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734U - 자동 목재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목재절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2734U KR20170002734U KR2020160000400U KR20160000400U KR20170002734U KR 20170002734 U KR20170002734 U KR 20170002734U KR 2020160000400 U KR2020160000400 U KR 2020160000400U KR 20160000400 U KR20160000400 U KR 20160000400U KR 20170002734 U KR20170002734 U KR 2017000273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od
- cutting
- frame
- plate
- cylin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7/00—Chain saws; Equipment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7/00—Chain saws; Equipment therefor
- B27B17/08—Drives or gearings; Devices for swivelling or tilting the chain sa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목재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목재를 적층하고 이를 밴딩처리해 하나의 집합체로 제공되는 공급목재의 길이를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해 절단하며, 상기 공급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체인쏘(chain saw)의 절단각도를 변경해 절단가공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받침대(11) 상부에 공급목재(1)가 놓여지도록 하며, 받침대(11)저면에 레크기어(12)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레크기어(12)에 치합되는 회전기어(22)가 구비된 구동축(21a)과 이송구동부(21)가 구비되어, 이 구동부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을 따라 좌,우 왕복 이동되는 수평이송 프레임(20)과;
상기 수평이송 프레임(20)에 입상형태로 세워져 고정결합되는 기둥프레임(30)과;
상기 기둥프레임(30)에 상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실린더(41)의 작동으로 승하강되며, 하단면에 탄성부재(42a)가 포함된 누름고정부(42)가 연속설치된 공급목재 고정수단(40)과;
상기 기둥프레임(30)의 수직레일(31)을 따라서 이동하는 수직이송판(51a,51b)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직이송판(51a,51b)에는 체인(52) 일단이 연결고정되고, 이 체인(52)의 타단은 기둥프레임(30) 상부의 복귀구동부(53)를 거쳐 기둥프레임(30) 배면에 구비된 중량체(54)에 연결고정되어, 수직이송판(51a,51b)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50)과;
상기 승강수단(50)의 일측 수직이송판(51a)에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플레이트(60)와;
상기 승강수단(50)의 타측 수직이송판(51b)에 결합된 틸팅실린더(71)에 일측이 핀연결되고, 상기 수직이송판(51b)에 형성된 만곡진 가이드구멍(55)에 가이드핀(72)이 조립되어, 상기 틸팅실린더(71)의 인출에 따라서 가이드 이동하는 틸팅플레이트(70)와;
상기 기둥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한 공급목재(1)를 절단하는 체인쏘(81)의 양단부를 상기 힌지플레이트(60)와 틸팅플레이트(70)에 각각 조립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60)에 체인쏘(81)를 고속회전시키는 체인쏘구동부(82)를 구비한 절단수단(80)과;
수치입력 및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실린더의 동작을 단속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해 구성하여 달성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받침대(11) 상부에 공급목재(1)가 놓여지도록 하며, 받침대(11)저면에 레크기어(12)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레크기어(12)에 치합되는 회전기어(22)가 구비된 구동축(21a)과 이송구동부(21)가 구비되어, 이 구동부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을 따라 좌,우 왕복 이동되는 수평이송 프레임(20)과;
상기 수평이송 프레임(20)에 입상형태로 세워져 고정결합되는 기둥프레임(30)과;
상기 기둥프레임(30)에 상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실린더(41)의 작동으로 승하강되며, 하단면에 탄성부재(42a)가 포함된 누름고정부(42)가 연속설치된 공급목재 고정수단(40)과;
