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359A - Lifting device for structure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for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9359A KR20160129359A KR1020150061396A KR20150061396A KR20160129359A KR 20160129359 A KR20160129359 A KR 20160129359A KR 1020150061396 A KR1020150061396 A KR 1020150061396A KR 20150061396 A KR20150061396 A KR 20150061396A KR 20160129359 A KR20160129359 A KR 201601293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oupling
- lifting
- service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40059082 douch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운 상태로 조립된 인양체(A)를 인양하여 세워서 설치하기 위한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 크레인(10)에 설치된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에 상단이 결합하는 일측 제1와이어(111) 및 타측 제1와이어(112)를 포함하는 제1와이어부(110); 상기 일측 제1와이어(111) 및 상기 타측 제1와이어(112)의 하단에 각각 결합하는 일측 제1도르레(131) 및 타측 제1도르레(132)를 포함하는 제1도르레부(130); 인양체(A)의 중앙부에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일측 제2결합부(141) 및 타측 제2결합부(142)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140);상기 인양체(A)중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및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 사이 영역에 결합된 제2도르레부(150); 양단이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와 타측 제2결합부(142)에 연결된 제2와이어(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160)는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상기 일측 제1도르레(131), 상기 제2도르레부(150), 상기 타측 제1도르레(132),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에 지그재그 형태로 한번씩 번갈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서비스 인양장치을 제시함으로써, 대연장 고중량의 인양체라 하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lifting a lifting body A assembled in a lying state and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lifting a lifting body A mounted on a service crane 10, 111) and the other first wire (112); A first doula portion 130 including a first side dowel 131 and a second side first dowel 132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ide wire 111 and the first side wire 112; A second engaging part 140 including a first side second engaging part 141 and a second side second engaging part 142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ifting body A with a gap therebetween, A second coupling part 150 coupled to a region between the second coupling part 141 and the other second coupling part 142; And a second wire 160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one second side coupling part 141 and the second side second coupling part 142. The second wire 160 includes the one side second coupling part 141, Are alternately joined in a staggered manner to the one side first drum (131), the second drum (150), the other side first drum (132) and the other side second coupling part (142) The servic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liably reliably lifted even when the lifting force of the heavy load is larg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물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도1,2는 종래의 인양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이다.1 and 2 are process drawings showing a conventional lifting method.
종래의 공법은 크레인의 결합부(2)를 누운 상태의 인양체(1)의 일단에 연결하고, 이를 세워서 목적위치에 설치하는 방식을 취한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그러나 대연장의 철근망과 같이, 길이가 길고 중량이 무거운 인양체(1)의 경우, 종래와 같이 일단에만 크레인 결합부(2)를 결합하여 인양하는 방식을 취하면, 인양체(1)에 휨변형에 의한 국부적인 파손 및 파단 또는 좌굴 등이 발생되어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the same.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누운 상태로 조립된 인양체(A)를 인양하여 세워서 설치하기 위한 인양장치로서, 서비스 크레인(10)에 설치된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에 상단이 결합하는 일측 제1와이어(111) 및 타측 제1와이어(112)를 포함하는 제1와이어부(110); 상기 일측 제1와이어(111) 및 상기 타측 제1와이어(112)의 하단에 각각 결합하는 일측 제1도르레(131) 및 타측 제1도르레(132)를 포함하는 제1도르레부(130); 인양체(A)의 중앙부에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일측 제2결합부(141) 및 타측 제2결합부(142)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140); 상기 인양체(A)중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및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 사이 영역에 결합된 제2도르레부(150); 양단이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와 타측 제2결합부(142)에 연결된 제2와이어(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160)는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상기 일측 제1도르레(131), 상기 제2도르레부(150), 상기 타측 제1도르레(132),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에 지그재그 형태로 한번씩 번갈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서비스 인양장치를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up and installing a lifting body A assembled in a lying state, wherein the upper end is engaged with a service
