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693A -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4693A KR20160084693A KR1020150001259A KR20150001259A KR20160084693A KR 20160084693 A KR20160084693 A KR 20160084693A KR 1020150001259 A KR1020150001259 A KR 1020150001259A KR 20150001259 A KR20150001259 A KR 20150001259A KR 20160084693 A KR20160084693 A KR 201600846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thering
- electronic device
- service
- communication
- ev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7—Selecting a data network PoA [Point of Attach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 H04W76/02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테더링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에 기반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Claims (36)
-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잠금 이벤트,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비활성 이벤트, 네트워크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료 이벤트 및 상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매핑된 입력의 검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 및 데이터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테더링 활성 이벤트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활성 이벤트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 이벤트, 네트워크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 이벤트 및 상기 테더링 활성 이벤트가 매핑된 입력의 검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방법.
- 제 2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장치로의 테더링 서비스 제공에 대응하는 테더링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 및 데이터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동작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잠금 이벤트,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비활성 이벤트, 네트워크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료 이벤트 및 상기 테더링 비활성 이벤트가 매핑된 입력의 검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 및 데이터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테더링 활성 이벤트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활성 이벤트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 이벤트, 네트워크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 이벤트 및 상기 테더링 활성 이벤트가 매핑된 입력의 검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장치.
- 제 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테더링 비활성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장치로의 테더링 서비스 제공에 대응하는 테더링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테더링 상태 정보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량 및 데이터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과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활성화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테더링 활성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01259A KR102354011B1 (ko) | 2015-01-06 | 2015-01-06 |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15/541,984 US20180020504A1 (en) | 2015-01-06 | 2016-01-06 | Method for controlling tether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EP16735158.4A EP3244659B1 (en) | 2015-01-06 | 2016-01-06 | Tethering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PCT/KR2016/000086 WO2016111537A1 (ko) | 2015-01-06 | 2016-01-06 |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CN201610007892.7A CN105763598A (zh) | 2015-01-06 | 2016-01-06 | 共享控制方法及其电子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01259A KR102354011B1 (ko) | 2015-01-06 | 2015-01-06 |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84693A true KR20160084693A (ko) | 2016-07-14 |
| KR102354011B1 KR102354011B1 (ko) | 2022-01-21 |
Family
ID=5634235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01259A Active KR102354011B1 (ko) | 2015-01-06 | 2015-01-06 |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80020504A1 (ko) |
| EP (1) | EP3244659B1 (ko) |
| KR (1) | KR102354011B1 (ko) |
| CN (1) | CN105763598A (ko) |
| WO (1) | WO2016111537A1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8139824A1 (ko) * | 2017-01-24 | 2018-08-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
| KR20190137626A (ko) | 2018-06-02 | 2019-12-11 | 김영철 | 분리형 디스플레이 태블릿 pc |
| KR20200138409A (ko) * | 2018-06-01 | 2020-12-09 | 애플 인크. |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서로 근접해 있을 때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법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6507282B (zh) * | 2016-11-14 | 2021-06-2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无线连接的控制方法和装置 |
| CN107318119B (zh) * | 2017-08-28 | 2021-02-09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家电设备组网方法、家电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08873028A (zh) * | 2018-08-22 | 2018-11-23 | 深圳市欧辰技术有限公司 | 一种定位系统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60072A (ko) * | 2011-11-29 | 2013-06-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20130331028A1 (en) * | 2012-06-11 | 2013-12-12 | Microsoft Corporation | Connection Tethering and Service Remoting |
| KR20140054914A (ko) * | 2012-10-30 | 2014-05-0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테더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3126046A (ja) * | 2011-12-13 | 2013-06-24 |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 無線通信装置、テザリング制御方法及びテザリング制御プログラム |