상기 기둥프레임(30)의 수직레일(31)을 따라서 이동하는 수직이송판(51a,51b)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직이송판(51a,51b)에는 체인(52) 일단이 연결고정되고, 이 체인(52)의 타단은 기둥프레임(30) 상부의 복귀구동부(53)를 거쳐 기둥프레임(30) 배면에 구비된 중량체(54)에 연결고정되어, 수직이송판(51a,51b)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50)과;
상기 승강수단(50)의 일측 수직이송판(51a)에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플레이트(60)와;
상기 승강수단(50)의 타측 수직이송판(51b)에 결합된 틸팅실린더(71)에 일측이 핀연결되고, 상기 수직이송판(51b)에 형성된 만곡진 가이드구멍(55)에 가이드핀(72)이 조립되어, 상기 틸팅실린더(71)의 인출에 따라서 가이드 이동하는 틸팅플레이트(70)와;
상기 기둥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한 공급목재(1)를 절단하는 체인쏘(81)의 양단부를 상기 힌지플레이트(60)와 틸팅플레이트(70)에 각각 조립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60)에 체인쏘(81)를 고속회전시키는 체인쏘구동부(82)를 구비한 절단수단(80)과;
수치입력 및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실린더의 동작을 단속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해 구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 목재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목재를 적층하고 이를 밴딩처리해 하나의 집합체로 제공되는 공급목재의 길이를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해 절단하며, 상기 공급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체인쏘(chain saw)의 절단각도를 변경해 절단가공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목재 또는 목판(이하 목재라고 함)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절단 가공하는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실수요자가 요구하는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목재를 얻기 위해서는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원목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단한 후, 소정 두게를 갖도록 절단 가공하는 1차 절단가공작업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1차 절단가공작업에 의해 얻어지는 목재는 소정두께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수개의 목재를 고정 밴딩하여 하나의 집합체로 구성한 다음에 상기 목재를 필요한 적소 또는 상품화하기 위해 재가공되어기위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2차 절단작업공정에 제공되어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2차 절단작업공정에서는 제공된 상기 집합체의 목재를 하나하나 분리한 다음에 상기 하나의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목재를 안착하기 위한 베드부가 길게 구비되고, 상기 베드부의 적정위치의 하부에 절단회전칼날을 위치시켜 상기 베드부의 일측면에 목재를 가이드하면서 절단회전칼날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판이 형성되는 목재절단장치를 이용하여 목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목재절단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절단하고자 하는 목재를 하나하나 베드부의 일측에 위치시킨 후 측면에 입설되는 가이드판을 따라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전진 이송시킨 다음, 별도의 스토퍼장치 등으로 전진이송된 목재를 고정지지하도록 한 후 절단회전칼날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바, 작업자가 절단회전칼날의 위치에 근접된 상태에서 목재가 완전히 절단될때까지 목재의 일측을 잡고 완전히 절단되는 것을 지켜본 후 절단된 목재를 별도의 적재유니트로 적재시켜야 하므로, 절단회전칼날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여 불의의 안전사고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목재절단장치는 하나의 목재를 절단한 후, 절단된 목재를 적재유니트로 적재하고 다시 새로운 목재를 목재절단장치의 베드부에 적재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어렵고 생산단가가 현저하게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톱밥가루, 미세분진 등이 작업장내에 대기중에 그대로 방출되므로, 작업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작업자의 신체건강을 크게 해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한편, 상기 목재를 하나가 아닌 다수개를 두껍게 겹친 상태에서 절단하는 경우에는, 절단회전칼날이 목재의 절단틈새에 묻히면서 정지되는 경우 및 칼날의 일부가 파열 파손되거나 튕겨져 인접한 작업자의 신체로 날아드는 경우가 발생되어 안전사고 발생률을 크게 증대시키는 원이이 되었다.