상기 서비스 인양장치(100)는, 상기 일측 제1와이어(111)와 상기 타측 제1와이어(112) 사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내측 제1와이어(113)를 포함하는 상기 제1와이어부(110); 상기 일측 제1도르레(131), 상기 타측 제1도르레(132) 및 상기 내측 제1와이어(113)의 하부에 결합된 내측 제1도르레(133)를 포함하는 상기 제1도르레부(130);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와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 사이에 체결된 둘 이상의 제2도르레를 구비한 상기 제2도르레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160)의 양단은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와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1)에 결합되고, 상기 제2와이어(160)의 중앙부는 상기 제1도르레부(130)와 상기 제2도르레부(150)에 지그재그 구조로 각각 한번씩 번갈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The
상기 내측 제1와이어(113)의 상단에는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에 결합되는 내측 제1결합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는 몸통부(11a), 상기 몸통부(11a)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일측고리부(11b), 상기 몸통부(11a)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타측고리부(11c), 상기 몸통부(11a)의 상측에 연장형성된 연장부(11d)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고리부(11b)에는 상기 일측 제1결합부(121)가 결합하고, 상기 타측고리부(11c)에는 상기 타측 제1결합부(122)가 결합되며, 상기 내측 제1결합부(123)는 상기 크레인 결합부(11)의 상기 연장부(11d)를 둘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inner
상기 내측 제1와이어(113)는 일측 내측 제1와이어(114) 및 타측 내측 제1와이어(115)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르레부(130)는 상기 일측 내측 제1와이어(114) 및 타측 내측 제1와이어(115)의 하단에는 각각 설치된 일측 내측 제1도르레(134) 및 타측 내측 제1도르레(135)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내측 제1와이어(114) 및 타측 내측 제1와이어(115)의 상단에는 각각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 및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제1결합부(121) 및 상기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는 상기 일측 고리부(11b)에서 결합하고, 상기 타측 제1결합부(122) 및 상기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는 상기 타측 고리부(11c)에서 결합하며, 상기 일측 고리부(11b) 중 상기 일측 제1결합부(121)와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 사이 영역에는 일측 스페이서(12a)가 결합하고, 상기 타측 고리부(11c) 중 상기 타측 제1결합부(122)와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 사이 영역에는 타측 스페이서(12b)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서비스 인양장치를 이용한 인양방법으로서, 메인 인양장치(200)를 메인 크레인(20)에 설치하고, 서비스 인양장치(100)를 서비스 크레인(10)에 설치하는 인양장치 설치단계; 상기 인양체(A)의 단부에 상기 메인 인양장치(200)를 결합하는 메인 인양장치(200) 결합단계; 상기 인양체(A)의 중앙부에 상기 서비스 인양장치(100)를 결합하는 서비스 인양장치(100) 결합단계; 상기 메인 크레인(20) 및 서비스 크레인(10)에 의해 누운 상태의 상기 인양체(A)를 세우는 인양체(A) 기립단계; 기립상태의 상기 인양체(A)를 설치하는 인양체(A)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lifting devic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상기 서비스 인양장치(100) 결합단계는, 상기 일측 제1와이어(111)의 상단에 일측 제1결합부(121)를 형성하고, 하단에 상기 일측 제1도르레(131)를 결합하는 일측 제1와이어(111) 결합단계; 상기 타측 제1와이어(112)의 상단에 타측 제1결합부(122)를 형성하고, 하단에 상기 타측 제1도르레(132)를 결합하는 타측 제1와이어(112) 결합단계; 상기 제2와이어(160)를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상기 일측 제1도르레(131), 상기 제2도르레부(150), 상기 타측 제1도르레(132) 및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의 순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2와이어(160) 결합단계; 상기 제2와이어(160)가 결합된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 및 제2도르레부(150)를 상기 인양체(A)에 체결하는 체결단계; 상기 일측 제1결합부(121) 및 상기 타측 제1결합부(122)를 상기 서비스크레인 결합부(11)에 연결하는 서비스 크레인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상기 인양체(A) 기립단계는, 상기 메인 크레인(20)과 상기 서비스 크레인(10)을 이용하여 누운상태의 상기 인양체(A)를 들어올리는 인양단계; 상기 제1도르레부(130) 및 상기 제2도르레부(150)에 의해 상기 제2와이어(160)가 구동하면서 상기 인양체(A)를 점진적으로 기립시키는 기립단계; 상기 인양체(A)를 기립하여 상기 메인 크레인(20)만으로 지지하는 기립완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step of lifting the lifting body (A) comprises lifting the lifting body (A) in a lying state using the main crane (20) and the service crane (10); A rising step of gradually rising the lifting body (A) while the second wire (160) is driven by the first douche part (130) and the second douche part (150); A standing up completion step of standing up the lifting body (A) and supporting the lifting body (A) only with the main crane (20); .
본 발명은 누워있는 대연장 고중량의 인양체를 안정적으로 기립시킬 수 있는 구조물 인양장치를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ucture lifting device capable of stably lifting a lifted body of an extended, heavy load.
도 1,2는 종래의 인양방법 공정도.
