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84693A -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693A
KR20160084693A KR1020150001259A KR20150001259A KR20160084693A KR 20160084693 A KR20160084693 A KR 20160084693A KR 1020150001259 A KR1020150001259 A KR 1020150001259A KR 20150001259 A KR20150001259 A KR 20150001259A KR 20160084693 A KR20160084693 A KR 20160084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ing
electronic device
service
communication
e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011B1 (ko
Inventor
이상기
제갈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011B1/ko
Priority to US15/541,984 priority patent/US20180020504A1/en
Priority to EP16735158.4A priority patent/EP3244659B1/en
Priority to PCT/KR2016/000086 priority patent/WO2016111537A1/ko
Priority to CN201610007892.7A priority patent/CN105763598A/zh
Publication of KR2016008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0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7Selecting a data network PoA [Point of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대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상대 전자 장치를 통해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과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TETHER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기능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테더링(tether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P(access point)로 동작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무선랜(예: 와이파이)을 통해 AP로 동작하는 호스트 장치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P로 동작하는 경우, 급격한 배터리 소모, 발열 및 데이터 사용에 따른 과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호스트 장치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를 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호스트 장치를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호스트 장치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동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과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한 경우에만 호스트 장치로 동작함으로써. 테더링 서비스에 따른 발열, 배터리 소모 및 데이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면,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호스트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테더링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다수 개의 호스트 장치들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테더링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에 기반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라는 표현은, 그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전자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서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전자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 (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set-top box), 홈 자동 제어 패널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 (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 (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 (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navigation) 전자 장치, GPS 수신기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 (event data recorder), FDR (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전자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전자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 (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 (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 (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전자 장치 (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전자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 (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 (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 (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전자 장치 (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 (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호스트 장치에 접속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예: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을 서로 연결하고, 상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전자 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예: 무선랜)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전자 장치(104))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호스트 장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에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테더링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예: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예: 무선랜)을 통해 호스트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전자 장치(104))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에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도록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호스트 장치에 접속하여 테더링 서비스 제공 중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테더링 활성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및 전자 장치(100)의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물리 버튼,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 shuttle) 및 센서(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각종 콘텐츠 (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와 같은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 (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또는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무선랜,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iBro,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통신은,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클라이언트 장치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하기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장치의 프로세서(120)는 통신 제어부(200), 테더링 제어부(210) 및 표시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부(20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예: 와이파이)을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00)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서비스의 호스트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은 무선랜(예: 와이파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부(20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통신 방식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다른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테더링 제어부(2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링 제어부(210)는 네트워크(예: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종료된 경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테더링 제어부(210)는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링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150)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테더링 제어부(210)는 진행 중인 이벤트(on going event)(예: 데이터 다운로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장치(100)의 잠금이 설정되거나, 전자 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링 제어부(21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을 검출한 경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은, 테더링 비활성화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선택, 메뉴의 선택 및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부(20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 또는 별도의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또는 BLE)을 이용하여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테더링 제어부(2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링 제어부(210)는 네트워크(예: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는 경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링 제어부(210)는 전자 장치(10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링 제어부(21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테더링 활성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을 검출한 경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활성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은, 테더링 활성화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선택, 메뉴의 선택 및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부(200)는 별도의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또는 BLE)을 이용하여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제어부(220)는 테더링 제어부(210)로부터 제공받은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상태 정보는, 호스트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예: 배터리 잔량) 및 테더링 서비스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데이터 사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가 접속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 개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접속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통신 제어부(200), 테더링 제어부(210) 및 표시 제어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프로세서(120)와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호스트 장치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하기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의 프로세서(120)는 통신 제어부(300), 테더링 제어부(310) 및 상태 정보 수집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부(30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예: 와이파이)으로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300)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예: 무선랜 모듈)을 활성화하여 무선랜의 AP(access point)로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300)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무선랜 