들 중 다수의 기준의 조합의 존재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니터링 모드로의 변동이 상기 도금 기준들 중 하나의 도금 기준의 형성의 세기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드에서 그것에 후속하는 충전 및 방전 사이클 동안 배터리 셀의 용량이 모니터링된다. 이를 위해, 미리 정해진 인터벌로 전기적 특성의 결정 및 기록, 용량의 결정 및 기록 및/또는 충전 상태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모니터링 과제들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형태로 통상 다수의 중앙 컴포넌트들 및 국부적 컴포넌트들을 가지고 다수의 셀로 구현된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이 경우, 모니터링 과제는 예컨대 중앙에서 BMS의 제어 유닛 내에서 또는 국부적으로 예컨대 각각의 배터리 셀 또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을 위해 한 번 또는 여러 번 구현된, 셀 감시 회로(Cell Supervision Circuit; CSC)라고도 하는 셀 모니터링 장치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는 CSC에 의해 그리고 BMS의 중앙 컴포넌트에 의해 또는 둘 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니터링 모드에서 신속한 용량 손실을 결정하기 위해, 특히 실온에서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및 방전 전압의 프로파일이 기록되고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모드에서 또는 안전 모드로의 변동 시에 신호가 전달된다. 이러한 신호는 배터리의 대개 다수인 배터리 셀들 중 하나가 더 이상 에너지 저장기로서 이용될 수 없는 것을 신호화하기에 적합하다. 적용예에 따라, 이는 예컨대 비상 전력 공급의 예비 분이 줄어들거나 또는 구동 배터리의 도달 범위 및/또는 전력 세기가 줄어든 것을 신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되며 메모리 소자, 스위칭 장치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이다. 여기서, 스위칭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정상 모드에서 그리고 모니터링 모드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메모리 소자를 접속 콘택으로 스위칭하는 하프 브릿지의 형태로 구현된다. 이에 반해, 안전 모드에서 메모리 소자는 접속 콘택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되고, 접속 콘택들은 바이패스를 따라 서로 직접 접속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저온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충전 후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방법의 예시적인 과정을 나타낸 플로챠트.
도 2는 방전 곡선의 예.
도 3은 플래토를 가진 방전 곡선의 예.
도 4는 다수의 전환점을 가진 방전 곡선의 예.
도 5는 최대 충전 전압 또는 최소 방전 전압 근처에 놓인 제한 전압들을 가진 플래토를 포함하는 방전 곡선의 예.
도 6은 최대 충전 전압 또는 최소 방전 전압 근처에 놓인 관련 전압들을 가진 다수의 전환점을 포함하는 방전 곡선의 예.
도 7은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실시예.
도 1은 방법의 실시예를 플로챠트의 형태로 도시한다. 도 1에서 단계 101로 표시된 정상(normal) 작동 모드에서, 단계 102에서, 이하에서 도 7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되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단계 103에서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이 저온에서 충전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이 예컨대 실온에서 충전되었으면, 통상의 그리고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방전 과정이 이루어진다. 방법이 단계 101에서 계속되므로,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이 여전히 정상 작동 모드로 작동되고, 후속 사이클에서 단계 102에서 다시 충전된다. 그러나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이 저온에서, 즉 0℃ 이하에서 충전되었으면, 후속하는 방전시 방전 곡선이 단계 104에서 결정되고, 단계 105에서 도금 기준의 존재와 관련해서 분석된다. 도금 기준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예컨대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손상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이 정상 작동 모드로 작동된다. 즉, 방법이 단계 101에서 계속된다.
그러나 도금 기준이 충족되면, 단계 101에 따른 정상 모드의 작동으로부터 여기서 단계 106으로서 표시된 모니터링 모드의 작동으로 변동이 이루어진다. 모니터링 모드에서, 후속하는 충전 및 방전 사이클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용량이 모니터링된다.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이 단계 107에서 충전되면, 단계 108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용량이 결정된다. 특히 실온에서,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및 방전 전압의 프로파일이 작성 및 기록된다. 상기 프로파일은 단계 109에서 예컨대 서로 및/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미리 정해진, 예컨대 배터리의 시동시 조기에 측정된 기준 곡선의 프로파일과 비교된다. 단계 109에서 상기 비교시 구별할 수 있는 점이 나타나지 않으면,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은 모니터링 모드로 작동되고, 방법은 단계 106으로 간다. 그러나 상기 비교에서 신속한 용량 손실이 결정되면, 단계 110에서 안전 모드의 작동으로 변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 모드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1) 또는 그 메모리 소자(2)는 차단되고 그 접속 콘택을 통해 바이패스가 형성된다.