도3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제1 실시예의 공정도.
도 4는 제2 실시예의 공정도.
도 5는 제3 실시예의 제1공정도
도 6은 제4 실시예의 공정도.
도 7은 체결보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서비스크레인 결합부의 구성도.
도 9는 제3 실시예의 제2공정도.
도 10은 제3 실시예의 제3공정도.1 and 2 are process drawings of a conventional lifting method.
3 show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rocess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 process chart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5 is a view showing a first step of the third embodiment
6 is a process chart of the fourth embodiment.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assisting member;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crane coupling portion.
9 is a second process diagram of the third embodiment.
10 is a third process diagram of the third embodimen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누운 상태로 조립된 인양체(A)를인양하여 세워서 설치하기 위한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3 and subsequent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up and lifting a lifted body A assembled in a lying state, and has the following features.
서비스 크레인(10)에 설치된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에 상단이 결합하는 일측 제1와이어(111) 및 타측 제1와이어(112)를 포함하는 제1와이어부(110); 일측 제1와이어(111) 및 타측 제1와이어(112)의 하단에 각각 결합하는 일측 제1도르레(131) 및 타측 제1도르레(132)를 포함하는 제1도르레부(130); 인양체(A)의 중앙부에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일측 제2결합부(141) 및 타측 제2결합부(142)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140); 인양체(A)중 일측 제2결합부(141) 및 타측 제2결합부(142) 사이 영역에 결합된 제2도르레부(150); 양단이 일측 제2결합부(141)와 타측 제2결합부(142)에 연결된 제2와이어(160);를 포함하고, 제2와이어(160)는 일측 제2결합부(141), 일측 제1도르레(131), 제2도르레부(150), 타측 제1도르레(132), 타측 제2결합부(142)에 지그재그 형태로 한번씩 번갈아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A
제2와이어(160)는 단일 와이어로 구성되고, 일측 제2결합부(141), 일측 제1도르레(131), 제2도르레부(150), 타측 제1도르레(132), 타측 제2결합부(142)에 지그재그 형태로 한번씩 번갈아 결합하게 된다.The
이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인해, 제2와이어(160)는 누운 상태로 조립된 인양체(A)가 기립되는 동안 제1도르레부(130) 및 제2 도르레부(150)에 의해 구동되면서 장력을 잃지 않는다.Due to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따라서, 인양체(A)는 누운 상태로 조립된 후, 점진적으로 세워지면서 기울기가 변해도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refore, the lifting body A is assembled in a lying state, and is gradually stood up and stably supported even when the inclination is changed.
서비스 인양장치(100)는 일측 제1와이어(111)와 타측 제1와이어(112) 사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내측 제1와이어(113)를 포함하는 제1와이어부(110); 일측 제1도르레(131), 타측 제1도르레(132) 및 내측 제1와이어(113)의 하부에 결합된 내측 제1도르레(133)를 포함하는 제1도르레부(130); 일측 제2결합부(141)와 타측 제2결합부(142) 사이에 체결된 둘 이상의 제2도르레를 구비한 제2도르레부(150);를 포함하고, 제2와이어(160)의 양단은 일측 제2결합부(141)와 타측 제2결합부(141)에 결합되고, 제2와이어(160)의 중앙부는 제1도르레부(130)와 제2도르레부(150)에 지그재그 구조로 각각 한번씩 번갈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The
즉, 인양체(A)의 무게, 길이가 증대되는 경우, 내측 제1와이어(113), 제2도르레부(150)를 추가하고, 이에 제2와이어(160)를 번갈아 결합하여 지지력이 증대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weight and length of the lifting body A are increased, the inner
다양한 무게, 길이를 갖는 인양체(A)에 대하여, 내측 제1와이어(113), 제2도르레부(150)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지지력의 서비스 인양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즉, 다양한 인양체(A)의 무게와 길이에 대하여 인양장치(100)를 설치할 때 제2도르레와 내측와이어를 자유롭게 추가 구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때문에 무게와 길이가 각각 다른 인양체(A)를 인양할 때 무게와 길이에 맞는 각각의 인양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인양장치로 크기와 중량이 다른 인양체를 간단한 추가구성만으로 인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lifting the lifting body (A) with different weight and length,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lifting device for each weight and length, and it is possible to lift the lifting body of different size and weight with only one additional lifting device .
