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524A - Formed steel beam having neutral axis lifting elements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ormed steel beam having neutral axis lifting elements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9524A KR20160149524A KR1020150086657A KR20150086657A KR20160149524A KR 20160149524 A KR20160149524 A KR 20160149524A KR 1020150086657 A KR1020150086657 A KR 1020150086657A KR 20150086657 A KR20150086657 A KR 20150086657A KR 20160149524 A KR20160149524 A KR 201601495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late
- plate unit
- bending steel
- plate
- str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3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01208 Crucibl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7 stra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이 단면 외피에 영구 거푸집으로 구성되고 단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구성하기 위한 강재보와 이를 이용한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재보의 중립축을 상승시키는 부재를 구성하여 시공하중 하에서도 안정적이며 단부 보강부재가 구성되어 전단저항이 향상되는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는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절곡강판 유닛; 절곡강판 유닛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 간격으로 절곡강판 유닛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갖도록 절곡강판 유닛에 결합되는 높이형성부재; 수평한 길이재로 구성되는 상현재, 상현재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 경사재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현재로 구성되어 상현재가 높이형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현재가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 내에 결합되어 절곡강판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트럿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beam for constituting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in which a steel plate is made of a permanent formwork on a cross-section enclosure and a concrete is filled in a s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beam that is stable even under a construction load and has an end reinforcement member and is improved in shear resistance, and to a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A steel material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nding steel plate unit having a U- A height forming member coupled to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such that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has a height that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ral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A slope membe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both ends of the phase current to an upper end of the slope member and horizontally extending from an extending end of the slope member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urrent height member, And a strut reinforcement which is coupl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plate unit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판이 단면 외피에 영구 거푸집으로 구성되고 단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구성하기 위한 강재보와 이를 이용한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재보의 중립축을 상승시키는 부재를 구성하여 시공하중 하에서도 안정적이며 단부 보강부재가 구성되어 전단저항이 향상되는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beam for constituting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in which a steel plate is made of a permanent formwork on a cross-section enclosure and a concrete is filled in a s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beam that is stable even under a construction load and has an end reinforcement member and is improved in shear resistance, and to a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재 보와 콘크리트가 단일부재로 거동하도록 구현하여 휨모멘트를 받을 때 압축응력의 대부분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고 인장응력은 강재가 부담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부재로써 보의 춤을 줄여 건축구조물의 층고를 줄일 수 있고 보 단면의 저항강도와 저항강성 증대로 장 스팬 구조물이 가능하게 하며 극한성능이나 변형성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Steel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and concrete are made to behave as a single member, so that when the bending moment is applied, most of the compressive stress is made to be borne by the concrete and tensile stress is made to be imposed by the steel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atification of the beam span and to increase the resistance strength and resistance stiffness of the beam section, thereby enabling the long span structure and increasing the extreme performance and deformation performance.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오랜 기간 동안 여러 형상이 개발되어왔는데, 강재의 단면을 구조부재의 인장측 외피에 집중배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강판 영구 거푸집형 합성보가 그 중 하나이다. 이는 U형 강재보에 의해 콘크리트가 구속됨으로 휨 강성이 증가되며 콘크리트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균열과 중성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합성보와 슬래브의 콘크리트가 일체로 타설되어 양생되므로 구조적 일체성이 확보되고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공법이다.Steel Concrete Composite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one of which is a steel plate permanent composite composite beam in which the section of steel is concentrated on the tensile side of the structural member and the concrete is filled in. This is because the concrete is restrained by the U-shaped steel beam, and the flexural rigidity is increased. Therefore, the concrete is not exposed, and cracking and neutralization ar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concrete of the composite beam and the slab is cured by being poured integrally, it is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because structural integrity is secured and no separate formwork is used.
다만, 콘크리트와 합성되기 전 단계인 시공 단계에서 U형 강재보는 열린 단면으로 인하여 불안정성을 띄게 된다. 시공하중은 개방단면의 U형 강재보를 벌어지게 만들며 특히 중립축 상부의 압축측에 작용되는 단면 압축력은 개방단면을 더욱 벌어지게 하여 불안정하다. 또한 U형 강재보의 양단은 양측 기둥 부재에 설치되며 시공하중은 단부에서 큰 전단력으로 작용하므로 강재보의 단부에는 국부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U-shaped steel material is unstable due to the open cross-se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before it is combined with concrete. The construction load causes the U-shaped steel beam to open. Especially, the cross-sectional compressive force acting on the compressiv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neutral shaft is unstable by making the open section more widened.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U-shaped steel beam are installed on both column members, and the construction load acts as a large shear force at the ends, so that local deformation may occur at the ends of the steel beam.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10-1372643‘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특허문헌1)이 있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0-1372643, 'No-form composite be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Document 1).
