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25825A -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825A
KR20160125825A KR1020150056830A KR20150056830A KR20160125825A KR 20160125825 A KR20160125825 A KR 20160125825A KR 1020150056830 A KR1020150056830 A KR 1020150056830A KR 20150056830 A KR20150056830 A KR 20150056830A KR 20160125825 A KR20160125825 A KR 20160125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fixing
belt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25227B1 (en
Inventor
김응주
김상운
한귀식
Original Assignee
김응주
한귀식
김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주, 한귀식, 김상운 filed Critical 김응주
Priority to KR102015005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227B1/en
Publication of KR20160125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8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22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2Orthopaedic corsets consisting of one or more sh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벨트(11)와, 착용자의 흉부와 등을 감싸는 상부벨트(15)와, 상기 허리벨트(11)와 상부 벨트(15) 사이에서 착용자의 겨드랑이와 허리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견인부(12)와, 상기 허리벨트(11)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12)의 하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견인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고정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견인부(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부재(12a)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12a)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2b)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와 탄성부재(12b)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와 탄성부재(12b)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후 및 좌우로 쉽게 휘어졌다 원상회복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수직 지지부재(12c)를 포함하여 구성된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ist belt for wrapping a waist of a wearer, an upper belt for wrapping a wearer's thorax and the like, and an upper belt for holding a waist belt between the waist belt and the upper belt, And a control fixing part (14) installed on the waist belt (11) for fixing a lower end of the pulling part (12)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ulling part (12) The pulling portion 12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 members 12a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 elastic member 12b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s 12a and 12a, And a flexibl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which is easily bent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by vertically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nd the elastic member 12b through the elastic member 12b and the elastic member 12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a lumbar support.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Description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0001]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0002]

본 발명은 겨드랑이와 골반 사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인장력에 의하여 상체의 척추를 지지하고 견인하여 척추와 골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척추와 골반이 좋지 않은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켜 줄 수 있고 정상인도 척추와 골반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반신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 주어 심폐 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spinal column of the upper body by pulling tension between the axilla and the pelvis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alleviate the load applied to the spinal column and the pelvis, thereby alleviating the pain of the poor spinal column and pelv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al support and traction device that can suppress the incidence of spinal and pelvic disease and maintain the upper body posture properly so that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is maintained smoothly.

종래 허리를 견인하거나 척추를 견인하여 허리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 장치로서는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various devices have been proposed as devices for pulling back the waist or pulling the spine to relieve back pain.

이러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0518호에는 양 벨트를 골반과 허리에 각각 착용하여 양 벨트 사이의 견인장치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강제 인장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치료하거나 통증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허리 견인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골반과 허리에 각각 벨트를 착용하고 이 벨트 사이에 인장력을 주도록 되어 있다. 다라서 벨트가 헐렁하게 착용되면 벨트와 신체가 겉돌게 되고, 벨트를 꽉조이면 혈액순환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척추를 인장시키기보다는 피부만을 늘어나게 하여 소망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Such a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370518, in which both belts are attached to the pelvis and the waist respectively, and are pull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y a pulling device between the two belts, thereby treating the disc or relieving the pain. . In this case, a belt is put on each of the pelvis and the waist and tension is applied between the belts. Therefore, when the belt is loosely worn, the belt and the body are outwardly turned, and when the belt is tightly tightened, the blood circulation is hindered. Moreo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red effect can not be achieved by stretching only the skin rather than stretching the spine.

또한, 또 다른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5750호에는 흉추와 요추를 다쳤거나 디스크손상이 있거나 수술 후 회복기간에 있는 환자의 경우에 일상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척추환자를 위한 척추 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척추 보조기에는 작동펌프가 압축용수철과 공기펌프로 이중으로 되어 있어 평상시의 상체의 무게는 물론 순간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은 상체를 들어올리는 압축펌프의 기능이 움직이지 않은 것보다는 척추의 축 방향으로 즉 상하로 많이 움직일수록 활동을 많이 할수록 훨씬 강하게 작용하여 더욱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고 되어 있다.As another devic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95750 discloses a spinal assist device for a spinal patient that enables daily living in the case of a patient who has injured the thoracic and lumbar spine, has a disk damage, or is in recovery period after surgery have. This vertebral orthosis is equipped with a compression spring and an air pump to double the working pump to absorb the instantaneous impact as well as the weight of the upper body. This means that the function of the compression pump to lift the upper body is not moving, Direction, that is, the higher the movement is, the more the action is performed, the stronger the action becomes, so that the function can be performed more.