내측 제1와이어(113)의 상단에는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에 결합되는 내측 제1결합부(123)가 형성되고,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는 몸통부(11a), 몸통부(11a)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일측고리부(11b), 몸통부(11a)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타측고리부(11c), 몸통부(11a)의 상측에 연장형성된 연장부(11d)를 포함하고, 일측고리부(11b)에는 일측 제1결합부(121)가 결합하고, 타측고리부(11c)에는 타측 제1결합부(122)가 결합된다.An inner
이때 위 내측 제1결합부(123)는 크레인 결합부(11)의 연장부(11d)를 둘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first inner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는 인양체(A)가 기립하는 동안 제1와이어부(111,112,113)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는데, 이때 제1와이어부(110)의 제1결합부(121,122,123)가 서로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서비스크레인 결합부(11)의 구조와 제1결합부(120)의 결합방식은 상기 기술한 특징을 갖는 것이 좋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ucture of the service
제1와이어부(110)가 3개의 와이어로 구성된 경우, 일측 제1결합부(121)는 일측고리부(11b)에 결합하고, 타측 제1결합부(122)는 타측 고리부(11c)에 결합하며, 내측 제1결합부(123)는 링구조로 연장부(11d)에 둘러 결합하므로 인양체(A)의 기울기가 변해도 이들은 서로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When the
내측 제1와이어(113)는 일측 내측 제1와이어(114) 및 타측 내측 제1와이어(115)를 포함하고, 제1도르레부(130)는 일측 내측 제1와이어(114) 및 타측 내측 제1와이어(115)의 하단에는 각각 설치된 일측 내측 제1도르레(134) 및 타측 내측 제1도르레(135)를 포함하며, 일측 내측 제1와이어(114) 및 타측 내측 제1와이어(115)의 상단에는 각각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 및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가 형성되고, 일측 제1결합부(121) 및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는 일측 고리부(11b)에서 결합하고, 타측 제1결합부(122) 및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는 타측 고리부(11c)에서 결합하며, 일측 고리부(11b) 중 일측 제1결합부(121)와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 사이 영역에는 일측 스페이서(12a)가 결합하고, 타측 고리부(11c) 중 타측 제1결합부(122)와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 사이 영역에는 타측 스페이서(12b)가 결합하는 구조가 바람직 하다. The inner
위 경우는 제1와이어부(110)가 4개의 와이어로 구성된 경우로서, 상기와 같은 결합 구성은 와이어 결합부(121,122,124,125)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에 의한 와이어 결합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즉, 일측고리부(11b)에는 일측 제1결합부(121), 일측 스페이서(12a) 및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 순으로 결합시키고, 타측고리부(11c)에는 타측 제1결합부(122), 타측 스페이서(12b) 및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순으로 결합시켜서 4개의 와이어 결합부(121,122,124,125)가 인양중에 서로 맞다아 마찰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at is, one side
서비스 인양장치를 이용한 인양방법은 메인 인양장치(200)를 메인 크레인(20)에 설치하고, 서비스 인양장치(100)를 서비스 크레인(10)에 설치한다.The
즉, 본 발명에 의한 인양방법은 2대의 크레인(메인 크레인(20), 서비스 크레인(10))을 사용한다.That is, the lif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cranes (
인양체(A)의 단부에 메인 인양장치(200)를 결합하고 인양체(A)의 중앙부에 서비스 인양장치(100)를 결합한다.The
메인 크레인(20) 및 서비스 크레인(10)에 의해 누워있는 상태의 인양체(A)를 세우고, 기립상태의 인양체(A)를 목적위치에 설치한다.The lifting body A in a lying state is set up by the
즉, 누운 상태의 인양체(A)를 인양하여 기립시키는 공정에서는 메인 크레인(20)과 서비스 크레인(10)이 인양체(A)의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고, 인양체(A)의 기립이 완료되면 메인 크레인(20)만으로 인양체(A)의 하중을 지지한다(도 10). That is, in the step of lifting and lifting the lifted body A in the lying state, the
종래와 같이 인양체(A)의 일단만을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인양체(A)의 일단을 메인 크레인(20)에 의해 들어 올리면서, 인양체(A)의 중앙부를 별도의 서비스 크레인(10)에 의해 함께 들어 올리도록 하므로, 대연장 고중량의 인양체가 누운 상태에서 기립될 때까지 휨변형 또는 좌굴 등의 구조물 손상을 받지 않는다(도 9).The center of the lifting body A is lifted by the
서비스 인양장치(100) 결합단계는 일측 제1와이어(111)의 상단에 일측 제1결합부(121)를 형성하고, 하단에 일측 제1도르레(131)를 결합하는 일측 제1와이어(111) 결합단계; 타측 제1와이어(112)의 상단에 타측 제1결합부(122)를 형성하고, 하단에 타측 제1도르레(132)를 결합하는 타측 제1와이어(112) 결합단계; 제2와이어(160)를 일측 제2결합부(141), 일측 제1도르레(131), 제2도르레부(150), 타측 제1도르레(132) 및 타측 제2결합부(142)의 순으로 연결하는 제2와이어(160) 결합단계; 제2와이어(160)가 결합된 일측 제2결합부(141), 타측 제2결합부(142) 및 제2도르레부(150)를 인양체(A)에 체결하는 체결단계; 일측 제1결합부(121) 및 타측 제1결합부(122)를 서비스크레인 결합부(11)에 연결하는 서비스 크레인 결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와이어가 비틀림 또는 꺽임이 발생한 상태에서 장력을 받게 되면, 견딜수 있는 한계장력보다 작은 장력에서 파단되지는 않더라도 비틀림과 꺽임이 발생한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내구성이 저하된다.If the wire is subjected to a tensile force in the state where the wire is twisted or bent, even if the wire is not broken at a tension smaller than the limit tension,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twisted portion and the bend occurs.