이 특허는 하면을 이루는 성형강판 하부플랜지와, 성형강판 하부플랜지의 양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성형강판 웨브와, 성형강판 웨브의 상단에 형성되는 성형강판 상부플랜지로 구성되며, 최외단에 위치하여 인장재 역할을 하고, 거푸집을 대신하며, 박판의 강판을 성형하여 제작되는 U형상의 성형강판과; 성형강판의 내부에 양단부의 일정 길이가 매입되어 성형강판과 용접 결합되고, 성형강판에 매입되지 않는 부분은 강기둥과 결합 가능하도록 성형강판에서 노출되며 최대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단부 부분을 성형강판 및 콘크리트와 합성된 단면으로 저항하기 위한 H형강과; 성형강판의 단면을 최소화시키고 현장에서의 철근 배근을 생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성형강판, H형강 및 콘크리트 또는 성형강판과 콘크리트와 함께 합성단면을 이루고, 성형강판에 매입되는 H형강에 일정 간격과 일정 수량으로 용접 결합되는 H형강용 스터드볼트와 성형강판의 하부플랜지 중앙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 결합되는 성형강판용 스터드볼트로 이루어진 스터드볼트와; 스터드볼트와 H형강의 일부가 매입된 성형강판의 내부를 채우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무거푸집 합성보를 제안한다. This patent is made up of a cast steel plate lower flange forming a lower face, a cast steel plate web formed perpendicularly to both ends of a cast steel plate lower flange, and a cast steel plate upper flang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t steel plate web, A U-shaped molded steel plate formed by molding a steel plate of a thin plate instead of a die; A portion of both ends of the molded steel plate is welded to the molded steel plate and welded to the molded steel plate so that the portion not buried in the molded steel plate is exposed in the molded steel plate so that it can be engaged with the steel column, An H-section to resist the composite section with the concrete; In order to minimize the cross-section of the steel plate and to eliminate the reinforcement in the field, the composite section is formed with the steel plate, the H-section steel, the concrete or the steel plate and the concrete, A stud bolt made of a stud bolt for an H-shaped weld and a stud bolt for a formed steel plate wel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center of a lower flange of the formed steel plate; We propose a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consisting of concrete to be filled to fill the inside of a steel plate with a part of stud bolt and H - section.
이 특허가 제안하는 합성보는 모멘트 응력분포에 따라 최대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단부 부분은 H형강과 콘크리트가 합성된 단면으로 저항하고 단부 모멘트의 1/2이 작용하는 중앙부 정모멘트 부분은 U자형 성형강판과 콘크리트가 합성된 단면으로 저항하도록 단면설계된 공법으로 원자재 가격이 높은 철골물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나 U형상의 성형강판은 작업하중, 양중하중 등의 시공단계하중에 의해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이러한 외력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성형강판 두께가 증가하게 되면 경제성 및 재료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composite view proposed by this patent, the end portion where the maximum moment is applied depends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H-shaped section and the concrete is resistant to the cross section, and the mid section of the end section where the end moment acts is U- And concrete is designed to resist cross-section. This method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reduce the amount of steel products with high raw material prices. However, the U-shaped steel plate is deformed excessively due to the application step load such as work load, And the thickness and the thickness of the formed steel sheet increase in response to the external force problem,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material efficiency are lowe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채워넣기 위한 열린 단면을 유지하면서 시공시 열린 단면의 불안정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on member and a composite beam using the steel beam elevation member to overcome instability of an open cross- .
