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193A - Angle adjustment for the pitching machine - Google Patents
Angle adjustment for the pitc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3193A KR20160143193A KR1020150079456A KR20150079456A KR20160143193A KR 20160143193 A KR20160143193 A KR 20160143193A KR 1020150079456 A KR1020150079456 A KR 1020150079456A KR 20150079456 A KR20150079456 A KR 20150079456A KR 20160143193 A KR20160143193 A KR 201601431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rotating
- rotatably
- pitching machine
- ro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칭머신에 의해 투척되는 야구공의 구질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칭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척부재의 회전에 의해 야구공이 투척되는 투척공간부의 위치를 X축회전부재 또는 Z축회전부재에 의해 X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X축 방향으로 회전시 커브나 변화구의 형태는 물론, Z축 방향으로 회전시 포크볼 등과 같은 포물선을 이루는 다양한 구질로 투척되는 야구공을 통해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는 몸체부 상부에 야구공이 투척되는 투척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휠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휠의 회전에 의해 타석방향으로 야구공을 투척하는 피칭머신에 있어서, 상기 피칭머신은 상기 투척공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투척공간부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X축회전부재와, 상기 X축회전부재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승강에 의해 상기 투척공간부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Z축회전부재 및 상기 X축회전부재 또는 상기 Z축회전부재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가 지면에서 소정높이를 갖도록 단계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tching machine capable of variously providing pitches of a baseball ball to be thrown by a pitc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tching machine in which a throwing space portion in which a baseball ball is thrown by rotation of a thrown- Axis or the Z-axis direction by the Z-axis rotating member or the Z-axis rotating member, the shape of the curve or the ball when it rotates in the X-axis direction, as well as the shape of a parabola, such as a forkball, To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capable of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raining through a baseball.
To this end, the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wheels are rotatably provided so that a throwing space part in which a baseball is thrown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the baseball ball is thrown Wherein the pitching machine includes a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thrown-up space part, the rotating part including an X-axis rotating member rotatably engaged with the body part so that the throwing space part rotates in the X-axis direction, A Z-axis rotary member that is fixed to the X-axis rotary member and installed to be vertically movable by rotation, the Z-axial rotary member being rotatable in the Z-axis direction by raising and lowering, A Z-axis rotary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body is fixed to the ground, Stand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longitudinal phase adjustment is possibly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칭머신에 의해 투척되는 야구공의 구질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칭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척부재의 회전에 의해 야구공이 투척되는 투척공간부의 위치를 X축회전부재 또는 Z축회전부재에 의해 X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X축 방향으로 회전시 커브나 변화구의 형태는 물론, Z축 방향으로 회전시 포크볼 등과 같은 포물선을 이루는 다양한 구질로 투척되는 야구공을 통해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tching machine capable of variously providing pitches of a baseball ball to be thrown by a pitc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tching machine in which a throwing space portion in which a baseball ball is thrown by rotation of a thrown- Axis or the Z-axis direction by the Z-axis rotating member or the Z-axis rotating member, the shape of the curve or the ball when it rotates in the X-axis direction, as well as the shape of a parabola, such as a forkball, To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capable of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raining through a baseball.
일반적으로, 피칭 머신(pitching machine)이라 함은 야구에서 타격 연습에 사용하기 위하여 타자에게 볼을 던져주는 기계를 뜻하는 것으로, 최근들어 국내 선수들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에서 우승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어 피칭 머신의 국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 pitching machine is a machine that throws a ball at a batter for batting practice in baseball. In recent years, domestic players have won the World Baseball Classic (WBC) The domestic demand for pitching machines is on the rise.
따라서, 최근 들어 피칭 머신이 다수 출원되고 있는데, 이러한 피칭 머신에는 타이어 방식과 피칭암 방식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many pitting machines have been filed. Such a pitching machine includes a tire method and a pitching arm method.