따라서, 와이어를 이용한 장치 사용 시, 와이어의 꼬임, 꺽임 및 마찰을 주의해야 한다. 더욱이 제2와이어는 인양중 인양체(A)의 기울기가 변함에 따라 제1도르레부(130)와 제2도르레부(150)를 따라 구동하는 와이어로서, 결합시 비틀림과 꼬임을 방지하여 시공되어야 한다.Therefore, when using a device using a wire, care must be taken to twist, bend, and friction of the wire. Further, the second wire is a wire that is driven along the first and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인양장치(100)는 제1결합부(120)와 제1도르레부(130)가 포함된 제1와이어부(110)가 먼저 결합되고, 제2와이어(160)를 제2결합부(140), 제1도르레부(130) 및 제2결합부(140)에 연결한 후 제2결합부(140), 제1도르레부(130) 및 제2결합부(140)를 인양체(A)에 결합하고, 제1와이어부(110)의 제1결합부(120)가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에 체결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이러한 시공순서를 취하면, 제일 긴 단일 와이어인 제2와이어(160)의 꼬임과 비틀림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By taking such a construction sequence, damage such as twisting and twisting of the
즉, 제2와이어(160)를 기준으로 서비스 인양징치(100)를 먼저 조립하고, 이 후 조립된 서비스 인양징치(100)를 서비스크레인(1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만약 제2와이어(160)를 서비스크레인(10) 인양체(A)에 대한 인양장치(100) 결합 후 설치한다면, 기설치된 구조의 영향으로 인해 제2와이어(160)에 꼬임이나 비틀림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If the
인양체(A) 기립단계는 메인 크레인(20)과 서비스 크레인(10)을 이용하여 누운 상태의 인양체(A)를 들어올리는 인양단계; 제1도르레부(130) 및 제2도르레부(150)에 의해 제2와이어(160)가 구동하면서 인양체(A)를 점진적으로 기립시키는 기립단계; 인양체(A)를 기립하여 메인 크레인(20)만으로 지지하는 기립완성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step of lifting the lifting body (A) comprises lifting the lifting body (A) in a lying state using the main crane (20) and the service crane (10); A rising step of gradually rising the lifted body (A) while the second wire (160) is driven by the first and second dough part (130) and the second dough part (150); A standing up completion step of standing up the lifting body (A) and supporting it only with the main crane (20); As shown in FIG.
