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89624A - 외벽 청소기 - Google Patents

외벽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624A
KR20160089624A KR1020150009040A KR20150009040A KR20160089624A KR 20160089624 A KR20160089624 A KR 20160089624A KR 1020150009040 A KR1020150009040 A KR 1020150009040A KR 20150009040 A KR20150009040 A KR 20150009040A KR 20160089624 A KR20160089624 A KR 20160089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cleaner case
cleaning
wall
deter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서
Original Assignee
최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서 filed Critical 최윤서
Priority to KR102015000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624A/ko
Publication of KR20160089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2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08B1/002
    • B08B1/008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08B1/34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rota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에 세척액과 세제를 분사하고 문질러서 청소하고 청소 후에 외벽에 남겨진 물기를 건조시켜서 제거할 수 있는 외벽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는 청소기케이스(10)와,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외벽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재(20)와, 공기분사부재(2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재(30)와, 세척액분사부재(3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외벽으로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부재(40)와, 세제분사부재(4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의 내측에서 전면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외벽을 문질러서 청소하는 청소부재(50)와, 청소부재(5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서 외벽에 흐르는 물을 수용공간(11)으로 흡입하는 청소액흡입부재(60)와, 공기분사부재(20)와, 세제분사부재(40)와, 세척액분사부재(30)와, 청소부재(50) 및 청소액흡입부재(6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벽 청소기{OUTER WALL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외벽에 세척액과 세제를 분사하고 문질러서 청소하고 청소 후에 외벽에 남겨진 물기를 건조시켜서 제거할 수 있는 외벽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변, 철로변, 공장주변 및 각종 공사현장 등과 같은 소음발생원의 주변을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은 내부에 유리 솜 등의 흡음재가 내장되고 외부 면에는 소음을 흡음시키는 다수의 흡음구멍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음벽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기초 콘크리트 상에 다수의 H빔을 일정 간격으로 입설하고, 이후 미리 규격화되어 제작된 방음패널의 양측을 이웃하는 H빔의 레일 홈에 맞추어 끼우면서 차례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H빔들은 지반에 앵커 볼트 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음벽은 금속재질의 불투명 판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도로변에 일정한 높이로 설치될 경우 운전자의 가시권 및 주변 거주자의 조망권이 침해되는 단점이 있어,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방음벽의 일부 구간, 혹은 전체구간을 아크릴판 등의 투명한 재질도 구성된 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방음벽을 구성하는 투명방음벽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투명 방음벽은 비가 오거나 또는 흙먼지 등이 달라붙어 오염될 경우 오히려 미관을 해지는 문제점이 야기되므로 이들 방음벽들은 반드시 정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만 하는데, 일반적으로 도로상에 설치되는 이러한 투명방음벽은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까지 설치되고 있으며, 차량의 빈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될 경우에는 이를 청소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방음벽을 청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다리나 작업대 등을 높이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청소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작업자가 방음벽의 소정 면적에 대한 청소를 완료한 후에는 인접부분에 대한 청소작업을 위하여 사다리나 작업자 등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다시 올라가 청소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청소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능률도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방음벽 청소장치"가 등록번호 10-04924570000호(2005.05.2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벽에 세척액과 세제를 분사하고 문질러서 청소하고 청소 후에 외벽에 남겨진 물기를 건조시켜서 제거할 수 있는 외벽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청소기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는 청소기케이스(10)와,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외벽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재(20)와, 공기분사부재(2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재(30)와, 세척액분사부재(3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외벽으로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부재(40)와, 세제분사부재(4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의 내측에서 전면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외벽을 문질러서 청소하는 청소부재(50)와, 청소부재(5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서 외벽에 흐르는 물을 수용공간(11)으로 흡입하는 청소액흡입부재(60)와, 공기분사부재(20)와, 세제분사부재(40)와, 세척액분사부재(30)와, 청소부재(50) 및 청소액흡입부재(6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청소기케이스(10)는 양측에 복수의 바퀴(10a)가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공기분사부재(2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공기공급관(21) 및 공기공급관(21)의 후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콤프레셔(23)에 연결되어 공기공급관(21)에 콤프레셔(23)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호스(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척액분사부재(3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세척액공급관(31) 및 세척액공급관(31)의 후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세척액공급펌프(33)에 연결되어 세척액공급관(31)에 세척액공급펌프(33)의 작동에 의해 세척액을 제공하는 세척액호스(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제분사부재(4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세제분사노즐(41) 및 세제분사노즐(41)을 통해 세제가 분사되도록 세제분사노즐(41)에 세제를 펌핑하여 제공하는 세제공급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청소부재(5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개구되면서 수용공간(11)에 고정되는 브러시케이스(51)와, 브러시케이스(51)에 고정되어 컨트롤러(70)에 제어에 의해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52)와, 