특히, 타이어 방식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타이어 사이에 볼을 투입하여 타이어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볼을 투척하는 방식이나 투척하는 야구공의 구질이 단순하여 즉, 직구의 형태나 도 1에 도시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24047호인 '연습용 피칭머신'과 같이 투척되는 볼의 속도를 제어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투척이 가능하여 훈련자의 원활한 훈련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in the tire method, a ball is inserted between two tires rotating at a high speed to throw a ball by a frictional force of a tire surface, or a ball of a baseball ball to be thrown is simple, Such as the 'training pitching machine' of Korean Patent No. 10-1324047, it is possible to throw the ball at a level that can control the speed of the ball being throw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ining of the trainee is not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투척되는 야구공이 커브, 변화구 및 포크볼 등과 같은 다양한 구질로 투척 가능한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in which a throwing baseball can be shot in various pitches such as a curve, a ball and a fork ball.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는 몸체부 상부에 야구공이 투척되는 투척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휠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휠의 회전에 의해 타석방향으로 야구공을 투척하는 피칭머신에 있어서, 상기 피칭머신은 상기 투척공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투척공간부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X축회전부재와, 상기 X축회전부재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승강에 의해 상기 투척공간부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Z축회전부재 및 상기 X축회전부재 또는 상기 Z축회전부재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가 지면에서 소정높이를 갖도록 단계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a pitching machine, comprising: at least two wheels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body portion so that a throwing space portion in which a baseball is thrown, The pitching machine includes a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throwing space part. The rotating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so that the throwing space part rotates in the X-axis direction, A Z-axis rotary member fixed to the X-axis rotary member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by rotation and provided so that the throttling space can be rotated in the Z-axis direction by raising and lowering, The X-axis rotary member or the Z-axis rotary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body is fixed to the ground Or step by step comprises a supporting member which is length adjustable and equipp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X축회전부재는 횡 방향으로 길이를 갖으며, 하부 일측에는 제1축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와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 타측에는 상기 받침부재에 관통삽입되는 제2축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외면에 상기 Z축회전부재가 설치되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 상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부는 상기 몸체부가 회전가능하게 관통삽입되어 상기 투척공간부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대 및 상기 회전대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삽입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대에 관통삽입된 상기 몸체부 외면을 가압하거나 풀어 상기 몸체부를 고정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X-axis rotary member has a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first shaft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receiving member in a proper position, and a second shaft A vertical ba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ar to have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the Z axis rot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ng table, the rotating table being provided with the body portion rotatably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throttling space portion can rotate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tightening means for pressing or loosening the inserted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fix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수직대는 상기 설치대 상부에 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대가 상기 몸체부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stand is provided on a pair of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unting table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wivel stand is rotatable with the body.
또한 상기 Z축회전부재는 상기 X축회전부재에 고정설치되며, 통공이 천공형성된 지지판과, 구동축이 상기 통공에 관통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 및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부는 상기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는 상기 받침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투척공간부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승강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Z-axis rotating member is fixed to the X-axis rotating member and is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late so that the driving shaft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forward /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drive shaft and the lower portion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receiving member so that the throttling space can be rotated in the Z axis direction by rota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crew that ascends and descends.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부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X축회전부재 하부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X축회전부재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횡 방향으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X축회전부재 하부 타측이 관통삽입되는 장홈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기 X축회전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편 및 상기 회전편과 이웃하게 상기 받침판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Z축회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X-axis rotatable member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bearing. The X-axis rotatable member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bearing, Axis rotatable member is formed so as to be pierced by a pair of protrusions formed in a pair in a lateral direction adjacent to the fixed plate so as to be rotatable in place, And a first bearing formed on the support plate adjacent to the rotation piece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Z-axis rotation member.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받침판 하부에 단계별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프 타입의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upport member further includes a telescopic type height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plate in a stepwise manner below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투척부재의 회전에 의해 야구공이 투척되는 투척공간부의 위치를 X축회전부재 또는 Z축회전부재에 의해 X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X축 방향으로 회전시 커브나 변화구의 형태는 물론, Z축 방향으로 회전시 포크볼 등과 같은 포물선을 이루는 다양한 구질로 투척되는 야구공을 통해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throwing space portion in which the baseball ball is thrown by the rotation of the throwing member is rotated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Z-axis direction by the X-axis rotating member or the Z-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training through the baseball ball being thrown in various forms of parabolic shape such as a forkball or the like when the ball rotates in the Z axis direction as well as the shape of the curve or the ball.