그런데, 이 척추 보조기의 경우에는 압축폴대가 압축펌프의 펌프몸통에 삽입가능하도록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되는데, 착용자가 전후와 좌우로 몸을 움직일 경우 압축폴대가 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압축펌프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착용자가 전후와 좌우로 몸을 심하게 장기간 지속적으로 움직일 경우 압축폴대와 압축펌프의 펌프몸통의 접촉부분이 망가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압축폴대와 압축펌프의 펌프몸통의 접촉부분이 망가져서 서로 분리될 경우 압축폴대가 착용자의 옆구리를 찌르게 되어 심각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spinal orthosis, the compression pole is configured to be straight so as to be insertable into the pump body of the compression pump. When the wearer moves his / her body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the compression pole is b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lost. Furthermore, when the wearer moves his body deeply and continuously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tact between the compression pole and the pump body of the compression pump is broken. When the contact portions between the compression pole and the pump body of the compression pump are broken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mpression pole pierces the side of the wearer, thereby causing a serious safety accid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5750호Korean Patent No. 10-049575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0518호Korean Patent No. 10-13705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9537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953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1191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119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240호Korean Utility Model No. 20-044624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5846호Korean Patent No. 10-059584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2432호Korean Patent No. 10-061243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6353호Korean Patent No. 10-106635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2174호Korean Patent No. 10-114217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5285호Korean Patent No. 10-120528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4556호Korean Patent No. 10-129455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7399호Korean Patent No. 10-129739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8669호Korean Patent No. 10-148866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겨드랑이와 골반 사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인장력에 의하여 상체의 척추를 지지하고 견인하여 척추와 골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척추와 골반이 좋지 않은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켜 줄 수 있고 정상인도 척추와 골반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반신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 주어 심폐 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lvis which supports and supports the spinal column of the upper body by a constant tension force in opposite directions between the armpits and the pelvis, And the pelvis can alleviate the pain of the poor patient, can suppress the incidence of normal people spine and pelvic disease, and maintains the upper body posture to maintai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to support the spine support and traction device There is a purpose in th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벨트(11)와, 착용자의 흉부와 등을 감싸는 상부벨트(15)와, 상기 허리벨트(11)와 상부 벨트(15) 사이에서 착용자의 겨드랑이와 허리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견인부(12)와, 상기 허리벨트(11)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12)의 하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견인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고정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견인부(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부재(12a)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12a)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2b)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와 탄성부재(12b)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와 탄성부재(12b)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후 및 좌우로 쉽게 휘어졌다 원상회복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수직 지지부재(12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ist belt 11 surrounding a waist of a wearer, an upper belt 15 surrounding a wearer's chest and back, A pulling portion 12 vertically disposed between the belt 11 and the upper belt 15 between the side and the waist of the wearer and a fixing portion 12 fixed to the waist belt 11 and fix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ulling portion 12 And an adjusting and fixing unit 14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ulling unit. The pulling unit 12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ing members 12a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ing members 12a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nd the elastic member 12b are vertically supported by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nd the elastic member 12b, Flexible to the right and left Including straight support member (12c)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여기서, 상기 견인부(12)는 완충부재(16)와 상부지지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착용시에 착용자의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압박을 완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견인부(12)와 완충부재(16)는 외피(17)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lling portion 12 includes a cushioning member 16 and an upper supporting portion 13 so as to relieve the pressing of the side and the side of the wearer when worn. (16) is preferably surrounded by an outer skin (17).

또한, 상기 완충부재(16)는 솜이나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지지부(13)와 외피(17)는 섬유재, 인조가죽, 천연가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shioning member 16 may be made of cotton or a fibrous material, and the upper support 13 and the sheath 17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fibrous material, artificial leather, and natural leather.

또한, 상기 견인부(12) 주변의 완충재(16)와 외피(17) 및 상부지지부(13)을 감싸는 에어큐션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ir cushion member which surrounds the cushioning member 16, the sheath 17 and the upper supporting unit 13 around the pulling unit 12. [

또한, 상기 허리벨트(11)와 상부벨트(15)는 전방 중앙에 연결부재(11a)(15a)에 의하여 분리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허리벨트(11)와 상부벨트(15)의 전방과 후방의 소정 위치에 그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ist belt 11 and the upper belt 15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s 11a and 15a at the center of the front, It is preferable that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length thereof is furth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ear side.

또한,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는 상하면에 탄성부재(12b)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12a_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2a_1)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수직 지지부재(12c)가 끼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에는 홈(12a_1)과 관통홀이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탄성부재(12b)와 수직 지지부재(12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is formed with a groove 12a_1 in whic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member 12b are fitte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groove 12a_1, A plurality of grooves 12a_1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lastic members 12b and the vertical support members 12c are provided.

또한,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중 최하위 수평 지지부재(12a)의 측부에는 수직 지지부재(12c)의 관통홀과는 수직하게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조절 고정부(14)와의 결합용 다수의 관통홀(12a_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most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perpendicularly to the through holes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12a_2) are formed.

또한, 상기 탄성부재(12b)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지지부재(12c)는 면과 고무가 혼합된 탄성 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12b is constituted by a tension spring and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is composed of an elastic cord in which a surface and rubber are mixed.

