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115A -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2115A KR20160082115A KR1020140194531A KR20140194531A KR20160082115A KR 20160082115 A KR20160082115 A KR 20160082115A KR 1020140194531 A KR1020140194531 A KR 1020140194531A KR 20140194531 A KR20140194531 A KR 20140194531A KR 20160082115 A KR20160082115 A KR 201600821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composition
- galactopyranosyl
- compound
- glyce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FVIZARNDLVOMSU-UHFFFAOYSA-N ginsenoside K Natural products C1CC(C2(CCC3C(C)(C)C(O)CCC3(C)C2CC2O)C)(C)C2C1C(C)(CCC=C(C)C)OC1OC(CO)C(O)C(O)C1O FVIZARNDLVOMSU-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591 skin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10000002510 keratinocy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HUSISCNTLUEZCN-MSSLREDNSA-N [(2S)-2-hydroxy-3-[(2R,3S,4S,5R,6R)-3,4,5-trihydroxy-6-(hydroxymethyl)oxan-2-yl]oxypropyl] (9Z,12Z,15Z)-octadeca-9,12,15-trie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H](O)CO[C@H]1[C@@H](O)[C@@H](O)[C@@H](O)[C@H](O1)CO HUSISCNTLUEZCN-MSSLREDN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2641 Pigmentation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19612 pigment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6010014970 Ephelide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03351 Melanosi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XUMBMVFBXHLACL-UHFFFAOYSA-N Melanin Chemical compound O=C1C(=O)C(C2=CNC3=C(C(C(=O)C4=C32)=O)C)=C2C4=CNC2=C1C XUMBMVFBXHLAC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1 hudroquinon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0434 stratum corneum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99 melanin 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PRAKJMSDJKAYCZ-UHFFFAOYSA-N squa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PRAKJMSDJKAY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GSEJCLTVZPLZKY-UHFFFAOYSA-N Triethanolamine Chemical compound OCCN(CCO)CCO GSEJCLTVZPLZ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1000001441 mela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710 ginseng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WWZKQHOCKIZLMA-UHFFFAOYSA-N oc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O)=O WWZKQHOCKIZL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438 Dermatitis atopic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442 Dermatitis contac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13786 Dry ski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14 Polysorbate 60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4681 Psor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0247 contact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3
- NOPFSRXAKWQILS-UHFFFAOYSA-N docos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 NOPFSRXAKWQIL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36 dry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752 mela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JXTPJDDICSTXJX-UHFFFAOYSA-N n-Triaconta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JXTPJDDICSTX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LDOVTGHNKAZLK-UHFFFAOYSA-N octadec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GLDOVTGHNKAZ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818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989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113124 polysorbate 60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32094 squala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UNWUEBNSZSNRX-RKGWDQTMSA-N (2r,3r,4r,5s)-hexane-1,2,3,4,5,6-hexol;(z)-octadec-9-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C[C@H](O)[C@@H](O)[C@H](O)[C@H](O)CO.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CUNWUEBNSZSNRX-RKGWDQTMSA-N 0.000 description 2
- VBICKXHEKHSIBG-UHFFFAOYSA-N 1-monostearoylglycer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O)CO VBICKXHEKHSI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KNYBSVHEMOAJP-UHFFFAOYSA-N 2-amino-2-(hydroxymethyl)propane-1,3-diol;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OCC(N)(CO)CO QKNYBSVHEMOA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PYKTIZUTYGOLE-IFADSCNNSA-N Bilirubin Chemical compound N1C(=O)C(C)=C(C=C)\C1=C\C1=C(C)C(CCC(O)=O)=C(CC2=C(C(C)=C(\C=C/3C(=C(C=C)C(=O)N\3)C)N2)CCC(O)=O)N1 BPYKTIZUTYGOLE-IFADSCNNSA-N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2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3425 Tyrosi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60008724 Tyros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POJWUDADGALRAB-UHFFFAOYSA-N allantoin Chemical compound NC(=O)NC1NC(=O)NC1=O POJWUDADGALRA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4245 cell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6189 ceram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VHJLVAABSRFDPM-QWWZWVQMSA-N dithiothreitol Chemical compound SC[C@@H](O)[C@H](O)CS