도 1은 종래의 연습용 피칭머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의 Z축회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대한 Z축회전부재를 작동하기 이전의 피칭머신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대한 투척되는 야구공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대한 Z축회전부재를 작동한 이후의 피칭머신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대한 투척되는 야구공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에 대한 제1관통공을 통해 회전모터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8에 대한 제2관통공을 통해 하우징의 이동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8에 대한 야구공의 외경과 투척공간부의 면적을 비교한 도면.
도 13은 도 8에 대한 투입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의 X축회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에 대한 몸체부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의 받침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actice pitching machine.
2 is a use state view of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Z-axis rotary member of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pitching machine prior to operating the Z-axis rotary member for Figure 2;
5 is a view showing a moving direction of a baseball ball to be thrown against FIG. 4;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pitching machine after operating the Z-axis rotary member for Figure 2;
7 is a view showing a moving direction of a baseball ball to be thrown against Fig. 6; Fig.
8 is a view showing a body portion of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for Figure 8;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rotary motor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in Fig. 8;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hou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in Fig.
Fig. 12 is a diagram compar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baseball hole with the area of the throwing space portion in Fig. 8;
13 is a view of the input member of Fig.
14 is a view showing an X-axis rotating member of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of Fig. 14 is rotated in the X-axis direction; Fig.
16 is a view showing a receiving member of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illustrating a height adjusting means of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pitc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이하, 간략하게 '각도조절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a pitch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장치는 크게 X축회전부재(110), Z축회전부재(120) 및 받침부재(130)로 이루어진 회전부(100)를 포함하도록 하여 타석방향으로 야구공(B)을 투척하는 투척부재(300)에 형성된 투척공간부(330)를 X축 또는 Z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2, the angle reg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Z축회전부재(110)는 투척공간부()의 위치를 Z축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판(111), 구동모터(113) 및 스크류(115)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Z-
여기서, 지지판(111)은 일 예로, 구동모터(113)가 고정설치되도록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며, 설치대(121) 상부에 한 쌍으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수직대(123) 중 후술하는 제1축(121a)을 중심으로 설치대(1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야구공(B)이 투척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수직대(123) 외면에 체결수단으로 고정설치된다. 이때 지지판(111)에는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13)의 구동축(113a)이 관통삽입되거나 스크류(115)의 상부가 관통삽입되어 구동모터(11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통공(111a)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또한 구동모터(113)는 몸체부()에 고정설치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판(111)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11) 하부에 위치하는 스크류(115)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구동모터(113)는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반 시계방향) 모두 회전할 수 있는 모터를 사용하며, 회전시 제1베어링(137)에 관통삽입된 스크류(115)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설치대(121)의 회전각도가 약 2~5°이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아울러, 몸체부(200)는 제어부(400) 및 투척부재(300)가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210), 고정편(220) 및 투입부재(23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인 각도조절장치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몸체부(200)는 회전대(125)에 형성된 회전공(125a)에 관통삽입되며, 한 쌍의 하우징(210)을 고정하는 고정편(220)에 돌출형성된 고정축(221)을 중심으로 투척공간부(330)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고정축(221)은 하나로 형성된 하우징(210)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투척공간부(330)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로 형성된 상기 하우징(210)이 후술하는 수직대(123)에 고정설치되어 투척공간부(330)가 X축 방향이 아닌, Z축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The