또한,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는 플라스틱 재질, 고무재질 또는 강도가 높은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또한, 상기 조절 고정부(14)는 제1고정부(14a)와 가동고정부(14b) 및 제2고정부(14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14a)는 상기 허리벨트(11)에 고정결합되고,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14a_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고정부(14b)는 그 상부에 볼트(B)에 의하여 최하위 수평 지지부재(12a)의 관통홀(12a_2)과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14b_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는 요철부(14b_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부(14c)는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14a_1)이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하여 제1고정부(14a)의 관통홀(14a_1)에 끼워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그 가운데 내측에는 상기 가동고정부(14b)의 요철부(14b_2)와 결합하는 요철부(14c_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justment part 14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14a, a movable fixing part 14b and a second fixing part 14c. The first fixing part 14a is fixed to the waist belt 14a,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14a_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fixing portion 14b and the movable fixing portion 14b is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12a by bolts B, A through hole 14b_1 for coupling with the hole 12a_2 is formed and a concave and a convex portion 14b_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through hole 14a_2. The second fixing portion 14c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14a_1 of the movable fixing portion 14b are formed and engaged with the through holes 14a_1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4a by the bolts B and engage with the recessed portions 14b_2 of the movable fixing portion 14b in the middle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4c_2 is formed.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는, 상기한 일 실시 양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의자, 소파, 카시트 및 방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는 받침구조(3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받침 구조(30)에는 상기 조절고정부(14)의 하방돌출부(14_1)가 삽입되는 구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upport and the traction device are fixed to any one of a chair, a sofa, a car seat, Wherein the support structure (30) further comprises a structure (30) in which a downward protrusion (14_1) of the adjustment fixture (14)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받침 구조(30)는 베이스(31)와, 상기 베이스(31)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브라킷(32)와, 상기 브라킷(32)의 상부에 결합된 안착조절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착조절부(33)는, 브라킷(3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측에서 관통홀 사이에 다수의 요철(33a_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고정부(33a)와, 그 상부에 조절고정부(14)의 하방돌출부(14_1)가 삽입되는 삽입공(33b_1)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에 제1고정부(33a)의 요철부(33a_1)와 결합하는 다수의 요철(33b_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안착고정부(33b)와,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하여 제1고정부(33a)의 관통홀(33a_1)에 끼워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제2고정부(33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structure 30 includes a base 31, a bracket 32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31, and a seat adjustment part 33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32 The seating adjustment part 33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racket 32 and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32. A plurality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33a_1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sertion hole 33b_1 for inserting the downward projection 14_1 of the adjustment fixing part 14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33a,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fixing part 33b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parts 33b_2 that ar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33a_1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fixing portion 33c which is adapt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portion 33a_1.

또한, 상기 베이스(31)에는 상기 브라킷(32)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각각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2개의 장공(31a)(3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장공(31a)(31a)에 대응하는 상기 브라킷(32) 상에는 볼팅공(32a)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킷(32)이 베이스(31)상에서 장공(31a)(31a)을 따라 이동하여 볼팅공(32a)을 통하여 볼팅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브라킷(32)(32)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wo elongated holes 31a and 31a are formed in the base 31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32. The elongated holes 31a and 31a correspond to the elongated holes 31a and 31a, Bolt holes 32a are formed on the bracket 32 so that the bracket 32 moves along the elongated holes 31a and 31a on the base 31 and is bolted through the bolt hole 32a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brackets 32 and 3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또한, 상기 받침 구조(30)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바닥의 딱딱함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쿠션재로 감싸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structure 30 is wrapp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so as to reduce the rigidity of the floor when the user is se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의하면, 겨드랑이와 골반 사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인장력에 의하여 상체의 척추를 지지하고 견인하여 척추와 골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척추와 골반이 좋지 않은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켜 줄 수 있고 정상인도 척추와 골반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반신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 주어 심폐 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용시에 상반신의 전후와 좌우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pinal support and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spinal column of the upper body is supported and pulled by a constant tension force between the axilla and the pelvis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spinal column and the pelvis The spine and pelvis can relieve the pain of the poor patient. The normal person can inhibit the development of the spine and pelvic disease, and the upper body posture can be properly maintained, so that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can be maintained smoothl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front and rear of the upper body and left and right movement can be freely performed when worn.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의하면, 의자, 소파, 카시트나 방석 등에 앉았을 때 받침 구조와 결합하여, 겨드랑이와 골반 사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인장력에 의하여 상체의 척추를 지지하고 견인하여 척추와 골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척추와 골반이 좋지 않은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켜 줄 수 있고 정상인도 척추와 골반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반신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 주어 심폐 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착용시에 상반신의 전후와 좌우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which are combined with a support structure when sitting on a chair, a sofa, a car seat or a cushion, By supporting the spinal column of the upper body and relieving the load applied to the spine and pelvis by traction, it can alleviate the pain of the poor spine and pelvis, and can suppress the incidence of normal spinal and pelvic disease. It is possible to keep the posture properly and maintai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smoothly, and also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of the upper body when wor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반 쪽만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의 반 쪽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의 반 쪽만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절 고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받침 구조와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받침 구조의 상하 조절과 좌우 조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자에 설치된 받침 구조와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측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re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re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only a side view of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one side of a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one side of a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and fixing unit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re combined with a support structure installed in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ssential part of Fig. 9,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ess shown in Fig. 10,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ertical adjustment and the lateral adjustment of th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11,
FIG. 1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a support structure provided on a chair in a state in which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re wo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view of Fig. 13;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re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re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본 발명의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10)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벨트(11), 착용자의 흉부와 등을 감싸는 상부벨트(15), 상기 허리벨트(11)와 상부 벨트(15) 사이에서 착용자의 겨드랑이와 허리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견인부(12), 상기 허리벨트(11)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12)의 하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견인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고정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ist belt 11 surrounding the wearer's waist, an upper belt 15 surrounding the wearer's chest and back, An adjusting and fixing unit 14 installed on the waist belt 11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pulling unit 12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ulling unit 12, .

여기서, 견인부(12)는 완충부재(16)와 상부지지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착용시에 착용자의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압박을 완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부(12)와 완충부재(16)는 외피(17)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16)는 솜이나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지지부(13)와 외피(17)는 섬유재, 인조가죽, 천연가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pulling portion 12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cushioning member 16 and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13,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elieve the pressing of the side and the side of the wearer when worn.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ing portion 12 and the buffering member 16 are surrounded by a sheath 17. The cushioning member 16 may be made of cotton or a fibrous material. The upper support portion 13 and the sheath 17 may b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a fibrous material, an artificial leather, and a natural leath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허리벨트(11)는 전방 중앙에 연결부재(11a)에 의하여 분리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허리벨트(11)의 전방과 후방의 소정 위치에 그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허리벨트(11)의 전방과 후방에 벨크로 구성을 구비하여 그 길이를 조절 가능하고 또한 분리 결합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The waist belt 11 is detachably connectable to the front center of the waist belt 11 by means of a connecting member 11a and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aist belt 11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front of and behind the waist belt 11 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lternatively, the waist belt 11 may have a Velcro configuration in front of and behind the waist belt 11 so that its length can be adjusted and separated.