도 2는 충전 상태(SOC)에 대한 방전 전압(UE)이 도시된 방전 곡선의 예를 도시한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충전 상태가 100%로부터 0%로 떨어지는 것이 도시된다.
도 3은 충전 상태(SOC)에 대한 방전 전압(UE)이 도시된 방전 곡선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와는 달리, 방전 곡선은 한 섹션에 플래토(5)를 형성하고, 상기 플래토는 도금의 존재를 지시한다. 즉, 도금-기준을 나타낸다.
도 4는 충전 상태(SOC)에 대한 방전 전압이 도시된 방전 곡선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과는 달리, 방전 곡선은 도금의 존재를 지시하는, 즉 도금-기준을 나타내는 다수의 전환점을 형성한다.
도 5는 도 3과 같이 방전 곡선이 2개의 전압 인터벌(7) 사이에 플래토(5)를 형성하는 방전 곡선의 예를 도시한다. 도 3과는 달리, 제한 전압들이 최대 충전 전압 또는 최소 방전 전압 근처에 놓인다.
도 6은 도 4와 같이, 최대 충전 전압 또는 최소 방전 전압 근처에 놓이는 관련 전압들을 가진 다수의 전환점(6)을 포함하는 방전 곡선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메모리 소자(2), 스위칭 장치(3) 및 제어 장치(4)를 포함하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위칭 장치(3)는 2개의 전자 스위치 및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구비한 하프 브릿지 회로로서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장치(3)는 제어 장치(4)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모니터링 회로(CSC)로서 동시에 메모리 소자(2)의 전기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한다. 정상 작동 모드에서 그리고 모니터링 모드에서 스위칭 장치(3)의 2개의 스위치 중 하부 스위치가 개방되고 2개의 스위치 중 상부 스위치는 폐쇄됨으로써, 메모리 소자(2)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접속 콘택에 접속된다. 이에 반해, 안전 모드에서는 2개의 스위치 중 상부 스위치가 개방됨으로써, 메모리 소자(2)는 접속 콘택으로부터 분리된다.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이 배터리의 내부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직렬 회로에서 작동되면, 2개의 스위치 중 하부 스위치가 폐쇄됨으로써, 바이패스가 형성되고 직렬 회로가 차단되지 않는다.
1 : 배터리 셀 2 : 메모리 소자
3 : 스위칭 장치 4 : 제어 장치
5 : 플래토 6 : 전환점
7 : 전압 인터벌

Claims (10)

  1. 저온에서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충전 후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작동 방법으로서,
    - 상기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방전 곡선을 결정하는 단계,
    - 도금 기준의 존재와 관련해서 상기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방전 곡선을 분석하는 단계, 및
    - 적어도 하나의 도금 기준이 존재하면, 모니터링 모드의 작동으로 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는 상기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용량이 모니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의 신속한 용량 손실이 결정되면, 상기 모니터링 모드의 작동으로부터 안전 모드의 작동으로의 변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본질 안전 배터리 셀(1)은 상기 안전 모드에서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곡선이 실온에서 공지된 기준 곡선보다 더 높은 방전 전압을 가지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곡선이 플래토(5)를 나타내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곡선이 2개의 전압 인터벌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전환점(6)을 포함하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곡선이 2개의 전압 인터벌(7) 사이에 플래토(5)를 포함하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고, 제한 전압들은 충전 전압의 최대치 또는 방전 전압의 최소치 근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곡선이 2개의 전압 인터벌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전환점(6)을 포함하면, 도금 기준이 주어지고, 제한 전압들은 충전 전압의 최대치 또는 방전 전압의 최소치 근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 신속한 용량 손실을 결정하기 위해, 특히 실온에서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및 방전 전압의 프로파일이 기록되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모드에서 또는 상기 안전 모드로 변동시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되며 메모리 소자(2), 스위칭 장치(3) 및 제어 장치(4)를 포함하는, 본질 안전 배터리 셀(1).