하우징(2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투입부재(230)를 통해 공급되는 야구공(B)이 투척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타석 방향으로 투척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어 고정편(220)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때 하우징(210) 내부에는 제어부(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투척부재(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211)가 설치되며, 회전모터(211)의 모터축(211a)은 하우징(210) 상부에 천공형성된 제1관통공(2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투척부재(300)의 중앙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각각의 하우징(210) 상부에 천공형성된 제1관통공(213)의 형성위치는 상기 제1관통공(2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모터축(211a)과 투척부재(300)가 결합시에 투입부재(230)를 통해 투척공간부(330)로 공급되는 야구공(B)의 외면이 밀착되어 타석방향으로 투척될 수 있을 정도로 야구공(B)의 외경(B1)보다 더 작게 투척공간부(330)의 간격(S1)을 갖도록 천공형성된다. 이때 투척공간부(330)의 간격은 다수의 제1관통공(213)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고정편(220)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에 서로 이웃하게 다수 천공형성된 제2관통공(215)을 통해 투척공간부(330)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of the first through
나아가, 다수의 제2관통공(215) 간에 간격은 제1관통공(213)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관통공(213)보다 더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제1관통공(213)을 통해 투척공간부(330)를 조절하는 것보다 작업장의 공간활용도를 더욱 유용하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더 나아가 제2관통공(215)이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천공형성되어 야구공(B)의 투척뿐만 아니라, 테니스공이나 배구공 등과 같이, 투척하고자 하는 공의 종류에 따라 투척공간부(330)의 간격(S2)을 조절하여 야구종목뿐만 아니라, 다른 구기종목의 운동선수들로 하여금 훈련에 필요한 요소로 사용한다. 이때, 하우징(210)은 내부에 투척하고자 하는 공의 종류에 따라 회전모터(211)가 하우징(21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부(217)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217) 내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된 회전모터(21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덮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고정편(220)은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하우징(210)에 형성된 제2관통공(215)과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결합하여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하우징(210)의 벌어지는 간격을 고정하며, 본 발명인 회전부(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투척공간부(330)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The fixing
일 예로, 고정편(22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하우징(210) 전/후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이 체결수단을 통해 각각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210)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고정편(220) 외면에는 회전공(125a)에 관통삽입되어 결합하도록 고정축(221)이 돌출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편(220) 중 어느 하나에는 투입부재(230)가 설치되는 체결공(223)이 형성되어 상기 투입부재(230)를 통해 공급되는 야구공(B)이 투척부재(300)의 회전을 통해 타석 방향으로 투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xing
투입부재(230)는 외부에서 투척공간부(330) 방향으로 야구공(B)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구성이며, 일 예로 투입부재(230)는 투입링(231), 결합링(233) 및 이동체(235)를 포함한다.The
투입링(231)은 소정의 지름 폭을 갖도록 구(球) 형상의 야구공(B)이 투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 폭을 갖게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설치된다.The
결합링(233)은 상술한 투입링(131)과 동일한 지름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야구공(B)이 이동하는 방향 방면으로 관 형상의 로드(233a)가 더 형성되어 투입링(231)을 통해 공급되는 야구공(B)이 투척공간부(330)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결합링(233) 하부에는 고정편(220)에 형성된 체결공(223)과 체결수단(P)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공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동체(235)는 일 예로, 이동하는 야구공(B)과 이동체(235) 간의 마찰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바들에 의해 형성되며, 일단이 투입링(231)과 이어지게 형성되고, 타단이 결합링(233)과 이어지게 형성되어 투입링(231)을 통해 공급된 야구공(B)이 결합링(233)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이동체(235)는 투입링(231)을 통해 투입된 야구공(B)이 경사각에 의해 결합링(233) 방향으로 자유 이동할 수 있게 호(弧) 형상으로 설치되며, 야구공(B)과의 마찰면적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게 상기 야구공(B)의 하부만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스크류(115)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는 지지판(111)에 관통삽입되어 구동모터(11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는 받침부재(130)에 형성된 제1베어링(137)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스크류(115)는 구동모터(113)의 회전에 의해 제1축(121a)을 중심으로 설치대(121)를 Z축 방향으로 회전사켜 투척공간부()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상기 X축회전부재(120)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리고, 상기 X축회전부재(120)는 투척공간부(330)의 위치를 X축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대(121), 수직대(123), 회전대(125) 및 조임수단(127)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설치대(121)는 횡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기둥형상의 제1축(121a)이 각각 돌출형성되어 받침부재(130)에 형성된 제2베어링(133a)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Z축회전부재(110)에 의해 설치대(121)가 회전시에 상기 설치대(121)가 회전할 수 있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이때 설치대(121) 후방에는 하부에 완충부재(121c)가 구비된 돌출편(121d)이 더 형성되어 Z축회전부재(110)의 파손에 의해 원하지 않게 제1축(121a)을 중심으로 설치대(121)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설치대(12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피칭머신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unting