실린더(52)의 실린더축에 고정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브러시프레임(53)과, 브러시프레임(53)의 내측에 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청소브러시(54)와, 브러시프레임(53)의 일측에 고정되고 청소브러시(54)의 일단에 축결합된 상태로 컨트롤러(70)에 제어에 의해 청소브러시(54)를 회전시키는 청소모터(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청소액흡입부재(6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청소액흡입관(61) 및 청소액흡입관(61)의 후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흡입펌프(63)에 연결되어 흡입펌프(63)의 작동에 의해 청소액흡입관(61)을 통해 흡입되는 청소액과 공기를 이송시키는 공기호스(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청소액흡입관(61)은 끝단에서 하부에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세정액을 모으는 받침대(6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청소액흡입관(61)은 흡입되는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7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컨트롤바디(71)와, 공기분사부재(2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공기분사스위치(72)와, 세척액분사부재(3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세척액분사스위치(73)와, 세제분사부재(4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세제분사스위치(74)와, 청소부재(5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청소스위치(75) 및 청소액흡입부재(6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청소액흡입스위치(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어 청소기케이스(10)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청소기케이스(10)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밀대로 구성되는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어 청소기케이스(10)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승강수단(80)은 청소기케이스(10)의 좌우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청소하기 위한 외벽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81)와, 가이드샤프트(8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의 양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82) 및 가이드샤프트(81)들의 상단에 양측이 고정된 상태로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어 청소기케이스(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샤프트(81)는 상단이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8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승강부재(83)는 가이드샤프트(81)들의 사이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86)와, 승강모터(86)의 축에 결합되는 릴(87)과, 릴(87)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된 상태로 타단이 청소기케이스(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로프(88)를 포함하고, 컨트롤러(70)는 승강모터(86)를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승강스위치(77)를 더 포함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벽 청소기는, 외벽에 세척액과 세제를 분사하고 문질러서 청소하고 청소 후에 외벽에 남겨진 물기를 건조시켜서 제거할 수 있어서, 외벽이 깨끗하게 청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가 완료된 후에 도로의 먼지나 이물질이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겨울철에 남겨진 물기에 의한 성애형성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벽을 청소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외벽을 건조하는 과정이 순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외벽의 청소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청소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트롤러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승강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이 외벽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청소기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는 청소기케이스(10)와,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외벽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재(20)와, 공기분사부재(2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재(30)와, 세척액분사부재(3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외벽으로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부재(40)와, 세제분사부재(4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의 내측에서 전면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외벽을 문질러서 청소하는 청소부재(50)와, 청소부재(5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서 외벽에 흐르는 물을 수용공간(11)으로 흡입하는 청소액흡입부재(60)와, 공기분사부재(20)와, 세제분사부재(40)와, 세척액분사부재(30)와, 청소부재(50) 및 청소액흡입부재(6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외벽 청소기는 수직되는 건물의 외벽이나 방음벽 또는 유리창을 청소할 수 있다.
청소기케이스(10)는 양측에 복수의 바퀴(10a)가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바퀴(10a)는 외벽의 표면에 부드럽게 접촉되어서 구르도록 고무바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퀴(10a)들이 청소기케이스(10)의 양측에 분산배치된 상태로 외벽에 구름이동 가능한 상태로 접촉됨에 따라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이 외벽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공기분사부재(2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공기공급관(21) 및 공기공급관(21)의 후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콤프레셔(23)에 연결되어 공기공급관(21)에 콤프레셔(23)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호스(22)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공급관(21)을 통해 콤프레셔(23)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외벽으로 분사됨에 따라 외벽의 이물질이나 먼지가 떨어지게 되므로 외벽이 청소될 수 있다. 또한, 청소부재(50)의 청소가 이루어진 후에 세척액공급관(31)에서 분사되어 외벽에 남아 있는 세척액을 불어서 날려버림과 동시에 외벽을 건조시킬 수 있다. 즉, 외벽의 건조가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이 빈번하게 주행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의 부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분사부재(20)는 공기공급관(21)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25)를 더 포함한다. 히터(25)는 컨트롤러(70)에 의해 작동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25)가 작동된 상태에서 공기공급관(21)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따뜻한 열풍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외벽에 남겨진 물기의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겨울철에 남겨진 물기에 의한 성애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세척액분사부재(3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세척액공급관(31) 및 세척액공급관(31)의 후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세척액공급펌프(33)에 연결되어 세척액공급관(31)에 세척액공급펌프(33)의 작동에 의해 세척액을 제공하는 세척액호스(32)를 포함한다.