또한, 목재의 절단길이가 수시로 바뀌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할 경우, 예컨대 길이가 긴 목재를 절단할 경우 셋팅수단을 이용하여 적정길이로 셋팅한 후 절단하여 원하는 길이의 목재를 얻은 후에는 재차 상기 셋팅수단을 이용하여 짧은 길이의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소정의 길이로 다시 셋팅하여 절단하여야 하는 번잡한 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작업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단 가공된 목재가 다 수개 적층되어 밴딩처리된 하나의 집합체로 제공되는 공급목재를 자동으로 길이를 조절해 절단하도록 구성하여 안전사고 방지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단장치에 구비된 체인쏘(Chainsaw)의 절단각도를 경사지게 하여 집합체의 절단력을 상승시키면서 부하는 감소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절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장치에 제공된 공급목재와 체인쏘가 직각 정렬되게 가이드함으로써, 절단된 목재의 불량률을 감소시켜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받침대(11) 상부에 공급목재(1)가 놓여지도록 하며, 받침대(11)저면에 레크기어(12)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레크기어(12)에 치합되는 회전기어(22)가 구비된 구동축(21a)과 이송구동부(21)가 구비되어, 이 구동부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을 따라 좌,우 왕복 이동되는 수평이송 프레임(20)과;
상기 수평이송 프레임(20)에 입상형태로 세워져 고정결합되는 기둥프레임(30)과;
상기 기둥프레임(30)에 상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실린더(41)의 작동으로 승하강되며, 하단면에 탄성부재(42a)가 포함된 누름고정부(42)가 연속설치된 공급목재 고정수단(40)과;
상기 기둥프레임(30)의 수직레일(31)을 따라서 이동하는 수직이송판(51a,51b)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직이송판(51a,51b)에는 체인(52) 일단이 연결고정되고, 이 체인(52)의 타단은 기둥프레임(30) 상부의 복귀구동부(53)를 거쳐 기둥프레임(30) 배면에 구비된 중량체(54)에 연결고정되어, 수직이송판(51a,51b)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50)과;
상기 승강수단(50)의 일측 수직이송판(51a)에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플레이트(60)와;
상기 승강수단(50)의 타측 수직이송판(51b)에 결합된 틸팅실린더(71)에 일측이 핀연결되고, 상기 수직이송판(51b)에 형성된 만곡진 가이드구멍(55)에 가이드핀(72)이 조립되어, 상기 틸팅실린더(71)의 인출에 따라서 가이드 이동하는 틸팅플레이트(70)와;
상기 기둥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한 공급목재(1)를 절단하는 체인쏘(81)의 양단부를 상기 힌지플레이트(60)와 틸팅플레이트(70)에 각각 조립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60)에 체인쏘(81)를 고속회전시키는 체인쏘구동부(82)를 구비한 절단수단(80)과;
수치입력 및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실린더의 동작을 단속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해 구성하여 달성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단 가공되어 다 수개 적층시켜 밴딩처리해 하나의 집합체로 제공된 공급목재를 그대로 절단가공하면서도 정확한 치수로 가공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공된 공급목재를 입력된 수치에 따라 자동으로 길이를 조절해 절단하도록 구성하면서, 체인쏘가 경사진 각도로 공급목재를 절단시켜 부하를 감소시키면서도 절단력을 상승시켜 안전사고 방지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집합체로 제공된 공급목재가 베이스 프레임에 수평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절단 가공후의 목재는 길이방향과 절단부가 직각상태를 갖게 되어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자동 목재절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인 자동 목재절단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절단수단이 최하단까지 진행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단수단이 최하단에서 수평상태로 이동된 상태의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수평지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자동 목재절단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절단수단이 최하단까지 진행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단수단이 최하단에서 수평상태로 이동된 상태의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수평지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고안인 자동 목재절단 장치는, 다수개의 목재를 적층하고 이를 밴딩처리해 하나의 집합체로 제공되는 공급목재의 길이를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해 절단하며, 상기 공급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체인쏘(chain saw)의 절단각도를 변경해 절단가공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자동 목재절단 장치의 측면도로서, 베이스 프레임(10)을 따라 수평이송 프레임(20)이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상기 수평이송 프레임(20) 상부에 결합된 기둥프레임(30)에 구비된 절단수단(80)이 승강수단(50) 및 힌지플레이트(60)와 틸팅플레이트(70)의 작동으로 이동되면서 받침대(11) 상부에 놓여진 공급목재를 자동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 프레임(10)은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단된 다 수개의 목재를 다단으로 적층해 밴딩 고정해 하나의 집합체로 제공되는 공급목재가 놓여질 수 있도록, H빔 등의 철골구조물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조립하여 형성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0)의 받침대(11) 상부에는 보조받침목(2)을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후 상기 보조받침목(2) 상부에 공급목재(1)가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공급목재의 하부 파손 방지 및 후술되는 공급목재의 직각정렬 편의과 절단과정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공급목재 수평지지수단(14)이 구비되는데, 이 수평지지수단(14)의 구성은 수평실린더(15)의 일측이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실린더 로드는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더 구비된 링크부재(16)에 일단을 연결시켜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16)의 다른 일단은 받침대(11)에 형성된 캠가이드구멍(11a)을 통해 인출가능하게 조립된 캠부재(17)에 결합시켜, 실린더 로드의 진출에 따라 링크부재(16)가 연동 이동하면서 캠부재(17)가 받침대(11) 상부로 인출되어 공급목재(1)를 수평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1) 저면에는 레크기어(12)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수평이송 프레임(20)에 구비된 회전기어(22)가 상기 레크기어(12)에 치합되어, 회전기어(22)의 회전으로 수평이송 프레임(20)이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이송 프레임(2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면에 위치하면서, 회전기어(22)가 구비된 구동축(21a)이 베이스 프레임(10)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 일측에 상기 구동축(21a)을 회전시키는 이송구동부(21)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구동부(21)의 회전 동력으로 구동축(21a)과 일체 결합된 회전기어(22)가 연동회전하면서, 받침대(11) 저면에 구비된 레크기어(12)를 따라 회전 이동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이송레일(미부호)을 구비하고, 수평이송 프레임(2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이송로울러(24)를 구비시켜, 상기 수평이송 프레임(20)의 왕복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송 프레임(20)에는 입상형태의 기둥프레임(30)이 고정결합되는데, 기둥부 전면에는 수직레일(3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공급목재 고정수단(40)의 승하강실린더(41)와 가이드봉(미부호) 및 승강수단(50)의 복귀구동부(53)가 장착되게 한다.