또한, 상부벨트(15)도 전방 중앙에 연결부재(15a)에 의하여 분리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부벨트(15)의 전방과 후방의 소정 위치에 그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상부벨트(15)의 전방과 후방에 벨크로 구성을 구비하여 그 길이를 조절 가능하고 또한 분리 결합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Further, the upper belt 15 is also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center by a connecting member 15a. If necessary,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upper belt 15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and behind the upper belt 15 is added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upper belt 15 may be provided with a Velcro structure at the front and rear thereof, and the length thereof may be adjustable and detachably coupl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반 쪽만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의 반 쪽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의 반 쪽만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조절 고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6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one half of the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juster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governor.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부(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부재(12a)와, 수평 지지부재(12a)(12a)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2b)와, 수평 지지부재(12a)와 탄성부재(12b)를 관통하여 수평 지지부재(12a)와 탄성부재(12b)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 지지부재(1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ulling portion 12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 members 12a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 elastic member 12b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s 12a and 12a, And a vertical support member 12c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nd the elastic member 12b to vertically support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nd the elastic member 12b.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는 상하면에 탄성부재(12b)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12a_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2a_1)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수직 지지부재(12c)가 끼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평 지지부재(12a)에는 홈(12a_1)과 관통홀이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탄성부재(12b)와 수직 지지부재(12c)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수평 지지부재(12a)가 설치되어 있고, 각 수평 지지부재(12a)에 상하면에 각각 4개의 홈(12a_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20개의 탄성부재(12b)와 4개의 수직 지지부재(12c)가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최하위 수평 지지부재(12a)의 측부에는 수직 지지부재(12c)의 관통홀과는 수직하게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조절 고정부(14)와의 결합용 다수의 관통홀(12a_2)이 형성되어 있다.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is formed with a groove 12a_1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12b is inserted.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groove 12a_1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Respectively. A plurality of grooves 12a_1 and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rrespondingly the elastic members 12b and the vertical support members 12c may be provided . In this embodiment, six horizontal support members 12a are provided. Four horizontal grooves 12a_1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Twenty elastic members 12b and Four vertical supporting members 12c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a_2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st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for engagement with the adjustment and fixing unit 14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perpendicularly to the through holes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상기 탄성부재(12b)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프링의 인장력을 계산하여 척추의 견인 정도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부재(12c)는 전후 및 좌우로 쉽게 휘어졌다 원상회복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면과 고무가 혼합된 탄성 끈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끈으로 구성할 경우 탄성 끈을 끼운 상태에서 최상위 수평 지지부재(12a)의 상부 홈(12a_1)과 최하위 수평 지지부재(12a)의 하부 홈(12a_1)의 외측으로 각각 관통홀에 빠지지 않을 정도로 두꺼운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2b may be constituted by a tension spring. In this case, the pulling force of the spine can be easily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tensile force of the spring.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easily bent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and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For example,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cord mixed with a surface and rubber. When the elastic straps are used, the elastic grooves 12a_1 and 12a_1 of the uppermost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nd the lower grooves 12a_1 of the lowest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re thick enough not to fall into the through- A knot can be formed and fixed.

또한,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는 플라스틱 재질, 고무재질 또는 강도가 높은 실리콘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견인부(12)는 겨드랑이와 골반 사이에서 탄성부재(12b)에 의하여 골반과 겨드랑이를 서로 밀어내어 척추가 견인된다. 또한, 견인부(12)는 좌우 방향으로 쉽게 휘어지고 전후 방향으로도 쉽게 휘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의 착용시에 상반신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과 좌우 방향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The pulling portion 12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pushes the pelvis and the armpit against each other by the elastic member 12b between the armpit and the pelvis to pull the spine. Further, the pulling portion 12 is easily b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s easily b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he upper body can be free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spine support and the pulling device are worn.

한편, 상기 견인부(12)의 상단은 상부지지부(13)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조절 고정부(14)에 고정된다.The upper end of the pulling portion 12 is fixed to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13 and the lower end of the pulling portion 12 is fixed to the adjusting and fixing portion 14.

상기 조절 고정부(14)는 제1고정부(14a)와 가동고정부(14b) 및 제2고정부(1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djusting and fixing unit 14 includes a first fixing unit 14a, a movable fixing unit 14b, and a second fixing unit 14c.

상기 제1고정부(14a)는 허리벨트(11)에 고정결합되고,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14a_1)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fixing portion 14a is fixedly coupled to the waist belt 11 and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14a_1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가동고정부(14b)는 그 상부에 볼트(B)에 의하여 최하위 수평 지지부재(12a)의 관통홀(12a_2)과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14b_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는 요철부(14b_2)가 형성되어 있다.The movable fixing portion 14b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4b_1 for coupling with the through hole 12a_2 of the lowermost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12a by bolts B on its upper portion, (14b_2) are formed.