VHJLVAABSRFDPM-QWWZWVQM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735 docosan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478 glu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131 glu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RWSXRVCMGQZWBV-WDSKDSINSA-N glutathio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O)N[C@@H](CS)C(=O)NCC(O)=O RWSXRVCMGQZWBV-WDSKDSIN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JRNKVDFDLYUGJ-RMPHRYRLSA-N hydroquinone O-beta-D-gluc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O)C=C1 BJRNKVDFDLYUGJ-RMPHRYRL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80 kerati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SGDTSDELPUTKU-UHFFFAOYSA-N nonoxybenz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OC1=CC=CC=C1 GSGDTSDELPUTK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60 skin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27 so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078 sorbitan sesqui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ADGBHLMCUINGV-UHFFFAOYSA-N tricapri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OCC(OC(=O)CCCCCCCCC)COC(=O)CCCCCCCCC LADGBHLMCUIN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IUKXJAPPMFGSW-DNGZLQJQSA-N (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KIUKXJAPPMFGSW-DNGZLQJQSA-N 0.000 description 1
- FYGDTMLNYKFZSV-URKRLVJHSA-N (2s,3r,4s,5s,6r)-2-[(2r,4r,5r,6s)-4,5-dihydroxy-2-(hydroxymethyl)-6-[(2r,4r,5r,6s)-4,5,6-trihydroxy-2-(hydroxymethyl)oxan-3-yl]oxyoxan-3-yl]oxy-6-(hydroxymethyl)oxane-3,4,5-tri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H](CO)O[C@@H](OC2[C@H](O[C@H](O)[C@H](O)[C@H]2O)CO)[C@H](O)[C@H]1O FYGDTMLNYKFZSV-URKRLVJHSA-N 0.000 description 1
- DBGSRZSKGVSXRK-UHFFFAOYSA-N 1-[2-[5-[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acetyl]-3,6-dihydro-2H-pyridine-4-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N=C(O1)CC(=O)N1CCC(=CC1)C(=O)O DBGSRZSKGVSX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OJWUDADGALRAB-PVQJCKRUSA-N Allantoin Natural products NC(=O)N[C@@H]1NC(=O)NC1=O POJWUDADGALRAB-PVQJCKRU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8 Beta-gluc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DNKGFDKKRUKPY-JHOUSYSJSA-N C16 ceram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O)N[C@@H](CO)[C@H](O)C=CCCCCCCCCCCCCC YDNKGFDKKRUKPY-JHOUSYSJSA-N 0.000 description 1
- DHFUFHYLYSCIJY-WSGIOKLISA-N CCCCCCCCCCCCCCCCCCCCO[C@@H]1O[C@H](CO)[C@@H](O)[C@H](O)[C@H]1O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C@@H]1O[C@H](CO)[C@@H](O)[C@H](O)[C@H]1O DHFUFHYLYSCIJY-WSGIOKLI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4636 Glutathi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RJGESKKUOMBCT-VQTJNVASSA-N N-acetylsphingan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H](O)[C@H](CO)NC(C)=O CRJGESKKUOMBCT-VQTJNVAS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2 Palm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53 Skin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HVUMOYIDDBPOLL-XWVZOOPGSA-N Sorbitan monostear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H](O)[C@H]1OC[C@H](O)[C@H]1O HVUMOYIDDBPOLL-XWVZOOPG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458 allanto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46 aqu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271 arbu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99 bactericid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70 bas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631 carbome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04 carcinogenes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66 carot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VEQCJWYRWKARO-UHFFFAOYSA-N ceram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O)C(=O)NC(CO)C(O)C=CCCC=C(C)CCCCCCCCC ZVEQCJWYRWKA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83 cer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733 cetear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48 cultured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42 dietary patter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6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4 emollie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39 epiderm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175 epidermal kerat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26 essential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5 folli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80 glutathi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54 horm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4 hyaluro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60 hyalur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23 inorganic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EJNERDRQOWKJM-UHFFFAOYSA-N kojic acid Chemical compound OCC1=CC(=O)C(O)=CO1 BEJNERDRQOWK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705 koj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WZNJWVWKTVETCG-UHFFFAOYSA-N