| WO2014025240A1 (ko) * | 2012-08-10 | 2014-02-13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와이파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방법 및 시스템 |
| US9247495B2 (en) * | 2012-11-06 | 2016-01-2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Power saving Wi-Fi tethering |
| KR101979867B1 (ko) * | 2013-02-07 | 2019-05-17 | (주)유브릿지 | 이동통신 데이터 테더링 시스템 및 방법 |
| US9392067B2 (en) * | 2013-05-07 | 2016-07-1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Efficient automatic sharing of network access among devices |
| US9241357B2 (en) * | 2013-06-27 | 2016-01-19 | Kabushiki Kaisha Toshiba |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US10334651B2 (en) * | 2013-12-24 | 2019-06-25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906001B1 (en) * | 2014-02-06 | 2017-03-22 | Sony Corporation |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 bearer network communication |
| US9801120B2 (en) * | 2014-05-30 | 2017-10-24 | Apple Inc. | Client-initiated tethering for electronic devices |
| US9867220B2 (en) * | 2014-07-01 | 2018-01-0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Tethering parameters for a tethering connection |
-
2015
- 2015-01-06 KR KR1020150001259A patent/KR102354011B1/ko active Active
-
2016
- 2016-01-06 EP EP16735158.4A patent/EP3244659B1/en active Active
- 2016-01-06 US US15/541,984 patent/US2018002050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01-06 CN CN201610007892.7A patent/CN105763598A/zh active Pending
- 2016-01-06 WO PCT/KR2016/000086 patent/WO2016111537A1/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60072A (ko) * | 2011-11-29 | 2013-06-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20130331028A1 (en) * | 2012-06-11 | 2013-12-12 | Microsoft Corporation | Connection Tethering and Service Remoting |
| KR20140054914A (ko) * | 2012-10-30 | 2014-05-0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테더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8139824A1 (ko) * | 2017-01-24 | 2018-08-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
| US10912130B2 (en) | 2017-01-24 | 2021-02-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tethering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thereof |
| KR20200138409A (ko) * | 2018-06-01 | 2020-12-09 | 애플 인크. |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서로 근접해 있을 때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법들 |
| KR20220054462A (ko) * | 2018-06-01 | 2022-05-02 | 애플 인크. |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서로 근접해 있을 때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법들 |
| KR20190137626A (ko) | 2018-06-02 | 2019-12-11 | 김영철 | 분리형 디스플레이 태블릿 pc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EP3244659A1 (en) | 2017-11-15 |
| KR102354011B1 (ko) | 2022-01-21 |
| WO2016111537A1 (ko) | 2016-07-14 |
| US20180020504A1 (en) | 2018-01-18 |
| EP3244659B1 (en) | 2022-04-06 |
| CN105763598A (zh) | 2016-07-13 |
| EP3244659A4 (en) | 2017-12-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95686B1 (ko) | 외부 전자 장치와 하이브리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 KR102493721B1 (ko) |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 US20160191621A1 (en) | Method of shar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 KR102337934B1 (ko) | 무선 충전으로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 KR102390046B1 (ko) | IoT 장치의 무선 라우터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라우터, 전자 장치 및 시스템 | |
| EP3110179B1 (en) |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eacon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 |
| KR20170042156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서비스 지원 방법 | |
| KR102354011B1 (ko) |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 KR20170020147A (ko) |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 |
| KR20160071826A (ko) |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및 방법 | |
| KR20160140059A (ko) | 장치 간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 |
| US20190138068A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 KR20170097835A (ko) |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스마트 홈 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 KR20160025258A (ko) |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 |
| KR20150136981A (ko) | 사물 인터넷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 |
| KR20160101600A (ko) |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
| KR20170019806A (ko) |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87046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 |
| KR20170029850A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 KR20170081930A (ko) |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 |
| KR20160101533A (ko) | 지오펜스 설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 KR20170031561A (ko) | 전자 장치의 무선 전력 송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 |
| KR20180048070A (ko) | 근거리통신 연결을 위한 전자장치, 시스템 및 방법 | |
| KR20160070511A (ko) |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 US11304076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0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9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