즉, 제2와이어(160)는 일체형 구조로서, 그 양단은 일측 제2결합부(141)와 타측 제2결합부(141)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는 제1도르레부(130)와 제2도르레부(150)에 지그재그 구조로 각각 한번씩 번갈아 결합되는 구조로 결합한다.That is, the
따라서, 누운 상태의 인양체(A)가 점진적으로 세워져 메인 크레인(20)만으로 지지되기까지 제2와이어(160)는 제1도르레부(130) 및 제2도르레부(150)에 의해 구동되면서 인양체(A)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즉, 인양시부터 기립시까지 메인 크레인(20)과 서비스 크레인(10)이 인양체(A)를 지지하여 인양체(A)의 휨파괴 및 좌굴에 의한 국부적인 파손 없이 인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인양체
10 : 서비스 크레인
11 :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
11a : 몸통부
11b : 일측고리부
11c : 타측고리부
11d : 연장부
12a : 일측 스페이서
12b : 타측 스페이서
20 : 메인 크레인
21 : 메인 크레인결합부
21a : 연결부
21b : 고리부
100 : 서비스 인양장치
110 : 제1와이어부
111 : 일측 제1와이어
112 : 타측 제1와이어
113 : 내측 제1와이어
114 : 일측 내측 제1와이어
115 : 타측 내측 제1와이어
120 : 제1결합부
121 : 일측 제1결합부
122 : 타측 제1결합부
123 : 내측 제1결합부
124 : 일측 내측 제1결합부
125 : 타측 내측 제1결합
130 : 제1도르레부
131 : 일측 제1도르레
132 : 타측 제1도르레
133 : 내측 제1도르레
140 : 제2결합부
141 : 일측 제2결합부
142 : 타측 제2결합부
150 : 제2도르레부
160 : 제2와이어A: Ingot body 10: Service crane
11: Service
11b: one
11d:
12b: the other side spacer 20: main crane
21: main
21b: Loop 100: Service lifting device
110: first wire portion 111: first side wire
112: other first wire 113: inner first wire
114: one inner side first wire 115: one other side inner first wire
120: first engaging portion 121: one first engaging portion
122: the other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3: the inner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4: one inner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5: the other side inner first coupling
130: first driven part 131: first driven part
132: first side first drum 133: inner first drum
140: second coupling portion 141: on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second side second coupling portion 150: second side coupling portion
160: second wire
Claims (7)
상기 일측 제1와이어(111) 및 상기 타측 제1와이어(112)의 하단에 각각 결합하는 일측 제1도르레(131) 및 타측 제1도르레(132)를 포함하는 제1도르레부(130);
인양체(A)의 중앙부에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일측 제2결합부(141) 및 타측 제2결합부(142)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140);
상기 인양체(A)중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및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 사이 영역에 결합된 제2도르레부(150);
양단이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와 타측 제2결합부(142)에 연결된 제2와이어(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160)는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상기 일측 제1도르레(131), 상기 제2도르레부(150), 상기 타측 제1도르레(132),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에 지그재그 형태로 한번씩 번갈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서비스 인양장치.A first wire portion 110 including a first wire 111 and an other first wire 112 to which an upper end is coupled to a service crane coupling portion 11 installed in a service crane 10;
A first doula portion 130 including a first side dowel 131 and a second side first dowel 132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ide wire 111 and the first side wire 112;
A second engaging portion 140 including a first side second engaging portion 141 and a second side second engaging portion 142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ifting body A;
A second douche part 150 coupled to a region between the one second side coupling part 141 and the second side second coupling part 142 of the lifting body A;
And a second wire 160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on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other coupling portion 142,
The second wire 160 is connected to the one side second coupling part 141, the one side first deck 131, the second deck part 150, the first side first deckle 132, (142) in a zigzag fashion. ≪ RTI ID = 0.0 > 15. < / RTI >
상기 서비스 인양장치(100)는,
상기 일측 제1와이어(111)와 상기 타측 제1와이어(112) 사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내측 제1와이어(113)를 포함하는 상기 제1와이어부(110);
상기 일측 제1도르레(131), 상기 타측 제1도르레(132) 및 상기 내측 제1와이어(113)의 하부에 결합된 내측 제1도르레(133)를 포함하는 상기 제1도르레부(130);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와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 사이에 체결된 둘 이상의 제2도르레를 구비한 상기 제2도르레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160)의 양단은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와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1)에 결합되고, 상기 제2와이어(160)의 중앙부는 상기 제1도르레부(130)와 상기 제2도르레부(150)에 지그재그 구조로 각각 한번씩 번갈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서비스 인양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lifting device (100)
The first wire portion 110 including one or more inner first wires 113 between the one first wire 111 and the other first wire 112;
The first doula portion 130 including an inner first doula 133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doula 131, the first doula 132, and the inner first wire 113;
And the second douche part (150) having at least two second doula fastened between the first side second coupling part (141) and the second side second coupling part (142)
Both ends of the second wire 160 are coupled to the first sid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sid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wire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dorsal portion 130 ) And the second ditch (150)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ggered structure.