상기 제2고정부(14c)는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14a_1)이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하여 제1고정부(14a)의 관통홀(14a_1)에 끼워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그 가운데 내측에는 상기 가동고정부(14b)의 요철부(14b_2)와 결합하는 요철부(14c_2)가 형성되어 있다.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14a_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4c so as to fit into the through holes 14a_1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4a by the bolts B, And a concavo-convex portion 14c_2 engaging with the concavo-convex portion 14b_2 of the movable fixing portion 14b is formed in the center inside thereof.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절 고정부(14)에 의하면 착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견인부(12)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pulling portion 12 can be easily adjusted and fixed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wearer with the adjustment and fixing portion 1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의 필수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옆구리 등의 보호를 위한 구성을 더 보강할 수도 있으며. 더욱이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조끼 형상의 의복에 내장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Although only essential components of the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are shown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is possible to further reinforce the configuration for protecting the side, etc., if necessary. Furthermore, the spinal support and traction device may be built into a vest-shaped garme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의하면, 겨드랑이와 골반 사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인장력에 의하여 상체의 척추를 지지하고 견인하여 척추와 골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척추와 골반이 좋지 않은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켜 줄 수 있고 정상인도 척추와 골반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반신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 주어 심폐 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용시에 상반신의 전후와 좌우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pinal support and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load applied to the spinal column and the pelvis by supporting and pulling the spinal column of the upper body by a constant tension force in opposite directions between the armpits and the pelvis. The spine and pelvis can relieve the pain of the poor patient. The normal person can inhibit the development of the spine and pelvic disease, and the upper body posture can be properly maintained, so that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can be maintained smoothl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front and rear of the upper body and left and right movement can be freely performed when worn.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6. Fig.

본 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의자, 소파, 카시트나 방석 등에 앉았을 때 상체의 척추를 지지하고 견인하여 척추와 골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며 상반신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 주면서 상반신의 전후와 좌우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embodiment supports the spinal column of the upper body when sitting on a chair, a sofa, a car seat or a cushion, reduces the load applied to the spinal column and the pelvis, and maintains the upper body posture. And to allow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pine to be freely per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과 도시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의자와 결합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한정하여 설명 및 도시를 하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given only for a spinal support and traction device combined with a chair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simplification of illust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이하의 설명 및 도시에서는 상기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받침 구조와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re combined with a support structure installed in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상기한 일 실시예와 근본적인 차이는 일 실시예의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10)와 결합하는 받침구조(30)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동 도면에서는 받침 구조(30)가 의자(20)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 구조(30)는 도면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사용자가 앉았을 때 바닥의 딱딱함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쿠션재로 감싸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도면 부호 "10"은 상기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도면 부호 "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structure 30 which is combined with the spinal support and traction device 10 of one embodiment. In the figure, the supporting structure 30 is fixed to the chair 2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upporting structure 30 is preferably wrapp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to reduce the rigidity of the floor when the user is seated. The reference numeral "10 " in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ference numeral" 10 "shown in Figs. 1 to 8,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은 도 9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받침 구조(30)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9,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structure 30 shown in Fig.

상기 받침 구조(30)는 베이스(31)와, 상기 베이스(31)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브라킷(32)와, 상기 브라킷(32)의 상부에 결합된 안착조절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structure 30 includes a base 31, a bracket 32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31, and a seat adjustment part 33 coupled to the top of the bracket 32 .

상기 안착조절부(33)는 제1고정부(33a)와 안착가동부(33b) 및 제2고정부(3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t adjustment part 33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33a, a seat moving part 33b and a second fixing part 33c.

상기 제1고정부(33a)는 브라킷(3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측에서 관통홀 사이에 다수의 요철(33a_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fixing portion 33a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32.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3a and a plurality of uneven portions 33a_1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안착고정부(33b)는 그 상부에 조절고정부(14)의 하방돌출부(14_1)가 삽입되는 삽입공(33b_1)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에 제1고정부(33a)의 요철부(33a_1)와 결합하는 다수의 요철(33b_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eat fixing portion 33b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33b_1 into which the downward projection 14_1 of the adjustment fixing portion 14 is inserted and has a recessed portion 33b_1 A plurality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33b_2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2고정부(33c)는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하여 제1고정부(33a)의 관통홀(33a_1)에 끼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fixing portion 33c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on both sides thereof and is fitted to the through hole 33a_1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3a by bolts.

한편, 베이스(31)에는 브라킷(32)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각각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2개의 장공(31a)(3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장공(31a)(31a)에 대응하는 브라킷(32) 상에는 볼팅공(32a)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킷(32)이 베이스(31)상에서 장공(31a)(31a)을 따라 이동하여 볼팅공(32a)을 통하여 볼팅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브라킷(32)(32)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two long holes 31a and 31a are formed in the base 31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32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brackets 31a and 31a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s 31a and 31a, 32 each have one bolting hole 32a formed therein. The bracket 32 moves along the elongated holes 31a and 31a on the base 31 and is fixed by bolting through the bolt hole 32a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brackets 32 and 32 And the like.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받침 구조의 상하 조절과 좌우 조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ertical adjustment and the lateral adjustment of th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조절부(33)에 의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견인부(12)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킷(32)이 베이스(31)의 장공(31a)(31a)과 브라킷(32)의 볼팅공 및 볼트에 의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브라킷(32)(32) 사이의 간격을 손쉽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ight of the pulling portion 12 can be easily adjusted and fixed by the seat adjusting portion 33 in accordance with the wearer's body. The bracket 32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rackets 32 and 32 by the bolts and bolts of the bracket 32 and the elongated holes 31a and 31a of the base 31 Can be adjusted and fixed.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자에 설치된 받침 구조와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측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ing structure provided on a chair is engaged with a supporting device for a lumbar support and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front view Fig.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의하면, 의자에 앉았을 때 받침 구조(30)와 결합하여, 겨드랑이와 골반 사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인장력에 의하여 상체의 척추를 지지하고 견인하여 척추와 골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척추와 골반이 좋지 않은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켜 줄 수 있고 정상인도 척추와 골반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반신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 주어 심폐 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착용시에 상반신의 전후와 좌우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ccording to the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of this embodiment, when it is seated on a chair, it is engaged with the support structure 30, and a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armpit and the pelvis, By supporting the spine and pulling it to reduce the load on the spine and pelvis, the spine and pelvis can alleviate the pain of the poor patient, and can suppress the incidence of normal spinal and pelvic disease, And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can be smoothly maintained.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pper and lower back and left and right movements can be made freely when worn.