접속을 승인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부(30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300)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별도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통신 방식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다른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 또는 BLE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테더링 제어부(310)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예: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링 제어부(310)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 제공 중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제어부(31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30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 또는 별도의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또는 BLE)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테더링 제어부(310)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예: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링 제어부(31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제어부(310)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예: 와이파이)으로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300)는 별도의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또는 BLE)을 이용하여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태 정보 수집부(320)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 수집부(320)는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 수집부(320)는 테더링 서비스 제공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사용량(예: 배터리 잔량)을 수집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300)는 상태 정보 수집부(320)에서 수집한 데이터 사용량 및 배터리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테더링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 개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통신 제어부(300), 테더링 제어부(310) 및 상태 정보 수집부(320)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프로세서(120)와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2의 프로세서(120))는 호스트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예: 와이파이)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연결을 위한 호스트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검출한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호스트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연결을 위한 호스트 장치에 접속하여 호스트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통신이 연결된 호스트 장치를 통해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사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의 구동 정보, 클라이언트 장치의 잠금 상태 정보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활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의 검출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통해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별도의 통신 방식을 통해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통신 방식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다른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 또는 BL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화면 구성을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도 4에서 호스트 장치를 통해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2의 프로세서(120))는 호스트 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도 4의 동작 401에서 호스트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한 경우, 호스트 장치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통해 호스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을 통해 호스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a의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위젯(610)을 표시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위젯(610)은 호스트 장치 정보(예: 호스트 장치 이름)(612) 및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614)를 포함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위젯(610)은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테더링 종료 버튼(또는 테더링 종료 아이콘)(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테더링 종료 버튼(620)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 테더링 비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테더링 비활성화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테더링 비활성화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가 비활성화된 경우, 도 6b와 같이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위젯(610)의 테더링 상태 정보(614)를 "테더링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616).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위젯(610)은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테더링 시작 버튼(또는 테더링 시작 아이콘)(6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테더링 시작 버튼(622)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 테더링 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테더링 활성화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도 6c와 같이 상태 표시 바(630) 중에 대한 드래그(632)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도 6d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알림 패널(notification panel)(640)을 표시할 수 있다. 알림 패널(640)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설정 버튼(642), 밝기 조절 바(644) 및 테더링 상태 정보(646)를 포함할 수 있다. 테더링 상태 정보(646)는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테더링 종료 버튼(또는 테더링 종료 아이콘)(6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테더링 종료 버튼(648)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 테더링 비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테더링 비활성화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상태 정보(646)는 진행 중인 이벤트(on going event) 정보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테더링 비활성화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가 비활성화된 경우, 도 6e와 같이 알림 패널(640)의 테더링 상태 정보(646)를 "테더링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650). 테더링 상태 정보(646)는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테더링 시작 버튼(또는 테더링 시작 아이콘)(6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테더링 시작 버튼(652)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 테더링 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600)는 테더링 활성화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4에서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2의 프로세서(120))는 테더링 서비스 제공 중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제 1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도 4의 동작 403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제 1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제 1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종료되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제 1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종료된 경우,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은 상대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 제공 중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제 1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종료되는 경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4에서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2의 프로세서(120))는 테더링 서비스 제공 중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가 비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잠금 이벤트가 발생하여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검출한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되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경우, 진행 중인 이벤트(on going event)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 중인 이벤트는 데이터 다운로드, 데이터 업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진행 중인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진행 중인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이벤트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진행 중인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진행 중인 이벤트가 종료되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진행 중인 이벤트가 종료되는 경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되었지만, 간헐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시점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에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검출한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4와 같이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호스트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3의 프로세서(120))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예: 와이파이)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연결를 위한 통신 방식의 AP로 동작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통신 연결 요청에 기반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호스트 장치는 통신이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예: 무선랜 모듈)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테더링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9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호스트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3의 프로세서(120))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상태 정보 수집부(320)를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상태 정보 수집부(320)를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 제공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예: 배터리 잔량)을 수집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호스트 장치는 동작 1003에서 수집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상태 정보 전송 이벤트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정보 전송 