KR1020167008470A 2014-03-18 2015-02-24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 Ceased KR201600403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4953.9A DE102014204953A1 (de) 2014-03-18 2014-03-18 Verfahren zum Betreiben von eigensicheren Batteriezellen
DE102014204953.9 2014-03-18
PCT/EP2015/053798 WO2015139922A1 (de) 2014-03-18 2015-02-24 Verfahren zum betreiben von eigensicheren batteriezel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326A true KR20160040326A (ko) 2016-04-12

Family

ID=5259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470A Ceased KR20160040326A (ko) 2014-03-18 2015-02-24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59591B2 (ko)
JP (1) JP6204602B2 (ko)
KR (1) KR20160040326A (ko)
CN (1) CN105518926B (ko)
DE (1) DE102014204953A1 (ko)
WO (1) WO2015139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437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5396B1 (fr) * 2017-12-19 2019-12-27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ocede de determination d'une sequence de courants de decharge applicable a une cellule lithium-ion a une temperature donnee
FR3075395B1 (fr) * 2017-12-19 2020-11-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determination du courant de decharge maximal applicable a une cellule lithium-ion a une temperature donnee
JP7214993B2 (ja) * 2018-06-29 2023-01-31 株式会社リコー 蓄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894B1 (ko) * 2006-06-28 201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잔량 검출과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2206190A4 (en) 2007-09-14 2012-07-11 A123 Systems Inc RECHARGEABLE LITHIUM CELL WITH REFERENCE ELECTRODE FOR INTEGRITY STATE MONITORING
KR100950459B1 (ko) 2007-12-17 2010-04-02 에이치케이산업(주) 2차 전지용 bms 모듈
US7982437B2 (en) 2008-05-06 2011-07-19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10019664A (ja) * 2008-07-10 2010-01-28 Nippon Soken Inc 電池劣化検出装置および方法
US8643216B2 (en) * 2009-07-31 2014-02-04 Thermo King Corporation Electrical storage element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DE102011113798A1 (de) * 2010-11-02 2012-05-03 Voltabatterien Gmbh Eigensichere Batterie
JP5315369B2 (ja) * 2011-03-01 2013-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二次電池の異常充電状態検出装置及び検査方法
CN102668315A (zh) * 2011-03-21 2012-09-12 上海中智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平衡蓄电池组中各电池放电的方法和装置
DE102011077311A1 (de) * 2011-06-09 2012-12-13 Sb Limotive Company Ltd.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Auslösung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JP5582099B2 (ja) * 2011-06-21 2014-09-03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寿命劣化推定装置、電池寿命劣化推定方法及び蓄電システム
TWI478418B (zh) 2012-01-20 2015-03-21 Via Tech Inc 放電曲線的校正系統與電池的放電曲線的校正方法
DE102012212380A1 (de) * 2012-07-16 2014-01-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Kennzahlen für den Gefährdungszustand einer Batterie
DE112012006792B4 (de) * 2012-08-09 2019-11-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ktrisches Speichersystem und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Zustands von elektrischen Speicherblöcken
US20140091748A1 (en) * 2012-09-28 2014-04-03 Quantumscape Corporation Battery control systems
JP5954144B2 (ja) * 2012-11-30 2016-07-20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CN103427123B (zh) 2013-08-26 2015-08-19 青岛海信电子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最大化使用电池容量的方法及手持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437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121063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231465B2 (en) 2017-04-28 2022-01-25 Lg Energy Solution,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charge based on slope of the discharge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04602B2 (ja) 2017-09-27
WO2015139922A1 (de) 2015-09-24
US20170084964A1 (en) 2017-03-23
CN105518926A (zh) 2016-04-20
JP2017506795A (ja) 2017-03-09
US9859591B2 (en) 2018-01-02
CN105518926B (zh) 2018-05-22
DE102014204953A1 (de)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7729B2 (en) Response to over-current in a battery pack
CN106537718B (zh) 电池管理
CN110062980B (zh) 使具有至少两个电池模块的电池的具有至少两个电池单体的电池模块放电的方法
US9746526B2 (en) Battery cell un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omplex impedance of a battery cell arranged in a battery cell unit
US9520621B2 (en) Method for detecting a triggering of a security device
US10361466B2 (en) Smart battery cell of a battery for a motor vehicle
CN104052102B (zh) 蓄电池模块以及用于监控蓄电池模块的方法
CN104052095B (zh) 蓄电池单池单元以及用于监控蓄电池单池的方法
JP2014500570A (ja) 継電器又は接触器の動作能力を予測する方法
US20140266049A1 (en) Detection and prevention of short formation in battery cells
CN104051803A (zh) 蓄电池单池单元及用于监控蓄电池单池的方法
CN112838286A (zh) 电池中区分短路的系统和方法
KR20160040326A (ko) 본질 안전 배터리 셀의 작동 방법
US10629964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energy storage unit,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such a method and energy storage unit with such a battery management system
CN104052097B (zh) 蓄电池模块以及用于监控蓄电池模块的方法
KR102830669B1 (ko) 화재 예방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 화재 예방 방법
CN104051804B (zh) 用于在使用蓄电池模块时提高安全性的方法和装置
JP5678879B2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異常判定方法
US20250239661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attery pack for identifying an end-of-safe-operation
US20250105384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Battery State Monitoring
CN120418118A (zh) 用于自动驾驶车辆的牵引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8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4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6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