koj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N1C=CC(=O)C(O)=C1 WZNJWVWKTVETC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35 limit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2 liposo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1 malign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64 melanin cont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30 micro-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OQYKNQRPGWPLP-UHFFFAOYSA-N n-heptadec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 GOQYKNQRPGWPL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VGIYYKRAMHVLU-UHFFFAOYSA-N newbouldiam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C(O)C(O)C(CO)NC(=O)CCCCCCCCCCCCCCCCC VVGIYYKRAMHVL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0 nutr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60 organic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JRNKVDFDLYUGJ-UHFFFAOYSA-N p-hydroxyphenyl beta-D-all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C=C(O)C=C1 BJRNKVDFDLYU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6 palm kerne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65 palm kerne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40 palm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01 parenteral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460 peg-100 stea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4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8968 polysorbate 80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3 polysorbate 8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84 skin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74 skin absorp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849 ski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20 skin dry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27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0352 sodium stearoyl lact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ODFAPIRLUPAQCQ-UHFFFAOYSA-M sodium stearoyl lactyl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CCCCCC(=O)OC(C)C(=O)OC(C)C([O-])=O ODFAPIRLUPAQC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CEAYCPAHSNTNGO-UHFFFAOYSA-M sodium;ethane-1,2-diamine;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NCCN CEAYCPAHSNTNG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50011392 sorbitan stea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AYCICSNZYXLHB-UHFFFAOYSA-N tricaproin Chemical compound CCCCCC(=O)OCC(OC(=O)CCCCC)COC(=O)CCCCC MAYCICSNZYXL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7 ultraviolet radiation absor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을 회복시키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 침착 증상 또는 피부의 칙칙함을 개선하고, 피부색을 균일하고 밝게 보일 수 있게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을 회복시키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 침착 증상 또는 피부의 칙칙함을 개선하고, 피부색을 균일하고 밝게 보일 수 있게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Marcelo C. L. et al, J. Invest. Dermatol .,80, pp37-44, 1983).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또한,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 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및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부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다양한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있다. 피부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과 필수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 각질층에서의 수분보유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Rawlings A. V. et al, J. Invest. Dermatol., 5, pp731-741, 1994).
그러나, 최근 피부에 대한 위해 요인이 점점 증가되고 있고, 식생활 양상의 변화로 각질층의 생성, 탈락 속도가 늦어지며, 각질형성세포의 기능 저하로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각질층이 정상적인 피부 장벽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피부 장벽 기능의 와해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질환들은 기존의 통상적인 수분보유기능을 갖는 보습제만으로도 증상 완화는 기대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유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와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등의 여러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멜라닌이 과잉생산됨으로써 색소침착 및 피부노화를 촉진하고 피부암 유발에도 주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색소 이상 침착 증상과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발생된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이전부터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adcid), 알부틴(arbutin), 하이드로퀴논(hudroquinone), 글루타치온(glutathione) 또는 이들의 유도체,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해 왔는데, 이들은 불충분한 미백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및 화장료에 배합시 제형 내에서의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은 항암, 항염 등의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나(Cha B-J et al., Glycosyl glycerides from hydrophobic Panax ginseng inhibited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14), doi:10.1016/j.jgr.2014.10.005), 상기 화합물이 그 이외에 피부 상태 개선과 관련하여 나타내는 효능 및 다른 성분과의 병용을 통한 상승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주목할만한 연구성과가 보고된 바 없다.