먼저, 세척액은 순수한 물로 이루어지거나 세척액과 비눗물이 혼합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액이 물로 구성되는 경우 세제를 이용하여 청소한 외벽을 깨끗하게 씻어내어서 마무리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액공급관(31)을 통해 세척액공급펌프(33)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외벽으로 분사됨에 따라 외벽의 흡착되어 탈리되지 않는 이물질이나 먼지를 적시게 되면서 불리게 된다. 즉, 청소부재(50)의 청소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세척액이 분사되는 경우 먼지나 이물질의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청소부재(50)의 청소가 이루어진 후에 외벽에 남아 있는 찌꺼기를 씻어낼 수 있다.
또한, 세제분사부재(4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세제분사노즐(41) 및 세제분사노즐(41)을 통해 세제가 분사되도록 세제분사노즐(41)에 세제를 펌핑하여 제공하는 세제공급부(42)를 포함한다.
세제분사노즐(41)에 연결되는 세제공급부(42)는 내측으로 액상세제가 채워지는 세제통(43) 및 세제통(43)의 내측에 압축공기를 가압하도록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는 실린더(44)로 구성될 수 있어서, 세제분사노즐(41)을 통해 액상세제를 분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세제는 비눗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세제분사노즐(41)을 통해 세제가 분사되어 외벽에 제공되는 경우 청소브러시(54)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부재(5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개구되면서 수용공간(11)에 고정되는 브러시케이스(51)와, 브러시케이스(51)에 고정되어 컨트롤러(70)에 제어에 의해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52)와, 실린더(52)의 실린더축에 고정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브러시프레임(53)과, 브러시프레임(53)의 내측에 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청소브러시(54)와, 브러시프레임(53)의 일측에 고정되고 청소브러시(54)의 일단에 축결합된 상태로 컨트롤러(70)에 제어에 의해 청소브러시(54)를 회전시키는 청소모터(55)를 포함한다.
따라서, 컨트롤러(70)에 의해 실린더(52)가 작동되어 실린더축이 신장됨에 따라 브러시프레임(53)과 함께 청소브러시(54)가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즉, 청소브러시(54)가 돌출되어서 외벽에 밀착된다. 이때, 컨트롤러(70)에 의해 돌출된 청소브러시(54)가 회전되어서 외벽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먼지를 털어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청소브러시(54)가 외벽을 부러싱하는 상태에서 세제분사부재(40)를 통해 세제가 분사되거나 세척액분사부재(30)를 통해 세척액이 분사되면 외벽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세척이 완료된 후에 컨트롤러(70)에 제어에 의해 돌출되었던 청소브러시(54)가 후진하면서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브러시케이스(51)에 수용될 수 있다.
청소액흡입부재(6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청소액흡입관(61) 및 청소액흡입관(61)의 후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흡입펌프(63)에 연결되어 흡입펌프(63)의 작동에 의해 청소액흡입관(61)을 통해 흡입되는 청소액과 공기를 이송시키는 청소액흡입호스(62)를 포함한다.
따라서, 흡입펌프(63)의 작동에 의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청소액흡입관(6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므로 외벽에 흐르는 세척액이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청소액흡입관(61)으로 흡입된다. 즉, 외벽을 세척한 세척액이 청소액흡입관(61)을 통해 흡입되어서 별도로 모여지게 되므로 세척액에 의해 외벽의 하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소액흡입관(61)은 끝단에서 하부에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세정액을 모으는 받침대(65)가 더 형성된다. 받침대(65)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좌우측의 양끝까지 연장되어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청소액흡입관(61)은 흡입되는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6)를 더 포함한다. 필터(66)는 청소액흡입관(61)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타공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7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컨트롤바디(71)와, 공기분사부재(2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공기분사스위치(72)와, 세척액분사부재(3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세척액분사스위치(73)와, 세제분사부재(4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세제분사스위치(74)와, 청소부재(5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청소스위치(75) 및 청소액흡입부재(6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청소액흡입스위치(76)를 포함한다.