상기 내측 제1와이어(113)의 상단에는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에 결합되는 내측 제1결합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서비스 크레인 결합부(11)는 몸통부(11a), 상기 몸통부(11a)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일측고리부(11b), 상기 몸통부(11a)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타측고리부(11c), 상기 몸통부(11a)의 상측에 연장형성된 연장부(11d)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고리부(11b)에는 상기 일측 제1결합부(121)가 결합하고, 상기 타측고리부(11c)에는 상기 타측 제1결합부(122)가 결합되며,
상기 내측 제1결합부(123)는 상기 크레인 결합부(11)의 상기 연장부(11d)를 둘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서비스 인양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n inner first coupling portion 123 coupled to the service crane coupling portion 1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first wire 113,
The service crane coupling unit 11 includes a body 11a, a side ring 11b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11a, a side ring 11c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a, , And an extension part (11d) exten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1a)
One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1 is coupled to the one side ring portion 11b and the other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2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ring portion 11c,
Wherein the inner first coupling portion (123) engages with the extended portion (11d) of the crane coupling portion (11).
상기 내측 제1와이어(113)는 일측 내측 제1와이어(114) 및 타측 내측 제1와이어(115)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르레부(130)는,
상기 일측 내측 제1와이어(114) 및 타측 내측 제1와이어(115)의 하단에는 각각 설치된 일측 내측 제1도르레(134) 및 타측 내측 제1도르레(135)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내측 제1와이어(114) 및 타측 내측 제1와이어(115)의 상단에는 각각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 및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제1결합부(121) 및 상기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는 상기 일측 고리부(11b)에서 결합하고,
상기 타측 제1결합부(122) 및 상기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는 상기 타측 고리부(11c)에서 결합하며,
상기 일측 고리부(11b) 중 상기 일측 제1결합부(121)와 일측 내측 제1결합부(124) 사이 영역에는 일측 스페이서(12a)가 결합하고,
상기 타측 고리부(11c) 중 상기 타측 제1결합부(122)와 타측 내측 제1결합부(125) 사이 영역에는 타측 스페이서(12b)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서비스 인양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first wire 113 includes one inner first wire 114 and the other inner first wire 115,
The first douche part (130)
And includes a first inner side first wheel 134 and a second inner side first wheel 135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inner first wire 114 and the second inner first wire 115,
One inner inner first coupling portion 124 and the other inner first coupling portion 125 are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one inner inner wire 114 and the other inner first wire 115,
The one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1 and the one side inner first coupling portion 124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one side ring portion 11b,
The other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2 and the other side first side coupling portion 125 are coupled at the other side ring portion 11c,
One side spacer 12a is coupled to an area between the first side coupling part 121 and the first side inner side first coupling part 124 of the one side ring part 11b,
And the other side spacer (12b) is coupled to an area between the other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2) and the other side inner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5) of the other side ring portion (11c).
메인 인양장치(200)를 메인 크레인(20)에 설치하고, 서비스 인양장치(100)를 서비스 크레인(10)에 설치하는 인양장치 설치단계;
상기 인양체(A)의 단부에 상기 메인 인양장치(200)를 결합하는 메인 인양장치(200) 결합단계;
상기 인양체(A)의 중앙부에 상기 서비스 인양장치(100)를 결합하는 서비스 인양장치(100) 결합단계;
상기 메인 크레인(20) 및 서비스 크레인(10)에 의해 누운 상태의 상기 인양체(A)를 세우는 인양체(A) 기립단계;
기립상태의 상기 인양체(A)를 설치하는 인양체(A)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인양방법.A lifting method using a servic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lifting device installation step in which the main lifting device 200 is installed in the main crane 20 and the service lift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service crane 10;
Coupling the main lifting device (200) to the end of the lifting body (A);
A step of assembling a service lifting device (100) for coupling the service lifting device (100) to the center of the lifting body (A);
A lifting step (A) of lifting the lifting body (A) in a lying state by the main crane (20) and the service crane (10);
(A) installing the lifting body (A) in an upright state;
Wherein the lifting mechanism comprises a lifting mechanism.