Cha B-J et al., Glycosyl glycerides from hydrophobic Panax ginseng inhibited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14), doi:10.1016/j.jgr.2014.10.005
본 발명은 컴파운드 K를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과 조합하여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개선 및 손상된 피부 장벽 개선 효과와 함께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컴파운드 K;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손상된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및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부 재생 효과도 나타내어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로서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하여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 침착 증상을 감소시키고, 피부 칙칙함을 개선시키며, 피부색을 균일하고 밝게 보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개선 및 피부 미백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컴파운드 K(compound K)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분자량은 622.88인 화합물이다.
[화학식 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컴파운드 K는 식물에서 추출될 수도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파운드 K는 인삼 추출물에서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인삼의 종류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수삼, 홍삼, 백삼, 태극삼, 미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인삼으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뿐 아니라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의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엑기스 및 인삼 중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은 물론 식물 그 자체를 모두 포함하며,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등 인삼의 모든 부분으로부터의 추출물이 사용가능하고 어느 특정 부분의 추출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인삼 추출물로부터 컴파운드 K를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파운드 K는 인삼에서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로 인삼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며, 3~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며, 분자량은 514인 화합물이다.
[화학식 2]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컴파운드 K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 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효능,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면 피부 안정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중량비로 1:1 내지 1:4의 비율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능을 높이고,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용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하여,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 침착 증상 또는 피부의 칙칙함을 개선하고, 피부색을 균일하고 밝게 보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특히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 구체적으로 0.01~3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성분에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법에 따라 실시함으로써,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제형화할 수 있으며, 이 때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의 투여 용량은 투여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당한 용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mg/kg/일 내지 5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참고예 1] 컴파운드 K의 준비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한 컴파운드 K는 앰보연구소(한국)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참고예 2]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의 준비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한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은 선행기술(Cha B-J et al., Glycosyl glycerides from hydrophobic Panax ginseng inhibited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14), doi:10.1016/j.jgr.2014.10.005)에 공지된 방법으로 인삼 추출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과 측정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의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표피로부터 분리해 일차 배양한 사람의 각질형성세포(HEK; Lonza사, NHEK-Neo-Neonatal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Pooled)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뒤 배양액에 시험물질로서 상기 참고예 1의 컴파운드 K와 상기 참고예 2의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Pho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분리를 하고,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을 일부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정도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시험물질 |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
| 저칼슘(0.03mM) 용액 (음성 대조군) |
100 |
| 고칼슘(1.2mM) 용액 (양성 대조군) |
210 |
| 컴파운드 K(3ppm)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2ppm) |
248 |
| 컴파운드 K(2.5ppm)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2.5ppm) |
310 |
| 컴파운드 K(1.7ppm)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3.3ppm) |
307 |