특히, 중립축이 상승되어 시공 단계에서 열린 단면의 벌어짐 현상을 줄이고 기둥 부재에 설치되는 강재보 단부의 전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widening of a cross section of a section opened in a construction step by raising the neutral axis and improving the shear force of the steel beam portion installed on the column member, and a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는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절곡강판 유닛; 절곡강판 유닛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 간격으로 절곡강판 유닛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갖도록 절곡강판 유닛에 결합되는 높이형성부재; 수평한 길이재로 구성되는 상현재, 상현재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 경사재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현재로 구성되어 상현재가 높이형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현재가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 내에 결합되어 절곡강판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트럿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eel material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nding steel plate unit having a U- A height forming member coupled to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such that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has a height that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ral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A slope membe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both ends of the phase current to an upper end of the slope member and horizontally extending from an extending end of the slope member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urrent height member, And a strut reinforcement which is coupl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plate unit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이때, 절곡강판 유닛은, 하부판, 하부판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양측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에서 하부판과 다른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높이형성부재는 절곡강판 유닛의 상부판 또는 수직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스트럿 보강재는 하현재가 절곡강판 유닛의 하부판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bending steel plate unit includes a bottom plate, both side vertical plates vertically extending upward at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and an upper plate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bottom plate, And the strut reinforcement can be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또는, 절곡강판 유닛은, 하부판, 하부판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양측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에서 하부판과 다른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높이형성부재는 절곡강판 유닛의 상부판 또는 수직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스트럿 보강재는 하현재가 절곡강판 유닛의 수직판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may include a bottom plate, both vertical plates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and an upper plate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bottom plate, And the strut reinforcement can b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한편, 높이형성부재는, 상부 수평판, 상부 수평판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 다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측면 다리판의 연장단이 절곡강판 유닛의 상부판에 결합되고, 스트럿 보강재의 상현재가 상부 수평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height forming member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plate and a side leg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te so that an extended end of the side leg plate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The curren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plate.
또는, 높이형성부재는, 채널, 앵글, 각강, 각관 또는 Z형강 중 어느 하나의 길이재로 구성되어 양단이 절곡강판 유닛의 양측 상부판에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eight forming member may be made of a length material of any one of a channel, an angle, a rectangular steel, a square pipe, and a Z-shaped steel, and both ends thereof may be coupled to both upper plates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또는, 높이형성부재는, 채널, 앵글, 각강, 각관 또는 Z형강 중 어느 하나의 길이재로 구성되어 절곡강판 유닛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양단이 절곡강판 유닛 수직판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eight form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a length material of any one of a channel, an angle, a rectangular steel, a square or a Z-shaped steel, and both ends thereof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so as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여기서, 충진홈이 천공된 판상으로 구성되고, 강재보 단부에서 절곡강판 유닛 상부에 설치되는 단부보강 덮개판을 더 포함하여, 절곡강판 유닛 단부가 폐단면화될 수 있다. Here, the end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may be closed because the filling groove is formed in a perforated plate sha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is provided at the steel beam end portion.
한편, 스트럿 보강재의 상현재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상현재, 상현재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 스트럿 보강재의 하현재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경사재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현재로 구성되어, 상현재가 높이형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현재가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 내에 결합되어 스트럿 보강재와 평행하도록 스트럿 보강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스트럿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lope member which is inclined downwardly at both ends of the phase current at an image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phase current of the strut reinforcement member, a bottom current member which extends horizontally at the extending end of the slope member so as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bottom current of the strut reinforcement member And a second strut stiffener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eight forming member and is coupled to the end surface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so that the lower end is parallel to the strut stiffener.
또는, 수평한 길이재로 구성되는 하현재, 하현재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 경사재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현재로 구성되어, 하현재가 높이형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현재가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 내에 결합되어 스트럿 보강재와 평행하도록 스트럿 보강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부모멘트 보강 스트럿을 더 포함할 수 있다.Or an inclined member extending horizontally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and an upper end extending horizontally at an end of the inclined member, the low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forming member The strand reinforcement strut may further include a strand reinforcing strut which is coupled to an end face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trut reinforcement and is provided inside the strut reinforcement.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를 이용한 합성보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 절곡강판 유닛의 상단에 양단이 거치되는 바닥판; 및 절곡강판 유닛 내부와 바닥판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 bottom plate on which both ends are mounted on an upper end of a steel member bending steel plate unit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nd concrete placed in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and i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본 발명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는 스트럿 보강재의 경사재에 의해 강재보의 단부에 전단력을 보강되어 시공중 강재보의 단부 국부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teel material having the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by the inclined material of the strut reinforcement to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so as to prevent the local deforma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during the construction.