아울러, 완충부재(121c)는 코일스프링이나 밀도가 높은 고무 등으로 구비되어 설치대(121)와 ?궂㎷?(131) 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의 것이 사용된다.The cushioning
나아가 설치대(121) 외면에는 스크류(115)에 의해 회전시 그 회전각도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각도계(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table 121 may be provided with a goniometer (not shown) so that the operator can visually recognize the rotational angle of the
또한 수직대(123)는 상술한 한 쌍의 고정축(12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회전대(125)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대(121)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소정거리 이웃하여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수직대(123) 중 어느 하나에는 지지판(111)이 고정설치되며, 각각의 수직대(123) 상부는 회전대(125)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회전대(125)는 하부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각각의 수직대(123) 상부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상부는 고정편(120)에 돌출형성된 고정축(121)이 회전가능하게 관통삽입되는 회전공(125a)이 천공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회전대(125)는 회전공(125a)에 관통삽입되는 고정축(121)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회전공(125a)과 이어지게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절개부(125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ry table 125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table 123 by means of fastening means. The upper part of the rotary table 125 is rotatably inserted through the fixing
아울러, 수직대(123)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회전대(125) 하부는 수직대(123) 상부와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수직대(123)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된다.The lower part of the rotation table 125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table 123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table 123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table 123, And fixed by means of fastening means.
나아가 회전대(125)는 필요에 따라 수직대(123)와 하우징(210)이 직접 고정설치될 수 있게 생략되어 투척공간부(330)의 회전방향이 Z축회전부재(110)에 의해 Z축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설치도 가능하다.Further, the rotation table 125 may be omitted so that the vertical table 123 and the
또한 조임수단(127)은 회전대(125)의 회전공(125a)에 관통삽입된 고정축(121)을 가압할 수 있게 절개부(125b)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고정축(121)이 회전공(125a)에서 불필요한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 예로, 절개부(125b)와 연결되게 회전대(125) 상부에 형성된 조임공(125c)에 관통삽입되는 조임볼트(127a) 및 상기 조임공(125c)에 관통삽입된 조임볼트(127a)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조임볼트(127a)와 함께 회전대(125) 외면을 가압하여 절개부(125b)의 간격을 조이도록 구비되는 조임너트(127b)를 포함한다.
The tightening means 127 tightens the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30)는 X축 또는 Z축회전부재(120,11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몸체부(200)가 지면 상부에 위치하도록 받쳐주기 위한 구성으로 받침판(131), 고정플레이트(133), 회전편(135) 및 높이조절수단(139)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받침판(131)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X축 또는 Z축회전부재(120,1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133) 및 회전편(135)이 횡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부는 지면에 고정설치되거나 후술하는 높이조절수단(139)이 구비되어 지면과 몸체부(200) 간의 수직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받침판(131)은 스크류(115)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115)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회전시에 받침판(131)을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1베어링(13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또한 고정플레이트(133)는 설치대(121)에 형성된 제1축(121a)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받침판(131) 상부에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한 쌍으로 돌출형성된 고정플레이트(133)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축(121a)이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베어링(133a)이 구비되어 스크류(115)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베어링(133a)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축(121a)을 중심으로 설치대(121)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또한 회전편(135)은 제1베어링(137)과 이웃하게 받침판(131) 상부에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돌출형성되어 설치대(121)에 돌출형성된 제2축(121b)이 회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된다. 이때 제2축(121b)이 관통삽입되는 회전편(135)은 상기 제2축(121b)의 회전반경을 따라 호(弧) 형상의 장홈(135a)이 각각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각각의 장홈(135a)에 관통삽입된 제2축(121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장홈(135a)을 따라 회동하는 제2축(121b)을 회전편(135)에 고정하기 위한 시건손잡이(135b)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장홈(135a)에 삽입된 제2축(121b)이 상기 장홈(135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캡(135c)이 구비된다.Any one of the