상기 서비스 인양장치(100) 결합단계는,
상기 일측 제1와이어(111)의 상단에 일측 제1결합부(121)를 형성하고, 하단에 상기 일측 제1도르레(131)를 결합하는 일측 제1와이어(111) 결합단계;
상기 타측 제1와이어(112)의 상단에 타측 제1결합부(122)를 형성하고, 하단에 상기 타측 제1도르레(132)를 결합하는 타측 제1와이어(112) 결합단계;
상기 제2와이어(160)를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상기 일측 제1도르레(131), 상기 제2도르레부(150), 상기 타측 제1도르레(132) 및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의 순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2와이어(160) 결합단계;
상기 제2와이어(160)가 결합된 상기 일측 제2결합부(141), 상기 타측 제2결합부(142) 및 제2도르레부(150)를 상기 인양체(A)에 체결하는 체결단계;
상기 일측 제1결합부(121) 및 상기 타측 제1결합부(122)를 상기 서비스크레인 결합부(11)에 연결하는 서비스 크레인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인양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combining the service lifting device (100)
A first side wire 111 connecting one side first coupling portion 121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wire 111 and coupling the first side wheel 131 to the lower side;
Engaging the first side first wire (112) with the other side first coupling part (122) at the upper end of the other first wire (112) and coupling the other first side wheel (132) at the lower end;
The second wire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coupling part 141, the first side first dripping part 131, the second dipping part 150, the first side first dripping part 132, (142) in the order of the first wire (160) and the second wire (160);
A coupling step of coupling the one side second coupling part 141, the second side second coupling part 142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50 to which the second wire 160 is coupled to the lifting body A;
A service crane coupling step of connecting the one side first coupling part 121 and the other side first coupling part 122 to the service crane coupling part 11;
Wherein the lifting mechanism comprises a lifting mechanism.
상기 인양체(A) 기립단계는,
상기 메인 크레인(20)과 상기 서비스 크레인(10)을 이용하여 누운상태의 상기 인양체(A)를 들어올리는 인양단계;
상기 제1도르레부(130) 및 상기 제2도르레부(150)에 의해 상기 제2와이어(160)가 구동하면서 상기 인양체(A)를 점진적으로 기립시키는 기립단계;
상기 인양체(A)를 기립하여 상기 메인 크레인(20)만으로 지지하는 기립완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인양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fting step (A)
Lifting the lifting body (A) in a lying state using the main crane (20) and the service crane (10);
A rising step of gradually rising the lifting body (A) while the second wire (160) is driven by the first douche part (130) and the second douche part (150);
A standing up completion step of standing up the lifting body (A) and supporting the lifting body (A) only with the main crane (20); Wherein the lifting structure comprises a plurality of lifting member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1396A KR101808666B1 (en) | 2015-04-30 | 2015-04-30 | Lifting device for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1396A KR101808666B1 (en) | 2015-04-30 | 2015-04-30 | Lifting device for structu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29359A true KR20160129359A (en) | 2016-11-09 |
| KR101808666B1 KR101808666B1 (en) | 2018-01-18 |
Family
ID=5752925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61396A Active KR101808666B1 (en) | 2015-04-30 | 2015-04-30 | Lifting device for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08666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02746U (en) | 2017-03-14 | 2018-09-27 | 이흥진 | Wi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ctuator weight and wire tension |
-
2015
- 2015-04-30 KR KR1020150061396A patent/KR101808666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02746U (en) | 2017-03-14 | 2018-09-27 | 이흥진 | Wi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ctuator weight and wire tens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08666B1 (en) | 2018-01-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28004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rane suspension assembly to a support column | |
| KR102367811B1 (en) |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 |
| KR102037435B1 (en) | Smart gondola supporting | |
| CN105905843A (en) | Lifting Assembly Of A Lift Jack And Lift Jack | |
| KR101808666B1 (en) | Lifting device for structure | |
| CN102747839B (en) | Flexible lifting method for space truss structure | |
| KR101808667B1 (en) | Lifting method for structure | |
| CN107531464B (en) | Crane tower | |
| CN102351129B (en) | Super-lifting device for improving lifting performance of crane and crane | |
| CN109052149A (en) | PC precast floor slab pulley suspender | |
| CN221680521U (en) | Construction site steel bar hoisting and restraining device and components | |
| CN107235413A (en) | A kind of component Current Collector Sleave | |
| KR101103134B1 (en) | Rigging Device | |
| CN102923600B (en) | Reverse pulley fixing device | |
| KR101954609B1 (en) | Hoisting apparatus | |
| CN215364469U (en) | Adjustable steel reinforcement cage hoist | |
| CN211470607U (en) | Lifting structure and crane | |
| EP3356278B2 (en) | A lifting arrangement for lifting a wind turbine component | |
| JP6035119B2 (en) | Panel lifting device | |
| JP2019137514A (en) | Counterweight detachment device | |
| CN210735959U (en) | Multipoint elastic hoisting device | |
| CN214573403U (en) | Suspension bridge main push-towing rope strand hoist device | |
| CN103613024B (en) | A kind of tubular type rolling device | |
| CN114408786B (en) | Quick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for alternately jacking steel supports | |
| CN105971369A (en) | Connecting device, wire drawing device and wire drawing tow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