상기 공급목재 고정수단(40)은, 기둥프레임(30)에 내측에 "∩" 형상의 플레이프판으로 제작되어, 양측 하단면에 탄성부재(42a)가 포함된 누름고정부(42)가 연속설치되어, 승하강실린더(41)의 작동으로 가이드봉에 안내되면서 승,하강 이동된다.
여기에서, 상기 누름고정부(42)는, 공급목재 고정수단(40)이 하강할 때, 공급목재(1) 상부면을 누르면서 가압고정하는 것으로, "∩" 형상의 플레이프판 내부 공간에 절단수단(80)의 체인쏘(81)가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프레임(30)의 양측 전면에 구비된 수직레일(31)에는, LM가이드(미부호)로 결합된 수직이송판(51a,51b)이 각각 구비되면서 이 수직이송판(51a,51b) 상부에 체인(52)단부가 고정결합되는데, 상기 체인(52)의 타단은 기둥프레임(30) 상부에 구비된 복귀구동부(53)를 거쳐 기둥프레임(30) 배면에 구비된 중량체(54)에 연결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수단(50)은 제어부(90)의 신호에 따라 복귀구동부(53)의 잠금을 해제해 자중에 의해 수직이송판(51a,51b)이 하강되도록 하고, 복귀구동부(53)를 작동시켜 그 동력으로 체인(52)에 연결된 수직이송판(51a,51b)을 상부로 승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50)의 일측 수직이송판(51a)에는 힌지플레이트(60)가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데, 이 힌지플레이트(60)의 일측에는 절단수단(80)의 체인쏘구동부(82)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체인쏘(81)의 일단이 조립된다.
또, 상기 승강수단(50)의 타측 수직이송판(51b)에는, 틸팅플레이트(70)가 상기 수직이송판(51b)에 결합된 틸팅실린더(71)에 일측이 핀연결되고, 상기 수직이송판(51b)에 형성된 만곡진 가이드구멍(55)에는 가이드핀(72)을 통해 조립되면서, 체인쏘(81)의 타단이 조립되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체인쏘(81)는 체인쏘구동부(82)를 통해 체인형 톱날을 회전 구동하면서 목재를 절단하는 장치이며, 이와 같은 방식의 체인쏘는 이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수단(50)의 수직이송판(51a,51b)에 결합된 힌지플레이트(60)와 틸팅플레이트(70)가 승강수단(50)과 연동해 승하강 이동가능하고, 힌지플레이트(60)와 틸팅플레이트(70) 내측에 연결된 체인쏘(81)가 체인쏘구동부(82)의 동력으로 회전되고, 틸팅플레이트(70)는 틸팅실린더(71)의 인출에 따라서 가이드핀(72)이 가이드구멍(55)을 따라 이동되면서 힌지플레이트(60)의 힌지축(61)을 기준으로 회전이동한다.