따라서, 스크류(115)의 회전방향에 따라 장홈(135a)을 통해 소정각도로 회동하는 제2축(121b)은 시건손잡이(135b)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이탈방지캡(135c)에 의해 투척부재(200)가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에도 회동한 제2축(121b)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또한 높이조절수단(139)은 하부가 지면에 지지 고정되며, 상부는 받침판(131) 하부와 고정결합하여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몸체부(100)가 지면 상부에 소정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139 is fixedly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139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예 컨데, 높이조절수단(139)은 전체적으로 봉 형상을 가지며, 단계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이루어져 받침판(131) 하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외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지지각(139a)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지지각(139a)은 받침판(131)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지면의 상태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거나 경사각을 조절하는 통상의 삼발이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받침판(131)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각(139a)은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어 중심을 잡기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height adjusting means 139 has a rod shape as a whole, is made of a telescopic type that can be stepwise adjusted in length, and has 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투입부재(230)을 통해 야구공(B)이 공급되는 투척부재(3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투척공간부(330)의 위치를 Z축 방향으로 조절시에 구동모터(113)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예 컨데, 제어부(400)는 한 쌍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하우징(210)에 설치되는 투척부재(300)의 속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하우징(210) 외면에 각각 설치되어 투척부재(3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For example, the
즉, 투척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투척되는 야구공(B)을 직구 형태로 투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투척부재(300)의 회전속도가 동일하도록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어 투척되며, 커브나 변화구 등의 형태로 투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투척부재(2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혹은 느리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하여 훈련자가 원하는 구질의 야구공(B)을 투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aseball ball B to be thrown by the rotation of the throwing
아울러, 제어부(400)는 작업자 또는 훈련자가 육안으로 투척부재(300)의 회전속도를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위치 또는 투척부재(300)의 회전속도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장치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먼저, 투척공간부(330)를 X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대(125)에 구비된 조임볼트(127a)를 풀어 회전공(125a)에 가압되어 있는 고정축(221)이 상기 회전공(125a) 내에서 회전(자유롭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한 쌍으로 이루어진 회전대(125)에 각각 관통삽입된 고정축(221)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상대적으로 뻑뻑한 느낌이 들도록 조임수단(127)을 풀어 줌으로써, 한 쌍의 상기 고정축(221)을 통해 회전이 이루어진 몸체부(200)가 원위치로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when the throwing
마지막으로 회전공(125a)에 관통삽입된 고정축(221)이 가압에 의해 다시 고정될 수 있도록 풀어주었던 조임수단(127)을 다시 조여주는 것으로 투척공간부(330)의 X축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X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투척공간부(330)의 회전각은 한 쌍의 하우징(210)이 수평선상으로 일직선을 형성시에 이를 기준(0°)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각도가 100°이내로 회전하도록 하여 타석에 진입한 훈련자가 느끼기에 자신의 몸쪽 또는 바깥쪽으로 투척되는 야구공(B)을 타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 참조)Finally, the fastening means 127, which is loosened so that the
아울러, X축 또는 Z축 방향으로 회전중이거나 회전이 완료된 투척공간부(330)를 통해 투척되는 야구공(B)은 제어부(400)를 통해 한 쌍으로 구비되는 투척부재(300)의 회전속도를 서로 달리하여 커브나 변화구의 구질로 훈련자가 느껴질 수 있도록 한다.The baseball ball B thrown through the thrown-away
또한, 투척공간부(330)를 Z축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Further, when the thrown-away
먼저, 제어부(400)를 통해 구동모터(113)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베어링(133a)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제1축(121a)을 중심으로 설치대(121)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First, the