한편, 본 발명은 견인부(12) 주변의 완충재(16)와 외피(17) 및 상부지지부(13)을 감싸는 에어큐션부재를 더 구비하여 구성하여도 되며, 이 경우 접촉하는 신체부위의 밀착감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완충감을 훨씬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air cushion member which surrounds the cushioning member 16, the outer skin 17 and the upper supporting unit 13 around the pulling unit 12. In this case, And can also greatly increase the cushioning feeling.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10 :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11 : 허리벨트
12 : 견인부 12a : 수평 지지부재
12a_1 : 홈 12b : 탄성부재
12c : 수직 지지부재 13 : 상부지지부
14 : 조절고정부 14a : 제1고정부
14b : 가동고정부 14b_2 : 요철부
14c : 제2고정부 14c_2 : 요철부
14_1 : 하방돌출부 15 : 상부벨트
16 : 완충부재 17 : 외피
20 : 의자 30 : 받침 구조
31 : 베이스 31a : 장공
32 : 브라킷 32a : 볼팅공
33 : 안착조절부 33a : 제1고정부
33a_1 : 요철부 33b : 안착가동부
33b_1 : 홀 33b_2 : 요철부
33c : 제2고정부
10: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11: waist belt
12: pulling portion 12a: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12a_1: groove 12b: elastic member
12c: vertical support member 13: upper support
14: Adjustment fixing part 14a: First fixing part
14b: movable fixing portion 14b_2: concave-
14c: second fixing portion 14c_2: concave / convex portion
14_1: downward protrusion 15: upper belt
16: buffer member 17: sheath
20: Chair 30: Support structure
31: Base 31a: Long hole
32: Bracket 32a: Bolt hole
33: seat adjustment section 33a: first fixing section
33a_1: concave / convex portion 33b:
33b_1: hole 33b_2: concave and convex portion
33c:

Claims (14)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벨트(11)와,
착용자의 흉부와 등을 감싸는 상부벨트(15)와,
상기 허리벨트(11)와 상부 벨트(15) 사이에서 착용자의 겨드랑이와 허리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견인부(12)와,
상기 허리벨트(11)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12)의 하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견인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고정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견인부(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부재(12a)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12a)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2b)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와 탄성부재(12b)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와 탄성부재(12b)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후 및 좌우로 쉽게 휘어졌다 원상회복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수직 지지부재(12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A waist belt 11 surrounding the wearer's waist,
An upper belt 15 surrounding the chest and back of the wearer,
A pulling portion 12 vertically disposed between the waist belt 11 and the upper belt 15 between the side of the wearer and the waist,
(14) provided on the waist belt (11)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pulling part (12)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ulling part (12)
The pulling portion 12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 members 12a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 elastic member 12b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s 12a and 12a, And a flexibl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which is easily bent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by vertically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nd the elastic member 12b through the elastic member 12b and the elastic member 12b, And a lumbar support and tra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12)는 완충부재(16)와 상부지지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착용시에 착용자의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압박을 완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견인부(12)와 완충부재(16)는 외피(17)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lling portion 12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shioning member 16 and an upper supporting portion 13 so as to relieve the pressure on the side and the side of the wearer when worn,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ling portion (12) and the buffering member (16) are surrounded by a sheath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6)는 솜이나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지지부(13)와 외피(17)는 섬유재, 인조가죽, 천연가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uffer member 16 is made of cotton or a fibrous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pport part (13) and the outer skin (17) ar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a fibrous material, artificial leather and natural lea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12) 주변의 완충재(16)와 외피(17) 및 상부지지부(13)을 감싸는 에어큐션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air cushion member surrounding the cushioning material (16), the outer skin (17) and the upper support (13) around the pulling part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11)와 상부벨트(15)는 전방 중앙에 연결부재(11a)(15a)에 의하여 분리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허리벨트(11)와 상부벨트(15)의 전방과 후방의 소정 위치에 그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ist belt 11 and the upper belt 1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s 11a and 15a at the front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ist belt (11) and the upper belt (15) are further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thereof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and behind the waist belt (11) and the upper belt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는 상하면에 탄성부재(12b)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12a_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2a_1)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수직 지지부재(12c)가 끼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에는 홈(12a_1)과 관통홀이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탄성부재(12b)와 수직 지지부재(12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is formed with a groove 12a_1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12b is inserted.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groove 12a_1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Respectively,
A plurality of grooves 12a_1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elastic member 12b and a vertical support member 12c are provided corresponding thereto A spinal support and trac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중 최하위 수평 지지부재(12a)의 측부에는 수직 지지부재(12c)의 관통홀과는 수직하게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조절 고정부(14)와의 결합용 다수의 관통홀(12a_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a_2 for coupling with the adjustment and fixing unit 14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st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among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s 12a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perpendicularly to the through holes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umbar suppo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2b)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지지부재(12c)는 면과 고무가 혼합된 탄성 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lastic member 12b is constituted by a tension sp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c) is composed of an elastic cord with a mixture of a face and a rub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12a)는 플라스틱 재질, 고무재질 또는 강도가 높은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2a)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e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고정부(14)는 제1고정부(14a)와 가동고정부(14b) 및 제2고정부(14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14a)는 상기 허리벨트(11)에 고정결합되고,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14a_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고정부(14b)는 그 상부에 볼트(B)에 의하여 최하위 수평 지지부재(12a)의 관통홀(12a_2)과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14b_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는 요철부(14b_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부(14c)는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14a_1)이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하여 제1고정부(14a)의 관통홀(14a_1)에 끼워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그 가운데 내측에는 상기 가동고정부(14b)의 요철부(14b_2)와 결합하는 요철부(14c_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djusting and fixing unit 14 includes a first fixing unit 14a, a movable fixing unit 14b and a second fixing unit 14c,
The first fixing portion 14a is fixedly coupled to the waist belt 11 and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14a_1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he movable fixing portion 14b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4b_1 for coupling with the through hole 12a_2 of the lowermost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12a by bolts B on its upper portion, (14b_2) is 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14a_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4c so as to fit into the through holes 14a_1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4a by the bolts B, And a concavo-convex portion (14c_2) engaging with the concavo-convex portion (14b_2) of the movable fixing portion (14b)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enter.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자, 소파, 카시트 및 방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는 받침구조(3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받침 구조(30)에는 상기 조절고정부(14)의 하방돌출부(14_1)가 삽입되는 구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a supporting structure (30) fixedly installed on any one selected from a chair, a sofa, a car seat and a cush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tructure (30) is formed wit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ownward projection (14_1) of the adjustment fixture (14) is inser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구조(30)는 베이스(31)와, 상기 베이스(31)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브라킷(32)와, 상기 브라킷(32)의 상부에 결합된 안착조절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착조절부(33)는, 브라킷(3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측에서 관통홀 사이에 다수의 요철(33a_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고정부(33a)와, 그 상부에 조절고정부(14)의 하방돌출부(14_1)가 삽입되는 삽입공(33b_1)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에 제1고정부(33a)의 요철부(33a_1)와 결합하는 다수의 요철(33b_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안착고정부(33b)와, 그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하여 제1고정부(33a)의 관통홀(33a_1)에 끼워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제2고정부(33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structure 30 includes a base 31, a bracket 32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31, and a seat adjustment part 33 coupled to the top of the bracket 32 ,
The seating adjustment part 33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32 and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parts 33a_1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through holes. The first fixing part 33a and the insertion hole 33b_1 into which the downward protruding part 14_1 of the adjustment fixing part 14 is inserted are formed and the protruding part 33a_1 of the first fixing part 33a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fixing part 33b so that the through hole 33a_1 of the first fixing part 33a is fixed by the bolt to the seat fixing part 33b, And a second fixing portion (33c) adapt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portion (33c).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1)에는 상기 브라킷(32)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각각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2개의 장공(31a)(3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장공(31a)(31a)에 대응하는 상기 브라킷(32) 상에는 볼팅공(32a)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킷(32)이 베이스(31)상에서 장공(31a)(31a)을 따라 이동하여 볼팅공(32a)을 통하여 볼팅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브라킷(32)(32)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wo elongated holes 31a and 31a are formed in the base 31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32. The elongated holes 31a and 31a, And one bolt hole 32a is formed on each of the bolt holes 32,
The bracket 32 moves along the elongated holes 31a and 31a on the base 31 and is fixed by bolting through the bolt hole 32a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brackets 32 and 32 Of the lumbar support and the traction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구조(30)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바닥의 딱딱함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쿠션재로 감싸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said backing structure (30) is wrapp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to reduce the hardness of the floor when the user is seated.
KR1020150056830A 2015-04-22 2015-04-22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Expired - Fee Related KR101725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30A KR101725227B1 (en) 2015-04-22 2015-04-22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30A KR101725227B1 (en) 2015-04-22 2015-04-22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825A true KR20160125825A (en) 2016-11-01
KR101725227B1 KR101725227B1 (en) 2017-04-11