컨트롤바디(71)는 내부의 공간에 입력되는 전원을 공기분사부재(20)와, 세제분사부재(40)와, 세척액분사부재(30)와, 청소부재(50) 및 청소액흡입부재(60)에 각각 제공하도록 IC칩과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회로기판이 수용되고, 일측에는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입력전선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입력된 전원을 공기분사부재(20)와, 세제분사부재(40)와, 세척액분사부재(30)와, 청소부재(50) 및 청소액흡입부재(60)에 각각 출력시키는 출력전선이 연결된다.
공기분사스위치(72)와, 세척액분사스위치(73)와, 세제분사스위치(74)와, 청소스위치(75) 및 청소액흡입스위치(76)는 컨트롤바디(71)에 스위칭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공기분사스위치(72)는 콤프레셔(23)를 작동시키도록 외부전원을 입력시키고, 세척액분사스위치(73)는 세척액공급펌프(33)를 작동시키도록 외부전원을 입력시키며, 세제분사스위치(74)는 세제공급부(42)를 작동시키도록 외부전원을 입력시키고, 청소스위치(75)는 실린더(52)와 청소모터(55)를 작동시키도록 외부전원을 입력시키며, 청소액흡입스위치(76)는 흡입펌프(63)를 작동시키도록 외부전원을 입력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공기분사스위치(72)와, 세척액분사스위치(73)와, 세제분사스위치(74)와, 청소스위치(75) 및 청소액흡입스위치(76)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서 외벽을 원하는 형태로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70)는 후술되는 승강모터(86)를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승강스위치(77)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스위치(77)의 조작에 의해 승강모터(86)가 정회전이나 역회전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어 청소기케이스(10)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승강수단(80)은 청소기케이스(10)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밀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밀대의 타단에 손잡이를 형성하면서 손잡이의 일측에 컨트롤러(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밀대를 밀면서 컨트롤러(70)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케이스(10)를 외벽에 근접되게 한 상태로 컨트롤러(70)를 통해 공기분사스위치(72)와, 세척액분사스위치(73)와, 세제분사스위치(74)와, 청소스위치(75) 및 청소액흡입스위치(7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 상태로 승강수단(80)인 밀대를 파지하여 청소기케이스(10)를 외벽의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외벽은 상하좌우가 전체적으로 청소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80)은 청소기케이스(10)의 좌우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청소하기 위한 외벽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81)와, 가이드샤프트(8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의 양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82) 및 가이드샤프트(81)들의 상단에 양측이 고정된 상태로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어 청소기케이스(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83)를 포함한다.
가이드샤프트(81)는 상단이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8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84)가 외벽에 걸쳐짐에 따라 가이드샤프트(81)는 외벽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샤프트(81)들의 상단과 하단에는 연결브라켓(85)의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샤프트(81)들은 연결브라켓(85)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의 가이드샤프트(81)들은 청소기케이스(10)의 승강을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고, 상부의 연결브라켓(85)에 후술되는 승강모터(86)가 장착될 수 있다.
승강부재(83)는 가이드샤프트(81)들의 사이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86)와, 승강모터(86)의 축에 결합되는 릴(87)과, 릴(87)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된 상태로 타단이 청소기케이스(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로프(88)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모터(86)는 연결브라켓(85)에 고정되므로 가이드샤프트(81)들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승강스위치(77)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승강모터(86)가 릴(87)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킴에 따라 로프(88)가 릴(87)에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되므로, 가이드부재(82)가 가이드샤프트(81)를 따라 승강됨에 따라 청소기케이스(10)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들뜸이 방지되면서 외벽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때, 컨크롤러(70)를 작동시키면 청소기케이스(10)의 승강에 의해 외벽이 상하로 청소된다. 물론, 외벽의 일측이 청소가 완료된 후에 가이드샤프트(81)들을 외벽의 타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승강모터(86)를 작동시키면서 컨크롤러(70)를 작동시키면 외벽의 타측을 청소한다. 이와 같이, 청소기케이스(10)는 외벽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어서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81)를 따라 승강하면서 외벽을 순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담벽이나 건물의 외벽을 무인으로 청소할 수 있어서, 외벽 청소용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청소기케이스 10a : 바퀴
11 : 수용공간 20 : 공기분사부재
21 : 공기공급관 22 : 공기호스
23 : 콤프레셔 30 : 세척액분사부재
31 : 세척액공급관 32 : 세척액호스
33 : 세척액공급펌프 40 : 세제분사부재
41 : 세제분사노즐 42 : 세제공급부
43 : 세제통 44 : 실린더
50 : 청소부재 51 : 브러시케이스
52 : 실린더 53 : 브러시프레임
54 : 청소브러시 55 : 청소모터
60 : 청소액흡입부재 61 : 청소액흡입관
63 : 흡입펌프 70 : 컨크롤러
71 : 컨트롤바디 72 : 공기분사스위치
73 : 세척액분사스위치 74 : 세제분사스위치
75 : 청소스위치 76 : 청소액흡입스위치