마지막으로 제1축(121a)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설치대(121)에 돌출형성된 제2축(121b)이 회전편(135)에 형성된 호(弧) 형상의 장홈(135a)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회전이 완료된 시점에서 이탈방지캡(135c)을 조이거나 또는 시건손잡이(135b)를 회전하여 상기 제2축(121b)이 회전편(135) 내에서 락(LOOK) 될 수 있도록 하여 투척부재(300)의 회전에도 설치대(121)의 회전반경이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캡(135c)이나 시건손잡이(135b)는 구동모터(113)가 동작하기 이전에 제2축(121b)이 장홈(135a)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해제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 참조)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장치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투척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야구공(B)이 투척되는 투척공간부(330)의 위치를 X축회전부재(120) 또는 Z축회전부재(110)에 의해 X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X축 방향으로 회전시 커브나 변화구의 형태는 물론, Z축 방향으로 회전시 포크볼 등과 같은 포물선을 이루는 다양한 구질로 투척되는 야구공(B)을 통해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angular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art in that the position of the throwing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f you are a person,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0: 회전부
110: Z축회전부재
111: 지지판
113: 구동모터
115: 스크류
120: X축회전부재
121: 설치대
123: 수직대
125: 회전대
127: 조임수단
130: 받침부재
131: 받침판
133: 고정플레이트
135: 회전편
137: 제1베어링
139: 높이조절수단100: rotating part 110: Z-axis rotating member
111: support plate 113: drive motor
115: screw 120: X-axis rotating member
121: Mounting base 123: Vertical stand
125: rotating table 127: tightening means
130: support member 131:
133: Fixing plate 135: Rotating piece
137: first bearing 139: height adjustment means
Claims (6)
상기 피칭머신은 상기 투척공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투척공간부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X축회전부재;
상기 X축회전부재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승강에 의해 상기 투척공간부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Z축회전부재; 및
상기 X축회전부재 또는 상기 Z축회전부재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가 지면에서 소정높이를 갖도록 단계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At least two wheels are rotatably provided so as to form a throwing space portion in which a baseball ball is thrown on an upper portion of a body portion, and a pitching machine for throwing a baseball ball in a batting direction by rotation of the wheel,
Wherein the pitching machine includes a rot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throwing space portion,
An X-axis rotary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such that the throttling space portion can rotate in the X-axis direction;
A Z-axis rotary member fixed to the X-axis rotary member and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by rotation, the Z-axis rotary member being capable of rotating the throttling space in the Z-axis direction by raising and lowering; And
The X-axis rotatable member or the Z-axis rotatable member is rotatably mounted, and the body is fixed to the ground or the body is stepwise adjustable in length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surface. And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pitching machine.
횡 방향으로 길이를 갖으며, 하부 일측에는 제1축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와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 타측에는 상기 받침부재에 관통삽입되는 제2축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외면에 상기 Z축회전부재가 설치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 상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부는 상기 몸체부가 회전가능하게 관통삽입되어 상기 투척공간부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대; 및
상기 회전대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삽입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대에 관통삽입된 상기 몸체부 외면을 가압하거나 풀어 상기 몸체부를 고정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X-
And a second shaft projecting from the first shaft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receiving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in place and a second shaft inserted through the receiving member is protruded and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A mounting table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an axis;
A vertical stand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table to have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the Z axis rotating member installed on its outer surface;
A rotating tabl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the upper portion being rotatably inserted into the body so that the throwing space portion can rotate in the X-axis direction; And
And a tightening means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swivel rotatably and that presses or loosen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inserted through the swivel by rotation, thereby fixing the body.