본 고안에서의 각 구동부 및 수평, 수직 이동과 틸팅이동에는, 센서부(미도시)의 신호입력에 따라 제어부(90)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작동시킬 수 있으면서, 입력부를 통해 수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각 구동부를 제어해 공급목재(1)의 길이를 조절해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인 자동 목재절단 장치에, 길이방향으로 긴 다수개의 목재를 적층하고 이를 밴딩처리해 하나의 집합체로 제공된 공급목재(1)가 보조받침목(2)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목재(1)는, 도 5a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에 일측이 연결된 수평실린더(15)에 에어가 공급되면서 실린더 로드와 연결된 링크부재(16)가 인출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링크부재(16)에 연결된 캠부재(17)가 고정축(미부호)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받침대(11)에 형성된 캠가이드구멍(11a)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는 캠부재(17)에 공급목재(1)가 수평지지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지지수단(14)의 돌출된 캠부재(17)를 통해 공급목재(1)가 길이방향으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 절단수단(80)을 통해 목재를 직각으로 절단할 수 있어 목재 절단을 위한 정확환 위치를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수평지지수단(14)의 캠부재(17)와 보조받침목(2)은 공급목재(1) 절단위치에 위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체인쏘(81)에 캠부재(17) 및 보조받침목(2)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 5b와 같이 수평실린더(15)의 로드를 인입시키면 캠부재(17)가 받침대(11)에 내설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공급목재(1)가 받침대(11)에 놓여진 초기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승하강실린더(41)에 공압을 공급하여 공급목재 고정수단(40)을 하강시켜 누름고정부(42)가 공급목재(1) 상단을 가압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공급목재(1)를 가압 고정하는 누름고정부(42)에는 탄성부재(42a)가 더 구비되어 있으면서 누름고정부(42) 선단에 고무부재를 더 결합해 구성하여, 공급목재(1)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급목재 고정수단(40)이, "∩" 형상을 갖고 있어, 내부 공간에 위치한 체인쏘(81)의 회전으로 절단되는 목재파편 및 체인쏘 파손에 따른 파편이 외부로 비산되면서 작업자가 다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목재 고정수단(40)의 누름고정부(42)는 공급목재(1)의 절단된 방향 및 절단되지 않은 방향, 즉 체인쏘(81)를 기준으로 "∩" 형상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절단된 방향에 있는 목재도 상기 누름고정부(42)가 가압고정하고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체인쏘구동부(82)의 동력으로 체인쏘(81)가 고속 회전하는 절단수단(80)은, 힌지플레이트(60)와 틸팅플레이트(70)를 통해 승강수단(50)의 수직이송판(51a,51b)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90)의 신호에 따라 복귀구동부(53)의 잠금을 해제해 자중에 의해 수직이송판(51a,51b)이 하강되면서 공급목재(1)를 절단한다.
이때, 상기 틸팅플레이트(70)는 힌지플레이트(60)의 힌지축(61)을 기준으로 체인쏘(81)의 수평중심선이 8 내지 12°의 상향된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에서 힌지플레이트(60)와 동시에 하강되면서 고속회전하는 체인쏘(81)에 공급목재(1)가 경사지게 절단되게 한다.
따라서, 체인쏘(81)가 8 내지 12°의 상향된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급목재(1)를 절단하여 절단라인의 기준점을 잡아줌과 동시에 절단응력을 최소화시켜 절단날의 이탈을 방지하며 정확환 위치에서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힌지플레이트(60)의 하강이 정지된 상태 즉, 최하단부에 위치한 센서부의 신호가 제어부(90)에 전달되어 복귀구동부(53)를 잠거 체인(52)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는 타측에 위치한 틸팅실린더(71)의 로드가 인출되면서 틸팅플레이트(70)가 가이드구멍(55)을 따라 하강되어 체인쏘(81) 수평중심선이 바닥면과 수평하게 이동된다.