77 : 승강스위치 80 : 승강수단
81 : 가이드샤프트 82 : 가이드부재
83 : 승강부재 84 : 절곡부
85 : 연결브라켓 86 : 승강모터
87 : 릴 88 : 로프

Claims (14)

  1.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는 청소기케이스(10)와,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외벽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재(20)와,
    공기분사부재(2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재(30)와,
    세척액분사부재(3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외벽으로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부재(40)와,
    세제분사부재(4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의 내측에서 전면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외벽을 문질러서 청소하는 청소부재(50)와,
    청소부재(50)의 하부에 이격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에 내장되어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서 외벽에 흐르는 물을 수용공간(11)으로 흡입하는 청소액흡입부재(60)와,
    공기분사부재(20)와, 세제분사부재(40)와, 세척액분사부재(30)와, 청소부재(50) 및 청소액흡입부재(6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청소기케이스(10)는 양측에 복수의 바퀴(10a)가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분사부재(2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공기공급관(21) 및
    공기공급관(21)의 후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콤프레셔(23)에 연결되어 공기공급관(21)에 콤프레셔(23)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호스(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액분사부재(3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세척액공급관(31) 및
    세척액공급관(31)의 후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세척액공급펌프(33)에 연결되어 세척액공급관(31)에 세척액공급펌프(33)의 작동에 의해 세척액을 제공하는 세척액호스(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제분사부재(4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세제분사노즐(41) 및
    세제분사노즐(41)을 통해 세제가 분사되도록 세제분사노즐(41)에 세제를 펌핑하여 제공하는 세제공급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청소부재(5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개구되면서 수용공간(11)에 고정되는 브러시케이스(51)와,
    브러시케이스(51)에 고정되어 컨트롤러(70)에 제어에 의해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52)와,
    실린더(52)의 실린더축에 고정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브러시프레임(53)과,
    브러시프레임(53)의 내측에 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청소브러시(54)와,
    브러시프레임(53)의 일측에 고정되고 청소브러시(54)의 일단에 축결합된 상태로 컨트롤러(70)에 제어에 의해 청소브러시(54)를 회전시키는 청소모터(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청소액흡입부재(60)는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청소액흡입관(61) 및
    청소액흡입관(61)의 후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흡입펌프(63)에 연결되어 흡입펌프(63)의 작동에 의해 청소액흡입관(61)을 통해 흡입되는 청소액과 공기를 이송시키는 공기호스(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청소액흡입관(61)은 끝단에서 하부에 청소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세정액을 모으는 받침대(6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청소액흡입관(61)은 흡입되는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컨트롤바디(71)와,
    공기분사부재(2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공기분사스위치(72)와,
    세척액분사부재(3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세척액분사스위치(73)와,
    세제분사부재(4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세제분사스위치(74)와, 청소부재(5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청소스위치(75) 및
    청소액흡입부재(60)에 외부의 전원을 입력하는 청소액흡입스위치(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어 청소기케이스(10)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청소기케이스(10)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밀대로 구성되는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어 청소기케이스(10)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승강수단(80)은
    청소기케이스(10)의 좌우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청소하기 위한 외벽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81)와,
    가이드샤프트(8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청소기케이스(10)의 양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82) 및
    가이드샤프트(81)들의 상단에 양측이 고정된 상태로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어 청소기케이스(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가이드샤프트(81)는 상단이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8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승강부재(83)는
    가이드샤프트(81)들의 사이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86)와,
    승강모터(86)의 축에 결합되는 릴(87)과,
    릴(87)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된 상태로 타단이 청소기케이스(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로프(88)를 포함하고,
    컨트롤러(70)는 승강모터(86)를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승강스위치(7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청소기.