이벤트는,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정보 전송 이벤트는 동작 1003에서 수집한 호스트 장치의 상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조건의 매핑 여부에 대응하여 발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도 4와 같이 호스트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 이력을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2의 프로세서(120))는 테더링 활성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네트워크 사용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잠금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테더링 활성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이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활성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은, 테더링 활성화 이벤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선택, 테더링 활성화 이벤트에 대응하는 메뉴의 선택 및 테더링 활성화 이벤트에 대응하는 움직임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호스트 장치와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또는 BLE)으로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05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으로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107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호스트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 연결된 블루투스 또는 BLE 통신 연결을 통해 호스트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09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에 접속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통해 호스트 장치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클라이언트 장치는 도 5와 같이 테더링 서비스 제공 중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호스트 장치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11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 제공 중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도 7 또는 도 8과같이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113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호스트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예: 무선랜)을 통해 호스트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BLE)을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호스트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11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으로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0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2의 프로세서(120))는 호스트 연결 정보 획득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5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도 11의 동작 1103에서 별도의 통신 방식으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호스트 연결 정보 획득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호스트 연결 정보는 별도의 통신 방식으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정보(예: 호스트 장치의 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 암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태그 정보가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호스트 장치의 태그 정보가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태그는 RF(radio frequency) 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태그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호스트 연결 정보 획득 요청 메시지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연결 정보 획득 요청 메시지를 표시한 시점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태그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 연결 제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205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의 태그 정보를 검출한 경우, 태그 정보에 포함된 호스트 연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207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호스트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블루투스(또는 BLE) 연결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블루투스(또는 BLE) 연결 수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스트 장치와 블루투스(또는 BLE)를 이용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블루투스(또는 BLE) 연결 제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 연결 제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블루투스(또는 BLE)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하도록 호스트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 연결 제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11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으로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2의 프로세서(120))는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 연결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도 11의 동작 1103에서 별도의 통신 방식으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메모리(130)에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 연결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307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의 태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호스트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변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동작 1305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주변 장치의 검색을 통해 호스트 장치가 검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 이력에 기반하여 호스트 장치가 검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주변 장치의 검색을 통해 호스트 장치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주변 장치를 지속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기준 시간이 경과하도록 호스트 장치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 연결 제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307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를 검색한 경우, 호스트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 블루투스(또는 BLE) 연결 요청 신호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블루투스(또는 BLE) 연결 수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스트 장치와 블루투스(또는 BLE)를 이용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에 기반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11과 같이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호스트 장치는 도 9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 이력을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401에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또는 BLE)으로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403에서, 호스트 장치는 별도의 통신 방식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405에서, 호스트 장치는 별도의 통신 방식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무선랜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접속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1407에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호스트 장치는 도 10과 같이 테더링 서비스 제공 중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호스트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09에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예: 무선랜)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과 별도의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BLE)을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ㄴ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411에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전자 장치 (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세서 (예: 프로세서 2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230) 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전자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전자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 (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6)

  1.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잠금 이벤트,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비활성 이벤트, 네트워크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료 이벤트 및 상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매핑된 입력의 검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 및 데이터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테더링 활성 이벤트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활성 이벤트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 이벤트, 네트워크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 이벤트 및 상기 테더링 활성 이벤트가 매핑된 입력의 검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방법.
  10. 제 2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장치로의 테더링 서비스 제공에 대응하는 테더링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 및 데이터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잠금 이벤트,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비활성 이벤트, 네트워크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료 이벤트 및 상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매핑된 입력의 검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5. 제 19항에 있어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 및 데이터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테더링 활성 이벤트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활성 이벤트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 이벤트, 네트워크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 이벤트 및 상기 테더링 활성 이벤트가 매핑된 입력의 검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장치.
  28. 제 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3.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장치.
  34.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장치로의 테더링 서비스 제공에 대응하는 테더링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 및 데이터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5.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활성화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는 장치.