상기 설치대 상부에 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대가 상기 몸체부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air of swivel brackets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bracket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wivel bracke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상기 X축회전부재에 고정설치되며, 통공이 천공형성된 지지판;
구동축이 상기 통공에 관통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 및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부는 상기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는 상기 받침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투척공간부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승강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Z-
A supporting plate fixed to the X-axis rotating member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drive motor rotatably fixed on the support plate so that a drive shaft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rotated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by a control unit; And
A screw having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rotatably engaged with the receiving member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a Z axis direction by rotation; And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pitching machine.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부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X축회전부재 하부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X축회전부재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횡 방향으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X축회전부재 하부 타측이 관통삽입되는 장홈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기 X축회전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편; 및
상기 회전편과 이웃하게 상기 받침판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Z축회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base plate having a plate shape as a whole;
A pair of fixing plates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second bearing rotatably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X-axis rotary member, the X-axis rotary member being rotatable;
The X-axis rotatable member is installed so that the X-axis rotatable member is rotatable around the fixed plate by forming an elongated groove protruding from the fixed plate in a pair in the lateral direction, A rotating piece; And
And a first bearing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adjacent to the rotating piece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Z-axis rotating member.
상기 받침판 하부에 단계별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프 타입의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telescopic type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oot plate in a stepwise manner at a lower portion of the foot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79456A KR101822402B1 (en) | 2015-06-04 | 2015-06-04 | Angle adjustment for the pitc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79456A KR101822402B1 (en) | 2015-06-04 | 2015-06-04 | Angle adjustment for the pitching machin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43193A true KR20160143193A (en) | 2016-12-14 |
| KR101822402B1 KR101822402B1 (en) | 2018-01-29 |
Family
ID=575757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79456A Active KR101822402B1 (en) | 2015-06-04 | 2015-06-04 | Angle adjustment for the pitch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22402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243149A (en) * | 2017-06-22 | 2017-10-13 | 济南富安机械设计有限公司 | Multi-degree-of-freedom table tennis automatic launching device |
| CN116870450A (en) * | 2023-07-26 | 2023-10-13 | 南方科技大学 | a tennis ball transmit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83783B1 (en) | 2018-11-30 | 2019-05-30 | 주식회사 서창테크 | Pitching machin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kinds of pitching arsenal and pitches |
| KR102128401B1 (en) | 2019-10-10 | 2020-07-02 | 주식회사 서창테크 | A pitching robot capable of pitching a famous professional baseball pitcher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224356A (en) * | 2004-02-12 | 2005-08-25 | Hoomaa Sangyo Kk | Pitching machine |
-
2015
- 2015-06-04 KR KR1020150079456A patent/KR101822402B1/en active Active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243149A (en) * | 2017-06-22 | 2017-10-13 | 济南富安机械设计有限公司 | Multi-degree-of-freedom table tennis automatic launching device |
| CN116870450A (en) * | 2023-07-26 | 2023-10-13 | 南方科技大学 | a tennis ball transmitt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22402B1 (en) | 2018-0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22402B1 (en) | Angle adjustment for the pitching machine | |
| US6440013B1 (en) | Pitching machine | |
| US9050520B2 (en) | Ball pitching machine | |
| US7314432B2 (en) | Stepping exercise device | |
| US4760835A (en) | Ball throwing device | |
| US4823763A (en) | Ball projecting apparatus | |
| USRE30703E (en) | Ball throwing device with rotary wheel, and pad means for compressing a ball against the wheel | |
| US7100594B2 (en) | Tennis ball serving device | |
| US5865161A (en) | Baseball pitching device | |
| US3734075A (en) | Ball projecting device | |
| KR101822403B1 (en) | Pitching machine | |
| JP2005224356A (en) | Pitching machine | |
| KR101815131B1 (en) | Automatic ball shooting machine | |
| KR101965644B1 (en) | Automatic ball projecting apparatus | |
| US4195614A (en) | Rotatable coacting members for projecting a ball | |
| CN209325307U (en) | A kind of automotive seat display holder | |
| KR101130348B1 (en) | Pitching machines | |
| JP3155665U (en) | Throwing device | |
| KR200336188Y1 (en) | Tennis ball a pitching machine | |
| CN208943436U (en) | A kind of VR innervation racing car equipment | |
| JPH0421560Y2 (en) | ||
| JPS6213647Y2 (en) | ||
| JP5476522B2 (en) | Ball throwing device | |
| JP3007218B2 (en) | Pitching machine | |
| JP2504753Y2 (en) | Golf practice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3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