KR1020150009040A 2015-01-20 2015-01-20 외벽 청소기 Ceased KR20160089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40A KR20160089624A (ko) 2015-01-20 2015-01-20 외벽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40A KR20160089624A (ko) 2015-01-20 2015-01-20 외벽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24A true KR20160089624A (ko) 2016-07-28

Family

ID=5668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40A Ceased KR20160089624A (ko) 2015-01-20 2015-01-20 외벽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962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2730A (zh) * 2017-10-31 2018-03-20 王臻 一种新能源发电太阳能板生产用清洁机
CN110153060A (zh) * 2018-02-05 2019-08-23 新乡医学院 一种计算机辅助除尘设备
CN111535605A (zh) * 2020-06-06 2020-08-14 余曙光 一种高空作业设备
WO2021034013A1 (ko) * 2019-08-19 2021-02-25 아이브스카이(주) 고층건물 외벽 청소용 드론
WO2021034011A1 (ko) * 2019-08-19 2021-02-25 아이브스카이(주) 고층건물 외벽 도색용 드론
CN112878553A (zh) * 2020-12-30 2021-06-01 美晟通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幕墙清洗的清洗液输送机构及其工作方法
CN112958544A (zh) * 2021-03-11 2021-06-15 湖南文理学院 一种可以降低机箱内灰尘吸附的电脑机箱
CN114054390A (zh) * 2021-09-30 2022-02-18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电站水位标尺自动清洗装置
CN117673910A (zh) * 2023-11-15 2024-03-08 江苏志博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除潮除尘功能的高压配电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2730A (zh) * 2017-10-31 2018-03-20 王臻 一种新能源发电太阳能板生产用清洁机
CN110153060A (zh) * 2018-02-05 2019-08-23 新乡医学院 一种计算机辅助除尘设备
WO2021034013A1 (ko) * 2019-08-19 2021-02-25 아이브스카이(주) 고층건물 외벽 청소용 드론
WO2021034011A1 (ko) * 2019-08-19 2021-02-25 아이브스카이(주) 고층건물 외벽 도색용 드론
US20220267002A1 (en) * 2019-08-19 2022-08-25 Ivesky Co., Ltd. Drone for cleaning outer wall of high-rise building
CN111535605A (zh) * 2020-06-06 2020-08-14 余曙光 一种高空作业设备
CN112878553A (zh) * 2020-12-30 2021-06-01 美晟通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幕墙清洗的清洗液输送机构及其工作方法
CN112878553B (zh) * 2020-12-30 2022-06-28 美晟通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幕墙清洗的清洗液输送机构及其工作方法
CN112958544A (zh) * 2021-03-11 2021-06-15 湖南文理学院 一种可以降低机箱内灰尘吸附的电脑机箱
CN112958544B (zh) * 2021-03-11 2022-03-04 湖南文理学院 一种可以降低机箱内灰尘吸附的电脑机箱
CN114054390A (zh) * 2021-09-30 2022-02-18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电站水位标尺自动清洗装置
CN117673910A (zh) * 2023-11-15 2024-03-08 江苏志博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除潮除尘功能的高压配电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9624A (ko) 외벽 청소기
KR101837182B1 (ko) 외벽 청소기
US4893375A (en) Dual mode floor scrubbing machine
KR20150109812A (ko) 노면의 상태에 따라 청소강도를 조절하는 청소차
CN109351710A (zh) 用于太阳能电池板的清洗设备
KR100898982B1 (ko) 터널 및 방음벽 자동세척장치
CN107503311A (zh) 一种多功能市政清扫装置
JP2009235901A (ja) 壁面清掃車
CN109454084A (zh) 太阳能电池板智能清洗设备
US20090260177A1 (en) Hard surface cleaner
CN210857074U (zh) 一种公路维护用快速清扫装置
KR20210057553A (ko) 무인 유리창 청소시스템
CN109351711A (zh) 用于太阳能电池板的清洗机
WO2018126649A1 (zh) 电动汽车底盘清洁装置及清洁方法
CN207370674U (zh) 智能清扫机器人
KR100879056B1 (ko) 쓰레기 흡입기
JP2016140820A (ja) フィルター洗浄装置
JP2002294648A (ja) 壁面清掃車
KR100917591B1 (ko) 노면 청소차
JPH08154880A (ja) 自動洗浄装置
CN204445689U (zh) 表面清洁设备的地面清洁头
KR100766315B1 (ko) 보도 물청소장비
CN115522695B (zh) 一种建筑防水施工设备
CN218899329U (zh) 一种洗地机
KR20090112285A (ko) 전동 계단 청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