또한, 개방된 단면을 갖는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밖 상측에 높이형성부재를 구성하고 높이형성부재에 스트럿 보강재의 상현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하여 중립축을 상승토록 하여 절곡강판 유닛의 시공중 벌어짐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 height forming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oss-section of the bent steel plate unit having the opened cross section and the upper current of the strut reinforcement member is coupled to the height forming member to raise the neutral axis, There is an effect to mitigate.
본 발명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를 이용한 합성보는 합성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에는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밖 상측에 높이형성부재와 스트럿 보강재의 상현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래브 주철근을 배근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생략하면서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mposite beam and the slab can be integrally constructed using the steel beam having the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el beam having the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the upper current configuration of the height forming member and the strut reinforcemen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o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lace the concrete on the site while omitting a separate device for laying the slab cast iron rope,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존의 U형 강재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강판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형성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B-B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C-C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D-D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를 이용한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U-shaped steel beam.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height form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sectional view.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A, and FIG.
8A is a sectional view of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DD sectional view of FIG. 8A.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는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절곡강판 유닛(10); 절곡강판 유닛(1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 간격으로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부로 돌출된 높이를 갖도록 절곡강판 유닛(10)에 결합되는 높이형성부재(20); 수평한 길이재로 구성되는 상현재(31), 상현재(31)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32), 경사재(32)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현재(33)로 구성되어 상현재(31)가 높이형성부재(20)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현재(33)가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에 결합되는 스트럿 보강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steel material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nding steel plate unit (10)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with an open top and a predetermined length; A
절곡강판 유닛(10)은 합성보의 인장측 외피에 배치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영구 거푸집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절곡강판 유닛(10)은 하부판(11), 하부판(11)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양측 수직판(12), 수직판(12)의 상단에서 하부판(11)과 다른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판(11)과 수직판(12)의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의 역할을 하며 상부판(13)은 슬래브 형성시 후술되는 받침판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bending
높이형성부재(20)는 절곡강판 유닛(1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 간격으로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단에서 높이를 갖도록 결합된다. 즉, 높이형성부재(20)는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밖 상측으로 구성되어 중립축 위치를 끌어올리는 수단이다. 휨을 받는 부재인 보는 하중이 작용하면 중립축 상부에는 압축이 발생하고 중립축 하부에는 인장이 발생한다. 판요소로 구성되는 절곡강판 유닛(10)은 열린 단면을 갖고 있어 콘크리트와 합성 이전단계의 시공하중 상태에서 불안정성을 갖게되고, 특히 중립축 상부에서 큰 압축력을 받을 경우 판요소의 좌굴이 문제시된다. 높이형성부재(20)는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밖 상측으로 구성되어 중립축 위치를 끌어올려 절곡강판 유닛(10)이 최대한 인장측에 존재하게 하는 수단이다.The
또한, 높이형성부재(20)는 수평전단저항을 보강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는 후술되는 바닥판이 설치되고 강재보 내부와 바닥판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합성보로 구성된다(합성보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른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보를 구성하는 절곡강판 유닛(10)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슬래브를 구성하는 바닥판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일체로 타설되어 합성보로 구성된다. 합성보의 중립축은 절곡강판 유닛(10) 상단측에 형성되어 수평전단력이 최대로 발생하게 된다. 절곡강판 유닛(10) 내부 콘크리트와 상부 콘크리트 사이에 발생하는 작용 수평력에 대한 저항은 순수 콘크리트 전단강도 이외에 별도의 저항 수단이 없어 절곡강판 유닛(10) 내부 콘크리트와 상부 콘크리트 사이에 상대 슬립이 발생하여 급격한 파괴에 도달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높이형성부재(20)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단에서 높이를 갖도록 결합되어 절곡강판 유닛(10)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절곡강판 유닛(10)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사이의 수평전단저항을 보강한다. Further, the
본 실시예에서 높이형성부재(20)는 상부 수평판(21), 상부 수평판(21)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 다리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측면 다리판(22)의 연장단이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부판(13)에 결합된다. The