Family

ID=5748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8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5227B1 (en) 2015-04-22 2015-04-22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22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8680A (en) * 2021-07-30 2021-12-1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四医学中心 Lifting shoulder balance adjustment orthopaedic support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30058946A (en) * 2021-10-25 2023-05-03 김홍일 Apparatus for correcting spinal column
KR102530190B1 (en) * 2022-05-16 2023-05-10 박장형 Medical apparatus for spinal relaxation
KR20230001020U (en) * 2021-11-11 2023-05-18 박장형 Backbone relax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6359A1 (en) * 2018-11-20 2020-05-27 Chin-Sung Yang Lumbar support bel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717B1 (en) * 1997-06-09 1999-06-15 박창준 Medical aid for the treatment of intervertebral hernia
KR20010086859A (en) * 2000-03-03 2001-09-15 김영배 A backbone assistant machine
KR200301191Y1 (en) 2002-10-15 2003-01-15 (주)맞춤운동인터헬스 A Vest for Lumbar Vertical Traction
KR20040046240A (en) 2002-11-26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witching driving power transmission mode of washing machine
KR100495750B1 (en) 2002-05-16 2005-06-16 이용식 Spinal Orthosis for Disc Therapy
KR200393967Y1 (en) * 2005-05-30 2005-08-31 김한수 Portable weight dispersion device
KR200399537Y1 (en) 2005-08-09 2005-10-25 김광일 Chair for traction waist and neck
KR100595846B1 (en) 2005-01-07 2006-06-30 노인규 Spinal Traction Vest with Lower Body Wear
KR100612432B1 (en) 2003-07-26 2006-08-16 빈 이 Pneumatic Lumbar Traction device
KR101066353B1 (en) 2009-02-02 2011-09-20 조경옥 Waistguard with Traction System
KR20110114119A (en) * 2010-04-13 2011-10-19 차성욱 Lumbar protector
KR101142174B1 (en) 2009-10-13 2012-05-07 최병재 Load decreasing device for disc patient sitting on a chair
KR101205285B1 (en) 2011-08-31 2012-11-27 김정원 remedying belt for spine fixing and pulling
KR101294556B1 (en) 2011-12-23 2013-08-07 김정원 Correction Belt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KR101297399B1 (en) 2012-04-30 2013-08-16 김정원 Traction apparatus for lumbar using elastic recovery
KR101370518B1 (en) 2012-07-27 2014-03-10 유인섭 Waist traction belt
KR101488669B1 (en) 2013-01-28 2015-02-04 권영길 Lumbar support structure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717B1 (en) * 1997-06-09 1999-06-15 박창준 Medical aid for the treatment of intervertebral hernia
KR20010086859A (en) * 2000-03-03 2001-09-15 김영배 A backbone assistant machine
KR100495750B1 (en) 2002-05-16 2005-06-16 이용식 Spinal Orthosis for Disc Therapy
KR200301191Y1 (en) 2002-10-15 2003-01-15 (주)맞춤운동인터헬스 A Vest for Lumbar Vertical Traction
KR20040046240A (en) 2002-11-26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witching driving power transmission mode of washing machine
KR100612432B1 (en) 2003-07-26 2006-08-16 빈 이 Pneumatic Lumbar Traction device
KR100595846B1 (en) 2005-01-07 2006-06-30 노인규 Spinal Traction Vest with Lower Body Wear
KR200393967Y1 (en) * 2005-05-30 2005-08-31 김한수 Portable weight dispersion device
KR200399537Y1 (en) 2005-08-09 2005-10-25 김광일 Chair for traction waist and neck
KR101066353B1 (en) 2009-02-02 2011-09-20 조경옥 Waistguard with Traction System
KR101142174B1 (en) 2009-10-13 2012-05-07 최병재 Load decreasing device for disc patient sitting on a chair
KR20110114119A (en) * 2010-04-13 2011-10-19 차성욱 Lumbar protector
KR101205285B1 (en) 2011-08-31 2012-11-27 김정원 remedying belt for spine fixing and pulling
KR101294556B1 (en) 2011-12-23 2013-08-07 김정원 Correction Belt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KR101297399B1 (en) 2012-04-30 2013-08-16 김정원 Traction apparatus for lumbar using elastic recovery
KR101370518B1 (en) 2012-07-27 2014-03-10 유인섭 Waist traction belt
KR101488669B1 (en) 2013-01-28 2015-02-04 권영길 Lumbar support structur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8680A (en) * 2021-07-30 2021-12-1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四医学中心 Lifting shoulder balance adjustment orthopaedic support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3768680B (en) * 2021-07-30 2023-08-15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四医学中心 Lifting type shoulder balance adjusting orthopedic brace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30058946A (en) * 2021-10-25 2023-05-03 김홍일 Apparatus for correcting spinal column
WO2023075181A3 (en) * 2021-10-25 2023-12-21 김홍일 Spinal correction device
KR20230001020U (en) * 2021-11-11 2023-05-18 박장형 Backbone relaxation device
KR102530190B1 (en) * 2022-05-16 2023-05-10 박장형 Medical apparatus for spinal relaxation
WO2023224339A1 (en) * 2022-05-16 2023-11-23 박장형 Medical device for relaxing sp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227B1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7702A (en) Adjustable patient corrective support apparatus
KR101725227B1 (en)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MX2008011070A (en) Devices for alleviating back strain and back pain.
KR201101171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dynamically
JP2007519428A (en) Chair-mounted back support system
CN110433022B (en) Lumbar vertebra traction device driven by pneumatic muscles
KR101618638B1 (en) Chair equipped with supporter for shoulder
KR100420965B1 (en) 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KR20220016068A (en) Self Gravity Embrace Support Decompression Fixation Spinal Protection Correction Multifunctional Healthcare Seat Device
WO2017014661A2 (en) Chair
KR200466476Y1 (en) Band for protection of waist of chiropractic type
KR101684211B1 (en) pillow for sound sleep
KR101574902B1 (en) Disc Decompression Balancer Combined Face Pillow with Breast Support
KR200456599Y1 (en) Spinal brace
KR20090055662A (en) Chiropractic device by weight traction method
KR20130141827A (en) Sub back pad of a chair
KR101297399B1 (en) Traction apparatus for lumbar using elastic recovery
US20160311354A1 (en) Back support device and system
RU2294732C1 (en) Device for stretching vertebral column
KR100371610B1 (en) A spine correcting method of using the chair
KR200270422Y1 (en) 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US7219963B2 (en) Back support for placing the back of a user in traction
JP2000210318A (en) Instrument for treating low back pain
CN211863053U (en) Traction equipment for sitting type spine
KR200270421Y1 (en) 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4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40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