즉, 힌지플레이트(60)가 포함된 일측의 수직이송판(51a)이 최하단부에 위치하면, 제어부(90)의 신호에 따라 승강수단(50)의 이동이 잠겨지고, 타측 수직이송판(51b)에 구비된 틸팅실린더(71)의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면서 틸팅플레이트(70)를 하강시키면서, 공급목재(1)를 전체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목재(1)를 절단한 절단수단(80)은 다시 체인쏘(81)가 8 내지 12°의 상향된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되게 틸팅실린더(71)의 실린더로드가 복귀하면서 승강수단(50)이 중량체(54)와 복귀구동부(53)의 동력으로 상승되면서 도 2와 같은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공급목재 10. 베이스 프레임
11. 받침대 12. 레크기어
14. 수평지지수단 20. 수평이송 프레임
21. 이송구동부 21a. 구동축
22. 회전기어 30. 기둥프레임
31. 수직레일 40. 공급목재 고정수단
41. 승하강실린더 42. 누름고정부
50. 승강수단 51a,51b. 수직이송판
52. 체인 53. 복귀구동부
54. 중량체 51a. 가이드구멍
60. 힌지플레이트 61. 힌지축
70. 틸팅플레이트 71. 틸팅실린더
72. 가이드핀 80. 절단수단
81. 체인쏘 90. 제어부
11. 받침대 12. 레크기어
14. 수평지지수단 20. 수평이송 프레임
21. 이송구동부 21a. 구동축
22. 회전기어 30. 기둥프레임
31. 수직레일 40. 공급목재 고정수단
41. 승하강실린더 42. 누름고정부
50. 승강수단 51a,51b. 수직이송판
52. 체인 53. 복귀구동부
54. 중량체 51a. 가이드구멍
60. 힌지플레이트 61. 힌지축
70. 틸팅플레이트 71. 틸팅실린더
72. 가이드핀 80. 절단수단
81. 체인쏘 90. 제어부
Claims (5)
- 바닥면에 고정되어 받침대(11) 상부에 공급목재(1)가 놓여지도록 하며, 받침대(11)저면에 레크기어(12)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레크기어(12)에 치합되는 회전기어(22)가 구비된 구동축(21a)과 이송구동부(21)가 구비되어, 이 구동부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을 따라 좌,우 왕복 이동되는 수평이송 프레임(20)과;
상기 수평이송 프레임(20)에 입상형태로 세워져 고정결합되는 기둥프레임(30)과;
상기 기둥프레임(30)에 상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실린더(41)의 작동으로 승하강되며, 하단면에 탄성부재(42a)가 포함된 누름고정부(42)가 연속설치된 공급목재 고정수단(40)과;
상기 기둥프레임(30)의 수직레일(31)을 따라서 이동하는 수직이송판(51a,51b)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직이송판(51a,51b)에는 체인(52) 일단이 연결고정되어, 이 체인(52)의 타단은 기둥프레임(30) 상부의 복귀구동부(53)를 거쳐 기둥프레임(30) 배면에 구비된 중량체(54)에 연결고정되어, 수직이송판(51a,51b)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50)과;
상기 승강수단(50)의 일측 수직이송판(51a)에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플레이트(60)와;
상기 승강수단(50)의 타측 수직이송판(51b)에 결합된 틸팅실린더(71)에 일측이 핀연결되고, 상기 수직이송판(51b)에 형성된 만곡진 가이드구멍(55)에 가이드핀(72)이 조립되어, 상기 틸팅실린더(71)의 인출에 따라서 가이드 이동하는 틸팅플레이트(70)와;
상기 기둥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한 공급목재(1)를 절단하는 체인쏘(81)의 양단부를 상기 힌지플레이트(60)와 틸팅플레이트(70)에 각각 조립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60)에 체인쏘(81)를 고속회전시키는 체인쏘구동부(82)를 구비한 절단수단(80)과;
수치입력 및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실린더의 동작을 단속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목재절단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플레이트(70)는 힌지플레이트(60)의 힌지축(61)을 기준으로 체인쏘(81)의 수평중심선이 8 내지 12°의 상향된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에서 힌지플레이트(60)와 동시에 하강되어 고속회전하는 체인쏘(81)에 공급목재(1)가 경사지게 절단되게 하고, 힌지플레이트(60)의 하강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틸팅실린더(71)의 로드가 인출되면서 틸팅플레이트(70)가 가이드구멍(55)을 따라 하강되어 체인쏘(81) 수평중심선이 바닥면과 수평상태로 위치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목재절단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수평실린더(15)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실린더 로드는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링크부재(16)에 연결시켜,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면서 받침대(11)에 형성된 캠가이드구멍(11a)을 통해 인출되는 캠부재(17)에 상기 링크부재(16)가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의 진출에 따라 링크부재(16)가 연동되면서 캠부재(17)가 받침대(11) 상부로 인출되어 공급목재(1)를 수평지지하는 공급목재 수평지지수단(1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 