스트럿 보강재(30)는 수평한 길이재로 구성되는 상현재(31), 상현재(31)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32), 경사재(32)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현재(33)로 구성되어 상현재(31)가 높이형성부재(20)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현재(33)가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스트럿 보강재(30)의 상현재(31)는 높이형성부재(20)의 상부 수평판(21)에 결합되고, 스트럿 보강재(30)의 하현재(31)는 절곡강판 유닛(10)의 하부판(11)에 결합된다. The
스트럿 보강재(30)의 상현재(31)는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밖 상측에 구성되어 상술한 높이형성부재(20)와 마찬가지로 중립축을 상승하게 하는 수단이며, 스트럿 보강재(30)의 경사재(32)는 단부의 전단력을 보강하는 수단이다. 얇은 성형강판을 사용하는 U형 강재보의 경우 양단이 양측 기둥 부재에 설치되며 콘크리트와 합성되기 이전 단계에서 시공하중은 단부에서 큰 전단력으로 작용하여 강재보의 단부에는 국부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스트럿 보강재(30)의 경사재(32)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재보의 단부에 전단력을 보강한다. 경사재(32)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사인장균열이 발생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웨브부분을 30~60°로 일정하게 기울어진 압축재(diagonal compression member)로 이상화하여 전단력에 대해 저항하는 배근방법을 제시한 30~60°트러스 모델에 따라 절곡할 수 있다. The phase current 31 of the
스트럿 보강재(30)의 하현재(33)는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 최하단 즉, 절곡강판 유닛(10)의 하부판(11)에 결합된다.The
스트럿 보강재(30)는 각강이나 환봉, 철근 등의 봉강을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스트럿 보강재(3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두 개로 구성될 때에는 각각의 스트럿 보강재(30)를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 3은 기존의 U형 강재보의 단면도이다. 3 is a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U-shaped steel beam.
기존의 U형 강재보는 시공단계에서 슬래브 형성을 위해 U형 강재보 상부 플랜지에 거푸집판이나 데크플레이트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등을 거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공하중은 개방단면의 U형 강재보를 벌어지게 만든다. 특히 중립축 상부의 압축측에 작용되는 단면 압축력은 개방단면을 더욱 벌어지게 하여 불안정하다.In order to form slabs in the construction stage of existing U-shaped steel beams, a U-shaped steel beam upper flange is mounted with a form plate, a deck plate or a precast concrete panel. Such a construction load causes the U-shaped steel beam to open. In particular, the cross-sectional compressive force acting on the compression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neutral shaft makes the open cross-section more widened and unstable.
도 2와 도 3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의 중립축은 기존의 U형 강재보의 중립축 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l1>l2).2 and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neutral axis of the steel beam having the neutral axis eleva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neutral axis of the conventional U-shaped steel beam (l 1 > l 2 ).
본 발명은 개방된 단면을 갖는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밖 상측에 높이형성부재(20)를 구성하고 높이형성부재(20)에 스트럿 보강재(30)의 상현재(31)를 결합시키도록 구성하여 중립축을 끌어 올려 절곡강판 유닛(10)의 불안정성을 해결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강판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앞선 실시예에서는 절곡강판 유닛(10)이 도 4a와 같이 단일 부재로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U자형 열린 단면을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부판(21a), 하부판(11a)의 일단에서 상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판(12), 수직판(12)의 상단에서 하부판(11a)과 다른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두 개의 유닛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시켜 하부판(11a)의 하단을 연결판(111)을 통하여 결합하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1a)을 직접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4A,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range of providing a U-shaped open cross-section, as shown in FIGS. 4B and 4C, the bend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형성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height form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높이형성부재(20)는 도 1과 도 2를 통해서 살펴본 앞선 실시예의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단에서 높이를 형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앵글, 각강, 각관, Z형강 등의 다양한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높이형성부재(20)는 절곡강판 유닛(10) 상부판(13)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절곡강판 유닛(10) 수직판(12) 내면에 결합되어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단면도이다.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sectional view.
본 실시예에서 높이형성부재(20)는 상부 수평판(21), 상부 수평판(21)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 다리판(22) 및 측면 다리판(22)의 연장단에서 상부 수평판(21)과 다른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 수평판(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 수평판(23)이 연장단이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부판(13)에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도 1과 도 2를 통해서 살펴본 앞선 실시예에서는 스트럿 보강재(30)의 상현재(31)가 높이형성부재(20) 상부 수평판(21)의 상면에 결합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 보강재(30)의 상현재(31)가 높이형성부재(20) 상부 수평판(21)의 하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1 and 2, the
또한, 도 1과 도 2를 통해서 살펴본 앞선 실시예에서는 스트럿 보강재(30)의 하현재(33)가 절곡강판 유닛(10)의 하부판(11)에 결합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럿 보강재(30)의 하현재(33)가 절곡강판 유닛(10)의 수직판(12)에 결합된다. 스트럿 보강재(30)의 하현재(33)는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앞선 실시예에서처럼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 최하단인 하부판(11)에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와 같이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에 위치하도록 수직판(12)에 결합될 수 있다.1 and 2, the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B-B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C-C 단면도이다.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A, and FIG.