| 컴파운드 K(1.25ppm)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3.75ppm) |
301 |
| 컴파운드 K(1ppm)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4ppm) |
298 |
| 컴파운드 K(5ppm) | 295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5ppm) | 230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께 처리한 경우 이들 2가지 성분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컴파운드 K 또는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로부터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1:1~1:4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에 있어서 상승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이 피부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인 남녀 10명의 상박을 테이프 스트립핑(Tape Str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에 손상을 주고 각각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한 제형예 1 내지 2, 및 비교제형예 1 내지 4의 6개 군을 도포하면서 7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경피수분손실량(TWEL)의 회복 정도를 Vapometer(Delfin, 핀란드)로 측정 비교하였다. 여기에서 비교제형예 1은 음성대조군으로서 비히클(vehicle)이며, 비교제형예 2는 상기 참고예 1의 컴파운드 K만을 함유하는 비교 대조군이고, 비교제형예 3은 상기 참고예 2의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만을 함유하는 비교 대조군이며, 비교제형예 4는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의 조합비가 3:2의 중량비인 비교 대조군이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의 결과는 장벽 손상 전과 장벽 손상 후의 처리전 차이를 100%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 배합성분 | 제형예 1 | 제형예 2 | 비교제형예 1 | 비교제형예2 | 비교제형예3 | 비교제형예4 |
| 정제수 | 69 | 69 | 70 | 69 | 69 | 69 |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30 | 30 | 30 | 30 |
| 컴파운드 K | 0.5 | 0.2 | - | 1 | - | 0.6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 0.5 | 0.8 | - | - | 1 | 0.4 |
| 시험군 | TWEL 변화 (%) | ||||||
| 처리전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
| 제형예1 | 100 | 130 | 129 | 124 | 118 | 114 | 110 |
| 제형예2 | 100 | 129 | 128 | 123 | 117 | 112 | 109 |
| 비교제형예1 | 100 | 121 | 112 | 98 | 70 | 62 | 43 |
| 비교제형예2 | 100 | 127 | 129 | 123 | 117 | 111 | 109 |
| 비교제형예3 | 100 | 124 | 119 | 113 | 112 | 109 | 106 |
| 비교제형예4 | 100 | 124 | 120 | 117 | 113 | 109 | 106 |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께 처리한 경우 이들 2가지 성분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컴파운드 K 또는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장벽 손상이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예 3] 제형예 3 내지 4 및 비교제형예 5 내지 8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 배합성분 | 제형예3 | 제형예4 | 비교제형예5 | 비교제형예6 | 비교제형예7 | 비교제형예8 |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 컴파운드 K | 0.25 | 0.1 | - | 0.5 | - | 0.3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 0.25 | 0.4 | - | - | 0.5 | 0.2 |
| 식물성경화유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 스테아린산 | 0.60 | 0.60 | 0.60 | 0.60 | 0.60 | 0.60 |
| 글리세롤스테아레이트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스테아릴알코올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베헤닐알코올&소디움스테아로일락틸에이트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아라키딜베헤닐알코올&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세틸아릴알코올&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 PEG-100 스테아레이트&글리세롤올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 카프릴릭/카르릭트리글리세라이드 | 11.00 | 11.00 | 11.00 | 11.00 | 11.00 | 11.00 |
| 사이클로메디콘 | 6.00 | 6.00 | 6.00 | 6.00 | 6.00 | 6.00 |
| 방부제, 향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 트리에탄올아민 | 0.1 | 0.1 | 0.1 | 0.1 | 0.1 | 0.1 |
[시험예 3]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이 피부 보습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3 내지 4 및 비교제형예 5 내지 8을 이용하였고,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건조 피부로 분류된 40~50대 성인 남녀 60명을 각각 제형예 3 내지 4 및 비교제형예5 내지 8의 6개 군에 대해 10명씩 6개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피부수분량측정기(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Co., 독일)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결과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피부 수분량 측정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 시험군 | 수분 증가율 (%) | |||
| 1주 경과 | 2주 경과 | 4주 경과 | 6주 경과 | |
| 제형예3 | 33 | 36 | 38 | 35 |
| 제형예4 | 34 | 37 | 39 | 35 |
| 비교제형예5 | 30 | 32 | 32 | 15 |
| 비교제형예6 | 31 | 33 | 36 | 33 |
| 비교제형예7 | 32 | 35 | 34 | 32 |
| 비교제형예8 | 31 | 34 | 35 | 32 |