목재절단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목재 고정수단(40)은, "∩" 형상으로 제작되어, 양측 하단면에 연속 설치된 누름고정부(42)가 공급목재(1)를 가압고정하면, 내부 공간을 따라 상기 체인쏘(81)가 하강되면서 공급목재(1)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목재절단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받침대(11) 상부에는 수개의 보조받침목(2)을 더 구비시켜, 상기 보조받침목(2) 상부에 공급목재(1)를 적층하며, 상기 공급목재 수평지지수단(14)의 캠부재(17)를 상기 보조받침목(2)사에에 각각 위치하면서 받침목의 높이보다 더 상향 인출되게 형성하여 공급목재(1)의 수평정렬을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목재절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60000400U KR20170002734U (ko) | 2016-01-21 | 2016-01-21 | 자동 목재절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60000400U KR20170002734U (ko) | 2016-01-21 | 2016-01-21 | 자동 목재절단 장치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02734U true KR20170002734U (ko) | 2017-07-31 |
Family
ID=5939965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60000400U Abandoned KR20170002734U (ko) | 2016-01-21 | 2016-01-21 | 자동 목재절단 장치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02734U (ko)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023909A (zh) * | 2018-10-26 | 2018-12-18 | 应城市天润产业用布有限责任公司 | 一种切边自锁装置 |
| KR20190124577A (ko) * | 2018-04-26 | 2019-11-05 | 권영호 | 목재도어의 측면 가공장치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70542A (ko) | 1997-01-31 | 2000-11-25 | 클래스 빌헬름슨 | Ⅱ형 콜라겐에 특이적인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펩티드 |
-
2016
- 2016-01-21 KR KR2020160000400U patent/KR20170002734U/ko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70542A (ko) | 1997-01-31 | 2000-11-25 | 클래스 빌헬름슨 | Ⅱ형 콜라겐에 특이적인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펩티드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24577A (ko) * | 2018-04-26 | 2019-11-05 | 권영호 | 목재도어의 측면 가공장치 |
| CN109023909A (zh) * | 2018-10-26 | 2018-12-18 | 应城市天润产业用布有限责任公司 | 一种切边自锁装置 |
| CN109023909B (zh) * | 2018-10-26 | 2024-03-12 | 应城市天润产业用布有限责任公司 | 一种切边自锁装置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54358B1 (ko) | 대형 파이프 고속 절단기 | |
| US6142050A (en) | Cutting machine for elongate workpieces | |
| KR101873309B1 (ko) | 반자동 목재 재단장치 | |
| CA2062521A1 (en) | End-dogging log carriage | |
| KR20170002734U (ko) | 자동 목재절단 장치 | |
| KR101631418B1 (ko) | 합판 이송장치 | |
| CA2394560C (en) | Log merchandiser | |
| US3687269A (en) | Apparatus for edging and resawing lumber | |
| CN116140699B (zh) | 一种h型不锈钢装饰板材用锯切设备 | |
| JP5243925B2 (ja) | 制振壁パネルの製造装置 | |
| KR101789065B1 (ko) |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 |
| US11890776B2 (en) | Automated cutting for scenic flats construction | |
| US3213907A (en) | Veneer jointer machine | |
| KR101629351B1 (ko) | 통나무 가공장치 | |
| US20070039664A1 (en) | Saw infeed system | |
| CN112873427A (zh) | 一种建筑领域的木料板材加工刨具装置 | |
| CN112264640A (zh) | 一种用于板材钻孔的加工系统 | |
| CN222608392U (zh) | 一种具有自动上料结构的激光切割机 | |
| EP1767319B1 (en) | Machine for creating grout lines on boards and/or for cutting tiles from boards and corresponding methods | |
| JP2005246573A (ja) | バンドソー型切断装置 | |
| CN212312240U (zh) | 一种可调整切割长度的齐头锯 | |
| CN211490659U (zh) | 一种棒料锯断机的上料装置 | |
| CN211306560U (zh) | 一种板材裁切装置 | |
| CN110815436B (zh) | 一种木门板材用自动拼接系统 | |
| JP2691636B2 (ja) | 製材装置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121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