본 실시예에는 제2 스트럿 보강재(30a)가 더 설치된다. 제2 스트럿 보강재(30a)은 스트럿 보강재(30)와 다른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하여 절곡강판 유닛(10)을 전단보강하는 것으로 스트럿 보강재(30)와 제2 스트럿 보강재(30a)의 절곡형상과 설치개수는 구조계산에 따른다. In this embodiment, a second
또한 본 실시예에는 절곡강판 유닛(10) 단부를 폐단면화하여 보강하도록 단부보강 덮개판(40)이 더 설치된다. 콘크리트의 원활한 충진을 위하여 충진홈(41)이 천공되어야 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 reinforcing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D-D 단면도이다.8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8A.
본 실시예에는 부모멘트 보강 스트럿(30b)이 더 설치된다. 부모멘트 보강 스트럿(30b)은 스트럿 보강재(30)와 반대 형상을 갖도록, 수평한 길이재로 구성되는 하현재(31b), 하현재(31b)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32b), 경사재(32b)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현재(33b)로 구성되어, 하현재(31b)가 높이형성부재(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현재(33b)가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절곡강판 유닛(10)가 부모멘트를 부담해야하는 경우에 더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furthe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를 이용한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beam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1)에는 바닥판(51)이 설치되고 강재보 내부와 바닥판(51) 상단에 콘크리트(50)가 타설된다. 바닥판(51)은 통상적인 데크플레이트는 물론 Deep Deck, Double T-Deck, Half Slab 등 다양한 형태의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절곡강판 유닛(20)의 측벽인 수직판(22)의 춤이 낮게 제작된 강재보로 시공한다면 바닥판(51)으로 Deep Deck, Double T-Deck를 채택하여 슬림플로어를 구현할 수 있다. 구조설계에 따라 슬래브에는 주철근이 배근되어야 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배근 장치를 설치할 필요없이 높이형성부재와 스트럿 보강재의 상현재 상부에 슬래브 제1 주철근(R1)을 배근하고 그 상부에 제2 주철근(R2)를 격자로 배근할 수 있다.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럿 보강재의 경사재에 의해 강재보의 단부에 전단력을 보강되어 시공중 강재보의 단부 국부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ar force is reinforced by the inclined material of the strut reinforcement to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thereby preventing the local deforma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during the construction.
또한, 개방된 단면을 갖는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밖 상측에 높이형성부재를 구성하고 높이형성부재에 스트럿 보강재의 상현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하여 중립축을 상승토록 하여 절곡강판 유닛의 시공중 벌어짐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 height forming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oss-section of the bent steel plate unit having the opened cross section and the upper current of the strut reinforcement member is coupled to the height forming member to raise the neutral axis, There is an effect to mitigate.
또한, 합성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에는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밖 상측에 높이형성부재와 스트럿 보강재의 상현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래브 주철근을 배근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생략하면서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composite beam and the slab can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upper beam current of the height forming member and the strut reinforcemen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in the steel beam having the neutral axis rais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lace the concrete on the spot while omitting it,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절곡강판 유닛
11: 하부판
12: 수직판
13: 상부판
111: 연결판
20: 높이형성부재
21: 상부 수평판
22: 측면 다리판
23: 하부 수평판
30: 스트럿 보강재
31: 상현재
32: 경사재
33: 하현재
30a: 제2 스트럿 보강재
30b; 부모멘트 보강 스트럿
40: 단부보강 덮개판
41: 충진홈
50: 콘크리트
51: 바닥판10: Bending steel plate unit 11: Lower plate
12: vertical plate 13: upper plate
111: connecting plate 20: height forming member
21: upper horizontal plate 22: side leg plate
23: Lower horizontal plate 30: Strut reinforcement
31: phase current 32: slope material
33: bottom 30a: second strut reinforcement
30b; Strand 40: End reinforcement cover plate
41: filling groove 50: concrete
51: bottom plate
Claims (10)
절곡강판 유닛(1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 간격으로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갖도록 절곡강판 유닛(10)에 결합되는 높이형성부재(20); 및
수평한 길이재로 구성되는 상현재(31), 상현재(31)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32), 경사재(32)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현재(33)로 구성되어 상현재(31)가 높이형성부재(20)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현재(33)가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에 결합되어 절곡강판 유닛(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트럿 보강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A bending steel plate unit (10)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with an open top and a predetermined length;
A height forming member 20 coupled to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such that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has a height project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at regular intervals in a longitudinally central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And
An inclined member 32 extending horizontally and inclined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phase current 31 and the phase current 31 and a lower current 3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extending end of the inclined member 32, A strut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so that the phase curren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forming member 20 and the lower current 33 is joined to the end face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And a reinforcing member (30).