상기 표 5의 결과를 보면, 비교제형예 5를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가 이루어진 4주까지는 약 30% 정도의 수분 증가율을 보이지만,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수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컴파운드 K를 단독으로 함유한 비교제형예 6 또는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단독으로 함유한 비교제형예 7을 도포한 경우에는 피부 수분 증가율이 대부분 30% 대에 머물렀다. 반면,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모두 함유하는 제형예 3 및 4를 도포한 경우에는 이들 2가지 성분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도포를 중지한 후에도 35% 이상의 피부 수분 증가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본 시험예에 사용된 B16/F10 멜라노마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의 악성화로 생긴 암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 배양 중에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이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 하였다. 본 시험예에서 사용된 B16/F10 멜라노마는 한국세포주은행(KCLB No: 8008)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0 멜라노마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0 멜라노마를 6웰 플레이트에 5×105/웰로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MCO-20AIC, Sanyo)에서 약 24시간 동안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FBS가 없는 새로운 DMEM 배지에 시험물질로서 상기 참고예 1의 컴파운드 K와 상기 참고예 2의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하기 표 6에 나타낸 농도로 첨가하고 72시간 경과시켰다. 트립신-EDTA를 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DMSO를 함유한 1N NaOH를 이용해 95℃에서 멜라닌을 용해하였다. ELISA 리더(DIbiotech, Korea)를 활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서의 멜라닌 함량과 비교하여 각 시험물질의 멜라닌 생성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1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 시험물질 | 멜라닌생성 저해율(%) |
| 대조군(무첨가) | 0 |
| 코지산 | 53 |
| 컴파운드 K(0.05중량%)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0.05중량%) | 49 |
| 컴파운드 K(0.02중량%)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0.08중량%) | 48 |
| 컴파운드 K(0.1중량%) | 44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0.1중량%) | 36 |
| 컴파운드 K(0.06중량%)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0.04중량%) | 43 |
상기 표 6의 결과를 보면,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께 처리한 경우 컴파운드 K 또는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상승되며, 특히 본원발명에 따른 조합비로 사용한 경우 이들 2가지 성분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멜라닌 생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피부톤 개선 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이 피부톤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60명의 피험자를 10명씩 6개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의 피험자에게 상기 제형예 3 내지 4 및 비교제형예 5 내지 8을 각각 사용(저녁 1회/일 도포, 총 1주간)하도록 한 후, Facial Stage DM-3(Moritex, Japan) 기기를 활용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톤 개선율은 피부의 명도 및 색채 측정값으로부터 피부의 명도 및 색채 변화 값을 구하여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의 평균값을 구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명도 및 색채 변화값이 클수록 피부톤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 시험물질 | 피부톤 개선율(%) | |
| 명도 | 색채 | |
| 제형예3 | 18 | 16 |
| 제형예4 | 17 | 15 |
| 비교제형예5 | 5 | 5 |
| 비교제형예6 | 15 | 12 |
| 비교제형예7 | 14 | 12 |
| 비교제형예8 | 14 | 13 |
상기 표 7의 결과를 보면,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께 처리한 경우 컴파운드 K 또는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피부톤 개선율이 상승되며, 특히 본원발명에 따른 조합비로 사용한 경우 이들 2가지 성분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멜라닌 생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화장수
아래 표 8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 함량(중량%) | |
| 컴파운드 K | 1.0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 1.0 |
| 글리세린 | 3.0 |
| 부틸렌글리콜 | 2.0 |
| 프로필렌글리콜 | 2.0 |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 0.2 |
| 폴리솔베이트 80 | 0.4 |
| 에탄올 | 10.0 |
| 트리에탄올아민 | 0.1 |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2] 영양 크림
아래 표 9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한다.
| 함량(중량%) | |
| 컴파운드 K | 1.0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 1.0 |
| 폴리솔베이트 60 | 1.5 |
|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0.5 |
| PEG 60 경화피마자유 | 2.0 |
| 유동파라핀 | 10.0 |
| 스쿠알란 | 5.0 |
| 카프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 글리세린 | 5.0 |
| 부틸렌글리콜 | 3.0 |
| 프로필렌글리콜 | 3.0 |
| 트리에탄올아민 | 0.2 |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3] 마사지 크림
아래 표 10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 크림을 제조한다.
| 함량(중량%) | |
| 컴파운드 K | 0.5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 0.5 |
| 밀납 | 10.0 |
| 폴리솔베이트 60 | 1.5 |
| PEG 60 경화피마자유 | 2.0 |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8 |
| 유동파라핀 | 40.0 |
| 스쿠알란 | 5.0 |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4.0 |
| 글리세린 | 5.0 |
| 부틸렌글리콜 | 3.0 |
| 프로필렌글리콜 | 3.0 |
| 트리에탄올아민 | 0.2 |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4] 팩
아래 표 11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한다.
| 함량(중량%) | |
| 컴파운드 K | 0.5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 0.5 |
| 폴리비닐알콜 | 13.0 |
|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0.2 |
| 글리세린 | 5.0 |
| 알란토인 | 0.1 |
| 에탄올 | 6.0 |
|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 0.3 |
| 폴리솔베이트 60 | 0.3 |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5] 젤
아래 표 12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한다.