KR1020150001259A 2015-01-06 2015-01-06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ctive KR10235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59A KR102354011B1 (ko) 2015-01-06 2015-01-06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5/541,984 US20180020504A1 (en) 2015-01-06 2016-01-06 Method for controlling tether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16735158.4A EP3244659B1 (en) 2015-01-06 2016-01-06 Tethering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PCT/KR2016/000086 WO2016111537A1 (ko) 2015-01-06 2016-01-06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201610007892.7A CN105763598A (zh) 2015-01-06 2016-01-06 共享控制方法及其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59A KR102354011B1 (ko) 2015-01-06 2015-01-06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93A true KR20160084693A (ko) 2016-07-14
KR102354011B1 KR102354011B1 (ko) 2022-01-21

Family

ID=5634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259A Active KR102354011B1 (ko) 2015-01-06 2015-01-06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20504A1 (ko)
EP (1) EP3244659B1 (ko)
KR (1) KR102354011B1 (ko)
CN (1) CN105763598A (ko)
WO (1) WO20161115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24A1 (ko) * 2017-01-24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KR20190137626A (ko) 2018-06-02 2019-12-11 김영철 분리형 디스플레이 태블릿 pc
KR20200138409A (ko) * 2018-06-01 2020-12-09 애플 인크.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서로 근접해 있을 때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법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7282B (zh) * 2016-11-14 2021-06-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连接的控制方法和装置
CN107318119B (zh) * 2017-08-28 2021-02-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设备组网方法、家电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873028A (zh) * 2018-08-22 2018-11-23 深圳市欧辰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072A (ko) * 2011-11-29 2013-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30331028A1 (en) * 2012-06-11 2013-12-12 Microsoft Corporation Connection Tethering and Service Remoting
KR20140054914A (ko) * 2012-10-30 2014-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테더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6046A (ja) * 2011-12-13 2013-06-24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無線通信装置、テザリング制御方法及びテザリング制御プログラム
WO2014025240A1 (ko) * 2012-08-10 2014-02-1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9247495B2 (en) * 2012-11-06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saving Wi-Fi tethering
KR101979867B1 (ko) * 2013-02-07 2019-05-17 (주)유브릿지 이동통신 데이터 테더링 시스템 및 방법
US9392067B2 (en) * 2013-05-07 2016-07-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fficient automatic sharing of network access among devices
US9241357B2 (en) * 2013-06-27 2016-01-19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334651B2 (en) * 2013-12-24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06001B1 (en) * 2014-02-06 2017-03-22 Sony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 bearer network communication
US9801120B2 (en) * 2014-05-30 2017-10-24 Apple Inc. Client-initiated tethering for electronic devices
US9867220B2 (en) * 2014-07-01 2018-01-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thering parameters for a tethering conn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072A (ko) * 2011-11-29 2013-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30331028A1 (en) * 2012-06-11 2013-12-12 Microsoft Corporation Connection Tethering and Service Remoting
KR20140054914A (ko) * 2012-10-30 2014-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테더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24A1 (ko) * 2017-01-24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US10912130B2 (en) 2017-01-24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tethering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thereof
KR20200138409A (ko) * 2018-06-01 2020-12-09 애플 인크.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서로 근접해 있을 때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법들
KR20220054462A (ko) * 2018-06-01 2022-05-02 애플 인크.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서로 근접해 있을 때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법들
KR20190137626A (ko) 2018-06-02 2019-12-11 김영철 분리형 디스플레이 태블릿 p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4659A1 (en) 2017-11-15
KR102354011B1 (ko) 2022-01-21
WO2016111537A1 (ko) 2016-07-14
US20180020504A1 (en) 2018-01-18
EP3244659B1 (en) 2022-04-06
CN105763598A (zh) 2016-07-13
EP3244659A4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686B1 (ko) 외부 전자 장치와 하이브리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93721B1 (ko)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60191621A1 (en) Method of shar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37934B1 (ko) 무선 충전으로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90046B1 (ko) IoT 장치의 무선 라우터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라우터, 전자 장치 및 시스템
EP3110179B1 (en)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eacon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KR2017004215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서비스 지원 방법
KR102354011B1 (ko)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20147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60071826A (ko)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140059A (ko) 장치 간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20190138068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70097835A (ko)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스마트 홈 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25258A (ko)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KR20150136981A (ko) 사물 인터넷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101600A (ko)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70019806A (ko)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8704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KR20170029850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930A (ko)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01533A (ko) 지오펜스 설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31561A (ko) 전자 장치의 무선 전력 송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80048070A (ko) 근거리통신 연결을 위한 전자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0511A (ko)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0407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9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