절곡강판 유닛(10)은,
하부판(11), 하부판(11)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양측 수직판(12), 수직판(12)의 상단에서 하부판(11)과 다른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높이형성부재(20)는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부판(13) 또는 수직판(12)의 상부에 결합되며,
스트럿 보강재(30)는 하현재(33)가 절곡강판 유닛(10)의 하부판(11)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A pair of vertical plates 12 vertically extending upward at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11 and an upper plate 13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2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ower plate 11 ≪ / RTI >
The height forming member 20 is jo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3 or the vertical plate 12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t reinforcement (30)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절곡강판 유닛(10)은,
하부판(11), 하부판(11)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양측 수직판(12), 수직판(12)의 상단에서 하부판(11)과 다른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높이형성부재(20)는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부판(13) 또는 수직판(12)의 상부에 결합되며,
스트럿 보강재(30)는 하현재(33)가 절곡강판 유닛(10)의 수직판(12)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A pair of vertical plates 12 vertically extending upward at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11 and an upper plate 13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2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ower plate 11 ≪ / RTI >
The height forming member 20 is jo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3 or the vertical plate 12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Wherein the strut reinforcement member (30)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12)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높이형성부재(20)는,
상부 수평판(21), 상부 수평판(21)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 다리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측면 다리판(22)의 연장단이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부판(13)에 결합되고, 스트럿 보강재(30)의 상현재(11)가 상부 수평판(21)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height forming member (20)
And a side leg plate 22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te 21 so that an extending end of the side leg plate 22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22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11) of the strut stiffen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plate (21).
높이형성부재(20)는,
채널, 앵글, 각강, 각관 또는 Z형강 중 어느 하나의 길이재로 구성되어 양단이 절곡강판 유닛(10)의 양측 상부판(1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height forming member (20)
And the both ends thereof are coupled to both side upper plates (13)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ade of a length material of any one of a channel, angle,
높이형성부재(20)는,
채널, 앵글, 각강, 각관 또는 Z형강 중 어느 하나의 길이재로 구성되어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양단이 절곡강판 유닛(10) 수직판(12)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height forming member (20)
And the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12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A steel member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충진홈(41)이 천공된 판상으로 구성되고, 강재보 단부에서 절곡강판 유닛(10) 상부에 설치되는 단부보강 덮개판(40)을 더 포함하여,
절곡강판 유닛(10) 단부가 폐단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nd reinforcing lid plate (40) formed of a perforated plate (41) and provided on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at the steel plate end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is closed.
스트럿 보강재(30)의 상현재(31)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상현재(31a), 상현재(31a)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32a), 스트럿 보강재(30)의 하현재(33)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경사재(32a)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현재(33a)로 구성되어, 상현재(31a)가 높이형성부재(20)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현재(33a)가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에 결합되어 스트럿 보강재(30)와 평행하도록 스트럿 보강재(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스트럿 보강재(3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lope member 32a extending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phase current 31a and slope member 32a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phase current 31a and a bottom current of the strut stiffener 30 And the lower current 33a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extending end of the inclined member 32a so as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lower current 33a. The upper current 31a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forming member 20,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rut reinforcing member (30a) fitt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trut reinforcing member (30) and provided inside the strut reinforcing member (30) Steel beam with.