| 함량(중량%) | |
| 컴파운드 K | 0.25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 0.25 |
|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 0.05 |
| 글리세린 | 5.0 |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3 |
| 에탄올 | 5.0 |
| PEG 60 경화피마자유 | 0.5 |
| 트리에탄올아민 | 0.3 |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6] 연고
아래 표 13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 함량(중량%) | |
| 컴파운드 K | 0.05 |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 0.05 |
| 글리세린 | 8.0 |
| 부틸렌글리콜 | 4.0 |
| 유동파라핀 | 15.0 |
| 베타글루칸 | 7.0 |
| 카보머 | 0.1 |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3.0 |
| 스쿠알란 | 1.0 |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 1.5 |
|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 0.4 |
| 세테아릴 알코올 | 1.0 |
| 밀납 | 4.0 |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7] 연질캅셀제
컴파운드 K 0.0012g,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0.0013g, 비타민 C 0.0025g, 팜유 2mg, 팜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8] 정제
컴파운드 K 0.0012g,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0.0013g, 비타민 C 0.0025g, 포도당 100mg, 전분 96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9] 과립제
컴파운드 K 75mg,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75mg, 비타민 C 150mg, 포도당 100mg, 및 전분 600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10] 드링크제
컴파운드 K 0.0012g,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 0.0013g, 비타민 C 0.0025g, 포도당 10g, 구연산 2g 및 정제수 187.8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ml로 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 K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 K와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은 1:1 내지 1:4의 중량비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색 및 피부톤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94531A KR20160082115A (ko) | 2014-12-31 | 2014-12-31 |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94531A KR20160082115A (ko) | 2014-12-31 | 2014-12-31 |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82115A true KR20160082115A (ko) | 2016-07-08 |
Family
ID=5650412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94531A Withdrawn KR20160082115A (ko) | 2014-12-31 | 2014-12-31 |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60082115A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48973B1 (ko) * | 2019-04-18 | 2019-11-27 | 주식회사 엠진 |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쌀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083943A (ko) | 2010-08-13 | 2012-07-27 | (주)아모레퍼시픽 |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2014
- 2014-12-31 KR KR1020140194531A patent/KR20160082115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083943A (ko) | 2010-08-13 | 2012-07-27 | (주)아모레퍼시픽 |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Cha B-J et al., Glycosyl glycerides from hydrophobic Panax ginseng inhibited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14), doi:10.1016/j.jgr.2014.10.005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48973B1 (ko) * | 2019-04-18 | 2019-11-27 | 주식회사 엠진 |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쌀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60081176A (ko) |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 KR102298799B1 (ko) |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20160082115A (ko) |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
| KR102298801B1 (ko) |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20160081161A (ko) | 컴파운드 k 및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
| KR20160081163A (ko) | 컴파운드 k 및 이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
| KR20160081165A (ko) | 컴파운드 k 및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
| KR102298803B1 (ko) | (2S)-1-O-리놀레노일-2-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20160081160A (ko) | 컴파운드 k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
| KR20160081195A (ko) | 이소플라본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 KR102298802B1 (ko) | (2S)-1-O-리놀레오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20160081168A (ko) | 컴파운드 k 및 모노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 |
| KR102298800B1 (ko) | (2S)-1-O-7(Z),10(Z),13(Z)-헥사데카트리에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102298804B1 (ko) | (2S)-1-O-리놀레오일-2-O-리놀레오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102215170B1 (ko) |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20160081192A (ko) | 이소플라본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 KR102286680B1 (ko) |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102298798B1 (ko) | 아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102286682B1 (ko) | 아카리시드 b6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 |
| KR102215160B1 (ko) | 파낙시디올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 KR102215168B1 (ko) |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 KR20160081177A (ko) | 카테킨 및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 KR20160082117A (ko) | 카테킨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 KR20160081180A (ko) | 카테킨 및 모노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 KR20160082132A (ko) | 이소플라본 및 모노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