수평한 길이재로 구성되는 하현재(31b), 하현재(31b)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재(32b), 경사재(32b)의 연장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현재(33b)로 구성되어, 하현재(31b)가 높이형성부재(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현재(33b)가 절곡강판 유닛(10)의 단면 내에 결합되어 스트럿 보강재(30)와 평행하도록 스트럿 보강재(30)의 내측에 설치되는 부모멘트 보강 스트럿(30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clined member 32b extending upwar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31b and the lower end 31b which are horizontally formed of a horizontal length material and an upper end 33b extending horizontally at an end of the end 32b, So that the lower end 31b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height forming member 20 and the upper end 33b is engaged with the end surface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trut stiffener 30, Further comprising a moment reinforcing strut (30b)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strut (30b).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1) 절곡강판 유닛(10)의 상단에 양단이 거치되는 바닥판(51); 및
절곡강판 유닛(10) 내부와 바닥판(51)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를 이용한 합성보.A steel beam (1) having the neutral axis elevation member of claim 1;
A steel girder (1) having a neutral axis elevating member, a bottom plate (51) having both ends thereof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And
And a concrete (50) placed inside the bending steel plate unit (10) an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5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86657A KR101797960B1 (en) | 2015-06-18 | 2015-06-18 | Formed steel beam having neutral axis lifting elements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86657A KR101797960B1 (en) | 2015-06-18 | 2015-06-18 | Formed steel beam having neutral axis lifting elements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49524A true KR20160149524A (en) | 2016-12-28 |
| KR101797960B1 KR101797960B1 (en) | 2017-11-15 |
Family
ID=5772425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86657A Active KR101797960B1 (en) | 2015-06-18 | 2015-06-18 | Formed steel beam having neutral axis lifting elements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97960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10372A (en) * | 2018-03-20 | 2019-09-30 | 문종훈 | Composite deck member and slab using the same |
| CN113356351A (en) * | 2021-06-16 | 2021-09-07 | 广州工程总承包集团有限公司 | Steel beam structure capable of being hoist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72643B1 (en) | 2013-08-07 | 2014-03-11 | 장민우 | Formless composi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99343B1 (en) * | 2013-09-12 | 2015-03-05 |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 Closed Built-up Beam, Hybrid Composite Beam and Strucutures using the same |
-
2015
- 2015-06-18 KR KR1020150086657A patent/KR10179796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72643B1 (en) | 2013-08-07 | 2014-03-11 | 장민우 | Formless composi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10372A (en) * | 2018-03-20 | 2019-09-30 | 문종훈 | Composite deck member and slab using the same |
| CN113356351A (en) * | 2021-06-16 | 2021-09-07 | 广州工程总承包集团有限公司 | Steel beam structure capable of being hoist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97960B1 (en) | 2017-11-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52270B1 (en) | Precast concrete slab system for building which have long span and require high design lo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ystem | |
| KR101144586B1 (en) | Steel built-up beam having closed section for applying long span and reduction of height and concrete filled composite beam system using the same | |
| KR101107300B1 (en) | Steel sheet shear wall | |
| KR101464866B1 (en) | Composite beam having tie anchor embedded in a concrete | |
| KR101677668B1 (en) | Formed steel beam having bolt connection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
| KR101834006B1 (en) |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 |
| KR20090089270A (en) | Grid-shaped drop pa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 KR101533576B1 (en) | Composite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embedded in a concrete | |
| KR100963579B1 (en) | Truss Integral Deck Plate | |
| KR101203724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cantilever slab using half precast panels | |
| JP5750246B2 (en) |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 |
| KR101243777B1 (en) |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 KR101797960B1 (en) | Formed steel beam having neutral axis lifting elements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
| KR101358878B1 (en) |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 |
| KR101998822B1 (en) | Composite rahmen bridge, steel girder for tha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 |
| KR101738244B1 (en) | Built-up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 |
| KR100870068B1 (en) | High Strength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lab Formed Beams for Slab | |
| KR100796216B1 (en) | Concrete composite beam of building | |
| KR102314546B1 (en) | Reinforcing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 |
| KR102201182B1 (en) | Steel built-up beam for composite transfer girder | |
| KR100947903B1 (en) | Precast box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 KR10104136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the long span ramen structure | |
| KR20100113940A (en) | Rahm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 KR20170040022A (en) | Hybrid beam with wide PSC lower flange and enlarged section upper flange and structure frame using the same | |
| KR101878762B1 (en) |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9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